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거담작용, 객담대혈.청열윤폐, 화담지해, 폐열조해, 건해소담, 음허노수,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전립선비대증,
패열로 인한 기침이나 진액부족으로 인한 기침, 담열로 인한 기침에 주로 사용하는데
열로 인한 과도한 기침을 그치게 하는 요약이다. 또한 폐을 윤택하게
만들어서 건조한 기운을 제거하고 폐를 조화롭게 만든다. 이 외에도 진액 부족으로 인한
나력이나 유옹, 패옹등에 사용한다. 천패모와 절패모로 나뉘는데 천패모는 차가우며
단맛을 띠는데 패를 윤활하게 하여 패가 열이 있어서 나오는 기침을 멎게 한다.
그러나 절패모는 차가우나 천패모와 달리 고미를 가지기 때문에 열을 꺼주고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강하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 패모 >
학명--Fritillaria ussuriensi
과명--백합과
생약명--패모(패모)
이명--토패모(토패모), 대의모(대의모)
분포--전국에 분포
생지--산지, 농가 재배
키--30~80cm
분류--여러해살이 초본
번식--꺾꽂이, 종자 번식
약효--비늘줄기
채취기간--8~9월
취급요령--햇볕에 건조
성미--서늘하며, 쓰고 달다.
독성여부--없음
1회사용량--비늘줄기 3~7g
사용범위--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감숙패모
잎--마주나거나 3개씩 돌려나며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윗부분의 잎은 덩굴손처럼 말린다.
꽃--5월에 연한 황록색에 안쪽은 자주색 반점이 있는 육판화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종 모양으로 밑을 향해 달린다.
열매--7~8월에 짧은 삼분포--전국에 분포
생지--산지, 농가 재배
키--30~80cm
분류--여러해살이 초본
번식--꺾꽂이, 종자 번식
약효--비늘줄기
채취기간--8~9월
취급요령--햇볕에 건조
성미--서늘하며, 쓰고 달다.
독성여부--없음
1회사용량--비늘줄기 3~7g
사용범위--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감숙패모
* 패모의 효능
패모는 혈압을 낮춰준다.
패모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기관지활평근을 이완시키고 기관지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 출산후 기침을 많이 할 때는 맥문동이나 패모를 10 ∼ 20g 정도 끓여 식 후에 먹는다.
♠ 폐기종에는 패모 뿌리줄기 5 ~ 7g을 1회분으로 달임약 알약, 산제로 하루 2 ~ 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복용중 모란, 하늘타리를 금한다.
♠ 가래가 가슴 깊이 있어 헛기침만 나오고 답답한 데는 비파잎 10g과 천화분, 패모를 같은 분량으로 섞어 달여먹는다.
♠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심하여 가슴이 답답하거나 두근거리는 때에 : 패모, 개나리열매(연교) 각각 1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패모는 혈압을 낮추고 개나리 열매의 성분 올레아놀산은 강심 이뇨작용을 한다.
♠ 백일해 기침발작을 하루에도 여러 번 하는 것을 진정시킨다. : 패모, 지모를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4g씩 하루 3번 먹는다.
패모 재배기술
패모(Fritillaria thungergii MIQAUEL) 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숙근(宿根)식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줄기는 50㎝정도되고 곧게서며, 잎은 3∼5개씩 윤생(輪生)하는 잎끝이 뾰족한 피침형(被針形)으로 아래로 약간 꼬부라지는 식물이다. 꽃은 4월경에 담황색으로되며 자색무늬가 약간있는 그물모양으로 5월상순에 성숙되어 종자를 채취할 수 있다. 재배적지는 따뜻한 바닷가 주변의 수직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 지방에 주로 재배되고 있으나, 그 재배면적은 약 30㏊에 이르고 있으나, 중부내륙지방의 석회암지대(충북의제천, 단양)에 재배하면 해안에서 재배된 것보다 품질이 우수하다는 구전(口傳)이 있으며, 실제 품질의 우수성은 재배농가의 현품에서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패모의 용도로 보아 많은량의 면적과 생산량이 필요한 약초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심한 것으로 생각 되어지며 근래에는 일본이나 중국에서 수입량이 증가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재배에 어려운 실정이다. 패모는 그 번식에 있어 종자 파종법, 인편삽목법, 인경(球)파종법 등이 있으나 종자파종법은 새로운 품종 육종법 등 특수한 목적에만 이용되나,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의 채종, 파종전 까지의 관리등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다.그러나 인편 삽목법은 구(球)가 크고 정상적인것은 포장에 직접 파종할 수있으나 구(球)가 적거나 구(球)가 나누어져 2개로 분리되었을때 인편(鱗片)을 포장에서 육묘하여 다음해에 이용할 종구(種球)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패모의 주요성분은 알카로이드로 fritilline, fritillarine, verficine verticilline, peinine, peiminoaid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진해(鎭咳), 거담(祛澹), 배농약 (排農藥), 해열(解熱), 청열(淸熱), 이뇨(利尿), 해독(解毒), 혈압강하(血壓降下)등에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충북농촌진흥원에서 1985년부터 현재까지 시험하여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소개 하고자 한다. 패모 재배시 유의할 사항은 적지 선정으로 우선 포장내의 배수가 양호한 사질 양토나 식질 양토로 유기물이 충분한 포장이 유리하나, 배수가 불량하거나, 유기물이 적은 포장에서는 생산된 상품의 품질이 낮으므로 적지 선정에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 1985년부터 현재까지 충북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서 공시품종은 충북지방 재래종으로 하였고, 10a당 퇴비 1,000㎏을 전량 밑거름을 살포하고, 경운한 후 질소, 인산, 가리는 9-14-10인 마늘전용 복합비료 4포를 파종 7일전에 포장전면에 다시 시용하고 경운, rotany하고 파종하였다. 종구는 10g내외의 것으로 잘 선별하여 ㎡당 22구 내외로 심을 구덩이를 얕게 하여 파종하고 3cm정도로 낮게 흙을 덮은후 볏짚을 얇게 3cm정도 덮어 활동 할수 있도록 하고 월동후에는 구(球) 비대촉진을 위하여 2월하순 출현되기 시작하면 볏 짚을 걷어 잘게썰어 피복해 주면 토양의 표토유실을 방지 할뿐아니라 고온기에 지온을 낮추고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수분유지는 물론, 볏짚이 썩게 되면 유기물 공급등 1석3조의 효과가 있게 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적합한 종구(種球) 선택이 되겠으나 종구가 크면 클수록 총수량과 상품 수량은 높아지나 본도에서 90∼92까지 시험한 결과
<표 1> 종구크기별 생육 및 수량
종구크기 (g/구) |
출현기 (월일) |
초장 (cm) |
경수 (개) |
엽장 (cm) |
엽폭 (cm) |
구수 (개) |
구고 (cm) |
구축 (cm) |
10a 당 | |||
총수량 |
지수 |
상품수량 |
지수 | |||||||||
1 5 10 15 30 |
3.7 3.6 3.4 3.4 3.4 |
8.3 11.3 31.3 53.2 68.3 |
5.6 6.2 8.4 7.8 7.8 |
8.4 9.0 10.7 11.3 10.3 |
1.5 1.7 1.7 1.7 1.4 |
1.3 1.8 2.0 2.4 2.6 |
2.6 2.8 3.2 3.1 3.2 |
2.3 2.7 3.1 3.6 3.7 |
200 345 690 959 1,256 |
29 50 100 139 182 |
30 55 273 284 295 |
11 20 100 104 108 |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현기는 종구가 클수록 빨랐으나 10∼30g에서는 차이가 없이 마늘과 같은 경향이었고 초장은 출현이 빨라지고 종구가 클수록 길었으며, 경수와 엽장은 초장과 같이 종구가 클수록 많고 길었으나 엽폭은 종구크기에 관여하지 못하였다.
개체별 증체 비율(球數)은 1g종구 1.3개인데 비하여 10g은 2.0개, 30g은 2.6개로 최저 10g정도는 되어야 2배의 증체 비율이 되므로 매우 유리하다. 10g당 수량은 10g종구 파종시 총수량은 690㎏인데, 종구가 클수록 15g에서는 39%, 30g에서는 82%증수되었으나 1g종구에서는 29%로 71%, 5g은 50%로 50%가 각각 감수되므로 적정 종구의 필요성이 있게 되며 또한 상품수량도 10g 종구보다 크면 증가되며 작은면 감수되므로 구(球)당 10g내외의 종구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파종기에 관하여는 89∼91년까지 시험한 결과 표2에서 보는바와 같이
<표 2> 파종기별 생육 및 수량
파종기 (월·일) |
출현기 (월·일) |
초장 (cm) |
경수 (cm) |
구고 (cm) |
구폭 (cm) |
10a 당 | ||
수량 |
지수 |
상품화율(%) | ||||||
8.20 8.30 9.10 9.20 9.30 10.10 |
2.19 2.21 2.23 2.25 2.28 3. 3 |
22.7 20.3 20.2 20.1 19.6 17.1 |
9.6 9.5 8.2 6.7 6.2 6.2 |
3.0 3.0 3.0 3.0 2.8 2.8 |
3.2 3.1 2.9 2.9 2.6 2.6 |
833 829 793 614 536 513 |
101 100 96 74 65 62 |
65 61 58 53 46 41 |
출현은 월동이 지나는 2월 중·하순에서 3월 상순에 되나 파종이 50여일 빨라 졌어도 출현은 14일 정도의 차가 있을뿐으로 다른 월동작물과 비슷한 경향이다.
초장은 8월20일 파종 22.7㎝보다 파종이 늦으면 2.4∼5.6㎝가 짧아졌고 경수는 9.6㎝에 비하여 0.1∼3.4개가 적어졌다. 구고(球高)도 8월 20일 파종 3.0㎝에 비하여 9월 30일과 10월 10일은 2.8㎝로 0.2㎜가 적었으며 구폭(球幅)은 8월 20일 3.2㎝에 비하여 8월 30일은 0.1㎝, 9월 10일은 0.3㎝, 9월 30일은 0.6cm가 각각 작았으며 구고 보다는 구폭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10a당 수량은 8월 30일 파종 829㎏에 비하여 8월 20일 파종은 833㎏으로 1%증가되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9월 10일은 4%, 9월20일은 20%, 9월30일은 35% 10월10일은 38%가 감수되어,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므로 중북부 내륙지방에서 패모 재배시 8월 하순에 파종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합한 재식밀도는 표3에서와 같이
<표 3> 재식 밀도별 생육 및 수량
재식밀도 (구/㎡) |
출현기 (월·일) |
초장 (cm) |
경수 (cm) |
구고 (cm) |
구폭 (cm) |
10a 당 | ||
수량 |
지수 |
상품화율(%) | ||||||
33 22 17 13 |
3. 7 3. 8 3. 9 3.10 |
21.8 21.1 20.3 20.0 |
6.1 6.5 6.7 6.6 |
3.1 3.1 3.4 3.4 |
3.1 3.2 3.3 3.4 |
874 854 704 560 |
102 100 84 66 |
40 48 54 61 |
출현기는 밀식에서 다소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초장은 ㎡당 13구(球)의 20.0㎜보다 ㎡당 33구로 밀식되면 1.8㎝길어졌으나 경수는 밀식이 33구의 6.1개에 비하여 소식인 13구는 6.6개로 0.5개 많아졌다. 구고는 ㎡당 33구22구는 3.1㎝, 17, 13구는 3.4㎝였으나 구폭은 밀식인 ㎡당 33구는 3.1㎝였으나 소식인 ㎡당 13구는 3.4㎝로 넓었으며 10a당 총수량은 ㎡당 22구에 비하여 33구는 2% 증수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고,㎡당 17구는 26%, 13구는 34%가 각각 감수되었으며 상품수량은 총수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패모재배시 적정 재식 밀도는 ㎡당 22구(球)내외가 효과적이다.
복토깊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시험결과로 표4에서와 같이
<표 4> 복토깊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복토깊이 (cm) |
출현기 (월·일) |
초장 (cm) |
경수 (개) |
엽수 (개) |
엽장 (cm) |
엽폭 (cm) |
구고 (cm) |
구축 (cm) |
10a 당 | |
수량 |
지수 | |||||||||
1 3 5 7 |
3.3 3.1 3.6 3.7 |
24 28 26 26 |
5.7 6.0 5.9 5.7 |
63.8 64.4 64.3 66.2 |
9.7 10.0 9.9 10.8 |
1.6 1.5 1.7 1.6 |
3.0 3.1 3.1 2.9 |
3.0 2.9 2.9 2.7 |
674 707 688 621 |
100 105 102 92 |
출현은 1㎝복토에서 3월 3일이나 5∼7㎝복토에서는 3월 6일∼3월 7일로 3∼4일 늦어져 복토깊이 깊으면 출현이 늦어졌으나, 초장은 1㎝복토의 24㎝에 비하여 3㎝ 복토에서는 4㎝ 길었고, 5∼7에 복토에서는 26㎝로 2㎝길었으며, 구당경수는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구당 엽수 및 엽장은 천식(낮게심음)인 1∼3㎝복토 보다 심식(깊이심음) 5∼7㎝에서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구고는 3∼5㎝ 복토는 3.1㎝였으며 복토깊이가 깊으면 0.1∼0.3㎝가 좁아 지는 경향이었다. 10a당 수량은 1㎝복토 674g에 비하여 3㎝복토에서는 5%, 5㎝에서는 2% 증수되었으나 7㎝ 복토에서는 8%가 감수되어 중북부지방에서 패모재배시 복토깊이는 3㎝내외가 유리하였다.
패모재배시 피복재료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92∼'94년까지 시험한 결과 표5에서와 같이
<표 5> 패모재배시 피복재료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처리별 |
출현기 (월·일) |
초장 (cm) |
경수 (개) |
엽수 (개) |
엽장 (cm) |
엽폭 (cm) |
구고 (cm) |
구축 (cm) |
10a 당 | |
수량 |
지수 | |||||||||
무피복 퇴비3,000㎏/10a 볏짚3,000㎏/10a 차광망30% 흑백 P.E피복 흑색 P.E피복 녹색 P.E피복 |
3.8 3.8 3.8 3.8 3.8 3.8 3.8 |
48 55 48 52 41 43 47 |
4.5 4.3 4.4 3.6 4.7 4.7 5.4 |
68 72 68 64 75 75 77 |
10.4 10.9 11.0 12.6 10.6 10.6 10.6 |
2.0 2.0 2.0 1.8 2.0 1.8 2.0 |
3.0 3.2 2.9 2.7 3.1 3.2 2.9 |
3.1 3.4 3.2 2.8 3.1 3.3 3.3 |
585 649 590 497 608 644 632 |
100 111 101 85 104 110 108 |
출현기는 모든 처리에서 3월 8일로 균일하게 출현되었고, 초장은 41∼55㎝정도였으며 퇴비 > 30% 차광망·볏짚 = 무피복순으로 길었으나, 특히 30% 차광망 피복에서는 경수가 3.6개로 가장적었다. 엽수는 무피복 68매에 비하여 퇴비피복은 4매 흑백, 흑색P.E 피복에서는 7매 녹색P.E 피복에서는 9매가 각각 많었으나 30% 차광망 피복에서는 4매가 적었다. 30% 차광망피복에서 초장이 길고, 경수가 적으며 엽장이 길고 엽폭이 좁았던 것은 일조부족으로 인하여 도장이 되었던 것으로 생각 되며 무피복에 비하여 흑백P.E 흑색P.E, 녹색P.E피복에서 생육이 좋았던것은 지온 (地溫)토양수분의 유지보존등이 좋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구고(球高) 구폭(球幅)은 무피복 3.0㎝에 비하여 30%, 차광망 피복에서는 0.2∼0.3㎝가 적었으나 그외 처리에서는 증가되었으며, 퇴비, 볏짚, 흑색P.E 피복에서 증가폭이 큰 것은 초기의 지온 상승과 구비대(球肥大)기의 토양수분등 생육환경이 좋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10a당 총수량은 무피복 585㎏에 비하여 30% 차광망 피복에서는 15% 감수되었고, 그외 처리에서는 1∼11% 증수되었으며, 특히 퇴비 3,000㎏/10a 흑색P.E, 녹색 P.E 피복에서는 8∼11%가 증수되었으므로 피복 재료는 퇴비 3,000㎏/10a 흑색 P.E, 녹색 P.E피복 재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시험연구보고서(1985∼1994). 최인식. 충북농촌진흥원
2. 약초재배(표준영농교본)1994. 이승택. 농촌진흥청
3. 재배약초사전. 1988 大類元弘 成田寯人.일본인쇄주식회사
4. 제2회 약용식물재배기술 강연요약집. 1991. 柴田敏郞 국립위생 시험소 약용식물재배시험장
5. 중국약용식물재배학.1991. 이세군 범림. 중국의학과학원 약용식물 개발연구소
6. 약용식물의 이용과 신재배기술.1994. 이정일 계봉명 선진문화사 농업기술정보 원고 제출 내용
남촌선생해설->패모는 딱딱한 金기운 -폐에 작용하며 金生水 하여 신장과 방광에도 작용한다.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 |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름 (0) | 2013.05.14 |
---|---|
약이되는 100가지약초 (0) | 2013.05.01 |
[스크랩] 진범.==마비.관절염.구안와사.뇌암. (0) | 2013.05.01 |
[스크랩] 황련.== 동맥경화.페결핵. (0) | 2013.05.01 |
[스크랩] 홍경천==각종암.페렴.당뇨.고혈압. (0) | 201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