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목(柘: 산뽕나무자, 木: 나무목), 뽕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LL.) Bureau)의 원줄기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부인붕중혈결(婦人崩中血結), 세목영명(洗目令明)의 효능이 있어 부인의 월경과다 증상에 마편초(馬鞭草), 유백피(楡白皮)와 같이 달여 복용하며, 약물 달인 물로 눈을 씻으면 눈이 밝아진다."
2,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56~3357면) "자목(柘:산뽕나무자, 木:나무목)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 식물 자수(柘樹)의 목질부이다.
낙엽 관목 또는 작은 교복으로 높이가 8미터 이상 되는 것도 있다. 작은 가지는 검은 녹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부드럽고 털이 없으며 단단한 가시가 나 있는데 그 길이는 5~35밀리이다.
홑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에 가까우며 달걀 모양이거나 거꿀달걀 모양으로 길이가 5~13센티미터이다. 기부는 쐐기 모양이거나 원형이고 끝은 무딘 모양이거나 뾰족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혹은 3개로 갈라지고 윗면은 짙은 녹색, 밑면은 연한 녹색이다. 어릴 때에는 양면에 모두 털이 있지만 자라면 밑면의 중륵맥에만 털이 조금 남아 있을 뿐, 그 외에는 털이 빠지고 광택이 난다. 기부에서는 세 개의 잎맥이 나오고 측맥은 4~5쌍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약 1센티미터로 털이 조금 나 있다. 턱잎은 작고 분리되어 측생한다.
꽃은 단성이고 암수 딴그루이며 모두 두상 화서로 꽃자루는 짧고 단일하게 나거나 쌍을 지어 액생한다. 수꽃의 꽃덮이는 4개로 갈라지고 꽃떡잎은 2개나 4개이며 수술은 4개이고 꽃실은 직립한다. 암꽃의 꽃덮이는 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1개이다. 취산 화서 모양의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깝고 지름은 약 2.5센티미터로 적색이며 다육질의 숙존 꽃덮이와 꽃떡잎은 수과를 싸고 있다. 개화기는 6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햇빛이 잘 드는 험한 산이나 산비탈, 구릉, 계곡에서 잘 자란다.
중국의 하북, 산동, 하남, 협서, 감서, 강소, 절강, 안징, 강서, 복건, 호북, 호남, 사천, 운남, 귀주, 광동, 광서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 식물의 뿌리를 '천파석(穿破石)', 나무껍질과 뿌리껍질 '자목백피(柘木白皮)', 잎을 '자수경엽(柘樹莖葉)', 열매를 '자수과실(柘樹果實)'도 약용한다. 상세한 내용은 각 해당 조목을 참조하라. [성미] <본초습유>: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처방예] 1, 월경과다의 치료: 꾸지뽕나무, 마편초, 느릅나무를 달여 흑설탕을 섞어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비고] 1, <본초연의>: "꾸지뽕나무는 속에 무늬가 있으며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잎으로 누에를 기르기 때문에 자잠이라고도 한다. 잎은 단단하여 뽕나무 잎에는 미치지 못한다." 3,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4166~4167면) "천파석((穿破石)) [<영남채약록>] [이명] 자근(柘根) [<천금방>], 천파석(川破石) [<생초약성비요>], 지금근(地錦根), 납우입석(拉牛入石) [<영남채약록>], 황사(黃蛇) [<광동중약>
[기원] 뽕나무과 식물 소석수(小石樹) 혹은 자목 즉 꾸지뽕나무의 뿌리이다.
상록의 직립 혹은 덩굴성 관목으로 높이는 2~4미터이다. 뿌리껍질은 연하고 황색이다. 가지는 회갈색이고 광택이 있고 매끈하며 피공이 흩어져 나고 길이가 5~10밀리 되는 튼튼하고 직립 혹은 약간 구부러진 가시가 있다. 홑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거꿀달걀 피침형 혹은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이고 길이는 4~9센티미터이며 너비는 1.5~2.8센티미터이고 끝은 무디거나 뾰족한 모양이고 기부는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이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의 길이는 5~10밀리이다. 꽃은 단성이고 암수 딴그루이며 두상 화서는 단생하거나 혹은 쌍을 이루고 짧은 자루가 있으며 부드러운 털에 덮여 있다. 수꽃차례는 지름이 6밀리이고 꽃덮이 조각은 3~5개이며 쐐기 모양이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털에 덮여 있다. 암꽃차례는 공 모양이고 결실기에는 커지는데 지름은 약 1.8센티미터이고 꽃덮이 조각은 4개이며 윗끝이 두텁고 가늘고 보드라운 털에 덮여 있다.
복화과는 구형이고 육질이 많으며 지름은 5센티미터에 달하고 털에 덮여 있고 수과(瘦果)는 육질이 많은 꽃덮이와 꽃떡잎에 둘러싸여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산비탈, 시냇가와 관목림에서 자란다.
2, 자수(柘樹: 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채집] 일년 내내 채집할 수 있다. 뿌리를 파내어 측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토막 내거나 조각으로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 말린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고 분지는 극히 적으며 굵기는 같지 않고 굵은 것은 5~6센티미터에 달한다. 표면에 코르크 껍질은 등황색이거나 등홍색이고 가로주름이 가늘게 있고 종이처럼 얇으며 매우 쉽게 벗겨진다. 코르크껍질이 벗겨진 표면은 노르스름한 회색으로 황갈색 혹은 등황색의 반점이 있다. 질은 단단하다. 횡단면의 피부는 얇고 섬유성이며 목질부가 발달하고 황색이며 밀집한 가는 바늘구멍 모양의 목질부가 발달하였고 황색이며 밀집한 가는 바늘 구멍 모양의 도판이 가득 있고 중심에는 간혹 작은 고갱이 부위가 있다. 껍질이 누렇고 뿌리는 균일하며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광동, 광서, 복건 등지에서 난다.
[성분] 소자수(小柘樹)의 뿌리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를 함유한다. [약효와 주치] 풍사를 몰아내고 습을 배출시키며 혈을 잘 순환시키고 월경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에 의한 관절통, 황달, 임탁(임병), 고창(주로 간장병에 복부가 붓는 증상), 폐경, 노상에 의한 해혈, 타박상, 정창, 부스럼을 치료한다. 1, 요가성 <식물본초>: "창양개선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8~15그램(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배합과 금기] <남영시약물지>: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된다." [임상보고] 급성, 만성 간염의 치료: 구지뽕나무 뿌리 1200그램, 오지모도(五指毛桃)(Ficus simplicissima) 300그램, 호로차(葫蘆茶) 1200그램에 약이 잠길 정도의 물을 넣고 2회 끓여 약액을 섞어서 1500밀리리터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설탕 300그램과 방부제를 넣어 움직이지 않게 놓아두었다가 여과한다. 1회 45밀리리터씩 급성 황달형 간염 및 비교적 중한 만성 간염은 하루 2호, 경한 만성 간염은 하루 1회 복용한다. 모두 3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치료한 72례를 보면 임상 치유가 35례(급성 황달형 17례, 만성 간염 19례), 무효가 12례(만성 간염)였다."
"자목백피(柘木白皮)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 식물 자수 즉 꾸지뽕나무의 코르크 껍질을 제거한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이다. 원식물의 상세한 내용은 '자목' 조목을 참조하라. 1, <본초습유>: "탕액으로 술을 만들어 복용하면 풍허에 의한 이농, 과로로 인한 허약과 몸이 마르는 증상, 허리와 신장이 냉한 증상, 몽정을 다스린다. [용법과 용량] 내복: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5,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82면) "자수경엽(柘樹莖葉) [<절강민간상용초약>] [원식물] 뽕나무과 식물 자수(柘樹)(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상세한 내뇽은 '자목(柘木)'조목을 참조하라. 6,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82~3583면) "자수과실(柘樹果實) [<절강민간상용초약>] [이명] 가자(佳:아름다울가子) [<본초강목>] 7,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757면) "노자자(奴柘刺)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의 식물. 소자수(小柘樹)(Cudrania cochinensis (Lour.) Kudoet Masam.)의 가시이다. 원식물의 상세한 내용은 천파석(穿破石)의 항을 참조하라. [성미] <본초습유>: "맛은 쓰고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독이 없다." 8,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2036~2037면) "산려지과(山荔枝果) [<귀주초약>] [기원] 뽕나무과 식물 소자수(小柘樹)의 열매이다. 원식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천파석(穿破石)' 조목을 참조하라. 9, 항암본초(상민의, 김수철 역주, 1992년, 바람과물결, 298~299면)
[자목(柘木: 구지뽕나무)
피, 줄기와 잎 및 열매를 약으로 쓴다.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 아미노 산, 유기산, 당분, 모린(Morin) 등이 들어 있다.(그림 134)
자궁암-27에 대하여 30%의 억제율을 갖고 있다.
확인되었다.
난소암 말기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실용항암약물수책]
(結石)을 없앤다."
효율을 얻었다. 구지뽕나무 주사액은 간암, 폐암, 비인암(鼻咽癌), 위암, 장암 등에 모두 치료 효과가 있었 다.] 10, 토종약초장수법(최진규, 1997년, 태일출판사, 399~401면)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나무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꾸지뽕나무, 활뽕나무 등의 다른 이름이 있고 중국에서는 자목 또는 상자·자황 등으로 부른다. 일본에는 이 나무가 없다. 이 나무는 우리 나라 황해도 이남의 들이나 낮은 산지에 드물게 자란다.
줄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 있다.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어서 수나무에는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그러나 이 나무의 잎으로 누에를 먹일 수 있다.
<사기(事記)>를 보면 “상자는 나무가 강인하여 활을 만들기에 좋다. 까마귀가 꾸지뽕나무의 가지 위에 앉아 있다가 날아가려고 할 때에 가지가 너무 연해서 휘어졌다가 그 탄력으로 다시 튕겨 오르니 까마귀가 놀라서 날지 못하고 까악까악 소리치면서 몸을 가누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줄기, 줄기껍질, 잎, 열매, 뿌리를 쓴다. 약성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이 나무의 줄기를 그냥 물로 달여서 마시면 효과가 별로 없다. 유효 성분이 10분의 1밖에 우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나무의 약성을 제대로 이용하려면 기름을 내서 써야 한다.
- 세 말 넘게 들어가는 항아리를 2개 준비하되 하나는 조금 작고 다른 하나는 큰 것으로 한다. - 작은 항아리에 꾸지뽕나무를 잘게 썰어서 담고 항아리 입구를 삼베나 광목으로 두 겹 덮은 다음 명주실로 단단하게 묶는 - 다. - 그런 다음 큰 항아리를 땅을 파고 묻되 항아리 입구만 땅 밖으로 나오도록 묻는다. - 작은 항아리를 큰 항아리 위에 거꾸로 엎어놓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진흙을 물로 이겨 틈을 꼭꼭 봉한 다음에 위의 - 항아리를 굵은 새끼줄로 빈틈없이 칭칭 감는다. 새끼줄 위에 진흙을 물로 이겨 손바닥 두께쯤으로 잘 바르고 그 위에 왕 - 겨를 10가마니쯤 쏟아 붓고 불을 붙여 태운다. - 일 주일쯤 지나서 불이 다 꺼지고 항아리가 식은 다음에 밑의 항아리에 고인 기름을 약으로 쓴다. 꾸지뽕나무는 기름이 - 제법 많이 나오므로 나무 1말이면 1되쯤을 얻을 수 있다. - 기름을 낼 때에는 반드시 생나무를 써야 한다. 마른나무는 기름이 나오지 않는다. - 약으로 쓸 때는 30밀리리터쯤을 물 한잔에 타서 하루 두세 번 마신다. 처음에는 조금씩 마시다가 차츰 양을 늘려 나간다. - 여성의 자궁암·자궁근종·자궁염 등에 놀랄 만큼 효과가 있다. 이 기름을 바르면서 복용하면 효과가 더욱 크다.
목재의 재질이 몹시 질기고 단단하여 지팡이를 만들면 오래 쓸 수 있다. 민간에서 꾸지뽕나무 지팡이를 짚고 다니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꾸지뽕나무 열매도 뽕나무 열매인 오디처럼 오래 먹으면 머리와 수염이 검어지고 신장의 기능이 좋아진다. 복용방법은 꾸지뽕나무추출액을 30-50밀리리터(두세숟갈)씩 5배 가량의 좋은 생수에 타서 하루 3-5번 복용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한 달에 3-4리터를 복용할 수 있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작은키나무다. 뽕나무를 닮았다 하여 꾸지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가을철에 오디를 닮은 열매가 빨갛게 익는데 맛이 매우 좋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돌 많고 메마른 땅에서 흔히 무리 지어 자란다. 한자로는 자목이라고 쓰고 꾸지뽕나무 돌뽕나무 활뽕나무 가시뽕나무 등으로도 부른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자라지만 일본에는 자라지 않는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나무이기는 하지만 뽕나무와는 다른 점이 많다.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으며 잎 모양도 뽕나무와는 다르게 생겼다. 꾸지뽕나무는 누에를 칠 수도 있는데 꾸지뽕잎을 먹인 누에가 만든 실은 몹시 질기고 품질이 뛰어나서 최고급 거문고의 줄은 반드시 꾸지뽕나무로 기른 누에에서 뽑은 명주실을 쓴다고 한다. 꾸지뽕나무는 여성의 자궁암 자궁염 냉증 생리불순 관절염 신경통 등에 효과가 커 여성들의 질병에 성약이라 할 만하다. 꾸지뽕나무는 어혈을 없애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온갖 염증을 없앤다. 자궁암 자궁염 냉증에는 꾸지뽕나무 기름을 내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기름을 복용하고 말기 자궁암환자가 깨끗하게 나은 보기가 여럿 있다. 꾸지뽕나무 기름을 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말 이상 들어가는 오지항아리 두개를 마련하여 그중 한 개를 목 부분만 남기고 땅 속에 파묻는다. 남은 항아리에 꾸지뽕나무 줄기를 날 것으로 잘게 썰어서 가득 담고 항아리 입구를 삼베천으로 두세 겹 덮은 다음 명주실로 단단하게 묶는다. 그런 다음 꾸지뽕나무가 들어 있는 항아리를 땅속에 묻은 항아리 위에 엎어놓고 맞물린 부분을 진흙을 이겨 잘 봉하고 위의 항아리에 굵은 새끼줄을 칭칭 감고 진흙을 물로 이겨 3~5cm두께로 바른 다음 항아리 위에 왕겨 10가마니쯤을 쏟아 붓고 불을 붙여 태운다.
11, 동의보감(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탕액편 나무부 156종) [자목(柘木, 산뽕나무) 뫼뽕,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풍허(風虛)로 귀먹은 것과 학질을 낫게 한다. 삶은 물은 노랗게 물이 든다[본초].]
12, 토종의학 암다스리기(김인택, 박천수, 태일출판사, 1997년, 364~365면) [꾸지뽕나무 암세포 없애고 입맛 살린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작은키나무입니다. 뽕나무를 닮았다 하여 꾸지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줄기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가을철에 오디를 닮은 열매가 빨갛게 익습니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돌 많고 메마른 땅에서 잘 자랍니다. 꾸지뽕나무는 어혈을 없애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보양 효과가 높습니다. 민간에서 갖가지 암을 치료하는 데 써 왔으며, 과학적으로도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중국에서의 실험 결과, 동물실험에서 자궁경부암27, 사르코미-180암세포, 엘리히복수암 등에 대해 일정한 증식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 황색 포도상구균을 비롯한 갖가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꾸지뽕나무는 식도암, 위암, 결장암, 직장암 같은 소화 기관의 암에 주로 쓰고 폐암, 간암에도 쓸 수 있습니다.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쓸 수 없는 환자들한테 써서 좋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해시종류의원을 비롯한 28개 병원에서 266례의 소화기암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여 71.28퍼센트의 치료 효과를 거두었다고 합니다. 이들 환자들은 식도암 46례, 분문암 95례, 결장암 및 직장암 46례로써 3~4기의 말기 환자가 91.7퍼센트였습니다. 꾸지뽕나무는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 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몸무게를 늘려 주고 복수를 없애 주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의 저항력을 키워 주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꾸지뽕나무는 거의 부작용 없이 암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는 식물입니다. 이밖에 꾸지뽕나무는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기관지염이나 폐결핵, 간염, 관절염 등에도 일정한 효력이 있습니다.]
꾸지뽕나무 잎
[꾸지뽕나무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작은키나무입니다. 뽕나무를 닮았다 하여 꾸지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줄기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가을철에 오디를 닮은 열매가 빨갛게 익습니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돌 많고 메마른 땅에서 잘 자랍니다. 꾸지뽕나무는 어혈을 없애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보양 효과가 높습니다. 민간에서 갖가지 암을 치료하는 데 써 왔으며, 과학적으로도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중국에서의 실험 결과, 동물실험에서 자궁경부암27, 사르코미-180암세포, 엘리히복수암 등에 대해 일정한 증식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 황색 포도상구균을 비롯한 갖가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꾸지뽕나무는 식도암, 위암, 결장암, 직장암 같은 소화 기관의 암에 주로 쓰고 폐암, 간암에도 쓸 수 있습니다.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쓸 수 없는 환자들한테 써서 좋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해시종류의원을 비롯한 28개 병원에서 266례의 소화기암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여 71.28퍼센트의 치료 효과를 거두었다고 합니다. 이들 환자들은 식도암 46례, 분문암 95례, 결장암 및 직장암 46례로써 3~4기의 말기 환자가 91.7퍼센트였습니다. 꾸지뽕나무는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 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몸무게를 늘려 주고 복수를 없애 주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의 저항력을 키워 주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꾸지뽕나무는 거의 부작용 없이 암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는 식물입니다. 이밖에 꾸지뽕나무는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기관지염이나 폐결핵, 간염, 관절염 등에도 일정한 효력이 있습니다.]
14, [jdm 해설] 꾸지뽕나무(Cudrania triuspidata (Carr.) Bur.)의 다른 이름은 자수(柘樹: 구황본초), 자(柘: 시경), 자상(柘桑: 회남자, 고유주), 문장수(文章樹: 청이록), 회상수(灰桑樹: 상음현지), 자자(柘子: 야매자:野梅子, 야여지:野荔枝, 노호간:老虎肝, 황상:黃桑, 황료자:黃了刺, 자정:刺釘, 황달수:黃疸樹, 산여지:山荔枝, 자시수:痄腮樹, 자자:痄刺, 구중피:九重皮, 대정황:大丁癀: 중약대사전), 뫼뽕(동의보감), 구지뽕나무, 꾸지뽕나무 등으로도 부른다. 현대의학이 눈부시게 발달한 현 세상이지만 말기암을 100퍼센트 낫게하는 약이나 불로영생 할 수 있는 약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 및 초근목피들이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생명연장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따름이다.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것은 아마도 사람을 직접 만드신 전지전능한 조물주의 권한에 속한 것으로 대단히 불완전한 인간의 힘으로는 절대로 밝혀내거나 해결할 수 없는 신비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출처 : 전찬수 글쓴이 : 감자바위 원글보기 메모 :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