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
학명 Viscum album var. coloratum
분류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유럽, 아프리카
서식장소 참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팽나무
다른 나무에 기생하며 스스로 광합성하여 엽록소를 만드는 반기생식물로 사계절 푸른 잎을 지닌다.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한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생약에서 기생목(寄生木)은 이것 전체를 말린 것이며, 산의 나무에 해를 주지만 약용으로 쓴다. 한방에서 줄기와 잎을 치한(治寒) ·평보제(平補劑) ·치통 ·격기(膈氣) ·자통(刺痛) ·요통(腰痛) ·부인 산후 제증 ·동상 ·동맥경화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유럽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열매가 적색으로 익는 것을 붉은겨우살이(for. rubroaurantiacum)라고 하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북한의 한의학 전문의 허창걸씨가 지은<북한 동의보감 국규 처방전> 237면에서는 겨우살이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기원은 겨우살이과(Loranthaceae)에 속하는 겨우살이(Viscum color atum)의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이다. 산지는 겨우살이는 오리나무, 버드나무, 밤나무, 참나무, 사시나무, 황철나무 등의 나뭇가지에 붙어산다. 성분은 비스코톡신, 비소제린, α-비스콜, β-비스콜, 콜린, 아세틸콜린, 카로틴, 비타민 등이 들어있다. 약성은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간, 신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간과 신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태아를 안정시키며 젖이 잘 나게 한다. 겨우살이 달임약은 애기집수축작용, 피부말초핏줄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작용, 피멎이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겨우살이의 독성은 약하다. 맞음증은 허리아픔, 관절아픔, 태동불안, 젖이 나지 않는 데, 고혈압, 해산후의 자궁이완성출혈, 기타 내출혈에 쓴다. 쓰는양은 하루 9~15그램이다. 참고로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 있는 겨우살이의 일종인 Loranthus Pinaceae의 가지를 상기생(Ramulus Loranthi)이라 하며 겨우살이와 같은 목적에 쓴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188~190면에서는 이렇게 겨우살이에 대해서 적고 있다.
"겨우살이과(Loranthaceae), 이 과의 식물은 나무 위에 기생하는 사철 푸른 떨기나무이다. 열매의 겉에 점액이 있어 새들의 몸에 붙어 다른 가지에 옮겨가게 되어 퍼진다.
30속 1,500종의 식물이 주로 열대에 퍼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3속 4종이있다.
꼬리 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et et SavattHyphear tanakae Hosokawa)
식물: 다른 나무에 붙어 살며 잎지는 작은 떨기나무이다. 긴 타원형의 잎이 마주 붙는다. 꽃은 작고 노란색이며 이삭 모양으로 모여 핀다. 강원도, 경상북도 산기슭의 참나무, 밤나무, 뽕나무에 붙어 산다.
전초(상기생): 여름철에 잎이 붙은 줄기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중국산 뽕나무 겨우살이(L. parasiticus Merr.)의 잎이 붙은 줄기에는 아비쿨라린 C20H18O11이 있다.
작용: 상기생은 호흡에 대한 작용이 뚜렷하지 않으며 토끼의 떼낸 귀핏줄을 직접 확장하지 않지만 콜레스테롤성 경화핏줄을 뚜렷하게 확장한다.아비쿨라린은 마취한 개에게서 짧은 시간 혈압을 낮추며 개와 흰쥐에게서 뚜렷한 오줌내기작용을 나타낸다.흰생쥐에게서 독성(LD50)은 아비쿨라린에서 1.173g/kg(배안주사), 상기생에서 11.24g/kg(배안주사)이다.
마취한 개와 공양이에게 0.4~0.5g/kg을 먹이거나 0.1~0.25g/kg을 정맥주사하면 혈압낮춤 및 오줌내기작용이 나타난다. 또한 카페인으로 흥분시킨 흰생쥐에게서 진정작용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풍습으로 인한 아픔, 허리아픔에 땃두릅뿌리, 방풍뿌리, 속단뿌리, 태동불안에 당귀뿌리, 차조기줄기, 협심증과 고혈압에 두충, 칡뿌리, 속서근풀뿌리, 꿀풀, 잇꽃과 같이 쓴다. 이 밖에도 산후병, 붕루, 하혈과 젖이 없을 때에 쓴다. 하루 10~15그램을 물에 달여 먹는다.
겨우살이(Viscum coloratun (Kom.) Nakai (V. album L. var. coloratum Ohwi)
다른이름: 기생목, 동청, 곡기생, 유기생, 율기생
식물 :사철푸른 작은 떨기나무이다. 잎은 마주 붙고 긴 타원형이다. 이른봄 가지 끝에 노란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노란발간색으로 여문다. 오리나무, 참나무, 황철나무, 버드나무, 팽나무, 밤나무의 가지에 기생한다.
전초 :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잎이 붙은 줄기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잎이 붙은 가지에서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흔적의 사포닌이 확인되었다. 또한 올레아놀산 C30H4803, β-아미린 C30H50O, 1.5%의 메소니노시톨, 비스신, 옥시다아제, 세틸알코올, 미리스트산, 아라킨, 고무질(점액), 페닐아민, 프로피오콜린, 아세틸콜린, 수지가 있다. 열매의 점액질은 β-아미린과 루페올 C30H50의 팔미트산에스테르이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β-아미린 대신에 β-아미린아세타트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잎에는 플라보야도리닌 A(알보시드) C23H24O12, B C23H24O11, 호모플라보야도리닌 B C28H31O15, 루페올이 있다.
작용 :겨우살이 달임약은 동물실험에서 생체의 새끼집과 떼낸 새끼집을 수축시킨다. 이 작용은 새끼 난 직후와 새기 밴 마지막 시기에 제일 세고 새끼 밴 초기와 중간에는 뚜렷하지 않다. 그리고 자궁수축약인 피투이트린, 에르고탈, 염산퀴닌, 염산코타르닌,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과 협력작용을 한다.
겨우살이의 자궁 수축작용은 기주식물의 종류와 시기에 따라(8월부터 다음해 2월까지) 별로 다른 점이 없다. 겨우살이 달임약은 또한 동물실험에서 출혈 시간을 줄이고 모세혈관의 저항성을 높이며 말초혈관을 수축한다. 이러한 지혈작용기전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트롬보플라스틴 혈청 성분과 항혈우병성 글로불린 혈장의 트롬보플라스틴 형성을 빠르게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겨우살이의 자궁 수축작용, 피멎이작용은 염기성 추출물(콜린, 아세틸콜린이 있다)에서 있고 산성과 중성의추출물에서는 없다. 오줌내기작용은 메소이노시톨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겨우살이 달임약은 동물실험에서 혈압내림작용이 없었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겨우살이는 흰겨우살이(V.album)에서와 같은 혈압낮춤작용이 있으며 그 작용 물질은 β-아미린과 플라보노이드로 보고 있다. 신선한 겨우살이잎의 에틸알코올 우림액을 마취한 토끼와 개 피하에 주사하면 1시간 이상 혈압이 내려갔다고 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풍습성 관절아픔에 땃두릅뿌리, 진교뿌리, 당귀뿌리, 태동불안에 약쑥, 차조기잎, 고혈압으로 인한 머리아픔과 어지럼증에 두충, 꿀풀, 진득찰을 섞어서 쓴다. 10~15그램을 물에 달여 먹는다. 고혈압에는 겨우살이만을 많은 양(30~60그램)달여 먹기도 한다. 또한 자궁수축약, 피멎이약으로 유산 또는 산후 출혈과 월경과다에 쓴다. 민간에서는 잎을 신경쇠약에 쓴다. 고약을 만들어 종양에 바르기도 한다. 여문 열매로 만든 고약을 유선염에 바른다.
겨우살이 달임약(9~10:200)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산후 또는 유산 후의 출혈, 월경과다에 자궁수축약, 피멎이약으로 쓴다.엑기스 또는 알약을 만들어 위와 같은 목적에 쓴다.
겨우살이 고약 :겨우살이엑기스 3그램, 산화아연 2그램, 글리세롤 10그램, 바셀린 적당량, 전량 100그램, 동상입었을 때 바른다.
유럽에서 자라는 겨우살이 V. album L.(사과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봇나무, 피나무, 소나무, 전나무에 기생한다)에는 흰 무정형 물질인 비스코톡신 0.05~0.1퍼센트(대부분이 아미노산과 당이다), 비스세린 C15H26O2, α-비스콜(β-아미린) C30H50O, β-비스콜(루페올) C30H500,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알칼로이드 유사물질 C8H11N, 콜린, 아세틸콜린, 아민(노르비스칼빈, 비스칼빈, 티라민, β-페닐에틸아민), 이노시트(열매에 1.2퍼센트), 기름(올레아놀산, 리놀레산, 팔미트산의 글리세리드), 아스코르브산, 카로틴, 시린기린, 고무질과 수지가 들어 있다.
비스코톡신은 3가지 물질, 즉 비스코톡신 A2, A3, B로 순수하게 갈라졌다. 이 3가지 물질은 모두 46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졌으나 배열 순서에서 다르다. 비스코톡신 A3는 유황을 다리로 한 연결이 3곳에 있다. 즉 16과 26번 사이, 3과 40번 사이, 4와 32번 사이에 유황 연결이 있다. 이 펩티드는 항암활성이 있다. 씨에는 응집소인 아그글루티닌이 있는데 아주 적은 양에서 항암작용을 한다. 여기에는 N-모노메틸리진이 0.10~0.25그램분자 퍼센트, N-디메틸리진이 0.15~0.30그램분자 퍼센트, N-트리메틸리진이 0.05~0.12그램 분자 퍼센트 있으며 활성은 뒤의 것이 세다.
이 식물은 혈압낮춤작용이 있는데 짧은 시간 혈압낮춤 성분은 콜린 및 그 유도체이며 지구성 혈압낮춤 성분은 비스코톡신 A이다. 또한 11종의 항암활성 단백질이 분리되었다. 이것들은 0.006~0.05mg/kg에서 암세포의 데핵산합성을 억제한다. 단백질이 약간이라도 변성되면 항암활성이 없어진다.4종의 단백질 성분은 센 항원성이 있는데 10㎍ 아래에서 항체를 생성한다. 비스코톡신 A(순품이 아니다)는사르코마 180암을 일으킨 흰생쥐의 생존 기간을 대조에 비하여 98퍼센트로 더 늘렸다."
세종대왕이 편찬한<향약집성방>에서는 뽕나무겨우살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향약집성방 하권 1717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한다.
"桑寄生(상기생=뽕나무겨우살이): 뽕나무에 기생하는 식물의 하나이다. 뜯어서 뿌리, 가지, 줄기를구리칼로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쓴다. 불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가지와 줄기는 나무와 비슷하고 잎은산뽕나무잎 같으며 마디마디에 대생한다. 뿌리는 뽕나무에 박혀 있어서 겨울에도 잘 견디며 여름에 작은 꽃이 핀다. 약효가 매우 신기하다."
향약집성방 하권 1875~1876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桑桑寄生(상상기생) [향명: 뽕나무겨우살이] Laranthus parasiticas<桑寄生(상기생)科>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무독하다.
요통, 소아척강, 옹종을 치료하며 안태시킨다. 또한 기피 즉 피부를 충실하게 하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며 머리카락과 눈썹을 잘 자라게 한다. 또한 금창, 비창, 붕루, 내상과 허증, 산후여질도 치료하며 젖이 잘 나오게 한다.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눈을 밝게 하고 몸을 거뜬하게 하며 정신을 맑게 한다.
일명 기서, 우목, 완동, 조 라고도 한다. 개울가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뽕나무에 붙어 산다. 음력 3월초에 줄기와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도은거] 뽕나무에 붙어 사는 것을 상기생이라고 한다. 나뭇 가지 사이에 기생하는데 뿌리는 상피 속에 박혀 있다. 잎은 둥글고 흑청색이며 두껍고 윤이 나며 잘 부러진다. 가지는 마디에서 돋는다. 음력 4월에 흰 꽃이피고 5월에 붉은 작은팥만한 열매가 달린다. 어느 곳에서나 모두 자라며 속칭 속단이라고 한다.
[촉본도경] 잎은 용담 같으나 두껍고 넓으며 줄기는 짧으면서 닭의 다리 또는 나무 모양으로 생겼다. 음력 3~4월에 황백색의 꽃이 피고 6~7월에 황록색의 작은 팥 같은 열매가 달린다. 꺾을 때 걸죽하고 점성이 있는 즙이 나오는 것이 좋은 것이다.
[약성론] 신약으로 쓰인다. 안태시키므로 임신부의 루혈이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일화자] 근골, 혈맥의 기능을 돕는다. 사람들은 흔히 느티나무를 뜯어 가지고 상기생이라고 하지만 상기생은 매우 드물며 모양이 느티나무와는 다르다.
[도경] 상기생은 까마귀나 새들이 오디를 먹다가 버린 씨가 나뭇 가지 사이에 떨어진 뒤 그 나무의 기운을 받아서 자라는데 잎은 귤나무 잎 같으나 두껍고 연하며 줄기는 회화나무가지 같지만 살이 많고 연약하다. 음력 3~4월에 황백색의 꽃이 피고 6~7월에 작은팥알 만한 황색 열매가 달린다. 대개도토리나무, 떡갈나무, 버드나무, 수양버들, 단풍나무 등에 모두 기생하는데 오직 상기생만 약으로 쓸 수 있다. 그러나 구별하기가 어려우므로 의사들은 직접 자신이 뜯지 않은 것이면 쓰지 말아야 한다. 줄기를 끊어 보다 빛이 심황색이고 또 열매의 즙이 걸쭉하면서 점성이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약초연구가 최진규씨가 쓴 <토종약초장수법> 436~438면에서는 겨우살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초자연적인 힘이 있는 것으로 믿어 온 식물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 사람들은 겨우살이를 귀신을 쫓고, 온갖 병을 고치며, 아이를 낳게 하고, 벼락과 화재를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생불사의 능력이 있는 신성한 식물로 여겨왔다.
옛 사람들이 겨우살이가 신통한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믿은 것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겨우살이는 모든 나무가 잎을 떨군 겨울에도 홀로 공중에서 푸르름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일생 흙과 접촉하지 않아도 꽃을 피우고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다.
특히 유럽 사람들은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불사신의 상징으로 믿었고 하늘이 내린 영초(靈草)라고 신성시하여 절대적인 경외의 대상으로 여겼다.
겨우살이는 나무줄기 위에 사는 착생식물로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떡갈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밤나무 등의 여러 나무줄기에 뿌리를 박아 물을 흡수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겨우살이는 엽록소를 갖고 있어 자체에서 탄소 동화작용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 수 있으므로 숙주식물한테서는 물만을 빼앗을 뿐이다. 그러므로 대개 겨우살이는 숙주식물에 거의 혹은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
겨우살이는 새들을 통해서 번식한다. 여름철에는 다른 식물의 그늘에 가려서 햇볕을 받지 못하므로 자라지 않고 있다가 가을이 되어 나뭇잎이 떨어지면 꽃을 피우고 겨울 동안에 구슬처럼 생긴 연한 노란빛의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이 열매는 겨울철새들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울 때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이 열매에는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들어 있는데 새들은 이 점액과 씨앗을 먹고 나서 부리에 붙은 점액을 다른 나무의 껍질에 비벼서 닦는다. 이때 끈끈한 점액에 묻어 있던 씨앗이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있다가 싹을 틔우게 되는 것이다.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믿었던 대로 놀랄 만큼 약효가 뛰어난 식물이다.
[연의] 상기생이 아닌 다른 것을 먹어서는 안 된다. 어떤 사람이 다른 나무에 기생한 겨우살이를 복용하고 한달 후에 죽은 일도 있다."
상기생은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어 고혈압으로 인한 현훈(眩暈: 어지럼증)을 치료하고 간신(肝腎)을 보하여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한다.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항Virus작용을 하며 태동불안(胎動不安: 임신이 중절되려 할 때의 초기증상)에 활용한다.
채취기 : 겨울~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건조
성미 : 평온하며, 쓰고 달다.
독성여부 : 없음
주의 사항 :풍습(風濕)이 없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밤나무와 버드나무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는 독성이 있다. 먹으면 머리가아픔
겨우살이의 약효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암작용:겨우살이는 가장 강력한 항암식물의 하나이다. 유럽에서는 암 치료에 가장 탁월한 효과가 있는 식물로 겨우살이와 털머위를 꼽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민간에서 겨우살이를 달여서 먹고 위암, 신장암, 폐암 등을 치유한 사례가 있다.
혈압 낮춤 :겨우살이는 견줄 만한 데가 없을 만큼 훌륭한 고혈압 치료제이다.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현기증 등에도 효과가 있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탁월하다. 하루 30∼40그램을 물로 달여 차 대신 마신다.
신경통, 관절염에 효과 :겨우살이 전체를 독한 술에 담가 두었다가 1년 뒤에 조금씩 마시면 관절염, 신경통에 큰 효과를 본다. 겨우살이는 지혈작용도 뛰어나므로 여성의 월경과 다증이나 갖가지 출혈이 있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이뇨작용 및 안신작용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세에 치료 효과가 크다. 간경화나 암으로 인한 복수에 효과가 있으며 결핵성 당뇨병에도 좋다. 임산부가 겨우살이를 먹으면 태아가 건강해지고 편안해진다. 그리고 겨우살이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독성이 없으므로 누구든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능약이 바로 겨우살이다."
요배통, 신기허약, 냉습지에 누었다가 풍이 생긴 증상의 치료 :독활 1100그램, 기생, 두충,우술, 세신, 진구, 복령, 계심, 방풍, 궁궁, 인삼, 감초, 당귀, 작약, 건지황 각 750그램을 섞어 잘게 썬 것을 물 1말에 끓여서 3되로하여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몸을따뜻하게 하고 차게 해서는 안 된다.[<천금방> 독활기생탕].
임부의 태동 불안, 심복자통의 치료 :상기생 560그램, 약간 볶은 애엽 190그램, 찧어 부수어 볶아서 누렇게 말린 아교를 섞어 썰어서 물 한 컵 반으로 달여 한 컵이 되게 한 후 찌꺼기를 제거한다. 세 번으로 나누어 식전에 온복한다.[<태평성혜방>]
하혈이 멎은 다음 단전의 원기가 허핍하고 요슬이 나른하고 힘이 없는 증상의 치료 :상기생을 가루로 내어 1회에 4그램을 끓인 맹물로 온복한다.[<양씨호명방>]
독리농혈, 6맥이 미소하고 한열이 없는 경우의 치료:
상기생 750그램, 방풍, 대궁 각 8그램, 구운감초 110그램을 가루내어 한 번에 7그램을 물 한 껍으로 8할이 되게 달여 찌꺼기와 함께 복용한다.[<양씨호명방>]격기의 치료 :신선한 상기생의 찧은 즙 한컵을 복용한다.[<빈호집간방>]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 |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약이되는 산야초 - 광대나물 (0) | 2011.10.17 |
---|---|
[스크랩] ◈ 약이되는 산야초 - 감 (0) | 2011.10.17 |
[스크랩] ◈ 약이되는 산여초 - 갈대 (0) | 2011.10.17 |
[스크랩] ◈ 약이되는 산야초 - 괭이밥 (0) | 2011.10.17 |
[스크랩] ◈ 약이되는 산야초 - 가막사리 (0) | 201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