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희 독일연설 기념비' 건립한다written by. 최경선
함보른 눈물의 격려사-근대화 위해 몸부림친 대한 현대史의 한 페이지로
후손이 마땅히 기억해야
|
▲ 1964년서독 뤼브케 대통령(70세)과 박대통령(47세) 의장대
사열 (서독 본 도착)ⓒkonas.net |
우리 1인당 GDP가 80달러였던 시절
가난한 나라의 대통령이 돈을 꾸기위해
서독을 방문했다. 비행기조차 구하기
어려워 서독 정부에서 보내준 국빈용
항공기를 타고 갔다. 1964년 12월 10일 오전 10시55분 독일
(당시 서독) 북서부 루르지역 함보른
탄광의 한 공회당. 얼굴과 작업복에 석탄
가루가 묻은 300여명의 대한인 광부,
한복차림의 대한인 간호사, 독일인들
앞에 박정희 대통령이 나타났다.
박대통령 일행이 강당으로 들어가 대형
태극기가 걸린 단상에 오르자 광부들로
구성된 브라스 밴드가 애국가를 연주했다. 박대통령이 선창하면서 합창이 시작됐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차츰 커지던 애국가 소리는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목부터 목멘 소리로 변해갔고‘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에 이르러서는 울음소리가 가사를 대신해 버렸다.
대통령 부부, 300여명의 우리 광부와 50여명의 간호사
모두가 어깨를 들먹였다.
밴드의 애국가 연주가 끝나자 박정희 대통령은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고 코를 풀더니연설을 시작했다. "여러분.
만리타향에서 이렇게 상봉하게 되니 감개무량합니다.
조국을 떠나 이역만리 남의 나라 땅 밑에서 얼마나 노고가
많으십니까.서독 정부의 초청으로 여러 나라 사람들이
이곳에 와 일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한국사람들이 제일
잘하고 있다고 칭찬을 받고 있음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여기 저기서 흐느끼는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그러자 박대통령은 연설원고를 옆으로 밀쳐버렸다.
"광원 여러분, 간호원 여러분. 모국의 가족이나 고향 땅
생각에 괴로움이 많을 줄로 생각되지만 개개인이 무엇
때문에 이 먼 이국에 찾아왔던가를 명심하여
조국의 명예를 걸고 열심히 일합시다.
비록 우리 생전에는 이룩하지 못하더라도 후손을 위해
남들과 같은번영의 터전만이라도 닦아 놓읍시다…."
결국 대통령은 연설을 마무리짓지 못했다. 본인도
울어버렸기 때문이다.
“여러분, 난 지금 몹시 부끄럽고 가슴 아픕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무엇을 했나 가슴에 손을
얹고 반성합니다. …나에게 시간을 주십시오.
우리 후손만큼은 결코 이렇게 타국에 팔려나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반드시…. 정말 반드시….”
떨리는 목소리로 계속되던 박 대통령의 연설은 끝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광부, 간호사뿐 아니라 곁에 있던
육영수(陸英修) 여사, 뤼브케 서독 대통령도손수건을
꺼내 들면서 공회당 안은 ‘눈물 바다’로 변했다.
박대통령은 참석한 광부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고
파고다 담배 500갑을 전달한 뒤 강당 밖으로 나왔다.
30분 예정으로 들렀던 광산회사에서 박대통령 일행이
강당 밖으로 나오는 데는 거의 한 시간이 걸렸다.
함보른 광산 회사측에서는 박대통령에게 대한인 광부가
지하 3,000m에서캐낸 석탄으로 만든 재떨이를
기념으로 선물했다. 박대통령과 육여사는 울어서 눈이
부어 시선을 바로 두지 못했다.
박대통령은 차중에서 눈물을 멈추려 애쓰고 있었다.
나란히 앉은 뤼브케 대통령이 그 모습을 바라보더니
자기 호주머니에서 손수건을 꺼냈다. 칠순 노인인 뤼브케
대통령이 사십대 후반의 젊은 대통령의 눈물을 직접
닦아주었다. 그리고 우정어린 격려를 했다.
"울지 마십시오. 잘사는 나라를 만드십시오. 우리가
돕겠습니다. 분단된 두 나라가 합심해서 경제부흥을
이룩합시다. 공산주의를 이기는 길은 경제 건설뿐입니다.
" 이것은1964년 12월 10일서독 루르탄광지대에서 있었던
우리 현대사의 한 페이지다.
63년 파독(派獨) 광부 500명 모집에 4만 6,000명이 몰려들었다.
상당수가 대학졸업자와 중퇴자들이었다. 당시 남한 인구 2,400만
명에정부공식 통계에 나타난 실업자 숫자만도 250만명이 넘었다.
이런 시절이니 매월 600마르크(160달러)의 직장에 지원자가
밀려드는 게 당연한 일이다. 이들은 루르탄광 지하 1,000m와
3,000m 사이 막장에서 1m 파들어 갈 때마다 4~5마르크를
받았다. 66년 12월, 3년의 고용기간을 채우고142명의 파독광부
제1진이 귀국했을 때 거의 전원이 1회 이상의 골절상 병력을
안고 있었다. 사망자도 있었고,실명한 사람도 있었다. 간호사의
사정도 비슷했다. 66년1월 128명이 독일로 떠날 때의
고용조건은 월 보수 440마르크(110달러)였다.
독일 땅에 도착한 한국 간호사들이 처음 맡았던 일은알콜 묻힌
거즈로 사망한 사람의 몸을 닦는 작업이었다. 70년대 중반에는
서베를린에만 대한 간호사가 2,000명이 넘었다.
66~76년 독일로 건너간 대한 간호사가 1만30명,
광부들은 63~78년까지 7,800여명이 건너갔다.
이들의 송금액은 연간 5,000만달러로 한때 GNP의 2%대에
달했다. 그 아픈 역사를 뒤로 하고 오는 12월 10일 근대화·
산업화를 위해 몸부림치던 대한 현대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함보른 현장에 '박정희 전 대통령 연설 기념비가'가 세워진다.
현재는 뒤스부르크시의 한 시민체육 강당으로 쓰이는 곳이다.
기념비 설치를 추진하는 신용석(69) 아시아올림픽평의회
부회장은 "그 강당은 우리 현대사에서 반드시 기억돼야 할 곳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그 장소를 제대로 기억하는 이가
없었지요.저도 찾으리라는 기대없이 무작정 찾아갔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 동네 노인들이 당시를 또렷이
기억하며 위치를 알려주더군요."라고 말했다.
기념비에는 박 전 대통령의 연설문이 대한어·독일어로 넣어진다.
신 부회장은 1970년대 신문사 특파원으로 일하며 파독(派獨)
광부들의 삶을 취재했다. 그는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면서 고국
으로 돈을 보낸 광부들에게 대통령이 찾아와 눈물의 격려사를 한
곳을 후손들이 마땅히 기억해야 할 장소라고 설명했다.
신 부회장과 '연설기념비 건립위원회' 측은 작년 에센 지역에
들어선'광부기념회관'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 회관은
독일에 정착한 광부들 모임인 '재독 한인 글뤽아우프
(행운을 빈다는 광부들 인사말)'가 세운 것으로 상당수
광부가 미처찾아가지 못한 퇴직연금이 여기에 쓰였다.
우리 정부도 독일 정부가 보내온 연금의 주인을 수소문했지만,
끝내 주인을 찾지 못한 돈에 3억원을 보태 20억원을 보냈다.
회관에는 당시 파독 광부들이 썼던 장비와 기록사진 등이
전시돼 있다. 1960~70년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독일로 광부를
보냈지만, 이후 경제 대국으로 우뚝 서서 독일에 기념관까지
만든 민족은 대한민국뿐이다. 우리가 이만큼 살게 된 데는
100여년 전 하와이 사탕농장 노동자부터 파독 광부·간호사와
중동 근로자에 이르기까지 해외에 나가 피땀 흘린 이들의
노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고난의 역사를 가진 조국을 소중히 지켜가는 것만이 우리
후손들에게 남겨진 과제이자 책무다. (konas)(대한민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