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억개의 천체가 사진 한 장에
원의 중앙 아래위로 붉은 흉터 자국같은 게 나 있다.
미 하와이대 할레아칼라천문대 학자들이 '팬-스타스(Pan-STARRS)' 천체망원경으로
4년간 관찰한 하늘 사진을 모자이크한 것이다.
팬-스타스 천체망원경은 화소수가
14억개인 지름 1.8미터짜리 디지털 카메라 두 대로 이루져 있다.
하와이대는 이 망원경이 기록한
1.6페타바이트(160만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다.
셀카 20억장 용량 이미지 데이터 담겨
전세계에 공개..우주 보물찾기 벌어질듯
원의 중앙 아래위로 붉은 흉터 자국같은 게 나 있다.
그 주변엔 아주 작은 흰색 점들이 곳곳에 박혀 있다. 이 둥그런 별의 정체는 뭘까?
언뜻 지구와 같은 모양의 행성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사실은 최근 작성된 우주 지도다.
미 하와이대 할레아칼라천문대 학자들이 ‘팬-스타스(Pan-STARRS)’ 천체망원경으로
4년간 관찰한 하늘 사진을 모자이크한 것이다. 가운데 붉은 자국이
바로 우리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수다.
무려 8억개가 넘는 별과 은하, 지구 근접 소행성들에 대한 이미지 자료가
이 사진에 들어 있다. 하늘 전체를 담은 건 아니다.
하와이 마우이섬의 휴화산 할레아칼라산 정상에서 북극성을 중심으로 촬영한 것이다.
팬-스타스 천체망원경은 화소수가 14억개인 지름 1.8미터짜리 디지털 카메라
두 대로 이루져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 세계 최대 디지털카메라로
지난 4년간 5개의 망원 필터를 이용해 하늘을 12차례 스캐닝했다.
하와이대는 이 망원경이 기록한 1.6페타바이트(160만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셀카 20억장, 위키피디아 전체 문서의 3만배에 이르는 용량이다.
켄 챔버스 천문대장은 "믿을 수 없을 만큼 크고 풍부한 이 데이터 세트 속에서
우리가 놓쳤던 것들을 사람들이 발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태양계를 찾아온 첫 외계 천체로 화제를 모았던
오무아무아(Oumuamua)도 이 망원경이 발견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130억년 된 왜소은하 발견
[서울신문 나우뉴스]우주 생성의 비밀을 간직한 마치 보물처럼 숨어
있던 작은 은하가 새롭게 발견됐다. 최근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소(INAF) 등 국제천문학 연구팀은 약 3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왜소구형은하 '베딘 1'(Bedin 1)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우연히 발견된 베딘 1은
폭이 3000광년 정도로 추정될 - 서울신문 원문보기
[서울신문 나우뉴스]인류가 이제껏 보아왔던 것 중 가강 깊은 우주의 이미지를 건져내는 데 성공했다.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확보한 이미지 중 가장 먼 우주를 담고 있는 허블 울트라 딥 필드(Hubble Ultra-Deep Field) 영상에 나오는 가장 큰 은하 주변에서 '잃어버린 빛'을 복원해내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 성공을 거두었다. 연구원들은 여러 허블
- 서울신문 원문보기
[우주를 보다] 죽어가는 별이 내뱉은 '최후의 숨결' 포착
[서울신문 나우뉴스]최후의 숨결을 내뱉으며 죽어가는 별의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유럽남방천문대(ESO)는 22일(현지시간)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지구에서 약 1400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 ESO 577-24의 독특한 빛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행성상 성운은 늙은 별에서 나온 가스 구름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행성처럼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성 - 서울신문 원문보기
[아하! 우주] 오늘도 출첵..새 근무지로 떠나는 큐리오시티 '셀카 인증샷'
[서울신문 나우뉴스]화성의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긴 오퍼튜니티는 연락두절됐지만 '후배'는 오늘도 힘찬 탐사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셀카 사진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 15일, 화성시간으로 2291솔(SOL·화성의 하루 단위으로 1솔은 24시간 37분 23초로 지구보 - 서울신문 원문보기
'놀라운 공부 > 우주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역사 (0) | 2019.02.08 |
---|---|
'공동지구설' (0) | 2019.02.06 |
11차원 끈이론 양자역학 (0) | 2019.01.23 |
생과사의 과학 (0) | 2019.01.23 |
500만명이 본 지구의 모습 (0) | 201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