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롱나무는 꽃이 여름철 내내 핀다. 여름내 장마와 무더위를 거뜬히 이겨 내면서 꽃을 피워내므로 나무백일홍(木百日紅)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하지만 배롱나무의 꽃은 한 송이가 피어 그토록 오랫동안 버티는 것이 아니고 수많은 꽃들이 차례로 피어나는데 그 기간이 100일은 지난다. 배롱나무는 낙엽성 교목이다. 그러나 아주 크게 되지는 않고 대개 3∼4미터쯤 자라고 간혹 10미터쯤 되는 것도 있다.
“배롱나무<crape myrtle/Lagerstroemia indica>는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높이 5 m 내외이고 나무껍질은 연한 홍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앞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에는 잎맥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9월에 피고 홍색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꽃받침과 더불어 6개로 갈라지고 주름이 지며, 수술은 30~40개인데 가장자리의 6개가 길다. 삭과는 타원형이고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꽃은 지혈․소종의 효능이 있어 월경과다․장염․설사 등에 쓴다. 백일홍이란 이름은 꽃이 오랫동안 피어 있으므로 생긴 이름이지만 화초로 심고 있는‘국화과의 백일홍과 혼돈하기 쉬우며’나무에 피는 백일홍이라는 뜻에서 목(木)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이 사람과 비슷하여 간즈름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었을 때 잎이 움직인다고 한다.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for. alba)라고 하며 인천에서 자란다.”
형태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6미터에 이른다. 잎은 단엽으로 마주나지만 윗부분의 잎은 어긋나기에 가깝고 도란형, 타원형, 혹은 긴타원형이며, 뒷면의 주맥 근처에는 털이 있다. 화서는 원추화서이고 꽃받침 잎은 6장이며 삼각상이고 꽃잎은 6장이며 분홍색 혹은 백색이며 구김이 있고 기부에는 가늘고 긴 조가 있고, 수술은 여러개이며, 자방상위이고 6실이며 암술대는 길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상 구형이다.
맛은 약간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은 활혈, 지혈, 해독, 소종한다. 주된 치료는 각종출혈, 골절, 유선염, 습진, 간염, 간경화 복수에 하루 15~30그램을 사용한다.”
“대화자미(大花紫薇) 기원은 천굴채과(부처꽃과; Lythraceae)식물인 大花紫薇(Lagerstroemia speciosa Pers.)의 뿌리 및 잎이다.
윤국병 및 장준근씨가 쓴 <몸에 좋은 산야초>에서는 배롱나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목백일홍의 특징은 정원이나 공원 등에 흔히 심어 꽃을 즐기는 낙엽활엽수로서, 높이는 5미터 안팎이다. 줄기는 연한 보라빛을 띤 붉은빛으로 미끈하며 껍질이 자주 벗겨지는데, 벗겨진 자리는 희다. 많은 가지를 치며 잔가지는 네 개의 모를 가지고 있다. 잎은 마디마다 2매가 마주 자리하는데 때로는 아주 가까운 거리로 어긋나게 자리하는 일도 있다. 잎의 생김새는 타원꼴 또는 계란꼴로서 두텁고 윤기가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아주 짧아 없는 것처럼 보인다. 꽃은 힘차게 자라난 새 가지 끝에 원뿌리꼴로 여러 송이가 모여 핀다. 꽃의 지름은 3-4cm이고 빛깔은 보라빛을 띤 짙은 분홍빛인데 흰 꽃이 피는 것도 있다. 여섯 장의 꽃잎에는 많은 주름이 잡혀 있으며 꽃이 오래도록 피기 때문에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부른다. 꽃이 지고난 뒤에 둥근 열매를 맺고, 익으면 여섯 갈래로 갈라진다.
개화기는 7월에서 9월이며 분포는 중국 원산의 꽃나무라고 하며, 겨울의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해서 경기도 이남의 지역에서만 식재되고 있다. 생약명은 자미화(紫微花), 백일홍(百日紅), 만당홍(満堂紅)이라고도 부른다. 사용부위는 꽃을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는 꽃이 완전히 피었을 때에 따서 햇볕에 말려 그대로 쓴다. 약효는 지혈과 소종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준다고 한다. 적용질환으로는 월경과다, 산후에 출혈이 멎지 않는 증세, 대하증, 설사, 장염 등이다. 기타 여러 가지의 외상으로 인하여 출혈이 있을 때에는 지혈약으로 쓰기도 한다. 용법은 말린 약재를 1회에 2-4그램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상으로 인한 출혈을 멈추게 하고자 할 때에는 말린 약재를 가루로 빻아 상처에 뿌리거나 또는 생꽃을 짓찧어서 붙인다.”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부처꽃과(―科 Lyth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키가 5미터 정도 자란다. 어린 가지는 네모져 있으며, 수피(樹皮)는 홍자색을 띠고 매끄럽다. 잎은 마주나고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없다. 붉은색의 꽃이 7~9월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어 피지만 흰꽃이 피는 품종인 흰배롱나무(L. indica for. alba)도 있다. 꽃의 지름은 3㎝ 정도이고 꽃잎은 6장이다. 수술은 많으나 가장자리의 6개는 다른 것에 비해 길며, 암술은 1개이다.
배롱나무는 꽃, 줄기, 뿌리, 잎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꽃은 성질은 차고 맛은 약간 시다. 산후에 혈붕이 멎지 않는 증상, 혈격징하, 붕중, 대하임리, 개나선창, 소아의 난두태독을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는 달인 물로 씻는다. 임신부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풍단(風丹)을 치료할 때는 배롱나무꽃 37.5그램을 달인 물에 술찌게미를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배롱나무 잎은 항균 작용이 있어 이질, 습진, 외상출혈을 치료한다. 나무껍질에는 흥분, 해열 작용이 있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는 달인 물로 씻는다. 또는 짓찧어 바르거나 가루내어 뿌린다.
배롱나무 뿌리는 1년 내내 수시로 채취할 수 있다. 뿌리는 sistosterol과 3, 3, 4-tri-o-methylellagic 옹저종독이나 머리와 얼굴에 난 창절, 손발에 생긴 창의 치료에는 배롱나무뿌니나 꽃을 가루내어 식초를 넣고 짓이겨 바른다. 달여서 복용해도 좋다. 치통의 치료에는 배롱나무뿌리를 질이 좋은 돼지고기와 함께 끓여서 복용한다.
한번 꽃이 피기 시작하면 꽃다발 아래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오래도록 피어 있는 모습이 대단히 아름다워 도심지 가로수, 묘소주변, 정원수로 많이 심고 있다. 꽃색도 다양해서 보라색, 붉은색, 흰색, 연분홍색 등등 보는이로 하여금 눈을 즐겁게 한다.
출처 : 전찬수 글쓴이 : 감자바위 원글보기 메모 :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