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건강음식 자료

[스크랩] 무화과 ㅡ<효능>ㅡ이질 ,변비,장염,치질, 사마귀,장기생충,빈혈,혈압강화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0. 2. 25. 20:44
무화과
무화과

열매의 생김새는 둥근 모양, 납작하면서 둥근 모양, 원뿔 모양 등이 있다.
과피의 색깔도 녹색, 노란빛을 띤 녹색, 노란색, 붉은빛을 띤 녹색, 자줏빛을 띤 갈색, 자줏빛을 띤 검은색 등 다양하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건과(乾果)로 많이 쓰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날로 먹는다.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상처를 내면 흰 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열매 같은 꽃이삭이 달리고 안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겉에서 꽃이 보이지 않으므로 무화과나무라고 부른다. 암꽃은 화피갈래조각이 3개이고 2가화이지만 수나무는 보이지 않는다.

품종은 카프리형(Carpri)·스미루나형(Smyruna)·산페드로형(Sanpedro)·보통형(Common)의 4계통으로 나뉘며 주로 유럽·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보통형과 산페드로형을 많이 재배하고 특히 전라남도 영암에서 국내 총생산량의 90% 이상을 생산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당분(포도당과 과당)이 약 10% 들어 있어 단맛이 강하다.
유기산으로는 사과산과 시트르산을 비롯하여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들어 있다.
그밖에 리파아제·아밀라아제·옥시다아제 등의 효소와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고대 이집트와 로마·이스라엘에서는 강장제나 암·간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변비·설사·각혈·신경통·피부질환·빈혈·부인병 등에 약으로 쓰고, 주산지에서는 생즙을 치질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데 쓴다.
날로 먹거나 말려서 먹고, 잼·젤리·술·양갱·주스·식초 등으로 가공해 먹거나 각종 요리재료로 쓴다.
약재로는 무화과 잎인 데 잎에는 단백질과 고무질이 많아 그 유즙 으로 회충 등의 구제약과 신경통의 약재로 이용된다.
당분은 대부분이 과당과 포도당이며 유기산이 0.1 ∼ 0.2% 가량 들어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인 휘신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고기를 연하게 하는 연육제로 활용되고 있다.
고기를 무화과잎과 미리 재어두면 단백질 분해가 일어나 연해지고 맛도 좋아진다.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열]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낫게 하고 해독작용을 한다.
혈압강화작용 ㆍ 항암작용 ㆍ 소화작용 ㆍ 설사멈춤작용 등이 밝혀졌다.

♠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데 이질 ㆍ 변비 ㆍ 장염 ㆍ 치질 ㆍ 부스럼 등에 하루 30 ∼ 60g을 달여 먹는다.

♠ 치질 ' 탈황에는 입욕제로서 수건 주머니에 잎을 잘게 썰어 넣고, 욕조에 담근 채 목욕을 하든가 좌욕(항문욕)에 이용한다.
흰 생즙을 환부에 직접 이용해선 안된다.

♠ 사마귀 : 청소년들의 얼굴과 전박, 손등에 생긴 납작하고 단단한 사마귀(청년성 편평우췌)에 자주 흰 즙을 바른다. 물에 불린뒤 돌기를 도려낸 다음 흰 즙을 바른다.

♠ 재래식 화장실의 구더기 박멸에는 무화과나무 잎을 잘게 썰어 넣는다.

♠ 장기생충 구제(회충)에는 생과를 먹는다.(생과는 실제로는 과실이 아니라 숙성한 화낭이다)

♠ 빈혈 : 무화과나무잎 3 ~ 5g 또는 열매 12 ~ 15g을 1회분으로 하루 2 ~ 3회씩 5 ~ 6일 잎은 달여서, 열매는 생식으로 복용한다.

※ 영양성분 함량 : 수분 87.7%, 탄수화물 11.1g, 칼슘 26mg, 인 16mg, 비타민 C 2mg.

출처 : 좋은날쉼터
글쓴이 : 좋은날 원글보기
메모 :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