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건강상식 자료

한약과 양약의 차이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8. 24. 12:13

 

한약과 양약의 차이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약'하면 한약을 의미하였다. 그런데 서양의학이 들어오면서 양약과 한약의 구분이 생겨났다. 음식에도 양식 한식 중식 일식이 있고 의복에도 양복한복이 있지만 약에 있어

양약과 한약처럼 상반된 개념으로 구분되는 분야는 드물다. 양약이나 한약이나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한다는 목적에서는 다를 바 없지만 왜 상반된 개념으로 극명하게 대비되는 것일까?



서양 약리학에서 말하는 양약은 생명과정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chemical) 물질인 약(drug)의 개념이다.

이 화학적 물질은 인체조직의 기본인 세포의 기능 이상이 질병의 근원이라는 세포병리학과 세포에는

일정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과만 결합하는 특수한 수용체가 있다는 수용체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생겨난 서양약학(phamacology)의 부산물이다.약학(phamacology)이란 약(drug)과 생체가

상호작용하여 일으키는 생물활성인 '화학구조'와 '활성상관관계'를 근간으로 하는 학문이다.  

반면에 한약은 자연에서 채취한 물질을 한의학적인 원리인 음양오행이나 사상체질에 따라

그 성(性) 기미(氣味) 승강(昇降) 장부귀경(臟腑歸經) 주치(主治)에 따라 '자연그대로'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인삼이나 도라지 같은 약초가 있다고 하자. 이 약초를 한의학적인

이론과 방법으로 사용하면 한약이 되고 서양약학 이론에 따라 사포닌(saponin) 같은 유효성분을

추출분석하여 사용하면 양약이 된다.  

양약은 유효성분만 추출합성한 화학약이므로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여 복용하기 간편하고 응급시에 급히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느 한 병에 선택적으로(specific) 작용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느 한 성분만 추출해 만들었기 때문에 약물 자체의 면역(免疫)이 낮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게 된다. 약물자체의 면역이 낮으면 그 약을 장기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생기거나

인체의 면역을 떨어뜨려 생명력을 감퇴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약물 자체를 실험실에서 실험해 보면 분명히 병원균을 죽이는 데는 탁월한 효능을 보이지만

면역실험에서는 면역세포까지 함께 파괴해 버린다. 그러므로 인간의 몸에 그 약물을 투여하면 병원균은

소멸시킬 수 있지만 인체 자체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또다른 질병을 부르게 마련이다. 무엇보다도

이런 화학 성분의 약제를 장기 투여하면 인체 스스로 질병을 치유하고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켜

평생 약에 의존해 살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문자나 글에도 기(氣)가 있다.

글자(문자)가 갖고 있는 에너지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은 좋은 기를 발산하고

나쁜 내용의 글을 담고 있는 책은 나쁜 기를 발산한다.

어떤 책이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아닌지는 '기 체크'를 해보면 금세 알아낼 수 있다.

기체크는 근력조절테스트로 알 수 있다

성경책 같은 경우 기를 측정 해 보면 기가 많게(세게) 나온다. 이런 이유로 항상 가까이에 성경책 같이 기(氣)가 많은 책을 놓거나 읽으면 몸에도 좋은 것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부적'이라는 것도 '문자가 갖고 있는 기(氣)'를 이용한 것이다.

우주 에너지를 모으는 문양이나 문자와 같은 좋은 글은 좋은 에너지 파장을 형성하는

인간의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요즘은 이름을 지어주는 전문기업이 있다고 한다.
어떤 이름을 독점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표등록'도 일반화 되어 있다. 이 모든 것이

이름을 주는 기(氣)의 역할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물론 이름에 앞서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겠지만 기(氣)에 맞는 이름을 가져야 그 노력에 따른 열매를 제대로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보면 좋은 이름을 취하려는 행위를 그저 미신으로만 몰아부칠 일도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늘 대하는 글이나 그림, 그리고 말이나 노래 등에는 모두 기(氣)가

존재한다. 탁기(濁氣)를 지닌 것들은 우리 몸에 해를 미치게 마련이므로

우리는 늘 맑은 기(氣)를 지닌 것들만을 가까이 하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또한 우리가 무심코 내뱉는 말 한마디에 독기(毒氣)가 서려 있다면 그 말을 들은 상대방은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입게 된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내용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www.rainbow-emc.co.kr/sub2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