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청동기시대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한반도 주민들은 청동기시대를 발전시키지 못했지만,

문명이 발달한 외부세계(중국)의 도움으로

비로소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철기문명을 누렸다는 전형적인 식민사관이다.

일제의 이 식민사관은 청동기 거푸집들로 단박에 뒤엎어졌다.

매산 김양선 전 숭실대 교수(1907~70)가 수집해 기증한 8종 14건의 이 거푸집들은

전남 영암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한반도에 청동기시대가 존재했음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한 고고 유물이 왜, 얼마나 귀중한지 이 거푸집들이 확인시키는 셈이다.

 

 

국보 제231호인 세형동검 거푸집(왼쪽)과 동과(청동꺽창) 거푸집.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우리 역사를 제대로 쓰게 한 청동기 거푸집들의 실체를 밝힌 도록이 출간됐다.

기독교박물관이 지난 2년간 연구성과를 담아 최근 내놓은 < 거푸집과 청동기 > 다.

도록에는 0.1㎜ 단위의 초정밀 3D스캔 데이터를 활용해 완성한 거푸집들의 초정밀 실측도면,

3D스캔 영상을 이용한 가상주조 결과 등이 실렸다. 박경신 학예사는 "특성상 도면화가 어려웠던 거푸집의 정밀 실측 도면을 제공하고, 청동기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우리 박물관 소장 청동기 70점 등의

각종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도록"이라며 "학계의 청동기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물관 측은 이번 연구 과정에서 거푸집들이 기원전 3세기 후반~기원전 2세기 초, 기원전 3세기 초 등

두 시기에 사용됐다는 점, 가상주조를 통해 나온 청동기를 추적해 실제 유물을 찾은 결과

전남 화순 백암리 유적의 청동꺽창(동과)과 함평 초포리 유적의 청동도끼(동부)가 이 거푸집에서 주조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도 확인했다.

최병현 박물관장은 "오는 10월쯤 이번 연구성과를 학술적으로 검토할 '매산 기념강좌'와

국보 거푸집은 물론 박물관 소장 청동기를 함께 선보이는 특별전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도재기 기자 jaekee@kyunghyang.com >

출토지가 분명한 국보급 간두령(竿頭鈴)이 처음 발굴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호남문화재연구원(원장 임영진)은 전북 혁신도시 개발사업부지 내

완주 신풍유적 2차 발굴조사에서 기원전 2~3세기 초기철기시대 토광묘 (왼쪽)에서 간두령 2점과

세형동검 등 청동기 유물을 수습했다고 20일 밝혔다. 간두령은 쌍으로 된 창촉 모양의 청동기 안에

청동 방울이 달린 유물로 제사장이 사용한 의식구로 추정된다. 한수영 책임조사연구원은 "간두령은 대부분 국보·보물 등으로 지정될 만큼 가치를 인정받지만 지금까지 출토지가 명확한 예는 없었다"고 말했다.

 

 


南村先生 -나도 한마디

한민족 최고의 上古史를 밝히고 있는 桓檀古記(환단고기)는

4700년전에 이미 구리와 철을 제련하여 사용했던 기록을 밝히고

그 사실을 증거로 출토되고 있는 유물도 제시합니다.

 

이제 우리의 역사를 되 찾는데 전국민이 총력을 다해서

우리대에 제대로된 역사를 우리 후손들에게 반듯하게 전해야 하겠습니다


 -남촌선생 강의 내용 중에서-

 

 南村先生

010-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