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子乙丑-海中金
子는 水에 속하고 호수가 되고 水王地가 되며 겸하여 金은 子에서 死가되고 丑에서 墓가 되니 수가 왕성하고 금은 死墓가 되므로 바다속에 있는 금이라 한다 또 氣에 있어서는 속에 품어서 극하게 되면 깊이 가라앉아 잠기는 것이다
바다 속에 있는 金이다란 바다는 水이고 금과 수는 음기이니 이것은 陰氣가 극에 달했음을 의미한다 음기가 극성하면 양기가 발생하므로 바다의 금 海中金이란 음기가 물러나고 비로서 陽氣가 발생한다는 말이다 甲子 乙丑에서 甲乙은 봄의 양기가 시작되고 子丑은 비로소 양기가 시작된다는 의미이다
丙寅 丁卯-爐中火
寅은 三陽이 되고 卯는 四陽이 되니 火는 이미 得位하고 또 寅卯의 木으로써 이때는 天地가 화롯불을 피워서 만물이 발생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爐中火라고 한다 천지는 화로가되고 音陽은 숫불이 되는 것이다
子(冬至)-一陽 丑-二陽 寅-三陽 卯-四陽 辰-五陽 巳-六陽 이 발생하고 午(夏至) -一陰 未-二陰申-三陰 酉-四陰 戌-五陰 亥-六陰 이 발생하는 것이다.
火가 이미 득위하고 또 寅卯의 목으로써 이를 生한다 병화의 長生은 인묘의 목이 생한다 천지가 화롯불을 피우다란 천지는 화롯불 음양은 숯불 에 비유 이것은 甲子 乙丑에서 陽氣를 일깨운뒤 병인과 정묘로써 만물을 소생시키는 것이다.爐中火는 萬物을 소생시킨다는 뜻
戊辰 己巳-大林木
辰은 벌판이 되고 巳는 六陽이 되니 木이 육양에 이르면 가지와 잎사귀가 무성하게 벌판사에 생겨난다 그래서 大林木이라 한다 소리(명예, 가르침, 소문)가 九天(하늘의 중앙 )에 널리 퍼트리니 음이 萬頃(한 없이 넓은 모양 ) 에 생겨나는 것이다.
陽氣가 極盛에 달하여 만물이 극성함을 大林木에 비유한 것이다 物極必反으로 사물의 발전이 극에 달하면 반전하므로 巳월은 양기가 극에 달한 시점이다. 戊는 무성함 己는 형상의 완성을 의미
庚午 辛未-路傍土
未는 乙木이 저장되고 을목이 午를 生하여 火가 왕성하면 토는 여기서 刑罰을 받으므로 토가 생하더라도 아직 만물을 생육할 수 없어서 마치 길가의 흙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나무는 기뻐하지 않는 흙이다.길가의 흙은 쓸모 없는 흙이다. 庚은 午에서 沐浴地가 되고 辛은 未에서 衰地가 된다 이것은 토가 만물을 생육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大林木 다음이니 더 이상 사물을 생육시켜서 아니 되는 것이다 제때에 따라 힘을 내고 후덕함을 이용하여 나무가 가득 차다 란 앞의 大林木을 뜻한다 토가 많아도 목은 기뻐하지 않는다란 路傍土를 의미한다
壬申 癸酉-劍鋒金
辛酉金의 正位는 申이 臨官地이고 酉가 帝王이니 금이 이미 생왕 하였으므로 금은 진실로 강한 것이 곧 검봉(칼의 끝)을 벗어나지 못하므로 칼끝이라고 한다 무지개의 광채가 북두칠성과 견우성을 맞히니 시퍼런 칼날이 설상을 응결한다 庚金은 申에서 臨官地가 되고 酉에서 제왕지가 되니 壬癸水는 금이 생왕하여 매우 강하게 된다 강한 것이 검봉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은 가을의 숙살기가 만물을 수렴하고 있음을 검봉에 비유한 것 무지개의 광채가 견우성을 맞히다란 북두칠성은 북쪽 (겨울) 을 의미하고 견우성(독수리 자리) 은 여름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로 여름을 의미하여 무지개의 광채란 긴 다리를 비유하니 검봉금은 여름과 겨울을 잇는다는 뜻이다. 시퍼런 칼날이 설상을 응결한다는 가을의 숙살기가 다하면(시퍼런 칼날이 검봉을 떠나면 )겨울이 온다는 의미이다.
甲戌 乙亥-山頭火
戌亥는 天門이되고 火가 天門을 비추니 그 빛이 높이 오르므로 山頭(산의 정상)火라고 한다 하늘의 끝에 빛을 비스듬히 비추고 산의 정상에 夕陽이 지니 아름다움이 흩어짐으로 인해 저녁놀이 되고 놀이 펼쳐져 본래 스스로 빛을 남기는 것이다. 天門은 上帝가 거처하는 紫微宮門을 말한다 즉 하늘로 들어가는 문이다. 이것은 천명을 다 했으니 변화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계절의 끝을 석양에 비유한 것이다. 山頭火는 노을이다
丙子 丁丑-潤河水
水는 子에서 왕성하고 丑에서 衰하니 왕성하나 쇠약한 즉 강물이 될 수 없음으로 적시에 내려가는 물(긴하수)라 한다. 산은 가는 물결이 둘러 쌓여 있고 눈이 날리나 여울이 쌓여있고 눈이 날리나 여울이 솟아나서 협곡으로 흘러내리므로 산골짜기의 八千尺(대단히 높고 깊음을 의미) 에 도달하는 것이다. 강물이 될 수 없는 적시어 가는 물이라도 深川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비록 현재의 盛世는 아니나 향후 밑거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戊寅 己卯- 城壁土
天干의 戊己는 토에 속하고 인은 艮爲山이 되니 흙이 쌓여서 산이 되었으므로 성벽 꼭대기의 흙이라 한다. 天京 (하늘의 서울) 옥루산과 경도(서울)의 금성은 지세가 험준한 것이 용이 서린 것과 같은 천리의 형상이고 뱀이 무릎을 세우고 앉은 것처럼 서방의 세력과 같은 것이다.寅方은 艮爲山 즉 동북쪽이다 그러므로 흙이 쌓여서 성벽 꼭대기 만큼 쌓여있다는 뜻 하늘나라의 옥루산이나 서울의 성곽이 난공불락인 것처럼 위엄과 위용이 있음을 의미 또한 변화가 없음을 뜻한다.
庚辰 辛巳-白蠟金
庚은 辰에서 扶養하고 巳에서 장생하나 형질이 비로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니 아직 단단하고 예리할 수 없으니 백납벌레의 수컷애벌레에서 분비되는 납을 가열 용해하여 찬물로 식혀만든 금. 백랍(고약이나 초에 씀) 氣가 점점 발생하니 약한 금이 광석에 있으니 일월의 빛이 서로 접근하고 음양의 기가 응결하는 상이다. 아직 단단하고 예리하지 않은 금이며 금은 숙살기이니 숙살하는 시기가 시작되었다는 뜻 만물이 극성함이 극에 달하면 변화가 시작되므로 변화의 조짐이 시작되었다는 의미
壬午 癸未 -楊柳木
木은 午에서 死하고 未에서 墓가 되어 이미 死墓가된다.비록 天干에서 壬癸의 水를 얻어 목을 생한다 하더라도 마침내 柔木 이 되므로 楊柳木(버드나무) 이라한다 모든 실이라 해도 蠶絲(고치실) 아닌 것과 같고 모든 가는 것이라도 針이 아닌 것과 같다. 甲木이 죽고 乙木이 생장하는 것으로 壬午와 癸未를 설명하는 것이다. 버드나무는 柔木을 비유 버드나무는 가늘고 긴 가지가 축 늘어지고 봄에 꽃이 피고 삭과 가지는 바람에 날려 흩어지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약하나 끈질기고 부드러우나 강인한 어린이에게 비유 하는 것이다. 아직 여리니 성숙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유목이지 강목은 아니다.
甲申 乙酉-泉中水
金이 申에서 臨官이고 酉에서 재왕이니 금은 이미生旺한 卽 水가 이로써 生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야흐로 생하는 가운데의 역량은 아직 큰 물이 아니므로 부족한 우물물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甲申과 乙酉는 우물물과 같이 크게 만족할 수는 없더라도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있다는 의미 기가 멈추어 고요하니 한도를 넘더라도 다 없어지지 않고 나아가더라도 궁하지않는 것이다.
丙戌 丁亥-屋上土
丙丁은 火에 속하고 戌亥는 天文이다. 火는 이미 炎上인 즉 土가 아래에 없더라도 生하므로 屋上의 흙이 라한다. 火木이 생왕하기 때문에 이것은 그 세력을 增强하는 것으로 무터 死絶하기에 이르기까지 기뻐서 편안한 것이다. 天門은 겨울을 의미하고 변화를 나타낸다. 옥상의 흙이란 萬物을 생장할 수 없는 凍土 를 意味하나 내부는 火木이 생왕하기 때문에 生旺지이든 四季節이든 어느 때든지 생명의 불씨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겨울나무는 죽은 것이 아니라 잠시 쉬고 있는 것이다.
戊子 己丑 -霹靂火
丑은 土에 속하고 子는 水에 속한다. 水는 正位에 居處하고 納音이 바로 화이니 水가운데 火가 있다는 것이다. 용왕이 죽 없는 것이므로 霹靂火(천둥 번개)라고 한다. 변갯불이 공중에서 번쩍하여 電光의 세력이 있고 구름이 무장한 기병을 쫓아 분주한 것과 같으니 변화의 상이다.土는 季月이니 變化를 의미한다 각오행의 正位는 子午卯酉이다. 子水는 한가운데 겨울이라 해도 冬至로부터 일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렇듯 천둥이나 벼락에 비유한 것이다. 천둥이나 번개는 엄청난 화력을 지녔다 해도 성냥불처럼 실질적으로 쓸 수없는 것처럼 겨울의 화 역시 만물을 자생할 수 없음을 비유한다. 다만 천둥번개는 잠든 천지를 일깨우며 봄을 알리는 것이니 천둥번개가 치고 구름이 분주하게 몰려와서 비를 내리는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庚寅 辛卯-松柏木
木은 寅에서 臨官하고 卯에서 帝王이니 生旺한 즉 松柏나무(소나무와 측백나무-常綠樹이니굳은 절개와 長壽를 意味)이다 눈이 오고 얼음이얼어서 하늘에 닿고 땅을 덮더라도 바람이 채찍질하여 생황을 연주하는 듯하고 비가 넉넉하여 기를 장막 삼는 듯하다. 송백의 진기는 한 겨울에 홀로 그 푸르름을 드러내는 것이다. 天干의 庚辛은 아직 陰氣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니 송백에 비유하여 막 봄이 열리는 꽃샘추위의 시기를 나타낸다.
壬辰 癸巳-長流水
辰은 水庫가 되고 巳는 금의 長生지이니 金이 곧 水를 生하여 水性이 이미 존재하는 것이다. 水가 庫에 있더라도 금의 생함을 만나기 때문에 샘의 근원은 마르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긴 흐름의 물이라고 한다. 세력이 東南에 거쳐하며(勢力은 水를 의미하고 東南은 木火를 의미하니 木火는 陽氣이니 양기가 세력을 얻어서 발전한다) 귀하고 편안하고 고요하다.壬辰년이나 癸巳년은 샘의 흐름이 깊기 때문에 豊年이 든다는 의미이다.
甲午 乙未-砂中金
午는 화왕지가 되니 화가 旺盛하면 금은 손상을 입는다. 未는 火의 衰地가 되니 화가 衰하면 금은 冠帶이나 바야흐로 冠帶란 아직 衰를 鍊磨하여 나무를 벨 수 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砂中金(강이나 바다에 침전 되어 모래 속에 섞인 금) 이라 한다 세금을 채취하려면 많은 노력과 경험이 풍부하여야 한다. 갑오나 을미는 아직 미약하기 때문에 경륜이 풍부한 웃어른의 도움이나 자신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의미니 연마하지 않은 쇳덩어리를 비유하였다.
丙申 丁酉-山下火
申은 땅의 지게문이고 酉는 해가 들어오는 문이니 해는 이시기에 이르면 빛은 쓸모가 없어진다. 그래서 산아래 불이라 한다. 酉가 胎位에서 가라앉고 東南을 기뻐하니 震에서 밝음이나와 그 빛은 더욱 빛나는 것이므로 어둠이 화를 싫어하더라도 밝음은 구제하는 것이다.
酉는 八卦의 兌 卯는 震에 해당 丙申과 丁酉는 天干의 丙丁火이고 지지가 신유 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지지의 申酉金이 天干의 丙丁火를 싫어한다 하더라도 申酉金을 구제하려고 하므로 서로가 괴리된 상황이다. 山下火란 잠자는 화산을 의미하니 서로 다투고 있다는 뜻 어둠은 申酉 밝음- 丙丁을 의미한다.
戊戌 己亥-平地木
戌은 들판이 되고 亥는 生木하는 곳이 된다. 대저 나무가 들판에서 자라면 초목의 한 뿌리나 숲의 어느 하나라도 무리를 짓지 않은 것이 없으므로 平地의 나무라고 한다 비와 이슬은 돕는 공이 있으나 서리와 눈은 반갑지 않다 들판에 자라나는 나무는 어느 것 하나라도 군락을 이루지 않으면 보호막이 없어 살아남기 힘들다 戊戌과 己亥는 서로 의지하고 공생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春夏(비와 이슬)와 같이 화합하는 것은 길하나 秋冬(눈과 서리)과 같이 서로 不合하는 것은 불리한 것이다.
庚子 辛丑- 壁上土
비록 丑이 土라 하더라도 正位이고 子는 곧 水旺地이니 토가 많은 수를 만난 즉 진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람벽 위의 흙(壁上土) 이라고 한다. 추위에 생기가 막힌 氣이니 사물이 저장하는 것을 숭상하므로 형체를 숨겨서 내외가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진흙은 물기가 너무 많기 때문에 초목이 뿌리가 내리기 힘들다 진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바람벽이다. 바람벽은 진흙이 변화한 것인데 이것은 흙의 본래 기능이 만물의 터전이라는 점을 감안 한다면 형체를 숨긴 것이다. 그러므로 진흙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였으므로 달리 방도를 찿아 변화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壬寅 癸卯- 金箔金
寅卯는 木旺地가 되니 목이 왕성한 즉 金이 약하다 또 인에서 絶地이고 卯에서 台地이니 금은 무력하므로 金箔金(얇은 금종이 같이 얇게 늘인 금) 이라한다 木氣가 寅에 있고 금은 絶地이므로 얇은 것이 명주와 같다는 의미이다.
금박은 금중에서 가장 얇은 금이니 상대적으로 목이 강왕하니 금으로 목을 벨 수 없으니 대세 목을 따라야 한다는 曲直印綬를 의미한다.
甲辰 乙巳-覆燈火
辰은 食事時間이고 巳는 한낮이 되니 해가 정오에 나아가서 염양의 세력이 천하에 빛을 비추므로 뒤집힌 등의 불이라 한다. 금잔이 描光(北斗七星의 제 일곱 번째 별의 이름 빛이 번쩍임)하고 玉臺(天帝가 있는 곳)가 곱고 아름다운 색채를 발산하니 일월이 비춰서 이르지 않는 곳이 없어서 천지가 밝으나 아직 때가 아니다. 늦은 봄볕을 의미 한다 늦은 봄의 햇살이 만물을 생육하나 여름햇살보다 세력이 약한 것이다 이속에는 더욱 분발해야 한다는 속 뜻이 있다.
丙午 丁未-天河水
丙丁은 火에 속하고 午는 火旺地이나 納音은 水이고 수는 화로부터 나오는 것이니 銀河水가아니면 存在 할 수 없으므로 天河水(銀河水;강에 比喩하여 이르는 말)라고 한다. 氣는 마땅히 昇降하고 성대한 모양은 장마가 되니 生旺은 마땅히 사물을 구제하는 힘이 있다. 午는 하지 夏至는 一陰이 시생하는 데 일음이 바로 水이다. 이것은 物極必反을 말한다. 丙午와 丁未는 화가 극성하니 그 속에서 火가 기우는 의미가 숨어 있다.
戊申 己酉-大驛土
申은 方位로 西南方 西南은 坤이 되고 坤은 地가 된다. 酉는 方位가 西方이고 兌가 되고 兌는 澤의 위에 더하여 그 외에 不誠實하고 輕薄하지 아니하므로 大驛土(雲氣가 크게 희소한 모양의 흙)라 한다. 氣가 休息에 들어가고 사물이 마땅히 수렴하였으니 이렇게 말한다.잘 반죽해 놓은 흙과 같이 변모하기 쉬운 좋은 시점이라는 의미
庚戌 辛亥 -釵釧金 (채천금)
金에 戌에 이르러 衰이고 亥에는 病이니 이미 衰와 病 진실로 약한 것이다. 그래서 釵釧金(비녀와 팔찌)라고 한다. 形이 이미 器를 이루고 아름답게 꾸민 것이 빛을 발하니 滿足은 生旺에 있고 귀함은 체를 감춘 것에 있으므로 화가 성하여 형을 상하면 마침내 기쁘진 않는 것이다 비녀와 팔찌는 이미 장신구로 완성품이다. 그러므로 庚戌과 辛亥는 해오던 일을 완성한다는 의미이다 金水運은 吉하나 火運은 불리하다.
壬子 癸丑-桑柘木 (상자목)
子는 水에 속하고 水가 바로 木을 生하고 金이 곧 이를 베어내니 마치 뽕나무 와 산뽕나무가 생하는 것처럼 사람 역시 傷害한다. 그러므로 桑柘木 (뽕나무 산뽕나무)이라 한다 氣가 방빙 감돌아 水地에 거처하니 아직 도끼와 칼을 사용하지 못한다. 뽕나무는 가지를 베어내어 뽕잎을 채취하며 다시 베어낸 근처에서 줄기가 돋아난다. 壬子나 癸丑은 水가 절정에 이른 것이니 物極必反이므로 이때 一陽이 생겨나나 아직 겨울 이어서 가지를 잘라낸 뽕나무에 비유하려 기다려야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甲寅 乙卯-大溪水
寅은 東旺이 되고 오직 卯는 正東으로 물이 흐르면 그 성질이 순하고 시내와 골짜기의 연못이 모두 합하여 귀착하므로 大溪水(큰 시냇물)이라 한다. 氣는 陽明 (해 태양 양기의 밝음을 이름)이나오고 水勢는 根源을 사용하니(겨울의 언 물이 녹아서 흐름) 동은 가득 차서 흐르므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丙辰 丁巳-沙中土
水庫가 辰에 있고 壬의 絶地가 死에 있으니 天下의 丙丁火가 辰에 이르러 冠帶가 되고 巳에 이르러 臨官이 되니 토는 이미 庫絶이 되더라도 旺盛한 火가 復興하여 이를 生하므로 沙中土(모래속의 흙)라 한다 土가 氣를 트이게 하므로 마땅치 않은 것이다. 모래속의 흙은 불순한 것이므로 순수함을 잃은 것이다 순수하지 못한 것은 발전이 더디고 혼란한 모습이니 이는 질서를 바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모래와 흙이 혼잡한 데 土가 火의 순수성을 훼손한 것이다.
戊午 己未-天上火
土는 火旺地가 되고 未 가운데의 木은 다시 火를 生하니 화성은 불꽃을 일으키며 급기야 토가 생지를 만나므로 天上火(하늘위의 불꽃)이라 한다. 氣는 陽宮이 지나쳐서 거듭 상회할 수 있으나 炳靈(밝은 신령의 위엄)이 빛을 주고 받으며 불꽃을 발하고 하늘 위로 오르므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화가 극성한 炎上을 나타낸 것이다.l
庚申 辛酉-石榴木 (석류목)
申은 七月이고 酉는 八月이 되니 이때의 木은 絶地이다 오직 石榴만이 열매를 맺으므로 石榴木이라 한다. 氣는 情熟 하고 萬物은 점점 결실을 맺어가니 木이 金이 그 맛을 생하는 시기에 거처하여 가을이 과실을 이루므로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석류나무는 가을의 결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금기가 왕성한 시기이고 금기는 결실과 수렴을 상징한다.
壬戌 癸亥-大海水
水는 戌에서 冠帶이고 亥에서 臨官이니 수는 곧 역량이 두터운 것이다. 겸하여 亥는 江이 되어 다른 水와 견줄 수 없으므로 大海水라 한다. 세력은 대문으로 향하고 歷事(두 대 이상의 임금을 섬김)는 이미 마쳤으며 生旺하나 汎濫하지 않고 死絶이나 마르지 않는 다 大海水란 큰 바닷물을 비유하고 수기가 왕성한 시기를 말한다
'놀라운 공부 > 수행·전생·영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出胎圖 (0) | 2010.12.24 |
---|---|
[스크랩] 납음오행표 . (0) | 2010.12.24 |
[스크랩] 육갑표 (0) | 2010.12.24 |
[스크랩] 合沖解法 (0) | 2010.12.24 |
[스크랩] 일간별 심리 (0) | 201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