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촌선생 건강교실/병리학 강의

[스크랩] [잡병편] 풍2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10. 8. 10:55

◆風 2

風痺之始

內經曰汗出而風吹之血凝於膚者則爲痺○風之爲病當半身不遂或但臂不遂者此爲痺《內經》○邪之所湊其氣必虛留而不去其病則實《內經》○虛邪中人留而不去則爲痺衛氣不行則爲不仁《內經》○不仁者何以明之仁者柔也不仁謂不柔和也痛痒不知寒熱不知灸刺不知是謂不仁也《類聚》

풍비증의 시초[風痺之始]

『내경』에 “땀을 흘린 다음에 바람을 맞으면 혈이 피부에 엉키어 비증(痺證) 된다”고 하였다.

풍사(風邪) 병이 생기면 반드시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는데 팔만 쓰지 못하는 것을 비증이라고 한다[내경].

사기(邪氣) 침범하면 기가 반드시 허해진다. 사기(邪氣) 머물러 있으면 실증(實證) 된다[내경].

허사(虛邪) 침범하여 머물러 있으면 비증이 되고 위기(衛氣) 돌지 못하면 불인(不仁) 된다[내경].

불인이란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 ()이란 부드럽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불인이란 부드럽지 못하다는 것인데 아프고 가려운 줄을 모르고 차고 더운 것도 알지 못하며 뜸을 뜨거나 침을 놓는 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유취].

三痺

內經曰皇帝曰痺之安生岐伯對曰風寒濕三氣雜至合而爲痺也其風氣勝者爲行痺寒氣勝者爲痛痺濕氣勝者爲着痺○行痺宜防風湯痛痺宜茯湯着痺宜川芎茯湯三痺湯

3가지 비증[三痺]

『내경』에 “황제가 비증은 어떻게 생기는가”라고 물으니 기백이 “풍(), (), () 3가지의 사기로 생긴다”고 하였다. 중에서 풍사(風邪) 심한 것을 행비(行痺)라고 하고 한사(寒邪) 심한 것을 통비(痛痺)라고 하며 습사(濕邪) 심한 것을 착비(着痺)라고 한다.

행비 때에는 방풍탕을 쓰고 통비 때에는 복령탕을 쓰며 착비 때에는 천궁복령탕과 삼비탕을 쓴다.

防風湯

治行痺走注無定防風一錢半當歸赤茯獨活杏仁桂心甘草各一錢麻黃五分黃芩秦葛根各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棗二枚水煎服《宣明》

방풍탕(防風湯)

행비(行痺)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방풍 6g,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따두릅(독활), 살구씨(행인), 계심, 감초 각각 4g, 마황 2g, 속썩은풀(황금), 진교, 칡뿌리(갈근)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선명].

治痛痺四肢疼痛拘攣浮腫赤茯桑白皮各一錢半防風桂皮川芎芍藥麻黃各一錢右作一貼入棗二枚水煎服汗出爲效《宣明》

복령탕( )

통비(痛痺) 팔다리가 아프고 가드라들면서 붓는 [拘攣浮腫]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방풍, 계피,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작약), 마황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고 땀을 내면 낫는다[선명].

川芎茯

治着痺四肢麻木拘攣浮腫赤茯桑白皮各一錢半川芎防風麻黃赤芍藥當歸各一錢桂皮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棗二枚水煎服《入門》○着痺卽麻木不仁也《綱目》

천궁복령탕(川芎茯 )

착비(着痺) 팔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가드라들며 붓는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궁궁이(천궁), 방풍, 마황,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각각 4g, 계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착비(着痺)라는 것은 감각이 둔해지거나 없는 것이다[강목].

三痺湯

治風痺氣血凝滯手足拘攣杜牛膝桂皮細辛人參赤茯白芍藥防風當歸川芎黃續斷甘草各七分獨活秦生地黃各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棗二枚水煎服《入門》

삼비탕(三痺湯)

풍비(風痺) 기혈(氣血) 응체되어 손발이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두충, 쇠무릎(우슬), 계피, 족두리풀(세신),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속단, 감초 각각 2.8g, 따두릅(독활), 진교, 생지황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五痺

帝曰其有五者何也岐伯曰以冬遇此者爲骨痺以春遇此者爲筋痺以夏遇此者爲痺以至陰遇此者爲肌痺以秋遇此者爲皮痺《內經》○帝曰內舍五藏六府何其使然岐伯曰五臟皆有合病久而不去者內舍於其合也故骨痺不己復感於邪內舍於腎筋痺不己復感於邪內舍於肝痺不己復感於邪內舍於心肌痺不己復感於邪內舍於脾皮痺不己復感於邪內舍於肺所謂者各以其時重感於風寒濕之氣也《內經》○帝曰其客於六府者何也岐伯曰此亦其飮食居處爲其病本也六府亦各有兪《兪卽穴也》而食飮應之循兪而入各舍其府也《內經》○淫氣喘息痺聚在肺淫氣憂思痺聚在心淫氣遺尿痺聚在腎淫氣乏竭痺聚在肝淫氣肌絶痺聚在脾諸痺不己亦益內也註曰淫氣謂氣之妄行者也從外不去則益深而至於身內《內經》○宜用五痺湯增味五痺湯行濕流氣散

5가지 비증[五痺]

황제가 5가지 비증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痺證) 겨울에 생긴 것은 골비(骨痺) 되고 봄에 생긴 것은 근비(筋痺) 되며 여름에 생긴 것은 맥비(脈痺) 되고 늦은 여름에 생긴 것은 기비(肌痺) 되며 가을에 생긴 것은 피비(皮痺) 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황제는 “비증이 5 6부로 들어가서 자리잡게 하는 것은 어떤 기운이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5장은 배합되는 기관이 있는데 병이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배합되는 장부로 들어가서 자리잡는다. 그리고 골비(骨痺)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그것이 속으로 들어가서 () 자리잡고 근비(筋痺)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 자리잡으며 맥비(脈痺)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 자리잡는다. 기비(肌痺)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그것이 속으로 들어가서 비에 자리잡으며 피비(皮痺)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 자리잡는다”고 대답하였다. 비라는 것은 비증이 각기 생기는 시기에 다시 (), (), () 사기에 감촉됐다는 것이다[내경].

황제가 6부에 병이 생긴다는 것은 어떻게 생긴다는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것은 음식과 거처하는 것을 적당하게 하지 못한 것이 병의 원인이 된다. 6부도 역시 각각 유혈(兪穴) 있는데 음식을 잘못 먹은 것이 유혈을 따라 각각 해당한 6부로 들어가면 병이 생긴다”고 대답하였다[내경].

음기(淫氣) 숨이 것은 () 비증이 몰린 것이고 음기로 지나치게 근심하고 생각하는 것은 () 비증이 몰린 것이며 음기로 자기도 모르게 오줌을 누는 것은 () 비증이 몰린 것이다. 음기로 진액이 줄어드는 것은 () 비증이 몰린 것이며 음기로 살이 빠지는 것은 () 비증이 몰린 것이다. 여러 가지 비증이 낫지 않으면 병이 속으로 들어간다. 주해에 “음기(淫氣)라는 것은 기운이 제멋대로 돌아다니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이 겉에서 없어지지 않으면 더욱 심해져서 속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내경].

오비탕, 증미오비탕, 행습류기산을 쓴다.

五痺湯

治風寒濕氣客留肌體手足緩弱麻痺羌活白朮薑黃防己各二錢甘草一錢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入門》

오비탕(五痺湯)

(), (), () 3가지 사기가 몸에 침범하여 머물러 있어서 손발이 늘어지고 약하면서 마비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흰삽주(백출), 강황, 방기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增味五痺湯

治風寒濕合爲痺肌體麻痺不仁羌活防己薑黃白朮海東皮當歸白芍藥各一錢甘草灸七分錢半右作一貼入薑十片水煎服《直指》

증미오비탕(增味五痺湯)

(), (), () 3가지 사기로 비증이 생겨 몸이 뻣뻣하고 저리며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기, 강황, 흰삽주(백출), 엄나무껍질(해동피),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감초(닦은 )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0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行濕流氣散

治風寒濕痺麻木不仁手足煩軟薏苡仁二兩白茯一兩半蒼朮羌活防風川烏各一兩右爲末每二錢溫酒或白湯調下《入門》

행습류기산(行濕流氣散)

, , 습의 사기로 비증(痺證) 생겨 피부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없는 것과 손발에 번열(煩熱) 나고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율무쌀(의이인) 80g, 흰솔풍령(백복령) 60g,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방풍, 오두(천오, 싸서 구운 )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이나 파밑(총백)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澁而緊爲痺痛《經》○大而澁爲痺來急亦爲痺《玉機》○風寒濕氣合而爲痺浮澁而緊三乃備《訣》

비증 때의 [痺脈]

() ()하면서 () 것은 비증으로 아픈 것이다[맥경].

맥이 ()하면서 삽한 것은 비증이고 맥이 ()하게 오는 것도 비증이다[옥기].

, , 습의 사기로 비증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맥이 부삽(浮澁)하면서 () 3가지 맥이 나타난다[맥결].

痺病形證

內經曰帝曰痺或痛或不痛或不仁或寒或熱或燥或濕其故何也岐伯曰痛者寒氣多也有寒故痛也其不痛不仁者病久入深榮衛之行澁經絡時疎故不痛皮膚不營故爲不仁其寒者陽氣少陰氣多與病相益故寒也其熱者陽氣多陰氣少病氣勝陽乘陰故爲痺熱其多汗而濡者此其逢濕甚也陽氣少陰氣盛兩氣相感故汗出而濡也○病在筋筋攣節痛不可以行名曰筋痺病在肌膚肌膚盡痛名曰肌痺病在骨骨重不可擧骨髓疼寒氣至名曰骨痺《內經》○帝曰痺之爲病不痛何也岐伯曰痺在骨則重在於則血凝而不流在於筋則屈而不伸在於肉則不仁在皮則寒故具此五者則不痛也凡痺之類逢寒則急逢熱則縱《內經》

비증의 형태[痺病形證]

『내경』에 “황제가 ‘비증(痺證) 생겨 아프기도 하고 차기도[] 하며 열이 있기도 하고 마르기도 하며 습하기도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아픈 것은 한기(寒氣) 많기 때문이고 아프지 않은 것과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은 병이 생긴 오래되어 깊이 들어가서 영위(榮衛) 돌지 못하고 경락(經絡) 때로 성글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프지 않고 피부가 자기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감각을 모른다. 것은 양기(陽氣) 적고 음기(陰氣) 많아서 병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열이 있는 것은 양기가 많고 음기는 적어서 병기운이 세어진 것인데 이것은 양기가 음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증 때에도 열이 난다. 땀이 축축하게 많이 나는 것은 습을 몹시 받았기 때문이다. 양기가 적고 음기가 성한데 기운과 습한 기운에 감촉되면 땀이 나서 축축하게 된다’고 대답하였다”고 씌어 있다.

병이 힘줄에 생기면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마디가 아프면서 걷지 못한다. 이런 것을 근비(筋痺)라고 하고 병이 살과 피부에 생기면 살과 피부가 아프다. 이런 것을 기비(肌痺)라고 한다. 병이 뼈에 생기면 뼈마디가 무거워지면서 움직이지 못하며 뼈가 시고 아프며 기운이 생긴다. 이런 것을 골비(骨痺)라고 한다[내경].

황제가 “비증 때에 아프지 않은 것은 어떤 이유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이 뼈에 생기면 무겁고 맥에 생기면 혈이 엉키어 돌아가지 못하며 힘줄에 생기면 굽혔다가 펴지 못하고 살에 생기면 감각이 없으며 피부에 생기면 차다. 5가지가 생기면 아프지 않다. 대체로 비증과 같은 때에는 것을 만나면 가드라들고 더운 것을 만나면 늘어진다”고 대답하였다[내경].

痺病吉凶

內經曰帝曰痺其時有死者或疼久者或易已者其故何也岐伯曰其入藏者死其留筋骨間者疼久其留皮膚間者易已

비증의 예후[痺病吉凶]

『내경』에 “황제가 ‘비증(痺證)으로 때로 죽는 것도 있고 오랫동안 아픈 것도 있으며 쉽게 낫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이 5장에 들어가면 죽고 힘줄과 뼈짬에 머물러 있으면 오랫동안 아프며 피부(皮膚) 머물러 있으면 쉽게 낫는다’고 대답하였다”고 씌어 있다.

痺病多兼麻木

麻是氣虛木是濕痰死血盖麻猶痺也雖不知痛痒尙覺氣微流行在手多兼風濕在足多兼寒濕木則非惟不知痛痒氣亦不覺流行《入門》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 () ()하여 되는 것이고 () 습담(濕痰) 어혈(瘀血) 되는 것이다. 마는 비증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비록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하나 기운이 약간 돌아가는 것만은 느껴진다. 손에 생기면 흔히 풍습(風濕) 겸하고 발에 생기면 흔히 한습(寒濕) 겸한다. 때에는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운이 돌아가는 것도 느껴지지 않는다[입문].

風痺與相類

靈樞曰病在陽者命曰風病在陰者命曰痺陰陽俱病命曰風痺陽者表與上也陰者裏與下也○痺者氣閉塞不痛流也或痛痒或麻痺或手足緩弱與相類但因血虛火盛肺焦而成痺因風寒濕氣侵入而成又痺爲中風之一但純乎中風則陽受之痺兼風寒濕三氣則陰受之所以爲病更重《入門》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 相類]

『영추』에 “병이 () 있으면 풍병(風病)이라고 하고 () 있으면 비증(痺證)이라고 하며 음과 양에 병이 있으면 풍비(風痺)라고 한다. 양이라는 것은 겉과 위이고 음이라는 것은 속과 아래이다”고 씌어 있다.

비증(痺證)이라는 것은 기가 막혀[閉塞] 돌아가지 못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아프기도 하고 가렵기도 하며 저리기도 하고 손발이 늘어지고 약해진다. 그러므로 위증과 비슷하게 된다. ( )증이라는 것은 () 허하고 화가 성하여 () ()해져서 것이고 비증이라는 것은 , , 3가지 사기가 침범해서 것이다. 또한 비증은 중풍의 가지이다. () 맞았으면 () 받는다. 그러나 비증은 , , 3가지 사기가 겸한 것이기 때문에 () 받는다. 그러므로 병은 더욱 중하다[입문].

痺病難治

痺之爲證有筋攣不伸肌肉不仁與風絶相似故世俗與風通治此千古之弊也大抵固當分其所因風則陽受之痺則陰受之爲病多重痛沈着患者難易得去如錢仲陽爲宋之一代名醫自患周痺止能移於手足爲之偏廢不能盡去可見其爲難治也《玉機》

비증 치료하기 어려운 [痺病難治]

비증의 증상은 힘줄이 가드라들어 펴지 못하는 것과 힘살에 감각이 없는 것인데 중풍과 아주 비슷하다. 때문에 민간에서는 중풍(中風) 위증( ) 함께 치료하는데 이것은 몇천 동안 내려온 잘못된 치료방법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병의 원인을 갈라보아야 한다. 중풍은 사기를 () 받아서 것이고 비증은 사기를 () 받아서 것이다. 그러므로 음이 받아서 병은 흔히 아픈데 오래된 환자는 치료되지 않는다. 전중양(錢仲陽) 송나라의 첫째가는 명의인데 주비(周痺) 앓게 되었다. 그런데 제가 병이 손발에만 머물러 있게 치료해서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도 병을 완전하게 치료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치료하기 어려운 병이라는 것을 있다[옥기].

痺病治法

痺之初起驟用參歸地則氣血滯而邪鬱不散只以行濕流氣散主之《入門》○三氣襲人經絡久而不已則入五藏或入六府隨其臧府之兪合以施針灸仍服逐三氣發散等藥則病自愈矣《玉機》○痺證因虛而感風寒濕之邪旣着體不去則須製對證藥日夜飮之雖留連不愈能守病禁不令入藏庶可扶持也如錢仲陽取茯其大逾斗者以法啖之閱月乃盡由此雖偏廢而氣骨堅悍如無疾者壽八十二而終惜乎其方無傳《玉機》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비증이 처음 생겼을 때에 빨리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찐지황(숙지황) 쓰면 기혈(氣血) 막히고 사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데는 오직 행습유기산을 써야 한다[입문].

, , 습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 침범하여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으면 사기가 5장이나 6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때에는 5 6부의 유혈(兪血) 합혈(合血) 침뜸을 놓고 이어 , , 습의 3가지 사기를 몰아내고 발산시키는 약을 먹어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옥기].

비증은 허할 때에 , , 습의 사기에 감촉되면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반드시 증상에 맞는 약을 지어 먹어야 한다. 그래야 병이 낫지는 않아도 5장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면 생명을 연장할 있다. 전중양(錢仲陽) 1 이상 되는 흰솔풍령(백복령) 1 이상 위의 방법대로 먹었기 때문에 비록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으나 기골이 건장하여 병이 없는 사람처럼 82살까지 살았다. 그러나 처방은 전해지지 않는다[옥기].

痺證病名及用藥

風痺濕痺寒痺俱宜附子湯冷痺宜痺湯周痺宜大豆蘖散骨痺筋痺痺肌痺皮痺行痺痛痺着痺俱宜三痺湯五痺湯增味五痺湯行濕流氣散防風湯茯湯川芎茯(上方見上)熱痺宜升麻湯血痺宜五物湯○筋痺宜用羚羊角湯○風寒痺宜用烏藥順氣散疎通氣道(方見上)

비증의 이름과 쓰는 [痺證病名及用藥]

풍비(風痺), 습비(濕痺), 한비(寒痺) 때에는 부자탕을 쓰고 냉비(冷痺) 때에는 견비탕을 쓰며 주비(周痺) 때에는 대두얼산을 쓴다. 골비(骨痺), 근비(筋痺), 맥비(脈痺), 기비(肌痺), 피비(皮痺), 행비(行痺), 통비(痛痺), 착비(着痺) 때에는 삼비탕, 오비탕, 증미오비탕, 행습유기산, 방풍탕, 복령탕, 천궁복령탕(川芎茯 , 7가지 처방은 모두 위에 있다) 쓴다. 열비(熱痺) 때에는 승마탕을 쓰고 혈비(血痺) 때에는 오물탕을 쓴다.

근비(筋痺) 때에는 영양각탕을 쓴다. , , 비증 때에는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기가 돌아가게 해야 한다.

附子湯

治風寒濕合而爲痺骨節疼痛皮膚不仁肌肉重着四肢緩縱附子生白芍藥桂皮人參白茯甘草各一錢白朮一錢半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三因》

부자탕(附子湯)

, , 습의 사기로 생긴 비증으로 뼈마디가 아프고 피부에 감각이 없으며 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생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계피,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g, 흰삽주(백출)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哸痺湯

治手冷痺一云冷痺者身寒不熱腰脚沈重卽寒痺之甚者當歸赤芍藥黃防風薑黃羌活各一錢半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棗二枚水煎服《入門》

견비탕( 痺湯)

손에 생긴 냉비(冷痺) 치료한다. 어떤 데는 “냉비란 몸이 차고 열은 없으며 허리와 다리가 무거운 한비(寒痺) 심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단너삼(황기), 방풍, 강황, 강호리(강활)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大豆蘖散

治周痺周痺者在於血之中隨以上隨以下不能左右各當其所大豆蘖一升炒熟爲末每一錢溫酒調下日三《河間》

대두얼산(大豆蘖散)

주비(周痺) 치료한다. 주비라는 것은 병사(病邪) 혈액 속에 있으면서 혈맥(血脈) 따라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하나 좌우로 옮겨지지는 않는데 사기가 가는 곳마다 아픈 것이다.

(대두얼) 1.

위의 것을 싹을 내어 닦아서 가루내어 4g 데운 술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는다[하간].

升麻湯

治熱痺肌肉熱極體上如鼠走脣口反縱皮色變升麻二錢茯神人參防風犀角羚羊角羌活各一錢桂皮五分右作一貼薑五片同煎入竹瀝五匙調服《宣明》

승마탕(升麻湯)

열비(熱痺) 살이 몹시 달고 몸에서 쥐가 뛰어다니는 같으며 입술이 힘없이 늘어지고 살빛이 변하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8g, 복신, 인삼, 방풍, 서각, 영양각, 강호리(강활) 각각 4g, 계피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달인다. 다음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5숟가락을 타서 먹는다[선명].

五物湯

治血痺夫尊榮人骨弱肌膚盛疲勞汗出而臥加被微風遂得之形如風狀但以自微澁在寸口關上小緊宜鍼引陽氣令和緊去則愈黃桂枝白芍藥各三錢右作一貼入生薑七片大棗三枚水煎日三服一方有人參《仲景》

오물탕(五物湯)

혈비(血痺) 치료한다. 대체로 사는 사람은 뼈는 약하고 살은 많이 쪘기 때문에 피로하면 땀을 흘리면서 잔다. 그리고 바람을 약간 맞아도 혈비가 생긴다. 증상은 마치 풍증 때와 같으나 단지 촌맥(寸脈) 약간 ()하고 관맥(關脈) 조금 ()하다. 이런 때에는 침으로 양기(陽氣) 끌어올려 맥을 고르게 하여 긴맥(緊脈) 없어지게 하면 낫는다.

단너삼(황기), 계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3알과 함께 물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인삼이 들어 있다[중경].

羚羊角湯

治筋痺肢節束痛羚羊角桂皮附子獨活各一錢三分半白芍藥防風川芎各一錢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河間》

영양각탕(羚羊角湯)

근비(筋痺) 팔다리의 뼈마디가 조여들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영양각, 계피, 부자, 따두릅(독활) 각각 5.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궁궁이(천궁)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歷節風病因

歷節之痛皆由汗出入水或飮酒汗出當風所致《仲景》○歷節風古方謂之痛痺今人謂之痛風也《綱目》○痛風者大率因血受熱已自沸騰其後或涉冷水或立濕地或坐臥當風取凉熱血得寒汚濁凝澁所以作痛夜則痛甚行於陰也治宜辛溫之劑流散寒濕開發理血行氣和其病自安《丹心》○古之痛痺卽今之痛風也諸書又謂之白虎歷節風以其走痛於四肢骨節如虎咬之狀而名之也《正傳》○痛風之證以其循歷遍身曰歷節風甚如虎咬曰白虎風痛必夜甚行於陰也《入門》○白虎歷節亦是風寒濕三氣乘之或飮酒當風汗出入水亦成斯疾久而不已令人骨節蹉跌《醫鑑》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역절풍 때의 통증은 땀이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술을 마시고 땀이 때에 바람을 쏘였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중경].

의학책에는 역절풍을 통비(痛痺)라고 하였고 요즘 사람들은 통풍(痛風)이라고 한다[강목].

통풍은 대체로 () () 받아 더워질 금방 찬물을 건너가거나 습한 곳에 있거나 앉거나 누워서 서늘하게 바람을 쏘이면 더워졌던 혈이 차지고[] 흐려지면서 돌지 못하게 되어 생기는 것인데 밤에 몹시 아픈 것은 사기(邪氣) 음으로 돌기 때문이다. 이때의 치료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한습(寒濕) 헤치고 주리( ) 열어 주어야 한다. 혈이 돌고 기가 고르면 병은 저절로 낫는다[단심].

옛날에 통비라고 것이 요즘 통풍이라는 것이다. 여러 의학책에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라고 것은 팔다리의 뼈마디가 왔다갔다하면서 아픈 것이 마치 범이 우는 같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정전].

통풍의 증상이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이기 때문에 역절풍이라고 하는데 심해지면 범이 우는 것과 같이 몹시 아프기 때문에 백호풍(白虎風)이라고도 한다. 아픈 것이 밤에 심한 것은 이때에 사기가 음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입문].

백호역절풍도 역시 , , 3가지 사기가 성하면 생기는데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거나 땀이 때에 물에 들어 가도 병이 생긴다.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의감].

歷節風證狀

歷節風之狀短氣自汗頭眩欲吐手指攣曲身體気㳝其腫如脫漸至落其痛如不能屈伸盖由飮酒當風汗出入水或體虛膚空掩護不謹以致風寒濕之邪遍歷關節與血氣搏而有斯疾也其痛如者爲寒多其腫如脫者爲濕多肢節間黃汗出者爲風多遍身走注徹骨疼痛晝靜夜劇狀如虎咬者謂之白虎歷節久不治令人骨節蹉跌須當大作湯丸不可拘以尋常淺近之劑《得效》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역절풍(歷節風) 증상은 숨이 가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토할 같으며 손가락이 가드라들고 몸이 울퉁불퉁하게 부으면서 빠져 나가는 같다가 점차 떨어져 나가는 것같으며 땅기는 것같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았거나 땀이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몸이 허하여 피부가 들떴을 몸을 보호하지 못하여 (), (), () 사기가 온몸의 뼈마디로 돌아다니면서 혈기(血氣) 부딪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픈 것은 한사(寒邪) 많기 때문이고 부어서 빠질 것같이 아픈 것은 습사(濕邪) 많기 때문이며 팔다리에서 누런 [黃汗] 나오는 것은 풍사(風邪) 많기 때문이다. 온몸으로 왔다갔다하면서 뼛속까지 아픈 것이 낮에는 덜해졌다가 밤에는 심해지면서 범이 무는 것같이 아파지는 것은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 이때에는 반드시 달임약이나 알약을 양을 많이 하여 써야지 보통 양으로 치료하여서는 된다[득효].

歷節風治法

痛風多屬血虛血虛然後寒熱得以侵之多用芎歸佐以桃仁紅花薄桂威靈仙或用痛散《東垣》○丹溪治痛風法主血熱血虛血汚或挾痰皆不離四物潛行黃栢牛膝生甘草桃仁陳皮蒼朮薑汁隨證加減可謂發前人之所未發也《綱目》○治痛風大法蒼朮南星川芎白芷當歸酒芩在上加羌活威靈仙桂枝桔梗在下加牛膝防己木通黃栢《丹心》○薄桂治痛風無味而薄者能橫行手臂領南星蒼朮等至痛處《丹心》○風寒濕入於經絡以致氣血凝滯津液稽留久則沸鬱堅牢阻碍榮衛難行正邪交戰故作痛也須氣味辛烈暴悍之藥開鬱行氣破血豁痰則沸鬱開榮衛行而病方已也《方廣》○痛風宜用大羌活湯蒼朮復煎散防風天麻散疎風活血湯四妙散麻黃散潛行散二妙散龍虎丹活絡丹五靈丸○歷節風宜用神通飮定痛散虎骨散加減虎骨散麝香元乳香黑虎丹乳香定痛丸捉虎丹○肢節腫痛宜用靈仙除痛飮○痰飮注痛宜用芎夏湯控涎丹(方見痰飮)消痰茯(方見手部)半夏芩朮湯○痛風烙宜用拈痛散當歸散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통풍(痛風) 흔히 () ()한데 속한다. 병은 혈이 허해졌을 때에 () () 침범하면 생긴다. 이런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를 많이 쓰고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박계(薄桂), 으아리(위령선) 등을 보조약으로 쓴다. 그리고 진통산을 쓰기도 한다[동원].

단계(丹溪) 통풍을 치료할 혈열(血熱), 혈허(血虛), 혈오(血汚), ()까지 겸한 것은 사물탕이나 잠행산으로 주로 치료했는데 여기에 황백, 쇠무릎(우슬), 감초(생것), 복숭아씨(도인),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생강즙 등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썼다. 이것은 옛날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강목].

통풍을 치료하는 처방은 천남성,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되어 있는데 병이 윗도리에 있으면 강호리(강활), 으아리(위령선), 계지, 도라지(길경) 넣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쇠무릎(우슬), 황백, 으름덩굴(목통), 방기를 넣어 쓴다[단심].

박계로는 통풍을 치료한다. 맛이 없는 박계의 기운은 손과 팔로 가는데 이때에 천남성, 삽주(창출) 등의 기운을 이끌고 아픈 곳으로 간다[단심].

(), (), ()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 들어가면 기혈(氣血) 엉키고 진액(津液) 머물러 있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고 경락에 기혈(氣血) 몰려 뜬뜬해지며 영위(榮衛) 돌지 못하고 정기(正氣) 사기(邪氣) 서로 싸우게 되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몹시 세고 빠른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돌게 하며 어혈(瘀血) 풀어 주고 담을 삭여야 속이 답답하뎐 것이 풀리고 영위(榮衛) 돌아가면서 병이 낫는다[방광].

통풍(痛風) 때에는 대강활탕, 창출부전산, 방풍천마산, 소풍활혈탕, 사묘산, 마황산, 잠행산, 이묘산, 용호단, 활락단, 오령환 등을 쓴다.

역절풍(歷節風) 때에는 신통음, 정통산, 호골산, 가감호골산, 사향원, 유향흑호단, 유향정통환, 착호단 등을 쓴다.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으면서 아프면 영선제통음을 쓴다.

담음(痰飮) 왔다갔다하면서 아프면 궁하탕, 공연단(控涎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소담복령환(消痰茯 , 처방은 손문에 있다), 반하금출탕 등을 쓴다.

통풍이 생겨 찜질할 때에는 점통산, 당귀산을 쓴다.

⼒珌痛散

治痛風多屬血虛血汚宜調血行血桃仁紅花當歸地龍五靈脂牛膝酒浸羌活酒浸香附子童便浸甘草生各二錢乳香沒藥各一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丹心》

진통산( 痛散)

통풍(痛風) 치료한다. 통풍은 대체로 혈허(血虛) 혈오(血汚) 속하는데 이때에는 혈을 고르게[調] 하고 돌게 해야 한다.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당귀, 지렁이(지룡), 오령지,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 강호리(강활, 불에 담갔던 ), 향부자(동변에 담갔던 ), 감초(생것) 각각 8g, 유향,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大羌活湯

治風濕相搏肢節腫痛不可屈伸羌活升麻各一錢半獨活一錢蒼朮防己威靈仙白朮當歸赤茯澤瀉甘草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대강활탕(大羌活湯)

, 습의 사기가 서로 부딪쳐서 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파 굽혔다 폈다 없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승마 각각 6g, 따두릅(독활) 4g, 삽주(창출), 방기, 으아리(위령선), 흰삽주(백출),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蒼朮復煎散

治風濕熱痛風蒼朮四兩黃栢三錢柴胡升麻藁本澤瀉羌活白朮各五分紅花二分右先以水二椀煮蒼朮至二鍾去渣入餘藥再煎至一鍾去渣服《入門》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

(), (), () 생긴 통풍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160g, 황백 12g, 시호, 승마, 고본, 택사, 강호리(강활), 흰삽주(백출) 각각 2g, 잇꽃(홍화)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먼저 2사발에 삽주(창출) 넣고 2종지가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여기에 나머지 약을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입문].

防風天麻散

治風濕麻痺走注疼痛或偏枯或暴滑石二兩防風天麻川芎羌活白芷草烏白附子荊芥穗當歸甘草各五錢右爲末蜜丸彈子大每取半丸或一丸熱酒化下覺藥力運行微麻爲度此散鬱開結宣風通氣之妙劑也《正傳》○或爲末蜜酒調下一錢《正傳》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풍습(風濕)으로 피부의 감각이 둔해지고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과 한쪽을 쓰지 못하면서 살이 빠지는 ,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0g, 방풍, 천마,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바꽃(초오, 싸서 구운 ), 노랑돌쩌귀(백부자), 형개수, 당귀,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또는 1알을 따끈한 술에 풀어 먹는다. 기운이 퍼지면 살이 약간 저린데 이렇게 때까지 먹어야 한다. 약은 몰린 것을 헤치고 뭉친 것을 풀어 주며 () 몰아내고 () 통하게 하는 좋은 약이다[정전].

가루내어 한번에 4g 꿀술에 타서 먹는다[정전].

疎風活血湯

治四肢百節流注刺痛皆是風濕痰死血所致其痛處或腫或紅當歸川芎威靈仙白芷防己黃栢南星蒼朮羌活桂枝各一錢紅花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醫鑑》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팔다리의 뼈마디 여기저기가 쑤시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 , () 궂은 [死血] 생긴 통증이다. 아픈 곳이 붓기도 하고 벌겋게 되기도 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으아리(위령선), 구릿대(백지), 방기, 황백, 천남성,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계지 각각 4g, 잇꽃(홍화)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四妙散

治痛風走注威靈仙酒蒸五錢羊角灰三錢蒼耳子一錢半白芥子一錢右爲末每一錢薑湯調下《入門》○一方無蒼耳子有蒼朮

사묘산(四妙散)

통풍증(痛風證)으로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으아리(위령선, 술에 축여 ) 20g, 양각(羊角, 태워 가루낸 ) 12g, 도꼬마리(창이자) 6g, 흰겨자(백개자)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어떤 처방에는 도꼬마리(창이자) 없고 삽주(창출) 들어 있다.

麻黃散

治歷節痛風無汗麻黃二錢羌活一錢半黃細辛各七分半右作一貼水煎服《得效》

마황산(麻黃散)

역절통풍(歷節痛風) 때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강호리(강활) 6g, 단너삼(황기), 족두리풀(세신)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潛行散

治血虛陰火痛風及腰以下濕熱注痛黃栢酒浸焙乾爲末每一錢薑汁和酒調服必兼四物湯間服之妙《丹心》

잠행산(潛行散)

혈허(血虛) 음화(陰火) 생긴 통풍과 허리 아래에 습열(濕熱) 몰려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생강즙을 술에 타서 먹는데 겸해서 사물탕을 사이사이에 먹는다[단심].

二妙散

治濕熱痛風筋骨疼痛黃栢酒浸焙蒼朮浸焙右等分爲末熱薑湯調下一錢《丹心》

이묘산(二妙散)

습열(濕熱) 생긴 통풍으로 힘줄과 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삽주(창출, 씻은 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龍虎丹

治痛風走注或麻木半身痛草烏蒼朮白芷各一兩用童便薑汁拌檿熱入乳香沒藥各三錢當歸牛膝各五錢右爲末酒糊和丸彈子大每一丸溫酒化下《入門》

용호단(龍虎丹)

통풍(痛風)으로 몸의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고 쪽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바꽃(초오), 삽주(창출), 구릿대(백지)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동변, 생강즙, 파즙에 버무려 열이 나게 띠운다), 유향, 몰약 각각 12g, 당귀, 쇠무릎(우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입문].

活絡丹

治一切痛風筋拘攣沈痛時或上衝川烏草烏南星地龍焙各一兩乳香沒藥各二錢二分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空心溫酒下二三十丸《局方》

활락단(活絡丹)

모든 통풍으로 힘줄이 가드라들면서 아프고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오두(천오, 싸서 구운 ), 바꽃(초오, 싸서 구운 ), 천남성(싸서 구운 ), 지렁이(지룡, 약한 불기운에 말린 ) 각각 40g, 유향, 몰약 각각 8.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국방].

五靈丸

治風冷氣血閉身體麻痛五靈脂二兩川烏一兩半沒藥一兩乳香五錢右爲末水丸彈子大生薑湯和溫酒磨化一丸服之《綱目》

오령환(五靈丸)

풍랭(風冷)으로 기혈(氣血) 막혀서 몸의 피부에 감각이 둔해지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령지 80g, 오두(초오, 싸서 구운 ) 60g, 몰약 40g, 유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 달인 물을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강목].

神痛飮

治歷節風木通二兩細長流水煎湯頓服空心《正傳》○一人因風濕得白虎歷節風遍身疼痛足不履地者三年百方不效一日夢與木通湯愈遂服此藥服後遍身痒甚上體發紅丹如小豆大隨手沒去出汗至腰而止上體不痛矣次日又如前煎服下體又發紅丹汗出至足而無痛後治數人皆驗一名曰木通湯《正傳》

신통음(神通飮)

역절풍(歷節風) 치료한다.

으름덩굴(목통) 80g.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강물에 달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정전].

어떤 사람이 풍습(風濕) 침범하여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생겼다. 그리하여 여러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어느 누가 목통탕을 주는 것을 먹고 병이 낫는 꿈을 꾸었다. 후에 약을 먹으니 온몸이 몹시 가렵고 웃도리에 벌건 반진이 돋았다가 없어지고 땀이 허리까지 나다가 멎었고 몸웃도리가 아프지 않았다. 다음날 다시 먼저 쓰던 방법대로 달여 먹었더니 몸아랫도리에 벌건 반진이 내돋고 땀이 발에까지 나고는 아프지 않았다. 후에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효과가 있었다. 일명 목통탕(木通湯)이라고도 한다[정전].

定痛散

治風毒攻注皮膚骨髓之間痛無常處晝靜夜劇筋拘攣不得屈伸蒼耳子骨碎補自然銅血竭白附子赤芍藥當歸肉桂白芷沒藥防風牛膝各七錢半虎脛骨龜板各五錢天麻檳羌活五加皮各二錢半右爲末每一錢溫酒調下《入門》

정통산(定痛散)

풍독(風毒) 피부와 골수(骨髓) 몰려 들어가서 여기저기가 아프고 낮에는 덜하다가 밤에 심해지며 힘줄이 가드라들어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도꼬마리(창이자), 골쇄보, 자연동, 혈갈, 노랑돌쩌귀(백부자), 집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육계, 구릿대(백지), 몰약, 방풍, 쇠무릎(우슬) 각각 30g, 범정갱이뼈(虎脛骨), 남생이배딱지(귀판) 각각 20g, 천마, 빈랑, 강호리(강활), 오갈피(오가피)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虎骨散

治歷節風百節痛無定處久則變成風毒痛入骨髓不移其處又云骨髓痛者宜此藥虎骨灸二兩白花蛇肉天麻防風牛膝白蠶炒當歸酒浸乳香桂心各一兩全蝎灸甘草灸各五錢麝香一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豆淋酒尤好《齊生》○一方加有自然銅白附子檳羌活白芷川芎各一兩地龍沒藥雄黃各五錢服法亦同治白虎歷節風走痛《直指》

호골산(虎骨散)

역절풍(歷節風)으로 여러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여기저기가 아픈 것과 이것이 오래되어 풍독(風毒) 생겨 골수로 들어가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골수가 아픈 데도 약을 쓴다고 하였다.

범뼈(호골, 연유( ) 발라 구운 ) 80g, 백화사육(白花蛇肉), 천마, 방풍, 쇠무릎(우슬), 백강잠(닦은 ), 당귀(술에 담갔던 ), 유향, 계심 각각 40g, 전갈(닦은 ), 감초(닦은 ) 각각 2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먹는다. 두림주에 타서 먹으면 좋다[제생].

어떤 처방에는 자연동, 노랑돌쩌귀(백부자), 빈랑,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 각각 40g, 지렁이(지룡), 몰약, 석웅황(웅황) 각각 20g 있다. 먹는 방법은 위와 같다. 백호역절풍으로 여기저기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직지].

加減虎骨散

治白虎歷節痛晝夜不止虎脛骨三兩沒藥五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入門》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으로 아픈 것이 밤낮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범정갱이뼈(虎脛骨) 120g, 몰약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麝香元

治白虎歷節疼痛遊走無定狀如行晝靜夜劇川烏大者三箇全蝎二十一箇地龍生五錢黑豆生二錢半麝香一字右爲末米糊和丸菉豆大空心溫酒下七丸或十丸出汗便差《得效》

사향원(麝香元)

백호역절풍으로 일정한 곳이 없이 여기저기가 아프고 마치 벌레가 다니는 같은 것이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한 것을 치료한다.

오두(천오, ) 3, 전갈 21, 지렁이(지룡, ) 20g, 검정콩(흑두, 생것) 10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10알씩 빈속에 데운 술에 풀어 먹고 땀을 내면 낫는다[득효].

乳香黑虎丹

治諸風寒濕骨節渾身疼痛立效草烏五兩蒼朮三兩白芷五靈脂羌活當歸川芎自然銅醋七次各二兩乳香一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百草霜爲衣臨睡溫酒下五丸或七丸忌食熱物《十三方》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 () 사기로 생긴 역절풍 때에 뼈마디와 온몸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효과가 좋다.

바꽃(초오) 200g, 삽주(창출) 120g, 구릿대(백지), 오령지, 강호리(강활), 당귀, 궁궁이(천궁), 자연동(自然銅,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7 ) 각각 80g, 유향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백초상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 이때에는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십삼방].

乳香定痛丸

治遍身骨節痛蒼朮二兩川烏當歸川芎各一兩丁香五錢乳香沒藥各三錢右末棗肉和丸梧子大溫酒呑下五六十丸《醫鑑》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0g, 오두(천오, 싸서 구운 ),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40g, 정향 20g, 유향, 몰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의감].

捉虎丹

治一切痛風走注矒矑麻木白虎歷節及寒濕脚氣(方見足部)

착호단(捉虎丹)

일체 통풍(痛風)으로 여기저기가 아프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감각이 둔해지는 것과 백호역절풍, 한습(寒濕)으로 생긴 각기(脚氣) 치료한다(처방은 발문에 있다).

靈仙除痛飮

治肢節腫痛痛屬火腫屬濕兼受風寒而發動於經絡之中濕熱流注於肢節之間麻黃赤芍藥各一錢防風荊芥羌活獨活威靈仙白芷蒼朮片芩酒炒枳實桔梗葛根川芎各五分當歸梢升麻甘草各三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一名麻黃芍藥湯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어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은 () 속하고 부어오르는 것은 () 속한다. 겸하여 풍한(風寒) 경락(經絡)에까지 들어가 작용하므로 습열(濕熱) 팔다리의 뼈마디 사이에 돌아다니는 것도 치료한다.

마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4g, 방풍, 형개,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으아리(위령선), 구릿대(백지), 삽주(창출),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지실, 도라지(길경), 칡뿌리(갈근), 궁궁이(천궁) 각각 2g, 당귀(잔뿌리), 승마,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일명 마황작약탕(麻黃芍藥湯)이라고도 한다.

半夏芩朮湯

治濕痰流注肩臂痛蒼朮二錢白朮一錢半半夏南星香附子片芩酒炒各一錢陳皮赤茯各五分威靈仙三分甘草二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一方有羌活《丹心》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습담(濕痰) 돌아다녀 어깨와 팔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흰삽주(백출) 6g, 끼무릇(반하), 천남성, 향부자,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각각 4g,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g, 으아리(위령선)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강호리(강활) 있다[단심].

拈痛散

烙痛風羌活獨活細辛肉桂防風白朮良薑麻黃天麻川烏吳茱萸乳香川椒全蝎當歸各五錢白薑二錢半右粗末每一兩或一兩半鹽一升同炒極熱絹袋盛烙痛處冷則易或炒用之《寶鑑》

점통산(拈痛散)

통풍(痛風) 때에 찜질하는 것이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족두리풀(세신), 육계, 방풍, 흰삽주(백출), 양강, 마황, 천마, 오두(천오), 오수유, 유향, 조피열매(천초), 전갈, 당귀 각각 20g, 건강 1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0-60g 소금 1되와 함께 뜨겁게 볶아 비단주머니에 넣어 아픈 곳에 찜질한다. 식으면 바꾼다. 다시 볶아 쓰기도 한다[보감].

當歸散

烙寒濕痛風防風當歸藁本獨活荊芥穗荊葉各一兩右粗末一兩鹽四兩同炒熱袋盛之冷則易《醫林》○宜去荊葉代椒葉亦佳

당귀산(當歸散)

한습(寒濕)으로 생긴 통풍 때에 찜질하는 것이다.

방풍, 당귀, 고본, 따두릅(독활), 형개수(荊芥穗), 난형잎(頑荊葉)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0g 소금 160g 함께 뜨겁게 볶아 비단주머니에 넣어 아픈 곳에 찜질한다. 식으면 바꾼다[의림].

난형잎 대신에 조피나무잎(椒葉) 쓰는 것도 좋다.

禁忌法

凡味酸傷筋則緩味鹹傷骨則令人發熱變爲痛痺麻木等證愼疾者須戒魚腥醬酒醋肉屬陽大能助火亦可量喫痛風諸痺皆然《入門》

금기법(禁忌法)/

대체로 맛이 것은 힘줄을 상하게 하여 늘어지게 하고 맛이 것은 뼈를 상하게 하여 여위게 하며 열이 나게 하고 통비(痛痺) 감각이 둔해지는 등으로 변하게 한다. 병에 걸리지 않게 하려면 반드시 물고기, 비린 냄새 나는 , 국수, , , 식초를 먹지 말아야 한다. 고기는 () 속하고 () 몹시 도와주기 때문에 역시 참작해서 먹어야 한다. 통풍이나 여러 가지 비증(痺證) 때도 이와 같이 하면 된다[입문].

破傷風病因

破傷風者多由亡血筋無所營故邪得以襲之所以傷寒汗下過多與夫病瘡人及産後致斯病者可見矣《三因》○破傷風者初因擊破皮肉視爲尋常殊不知風邪乘虛而襲變爲惡候或諸瘡久不合口風邪內襲或用湯淋洗或着艾焚灸其火毒之氣亦與破傷風邪無異也其證寒熱間作甚則口目斜身體强直如角弓反張之狀死在朝夕《正傳》○病者是難治也多是血氣內虛風痰盛而成病凡傷寒雜病汗吐後入風亦成病大發濕家汗亦成發瘡家汗亦成産後去血多亦成有跌打傷瘡口未合貫風者亦成此名破傷風也《回春》○破傷風有四因一者卒暴傷損風邪襲虛二者諸瘡湯洗艾灸逼毒妄行三者瘡口不合貼膏留孔風襲四者熱鬱遍身白痂瘡口閉塞氣難通泄傳播經絡《入門》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파상풍은 흔히 피를 흘려서 힘줄을 영양하지 못할 때에 사기가 침습하면 생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 때에는 지나치게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상처가 있는 사람과 뒤에 생기는 것을 있다[삼인].

파상풍(破傷風) 처음 피부가 살이 상했을 심상하게 여긴 탓으로 풍사(風邪) 허한 틈을 타서 침습하여 나쁜 증으로 변하였거나 모든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아서 풍사(風邪) 속으로 들어가면 생기게 된다. 더운물에 씻거나 뜸뜰 생기는 화독(火毒) 기운도 역시 파상풍의 사기(邪氣) 다름이 없다. 증상은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심하면 이를 악물고 눈이 비뚤어지며 몸이 뻣뻣해지면서 뒤로 잦혀지는 것인데 하루도 가서 죽는다[정전].

치병( ) 치료하기 어렵다. 흔히 속에 혈기(血氣) ()하고 풍담(風痰) ()하면 치병이 된다. 대체로 상한이나 잡병 땀을 내거나 토하게 다음에 풍사가 들어가도 치병이 생기고 () 많은 환자가 땀을 내어도 치병이 생기며 상처가 있는 환자가 땀을 내어도 또한 치병이 생기고 뒤에 지나치게 피를 흘려도 또한 치병이 생기며 타박을 당한 상처가 아물지 못하였는데 풍사를 받아도 역시 치병이 생긴다. 이것들을 파상풍이라고 한다[회춘].

파상풍의 원인에는 4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갑자기 심한 상처를 입은 뒤에 풍사(風邪) 허한 틈을 타서 침범한 것이고 둘째는 여러 가지 상처를 더운 물로 씻거나 뜸을 떠서 독을 모아 퍼지게 것이며 셋째는 상처가 아물지 않아 고약을 붙여 두어 풍사가 침범한 것이고 넷째는 온몸에 열이 나면서 흰딱지가 앉아 상처구멍을 막아서 병기운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경락(經絡)으로 퍼져들어간 등이다㈜[입문].

[] 파상풍은 파상풍균(혐기성간균) 침범하여 심한 강직성경련을 주증상으로 하는 급성전염성질병이다. 당시 과학발전의 제한성으로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하고 피를 흘렸을 사기가 침범하여 생기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眙與痙通稱破傷風

痙者筋勁强直而不柔和也《河間》○病者口角弓反張者是也《丹心》

치와 경을 일반적으로 파상풍이라고 한다[ 與痙通稱破傷風]

경은 힘줄이 몹시 뻣뻣해지면서 부드럽지 못한 것이다[하간].

치병( ) 이를 악물고 활등처럼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이다[단심].

破傷風形證

夫人之筋各隨經絡結束於身血氣內虛外爲風寒濕熱之氣所中則成故寒則緊縮熱則弛張風則弦急濕則弛緩風散氣故有汗而不惡寒寒澁血故無汗而惡寒熱消氣故爲喡犍濕溢血故爲緩弱經所謂大筋短小筋弛張皆濕熱不攘之所爲也原其所因多由亡血筋無所營故邪得以襲之所以傷寒汗下過多與夫病瘡人及産後致斯病可見矣《三因》○筋相引而急名曰喡犍俗謂之是也《綱目》○諸熱惵喡皆屬于火熱勝風搏倂于經絡風主動而不寧風火相乘是以惵喡生矣治宜風滌熱之劑折其火熱可立愈若妄加艾火或發其表則邪不旋踵《河間》

파상풍의 증상[破傷風形證]

사람의 힘줄은 해당한 경락을 따라 몸에 결속되어 있다. 속으로 혈기(血氣) 허해졌는데 겉으로부터 (), (), (), () 사기가 침범하면 치병( ) 된다. 그러므로 한사가 침범하면 바짝 조여들고 열이 침범하면 늘어지며 풍사(風邪) 침범하면 팽팽하게 당기고 습사(濕邪) 침범하면 늘어진다. 풍사는 기를 흩어지게 하기 때문에 땀이 나고 오한(惡寒) 없으며 한사(寒邪) () 돌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땀이 나지 않고 오한이 있으며 열사(熱邪) 기를 없어지게 하기 때문에 졸아들게 하거나 늘어지게 하고 습사는 피를 넘쳐나게 하기 때문에 늘어지게 하고 약해지게 한다. 『내경』에 “큰 힘줄이 졸아들고 작은 힘줄이 늘어지는 것은 습열(濕熱) 것이다. 원인은 흔히 피를 많이 흘려서 힘줄을 영양하지 못하여 사기가 침범했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상한 때에 지나치게 땀을 냈거나 설사시켰거나 상처가 있거나 뒤에 이런 병이 생길 있다[삼인].

힘줄이 서로 땅겨서 졸아드는 것을 계종( )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민간에서 팔다리에 경련이 일어 힘줄이 땅긴다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강목].

여러 가지 열로 눈이 텁텁하고 팔다리가 가드라드는 것은 () 속한다. 열이 성한데 풍사가 겹쳐서 경락(經絡)으로 들어가면 풍사는 주로 동하면서 안정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풍이 화와 서로 부딪친다. 그러므로 눈이 텁텁하고 팔다리가 가드라들게 된다. 이런 때에는 () 몰아내고 열이 내리게 하는 약을 먹어서 화열(火熱) 없애면 낫는다. 만일 뜸을 잘못 뜨거나 땀을 내면 죽는다[하간].

破傷風

眙怴按之緊如弦直上下行《仲景》○眙怴皆伏沈弦緊《三因》○眙怴弦直或沈細些汗後欲解潑如蛇弦緊尙可伏堅傷嗟《回春》○眙怴浮而無力太陽也長而有力陽明也浮而弦小少陽也《正傳》○凡眙怴如雨散出指外者立死《入門》

파상풍의 맥상[破傷風脈]

치병( ) 때에 맥을 짚어보면 ()하여 마치 활줄과 같다[중경].

치병 때의 맥은 모두 (), (), (), ()하다[삼인].

치병 때의 맥은 활줄과 같이 곧고 침세(沈細)하다. 땀을 내어 병이 풀리려고 때에는 맥이 뱀이 기어가는 것같다. 맥이 현하고 긴한 것은 나을 있으나 복하고 견한 것은 낫지 않으려는 맥이다[회춘].

치병 때의 맥이 ()하면서 힘이 없는 것은 태양병(太陽病)이고 맥이 ()하면서 힘이 있는 것은 양명병(陽明病)이며 부하면서 현소(弦小) 것은 소양병(小陽病)이다[정전].

대체로 치병 맥이 마치 비가 뿌리는 같으면서 손가락 밖으로 흩어져 나가는 것은 죽는다[입문].

破傷風治法

破傷風者諸瘡久不合口因熱甚鬱結而榮衛不得宣通熱因之遍體故多白痂是時瘡口閉塞氣難宣通故熱甚而生風也先辨瘡口平無汁者中風也邊自出黃水者中水也欲作急治之又痛不在瘡處者傷經絡亦死證也初覺瘡腫起白痂身寒熱急用玉眞散貼之傷在頭面急用水調膏和雄黃付瘡上腫漸消爲度若腰脊反張四肢强直牙通身冷不知人急用蜈蚣細末擦牙吐出涎沫立甦亦宜按摩導引《綱目》○痙病口禁背反張速灌小續命湯《資生》○若眼牽澇琜手足戰搖伸縮者是風痰若身冷手足冷沈細名爲陰俱宜參歸養榮湯若身熱喘嗽生痰滑數名爲痰火宜用瓜蔞枳實湯不可全用風藥散氣死之速矣《回春》○破傷風如在表則辛以散之在裏則苦以下之兼散之汗下後通利榮血逐風邪防風通聖散(方見風門)一兩加荊芥穗大黃各二錢煎水調全蝎末羌活末各一錢服之《河間》○破傷風多死宜用防風全蝎之類全蝎散最妙《入門》○破傷風口圦夝肢體反張須臾欲死宜用全蝎散大蜈蚣散風盛者二烏丸風痰者玉眞散烏蛇散手足戰掉宜朱砂指甲散血凝昏悶者烏鴉散《入門》○破傷風宜用香膠散一字散退風散○大凡破傷風在頭面則白芷爲君防風頭佐之在身體及四肢則以防風爲君隨身梢用在下部則以獨活佐之《丹心》○諸瘡欲變宜急風散防風散發汗多成宜防風當歸散亡血多成宜當歸地黃湯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파상풍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았는데 열이 몹시 몰려서 영위(榮衛) 통하지 못하거나 모였던 () 온몸에 퍼지면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 상처에 딱지가 앉는다. 그리고 상처의 구멍이 막혀서 기운이 나가지 못하면 열이 심해지면서 풍이 생긴다. 먼저 상처를 보아 헌데자리가 펀펀하고 진물이 없는 것은 중풍(中風)이고 상처 둘레에서 누런 진물이 나오는 것은 중수(中水)㈜이다. 이런 것은 치병( ) 되려는 것이기 때문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상처가 아프지 않는 것은 경락(經絡) 상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 역시 죽을 증상이다. 상처가 부어나기 시작할 때에 딱지가 일어나고 오한(惡寒) 나며 열이 나면 빨리 옥진산을 붙여야 한다. 상처가 머리나 얼굴에 생겼을 때에는 빨리 수조고에 석웅황(웅황) 섞어서 붙여야 하는데 부은 상처가 내릴 때까지 붙인다. 만일 허리가 뒤로 잦혀지고 팔다리가 뻣뻣하며 이를 악물고 온몸이 차면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할 때에는 빨리 왕지네(오공) 보드랍게 가루내어 잇몸에 문질러 주면 거품침을 토하면서 깨어난다. 두드리기[按摩] 도인법(導引法) 쓰는 것도 좋다[강목].

[] 중수(中水) : 물에서 독을 받아 생긴 병을 말하는데 중계 또는 계독이라고도 한다.

경병(痙病)으로 이를 악물고 등이 뒤로 잦혀지면 빨리 소속명탕을 먹여야 한다[자생].

눈과 입이 비뚤어지고 손발이 떨리면서 오그렸다 폈다 하는 것은 풍담(風痰)으로 치병이다. 그리고 몸과 손발이 차고 맥이 침세(沈細) 것은 음치( )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삼귀양영탕을 쓴다. 만일 몸이 달고[] 숨이 차며 기침하면서 가래가 나오고 맥이 활삭(滑數) 것은 담화치(痰火 )라고 한다. 이런 데는 과루지실탕을 쓰고 풍을 치료하는 약만을 주로 써서 기가 흩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빨리 죽을 있다[회춘].

파상풍이 만일 () 있으면 맛이 매운 약으로 발산시키고 이에 있으면 약으로 설사시키면서 겸해서 발산시켜야 한다. 땀을 내고 설사를 시킨 다음에 영혈(榮血) 돌게 하고 풍사를 몰아내려면 방풍통성산(처방은 풍문에 있다) 40g 형개수, 대황 각각 8g 넣어 달인 물에 전갈가루, 강호리가루(강활말) 각각 4g 타서 먹는다[하간].

파상풍(破傷風) 걸리면 흔히 죽는데 방풍이나 전갈 같은 것을 쓰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전갈산이 제일 좋다[입문].

파상풍으로 입이 비뚤어지고 이를 악물며 팔다리와 몸이 뒤로 잦혀지면서 죽을 같은 데는 전갈산이나 대오공산을 쓴다. 풍이 성하면 이오한을 쓰고 풍담(風痰) 있으면 옥진산이나 오사산을 쓰고 손발이 떨리면 주사지갑산을 쓰며 () 돌지 못하여 정신을 잃었으면 오아산을 쓴다[입문].

파상풍에는 향교산, 일자산, 퇴풍산을 쓴다.

대체로 머리와 얼굴에 병이 있어서 생긴 파상풍 때에는 구릿대(백지) 주약으로 하고 방풍, 노두를 좌약(佐藥)으로 하며 몸과 팔다리에 병이 있어서 생긴 파상풍 때에는 방풍을 주약으로 하여 쓰는데 병이 생긴 부위에 따라 약의 원체와 잔뿌리를 맞추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따두릅(독활) 좌약으로 쓴다[단심].

여러 가지 상처가 전변되어 치병( ) 되려고 때에는 급풍산이나 방풍산을 쓴다. 땀을 몹시 내어 치병이 데는 방풍당귀산을 쓴다. 피를 지나치게 흘려서[亡血] 치병이 되었을 때에는 당귀지황탕을 쓴다.

玉眞散

治破傷風口身强直防風天南星等分爲末每二錢薑汁和溫酒調服以滓付瘡口上口者童便調下南星爲防風所制服之不麻可以開關定《回春》○一名定風散《醫鑑》

옥진산(玉眞散)

파상풍(破傷風)으로 이를 악물고 온몸이 뻣뻣해진 것을 치료한다.

방풍, 천남성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생강즙을 것으로 먹고 찌꺼기는 상처에 붙인다.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물에 타서 먹는다. 천남성은 방풍의 억누르는 작용을 받기 때문에 먹어도 아리지 않고 이를 악문 것을 풀어 주며 경련을 멎게 한다[회춘].

일명 정풍산(定風散)이라고도 한다[의감].

水調膏

治破傷風發熱紅腫風邪欲傳經絡而未深入者杏仁硏爲泥白等分新汲水調成膏塗傷腫處卽腫消熱退神驗《醫鑑》

수조고(水調膏)

파상풍으로 열이 나고 벌겋게 부어오르며 풍사(風邪) 경락(經絡) 들어갔으나 아직 깊이 들어가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풀지게 ), 밀가루( )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새로 길어온 물에 개어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상처에 붙이면 부은 것이 내리고 열도 신통하게 내린다[의감].

參歸養榮湯

治風痰人參當歸川芎白芍藥熟地黃白朮白茯陳皮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

풍담치(風痰 ) 음치( ) 치료한다.

인삼,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瓜蔞枳實湯

治痰火瓜蔞仁枳實貝母桔梗片芩陳皮梔子茯麥門冬人參當歸蘇子各八分甘草三分右作一貼入薑三片煎和竹瀝薑汁服《回春》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담화치(痰火 ) 치료한다.

하늘타리씨(과루인), 지실, 패모,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황금), 귤껍질(陳皮), 산치자, 흰솔풍령(백복령), 맥문동, 인삼, 당귀, 차조기씨(자소자) 각각 3.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인 다음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全蝎散

治破傷風口圦夝肢體反張須臾欲死蝎梢七箇爲末熱酒調服日三凡患破傷風非此不除《入門》

전갈산(全蝎散)

파상풍(破傷風)으로 입이 비뚤어지고 이를 악물며 팔다리와 몸이 뒤로 잦혀지면서 죽을 것같이 것을 치료한다.

전갈꼬리(蝎梢) 7.

위의 약을 가루내어 따끈한 술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는다. 파상풍은 약이 아니면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大蜈蚣散

治破傷風紩媛反張蜈蚣二條魚炒左蟠龍炒烟盡各五錢右爲末每二錢以防風煎湯調服服此不解覺轉入裏當服左龍丸《綱目》○一方蜈蚣一條江三錢爲末每一錢防風羌活煎湯調下《入門》○一方口身反張不省人蜈蚣一條全蝎炒二箇右爲末擦牙內或吹鼻中名曰小蜈蚣散《丹心》

대오공산[大蜈蚣散]

파상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고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2마리, 부레( , 볶은 ), 야합분(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닦은 )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방풍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약을 먹어도 풀리지 않고 속으로 들어가면 좌룡환을 먹는다[강목].

어떤 처방에는 왕지네(오공) 1마리, 부레(어표) 12g으로 되어 있는데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방풍과 강호리(강활)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어떤 처방은 이를 악물고 몸이 뒤로 잦혀지면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게 되어 있는데 왕지네(오공) 1마리, 전갈(닦은 ) 2마리를 가루내어 잇몸에 문지르거나 코에 불어넣는다. 이것을 일명 소오공산(小蜈蚣散)이라고도 한다[단심].

二烏丸

治破傷風角弓反張牙關緊急生川烏白芷天麻各二錢生草烏雄黃各一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溫酒下十丸《入門》○一名奪命丸《丹心》

이오환(二烏丸)

파상풍(破傷風)으로 몸이 뒤로 잦혀지고 이를 악문 것을 치료한다.

오두(생것), 구릿대(백지), 천마 각각 8g, 바꽃(초오, 생것), 석웅황(웅황)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입문].

일명 탈명환(奪命丸)이라고도 한다[단심].

烏蛇散

治破傷風痰盛烏蛇六錢麻黃一兩草烏乾薑附子川芎白附子天麻各五錢蝎梢二錢半右爲末每一錢熱酒調日三服《入門》

오사산(烏蛇散)

파상풍으로 () 성한 것은 치료한다.

오사 24g, 마황 40g, 바꽃(초오, 싸서 구운 ), 건강, 부자(싸서 구운 ), 궁궁이(천궁),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마 각각 20g, 전갈꼬리(蝎梢)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따끈한 술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는다[입문].

朱砂指甲散

治破傷風手足戰掉不已朱砂水飛天南星薑製獨活各二錢人手足爪甲燒存性六錢右爲末分作三貼熱酒調下立效《入門》

주사지갑산(朱砂指甲散)

파상풍(破傷風)으로 손발이 계속 떨리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수비한 ), 천남성(생강즙으로 법제한 ), 따두릅(독활)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3첩으로 나누어 따끈한 술에 타서 먹는다[입문].

烏鴉散

治破傷風血凝昏悶烏鴉翎燒灰酒調一錢服服後飮酒一二盞以助藥勢《丹心》

오아산(烏鴉散)

파상풍으로 피가 돌지 않아 정신이 어렴풋하고 답답해하는 것을 치료한다.

까마귀의 .

위의 약을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g 술에 타서 먹고 다시 술을 1-2잔을 마시어 기운을 도와준다[단심].

香膠散

治破傷風口身强直魚膠燒十分留性麝香少許右細末每二錢熱酒米飮任下《得效》

향교산(香膠散)

파상풍으로 이를 악물고 몸이 뻣뻣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부레(어표, 약성이 남게 태운 ), 사향 적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따끈한 술이나 미음에 타서 먹는다[득효].

一字散

治破傷風急者金頭蜈蚣一條灸天麻草烏各五錢全蝎十箇白芷一錢右爲末每一字發熱茶淸調下發寒溫酒調下《丹心》

일자산(一字散)

파상풍으로 위급하게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대가리가 금빛나는 것으로 굽는다) 1마리, 천마, 바꽃(초오) 각각 20g, 전갈 10, 구릿대(백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g 먹는데 열이 나면 찻물에 타서 먹고 오한이 나면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退風散

治破傷風不省人事防風天麻白芷麻黃赤茯當歸各一錢薄荷七分荊芥白蠶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寶鑑》

퇴풍산(退風散)

파상풍으로 정신을 잃은 것을 치료한다.

방풍, 천마, 구릿대(백지), 마황, 벌건솔풍령(적복령), 당귀 각각 4g, 박하 2.8g, 형개, 백강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急風散

治久新諸瘡傳變爲破傷風麝香一字朱砂一兩生黑豆二錢半草烏三兩半生用半焙存性米醋同右爲末酒調半錢服之神效《得效》

급풍산(急風散)

오래되었거나 생긴 상처가 전변되어 파상풍이 것을 치료한다.

사향 1g, 주사 40g, 검정콩(흑두, ) 10g, 바꽃(초오, 절반은 생것, 절반은 약한 불에서 약성이 남게 구워 쌀초에 담갔던 )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 술에 타서 먹는다[득효].

防風當歸散

治發汗過多成防風當歸川芎生地黃各二錢半右作一貼水煎服《正傳》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

땀을 지나치게 내어 치병( ) 것을 치료한다.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생지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當歸地黃湯

治亡血過多變成破傷風宜養血當歸地黃芍藥川芎藁本防風白芷各一錢細辛五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

피를 지나치게 흘려서 파상풍(破傷風) 것을 치료한다. 혈이 생겨나게 하는 좋다.

당귀, 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고본, 방풍, 구릿대(백지)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破傷風有在表在裏半表半裏三者之不同故不離乎汗下和三法也《正傳》○發汗過多因致身熱足寒項强頭搖口背反張者太陽也無汗宜汗之有汗宜止之若頭低視下手足牽引膝相者陽明也若一目或左右視幷一手一足紩媛者少陽也《海藏》○背後者太陽也身前者陽明也兩傍者少陽也《河間》○河間曰太陽宜汗陽明宜下少陽宜和若明此三法而不中病者未之有也《正傳》○按河間只論三陽而不論三陰者盖傳入陰經其證已危若腹滿自利口燥咽乾舌卷卵縮皆無可生之理故置而不論也《正傳》○破傷風在表則以辛熱發散之宜防風湯羌活防風湯小續命湯(方見上)九味羌活湯(方見寒門)在半表半裏以辛凉和解之宜羌麻湯防風通聖散(方見上)在裏則以寒藥下之宜小芎黃湯大芎黃湯左龍丸《河間》○破傷風雖宜發汗若自汗多則宜用白朮湯白朮防風湯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파상풍은 () 있는 , () 있는 , 반표반리(半表半裏) 있는 3가지가 있다. 그러므로 치료방법도 땀내는 방법, 설사시키는 방법, 화해시키는 방법 3가지 방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정전].

지나치게 땀을 내면 치병이 된다. 몸에 열이 나고 발은 차며 목은 뻣뻣하고 머리가 흔들리며 이를 악물고 잔등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태양경(太陽經) 속한 치병( )이다. 그러므로 이때에 땀이 나지 않으면 땀을 내고 땀이 나면 멎게 해야 한다. 만일 머리를 숙이고 아래만 보고 손발이 당기고 팔굽과 무릎이 비틀리는 것은 양명경(陽明經) 속한 치병이다. 만일 한쪽 눈으로 오른쪽만 보거나 왼쪽만을 보며 한쪽 손이나 한쪽 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것은 소양경(少陽經) 속한 치병이다[해장].

경련이 일어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태양경 치병이고 몸이 앞으로 가드라드는 것은 양명경 치병이며 몸이 양쪽 옆으로 가드라드는 것은 소양경 치병이다[하간].

하간(河間) “태양경병 때에는 땀을 내고 양명경병 때에는 설사시키며 소양경병 때에는 화해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만일 3가지 방법을 알면 병에 맞게 치료할 있다[정전].

하간이 3(三陽) 대해서만 말하고 3(三陰) 대하여 말하지 않은 것은 병이 음경으로 들어가면 증은 이미 위태해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만일 배가 그득해지고 설사하며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혀가 말려들며 음낭이 졸아들면 살지 못하기 때문에 이것은 말하지 않았다[정전].

파상풍이 () 있으면 맛이 맵고 성질이 더운 약으로 발산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방풍탕, 강활방풍탕, 소속명탕(小續命湯, 처방은 위에 있다),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쓴다. 그리고 병이 반표반리에 있으면 맛이 맵고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화해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강마탕, 방풍통성산(方風通聖散, 처방은 위에 있다) 쓴다. 병이 () 있으면 성질이 약으로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소궁황탕, 대궁황탕, 좌룡환을 쓴다[하간].

파상풍 때에는 땀을 내는 것이 좋지만 저절로 땀이 많이 나오면 백출탕이나 백출방풍탕을 쓴다.

防風湯

治破傷風在表未入裏急服此藥防風羌活獨活川芎各一錢二分半右作一貼煎水調小蜈蚣散服之大效《正傳》

방풍탕(防風湯)

파상풍이 () 있고 () 들어가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데 빨리 약을 써야 한다.

방풍,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궁궁이(천궁)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달인 다음 소오공산을 타서 먹으면 효과가 많다[정전].

羌活防風湯

治破傷風初傳在表羌活防風川芎白芍藥藁本當歸甘草各一錢地楡細辛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正傳》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파상풍이 처음 생겨서 () 있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고본, 당귀, 감초 각각 4g, 오이풀뿌리(지유), 족두리풀(세신)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羌麻湯

治破傷風在半表半裏無汗羌活麻黃甘菊川芎石膏防風前胡黃芩細辛枳殼白茯蔓荊子甘草各七分白芷薄荷各五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入門》

강마탕(羌麻湯)

파상풍이 반표반리(半表半裏) 있으면서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마황, 단국화(감국), 궁궁이(천궁), 석고, 방풍, 전호, 속썩은풀(황금), 족두리풀(세신), 지각, 흰솔풍령(백복령), 순비기열매(만형자), 감초 각각 2.8g, 구릿대(백지), 박하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小芎黃湯

治破傷風入裏猶有表熱川芎三錢黃芩二錢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二三服後用大芎黃湯《正傳》

소궁황탕(小芎黃湯)

파상풍이 () 들어갔으나 () 열이 남아 있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12g, 속썩은풀(황금) 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2-3첩을 먹은 다음에는 대궁황탕을 쓴다[정전].

大芎黃湯

治破傷風入裏二便秘小便赤自汗不止川芎一錢大黃羌活黃芩各二錢右作一貼水煎服以下之微利爲度《入門》

대궁황탕(大芎黃湯)

파상풍이 () 들어가서 대소변이 나오지 않고 오줌이 벌거며 저절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4g, 대황,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약간 설사가 때까지 쓴다[입문].

左龍丸

治破傷風入裏發目直視二便秘澁宜此下之野糞炒一名左蟠龍江燒白蠶各五錢雄黃一錢蜈蚣二條天麻二錢右爲末分作三貼先將二貼燒飯爲丸梧子大朱砂爲衣次將一貼加巴豆霜半錢飯丸梧子大每用朱砂丸子二十丸加巴豆丸子一丸二服加二丸溫酒呑下至便利爲度只服朱砂丸病愈卽止之若紩眙不已宜服羌麻湯《入門丹心》○一名江丸《入門》

좌룡환(左龍丸)

파상풍이 () 들어가서 경련이 일어나고 눈을 곧추 뜨며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설사가 때까지 쓴다.

야합분(좌반룡(左蟠龍)이라고도 하는데 닦아서 쓴다), 부레(어표, 태운 ), 백강잠 각각 20g, 석웅황(웅황) 4g, 왕지네(오공) 2마리, 천마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3첩으로 나누어 먼저 2첩은 밥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겉에 입힌다. 그리고 1첩분에는 파두상 2g 넣은 다음 밥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먹는 방법은 주사가 20알과 파두가 1알을 섞어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다음부터는 파두가 약을 2 넣어 데운 술로 먹는데 대변이 나갈 때까지 먹는다. 주사가 알약만 먹고도 병이 나으면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 만일 치병이 낫지 않으면 강마탕을 쓴다[입문, 단심].

일명 강표환( )이라고도 한다[입문].

白朮湯

治破傷風大汗不止筋攣紩媛白芍藥三錢白朮葛根各二錢升麻黃芩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丹心》

백출탕(白朮湯)

파상풍(破傷風)으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며 힘줄이 가드라들면서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2g, 흰삽주(백출), 칡뿌리(갈근) 각각 8g, 승마,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白朮防風湯

治破傷風發汗過多自汗不止防風四錢白朮黃各二錢右作一貼水煎服《入門》

백출방풍탕(白朮防風湯)

파상풍으로 땀을 지나치게 내었거나 저절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1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眙有剛柔二證

證寒熱類傷寒但沈遲弦細搖頭露眼口手足紩媛項强背反張如發癎終日不醒爲異因傷寒發汗過多或大發濕家汗皆作風性勁故爲剛而無汗濕性緩故爲柔而有汗《入門》○無汗爲剛有汗爲柔《海藏》○剛柔二眙拄可與小續命湯(方見上)去麻黃有熱減半桂枝冬月去黃芩《海藏》○剛柔不分亦用小續命湯加生附子《入門》○剛之病胸滿口臥不着席脚攣急必齒可與大承氣湯(方見寒門)下之《仲景》○剛柔二通用九味羌活湯《入門》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 有剛柔二證]

치병 때에는 오한(惡寒) 나고 열이 나는 것이 상한(傷寒) 비슷하다. 맥이 (), (), (), ()하고 머리를 흔들며 눈알이 나오고 이를 악물며 손발이 오그라들고 목이 뻣뻣하며 잔등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전간(癲癎) 발작하는 것과 같으나 하루종일 정신이 깨어나지 못하는 것이 전간과 다르다. 상한 때에 땀을 지나치게 내거나 습이 많은 사람이 땀을 지나치게 내면 치병이 생긴다. () 성질은 세기 때문에 강치( ) 되고 땀이 나지 않으며 () 성질은 늘어졌기 때문에 유치( ) 되고 땀이 난다[입문].

땀이 나지 않는 것을 강치라고 하고 땀이 나는 것을 유치라고 한다[해장].

강치( ) 유치( ) 때에는 모두 소속명탕(처방은 위에 있다) 쓰는데 유치 때에는 마황을 빼고 쓰고 열이 있으면 계지의 양을 절반으로 줄여 쓰며 겨울에는 속썩은풀(황금) 빼고 쓴다[해장].

강치와 유치 때에는 소속명탕에 생부자를 넣어 쓴다[입문].

강치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이를 악물며 반듯하게 누워도 등뼈가 땅에 닿지 않고 다리가 가드라들며 이를 간다. 이때에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켜야 한다[중경].

강치와 유치 때에는 구미강활탕을 주로 쓴다[입문].

⼗眙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與癎不同癎病身軟時醒病身强直反張不時醒甚有昏冒而遂亡者《丹心》○與癎相似比癎爲虛切不可作風治而純用風藥宜帶補多是氣虛有火兼痰宜服參芎歸竹瀝之類《丹心》

치병은 간질과 비슷하나 실지는 다르므로 풍병으로 보고 치료해서는 된다[ 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치병( ) 간질(癎疾) 같지 않다. 간질 때에는 몸이 뻣뻣해지지 않고 정신을 잃었다가도 깨어나지만 치병 때에는 몸이 뻣뻣해지면서 뒤로 잦혀지며 깨어나지 못한다. 그리고 심하면 정신을 잃었다가 죽기까지 한다[단심].

치병과 간질은 비슷하나 치병은 간질보다 허한 증상이다. 그러므로 절대로 풍증으로 보고 순전히 풍을 치료하는 약만을 쓰지 말고 세게 보하는 약을 겸해 쓰는 것이 좋다. () ()하고 () () 있으면 인삼, 단너삼(황기), 궁궁이(천궁), 당귀, 참대기름(죽력) 등을 쓴다[단심].

破傷風凶證

病有灸瘡難治《仲景》○病戴眼反折喡犍汗出如珠或反張離席一掌許小兒離席二指許者皆死《入門》○破傷風宜早治若入藏則難治有四般死證不可治一者頭面靑黑色二者額上有汗珠不流三者眼小目四者身上汗出如油《回春》○太陽風之證始則發熱腹痛喘息涎浮次則牙緊頭搖十指微搖漸加項背强直轉側不仁甚者昏困失音目晴直視滑泄不禁身腰反張如此則十不救一《直指》○病目口開神氣昏冒不知人者斷死無疑也《回春》

파상풍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상[破傷風凶證]

치병( ) 뜸자리에 헌데[] 생기면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치병 때에는 눈을 치뜨고 몸이 뒤로 잦혀지며 팔다리에 경련이 일고 구슬땀을 흘리며 등을 뒤로 잦히고 눕는데 사이로 손바닥을 모로 세워 넣을 만한 사이가 생긴다. 어린이는 2손가락 너비만큼 사이가 생기면 죽는다[입문].

파상풍(破傷風) 제때에 치료해야 한다. 병이 5장에 들어가면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 이렇게 되면 죽을 있는 4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치료하지 못한다. 첫째는 머리와 얼굴이 검푸르게 되는 것이고 둘째는 이마에 구슬땀이 맺히는 것이며 셋째는 눈을 작게 곧추 뜨는 것이고 넷째는 몸에서 기름같은 땀이 나오는 것이다[회춘].

태양풍치(太陽風 )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는 몸에서 열이 나고 배가 아프며 숨이 차고 느침을 흘리다가 이를 악물고 머리를 흔들면서 열손가락을 약간씩 떤다. 그러다가 점차 목과 잔등이 뻣뻣해져서 돌아 눕기 힘들게 된다. 그리고 심하면 정신이 흐려지고 목이 쉬며 눈동자가 곧아지고 몸이 뒤로 잦혀지며 설사가 난다. 이와 같이 되면 10명에 1명도 살리지 못한다[직지].

치병 때에 눈을 곧추 뜨고 입을 벌리며 정신이 흐릿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회춘].

單方

凡三十七種有禦風膏五加皮酒竹瀝湯豆淋酒虎骨酒

단방(單方)/

모두 37가지(어풍고, 오갈피술, 죽력탕, 두림주, 호골주도 들어 있다)이다.

石灰

治中風口眼斜石灰一合醋炒調如泥右塗左左塗右候正卽洗去《本草》

석회(石灰)

중풍(中風)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1홉을 식초에 개어 볶아서 오른쪽으로 비뚤어졌으면 왼쪽에 바르고 왼쪽으로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에 바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제대로 되면 씻어버려야 한다[본초].

菖蒲

治三十六種風無不效取根浸酒或釀酒服法見雜方《本草》

창포(菖蒲, 석창포)

36가지 풍증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썰어서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술을 빚어서 먹는데 방법은 잡방(雜方) 있다[본초].

甘菊

治諸風及風眩取乾煮湯飮之或浸酒或釀酒服釀法見雜方《本草》

감국(甘菊, 단국화)

모든 풍증과 ()으로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말려서 달여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술을 빚어 먹는다. 술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본초].

白朮

治一切風及痺或中風口不省朮四兩酒三升煮取一升頓服之《本草》

백출(白朮, 흰삽주)

모든 풍증과 저리면서 감각이 없는 , 중풍으로 이를 악물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60g 3되에 넣고 1되가 되게 달여서 단번에 먹는다[본초].

獨活羌活

獨活治下部風羌活治上部風療一切風百節風取一兩酒煎服○中風口不省獨活一兩酒二升煎至一升黑豆五合炒熱投酒中盖定良久取溫服之《本草》

독활(獨活, 따두릅)

아랫도리에 생긴 풍증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윗도리에 생긴 모든 풍증을 치료한다. 또한 여러 가지 풍증(風證) 백절풍(百節風)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40g 썰어서 술에 달여 먹는다.

중풍으로 이를 악물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데는 따두릅(독활) 40g 쓰는데 썰어서 2되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여기에 검정콩(흑두) 5홉을 뜨겁게 닦아서 놓고 한참동안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따뜻하게 것을 먹는다[본초].

防風

分頭身梢治上中下部風邪○治三十六種風療風最要一兩酒水煎服《本草》

방풍(防風)

노두, 몸통, 잔뿌리는 각기 상부(上部), 중부(中部), 하부(下部) 생긴 풍증을 치료한다.

36가지 풍증을 치료하므로 풍증을 치료하는 없어서는 약이다. 40g 썰어서 물과 술을 섞은 넣고 달여 먹는다[본초].

蒼耳子

治一切風氣及風濕痺取子三兩爲末水一升半煎取七合溫服之又水煎如茶服《本草》

창이자(蒼耳子, 도꼬마리)

모든 풍기(風氣) 풍습비(風濕痺) 치료한다. 도꼬마리 120g 가루내어 1 5홉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또는 물에 달여서 차처럼 먹기도 한다[본초].

仙靈脾

治中風半身不遂取一斤袋盛浸二斗酒中日久取飮常令《本草》

선령비(仙靈脾, 팔파리)

중풍(中風)으로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팔파리(음양곽) 600g 썰어 명주주머니에 넣어서 2말에 며칠 동안 담가 두었다가 술을 취하도록 마신다[본초].

藁本

治一百六十種惡風又治頭風一兩水煎服《本草》

고본(藁本)

160가지 풍병과 두풍(頭風) 치료한다. 고본 40g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天麻

治諸風痺矒矑不遂其苗名定風草又名赤箭不爲風所動水煎服《本草》

천마(天麻)

여러 가지 풍증으로 저린 것과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마싹을 정풍초(定風草)라고도 하고 적전(赤箭)이라고도 한다.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에서 나온 이름이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摕麻子

治中風口眼斜取子去殼爛右塗左左塗右○一方硏塗在手心以一盂子置在手心麻子上用熟水置盂中候口眼正則急去之左右如上法用《本草》名禦風膏

비마자( 麻子, 아주까리씨)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아주까리씨(피마자) 껍질을 벗기고 짓찧어 쓰는데 오른쪽이 비뚤어졌으면 왼쪽에 바르고 왼쪽이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에 바른다.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갈아서 손바닥에 놓은 다음 뜨거운 물을 담은 쟁반을 위에 올려놓으면 입과 눈이 제대로 돌아선다. 그러면 빨리 씻어 버린다. 왼쪽이 비뚤어졌는가 오른쪽이 비뚤어졌는가에 따라 위에서와 같이 왼쪽이나 오른쪽 손바닥에 한다[본초].

일명 어풍고(禦風膏)라고도 한다.

稀簽

治中風久百醫不差五月五日摘其葉嫩枝酒蜜拌蒸九蒸九曝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久服則眼目淸明筋骨强健髮白更黑《本草》

희렴( , 진득찰)

중풍이 오래되어 온갖 치료를 하여도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음력 5 5일에 잎사귀와 연한 가지를 따서 술과 꿀에 버무려 아홉번 쪄서 아홉번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다음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몸이 든든해지며 희어졌던 머리털이 다시 검어진다[본초].

松葉

治中風口靑葉一斤令汁出淸酒一甁一宿浸置火邊初服半升漸至一升汗出卽正《本草》

송엽(松葉, 솔잎)

중풍으로 입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푸른 (靑葉) 600g 짓찧어 즙을 내어 청주 1병에 넣어 하룻밤 더운 곳에 두었다가 처음에는 300g 정도 먹고 점차 양을 늘려 1되까지 먹는다. 다음 땀을 내면 비뚤어졌던 것이 바로 선다[본초].

黃松節

治偏風口眼斜毒風筋攣骨痛浸酒服名松節酒(方見穀部)

황송절(黃松節, 소나무마디)

편풍(偏風)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과 독풍(毒風)으로 힘줄이 켕기고 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술에 우려서 먹는다. 이것을 일명 송절주(松節酒, 처방은 탕액편 곡식문에 있다)라고 한다.

五加皮

治風補虛又治風痺及痛風釀酒飮之名曰五加皮酒(方見穀部)《本草》○目僻眼有五花而自正卽五加皮也粗末酒浸飮之其目自正《雷公》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풍증을 치료하는데 허한 것을 보한다. 또한 풍비(風痺) 통풍(痛風) 치료한다. 술을 빚어 마시는데 이것을 일명 오갈피술(처방은 탕액편 곡식문에 있다)라고 한다[본초].

눈이 비뚤어진데 오갈피를 먹으면 눈이 바로 선다. 또한 오갈피를 거칠게 가루내어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눈이 바로 선다[뇌공].

桑枝茶

治偏風及一切風桑枝未生葉者炒水煎如茶每服一盞久服則終身不患偏風又可豫防風氣○霜後葉煮湯淋渫手足去風痺殊勝《本草》

상지다(桑枝茶, 뽕나무가지차)

편풍(偏風) 모든 풍증을 치료한다. 잎이 돋기 전의 뽕나무가지를 썰어서 물에 달여 차처럼 한번에 1잔씩 마신다. 오랫동안 마시면 일생동안 편풍(偏風)㈜에 걸리지 않고 또한 풍기(風氣) 미리 막을 있다.

서리맞은 잎을 달여서 물에 손발을 담그고 씻으면 풍비(風痺) 없애는데 아주 좋다[본초].

[] 편풍(偏風) : 한쪽이 풍을 맞은 중풍으로 한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과 입과 눈이 쪽으로 비뚤어진 것을 말한다.

서리맞은 잎을 달여서 물에 손발을 담그고 씻으면 풍비를 없애는데 아주 좋다[본초].

竹瀝

卒中風口不語煩悶竹瀝一升飮之連飮佳○破傷風欲死灌入二三升卽活《本草》○治風恍惚竹瀝二升生葛汁一升薑汁五合相和服名曰竹瀝湯《本草》

죽력(竹瀝, 참대기름)

졸중풍(卒中風)으로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여 안타깝게 답답해하는 것을 치료한다. 참대기름 1홉을 넣어 주는데 계속 먹이는 것이 좋다. 파상풍으로 죽은 것같이 것도 2-3홉을 넣어 주면 살아난다[본초].

풍비( ) 정신이 흐릿한 것을 치료하는 데는 참대기름 2홉과 생칡뿌리즙 1, 생강즙 5잔을 함께 타서 쓴다. 이것을 일명 죽력탕(竹瀝湯)이라고도 한다[본초].

⼒爣

治卒中風口不省莢末吹鼻取卽甦○中風口圦爣莢爲末醋調右塗左左塗右乾則易○中風不省取末和白礬末或半夏末薑汁調灌口吐痰卽醒《本草》

조협( , 주염열매)

졸중풍(卒中風)으로 이를 악물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주염열매를 가루내어 코에 불어넣어 주면 재채기를 하고 깨어난다.

중풍으로 입이 비뚤어졌을 주염열매가루를 식초에 개어 오른쪽이 비뚤어졌으면 왼쪽에 바르고 왼쪽이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에 바르는데 마르면 갈아 붙인다.

중풍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데는 주염열매가루를 백반가루나 끼무릇가루와 함께 생강즙에 개어 입에 넣어 주면 () 토하고 깨어난다[본초].

⼒昺

治中風口眼斜取魚大者以鍼刺頭上出血左斜塗右右斜塗左正則洗去放水中《得效》

선어( , 두렁허리)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졌을 때에는 두렁허리의 대가리를 침으로 찔러서 피를 받아 비뚤어진 곳에 바르는데 왼쪽이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에 바르고 오른쪽이 비뚤어졌으면 왼쪽에 바른다. 바로 서면 씻어버려야 한다. 그리고 두렁허리는 속에 놓아 준다[득효].

蜈蚣

治破傷風口身冷强直蜈蚣細末擦牙吐出涎沫立甦《綱目》

오공(蜈蚣, 왕지네)

파상풍(破傷風)으로 이를 악물고 몸이 싸늘하면서 뻣뻣해진 것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내어 이빨에 문지르면 느침을 흘리면서 깨어난다[강목].

⼒燞牄

治破傷風極有神效初覺急取糞堆內燞牄盤一二箇用手捏住待口中吐些少水就抹在破傷處身穿厚衣裳待片時瘡口覺麻兩脇微汗風出立效○如風緊急速取此三五箇剪去尾將內黃水塗瘡口再滴些少入熱酒飮之汗出立效《丹心》○又取此安瘡口上艾灸尾卽效《類聚》

제조( , 굼벵이)

파상풍(破傷風) 쓰면 효과가 아주 좋다. 병의 초기에 거름더미 속에 있던 굼벵이(제조) 1-2마리를 손으로 주물러 즙을 조금 토하게 다음 상처에 바른다. 다음 옷을 두텁게 입고 한참동안 있으면 상처가 저리고 양쪽 옆구리에서 약간 땀이 나면서 바람이 빠지고 낫는다.

만일 풍증(風證)으로 위급하면 빨리 굼벵이(제조) 3-5마리를 잡아서 꼬리를 잘라버리고 뱃속에 있는 누런 물을 상처에 바르고 따끈한 술에 조금 타서 마신 다음 땀을 내면 낫는다[단심].

또한 굼벵이(제조) 상처 위에 놓고 꼬리에 뜸을 떠도 낫는다[유취].

蠶沙

治風痺矒矑不仁取沙炒熱袋盛之冷卽易酒拌炒尤佳《本草》

잠사(蠶沙, 누에똥)

풍비(風痺)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감각이 둔해진 것을 치료한다. 누에똥을 뜨겁게 볶아서 주머니에 넣어 찜질하는데 식으면 바꾼다. 술에 버무려 볶아 쓰면 좋다[본초].

白花蛇

治一切風矒矑疼痛取蛇浸酒取酒飮又肉作末和酒服之○烏蛇治風尤勝《本草》

백화사(白花蛇, 살모사)

일체 ()으로 입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살모사를 술에 담가 우려서 술을 마신 다음 살모사고기를 가루내어 술에 타먹는다.

풍증을 치료하는 데는 오사가 좋다[본초].

杏仁

治諸瘡入風水紅腫欲成破傷風杏仁泥入白和水塗之卽消《本草》

행인(杏仁, 살구씨)

모든 상처에 바람과 물이 들어가 벌겋게 부어오르면서 파상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밀가루와 함께 물에 반죽하여 바르면 부은 것이 내린다[본초].

治中風失音不語煩熱取梨汁服一合日三○風疾入喫消梨不限多少旬日頓爽《本草》

(, )

중풍으로 목이 쉬어 말을 하지 못하고 번열(煩熱)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배즙을 한번에 1홉씩 하루에 세번 먹는다.

풍병이 있을 때에 배를 적당한 먹으면 10 일이 지나서 낫는다[본초].

黑豆

治中風口不語矒矑取豆炒令極熱授酒中飮之日三名曰豆淋酒《本草》

흑두(黑豆, 검정콩)

중풍(中風)으로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며 눈과 입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닦아서 뜨거운 채로 술병에 넣고 덮어 두었다가 술을 하루 세번 마신다. 이것을 일명 두림주(豆淋酒)라고도 한다[본초].

⼒瘳

主中風面目腫煮取汁飮之《本草》

총백( , 파밑)

중풍으로 얼굴이 부은 것을 치료하는데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荊芥

治中風痺及一切風煮汁飮之《本草》

형개(荊芥)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저린 것과 모든 풍증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薄荷

治中風失音不語及熱風煩悶生取汁飮之又煮汁服之《本草》

박하(薄荷)

중풍으로 목이 쉬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과 열풍(熱風)으로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박하즙을 내서 먹는데 달여 먹기도 한다[본초].

卽左蟠龍取乾者酒漬服或炒爲末酒調服二錢《本草》

야합분( )

이것이 바로 좌반룡(左蟠龍)이다. 술에 우려 먹거나 닦아서 가루내어 한번에 8g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烏鷄

治中風語澁及風寒濕痺取肉作羹入椒薑鹽油醬煮熟食之○糞主風身强直取屎白同黑豆炒熱浸酒服之《本草》

오계( , 검은닭)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과 (), (), ()으로 생긴 비증(痺證) 치료한다. 검은닭의 고기를 국을 끓이면서 , 후추, 생강, 소금, 간장, 기름을 넣고 익혀 먹는다.

오계분( ) () 주관한다. 치병으로 이를 악물고 몸이 뻣뻣해진데는 오계시백(屎白) 검정콩(흑두, 뜨겁게 닦은 ) 함께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治中風斜取生鵲劈開腹及血熱貼緩處卽正《俗方》○烏鷄亦可

(, 까치)

중풍으로 입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살아 있는 까치를 배를 갈라서 뜨거운 피가 있는 채로 비뚤어진 곳에 붙이면 바로 선다[속방].

검은닭도 역시 좋다.

⼒棧

主諸風拘攣偏枯血氣不通及麻痺取煉肪每日取一匙和溫酒服《本草》

안방( , 기러기기름)

여러 가지 풍증으로 가드라들면서 한쪽을 쓰지 못하고 혈기(血氣) 통하지 못하는 것과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기름을 졸여 하루에 1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烏鴉

治急中風斜不遂取全者鹽泥固濟火爲末和酒服之《本草》

오아(烏鴉, 까마귀)

급중풍(急中風)으로 입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까마귀 1마리를 소금을 넣고 이긴 진흙으로 싸발라서 불에 구운 다음 가루내서 술에 먹는다[본초].

熊脂

主風又治風痺不仁以酒煉過每取一大匙和酒服之肉亦可食《本草》

웅지(熊脂, 곰기름)

풍병(風病) 주로 치료한다. 또한 풍비(風痺) 감각이 둔해진 것도 낫게 한다. 술에 달여 한번에 숟가락으로 하나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고기를 먹어도 좋다[본초].

虎骨

主筋骨毒風攣急屈伸不得走注疼痛取骨末浸酒服名虎骨酒《本草》

호골(虎骨, 범뼈)

독풍(毒風)으로 힘줄과 뼈가 켕겨서 굽혔다 폈다 하기 힘들며 여기저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범뼈를 가루내어 술에 담가 두고 술을 먹는다. 이것을 일명 호골주(虎骨酒)라고도 한다[본초].

鹿生肉

治中風斜取肉和生椒同付之正卽去之○骨釀酒治風補虛(方見穀部)○《本草》

녹생육(鹿生肉, 생사슴고기)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사슴의 고기에 후추를 두고 함께 짓찧어 붙이는데 비뚤어졌던 것이 바로 서면 떼버려야 한다. 뼈를 넣어 빚은 (虎釀酒, 처방은 탕액편 곡식문에 있다) 풍증을 치료하고 약한 것을 보한다[본초].

鍼灸法

治中風莫如續命湯之類然此加扶持初病若欲要收全功火艾爲良中風皆因道不利血氣閉塞也灸則喚醒道而血氣得通故可收全功《後》○中風痰盛聲如曳鋸服藥不下宜灸臍下氣海關元二三百壯亦可轉死廻生五藏氣絶危證亦宜灸之《綱目》○凡人非時足脛上及手食指次指忽疼麻痺良久方解此將中風之候急灸三里絶骨各三壯春秋報灸常令兩脚有灸瘡爲妙《資生》○凡人不信此法不肯灸忽然卒死是謂何病曰風入藏故也風病者不可不知《綱目》○凡覺手足或麻或痛良久乃已此將風中府之候宜灸百會曲曲池風市三里絶骨《資生》○凡覺心中亂神思不怡或手足麻痺此將風中藏之候宜灸百會風池大椎肩井曲池間使三里《資生》○治風七穴百會耳前髮際肩井風市三里絶骨曲池一方加有風池合谷肩環跳凡九穴《資生》凡中風皆灸之○卒中風斜涎塞不省宜灸聽會頰車地倉百會肩曲池風市三里絶骨耳前髮際大椎風池凡十二穴《本草》○中風目戴上不能視灸第二椎骨第五椎骨上各七壯一齊下火立愈《綱目》○口眼斜宜灸聽會頰車地倉又法向右者灸左陷中向左者灸右陷中各二七壯立愈《綱目》○半身不隨宜灸百會會風池肩曲池合谷環跳風市三里絶骨《資生》○口宜鍼人中頰車百會承漿合谷風灸亦可《綱目》○失音不語宜鍼門人中天突涌泉神門支溝風府《綱目》○半身不隨環跳爲要穴《綱目》○治中風偏枯大接經從陽引陰至陰與涌泉中衝與關衝竅陰與大敦少商與商陽兌與隱白少商與少澤○大接經從陰引陽少商與商陽兌與隱白少衝與少澤至陰與涌泉中衝與關衝竅陰與大敦凡此十二經井穴也羅謙甫治趙僧判中藏刺十二井穴愈又治張安撫中藏灸十二井穴愈《寶鑑》○骨痺取太谿委中筋痺取太衝陽陵泉痺取大陵少海肉痺取太白三里皮痺取太淵合谷《綱目》○痺病宜燔鍼刺以知爲數以痛爲兪言鍼後以應效爲度數痛處爲兪穴非取諸經定穴也《靈樞》○治歷節風亦如上法但於痛處灸三七壯亦佳《千金》○百節疼實無所知以三稜鍼刺絶骨出血立愈《東垣》

침뜸치료[鍼灸法]/

중풍(中風)에는 속명탕 같은 것이 제일 좋다고 하는데 이것도 약간 낫게 뿐이다. 완전한 효과를 보자면 뜸뜨는 것이 제일 좋다. 중풍은 맥도(脈道) 통하지 않아 혈기가 막혀서 되는 것인데 이때에 뜸을 뜨면 맥도를 흥분시켜 혈기가 통하게 되므로 완전한 효과를 본다[주후].

중풍 때에 () ()하여 목에서 톱질하는 것같은 소리가 나면서 약을 먹어도 내리지 않을 때에는 기해(氣海), 관원(關元)혈에 뜸을 2-3백장 뜨면 죽게 되었던 사람도 다시 살아나게 된다. 5장의 기가 끊어져 위험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도 뜸을 뜬다[강목].

때없이 정갱이나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이 시글고 아프면서 마비되었다가 다시 풀리곤 하는 것은 중풍의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빨리 삼리(三里) 절골(絶骨)혈에 뜸을 각각 3장씩 떠야 하는데 가을과 봄에도 뜸을 떠서 양쪽다리에 구창(灸瘡) 생기도록 하는 것이 좋다[자생].

대체로 사람들은 방법을 믿지 않기 때문에 뜸뜨는 것을 싫어하다가 갑자기 죽게 되는데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풍이 5장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풍병이 있는 사람은 이것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강목].

팔다리가 저리거나 아프다가 풀리는 것은 앞으로 풍이 6부에 들어가려는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백회(百會), 곡빈( ), 견우( ), 곡지(曲池), 풍시(風市), 삼리(三里), 절골(絶骨)혈에 뜸을 떠야 한다[자생].

가슴이 울렁거리고 기분이 좋지 않으면서 팔다리가 마비되는 것은 풍이 5장에 들어가려는 전구증상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백회(百會), 풍지(風池), 대추(大椎), 견정(肩井), 곡지(曲地), 간사(間使), 삼리(三里)혈에 뜸을 떠야 한다[자생].

풍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7개의 혈은 백회, 앞의 머리털이 경계, 견정, 풍시, 삼리, 절골, 곡지혈 등이다. 어떤 처방에는 풍지, 합곡(合谷), 견우, 환도(環跳)혈을 포함하여 모두 9개의 혈로 되어 있다[자생].

모든 중풍 때에는 뜸을 떠야 한다.

졸중풍(卒中風)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 막혀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데는 청회(聽會), 협거(頰車), 지창(地倉), 백회, 견우, 곡지, 풍시, 삼리, 절골, 앞의 머리털이 경계, 대추, 풍지 11개의 혈에 뜸을 뜬다[본사].

중풍에 눈을 치뜨고 보지 못하는 데는 2추골과 5추골 위에 뜸을 각각 7장씩 뜨는데 동시에 뜨면 낫는다[강목].

입과 눈이 비뚤어졌으면 청회, 협거, 지창혈에 뜸을 뜬다. 가지 방법은 오른쪽이 비뚤어졌으면 왼쪽 앞의 움푹한 곳에 뜸을 뜨고 왼쪽이 비뚤어졌으면 오른쪽의 움푹한 곳에 뜸을 뜨는 것인데 각각 14장씩 뜨면 낫는다[강목].

한쪽을 쓰지 못하는데는 백회, 신회, 풍지, 견우, 곡지, 합곡, 환도, 풍시, 삼리, 절골혈에 뜸을 뜬다[자생].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인중(人中), 협거, 백회, 승장, 합곡, 예풍( )혈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뜬다[강목].

목이 쉬고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아문, 인중, 천돌(天突), 용천, 신문(神門), 지구, 풍부혈에 침을 놓는다[강목].

한쪽을 쓰지 못하는데는 환도혈이 중요한 혈로 된다[강목].

중풍으로 한쪽을 쓰지 못할 때에는 경락을 연결시켜 양으로 음을 이끌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지음(至陰), 용천, 중충(中衝) 관충(關衝), 규음(竅陰), 대돈(大敦), 소상(少商), 상양(商陽), 여태( ), 은백(隱白), 소충(少衝), 소택(少澤)혈을 연결시켜야 한다.

또한 경락(經絡) 연결시켜 ()으로 () 이끌어 가려면 소상, 상양, 여태, 은백, 소충, 소택, 지음, 용천, 중충, 관충, 규음, 대돈혈을 연결시켜야 한다. 이것들이 12경의 정혈이다. 나겸보(羅謙甫) 조승판(趙僧判) 중장풍(中藏風) 앓는 것을 치료할 때에 12개의 정혈에 침을 놓으니 나았다. 그리고 장안무(張安撫) 중장풍을 앓는 것을 치료할 때에도 12개의 정혈에 뜸을 떴는데 나았다[보감].

골비(骨痺) 때에는 태계, 위중혈에 놓고 근비(筋痺) 때에는 태충, 양릉(陽陵) 혈에 놓으며 맥비(脈痺) 때에는 태연(太淵), 합곡혈에 놓는다[강목].

비병(痺病) 때에는 화침으로 효과가 알릴 때까지 세게 찌르며 아픈 것을 수혈로 삼으라고 하는데 이것은 침을 놓은 후에 효과가 있기까지를 한도로 한다는 것이고 아픈 곳을 혈로 한다는 것이며 여러 경에 정해져 있는 ()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영추].

역절풍(歷節風) 치료할 때에도 역시 위의 방법대로 아픈 곳에 뜸을 21장씩 뜬다[천금].

모든 뼈마디가 시글고 아프면서 감각이 없을 때에는 절골(絶骨)혈에 삼릉침(三陵鍼) 놓아 피를 빼내면 낫는다[동원].

출처 : 명리오행한방(대한명의학협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