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별, 지구
우주, 天과 地의 원리
지구에 최대 접근한 화성
허블이 찍은 화성
수성이 태양 표면을 지나가는 장면을 차례대로 촬영
정말 신비한 은하계...
캐나다의 앨버타 주에서 찍힌 오로라
저기 커다랗고 붉은 녀석은 화성입니다..
미국 콜로라도에서 찍힌 오로라입니다
태양의 움직임 연속촬영..
태양의 흑점
웅장하다는 느낌이 드네요..
우주에서의 오로라
저곳으로 딸려들어갈 것 같은 느낌이..
고요함..
아름다운 저곳으로 꿈의 여행을..
아름다운 은하계..
에트나 산의 용암 분출
하늘의 등대일까? 가로등일까? *^^*
아름다운 우주의 세계..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수성이 태양표면을 지나가는 모습
순간적으로 비행기가 빨리 나갈때 주변 수증기가 응결된걸꺼예요..일명 구름같은거겠죠..자세히는 모름...
은하계..
순간포착
금성
아름다운 우주.. 그 고요함..
태양계 [ solar system ]
1) 태양계의 탄생
태양계는 약 46억 년 전에
우주 공간의 가스와 먼지가 모인 성운에서 태어났다.
성운의 99%는 원시 태양을 형성하였고 그것
이 수축하여 마침내 스스로 빛을 내는 태양이 탄생하였다.
원시태양 주위의 나머지 물질은 원반을 형성하였다.
원반의 물질들은 서로 뭉쳐져 무수히 많은 미행성체를 만들었고,
이렇게 형성된 미행성체는 서로 충돌하고 합쳐져 지구와 같은 행성이 탄생하게 되었다.
2) 태양계의 구성
태양과 9개의 행성 및 소행성 등이 속한 구조를 태양계라고 부릅니다.
행성은 외행성과 내행성,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내행성이란 지구궤도 안쪽을 도는 행성으로, 수성과 금성이 있으며,
외행성은 지구궤도 밖을 도는 행성으로 화성, 목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등이 있습니다.
지구형 행성은 지구와 크기나 구조 등이 유사한 행성으로
지구를 포함해서 수성, 금성, 화성, 명왕성 등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목성형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이 있습니다.
3) 행성의 크기
지구의 반지름은 약 6,400Km 입니다.
지구의 반지름을 1로 보았을 때,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는 행성들의 반지름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태 양 |
수 성 |
금 성 |
지 구 |
화 성 |
목 성 |
토 성 |
천왕성 |
해왕성 |
명왕성 |
109 |
0.4 |
1 |
1 |
0.5 |
11 |
9 |
4 |
4 |
0.5 |
4)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
태양은 지구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요?
지구에서 태양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거 리 : 약 1억 5천만 Km
빛의 속도로 간다면 |
8분 18초 |
소리의 속도로 간다면 |
14년 8개월 |
로켓의 속도로 간다면 |
5개월 |
시속 150Km의 기차로 |
114년 3개월 |
사람이 걸어서 간다면 |
4270년 |
성의 이미지 . 극지의 오로라가 선명하다
토성의 아름다운 태
우주선의 토성 대기권에 진입하는 장면
아름다운 토성의 이미지 사진들
가장 아름다운 토성의 사진
적외선으로 찍은 사진
토성에 다가가는 우주선
토성의 달 . Titane의 변화과정.
토성의 달 Tethys & Dione
X-ray로 찍은 토성사진.
토성과 지구의 크기비교!
토성의 위성 가운데 하나인 ‘타이탄’의 호수
NASA와 유럽우주기구 ESA가 공동개발한
호이겐스(Huygens) 탐사용로켓이 토성의 달 타이탄(Titan)의
호수를 떠다니고 있는 사진이다.
호수는 메탄·에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곳에 외계 생물체와 같은 유
기물이 생존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과학자들의 추측이 있었다.
태양계 묘사한 그래픽 사진
지난 5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저널’이 이용한 데이타로
그래픽이 태양계의 원리를 묘사하고있다.
목성의 오로라
지난 3월 NASA에 의해 포착된 것으로 목성의 보라색 양 극관이 오로라이다.
오로라는 전자나 양성자가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광하는
남쪽하늘로 떨어지는 ‘수퍼브라이트’ 혜성
호주출신의 우주비행사 로버트 맥넛(Robert McNaught)이
호주 뉴 사우스 웨일스(New South Wales)의
관측대에서 지난 8월 처음으로 발견한 혜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