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라져 가는 우리의 얼굴들이 있다. 거리에 나서면 사람들이 비슷비슷해져 있음을 느낀다. 심각하거나 무표정한 표정에 바쁜 걸음걸이, 얼굴들도 왠지 모르게 서로 닮아 보인다. 저마다의 개성이 점점 옅어지고 있는 것 같다. 순박하고 넉넉했던 한국의 표정은 이제 신라의 토우(土偶)나 저 백제의 미륵불, 또는 조선의 민화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어수룩한 모습으로 편안하게 자기 삶을 살았던 한 바보의 얘기에서 잊혀진 우리의 얼굴 하나를 찾아보자.
황보리(黃保里)에 성(姓)은 안(安)이고 이름은 선원(善元), 자는 원길(元吉)인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향교(鄕校)에 예속되어 있고 나이는 동렬(同列)들보다 많았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그를 당장(堂長)이라 불렀다. 그는 사람됨이 감정을 드러내거나 모나게 구는 법이 없어 고을 사람들과 어울릴 때면 나이와 신분을 막론하고 깍듯이 예를 갖추고 차별을 두지 않았으며, 사람들의 모멸을 받으면 그럴수록 더욱 공손하였다. 심지어 고을의 젊은 사람들이 그를 만나면 욕을 하고 주먹질을 하고 발길질을 해대도 나쁜 말이 그의 입에서 나오지 않았으니, 천성이 그러했던 것이다. 그의 집에는 아내와 자녀, 아내의 홀로 된 어미가 있었고 부릴 수 있는 하인이라곤 여종 한 사람 뿐이었는데 그나마 이가 빠진 할멈이었다. 논과 밭이 있다고는 하지만 기껏해야 모두 10여 이랑을 넘지 않아, 오직 자기 힘으로 농사를 지어 먹고 살 뿐 달리 생계에 보탬이 될 것은 없었다. 매양 농번기가 되어 아내와 자식들이 여종을 앞세우고 나서면, 그는 호미나 낫, 삼태기, 삽 따위를 들고서 뒤 따라 가서 일하다가 날이 다 저물어서야 돌아왔다. 천성이 시를 좋아했지만 이웃에서 그가 시를 읊는 소리를 들은 적이 없었다. 하루는 계조암(繼祖菴)에 놀러 갔다가 꽃과 달빛이 온 산에 가득하자, 끙끙대며 읊조린 끝에 시구를 지어, “꽃이 산 앞에서 웃으매 소리 들리지 않고 새가 숲 아래 우니 눈물 흘림을 보겠네[花笑山前聲未聽 鳥啼林下淚生看]”라 하니, 듣는 이들이 배를 잡고 웃었다. 그는 또 술을 좋아하나 늘 마실 형편은 못 되었고, 취하면 몸을 가누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았다. 이 동네는 습속이 다투기를 좋아하였다. 한번은 온 동네의 안씨(安氏)들이 모두 뭉쳐서, 방만을 떨던 서얼(庶孼) 소생 이씨(李氏) 한 사람을 성토한 적이 있었는데, 그가 홀로 이 일에 동참하지 않으니 온 마을 사람들이 겁쟁이라고 비웃었다. 그러나 이 일이 있은 뒤 그 이씨가 곤장을 맞아 목숨을 잃을 지경이 되자 안씨들이 죄에 연루될까 두려워하여 마치 자기가 당한 일처럼 가슴 아픈 척 하며 끊임없이 이씨에게 문안을 가니, 그의 장모가 탄식하기를, “근심할 게 없는 이는 우리 사위로구나. 내 딸이 우러러 보며 평생을 의지할 배필로 이만하면 되었다.” 하였다. 집안에 물건이라고는 병풍 한 벌이 있었는데 이것을 가지고 가서 군수를 알현하였다. 군수가 그를 앞으로 오게 하고 술을 대접하면서 묻기를, “이 병풍 끝에 ‘안원길에게 준다[贈安元吉]’라 씌어 있는 것은 자네의 표덕(表德 자(字)의 별칭)을 가리킨 것이 아닌가.” 하니, 곁에 있던 장씨(張氏) 성을 가진 좌수(座首)가 눈을 부릅뜨고 꾸짖기를, “네게도 자(字)가 있느냐. 이름도 욕된 주제에, 네가 무슨 자를 다 쓴단 말인가.” 하자, 아전들이 모두 곁눈질을 하며 몰래 웃었다. 그러나 그는 도리어 난감해 하는 기색이 없이 물러나 말하기를, “다른 사람이 장씨보다 더 추한 말을 할지라도 내 어찌 감히 노하리오. 설령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는다 하더라도 마르면 그만이요, 내 귀에 오줌을 눈다 하더라도 씻으면 그만일 것이며, 내 앞에 볼기짝이나 신근(腎根)을 드러낸다 하더라도 그냥 똑바로 바라보면 그만일 것이다.” 하고는, 또 말하기를, “내가 세상에 산 지 반백년이 넘었는데 비록 영화(榮華)는 누리지 못할지라도 몸에 횡액(橫厄)을 당하지는 않았으니, 다행이다. 병란(兵亂)이 일어난 이래로 우리 마을 사람들을 거의 집집마다 징발(徵發)하여 힘이 강한 자는 관군으로 부리고 몸이 튼튼한 자는 변방에 수자리를 세워, 그렇게 가서 돌아오지 않는 이가 줄을 이었다. 그러나 유독 나는 어리석은 덕분에 그런 사람들 틈에 끼이지 않아 이 집에서 미음을 먹고 죽을 먹으면서 지금까지 편안히 살아오고 있으니, 밖에서 오는 비웃음이나 모멸 따위야 내가 조금이라도 개의할 것이 있겠는가.” 하였다. 내가 평해(平海)에 와서 살면서 마침 그와 이웃이었던 터라 그 외모와 행동을 관찰하였는데 멍청하고 어눌하여 말을 제대로 입 밖에 내지 못할 정도였으나 그 내면을 살펴보면 외모처럼 그렇게 몹시 어리석지는 않았다. 어쩌면 그의 다툼도 성냄도 없는 마음이야말로, 애써 수양을 쌓은 결과로 화평하고 태연하여 흡사 어떠한 경지에 도달한 듯한 것이 아닐까? 아, 보신(保身)의 도를 얻은 이라 할 것이며, 능히 남과 다툼이 없는 이라 할 것이니, 옛날의 마복파(馬伏波)1)와 루사덕(婁師德)2)같은 이들도 반드시 그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이로써 그 자손이 본받아야 할 법으로 삼을 것이다. 세상에 분노를 참지 못하는 자들은 혹 한 마디 말과 한 가지 일을 이유로 마을에서 다투고 관가에 알려서 옥사(獄事)를 일으키고 형벌에 걸리면서도 뉘우치지 않으니, 이 안당장과 비교해 본다면 그 우열이 어떠하겠는가. 나는 이로써 그의 외모와 재주는 모두 보통사람보다도 못한 것 같지만 자신을 지키는 계책의 주도면밀함으로 말하자면 향리에서 자중자애(自重自愛)하는 근신한 사람도 미치기 어려울 정도임을 알겠다. 그의 집은 시내 북쪽 야트막한 산기슭에 있는데, 썩은 나무로 기둥을 받치고 울도 담도 둘러치지 않았다. 그는 비가 오면 패랭이를 쓰고 볕이 나면 칠포립(漆布笠 옷 칠을 한 베로 만든 삿갓)을 쓰며, 시든 뽕잎 빛 누른 옷을 입고 오석(烏石) 빛으로 검은, 가는 갓끈을 드리웠는데 체구는 여위고 키가 크며 검은 얼굴에 희미한 점이 있고 한두 가닥 듬성한 수염이 누렇다. 그가 사는 곳에는 한 해가 지나도 아무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고, 그 또한 좀처럼 남의 집에 발길을 들여 놓지 않는다.
내가 그의 자취가 이대로 사라질까 염려하여 이렇게 전(傳)을 짓는다.
1) 마복파(馬伏波) : 후한(後漢) 때의 명장인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을 가리킨다. 남을 비평하길 좋아하고 경박한 유협(遊俠)들과 사귀던, 그의 조카 엄돈(嚴敦)을 경계한 편지에, ‘남의 과실을 말하지 말고 남의 장단점이나 정치의 시비를 논하지 말라’고 하면서, 돈후(敦厚)하고 신중한 용백고(龍伯高)란 사람을 전범(典範)으로 제시하며 본받으라고 하였다.《小學 嘉言》 2) 루사덕(婁師德) : 당(唐)나라 때의 재상으로, 그 아우가 대주도독(代州都督)에 부임하러 떠날 때 말하기를, “내가 어린 나이에 재능이 부족한 사람으로 재상의 자리에 앉아 있는데, 네가 또 주(州)의 수령이 되어 가니, 분수에 넘치는 자리를 맡았다고 사람들이 질시할 것인데, 너는 장차 어떻게 소임을 마치겠느냐.” 하였다. 이에 그 아우가 “이제부터는 남이 저의 뺨에 침을 뱉더라도 감히 대꾸하지 않고 스스로 닦음으로써 형님께 근심을 끼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하자, 그는 말하기를, “그렇게 해서는 나의 근심거리가 되기에 알맞다. 대저 사람이 침을 뱉는 것은 노여움에서 나온 행동인데, 네가 그것을 닦는다면 이는 그 사람의 노여움을 거스르는 행동이 될 것이다. 침은 닦지 않아도 절로 마를 터이니, 차라리 웃으며 감수하는 편이 낫지 않겠느냐?” 하니, 그 아우가 “삼가 가르침을 따르겠습니다.” 하였다 한다.
▶ 이숭효(李崇孝)_어옹귀조도(漁翁歸釣圖)_16세기_국립중앙박물관
[黃保里有姓安而善元元吉字名者居之, 以其籍屬于校, 而齒優於同列, 故鄕人稱爲堂長. 爲人無喜怒圭角, 與鄕人處, 待其老幼高下, 一其禮, 無等別, 衆侮至, 逾益恭, 鄕少遇之, 輒詈且辱, 拳而蹴, 惡不出其口, 天性然也. 家有妻子女妻寡母, 使喚唯女奴一而無齒. 有水田土田, 竝不出十餘畝, 只力以自給, 無他資活. 每農月, 妻兒先赤脚, 後持鋤鎌畚鍤以隨之, 不盡夕不歸. 性愛詩, 鄰比未嘗聞吟哦. 一日, 遊繼祖菴, 花月滿山, 苦吟得句曰: “花笑山前聲未聽, 烏啼林下淚生看” 聽者捧腹. 又嗜酒, 不常繼得, 醉輒爲所使, 亦不爲人病. 里俗喜鬪, 合一洞安姓, 以討孼李之慢者, 獨不與, 一里人皆笑怯. 後李厄于杖, 將不起, 安懼其坐, 候問不絶, 若恫之在已. 其妻老嘆曰: “無憂者郞乎! 吾女之仰望終身者, 若此足矣.” 所蓄有屏書一本, 資以謁太守. 太守前而饋以酒, 問“此紙尾贈安元吉云者, 非君表德歟?” 傍有座首姓張者, 張目呵曰: “汝亦有字乎? 名且辱, 汝呼奚字爲.” 吏皆側視竊笑, 顧無難其色, 退而語曰: “使人言醜, 有甚於張, 吾敢怒! 設令人唾吾面, 乾而已; 溺吾耳, 洗而已; 露其臀其腎, 吾直視而已.” 且曰: “吾生世半百有餘, 雖無榮之可耀, 亦無患之橫于身, 幸也. 自兵興以來, 發吾里者, 家以爲算. 強者役于官, 壯者戍于邊, 其去而不返者相踵. 而獨吾以愚之故, 不齒人, 饘於是, 粥於是, 得至今而安吾生. 笑侮之自外來者, 奚足芥吾念乎!” 余嘗客于箕, 適與之鄰焉, 觀其外貌擧止, 癡惷拙訥, 言未敢出口, 而考其中, 則不至如外之甚. 抑其所以無爭辨忿怨之心者, 豈有着功定力之致, 而怡然泰然若有所得者然. 噫! 其得保身之道者乎! 其能與物無競者乎! 如古之馬伏波婁師德之徒, 亦必讓而爲子孫法矣. 世有不忍忿者, 或以一言一事, 鬪于閭, 聞于官, 以至速獄罹刑而不悔. 其視優劣, 何如也! 吾以是知其人之外之內, 皆若出尋常庸衆人之下, 而其自謀之審, 則雖鄕黨自好者, 果能及之否也. 家在溪之北短麓之上, 撑以朽木, 無垣籬可遮. 雨着蔽陽子, 晴戴漆布笠, 衣黃桑色, 垂烏石細纓, 瘦而長, 黑面微印點, 鬚有一莖二莖而黃. 所居, 終年無至者, 足亦不及人. 吾恐其泯, 遂爲傳.]
- 이산해(李山海) <안당장전(安堂長傳)> 《아계유고(鵝溪遺稿)》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