문경 시골에 집 지어 정착했는데
상추 한 움큼,,,,
매실 한 소쿠리,,나눠먹는 동네 인심에 반했다.
어탕국수 했다고 부르고 나물비빔밥 차렸다고 청한다.
일본에는 고독사가 문제라는데 우리 동네와는 상관없는 남의 이야기다.
경북문경시 중심에서 북쪽으로 30~40분을 달려와
좁다란 다리 하나 건너면 나타나는 못고개마을은
열댓 집이 오순도순 살고 있는 산 아래 마을이다.
여러 지방을 돌며 40년 가까이 해 온 교직 생활을 마감하고,
새로운 생애를 살고 싶어 올 초 이곳에 삶의 터를 잡아 집을 지었다.
이 시골 마을에 집을 지으면서 쓸데없는 일을 했다
싶은 것이 대문에 단 인터폰이다. 대문도 괜히 단 것 같다.
대문이 있으니 늦은 밤에 닫기는 하지만,
낮에는 거의 닫아 놓을 일이 없다.
대문을 늘 열어 놓으니 인터폰을 눌러 사람을 불러낼 일도 없다.
밖에 나갔다가 돌아와 보니
현관에 네댓 됫박이 들어갈 만한 포대가 하나 놓여 있었다.
만져 보니 쌀인 것 같았다.
누가, 왜 갖다 놓았을까.
나중에 알고 보니
뒷집에서 지난 가을에 추수한 벼를 근래에 찧어
이웃과 나눠먹고 싶어 갖다 놓은 것이라고 했다.
어느 날은 누가 가래떡을 갖다 놓기도 하고,
매실 한 소쿠리를 갖다 놓기도 했다.
배추가 크게 자랐다고 뽑아다
주기도 하고, 상추 잎이 벌었다고 솎아다 주기도 했다.
지난봄에는 뜯어온 산나물을 나누어 주기도 하고,
애써 잡은 다슬기를 갈라 주기도 했다.
아내는 당황스럽고 불안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살아왔어도 이런 인심들은 처음이다.
고맙기도 하지만,
무엇으로 갚아야 할까를 생각하니 마음이 편치 않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처럼 농사를 잘 지어
나눠줄 수확물이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무엇으로 보답하기도 어렵지 않으냐고 했다.
어느 날 아내는 쑥을 뜯으러 가자고 했다.
산자락 어느 밭머리로 가서 보드라운 것을 골라서 뜯었다.
바구니에 가득 차도록 한참을 뜯었다.
깨끗하게 씻어 방앗간으로 가져가 쑥떡을 빚었다.
그리고 이웃에 조금씩 돌렸다.
받은 이웃들은 "뭐 하러 이런 걸 가져오느냐"면서
고마워하더라고 했다. 그 모습을 본 아내도 즐거워했다.
강에서 고기를 잡아 어탕국수를 했다며,
이웃에서 저녁을 먹으러 오라고 했다.
막걸리 한 잔을 곁들여 맛있게 먹었다.
"이렇게 대접만 받아서…
." "서로 노나(나누어) 먹는 재미 아입니까."
그걸 모르고 살아온 지난 세월이 다시 돌아보였다.
소담하게 차린 상 위에 따뜻한 인정미가 그릇마다 넉넉히 담겨 있었다.
읍내에 가서 삼겹살을 좀 사왔다.
이웃을 불러 해질녘 마당 원탁에 둘러앉았다.
텃밭 상추를 뜯어 쌈장과 함께 놓았다.
누구도 오라고 하고, 누구도 부르란다.
여남은 명 이웃이 모여 앉았다.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를 나눈다.
지금 무슨 일을 하는데 뭐가 부족해 걱정이라는 둥,
어떤 작물 재배는 어떻게 해야 된다는 둥,
누구는 어디에 갔다 왔다는 둥,
누구는 어딜 가서 고기를 많이 잡았다는 둥….
사소할 수도 있는 이야기를 전혀 사소하지 않게 말하기도 하고,
듣기도 한다.
담소하는 사이에 지글지글 삼겹살이 익고, 술잔이 비어간다.
전깃불이 점점 밝아져 가고,
어둠이 짙어지는 하늘에 별이 총총 빛나고 있다.
총총한 별빛을 따라 웃음소리도 찬연한 빛을 낸다.
도시의 어느 집에서,
어느 아파트에서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을까.
어느 마당에서 이처럼 별빛 밝은 하늘을 볼 수 있을까.
신문 보도를 보니,
일본은 지금 전통적인 가족 울타리가 약해지면서
사망 후 며칠 지나서야 발견되는
고독사(孤獨死)가 한 해 1만5600명에 이를 정도로
'혼자 살다 혼자 죽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집 안에만 박혀 있으면서
외출을 거부하는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가 7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 신문은 일본의 이런 현실이
10년 후 우리 모습이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우리 동네와는 관계없는 남의 나라,
남의 이야기일 뿐이다.
10년이 흐른들, 100년이 흐른들,
이 한촌(閑村)에 어찌 그런 일이 있을까.
누구네 집은 밤에 언제쯤 자고 아침에 언제쯤 일어나며,
누구네 집엔 어떤 손님이 왔고,
무슨 연장은 누구네 집 것이 제일 좋고,
누구네 집엔 비료가 얼마나 남아 있고,
누구네 집 밭에는 뭐가 많이 열렸다는 것을
서로 다 알고 있는 사람들이 살고 있음에야
어찌 홀로 죽어갈 수 있으며,
어찌 문을 닫아 걸고 홀로 지낼 수 있으랴.
오늘도 이웃 어느 집에서 저녁을 같이 먹잔다.
문을 열어 둔 채 이웃으로 간다.
늘 열어둘 대문을 괜히 달았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