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글 바로 쓰기
1. 한글 자음이름
영어의 알파벳은 알면서 한글 자음은 제대로 모른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는 지식 이전에 국어를 쓰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이 중에서도 특히 'ㅌ'은 많은 분들께서 '티긑'으로
발음합니다. '티긑'이 아니라 '티읕'입니다.
2. [~습니다] 와 [~읍니다]
"우리글, 우리말의 기본 규정이 바뀐 지가 9년이 넘는데도 아직까지
∼습니다와 ∼읍니다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출판을 계획하고 있읍니다.'로 쓰인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이전에는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썼기 때문에 혼동할 수밖에 없었으나 이제는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조건 ∼습니다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있음, 없음을 있슴, 없슴으로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때에는 항상 있음, 없음으로 써야 합니다. "
3. [~오] 와 [~요]
"종결형은 발음이 ∼요로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항상 ∼오로 씁니다.
돌아가시오, 주십시오,"
"멈추시오 등이 그 예입니다. 하지만 연결형은 ∼요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이것은 책이요, 그것은 펜이요,
저것은 공책이다.」의 경우에는 요를 써야 한다는 말입니다. "
4. [안] 과 [않∼]
"안과 않도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중의 하나입니다. 안은 아니의 준말이요,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라는 것만 명심하면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의 소비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는 문장에서
않으면은 아니하면의, 안은 아니의 준말로 사용된 것입니다."
5. [∼이] 와 [∼히]
"깨끗이, 똑똑히, 큼직이, 단정히, 반듯이, 가까이 등의 경우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잘 안 됩니다. 원칙은 없지만 구별하기 쉬운 방법은
∼하다가 붙는 말은 ∼히를, 그렇" 지 않은 말은 ∼이로 쓰면 됩니다. 그러나
다음에 적어 놓은 말은 ∼하다가 붙는 "말이지만 ∼이로 써야 합니다.
깨끗이, 너부죽이, 따뜻이, 뚜렷이, 지긋이, 큼직이, 반듯이," "느긋이, 버젓이 등입니다."
6. [붙이다] 와 [부치다]
"붙이다와 부치다도 각기 그 뜻이 많아 쓰임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붙이다는 붙게 하다," "서로 맞닿게 하다, 두 편의 관계를 맺게 하다, 암컷과 수컷을 교합시키다,
불이 옮아서 타게하다, 노름이나 싸움 따위를 하게 하다, 딸려 붙게 하다
, 습관이나 취미 등이 익어지게 하다, 이름을 가지게 하다,
뺨이나 볼기를 손으로 때리다란 뜻을 지닌 말입니다." "부치다는 힘이 미치지 못하다, 부채 같은 것을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편지나 물건을 보내다, 논밭을 다루어서 농사를 짓다, 누름적·저냐 따위를
익혀 만들다,
어떤 문제를 의논 대상으로 내놓다, 원고를 인쇄에 넘기다 등의 뜻을 가진
말입니다.
그 예를 몇 가지 들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힘이 부치는 일이다. 편지를 부치다. 논밭을 부치다. 빈대떡을 부치다. 식목일에 부치는 글입니다. 회의에 부치기로 한 안건입니다. 우표를 붙이다. 책상을 벽에 붙이다. 흥정을 붙이다. 불을 붙이다. 조건을 붙이다. 취미를 붙이다. 별명을 붙이다.
7. [∼율] 과 [∼률]
한 예로 합격률인지 합격율인지 혼동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경우는 모음이나 "ㄴ으로 끝나는 명사 다음에는 ∼율을 붙여 백분율,
사고율, 모순율, 비율 등으로 쓰고," "ㄴ받침을 제외한 받침 있는 명사 다음에는
∼률을 붙여 도덕률, 황금률, 취업률, 입학률, 합격률 등으로 쓰면 됩니다.
8. [띄다] 와 [띠다]
"띄다를 써야 할 곳에 띠다로 잘못 쓰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띄다는 띄우다, 뜨이다의" 준말입니다. "띄우다는 물이나 공중에 뜨게 하다,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사이를
떨어지게 하다," "편지·소포 따위를 보내다, 물건에 훈김이 생겨 뜨게 하다
등의 뜻을 지닌 말입니다. 뜨이다는"
"감거나 감겨진 눈이 열리다, 큰 것에서 일부가 떼내어지다, 종이·김 따위가
만들어지다," "무거운 물건 따위가 바닥에서 위로 치켜 올려지다, 그물·옷 따위를 뜨게 하다,
이제까지 없던"것이 나타나 눈에 드러나 보이다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편 띠다는 띠나 끈을 허리에 두르다, 용무·직책·사명 따위를 맡아 지니다,
어떤 물건을"
"몸에 지니다, 감정·표정·기운 따위를 조금 나타내다, 빛깔을 가지다,
어떤 성질을 일정하게" 나타내다를 이르는 말입니다. 띄다와 띠다를 바르게 사용한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무를 좀더 띄어 심읍시다. 어제 편지를 띄었습니다. 키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에 비해 뜨이기(띄기) 십상입니다. 임무를 띠고 미국으로 갔습니다. 분홍빛을 띤 나뭇잎이 멋있습니다.
9. [반드시] 와 [반듯이]
이 경우는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는 말입니다. 그러나 그 쓰임은 아주 다르답니다.
반드시는 어떤 일이 틀림없이 그러하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예 : 약속은 반드시 지키십시오.) "반듯이는 작은 물체의 어디가 귀가 나거나 굽거나 울퉁불퉁하지 않고 바르다,
물건의 놓여" 있는 모양새가 기울거나 비뚤지 않고 바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 : 고개를 반듯이 드십시오.) "재미있는 예문 중에 「나무를 반드시 잘라라.」,「나무를 반듯이 잘라라.」
가 있습니다." "전자는 필(必)의 뜻이고, 후자는 정(正)의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
10. [며칠] 과 [몇일]
"오늘이 며칠이냐?라고 날짜를 물을 때 며칠이라고 써야 할지, 아니면
몇일이라고 써야 하는지 몰라서 망설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때의 바른 표기는 며칠입니다.
몇 일은 의문의 뜻을 지닌 몇 날을 의미하는 말로 몇 명, 몇 알, 몇 아이 등과
그 쓰임새가 같습니다." 10일 빼기 5일은 몇 일이죠? 와 같은 표현이 바로 그것입니다. '몇 월 몇 일'로 쓰는 경우도 많으나 바른 표기는 '몇 월 며칠'로 써야 합니다.
11. [돌] 과 [돐]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직장 동료의 대소사를 그냥 넘어갈 수 없지요
하얀 봉투에 '축 결혼'
'부의','축 돌' 등을 써서 가야 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닙니다. 그 가운데
'축 돐'로 쓰여진"
봉투를 종종 보게 됩니다. 종래에는 '돌'과 '돐'을 구별하여 둘 다
사용했었습니다
'돌'은 "생일을, '돐'은 주기를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새 표준어 규정에서는 생일, 주기를 가리지 않고, '돌'로 쓰도록
규정하였습니다." "그러니 돐잔치, 축 돐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항상 돌잔치, 축 돌이라고
표기해야 합니다."
12. [∼로서] 와 [∼로써]
이 ∼로서와 ∼로써의 용법도 꽤나 혼동되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로서는 자격격 조사라고 "하고, ∼로써는 기구격 조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회사 대표로서 회의에 참석했다.」라는 문장에서 쓰인 '
대표로서'는
움직임의 자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자격이란 말은 좀더 세분하면
지위·신분·자격이 됩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대표라는 자격'으로 쓰인
경우입니다. 또 「우리 회사는 돌로써 지은 건물입니다.」라는 문장에서 쓰인 '돌로써'는
움직임의 도구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도구란 말도 세분해 보면 도구
재료·방편·이유 등이 됩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돌을 재료로 하여'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가끔 문장 가운데 「그는 "감기로 결근하였다.」와 같이 ∼서나 ∼써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서나" ∼써를 붙여 보면 그 뜻이 명확해집니다.
위의 예문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써를 붙여 '감기로써'가 바른 말입니다.
13. [∼므로] 와 [∼ㅁ으로]
∼므로와 ∼ㅁ으로도 흔히 잘못 쓰이는 말입니다.
∼므로는 하므로/되므로/가므로/오므로 "등과 같이 어간에 붙는 어미로,
∼이니까/∼이기 때문에와 같은 '까닭'을 나타냅니다." 이와는 달리 ∼ㅁ으로는 명사형 ∼ㅁ에 조사 으로가 붙은 것으로 이는
∼는 것으로/
∼는 일로와 같이 '수단·방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는 열심히 공부하므로 성공하겠다.」와 「그는 아침마다 공부함으로 성공을
다졌다.」를 "비교해 보면, 전자는 ∼하기 때문에의 이유를 나타내는 말이고,
후자는 ∼하는 것으로써의 " 뜻으로 수단·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더 들어보겠습니다. "「불황으로 인해 회사가 힘들어지므로 열심히 일해야 한다.」
「기회가 있으므로 절망하지 않겠다.」등은 이유를 나타내므로 ∼므로가 됩니다. "「문물을 교환함으로 문화를 발전시킨다.」,
산을 아름답게 가꿈으로 조국의 사랑에 보답한다.」
등은 수단·방법을 나타내므로 ∼ㅁ으로가 바른 말이 됩니다.
14. [∼던] 과 [∼든]
"∼던과 ∼든도 많은 혼란이 일고 있는 말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던은 지난 일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고,
∼든은 조건이나 선택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꿈을 그리던 어린 시절」,「그 책은 얼마나 재미가 있었던지.」의
예문은 둘 다"
"과거를 회상하는 말이므로 ∼던을 사용해야 하고, 「오든 말든 네 마음대로 해라.」
「눈이 오거든 차를 가지고 가지 마라.」의 경우는 조건·선택을 나타내므로
∼든을 써야 합니다. - 모셔온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