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수지침 14기맥
1. N간기맥
12경맥의 막내인 간경맥은 발가락 1지(대돈)에서 시작된다.
(1지에는 비경의 시작점인 은백도 있다.)
발등 1지와 2지 중간지점은 태충혈인데, 손의 합곡(대장경)과 함께 4관혈로 유명한 혈이다.
발목 내측을 지나(삼음교에서 비경, 신경과 만남) 다리 내측을 타고 올라가 하복부에 이른다.
특히 생식기를 돌고 있는데, 그러므로 생식기병과 부인병은 간을 함께 치료해야 한다.
하복부 측면 장문혈을 지나 간에 위치한 기문혈에서 끝난다.
수지침의 간기맥은 5지 N1에서 시작하여 능선을 타고 손바닥쪽으로 내려오다 A8, J23, E22, F19
연결선상의 교차점인 N16까지 유주한 후 A16을 향해 사선으로 유주하는데, K1옆 N17은 담기맥의
기모혈이다. N17에서 수직으로 4지쪽으로 올라가 N18에서 끝난다. N18은 간의 기모혈이다.
2. L 삼초기맥
삼초 역시 심포와 같이 가상의 장기인데, 삼초는 상초, 중초, 하초로 나누어 파악해 보면
상초는 심장 등 혈액순환기계통과 폐, 호흡기계통을
중초는 비, 위, 간, 담 등 소화기계통을
하초는 삼초, 소장, 대장, 신장, 방광 등 배설, 비뇨생식기계통을 이른다.
즉 삼초는 전신의 질환과 관계가 깊다.
경맥의 유주는 4지 외측 손톱뿌리(관충)에서 시작하여 손등을 지나 대장경과 소장경 사이로
어깨부위까지 올라 온다. 어깨 후면을 지나 목을 경유하여 얼굴로 올라 오는데, 귀를 한바퀴
휘감고 눈썹 끝(동자료)에서 끝난다.
수지침에서 삼초기맥은 4지 후면 손톱측면뿌리(L1)에서 시작되는데, 3지쪽 능선을 타고 L11
까지 연결된 후에 3지 측면을 경유하여 E2 옆 지점(L12)에서 끝난다.
3. M 담기맥
담경의 유주는 눈꼬리 끝부분의 동자료에서 시작됩니다.
소장경의 청궁(귀 입구) 아래에 있는 청회와 상관 등을 경유하여 귀 둘레를 한바퀴 감싸고 돈 후에
머리 측면을 두루 거친 뒤에 후두 측면으로 내려 온다.
몸에서도 측면으로 흐르고, 다리 부위에서도 측면으로 내려 온다.
발목에서는 바깥쪽 복사뼈(외과)를 경유한 후 4지 외측의 규음에서 끝난다.
수지침의 담기맥의 유주는 A31 옆 M1(E2 위)에서 시작되며 손톱이 깎이는 부분 옆이 M2이다.
M4는 3지 손톱뿌리 횡선과 M기맥이 만나는 지점이며, 손등쪽으로 내려오는데 M11은 피로회복시
에 H2, I38과 함께 쓰이는 혈처로서 인체상응부위는 어깨쭉지이다.
손등에서는 B기맥 측방 7푼 지점(4중수골 내측 능선)으로 하행한다. 인체에선 옆구리에 해당된다.
B3 측방의 M17에서 5중수골 내측에 있는 M18로 이어지고, 이어서 5지 끝(M32)을 향해 유주한다.
M30은 발목부위로 바깥쪽 복사뼈(외과)로 임상에 자주 쓰인다.
4. K 삼포기맥
먼저 심포경맥의 유주를 알아 보면
가슴 젖꼭지 옆 천지에서 출발하여 어깨 내측을 지나 폐경맥과 심경맥 사이로 흐르는데,
손목을 경유하여 손바닥 중앙을 지나고 3지 끝 중충까지 이어진다.
심포는 해부학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장기인데, 오장의 기혈을 통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요한 장기이다. 심장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하며, 삼초와는 음양관계에 있다.
K1은 G1옆에 위치하는데, 시작점일 뿐 임상에서는 중요한 혈자리는 아니다.
K2는 3지 내측면 중앙선을 지나 K15까지 이어진다.
K13은 K10과 K15의 1/2 지점에서 취혈한다.
K9는 F4와 함께 팔성혈로 이용되는 혈이다.
5. J 신기맥
먼저 신장경맥의 유주를 알아보면,
발바닥 중앙에서 발가락쪽으로 2촌쯤 지점에 있는 용천에서 시작한다.
발바닥 내측면으로 올라와 내측 복사뼈를 감싸고 올라가 삼음교에서 비경과 간경과 만나고
종아리와 허벅지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가며, 복부에서는 임맥 측방 5푼 지점으로 올라간다.
또 흉부에서는 임맥 측방 2촌 지점으로 올라가 쇄골 아래 유부에서 끝난다.
수지침에서는 5지 후면 외측 J1에서 시작하여 능선을 타고 J11까지 이어진 후, 5지 쪽 적백제
를 타고 손목 쪽으로 내려 오다가 J15에서 J16(A1 측방 1푼)에 연결되고 계속해서 임기맥 옆
1푼 지점으로 J23(A23 측방 1푼)까지 올라 간다.
주요혈로는 J1은 구급질환시 자주 쓰이는데 특히 발열시 사혈하면 좋다. J3은 내측 복사뼈,
J23은 신장의 기모혈이다.
경맥은 유부에서 끝나지만 지맥은 목까지 연결되어, 수지침에서는 J35,36,37,38까지 포함한다.
6. I 방광기맥
먼저 경맥의 유주를 알아 보면,
눈꼬리 내측 정명에서 시작하여 이마 위로 올라 가서, 독맥 옆을 지나는데 백회에 이어지고
뒷머리와 뒷목을 타고 내려와 척추와 견갑골 사이로 엉덩이 부위까지 내려온다.(2줄기)
허벅지 후면 중앙을 2줄기로 내려 오다 위중에서 한줄기로 합쳐져 종아리 후면 중앙을 따라
내려온 후 뒤꿈치를 경유하여 발외측면을 타고 5지 끝(지음)에 이른다.
족태양방광경은 인체의 후면을 지나는 경맥이며, 12장부의 유혈도 방광경맥상에 있다.
수지침에서는 3지 손톱아래 B27 측방 1푼 지점(I1)에서 시작하여 독기맥 측방 1푼 지점으로
하행하다 I13부터는 2푼 지점(제3,4중수골 사이, 제2,3중수골 사이)으로 I24까지 하행한다.
I24에서 손등 외측 제5중수골(제1중수골)의 I26으로 연결된 후에 제5중수골을 타고 5지쪽으로
이어져 내려가다 5지 손톱뿌리 아래 1푼 지점(I39)에서 끝난다.
I2는 E8과 함께 맥조절용으로 자주 쓰이는 혈자리인데, 이 때의 혈위치는 B25와 B26 중간에서
측방으로 1mm 지점이다.(이경우엔 1푼이 아님) I10부터 I22까지는 12장부의 기유혈로 치료시
기모혈과 함께 자주 쓰이는 요혈이다. I33은 무릎 뒤의 오금 중앙에 해당하며, I37은 발목, I38은
뒤꿈치, I39는 뒤꿈치쪽 발바닥에 해당한다.
특히 I38은 H2와 함께 자주 쓰이는데, 이는 팔성혈중 하나이다.
7. H 소장기맥
소장경맥은 5지 외측의 손톱 뿌리 측방(소택)에서 시작하여 손등 쪽으로 오른 뒤에 팔목 외측
척골지점을 지나 팔을 타고 올라 온 후, 어깨 뒷쪽과 견갑골을 경유하고 대추혈 부근을 지나며,
뒷목 측면을 타고 올라와 귀 뒤와 뺨, 그리고 귀 앞(청궁)까지 이른다.
수지침에서의 소장기맥은 4지 외측 손톱 뿌리 아래 2mm지점(H1)에서 출발하여 손등의 첫째
마디 중앙(H11)까지 이어진 후, 3지 외측면을 타고 오르다가 E2옆 1푼 지점(H14)까지 이른다.
소장기맥의 유주는 소장경맥에 비하여 간단하다.
심기맥 등과 마찬가지로 경맥의 유주를 잘 파악하여 상응요법을 시행하고, 요혈은 위의 그림을
참고하면 된다.
8. G 심기맥
먼저 경맥의 유주를 알아 보면,
겨드랑이 속(극천)에서 시작하여 팔 내측면 후선을 타고 손목까지 내려 온 뒤,
손바닥을 경유하여 새끼손가락 끝(소충)에 이른다.
수지침에서의 심기맥은 4지 아래 1촌(약2Cm) 지점인 G1에서 시작하여 4지 첫째마디 가로무늬
외측 능선(G3)을 지난 후, 4지 손가락 끝의 손톱 깎이는 지점 2mm 전 부위(G15)까지 이른다.
경맥의 유주와 비교해서 상응요법을 시술하며, 보사법이나 오치처방 등으로 심장과 관련한 제
질환을 치료한다. 중요한 요혈은 위 그림과 같다.
9. H 비기맥
먼저 체침의 비경맥을 살펴 보면
엄지 발가락 내측의 은백에서 시작하여 발등을 지나 발목까지 이른다.
내측의 장딴지와 무릎, 허벅지를 지나 생식기 옆을 경유하고, 복부 옆쪽으로 올라간다.
복부에서는 임맥 측방 4촌 지점으로 흐르는데, 배꼽 옆 4촌 지점은 중요 진단처(치료처)인
대횡으로 수지침에선 F19이다. 가슴 부위까지 이어지다 옆구리의 대포에서 끝난다.
수지침에선 5지 내측 손톱 밑 1푼 아래 지점(F1)에서 출발하여 그림과 같이 F13까지 올라간다.
발바닥 가운데가 아플 때에는 F1을 자극하면 좋다. F5는 발목 부위이며, F6은 부인병의 요혈로
여성분들을 치료할 때 꼭 자침한다. F9는 무릎 부위에 해당하며 F14~18은 측복부에 해당한다.
F19는 위에서 언급한 대횡이라는 곳으로 비장의 기모혈이다. F19는 A8과 손바닥 측면 끝과의
중간에서 취혈한다.
10. E 위기맥
먼저 체침에서의 위경맥의 유주를 알아보면,
아래 눈꺼풀 밑의 승읍에서 출발하여 코 옆으로 내려오다 입술 옆 뺨 쪽으로 흐르며, 목을 타고
아래로 내려 온 후에 앞가슴(젖꼭지) 쪽으로 내려 온다.
복부에서는 임맥 측방 2촌(4~5Cm) 지점으로 흐른다. 하복부를 지나선 서혜부를 경유하여 대퇴
골관절 외측부분에서 아래로 흘러 무릎을 경유한 다음 무릎 밑의 외측 경골을 따라 내려오다가
발목관절 앞면, 발등, 둘째발가락 외측까지 이른다. 즉 신체의 전면을 흐른다.
수지침에서의 위기맥은 승읍에 해당하는 E1(A29 측방 1.5푼)에서 출발하여 E2(A30 측방 1.5푼)
을 지난 후 E3(A27 측방 1푼)에서 E6(A24 측방 2푼)으로 흐른다. 특히 E2는 눈의 상응점이다.
E6부터 E14까지는 A기맥 측방 2푼 지점을 흐른다. E8은 맥조절용으로 I2와 함께 쓰이는 중요한
혈이며, E12는 젖꼭지에 해당된다.
E15부터 E29까지는 복부인데, A기맥 측방 3푼 지점으로 흐르는데, 이 중 E22는 배꼽부위인 A8
측방에 위치하는데, 이는 체침에서 천추라는 혈로 대장의 기모혈이다.
특히 천추는 체침에서 대장의 모혈로 중요하게 취급되는데, 삼일체질시 중요 진단점이기도 하다.
E29부터 E34까지는 하복부에 해당는데, 임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E34부터는 다리인데, 5지 외측 능선을 지난다. E38은 무릎이고, E42는 발목에 해당된다.
수지침에서 가장 긴 기맥인데, 몸에서의 경맥의 유주와 견주어서 기맥을 이해하고 파악하여야만
상응요법을 잘 할 수가 있다. 중요하고 자주 쓰이는 혈은 E2, E8, E12, E21,22,23,24, E38, E42 등
이며 E38 ~ E45에는 오수혈이 있어 오치처방시에 쓰인다.
11. D 대장기맥
대장경맥은 둘째손가락 손톱뿌리 내측의 상양에서 출발하여 합곡(손등의 1지와 2지의 교차점
직전의 함몰부)를 지나 양계(손목부위), 곡지(주관절 외측), 거골(어깨 뒷쪽)을 지나 부돌(목의
측면)을 경유해 아랫니를 지난 다음 코 아래의 인중을 지나 코 옆의 영향까지 흐른다.
한편 대장기맥은 2지와 4지에서 흐르는데, 4지만을 주로 사용한다.
기맥의 유주는 4지 손톱뿌리의 외측(D1, 상양)에서 출발해, 외측 능선(5지쪽)을 타고 손등 쪽으로
진행하며, 4지 첫째마디(D10,11,12, 어깨)쪽으로 흐른 후에 3지 내측 능선(D13,14,15,16) 을 경유
(연결을 위한 혈자리로 중요한 혈처는 아님)한 후, 3지 둘째마디(D17)에서 3지 셋째마디(D21)을
지나 A28 옆(D22)까지 흐른다.
상응요법을 정확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경맥의 유주를 제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응점은 압진기를 가지고 압통점을 정확히 찾아서 자침한다.
보사법과 오치처방은 둘째마디와 셋째마디에서 시행한다.
12. C 폐기맥
폐기맥은 4지 내측 능선(3지쪽)을 흐릅니다. 손가락을 가지런히 모았을 때, 3지와 맞닿는 4지측
의 내측 능선입니다. 흐름(유주)의 방향은 경맥과 같이 어깨에서 손쪽으로 흐릅니다.
치료는 단순한 통증에는 상응부위를 중심으로 압통점(상응점)을 찾아 치료하면 됩니다.
그리고 삼일체질, 음양맥진 등을 통하여 정확한 보사법이나 오치처방을 할 때는 요혈을 이용함.
13. B 독기맥
체침에서의 독맥과 같습니다. 자세히 알아 보면,
B1 : 장강, 꼬리뼈 끝부분. 중지와 연결된 손등쪽 뼈 끝나는 지점.(움푹 파인 곳이 아님)
B14 : 지양, 제7~8흉추 중간(좌우견갑골 하단부의 연결선과 흉추가 만나는 지점).
중지 뒷쪽 첫째관절 중앙.
B7 : 명문, 배꼽 뒤로 제2~3흉추 중간. B1과 B14의 중간 지점
B19 : 대추, 제7경추와 제1흉추 중간. 중지 뒷쪽 둘째관절 중앙.
B24 : 아문, 제1~2경추 중간. 중지 뒷쪽 셋째관절 중앙.
B27 : 강간, 후두 부분(머리의 가마 아래). 중지 손톱 뿌리쪽 2mm 지점
14. A 임기맥
체침에서의 임맥과 같습니다. 자세히 알아 보면
A1 : 회음, 생식기. 손바닥 쪽으로 있는 손목선의 중앙에서 5mm지점(어린이는 3mm)
A16 : 거궐, 명치끝. 중지(3지) 첫째마디 주름중에서 손바닥 쪽의 주름선 중앙. 심장의 기모혈
A8 : 신궐, 배꼽. A1과 A16을 일직선으로 이었을 때 중간 지점
A12 : 중완, 명치끝과 배꼽의 중간. A8과 A16의 중간 지점. 위의 기모혈
A3 : 중극, 치골 윗부분. A1과 A8을 기준으로 2/7지점. 방광의 기모혈
A4 : 관원, 치골 위 4~5Cm 지점. 소장의 기모혈(여성은 자궁의 위치임)
A6 : 기해, 배꼽 밑 3Cm 지점. 단전자리(?)
A18 : 전중, 양젖꼭지 중간. A16과 A20의 중간 지점. 심포의 기모혈
A20 : 천돌, 좌우 흉골뼈 가운데 오목한 부분. 둘째마디 주름선중 아래선 중앙.
A24 : 염천, 턱 밑의 목부분. 셋째마디 주름선중 아래선 중앙.
A33 : 백회, 머리 정수리. 손톱밑 2mm 지점
A28 : 소료, 코 끝. A24와 A33의 중간 지점
A26 : 입술이 맞닿는 지점. A24와 A28의 중간 지점
A30 : 인당, 미간 지점. A28과 A33사이에서 등분 취혈
| ||
출처 : 능마을 건강가족
글쓴이 : 능 마을 원글보기
메모 :
'건강 자료실 > 침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의보감이 말하는 약이 되는 음식 (0) | 2011.05.18 |
---|---|
[스크랩] 점자출혈 - 부부관계 중 발생하는 남편의 현기증 (0) | 2011.05.18 |
[스크랩] 방약 (0) | 2011.05.18 |
[스크랩] 부항 요법 (0) | 2011.02.16 |
[스크랩] Re:수지침 입문... 처음 수지침 배움을 시작할때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