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서문(周易序文)
易之爲書 卦爻彖象之義備而天地萬物之情이 見하니 역지위서 괘효단상지의비이천지만물지정 현 聖人之憂天下來世 其至矣로다. 성인지우천하래세 기지의 先天下而開其物하고 後天下而成其務라. 선천하이개기물 후천하이성기무
- 역의 글됨이 괘 . 효.단.상의 의리가 갖추어 있고, 천지 만물의 정이 나타나 있으니, 성인이 천하의 오는 세상을 걱정하심이 지극하도다. 천하에 앞서서는 그 물건을 열고, 천하에 뒤해서는 그 일을 이루셨다.
是故로 極其數하야 以定天下之象하며 시고 극기수 이정천하지상 著其象하야 以定天下之吉凶하니 저기상 이정천하지길흉 六十四卦와 三百八十四爻 皆所以順性命之理하며 육십사괘 삼백팔십사효 개소이순성명지리 盡變化之道也라. 진변화지도야 散之在理則有萬殊하고 統之在道則无二致니 산지재리즉유만수 통지재도즉무이치 所以易有太極하니 是生兩儀라. 소이역유태극 시생양의 太極者는 道也요 兩儀者는 陰陽也니 태극자 도야 양의자 음양야 陰陽은 一道也요 太極은 無極也라. 음양 일도지 태극 무극야
- 이런 까닭에 그 수를 극도로 해서 천하의 상을 정하며, 그 상을 드러내서 천하의 길흉을 정하니, 64괘와 384효가 모두 이로써 성명의 이치에 순하며, 변화의 도를 다하는 것이다. 흩어서 이치로 보면 만 가지로 다르고, 모아서 도로 보면 두 가지가 아니니, 그렇기 때문에 역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낸다. 태극은 도이고, 양의는 음과 양이니, 음양은 한 도이며 태극은 무극이다.
萬物之生이 負陰而抱陽하야 만물지생 부음이포양 莫不有太極하며 莫不有兩儀하니 막불유태극 막불유양의 絪縕交感에 變化不窮이라. 인온교감 변화불궁 形一受其生하고 神一發其智하야 형일수기생 신일발기지 情僞 出焉에 萬緖 起焉하니 정위 출언 만서 기언 易所以定吉凶而生大業이라. 역소이정길흉이생대업
- 만물의 생겨남이 음을(뒤에)지고 양을(앞으로)안아서, 태극이 있지 않음이 없으며, 양의가 있지 않음이 없으니, 인온하여 사귀어 느낌에 변화가 무궁하다. 형체가 한 번 그 생명을 받고 신이 한 번 그 지혜를 발하여 참과 거짓이 나옴에 만 가지 단서가 일어나니, 역으로써 길흉을 정하고 대업을 내는 것이다.
故로 易者는 陰陽之道也요 고 역자 음양지도야 卦者는 陰陽之物也요 괘자 음양지물야 爻者는 陰陽之動也니 효자 음양지동야 卦雖不同이나 所同者 奇偶요 괘수부동 소동자 기우 爻雖不同이나 所同者 九六이라. 효수부동 소동자 구륙 是以로 六十四卦爲其體하고 시이 육십사괘위기체 三百八十四爻 互爲其用하야 遠在六合之外하고 삼백팔십사효 호귀기용 원재육합지외 近在一身之中하야 근재일신지중 暫於瞬息과 微於動靜에 莫不有卦之象焉하며 잠어순식 미어동정 막불유괘지상언 莫不有爻之義焉하니 至哉라 易乎여. 막불유효지의언 지재 역호 其道 至大而无不包하고 기도 지대이무불포 其用이 至神而无不存이라. 기용 지신이무부존 時固未始有一而卦未始有定象하고 시고미시유일이괘미시유정상 事固未始有窮而爻亦未始有定位하니 사고미시유궁이효역미시 유정위 以一時而索卦면 則拘於无變이니 非易也요 이일시이색괘 즉구어무변 비역야 以一事而明爻면 則窒而不通이니 非易也요 이일사이명효 즉질이불통 비역야 知所謂卦爻彖象之義而不知有卦爻彖象之用이면 지소위괘효단상지의이부지유괘효단상지용 亦非易也라. 역비역야
- 그러므로 역은 음양의 도이고, 괘는 음양의 물건이며, 효는 음양의 동하는 것이니, 괘가 비록 같지 않으나 같은 것은 양괘(奇)와 음괘(偶)이고, 효가 비록 같지 않으나 같은 것은 9와 6이다. 이런 까닭으로 64괘가 체가 되고 384효가 서로 그 용이 되어, 멀리는 육합의 밖에 있고 가까이는 한 몸가운데 있어서, 눈 깜짝하고 숨 한 번 쉬는 잠깐 사이와 동하고 정하는 미세한 것에도 괘의 상이 있지 않음이 없으며, 효의 뜻이 있지 않음이 없으니, 지극하도다 역이여! 그 도가 지극히 커서 감싸지 않음이 없고, 그 쓰임이 지극히 신묘하여 존재하지 않음이 없다. 진실로 때는 처음부터 하나만 있지 않고, 괘는 처음부터 정해진 상이 있지 않으며, 일은 진실로 처음부터 곤궁함이 있지 않고, 효 또한 처음부터 정해진 위(位)가 있지 않다. 한 때로서 괘를 찾으면 변화가 없음에 구애되니역이 아니고, 한 가지 일로써 효를 밝히면 막혀서 통하지 않으니 역이 아니며, 이른바 괘.효.단.상의 뜻을 알더라도 괘.효.단.상의 쓰임을 알지 못하면 역시 역이 아니다.
故로 得之於精神之運과 心術之動하야 고 득지어정신지운 심술지동 與天地合其德하며 여천지합기덕 與日月合其明하며 여일월합기명 與四時合其序하며 여사시합기서 與鬼神合其吉凶然後에야 여귀신합기길흉연후 可以謂之知易也라. 가이위지지역야 雖然이나 易之有卦는 易之已形者也요 수연 역지유괘 역지이형자야 卦之有爻는 卦之已見者也야니 괘지유효 괘지이현자야 已形已見者는 可以言知어니와 이형이현자 가이언지 未形未見者는 不可以名求니 미형미현자 불가이명구 則所謂易者 果何如哉아 此 學者所當知也니라. 즉소위역자 과하여재 차 학자소당지야
- 그러므로 정신의 운용과 마음씨의 움직임에서 체득해서, 천지와 그 덕을 합하며, 일월과 그 밝음을 합하며, 사시와 그 차례를 합하며, 귀신과 그 길흉을 합한 뒤에야 역을 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그렇지만, 역에 괘가 있는 것은 역이 이미 형상화 된 것이고, 괘에 효가 있는 것은 괘가 이미 나타난 것이다. 이미 형상하고 이미 나타난 것은 안다고 말할 수 있거니와, 형상하지 않고 나타나지 않은 것은 무어라 이름을 구할 수 없으니, 이른바 역은 과연 어떠한 것인가? 이는 배우는 자가 마땅히 알아야 할 바이다. |
'아름다운 삶 > 성공한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도 습관이고 행복도 습관입니다 (0) | 2007.03.10 |
---|---|
지구의 대세가 한반도로 온다. (0) | 2007.03.09 |
생각을 젖게하는 말 (0) | 2007.03.09 |
[스크랩] 이 귀한 입으로 10가지 말만 (0) | 2007.03.08 |
청소부의 밥 6가지 지침 (0) | 200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