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삶/시·수필

한고조(寒苦鳥)의 나태함을 벗자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0. 6. 8. 20:22
황태영의 세상사는 이야기-. (6월 7일 월)

    한고조(寒苦鳥)의 나태함을 벗자. 한고조(寒苦鳥)는 히말라야 설산(雪山)에 있다고 하는 전설상의 새이다. 옛날 인도의 히말리야 산맥에는 한고조라는 새 한 쌍이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 새는 일반 새들과 달리 깃털이 없고 집을 짓지 않고 밤에는 굴속이나 땅구멍에서 잠을 잔다고 한다. 설산(雪山)은 해가 뜨면 따스하고 해가 서산에 지기만 하면 영하 30도씩 내려가 춥기가 이를 데 없었다. 한고조 내외는 추운 겨울날 눈 덮인 나무가지 위에서 암컷이 숫컷에게 "여보 내일 날이 새면 다른 것은 다 그만두고 꼭 집을 지읍시다." 하며 밤새껏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추위에 떨었다. 그러나 아침 햇살이 퍼지면 어제 밤의 그 추웠던 악몽을 깨끗이 잊고 "여보! 아침이 왔어요 어서 날아가 모이를 먹어야지요."하며 두 내외는 하늘높이 훨훨 날아다니며 하루를 마음껏 즐기고 배불리 먹었다. 그러나 밤이 찾아오면 낮의 그 행복했던 순간은 저편 상상 속에만 존재할 뿐 한고조 내외는 또다시 추위에 떨어야 했다. 둥지를 틀지 않아 밤에는 추위에 떨면서도 낮에 따뜻해지면 둥지를 틀 생각은 않고 다시금 게으름을 부리는 한고조는, 덧없는 세상에서 고통에 시달리면서도 워낙 게을러서 인간의 도를 깨우치려 하지 않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즉 한고조가 한 쌍의 새가 아니라 우리들 중생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세상을 살면서 같은 잘못을 수없이 반복하며 시행착오 속에서 살아간다. 알면서도 잘못을 고치지 못하고 또한 모르는 잘못도 수 없이 많다. 그러면서 모두 자기는 잘났고 남들은 하루살이처럼 세상물정 모른다고 핀찬만 준다. 하루살이는 봄의 아름다움도 가을의 넉넉함도 모른다. 3년이란 긴 기간을 숨죽이고 고생하다 단 하루만 살고 간다. 그러나 비록 단 하루라 할지라도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평생으로 알고 있는 힘을 모두 쏟아낸다. '한고조’처럼 타성에 젖어 평생이 하루같은 삶을 살 것인가, 단 하루를 살아도 '하루살이'처럼 성실하고 뜨겁게 하루를
    평생처럼 살 것인가?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가치있게 사느냐’가 중요하다.
    주어진 소중한 시간, 열정적이고 힘차게 살아야 할 것이다. <수필가 황태영> ************************* 가족 여러분... 새로운 한 주의 시작입니다. 준비하는 삶이 우리에게 얼마나 큰 행복을 주는 지 모두는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앞에 큰 어려움이 있더라도 극복하려는 자신감을 가지고 오늘도 힘차게 걸어가도록 합시다.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