홑잎나물(위모. 衛矛)
(사수(邪祟), 요실금, 고형 암,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혈액순환)
화살나무는 노박 덩굴과의 잎이 지는 나무로, 키는 3m쯤 자라고 가지는 사방으로 퍼지며, 잔가지에는 코르크질의 날개가 붙어 있고, 참빗나무, 홑잎나무라고도 부르며, 잎은 모양이 달걀꼴로 마디마다 2장이 마주 붙고, 줄기에 붙어 있는 날개의 생김새가 특이하여, 귀신을 쏘는 화살이란 뜻의 귀전우(鬼箭羽), 또는 신전목(神箭木)이라고도 부르며, 어린잎을 홑잎나물 이라 하여 삶아서 무쳐먹거나 국을 끓여먹고, 민간에서 위암, 식도암 등 갖가지 암에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진 나무인데, 화살나무를 달여서 오래 복용하고 암이 나았다거나, 좋아졌다는 사례가 있으며, 산후지혈, 정신불안, 자궁출혈, 대하, 어혈을 없애는 약으로 쓰는데, 증상별 복용법은 암 치료에 뿌리, 가지, 잎사귀는 같이 달이고 날개는 따로 말려서 곱게 갈아 달인 물에 한 숟가락씩 먹으면 매우 효과적이며, 당뇨병은 어린 줄기 5~10g씩을 물로 달여 하루 세 번씩 마시면, 혈당량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작용으로 효과를 본 예가 있고, 고혈압, 동맥경화, 기침가래, 월경불순, 생리가 안 나오는 데, 산후에 어혈로 인한 복통은 화살나무 10~15g을 물로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거나, 화살나무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3~5g씩 하루 세 번 복용하면 효험이 있으며, 홑잎은 그늘에 말려 2~3g을 뜨거운 물로 3~4분간 차로 달여 마시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등을 낫게 하고, 열매에는 혈당을 낮추는 작용과 인슐린의 분비를 늘리는 작용이 있으며, 당뇨병, 무 월경, 해산 후 복통에도 쓰고, 오래 달여 고약을 만들어 피부병 치료에 쓰기도하며, 화살나무 날개를 태워서 가시를 빼는 약으로도 이용하는데, 날개만 태워서 그 재를 가시가 박힌 부분에 바르면 신기하게도 가시가 빠져 나온다고 합니다.
전해오는 이야기
옛 이야기 중에 어떤 사람이 자기 선친의 산소를 이장하기 위하여 묘를 파보니, 신체의 모든 부위는 다 삭고 없어졌는데, 유독 주먹만 한 것이 있어서, 그것을 캐어 그 옆에 서있는 나무 위에 올려놓았는데, 얼마 후에 그 자리에 가보았더니 그 덩어리가 녹아 없어졌더랍니다. 그런데 그의 선친은 암증으로 사망했었고, 이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이 화살나무가지는 항암효과가 있다고 하여 써왔다는 전설이 있는데, 실제 이 나무 가지를 농축시켜 항암작용을 측정한 결과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분포지역: 한국,중국,일본, 사할린 분포하고 높이는3M 에 달하고 잔가지에 2~4개의 날개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황녹색이며 씨방은 1~2실이며 10월에 결실한다 화살나무는 이른봄에 새순을 홋잎나물이라 하며 산나물로 먹는다 화살나무의 효능 *화살나무를 암 치료에 쓰는 방법은 뿌리,가지,잎사귀는 같이 달이고 날개는 따로 따서 말려서 곱게 갈아 달인 물에 한 숟가락씩 먹으면 매우 효과적이다 *고혈압,동맥경화,기침 가래, 월경불순,생리가 안 나오는 데, 산후에 어혈로 인한 복통 등에 화살나무 10~15g을 물로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효험이 있습니다 아니면 화살나무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3~5g씩 하루 세번 복용 합니다 *화살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려 차로 달여 먹어도 좋습니다 한번에2~3g을 뜨거운 물로 3~4분 우려 내어 마십니다 귀전우차라고 부르는데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여성의 생리불순,자궁염 등을 낫게 합니다 *화살나무 날개는 가시를 빼는 약으로도 유명 합니다 화살나무 날개를 태워서 그 재를 가시가 박힌 부분에 바르면 가시가 빠져 나옵니다 |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 |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위령선 (0) | 2008.12.07 |
---|---|
[스크랩] 1년생 만삼묘목 (0) | 2008.12.07 |
[스크랩] 느릅나무의효능 (0) | 2008.12.07 |
[스크랩] 야생가시오가피 (0) | 2008.12.07 |
[스크랩] 관절에 좋은 우슬뿌리 (0) | 200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