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별이 된 남이 (南怡) 장군과 북정가(北征歌)
백두산석마도진 (白頭山石磨刀盡)이고,
두만강파음마무 (頭滿江波飮馬無)로다.
남아이십미평국 (男兒二十未平國)이면,
후세수칭대장부 (後世誰稱大丈夫)리요!
백두산의 돌은 칼을 가는데 쓰여지고,
두만강의 물은 말을 먹이는데 쓰여진다.
남아 20대에 나라를 평안하게 하지 못하면,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부르겠는가?
남이(南怡, 1441-1468) 장군은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의 아들이며, 충북 음성에서 태어났다. 1457년(세조3) 17세의 나이로 무과(武科)에 장원, 세조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27세 되던 1467(세조13)년에 이시애(李施愛)의 반란이 북관(北關)에서 일아나자, 우대장(右大將)으로 이를 토벌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오르고,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으며, 같은 해에 서북변(西北邊)의 여진족을 물리치는 공을 세우고, 27세의 나이로 병조판서에 올랐다.
하지만 1468년 세조가 죽자 그는 한명회, 신숙주 등의 노골적인 견제를 받기 시작했다. 그들이 강희맹, 한계희 등 의 훈구 대신들의 입을 통해 남이가 병조판서를 수행할 능력이 없다고 비판하자, 1468년 9월에 예종이 즉위하고 나서, 그를 병조판서에서 해임하고 겸사복장직에 임명했다. 남이가 병조판서에서 겸사복장직으로 물러났을 때 대궐에서 숙직하던 중, 하늘에 혜성이 나타났다.
남이가 그것을 보고, 묵은 것이 없어지고 새 것이 나타날 징조라고 말하자, 그에게 항상 질투를 느껴오던 유자광(柳子光)이 엿듣고서 역모를 획책한다고 모함하였다. 유자광(柳子光)은 서얼 출신으로 남이와 함께 이시애의 난에서 공을 세워 등용되었는데, 모사에 능하고 계략이 뛰어난 자였다. 그러나, 자신과 함께 공을 세운 남이가 세조의 사랑을 더 많이 받는 것을 시기하다, 마침 세조가 죽고 예종이 즉위하면서 남이가 병조판서에서 물러나자, 남이를 완전히 제거해 버릴 계획을 세운 것이다. 남이장군을 제거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 유자광은 후에 한명회 등의 훈구대신들과 함께 연합하여 사림세력을 모함해서 사화(史禍)를 일으키는데 한몫을 한다. 만약 이들 훈구대신들이 제거 되었다면, 사화라는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일찍이 세조는 한명회 등의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동시에 아들인 예종의 미래를 준비시키기 신진세력을 키워냈고, 신진세력 가운데에 남이 장군이 있었다. 한명회는 남이의 장인인 권람과 절친한 친구 사이였는데, 권람은 벌써 죽어 있었고, 한명회는 남이를 결코 보호해주지 않았다.
한편, 19세의 나이로 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예종은 원래부터 남이를 좋아하지 않았다. 무예에 뛰어나고 성격이 강직할 뿐 아니라 세조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던 그에 비하면, 예종은 유약하고 정사 처리에도 능하지 않았으며 세조의 신뢰도 두텁지 않았다. 예종은 그 때문에 촌수로 당숙뻘이나 되는 남이를 시기하고 질투했다. 그래서 훈구 대신들이 그를 비판하고 나오자 즉시 병조판서 직위에서 해임시켜버렸던 것이다. 예종은 나약한 몸으로 강력한 카리스마를 갖춘 남이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있었고 남이를 제거하고자 했다. 예종은 아버지 세조가 자신을 위해 키워놓은 신진세력을 제거한 셈이다. 이후 신진세력들은 사라지고, 훈구세력들이 다시 정권을 잡았다. 남이를 전격 처형한 예종은 재위 1년 2개월 만에 약관(弱冠.20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남이 장군이 읊은 “북정가” 중에 남아이십미평국(男兒二十未平國) 후세수칭대장부(後世誰 稱大丈夫) 남아 이십세에 나라를 평안하게 하지 못하면,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부르겠는가? 라는 부분이 왜곡되어, 미평국(未平國)’이란 글귀를 ‘미득국(未得國)’이라고 조작되어 남이 장군이 고발되었다. 즉 ‘나라를 평정하지 못하면’이라는 글귀가 ‘나라를 얻지 못하면’이라는 글귀로 왜곡하여, 반역의 뜻이 담겨 있다고 고발되어 1468년 10월에 28세의 나이로 사형되었다.
북정가(北征歌)는 남이장군이 27세에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돌아오는 길에 백두산에 평정비를 세우고 비문에 새긴 시로 그 천재성과 기개를 볼 수 있다. 인재박명(人才薄命)이라고 했던가! 재능있는 자는 적도 많기 마련이다. 세조의 신임을 두텁게 받던 젊은 실력자 남이를 시기하던 원로 공신인 한계희(韓繼禧)가 남이의 북정가가 모반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소문을 퍼뜨리자, 예종은 남이를 병판에서 물려나게 한다. 그 무렵에 하늘에서 혜성이 나타나자, 남이는 혜성을 바라보며 “옛것을 없애고 새로운 것이 나타날 기상이로구나!”라고 한마디 하였다. 그러자, 이를 듣고 있던 유자광(柳子光)이 남이가 역모한다고 무고하였다.
1468년 9월, 19세의 젊은 나이로 왕위에 오른 예종은 옛부터 성격이 급한 젊은 실력자 남이를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던 차에 좋은 기회라 생각하고 즉시 의금부로 잡혀가 문초를 받고 있는 남이를 친히 국문을 하기 시작하였다. 아무리 고문하여도 자백이 나오지 않자, 남이의 “북정가” 중에 남아이십미평국(男兒二十未平國) 후세수칭대장부(後世誰 稱大丈夫) 남아 이십세에 나라를 평안하게 하지 못하면,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부르겠는가? 라는 부분이 ‘미득국(未得國)’이라고 조작되어 그 증거로 제시되었다. 그래서, 백두산에 평정비 있는 곳을 몇 번이나 사신을 보내 비문을 조사하게 하였는데, 한결같이 ‘미득국(未得國)’이라고 증언했다. 고문 끝에 남이의 발이 부러졌다. 고통을 못이긴 남이는 이시애 난 평정 때의 대장이자 당시의 영의정인 강순(康純)을 같은 공범으로 지목하여 자백하였다. 강순은 억울함을 호소하였으나, 함께 사형 선고를 받았다. 1468년 10월, 남문 외형장 (南門 外刑場)으로 가는 수레에서 강순이 남이에게 "왜 나를 억울하게 죽게 하느냐" 고 묻자, 당신은 영의정 자리에 있고 나이 80으로 함께 평정을 간 부하의 억울함을 보고도 몸을 사려 한마디 변호도 하지 않은 불의를 범해 죽어 마땅하다고 하였다.
남이의 기질과 경력으로 볼 때, 이 때의 역모 사건은 아주 그럴 듯 해 보였다. 세조의 총애를 받고 있었고, 27세의 나이로 병조판서에까지 오른 그가 예종이 즉위한 뒤, 얼마 되지 않아 병조판서에서 밀려나자, 울분이 컸을 것이라고 추측되었고, 여론몰이와 조작극은 그렇게 진행되었다. 더구나 남이 장군이 무인 출신이었고, 남이 장군이 가까이 지내던 영의정 강순을 비롯한 인물들이 모두 무인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한명회, 노사신 등의 훈구대신들의 두려움은 증폭됐을 것이다. 결국, 남이 장군은 비극의 주인공이 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려져 갔다.
남이의 출생과 결혼 및 죽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충북 청원의 백족산(白足山,태조가 이산을 지나다 발을 씻을 때 발이 희게 보여서 유래)에 있는 어느 절에서 수도하던 스님들이 안개가 끼는 밤이면 하나씩 죽어서 사라져 갔고, 마지막으로 스님 하나만 남게 되었다. 믿음이 깊은 이 중은 부처님이 자신도 이제 극락으로 데려갈 것으로 생각하고, 서당 훈장을 하던 옛 친구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러 갔다. 훈장 친구는 괴이하게 생각하고, 다른 절로 가서 지낼 것을 권했으나 듣지 않으므로, 냄새나는 무명 옷을 하나 주며 마지막 부탁이니 꼭 입고 있으라 했다. 밤이 되어 안개가 끼자 큰 지네가 나타나 중을 물고 굴로 들어갔다. 그 밤 천둥과 번개가 치고 요란한 소리에 놀라 훈장이 아침에 산에 올라 보니, 굴 앞에 큰 지네가 무명옷을 토해 놓고 죽어 있었다. 중을 삼킨 뒤 훈장이 무명옷에 발라 놓은 독을 먹고 죽은 것이다. 마침 백족산 허리에서 오색 영롱한 빛이 일더니, 남씨 집으로 들어가고, 이날 이후 남씨(태종의 4녀 정선공주의 남편 남휘) 집에 태기가 생겼다. 이 큰 지네의 정기를 받아 태어난 이가 바로 남이(南怡) 였다. 지네의 정기를 받은 남이는 어려서 부터 영특하였고, 요귀(妖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한편, 남이가 젊을 때 길을 가다가 보니까, 한 처녀가 상자를 보자기에 싸서 가는데, 그 보자기 위에 하얗게 분을 바른 여자 귀신이 앉아 있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남이가 그 소녀를 따라가니, 소녀는 한 재상(宰相)의 집으로 들어갔다. 조금 후에 집안에서 울음소리가 요란하게 났다. 남이가 물으니 재상 딸이 갑자기 죽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남이가 말하기를, 자신이 들어가서 살릴 수 있다고 말하니, 처음에는 믿어주지 않다가 한 참 후에 들어오라고 허락했다.
남이가 들어가서 보니, 그 귀신이 처녀 가슴을 누르고 있다가 남이를 보고는 달아났다. 그러니까 처녀는 다시 살아났다. 그래서 남이가 방에서 나오니 또 처녀가 죽고, 남이가 들어가니까 처녀는 다시 살아났다. 곧장 남이는 그 보자기에 싸여 있던 것이 무엇이었느냐고 물으니, 홍시 감인데 처녀가 그것을 잘못 먹어 병이 났고 곧바로 죽었다고 했다. 남이는 자신이 봤던 귀신 얘기를 하고, 귀신 쫓는 약을 구해 와서 귀신을 다스려 처녀를 완쾌시켰다. 이 처녀는 재상(권람)의 넷째 딸이었고, 이렇게 해서 남이와 결혼했다.
남이가 귀신을 내쫓음으로써 다 죽어가던 낭자가 살아 남았다는 등의 남이 장군에 대한 신통력에 관한 얘기 때문에 민간과 무속에서는 남이 장군을 장군신(將軍神)으로 믿고 받드는 신앙이 형성되어 지금도 전승되고 있다. 이는 용맹을 떨쳤던 남이의 위용으로 귀신을 내쫓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 같다.
'놀라운 공부 > 역사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예가 열전](14) 조선중기 -미수 허목 (0) | 2007.03.05 |
---|---|
[스크랩] 백두산과 이성계에 관한 진실 (0) | 2007.02.11 |
[스크랩] 광해군은 폭군이었는가? (0) | 2007.02.11 |
[스크랩] 6시간 걸린 백년의 세월 (0) | 2007.02.08 |
[스크랩] 살아있는 민족정신 단재 신채호 선생 (0) | 200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