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이족에 노예가 없는 이유
19세기에 성행한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은 빅토리아 호수와 탕가니카 호수, 말라위 호수 등 내륙지역 깊숙이까지 손길을 뻗쳤으나 마사이족이 살고 있는 탄자니아와 케냐의 국경까지는 진출하지 못했다. 마사이족의 용맹성이 노예상인들의 노예사냥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물론, 마사이족이 노예로 끌려간 경우도 거의 없었다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2_1.jpg)
킬리만자로 산을 중심으로 한 엠보세리,마사이마라 보호구역은
수백 년 동안 마사이족이 소와 염소, 양 등을 치며 살아온 고향이다.
마사이 부족 마을은 엠보세리국립공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작은 마사이 마을은 지나치고 가장 크다는 마사이 마을을 찾았다.
아카시아 나무가 몇 그루 서 있는 초원에 초라한 30여 채의 집들이 모여있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2_2.jpg)
마사이(Masai) 마을 입구에 들어서자
그 뒤로 20여명의 남자들과 15명 정도의 여자들이나와 반갑게 맞아주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3_1.jpg)
킬리만자로를 뒤로 하고 있는 마사이마을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4_2.jpg)
마사이 마을의 집들은 울타리 안에 옹기종기 붙어 있었다. 마을 둘레에 쳐진 가시가 달린 나무 울타리는 다른 부족이나
야생 동물들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이다. 집은 쇠똥과 진흙을 섞어서 만든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4_3.jpg)
땅의 빛깔은 붉은빛깔의 강렬함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명이 신산함을 보여준다.
마을은 둥근모양의 집 30여 채가 빙 돌아가며 서있고 그 가운데는 빈터가 외양간인데 소들이 풀뜯으로 나가서 텅비었다. 저녁이면 소들로 가득찬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35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4_1.jpg)
남자들은 붉은 색과 자주색의 천 같은 담요를 걸치고 한 손에는 긴 막대기를 들고 있었다. 붉은 색과 파란 색의 천을 걸친 여자들은 구슬 장식의 하얀색 접시모양의
목걸이를 하고 있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3.jpg)
화려한 장신구로 몸치장을 한 이들이 환영의 춤을 추며 손님을 맞는다.
횡으로 줄을 서서 노래를 부르며 '아두무'라 불리는 그들의 전통춤을 춘다.
한 사람씩 번갈아 나오면서 제 키만큼이나 껑충 뛰어오른다.
단순히 그 자리에서 수직으로 뛰어오르는데 사냥에 나간 전사가
멀리 있는 사냥감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족에게
자신의 용맹성을 보여 위협을 주기 위함 이라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4.jpg)
20여명의 여자들과 15명 정도의 남자들이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란히 나눠 서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면서 환영했다. 마사이 전통의 손님맞이 행사인 셈이다. 남녀 모두
키가 큰 것이 다른 아프리카 부족과 달랐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5.jpg)
남성들은 막대기를 들고 차례로 돌아가며 하늘 높이 뛰면서 춤을 추고, 여자들은 무릎만 살짝 구부린 채 춤과 노래를 불렀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6.jpg)
남자들이 껑충껑충 하늘로 뛰는 춤을 추는 데에는 용맹을 과시하면서
남성미를 과시하여 여자를 유혹하기 위한 몸짓이라고도 한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5_7.jpg)
마사이의 특징은 남녀 모두 화려한 치장과 구슬모양의 장식을 한다는 점이다. 부족의 표시로 두 귀에 구멍을 뚫어 귀걸이를 하는 전통도
그대로 이어받고 있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49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72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87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88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90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91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892_1.jpg)
이 곳 마사이 마을에서도 남자들은 모두 긴 막대기를 들거나 나무 막대기 끝에 철제로 만든 창을 들고 있었다.
전사의 전통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922_1.jpg)
유목민으로 계절에 따라 물과 초원을 찾아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가축을
지켜야 하는마사이족들이 용맹한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용맹스러운 부족으로 널리 알려졌다. 남성들은 평소에도 칼과 창으로 무장해 다니는 전사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923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923_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596_DSC_0925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35_0.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35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35_2.jpg)
마사이 집의 특징은 아예 방문이 없다는 것이다.
이웃 사람들과의 소통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개인의 사생활을 중시하는 도시 사람들로서는 이해되지 않는 문화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40_1.jpg)
먼지 구덕이에서 놀고있는 마사이 어린이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4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3_1.jpg)
이들은 아직도 아카시아와 보리수나무를 부비며 불을 댕기고
소 피와 우유를 주식(主食)으로 하는 사람들이다.
킬리만자로에서 구입한 보리수나무에 일정크기의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되어있는 아카시아나뭇가지를 넣고
빠른 속도로 부비면 열이 발생하고 곧 불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3_6.jpg)
젊은 마사이가 쇠똥 집 안으로 나를 안내한 뒤 방 구조를 설명했다.
출입구는 비좁게 만들어져 있어 허리를 구부려야 겨우 들어갈 수 있다. 통로가 꼬부랑한 것은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란다.
출입구에는 문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한 마을에서
언제 누구라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개방한 것이라고 한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6_1.jpg)
사는 집 내부는 칸막이가 없이 좌우에 방이 하나씩 있고
가운데 화덕자리가 있었다. 한쪽 방은 아이들, 다른 하나는 부인이 쓰고 있다.
가운데는 추위를 덜기 위한 화로가 놓여 있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6_2.jpg)
침대라고 해봐야 땅 바닥에 나뭇가지를 깔고 그 위에 가죽을 덮은 정도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6_3.jpg)
출입구에서 꼬부랑 S자로 연결된 통로 끝에는 원형의 거실 겸 부엌이 있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6_4.jpg)
처음에 들어가면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조금 기다리니
벽에 어른 주먹만큼 조그마한 구멍(창문?)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으로 집안이 보이기 시작한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66_5.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71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72_1.jpg)
시집오면은 부인들은 자신이 살 집을 손수 지어야한다는데
다른 부인들과 함께 앞으로 살아갈 집을 짓는다.
집 지을 때 쇠똥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소를 기르다 보니 쇠똥을 구하기 쉬운데다 쇠똥에는 섬유질과 기름기가 있어
우기에 비바람에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73.jpg)
날씨가 서늘해지는 때에는
건축 재료로 썼던 쇠똥을 뜯어내 불을 피우는 연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쇠똥은 이처럼 마사이족에게는 다목적 재료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73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73_3.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80.jpg)
구경을 모두 마치고나니 마을 뒤편,
목각공예품을 벌려놓고 판매하고 있는 곳으로 안내한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86.jpg)
마을 울타리에는 전통 목걸이와 팔찌, 악기 등을 매달아 놓고 팔고 있었는데 목걸이와 팔찌는 미국 돈 5~10달러를 받고 있었다. 마사이족은 화려하고 뛰어난 예술전통을 갖고 있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87_1.jpg)
관광수입의 상당액을 공동 분배하는 마사이족사람들,
서있는 사람들은 남편들로 물건파는 역활을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88_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88_3.jpg)
백인들에게 좋은땅은 내주고 이 척박한 땅에서
옛날 방식그대로의 삶을 영위하는 있는 마사이부족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09/1188804813_DSC_0990_1.jpg)
지구촌의 그 모두를 이웃하여 사랑하며 살고 싶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느낄 줄 아는
유일한 생명체인 인간이기에
한비야처럼 세계를 어우르며...
안녕하세요 실비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