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생리학자료

[스크랩] 동의보감[내경편]포胞 자궁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9. 27. 13:38

◆胞

胞形象

포의 형태[胞形象]

胞者一名赤宮一名丹田一名命門男子藏精施化婦人繫胞有孕俱爲生化之原非五行也非水亦非火此天地之異名也象坤土之生萬物也《東垣》○內經曰胞者藏於陰而象於地名曰奇恒之府註曰奇異於恒常之六府也○此胞非膀胱中盛尿之胞也

() 적궁(赤宮), 단전(丹田), 명문(命門)이라고도 하는데 남자는 여기에 () 저장했다가 내보낸다. 부인은 포가 있기 때문에 임신을 하게 된다. 그러니 포는 생명이 태어나는 근원이지 5행도 아니고 () 아니며 () 아니다. 이것은 자연의 작용을 달리 부른 이름이다. 땅이 만물을 생겨나게 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동원].

『내경』에 “포는 () 위치해 있고 땅을 상징하였기 때문에 기항지부(奇恒之府)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6(六府) 특수하게 다르다”고 씌어 있다.

포는 방광 속에 있는 오줌을 담는 포가 아니다.

胞部位

포의 위치[胞部位]

婦人胎之所居名曰子宮亦曰胞門《東垣》○胞一名丹田一名關元(穴名)在臍下三寸方圓四寸着脊梁兩腎間中央赤是也左靑右白上黃下黑三寸法三光四寸法四時五色法五行兩腎間名大海而貯其血氣亦名大中極言取人身之上下四向最爲中也《資生》○胞一名子宮胞有寒則無子《仲景》

태아가 들어 있는 곳을 자궁(子宮)이라고도 하고 포문(胞門)이라고도 한다[동원].

포를 단전(丹田)이라고도 하고 관원(關元, 혈이름)이라고도 하는데 배꼽에서 아래로 3 되는 곳에 있다. 둘레는 4치이다. 등뼈를 중심으로 양쪽 신장 사이에 붙어 있는데 가운데는 붉은 빛이며 왼쪽은 푸른 빛이고 오른쪽은 흰빛이며 위는 누런 빛이고 아래는 검은 빛이다. 3치는 삼광(三光)㈜을 본받은 것이고 4치는 4철을 본받은 것이며 5가지 빛은 5행을 본받은 것이다.

[] 삼광(三光) : , , 별의 3가지 빛을 말한다.

양쪽 신장 사이를 대해(大海)라고 하는데 여기에 혈기(血氣) 저장된다. 이곳을 대중극(大中極)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몸의 위아래와 4방에서 제일 중심에 있다는 말이다[자생].

포를 자궁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포에 기운이 있으면 아이를 낳지 못한다[중경].

胞爲血室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皆起於胞中上循腹裏爲經絡之海《靈樞》○內經曰女子二七天癸至任通太衝盛月事以時下故有子註曰癸爲壬癸北方水干名也任皆奇經也衝任流通經血漸盈應時而下天眞之氣降與之從事故云天癸也然衝爲血海任主胞胎二者相資故能有子所以謂之月事者平和之氣常以三旬而一見也故愆期者謂之有病《良方》○血室者血之所居也榮衛停止之所經流會之處衝是矣○衝爲血海諸經朝會男子則運而行之女子則停而止之男旣運行故無積而不滿女旣停止故有積而能滿滿者以時而溢謂之信卽月水也以象月盈則虧也《綱目》

충맥(衝脈) 임맥(任脈) 포의 가운데서 시작하여 위로 뱃속으로 올라갔는데 경락이 모이는 곳이다[영추].

『내경』에 여자는 14살에 천계(天癸) 시작되고 임맥이 통하며 태충맥(太衝脈) 왕성해지면서 월경이 때맞추어 나와 임신을 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라는 것은 임계북방수(壬癸北方水) 말하는 것인데 천간(天干)이라고도 한다. 임맥과 충맥은 기경맥(奇經脈)이다. 충임맥이 통하면 경혈(經血) 점차 왕성해져서 날짜에 월경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천진(天眞) 기가 내려와 성생활을 있게 하므로 천계(天癸)라고 한다. 충맥은 피가 모이는 곳이다. 임맥은 임신하는 것을 주관한다. 가지가 서로 연관되어야 임신을 하게 된다. 월사(月事)라는 것은 기가 고르기 때문에 항상 30일에 한번씩 월경하는 것을 말한다. 월경 날짜가 맞지 않는 것은 병이 있기 때문이다[양방].

혈실(血室) () 있는 곳이며 영위(榮衛) 멈춰 있는 곳이고 경맥이 흘러들어 모이는 곳인데 이것이 바로 충맥이다.

충맥은 혈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여기에 모든 () 모여 있다. 남자는 돌게 되어 있고 여자는 멈추게 되어 있다. 남자는 돌게 되어 있기 때문에 쌓이는 것이 생기지 않아 그득해지지 않고 여자는 멈추게 되어 있기 때문에 쌓이는 것이 있어서 있다. 있던 것이 때맞추어 넘쳐 나오는 것을 월신(月信)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월경[月水]이다. 이것은 달이 둥글어졌다가 이지러지는 비유해서 표현한 것이다[강목].

⼗怴

보는 [脈法]/

微血氣俱虛年少者亡血也乳子下利爲可否者此爲居經三月一來○少陰微而遲微則無精遲則陰中寒澁則血不來此爲居經三月一來《經》○婦人漏下赤白日下血數升急疾者死遲者生○婦人漏下赤白不止小虛滑者生大緊實數者死《經》○寸關調如故而尺絶不至者月水不利○尺來而斷絶者月水不利○肝怴睕主月水不利○尺滑血氣實也婦人經不利○來至狀如琴絃若小腹痛主月水不利孔竅生瘡《經》○帶下之宜遲滑忌浮虛《醫鑑》

맥이 () 것은 혈기(血氣) 허한 것인데 나이가 젊은 사람이 이런 것은 피를 잃은 것이다. 젖먹이 어린이들이 설사할 이런 맥이 나타난다. 거경(居經) 되었을 때에는 이런 맥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에는 월경이 3달에 한번씩 나온다.

소음맥(少陰脈) ()하거나 ()하다면 미한 것은 () 없는 것이고 지한 것은 음부 속이 [] 것이다. 맥이 () 것은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거경이 것인데 이때에는 월경이 3달에 한번씩 나온다[맥경].

부인이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고 날마다 하혈을 2 정도씩 때에 맥이 몹시 빠르면 죽고 지하면 산다.

부인이 벌겋고 흰이슬이 계속 나올 때에 맥이 (), (), ()하면 살고 (), (), (), ()하면 죽는다[맥경].

촌관맥(寸關脈) 평상시와 같이 고르로운데[調] 오직 척맥(尺脈)만이 끊어져서 뛰지 않는 것은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利] 것이다.

척맥이 뛰다가 끊어지는 것도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 것이다.

간맥(肝脈) () 것도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 것이다.

척맥이 () 것은 혈기가 () 것인데 부인이면 월경[經脈] 고르롭지 못한[不利] 것이다.

맥이 뛰는 모양이 거문고줄 같으면서 아랫배가 아픈 것은 주로 월경[月水] 고르롭지 못하고[不利] 음부에 헌데가 생긴 것이다[맥경].

이슬[帶下] 있을 맥이 지활(遲滑)하면 좋고 부허(浮虛)하면 좋지 못하다[의감].

經行有異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婦人年二七天癸至七七天癸竭行早性機巧行遲性魯鈍通行則陰陽和合始能生子行年十四歲當時二十歲不行命如風燭有病發則死間有不死百中無一亦令一生多病未嘗一日安裕然有四季行亦可又有一年一次者亦不甚佳或一生不循正道而行者晩年有僻疾則難治《得效》

여자는 14살에 월경이 시작되고 49살에 월경이 없어진다. 월경이 이른 여자는 성발육[性機巧] 빠른 것이고 늦은 여자는 성발육이 늦은 것이다. 월경을 제대로 하면 음양이 화합될 있으므로 자식을 낳을 있다. 14살에 월경을 하는 것이 나이에 하는 것이다. 20살이 되도록 월경이 없는 여자의 생명은 바람 앞에 촛불 같기 때문에 병이 생기면 죽는다. 죽지 않는 이도 있지만 백명에 1명도 된다. 또한 산다고 하여도 일생 동안 병이 많이 생겨 하루도 편안할 없다. 그리고 3 만에 한번씩 월경을 하는 것은 괜찮지만 1년에 한번씩 하는 것은 아주 좋지 못하다. 일생 동안 월경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여자는 늙으면 벽질(僻疾)㈜이 생기게 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벽질(僻疾) : 무슨 병인지 진단하기 힘든 병을 말한다.

月候形色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經水者陰血也陰必從陽故火色也血爲氣之配氣熱則熱氣寒則寒氣升則升氣降則降氣凝則凝氣滯則滯氣淸則淸氣濁則濁往往見有成塊者氣之凝也將行而痛者氣之滯也行後作痛者氣血俱虛也色淡者亦虛也而有水渾之也錯經妄行者氣之亂也紫者氣之熱也黑者熱之甚也今人但見其紫者黑者作痛者成塊者率指爲風冷而行溫熱之劑禍不旋踵矣《丹心》○心主血故以色紅爲正月候雖不對期而色正者易調《入門》

월경할 때에 나오는 피는 음혈(陰血)이다. () 반드시 () 따르기 때문에 () 빛을 띤다. () () 짝이다. 그러므로 기가 더우면 혈도 덥고 기가 차면 혈도 차며 기가 올라가면 혈도 올라가고 기가 내려가면 혈도 내려가며 기가 뭉치면 혈도 뭉치고 기가 막히면 혈도 막힌다. 기가 맑으면 혈도 맑고 기가 흐려지면 혈도 흐려진다. 흔히 월경 핏덩어리가 나오는 것을 있는데 그것은 기가 뭉쳤기 때문이다. 월경이 있으려고 때에 아픈 것은 기가 막혔기 때문이고 월경이 끝난 다음에 아픈 것은 기혈(氣血) 허하기 때문이다. 월경빛이 연한 것은 기혈이 허하여 물이 섞였기 때문이다. 월경이 날짜에 있지 않고 무질서하게 나오는 것은 기가 문란해졌기 때문이다. 월경빛이 자줏빛이면 기에 열이 있는 것이고 검은 빛이면 열이 심한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오직 자줏빛과 검은 , 아픈 것과 덩어리진 것만을 보고 이것은 풍랭(風冷) 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성질이 따뜻하거나 뜨거운 약을 쓰기 때문에 () 입게 된다[단심].

() 혈을 주관하기 때문에 월경빛이 붉어야 정상이다. 월경하는 날짜가 틀린다고 하여도 빛만 정상이면 월경을 고르롭게[調] 하도록 하기 쉽다[입문].

和血治法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經色紫者風也四物湯(方見血門)加防風白芷荊芥○黑者熱甚也成塊色紫黑者血熱也四物湯加黃芩黃連香附子○淡白者虛也芎歸湯(方見婦人)加人參黃白芍藥香附子○淡者有水渾之也二陳湯(方見痰飮)加川芎當歸一云色淡者氣血俱虛宜八物湯(方見虛勞)○如烟塵水者如屋漏水者如豆汁者或帶黃者濕痰也二陳湯加秦防風蒼朮一云如黑豆汁者四物湯加芩連○成塊色不變者氣滯也四物湯加香附子玄胡索枳殼陳皮○通用百子附歸丸(方見婦人)琥珀調經丸

월경빛이 자줏빛이면 풍증(風證)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방풍, 구릿대(백지), 형개를 넣어 쓴다.

검은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에 덩어리가 지고 빛이 검붉은 것은 피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속썩은풀(황금), 황련, 향부자를 넣어 쓴다.

빛이 연한 [淡白者] 허하기 때문인데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인삼, 황기,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향부자를 넣어 쓴다.

흐린 물같이 연한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궁궁이(천궁), 당귀를 넣어 쓴다. 또한 빛이 연한 것은 기와 혈이 허한 것이므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쓰는 것이 좋다.

그을음이 섞인 같거나 초가집 이엉에서 떨어진 같거나 팥물 같거나 누런 것은 습담(濕痰)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진탕에 진교, 방풍, 삽주(창출) 넣어 써야 한다. 검정콩(흑두) 달인 같은 데는 사물탕에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넣어 쓴다.

덩어리는 졌으나 빛이 변하지 않은 것은 기가 막혔기 때문이므로 사물탕에 향부자, 현호색, 지각, 귤껍질(陳皮) 넣어 써야 한다.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호박조경환도 두루 쓴다.

琥珀調經丸

治胞冷無子能令經正香附米一斤分作二包用童尿米醋各浸九日和淨熟艾四兩拌勻再加醋五椀入砂鍋內同煮乾爲度入川芎當歸白芍藥熟地黃生乾地黃沒藥各二兩琥珀一兩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每百丸空心艾醋湯下《入門》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

자궁이 차서[] 임신을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월경을 고르롭게[] 하도록 한다.

향부자 600g 2몫으로 나누어 1몫은 동변[童尿], 1몫은 식초에 각각 9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깨끗한 약쑥(애엽) 160g 섞어서 식초 5사발과 사기그릇에 담아 물이 마르도록 달인다. 여기에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몰약 각각 80g, 호박 40g 넣어서 가루낸 다음 식초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쑥과 식초를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月候不調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 [月候不調]

婦人經水少不如前者何也師曰曾經下利若汗出小便利亡其津液故令經水反少也設經下多於前者有所苦困當言恐大便難身復無汗也《經》○月候不調之由或前或後或多或少凡行後作痛者虛也小而淡者血虛也多者氣虛也其將行作痛及凝塊不散者滯也紫黑色者滯而狹熱也《丹心》○月候不調之中有兼疼痛者有兼發熱者其不調之中有前者有退後者則前爲熱退後爲虛也疼痛之中有常時作痛者有經前經後作痛者則常時與經前作痛者爲血積經後爲血虛也發熱之中有常時發熱者有經行發熱者則常時爲血虛有積經行爲血虛有熱《丹心》

부인이 “월경량[經水] 먼저보다 적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묻자 의사가 “앞서 설사를 하였거나 땀을 흘렸거나 오줌을 많이 누어서 진액이 적어지면 월경량이 적어진다. 월경량이 먼저보다 많아지면 반드시 고통스럽고 피곤한데 이와 같이 되었을 때에는 대변이 굳어지거나[] 몸에 다시는 땀이 나지 않게 될까봐 우려된다”고 하였다[맥경].

월경이 고르롭지[調] 못하다는 것은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는 것과 () 많아지거나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 월경이 끝난 다음 배가 아픈 것은 허하기 때문이고 양이 적고 빛이 연한 것은 혈이 허하기 때문이며 양이 많은 것은 기가 허하기 때문이다. 월경이 있으려고 때에 아픈 것은 피가 엉켰다가 흩어지지 못하고 덩어리가 되어 막혔기 때문이고 월경빛이 검붉은 것은 월경이 막히고 열이 겹쳤기[挾熱] 때문이다[단심].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면서[不調] 아프거나 열이 겹치는 것도 있으며 또한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는 것이 있다. 앞당겨지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고 늦어지는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픈 데도 아픈 것이 있고 월경 전후에 아픈 것이 있다. 아픈 것과 월경 전에 아픈 것은 혈이 몰렸기 때문이고 월경이 끝난 뒤에 아픈 것은 혈이 허하기 때문이다. 열이 나는 데도 열이 나는 것이 있고 월경할 때만 열이 나는 것이 있다. 열이 나는 것은 혈이 허하고 () 있기 때문이며 월경할 때만 열이 나는 것은 혈이 허하기 때문이다[단심].

調血治法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治經水或前或後或多或少或逾月不至或一月再至皆不調之故宜調經散一云經候不調當以四物湯爲主治《丹心》○臨經行腹痛此血澁故也宜淸熱調血湯又四物湯加玄胡索苦練根蓬朮香附子桃仁紅花黃連○經行後腹痛乃虛中有熱八物湯加減服(方見虛勞)○先期而來乃氣血俱熱宜淸經四物湯又四物湯加柴胡黃芩黃連○過期不來是血虛宜通經四物湯又四物湯加黃陳皮升麻人參○月候不調通用煮附丸墨附丸四製香附丸七製香附丸《入門》

糊和丸梧子大臨臥酒下八十丸《入門》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는 것과 양이 많아지거나 적어지는 , 달이 지나도록 월경이 없거나 1달에 두번씩 하는 것은 고르지 못한 것인데 이런 데는 조경산을 쓴다. 그리고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調] 것은 주로 사물탕으로 치료해야 한다[단심].

월경이 있으려고 때에 배가 아픈 것은 피가 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므로 청열조혈탕이나 사물탕에 현호색, 고련근피(苦練根), 봉출, 향부자,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황련을 넣어 써야 한다.

월경이 끝난 뒤에 배가 아픈 것은 허하고 열이 있기 때문이므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가감(加減)하여 써야 한다.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는 것은 기혈(氣血) 열이 있기 때문이므로 청경사물탕이나 사물탕에 시호,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넣어 써야 한다.

날짜가 지나서도 월경이 없는 것은 혈이 허하기 때문이므로 통경사물탕이나 사물탕에 황기, 귤껍질(陳皮), 승마, 인삼을 넣어 써야 한다.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調] 데는 자부환, 묵부환, 사제향부환, 칠제향부환 등을 두루 쓴다[입문].

調經散

一名溫經湯治月候不調麥門冬二錢當歸一錢半人參半夏製白芍藥川芎牡丹皮各一錢阿膠珠甘草灸各七分半吳茱萸肉桂各五分右作一貼薑三片水煎服《入門》○千金調經湯治同上當歸川芎白芍藥各一錢麥門冬半夏各七分人參阿膠珠牡丹皮吳茱萸肉桂各五分甘草三分右服如上法《回春》

조경산(調經散)

일명 온경탕(溫經湯)이라고도 하는데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調]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8g, 당귀 6g, 인삼, 끼무릇(반하, 법제한 ),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4g, 아교주, 감초(닦은 ) 각각 3g, 오수유, 육계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하는데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맥문동, 끼무릇(반하) 각각 2.8g, 인삼, 아교주, 모란껍질(목단피), 오수유, 육계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먹는다[회춘].

淸熱調血湯

治經水將來腹中陣痛乃氣血俱實也當歸川芎白芍藥生乾地黃黃連香附子桃仁紅花蓬朮玄胡索牡丹皮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월경이 있으려고 배가 진통이 있을 때처럼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기혈이 실하기 때문이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황련, 향부자,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봉출, 현호색,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淸經四物湯

治經水不及期而來乃血虛有熱當歸一錢半生乾地黃條芩香附子各一錢白芍藥黃連薑汁炒各八分川芎阿膠珠黃栢知母各五分艾葉甘草各三分右作一貼煎服《醫鑑》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는 것은 혈이 허하고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생건지황, 속썩은풀(황금), 향부자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 각각 3.2g, 궁궁이(천궁), 아교주, 황백, 지모 각각 2g, 약쑥잎(애엽),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달여 먹는다[의감].

通經四物湯

治經水過期不行乃血虛有寒當歸一錢半熟地黃白芍藥香附子蓬朮蘇木各一錢木通八分川芎肉桂甘草各五分紅花三分桃仁二十箇右作一貼空心水煎服《醫鑑》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월경이 날짜가 지나도록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하고 기운이 있기 때문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향부자, 봉출, 소목 각각 4g, 으름덩굴(목통) 3.2g, 궁궁이(천궁), 육계, 감초 각각 2g, 잇꽃(홍화) 1.2g, 복숭아씨(도인) 20.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煮附丸

治經候不調臍腹痛面色萎黃飮食減少或崩漏帶下香附子擦去毛好醋煮半日焙爲末醋糊和丸梧子大米飮下五七十丸《綱目》○一名香附丸又名醋附丸治婢妾氣鬱經多不調

자부환(煮附丸)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不調] 배꼽 둘레가 몹시 아프며 얼굴이 누르스름하고 윤기가 없으며 음식을 적게 먹으면서 붕루(崩漏) 이슬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잔뿌리를 없앤 ).

위의 약들을 좋은 식초에 넣고 한나절 동안 달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다음 가루내어 식초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강목].

일명 향부환(香附丸) 또는 초부환(醋附丸)이라고도 하는데 남의 집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첩이 사람이 기가 울체[]되어 월경량이 많아졌거나 고르롭지 못한[不調] 것도 치료한다.

墨附丸

治婦人經水不調久無子四製香附子一斤熟艾四兩用醋一椀煮至乾入石臼內作餠子於新瓦上焙乾入白茯當歸人參川芎熟地黃京墨火紅醋各一兩木香五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溫酒呑下七八十丸《入門》

묵부환(墨附丸)

부인이 월경이 고르롭지 못해서[不調]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4몫으로 나누어 법제한다) 600g, 약쑥(애엽, 깨끗한 것으로 닦아서 식초 1사발에 넣고 마르도록 달인다. 다음 돌절구에 찧어서 떡처럼 만들어 기왓장 위에 놓아 불에 말린다) 160g,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인삼,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불에 벌겋게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갔다 )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입문].

四製香附丸

治月候不調能調和經香附米一斤分作四製○一用鹽水加薑汁浸煮略:炒主降痰○一用米醋浸煮略炒主補血○一用山梔仁四兩同炒去梔主散鬱○一用童便洗過不炒主降火○右爲末入川芎當歸各二兩同爲末酒糊和丸梧子大每五七十丸隨證作湯使呑下《種杏》○入門香附米一斤分四包用酒醋童便鹽水各浸七日焙乾末醋糊和丸鹽酒呑下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

월경이 고르지 못한[不調] 것을 치료하는데 월경을 고르롭게[] 하도록 한다.

향부자(썰은 ) 600g 4몫으로 나누어 법제한다.

한몫은 소금물을 섞은 생강즙에 담갔다가 달여서 약간 볶아 쓰는데 주로 () 내린다.

한몫은 쌀초[米醋] 담갔다가 달여서 약간 볶아 쓰는데 주로 혈을 보한다.

한몫은 산치자 160g 함께 닦아서 산치자는 버리고 쓰는데 주로 몰리고 맺힌 [] 헤친다[].

한몫은 볶지 않고 동변(童便) 씻어서 쓰는데 주로 () 내린다.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궁궁이(천궁) 당귀가루 각각 80g씩과 함께 술에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g 증상에 따라 쓰는 달임 약물(作湯) 먹는다[종행].

『입문』에는 “향부자(썰은 ) 600g 4몫으로 나누어 , 식초, 동변, 소금물에 각각 7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다음 식초에 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소금물이나 술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

七製香附丸

治月候不調結成琋禮或骨蒸發熱香*附米十四兩分七包○一包同當歸二兩酒浸○二包同蓬朮二兩童便浸○三包同牡丹皮艾葉各一兩米浸○四包同烏藥二兩米浸○五包同川芎玄胡索各一兩水浸○六包同三稜柴胡各一兩醋浸○七包同紅花烏梅各一兩鹽水浸○右各浸春五夏三秋七冬十日乾只取香附爲末以浸藥水打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不調] 징가( ) 생겨 뼈가 찌는 [蒸發]같이 다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썰은 ) 560g 7몫으로 나눈다.

첫번째 몫은 당귀 80g 같이 술에 담근다.

두번째 몫은 봉출 80g 같이 동변(童便) 담근다.

세번째 몫은 모란껍질(목단피), 약쑥잎(애엽) 각각 40g 같이 씻은 물에 담근다.

네번째 몫은 오약 80g 같이 씻은 물에 담근다.

다섯번째 몫은 궁궁이(천궁), 현호색 각각 40g 같이 물에 담근다.

여섯번째 몫은 삼릉, 시호 각각 40g 같이 식초에 담근다.

일곱번째 몫은 잇꽃(홍화), 오매 각각 40g 같이 소금물에 담근다.

위의 약들을 각각 봄에는 5 동안, 여름에는 3 동안, 가을에는 7 동안, 겨울에는 10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서 향부자만 가루를 내어 약을 담가 두었던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잠잘 무렵에 술로 먹는다[입문].

血閉

월경이 중단된 [血閉]

月事不來者胞閉也胞者屬心而絡於胞中今氣上迫肺心氣不得下通故月事不來也《內經》○小腸移熱於大腸爲伏註曰血澁不利則月事滯而不行《內經》○內經曰二陽之病發心脾有不得隱曲女子不月盖衝任爲經絡之海與手太陽小腸手少陰心爲表裏衝任氣盛則血依時下若憂思傷心則不能生血脾者心之子脾失所養則食少絶生化之源經閉不調矣須知心爲氣血之主脾胃爲氣血之本也《入門》○經閉不行有三一者胃弱形瘦氣血衰津液不生而致經水斷絶名曰血枯經絶此中焦胃熱結也○二者心包洪數時見躁作大小便不利而經水閉絶乃血海乾枯此下焦胞熱結也○三者或因勞心心火上行月事不來者胞閉也此上焦心肝肺熱結也《東垣》○世有室女童男積想在心思慮過度多致勞損男子則神色先散女子則月水先閉盖憂愁思慮則傷心而血逆竭故神色先散月水先閉且心病不能養脾故不嗜食脾虛則金虧故發嗽矣《良方》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은 포맥(胞脈) 막혔기 때문인데 () 속하며 자궁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가 폐와 심으로 치밀어 오르면서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면 월경이 나오지 못한다[내경].

소장에 있던 열이 대장으로 가면 복가( )㈜가 생겨서 월경이 나오지 못하게 된다.

[] 복가( ) : 아랫배 속에 생긴 징가( ) 하나인데 아랫배 속에 덩어리가 생겨서 이동하기도 하고 만져졌다 만져졌다 하기도 하는 것이다.

주해에는 “피가 막혀서 돌지 못하면 월경이 나오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내경].

『내경』에는 2()㈜의 병이 () () 옮아가면 성생활을 없게 되는데 여자는 월경도 없어진다”고 씌어 있다.

[] 2() : 양명경 수양명대장경과 족양명위경을 말한다. 수양명병은 심에 옮아가고 족양명병은 비에 옮아가서 심비 2장기에 병이 생기게 되므로 심비병을 2양의 병이라고도 한다. 1양은 소양경이고 3양은 태양경이다.

충맥(衝脈) 임맥(任脈) 경락이 모이는 곳으로서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이나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표리(表裏)관계에 있다. 충맥과 임맥의 기운이 왕성해야 월경을 제때에 한다. 만일 근심하거나 지나치게 생각하여 () 상하면 피가 생겨나지 못한다. () 심의 아들격인데 비가 영양[] 받지 못하면 음식을 적게 먹게 되고 피가 생기는 근원이 말라서 월경이 중단되거나 고르롭지 않게[不調] 된다. 심은 기혈을 주관하고 비위는 기혈의 근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입문].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못하는 원인은 3가지이다. 첫째로 () 약해지고 몸이 여위고 기혈이 쇠약해져 진액이 생겨나지 못해서 월경이 중단된 것을 혈고(血枯) 중단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중초에 있는 () 열이 뭉쳐 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둘째로 심포맥(心胞脈) 홍삭(洪數)하면서 때로 급하게 뛰며 대소변이 나오지 않으면서 월경이 중단된 것은 혈해(血海) 마른 것인데 이것은 하초에 있는 포맥(胞脈) 열이 뭉쳐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정신적인 고통으로 말미암아 심화(心火) 올라와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은 포맥이 막힌 것인데 이것은 상초에 있는 () (), () 열이 뭉쳐 있기 때문이다[동원].

살아가면서 처녀와 총각이 서로 그리워하는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노곤해지면서 몸이 점점 쇠약해지는데 남자는 먼저 얼굴빛이 나빠지고 여자는 먼저 월경이 중단된다. 지나치게 근심하거나 생각하면 심이 상하여 혈이 치밀어 오르거나 부족해지기 때문에 얼굴빛이 먼저 나빠지고 월경이 중단된다. 또한 () 병이 생겨 () 영양[]하지 못하면 음식을 좋아하지 않게 된다. 비가 허하면 폐가 약해지기 때문에 기침이 난다[양방].

通血治法

월경을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閉月事不來先服降心火之劑宜三和湯玉燭散次服五補元(方見虛勞)後以衛生湯補脾養血○二陽之病月事不來先瀉心火血自下亦用上藥《潔古》○氣上迫肺月事不來宜導痰降火則心氣下通而月事來宜通經湯《丹心》○先賢治血閉之法皆主於補血瀉火補血者四物湯瀉火者調胃承氣湯卽玉燭散也《綱目》○胃弱血枯經斷宜補中益氣湯(方見內傷)加川芎生地黃天花粉○正半産後失血多經閉宜十全大補湯(方見虛勞)《入門》○濕痰粘住經閉者導痰湯(方見痰飮)加川芎當歸黃連不可服地黃《入門》○室女勞心血閉宜栢子仁丸澤蘭湯《良方》○氣血盛實經血閉者宜萬痛丸血極膏《入門》○血海疼痛宜烏藥湯《東垣》○血閉通用增味四物湯導經丸瑞金散六合湯○脾胃鬱火耗血不通宜歸脾湯(方見神門)肝脾鬱怒血傷不通宜加味歸脾湯《良方》

포맥(胞脈) 막혀서 월경이 나오지 못하는 데는 먼저 심화(心火) 내리는 약인 삼화탕과 옥촉산을 써야 한다. 다음 오보원(五補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쓰고 마지막에 위생탕을 써서 () 보하고 혈이 많아지게 해야 한다.

2() 병으로 월경이 나오지 못하면 먼저 심화(心火) 없애야 한다. 그래야 월경이 저절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도 [] 약을 쓴다[결고].

기가 () 치밀어 오르면 월경이 나오지 못한다. 이때에는 () 삭히고 () 내리게 해야 심기(心氣) 아래로 통하면서 월경이 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통경탕을 써야 한다[단심].

이전 사람들은 모두 월경이 중단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혈을 보하고 화를 내리는 것이 기본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 보하는 데는 사물탕, () 내리는 데는 조위승기탕 옥촉산을 썼다[강목].

() 약하여 혈고(血枯) 생겨서 월경이 끊어진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궁궁이(천궁), 생지황, 하늘타리뿌리(과루근) 넣어 쓴다.

제대로 몸풀이한 다음이나 유산한 뒤에 피를 많이 흘려서 월경이 중단된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써야 한다[입문].

습담(濕痰) 있으면서 월경이 중단된 데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궁궁이(천궁), 당귀, 황련을 넣어 다음 지황을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처녀가 지나치게 속을 써서[勞心] 월경이 중단된 데는 백자인환이나 택란탕을 써야 한다[양방].

기혈이 왕성하면서 월경이 막힌 데는 만통환과 혈극고를 쓴다[입문].

혈해(血海) 아픈 데는 오약탕을 써야 한다[동원].

월경이 중단된 데는 증미사물탕, 도경환, 서금산, 육합탕을 두루 쓴다.

비위(脾胃) () 몰려서 혈이 소모되어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귀비탕(歸脾湯, 처방은 신문에 있다) 쓰고 () () 기운이 몰리고 성을 내서 혈이 상하여 월경이 나오지 못하는 데는 가미귀비탕을 써야 한다[양방].

三和湯

治熱結血閉生乾地黃白芍藥川芎當歸連翹大黃朴硝薄荷黃芩梔子甘草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丹心》○此方乃集四物湯調胃承氣湯凉膈散三方也

삼화탕(三和湯)

열이 몰려서 월경이 중단된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연교, 대황, 박초, 박하,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처방은 사물탕, 조위승기탕, 양격산 3가지를 합한 것이다.

玉燭散

治月候凝滯不通漸成琋禮當歸白芍藥川芎熟地黃大黃芒硝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大便泄者不可用《丹心》

옥촉산(玉燭散)

월경이 막혀서 나오지 못하여 점차 징가( )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대황, 망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설사가 나면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衛生湯

補脾養血黃二錢當歸白芍藥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元素》

위생탕(衛生湯)

() 보하고 () 보충한다.

황기 8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원소].

通經湯

治月閉當歸川芎白芍藥生乾地黃大黃官桂厚朴枳殼枳實黃芩蘇木紅花各七分右作一貼入烏梅一箇薑三片棗二枚水煎服《醫鑑》○心氣不得下通故月事不來宜用黃連厚朴之類導痰降火則月事來矣此藥是也宜加黃連七分

통경탕(通經湯)

월경이 중단된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대황, 육계, 후박, 지각, 지실, 속썩은풀(황금), 소목, 잇꽃(홍화)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심기(心氣) 아래로 통하지 못해서 월경이 나오지 않으면 황련, 후박 같은 것을 써서 () 이끌어 () 내리게 해야 월경이 나오는데 약이 바로 그런 약이다. 황련 2.8g 넣어 쓰기도 한다.

栢子仁丸

治勞心月閉澤蘭二兩栢子仁炒硏牛膝酒焙卷栢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米飮下五七十丸《良方》

백자인환(柏子仁丸)

지나치게 속을 써서[勞心] 월경이 중단된 것을 치료한다.

쉽싸리(택란) 80g, 측백씨(백자인, 닦아서 따로 ), 쇠무릎(우슬, 술에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 바위손(권백)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양방].

澤蘭湯

治同上澤蘭葉二錢當歸白芍藥炒甘草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良方》

택란탕(澤蘭湯)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쉽싸리잎(택란엽) 8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萬痛丸

治月經瘀閉臍腹疼痛乾漆碎炒令烟盡牛漆酒浸一宿焙乾各一兩右爲末入生地黃汁一升盛銀器內慢火熬成膏丸如梧子大每服二三十丸空心米飮下《拔粹》○一名萬病丸

만통환(萬痛丸)

어혈(瘀血) 져서 월경이 나오지 않고 배꼽 둘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른옻(건칠, 부스러뜨려서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닦은 ), 쇠무릎(우슬, 술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지황즙 1되와 함께 은그릇에 담아서 약한 불에 고약처럼 되게 달인다.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20-3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발수].

일명 만병환(萬病丸)이라고도 한다.

血極膏

治月閉不通大黃爲末醋熬成膏丸如鷄頭大(一云鷄子黃大)每一丸熱酒和開臨臥溫服大便利一二行後紅自下是婦人之仙藥也加當歸頭一名單大黃膏《謙甫》○一方治月閉不通服補藥無效危篤者大黃酒蒸九次四兩血竭沒藥各五錢右末水丸以四物湯煎水下七八十丸《醫鑑》

혈극고(血極膏)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넣고 고약처럼 되게 달여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어떤 데는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풀어서 먹으면 한두번 설사하고 월경이 저절로 나온다. 이것은 부인들에게 좋은 약이다. 약에 당귀두(當歸頭) 넣은 것을 단대황고(單大黃膏)라고 한다[겸보].

어떤 처방에는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할 때에 보약을 써서는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 병이 심하면 대황(술에 축여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 ) 160g, 혈갈(血竭), 몰약(沒藥) 각각 20g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80알씩 사물탕 달인 물로 먹어야 한다[의감].

烏藥湯

治婦人血海疼痛香附子二錢烏藥一錢半當歸一錢木香甘草各五分右水煎服《東垣》

오약탕(烏藥湯)

부인의 자궁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8g, 오약 6g, 당귀 4g, 목향,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導經丸

治經閉不通腰腹疼痛大黃二兩當歸川芎白芍藥官桂桃仁甘草各一兩血竭二錢半紅花一錢斑猫米同炒二十箇右末蜜丸梧子大酒下三十丸《丹心》

도경환(導經丸)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고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육계, 복숭아씨(도인), 감초 각각 40g, 혈갈 10g, 잇꽃(홍화) 4g, 반묘(찹쌀과 함께 닦은 ) 20.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단심].

瑞金散

治月經不行血氣撮痛薑黃一錢半牡丹皮蓬朮紅花當歸赤芍藥川芎玄胡索官桂各七分右作一貼水一盞酒半盞煎服《丹心》

서금산(瑞金散)

월경이 나오지 않고 혈기로 그러쥐는 것같이 아픈 [撮痛] 치료한다.

강황 6g, 모란껍질(목단피), 봉출, 잇꽃(홍화),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궁궁이(천궁), 현호색, 육계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1잔에 반잔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六合湯

治月經不行結塊疼痛四物湯加蓬朮官桂各等分煎服《丹心》

육합탕(六合湯)

월경이 나오지 않고 뭉쳐 덩어리가 생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 봉출과 육계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고 썰어서 달여 먹는다[단심].

加味歸脾湯

治肝脾怒鬱月經不通卽歸脾湯加柴胡山梔仁各一錢右水煎服之《良方》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 상하고 몹시 성을 내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귀비탕(歸脾湯) 시호, 산치자를 각각 4g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室女月經不行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室女月經不行]

女子十四歲衝任盛而血自下若過期不通則宜紅花當歸散血極膏(方見上)三神丸牡丹皮湯通經丸或四物湯(方見血門)加蓬朮桃仁牡丹皮玄胡索紅花酒焙

紅花當歸散

治室女月經不通或積瘀血腰腹疼痛赤芍藥二兩劉寄奴一兩二錢半紫當歸尾牛膝蘇木甘草各五錢白芷桂心紅花各三錢半右爲末酒調二錢服紅花酒下尤佳《雲岐》

여자는 14살이 되면 충맥(衝脈) 임맥(任脈) 왕성해지기 때문에 월경을 자연히 하게 된다. 만일 나이가 지나도록 월경이 없는 데는 홍화당귀산이나 혈극고(血極膏, 처방은 위에 있다). 삼신환, 목단피탕, 통경환을 써야 한다.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봉출, 복숭아씨(도인), 모란껍질(목단피), 현호색, 잇꽃(홍화, 술에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 넣어 쓰기도 한다.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고 어혈(瘀血) 몰려서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80g, 유기노(劉寄奴) 50g, 자위, 당귀(잔뿌리), 쇠무릎(우슬), 소목, 감초 각각 20g, 구릿대, 계심, 잇꽃(홍화) 각각 1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타서 먹는다. 잇꽃(홍화)술에 타서 먹으면 좋다[운기].

三神丸

治室女經候不調腹痛橘紅二兩玄胡索醋製當歸酒炒各一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艾醋湯下百丸《丹心》

삼신환(三神丸)

처녀가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不調]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귤홍 80g, 현호색(식초에 법제한 ), 당귀(술에 축여 볶은 )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약쑥(애엽) 식초를 넣고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牡丹皮湯

治室女經閉咳嗽發熱當歸牡丹皮各一錢半白芍藥生乾地黃陳皮白朮香附子各一錢川芎柴胡黃芩各七分甘草四分右作一貼水煎服之《回春》

목단피탕(牧丹皮湯)

처녀가 월경이 중단되고 기침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향부자 각각 4g, 궁궁이(천궁), 시호, 속썩은풀(황금) 각각 2.8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通經丸

治室女月候不通或成血桂心靑皮大黃乾薑川椒蓬朮乾漆炒當歸桃仁紅花各五錢右爲細末先取二兩和醋熬膏乃入餘末和勻作丸梧子大醋湯下五七十丸《入門》

통경환(通經丸)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거나 혈가( ) 생긴 것을 치료한다.

계심, 선귤껍질(청피), 대황, 건강, 조피열매(천초), 봉출, 마른옻(건칠, 닦은 ), 당귀,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먼저 80g 식초에 타서 고약처럼 되게 졸인다. 여기에 나머지 약가루를 넣고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식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血結成

피가 엉켜서 가가 [血結成 ]

皆起於胞中爲血之海血澁不行則成作痛○任爲病男子爲七疝女子爲聚《難經》○月事不行血結成宜歸朮破湯增味四物湯四物調經湯立效散地黃通經元無極丸桃仁煎

충맥(衝脈) 임맥(任脈) 자궁에서 시작되었는데 혈이 모이는 곳이다. 혈이 돌지 못하면 엉켜서 덩어리가 생기기 때문에 아프다.

임맥에 병이 생기면 남자는 7가지 산증(疝證) 생기고 여자는 징가( ) 적취(積聚) 생긴다[난경].

월경이 나오지 않고 피가 엉켜서 덩어리가 생긴 데는 귀출파징탕, 증미사물탕, 사물조경탕, 입효산, 지황통경환, 무극환, 도인전 등을 쓴다.

歸朮破

治月經不通腹中有積塊疼痛香附子醋炒一錢半三稜蓬朮醋煮赤芍藥白芍藥當歸尾靑皮各一錢烏藥七分紅花蘇木官桂各五分右作一貼入酒少許水煎服《集略》

귀출파징탕(歸朮破 )

월경이 나오지 않고 뱃속에 덩어리가 생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 6g, 삼릉, 봉출(2가지가 식초에 달인 ), 함박꽃뿌리(작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잔뿌리), 선귤껍질(청피) 각각 4g, 오약 2.8g, 잇꽃(홍화), 소목, 육계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집략].

增味四物湯

治血疼痛四物湯料入三稜蓬朮醋炒乾漆炒官桂各一錢右煎服《東垣》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

혈가( )㈜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四物湯) 약재에 삼릉, 봉출(2가지가 식초에 축여 볶은 ), 마른 (건칠, 닦은 ), 육계 각각 4g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혈가( ) : 월경장애로 월경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면서 아랫배 속에 뜬뜬한 덩어리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四物調經湯

治經閉有積塊動痛香附醋炒一錢當歸川芎白芍藥酒炒柴胡黃芩枳殼各七分熟地黃陳皮白朮三稜蓬朮醋炒白芷茴香鹽水炒玄胡索各五分靑皮縮砂紅花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生薑三片白三莖水煎服《回春》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월경이 중단되고 덩어리가 생겨서 움직일 때마다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 4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각 각각 2.8g, 찐지황(숙지황),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삼릉(식초에 축여 볶은 ), 봉출(식초에 축여 볶은 ), 구릿대(백지), 회향(소금물에 축여 볶은 ), 현호색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사인, 잇꽃(홍화),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立效散

治經年積血腹中常痛靑皮陳皮烏藥乾薑香附子蓬朮三稜各等分右醋煮焙乾爲末空心陳皮煎湯調下二錢《濟陰》

입효산( )

여러 동안 어혈이 몰려 있어서 뱃속이 항상 아픈 것을 치료한다.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오약, 건강, 향부자, 봉출, 삼릉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썰어서 식초에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 빈속에 귤껍질(陳皮)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제음].

地黃通經丸

治血如盃在臍下作痛熟地黃二兩蟲炒水蛭米同炒去米桃仁各五十箇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下七八十丸《正傳》

지황통경환(地黃通經丸)

혈가( ) 배꼽 아래에 술잔을 엎어 놓은 같은 것이 생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80g, 등에(맹충, 닦은 ), 거머리(수질, 찹쌀과 함께 닦아서 쌀을 버린 ), 복숭아씨(도인) 각각 50.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데운 술로 끼니 전에 먹는다[정전].

無極丸

治經閉有血塊苦痛錦紋大黃四兩一兩酒煮一兩醋煮一兩童便煮一兩鹽水煮各七次右合一處又七蒸七爲末用當歸熟地黃各一兩半濃煎汁煮糊和丸梧子大紅花湯下三十丸《醫鑑》

무극환(無極丸)

월경이 중단되고 핏덩어리가 생겨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비단무늬가 있는 ) 160g.

위의 약에서 40g 술에 달이고 40g 식초에 달이고 40g 동변에 달이고 40g 소금물에 달이기를 각각 일곱번씩 다음 한데 섞어서 일곱번 찌고 일곱번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다음 당귀, 찐지황(숙지황) 각각 60g 진하게 달여 즙을 내서 풀을 쑨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잇꽃(홍화) 달인 물로 먹는다[의감].

千金桃仁煎

治血血積經候不通桃仁大黃朴硝各二兩蟲五錢右爲末好醋二升半銀石器中慢火煎取一升半下桃仁大黃蟲攪千下次下朴硝更熟攪良久出之丸如梧子大前一日不吃晩飯五更初溫酒呑下五丸取下惡物未下再服見鮮血卽止藥《良方》

천금도인전(千金桃仁煎)

혈가와 혈적(血積)으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도인), 대황, 박초 각각 80g, 등에 20g.

위의 약들을 가루로 만든다. 그리고 먼저 좋은 식초 2 5홉을 은그릇에 담아서 약한 불에 1 5홉이 되게 달인다. 여기에 복숭아씨(도인), 대황, 등에(맹충) 넣고 천여 저으면서 달이다가 박초를 넣고 다시 저어서 한참 동안 두었다가 꺼내며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알씩 쓰는데 먹기 전날 저녁에 밥을 먹지 않고 있다가 다음날 새벽에 데운 술로 약을 먹으면 궂은 [惡物] 나온다. 만일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되 벌건 피가 나오면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양방].

血枯

혈고(血枯)

黃帝曰有病胸脇支滿者妨於食病至則先聞腥臭出淸液先唾血四肢淸目眩時時前後血病名爲何何以得之岐伯曰病名血枯此得之年少時有所大脫血若醉入房中氣竭肝傷故月事衰少不來也治之以烏賊丸《內經》○治血枯宜烏賊骨丸八物湯(方見虛勞)《良方》

황제가 “병으로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면서 밑에서 치받치는 감이 있고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것과 병이 생길 먼저 코에서 비리고 누린 냄새가 나며 군침이 돌고 피가래[唾血] 나오며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앞이 어질어질하며 때때로 대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무슨 병인가. 그리고 병은 어떻게 하여 생기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 병의 이름은 혈고(血枯)이다. 그런 병은 젊었을 때에 피를 많이 흘렸거나 술에 취한 다음 성생활을 해서 중기(中氣) 쇠약해지고 간이 상하면 생기는데 이때에는 월경량이 적어지거나 나오지 않는다. 치료는 오적환으로 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혈고를 치료하는 데는 오적골환과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쓴다[양방].

烏賊骨丸

烏賊魚骨茹各等分右爲末雀卵不拘數和丸小豆大每十丸煎鮑魚湯呑下日三服壓以善饍《良方》○血枯經閉四物湯(方見血門)加桃仁紅花《丹心》

오적골환(烏賊骨丸)

오징어뼈(오적어골), 여여( )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을 내어 참새알에 반죽해서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하루 세번 전복을 달인 물로 먹는다. 약을 먹은 다음에는 좋은 반찬을 먹어서 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한다[양방].

혈고로 월경이 막힌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넣어 쓴다[단심].

血崩血漏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內經曰陰虛陽搏謂之崩註曰陰不足陽盛搏則內崩而血流下也○悲哀太甚則胞絡絶胞絡絶則陽氣內動發則心下崩數血也《丹心》○盖悲哀則心系急肺布葉擧而上焦不通榮衛不散熱氣在中故胞絡絶而陽氣內鼓動發則心下崩數血也心下崩謂心包內崩而下血也《入門》○非時血下淋瀝不止謂之漏下忽然暴下若山崩然謂之崩中《入門》○崩漏不止有三一者脾胃虛損下陷於腎與相火相合濕熱下迫經漏不止其色紫黑如夏月腐肉之臭中有白帶怴睕細疾數或弦洪大其熱明矣或腰痛或臍下痛宜大補脾胃而升擧血氣○二者或故貴奪勢或先富後貧心氣不足其火大熾旺於血之中又飮食失節其容顔似不病者此心病者不行於診其經水不時而下或適來適斷或暴下不止當先說惡死之言令心不動以大補氣血之藥擧養脾胃微加鎭墜心火之藥補陰瀉陽經自止矣○三者悲哀太甚則胞絡絶云云見上《東垣》

『내경』에는 “음() 허하고 () 부딪쳐서[] 생긴 것이 ()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음맥이 부족하고 양맥이 왕성하여 부딪치게 되면 붕증이 생겨 피를 흘러내리게 된다”고 씌어 있다.

지나치게 슬퍼하고 서러워하면 포락(胞絡) 끊어지는데 포락이 끊어지면 양기(陽氣) 속에서 ()하기 때문에 피가 아래로 쏟아져 나오고 피오줌이 자주 나오게 된다[단심].

대체로 슬퍼하고 서러워하면 심계(心系) 켕기게 되어 폐엽[肺布葉]들이 들린다[]. 그러면 상초가 통하지 못하고 영위(榮衛) 헤쳐지지[] 못하며 열기가 중초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포락이 끊어지고 양기가 속에서 [鼓動]하기 때문에 피가 아래로 쏟아져 나오고 피오줌이 자주 나온다. 피가 아래로 쏟아져 나오는 것은 심포락이 속으로 상했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입문].

월경할 때가 아닌데 조금씩 피가 나오면서 멎지 않는 것을 누하(漏下)라고 하고 갑자기 () 무너지는 것처럼 많이 나오는 것을 붕중(崩中)이라고 한다[입문].

붕루(崩漏) 멎지 않는 데는 3가지가 있다. 첫째는 비위(脾胃) 허손(虛損)되어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 () 들어가서 상화(相火) 뒤섞였기 때문에 습열이 아래로 처져서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피가 조금씩 계속 나온다. 그리고 핏빛은 검붉고 냄새는 여름에 썩은 고기 냄새 같으며 흰이슬이 섞여 있다. 또한 맥은 (), (), (), ()하거나 (), (), (), ()한데 이것은 열증(熱證)이다. 허리가 아프거나 배꼽 아래가 아프면 비위를 세게 ()하면서 혈기를 끌어올려야 한다.

둘째는 옛날에 벼슬하다가 떨어졌거나 이전에 잘살다가 가난해진 것으로 하여 심기(心氣) 부족해지고 심화(心火) 몹시 성해지면서 혈맥 속으로 들어갔거나 음식을 조절해 먹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때에 얼굴빛은 없는 사람 같은데 그것은 병이 심에 생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진찰해 보지 않아도 월경이 아닌 때에 나오거나 때맞추어 나오다가 멎기도 하며 몹시 나오면서 멎지 않기도 것이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먼저 죽지 않는다는 말을 해주어 환자로 하여금 속으로 걱정하지 않게 다음 기혈을 세게 보하는 약으로 비위를 보하되 심화를 약간 내리누르는 약을 넣어 써서 () ()하고 () ()해야 한다. 그러면 월경이 저절로 멎는다.

셋째는 지나치게 슬퍼하여 포락이 끊어졌기 때문에 생긴 것인데 이에 대한 말은 위에 있다[동원].

崩漏治法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血崩乃經血錯亂溢妄行遽之則便有積瘀凝成臼不止則又恐昏暈必先服五靈脂末(名獨行散)一錢溫酒調下其性能行血止血然後用五積散(方見寒門)加防風荊芥入醋煎服一二貼後再服五靈脂散去故生新如更不止乃用五灰十灰丸散(方見血門)○悲哀太甚而崩漏宜備金散四製香附丸(方見上)○經行犯房損傷衝任經血暴下宜溫經湯(方見上)○濕熱下迫而爲崩漏其色紫黑腐臭宜解毒四物湯凉血地黃湯固經丸○憂鬱及先富後貧而爲崩漏宜開鬱四物湯○胃氣下陷經水暴下宜升陽調經湯益胃升陽湯(方見內傷)升陽除濕湯柴胡調經湯(已上入門)○血崩急則治其標白芷湯調百草霜末服甚者棕櫚灰或狗頭骨灰或五靈脂半生半炒末俱以酒調服後用四物湯加芩連參香附乾薑調理《丹心》○婦人四十以上悲哀太甚血走而崩愼不可燥熱之藥先用黃連解毒湯(方見寒門)後以三和湯(方見上)調治《醫鑑》○室女思男以致血崩成勞十分難治宜四物湯加柴胡黃芩或加味逍遙散(方見婦人入門)○凡崩漏有寒伏龍肝散丁香膠艾湯有熱凉血地黃湯解毒四物湯通用當歸芍藥湯奇效四物湯煮附丸(方見上)○四物湯加荊芥條芩止血神效《正傳》○黑藥能止血宜五灰散十灰丸(方見血門)如聖散立效散○崩漏過多昏暈宜生地芩連湯(方見血門)全生活血湯

혈붕(血崩)이란 월경으로 나와야 피가 넘쳐나서 마구 돌다가 나오는 것인데 이것을 급하게 멈추면 어혈(瘀血) 몰려 엉켜서 병이 심해진다. 그러나 멈추지 않으면 정신을 잃고 까무러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먼저 오령지가루(독행산(獨行散)이라고도 한다) 4g 데운 술에 타서 먹어야 한다. 약은 피를 돌게도 하고 피를 멎게도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약을 다음에는 오적산(五積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써야 하는데 여기에 방풍과 형개를 넣어서 1-2첩을 식초에 달여 먹은 다음 오령지산을 써서 궂은 [] 없애고 [] 생기게 해야 한다. 그래도 멎지 않으면 오회환이나 십회환이나 오회산이나 십회산(五灰十灰丸散, 처방은 혈문에 있다) 써야 한다.

지나치게 슬퍼하고 서러워하여 붕루가 생긴 데는 비금산이나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 처방은 위에 있다) 쓴다.

월경할 때에 성생활을 해서 충임맥(衝任脈) 손상되어 월경량이 갑자기 많아진 데는 온경탕(溫經湯, 처방은 위에 있다) 쓴다.

습열이 아래로 몰려서 붕루가 생겼는데 핏빛이 검붉으면서 썩은 냄새가 나면 해독사물탕이나 양혈지황탕이나 고경환을 써야 한다.

우울한 적이 있었거나 이전에 잘살다가 가난해진 것으로 말미암아 붕루가 생긴 데는 개울사물탕을 쓴다.

() 기운이 처져서 갑자기 아래로 피가 나오는 데는 승양조경탕이나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이나 승양제습탕이나 시호조경탕을 쓴다(이상의 것은 『입문』에 있다).

혈붕이 심하면 () 치료해야 하므로 백지탕(白芷湯) 백초상가루를 타서 먹어야 하는데 심하면 종려피 태운 가루나 개대가리뼈(구두골) 태운 가루나 오령지가루(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 술에 타서 먹은 뒤에 사물탕에 속썩은풀(황금), 황련, 인삼, 황기, 향부자, 건강을 넣어 써서 조리해야 한다[단심].

40살이 지난 부인이 지나치게 슬퍼하고 서러워하여 혈붕이 생긴 데는 될수록 성질이 조열(燥熱) 약을 쓰지 말고 먼저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다음 삼화탕(三和湯, 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치료해야 한다[의감].

처녀가 남자를 생각하여 혈붕이 생기고 허로(虛勞) 것은 제일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시호, 속썩은풀(황금) 넣어 쓰거나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쓰는 것이 좋다[입문].

붕루가 있으면서 [] 있으면 복룡간산이나 정향교애탕을 쓰고 붕루가 있으면서 열이 있으면 양혈지황탕이나 해독사물탕을 쓰는데 당귀작약탕, 기효사물탕, 자부환(煮附丸, 처방은 위에 있다) 두루 쓴다.

사물탕에 형개와 속썩은풀(황금) 넣어 쓰면 피를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정전].

빛이 검은 (黑藥) 피를 멈추게 하는데 오회산, 십회환(十灰丸, 혈문에 있다), 여성산, 입효산이 그런 약이다.

붕루가 심하여 정신을 잃은 데는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이나 전생활혈탕을 쓴다.

備金散

治血崩不止香附子炒黑四兩當歸尾一兩二錢五靈脂炒一兩右爲末每二錢醋湯調空心服○一名金散《綱目入門》

비금산(備金散)

혈붕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검게 닦은 ) 160g, 당귀(잔뿌리) 48g, 오령지(닦은 )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빈속에 식초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칭금산( 金散)이라고도 한다[강목과 입문].

解毒四物湯

治崩漏面黃腹痛黃芩黃連黃栢梔子生乾地黃當歸白芍藥川芎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入門》○此方乃黃連解毒湯與四物湯合劑也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붕루로 얼굴빛이 누렇게 되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 산치자, 생건지황,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처방은 황련해독탕과 사물탕을 섞은 것이다.

凉血地黃湯

治血崩是腎水陰虛不能鎭守包絡相火故血走而崩羌活防風柴胡各一錢生地黃當歸各五分知母黃栢荊芥細辛蔓荊子黃芩川芎藁本黃連升麻甘草各三分紅花一分右作一貼水煎服之《入門》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혈붕을 치료한다. 혈붕은 신음[腎水陰] 허해서 포락(包絡) 상화(相火)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게 되면 생기는데 이때에는 피가 많이 쏟아져 나온다.

강호리(강활), 방풍, 시호 각각 4g, 생지황, 당귀 각각 2g, 지모, 황백, 형개, 족두리풀(세신), 순비기열매(만형자), 속썩은풀(황금), 궁궁이(천궁), 고본, 황련, 승마, 감초 각각 1.2g, 잇꽃(홍화)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固經丸

治經水過多黃芩白朮龜板各一兩椿根白皮七錢黃栢炒三錢香附子童便浸焙二錢半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白湯下五七十丸《入門》

고경환(固經丸)

월경량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남생이배딱지(귀판) 각각 40g, 춘근백피 28g, 황백(닦은 ) 12g, 향부자(동변(童便)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開鬱四物湯

治崩漏多因心氣所使而下故貴奪勢先富後貧皆是也香附米炒當歸身白芍藥酒炒熟地黃白朮各一錢川芎黃蒲黃炒地楡人參各五分升麻三分右作一貼煎服《正傳》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붕루는 흔히 속을 쓰면 생기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이전에 벼슬하다가 떨어졌거나 잘살다가 가난해진 것으로 하여 생기게 된다.

향부자(썰어서 닦은 ),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각각 4g, 궁궁이(천궁), 황기,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 오이풀뿌리(지유), 인삼 각각 2g, 승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升陽調經湯

治內傷中氣下陷暴崩不止柴胡羌活蒼朮黃各一錢當歸防風升麻藁本甘草各七分蔓荊子五分獨活三分右作一貼水煎服以飯壓之《入門》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내상(內傷)으로 중기(中氣) 아래로 처져서 붕루가 생겨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강호리(강활), 삽주(창출), 황기 각각 4g, 당귀, 방풍, 승마, 고본, 감초 각각 2.8g, 순비기열매(만형자) 2g, 따두릅(독활)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은 다음 밥을 먹어서 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한다[입문].

益胃升陽湯

治血塊暴下幷水泄俱作是前後二陰有形血脫竭於下也血脫益氣古聖人之法此陽生陰長之義也(方見內傷)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핏덩어리가 갑자기 아래로 나오는 것과 같은 설사[水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런 병이 생기면 전음(前陰) 항문으로 피가 빠져 나가므로 피가 적어진다. 피가 빠졌을 때에 기를 보하는 것은 옛사람들의 방법인데 이것은 () 생겨나면 () 자란다는 뜻이다(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升陽除濕湯

治崩漏不止因脾胃虛而心包乘之故血漏而下黃蒼朮羌活各一錢柴胡升麻防風藁本甘草灸各七分蔓荊子五分獨活當歸各三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허약한 비위(脾胃) 심포(心包) 억눌렀기 때문에 나오는 피이다.

황기,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각각 4g, 시호, 승마, 방풍, 고본, 감초(닦은 ) 각각 2.8g, 순비기열매(만형자) 2g, 따두릅(독활), 당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柴胡調經湯

治同上蒼朮一錢半柴胡一錢羌活獨活藁本升麻各七分葛根當歸甘草各五分紅花二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已上四方皆升擧之劑先服益胃升陽湯不止却服後二方乃大擧大升助春夏二濕之久陷下之至治也《綱目》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6g, 시호 4g,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고본, 승마 각각 2.8g, 칡뿌리(갈근), 당귀, 감초 각각 2g, 잇꽃(홍화)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이상 4가지 처방은 끌어올리는 [升擧之劑]인데 먼저 익위승양탕을 먹어보고 멎지 않으면 뒤의 2가지 처방을 써야 한다. 약들은 끌어올리는 약이다. 그러므로 봄과 여름에 습기가 오랫동안 내려처진[陷下] 것을 치료하는 것도 도와준다[강목].

伏龍肝散

治衝任經虛崩漏不止臍腹冷痛川芎艾葉各一錢半伏龍肝一錢赤石脂麥門冬各七分當歸乾薑熟地黃肉桂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棗二枚煎服或爲末米飮調二錢服《入門》

복룡간산(伏龍肝散)

충맥과 임맥이 허하여 생긴 붕루(崩漏) 멎지 않고 배꼽 둘레가 차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약쑥잎(애엽) 각각 6g, 복룡간 4g, 적석지, 맥문동 각각 2.8g, 당귀, 건강, 찐지황(숙지황), 육계,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미음에 먹는다[입문].

丁香膠艾湯

治崩漏不止間有如茅屋漏水或下白帶臍下如氷當歸一錢半生艾葉一錢二分阿膠珠七分川芎丁香各五分熟地黃白芍藥各四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

붕루가 멎지 않으면서 간혹 초가집 지붕에서 새는 같은 것이 나오거나 흰이슬이 흐르며 배꼽 아래가 얼음같이 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생약쑥잎 4.8g, 아교주 2.8g, 궁궁이(천궁), 정향 각각 2g,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當歸芍藥湯

治經漏不止氣弱困倦此中氣虛弱下陷之甚蒼朮白朮當歸白芍藥各一錢半黃一錢陳皮熟地黃各五分灸甘草生地黃各三分柴胡二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월경이 멎지 않고 계속 나와서 기운이 약해져 피곤해 하고 나른해 하는 것은 중기(中氣) 허약해져 심하게 내리처졌기[下陷] 때문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황기 4g, 귤껍질(陳皮), 찐지황(숙지황) 각각 2g, 감초(닦은 ), 생지황 각각 1.2g, 시호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奇效四物湯

治血崩神效四物湯加阿膠珠艾葉黃芩共七錢右作一貼薑五片煎服《得效》

기효사물탕( 四物湯)

혈붕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사물탕에 아교주(阿膠珠), 약쑥잎(애엽), 속썩은풀(황금) 모두 합해서 28g 되게 한다.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如聖散

止血崩棕櫚烏梅各一兩乾薑一兩半右幷燒存性爲末每二錢烏梅湯酒調下空心《丹心》

여성산(如聖散)

혈붕을 멎게 한다.

종려피, 오매 각각 40g, 건강 60g.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8g 오매 달인 물이나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단심].

立效散

治血崩當歸蓮花蘂白綿子紅花茅花各一兩右紙包鹽泥固濟火存性爲末入麝香少許每二錢溫酒調下空心《東垣》

입효산(立效散)

혈붕을 치료한다.

당귀, 연화예(蓮花蘂), 백면자, 잇꽃(홍화), 모화 각각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종이에 다음 소금물에 이긴 진흙으로 발라 약성이 남게 구워서 가루를 낸다. 다음 사향을 조금 넣어서 한번에 8g 빈속에 데운 술에 먹는다[동원].

全生活血湯

治崩漏太多昏冒不省瞑目無所知覺盖因血暴亡也血去則心神無所養暴損氣血豈能久活今當補而升擧之以助其陽則目張神不昏迷矣今立一方補血養血生血益陽以補手足厥陰之不足白芍藥升麻各一錢防風羌活獨活柴胡當歸身葛根甘草各七分藁本川芎各五分生地黃熟地黃各四分蔓荊子細辛各三分紅花一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붕루가 지나치게 심하여 까무러쳐서 깨어나지 못하고 눈을 감고 있으며 감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갑자기 많은 피를 흘렸기 때문이다. 피가 적어지면 심신(心神) 영양[] 받지 못하고 갑자기 기가 상한다. 그러니 어떻게 오랫동안 있겠는가. 그러므로 반드시 ()하여 기운을 끌어올리고 양기(陽氣) 도와야 한다. 그래야 정신이 들어 눈을 뜨게 된다. 그러므로 이제 한가지 처방을 만들어 피를 보하여 불쿠어 주고[] 피를 많이 생기게 하여 양기를 도와주며 수궐음(手厥陰) 족궐음(足厥陰) 허한 것을 보하려고 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각각 4g, 방풍,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시호, 당귀,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2.8g, 고본, 궁궁이(천궁) 각각 2g,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각각 1.6g, 순비기열매(만형자),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잇꽃(홍화)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赤白帶下

脾傳之腎病名曰疝小腹寃熱而痛出白一名曰蠱註曰出白者出白液也盖白帶白濁之類也《內經》○任爲病女子帶下聚註曰任自胞上過帶貫於臍上故爲帶下帶起于季肋章門(穴名)似束帶狀今濕熱寃結不散故爲病也寃者結也屈也屈滯而病熱不散也○赤者熱入小腸白者熱入大腸原其本皆濕熱結于故津液涌溢是爲赤白帶下臍下痛陰中綿綿而下也《保命》○小腹寃熱結於任自胞上而過帶出於大小腸之分出白液淋瀝以下故曰帶下與赤白濁一般但不痛耳《入門》○婦人帶下是第一等病令人不産育宜急治之扁鵲過邯鄲聞貴婦人所以專爲帶下醫也《綱目》○婦人帶下浮惡寒漏下者不治《經》

적백대하(赤白帶下)

비병(脾病) () 전해가서[傳之] 생긴 병을 산가( )라고 한다. 아랫배[小腹] 열이 몰려서 아프고 것이 나오는 것을 ()라고 한다. 주해에 “흰 것이 나온다는 것은 오줌으로 뿌연 것이 나온다는 것이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흰이슬[白帶] 뿌연 오줌[白濁] 말하는 것이다[내경].

여자가 임맥(任脈) 병들면 이슬이 흐르고 징가( ) 적취(積聚) 생긴다. 주해에는 “임맥이 자궁으로부터 위로 올라가 대맥(帶脈) 지나서 배꼽 위로 갔기 때문에 이슬이 나온다”고 씌어 있다. 대맥은 계륵[季肋]부의 장문(章門, 혈이름)에서 시작되는데 띠를 묶은 모양과 같다. 습열이 원결(寃結)되어 흩어지지 않으면 병이 생긴다. ()이라는 것은 맺히고[] 눌린다[] 것이다. 눌리고 맺혀서 병이 생기면 열이 내리지 않는다.

벌건 이슬이 흐르는 것은 열이 소장에 들어갔기 때문이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은 열이 대장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원인은 습열이 임맥(任脈) 대맥(帶脈) 뭉쳐서 진액이 넘쳐나는 있다. 그러므로 벌겋거나 흰이슬이 생기고 배꼽 아래가 아프며 자궁으로 이슬이 찔금찔금 나온다[보명].

아랫배[小腹] 열이 임맥으로 심하게 몰리면 그것이 자궁으로부터 대맥을 지나서 올라가 대소장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뿌연 오줌이 조금씩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벌건 이슬과 뿌연 오줌이 나오게 되는 원인은 하나인데 오직 아프지 않은 것이 다를 뿐이다[입문].

이슬이 흐르는 것이 부인에게서 첫째 가는 병으로 되는 것은 병이 있으면 자식을 낳아 기를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편작(扁鵲) 한단(邯鄲)이라는 곳을 지나다가 “부인을 소중히 여기려면 이슬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강목].

부인이 이슬이 흐르고 맥이 ()하며 오한이 나면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맥경].

帶下治法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帶與漏俱是胃中痰積流下渗入膀胱出於大小腸宜升提之甚者上必用吐下用二陳湯(方見痰飮)加蒼白朮升麻柴胡或蒼柏樗皮丸《丹心》○婦人月事不調暮則發熱小腹裏急手掌煩熱脣口乾燥何也師曰此病屬帶下何以故曾經半産瘀血在小腹不去何以知之其證脣乾燥故知之溫經湯(方見上)主之《仲景》○帶下是濕熱爲病赤屬血白屬氣主治燥濕爲先《丹心》○赤白帶宜伏龍肝散(方見上)苦練丸白芍藥散○肥人白帶是濕痰宜蒼柏樗皮丸瘦人是熱宜芩栢樗皮丸通用補經固眞湯白斂元補宮丸四神丸淸白散○久帶下陽氣虛極下流白滑如涕腥臭多悲不樂宜酒煮當歸丸固眞丸桂附湯《入門》○孕婦白帶宜芩朮樗皮丸○室女帶下宜琥珀朱砂丸○帶下必須斷厚味《入門》

대하와 () () 속에 있던 담적(痰積) 내려가서 방광으로 스며들어갔다가 대소장으로 나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반드시 끌어올려야 하는데 심하면 토하게 다음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승마, 시호를 넣어 쓰거나 창백저피환을 써야 한다[단심].

부인이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 해질 무렵에 열이 나며 아랫배가 켕기고[] 손바닥이 화끈화끈 달며 입술과 안이 마르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묻자 의사가 “그 병은 대하(帶下) 속한다. 어째서 그런가 하면 이전에 유산[半産]하면서 아랫배에 어혈이 것이 없어지지 않아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어떻게 있는가. 입술이 마르는 증상을 보고 안다”고 하였다. 이것은 온경탕(溫經湯, 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치료해야 한다[중경].

이슬(帶下) 습열로 생기는데 벌건 이슬은 혈에 속하고 흰이슬은 기에 속한다. 치료는 먼저 습을 마르게 해야 한다[단심].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데는 복룡간산(伏龍肝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고련환이나 백작약산을 쓴다.

살찐 사람이 흰이슬이 흐르는 것은 습담(濕痰) 있기 때문이므로 창백저피환을 써야 한다. 여윈 사람이 흰이슬이 흐르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므로 금백저피환을 써야 한다. 두루 쓰는 것은 보경고진탕, 백렴원, 보궁환, 사신환, 청백산이다.

대하증이 오래되면 양기가 몹시 허해지므로 아래로 허연 콧물 같으면서 비린내가 나는 것이 나오고 슬퍼하며 즐거워하지 않는다. 이런 데는 주자당귀환, 고진환, 계부탕 등을 쓴다[입문].

임신부가 이슬이 흐르는 데는 금출저피환을 쓴다.

처녀가 이슬이 흐르는 데는 호박주사환을 쓴다.

이슬이 흐를 때에는 반드시 맛있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蒼柏樗皮丸

治肥人白帶是濕痰蒼朮黃栢樗根白皮海石半夏製南星川芎香附子乾薑各等分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白湯下五七十丸夏月去乾薑代滑石《入門》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살찐 사람이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습담으로 생긴 것이다.

삽주(창출), 황백,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해석(海石), 끼무릇(반하, 법제한 ), 천남성(싸서 구운 ), 궁궁이(천궁), 향부자, 건강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여름에는 건강 대신 곱돌(활석) 쓴다[입문].

苦練丸

治熱入大小腸爲赤白帶下最妙苦練子碎酒浸茴香炒當歸各等分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每取三五十丸空心溫酒下《保命》

고련환(苦練丸)

대소장에 열이 들어가서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제일 낫게 한다.

고련자(부스러뜨려서 술에 담갔던 ), 회향(닦은 ), 당귀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보명].

白芍藥散

治赤白帶久不止白芍藥二兩乾薑五錢右各炒黃色爲末米飮調下二錢日二《綱目》

백작약산(白芍藥散)

벌겋고 흰이슬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0g, 건강 20g.

위의 약들을 각각 누런 빛이 나게 닦아서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 하루 두번 미음에 타서 먹는다[강목].

芩柏樗皮丸

治瘦人帶下是熱黃芩黃栢樗根白皮滑石川芎海石靑黛當歸白芍藥各等分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白湯下五七十丸《入門》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여윈 사람이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열로 생긴 것이다.

속썩은풀(황금), 황백,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곱돌(활석), 궁궁이(천궁), 해석, 청대,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補經固眞湯

治白帶訣曰崩中日久爲白帶漏下多時骨木枯言始病血崩久則血少復亡其陽故白滑之物下流不止血海將枯也.乾薑細末人參各二錢郁李仁泥柴胡甘草灸陳皮不去白黃芩生各一錢白葵花七朶右除黃芩以水二盞先煎藥至一盞七分再入黃芩煎至一盞空心熱服以美饍壓之《東垣》

보경고진탕(補經固眞湯)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맥결(脈訣)』에는 “붕루증이 오래되어 흰이슬이 생겨서 조금씩 계속 나오게 되면 뼈가 나무처럼 마른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혈붕증이 오래되면 피가 적어지고 양기(陽氣) 없어지기 때문에 희면서 미끈미끈한 [白滑之物] 아래로 계속 흘러내려 혈해(血海) 마르게 된다는 것이다.

건강(보드랍게 가루를 ), 인삼 각각 8g, 이스라치씨(욱리인, 짓찧은 ), 시호, 감초(닦은 ), 귤껍질(陳皮, 속을 버리지 않은 ), 속썩은풀(황금, 생것) 각각 4g, 백규화(白葵花) 7송이.

위의 약들을 썰어서 속썩은풀(황금) 내놓고 2잔에 넣어 먼저 1 7푼이 되게 달인다. 다음 속썩은풀(황금) 넣고 다시 1 정도 되게 달여서 빈속에 뜨겁게 하여 먹는다. 다음 좋은 반찬을 먹어서 약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한다[동원].

治衝任虛寒帶下純白鹿茸去毛醋蒸焙二兩白金毛狗脊各一兩右爲末艾蒸醋湯打米糊和丸梧子大空心溫酒下五七十丸《得效》

백렴원(白斂元)

충맥(衝脈) 임맥(任脈) 허하고 차서[]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녹용(솜털이 없게 구워서 식초에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린 ) 80g, 가위톱(백렴), 금모구척(金毛狗脊)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다음 약쑥(애엽) 달인 물과 식초를 섞은데 찹쌀을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補宮丸

治白帶及白淫鹿角霜白茯白芷白朮烏賊魚骨白薇白芍藥牡蠣粉山藥各等分右爲末糊丸梧子大米飮下五十丸《丹心》

보궁환(補宮丸)

흰이슬이 흐르는 것과 백음(白淫) 치료한다.

녹각상, 흰솔풍령(백복령), 구릿대(백지), 흰삽주(백출), 오징어뼈(오적어골), 백미,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굴조개껍질(모려), (서여)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단심].

四神丸

治白帶香附米八兩以酒醋鹽水童便各浸二兩過三日乃出炒蒼朮四兩米浸牡蠣粉炒縮砂炒樗根白皮蜜水炒各二兩右爲末以黃米煮飯和丸梧子大空心酒下五七十丸《醫鑑》

사신환(四神丸)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썰은 것을 , 식초, 소금물, 동변(童便) 각각 80g 3 동안 담가 두었다가 꺼내어 볶는다) 320g, 삽주(창출, 씻은 물에 담가 두었다가 말린 ) 160g, 굴조개껍질(모려, 닦은 ), 사인(닦은 ),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꿀물에 축여 볶은 )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찰기장쌀밥(黃米煮飯)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의감].

淸白散

治白帶當歸川芎白芍藥生地黃酒洗黃栢鹽水炒貝母樗根白皮酒炒各一錢乾薑炒黑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三片水煎服《醫鑑》

청백산(淸白散)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지황(술에 씻은 ),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 패모,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술에 축여 볶은 ) 각각 4g, 건강(타지게 닦은 [炒黑]),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酒煮當歸丸

治白帶長流不止腰以下如在氷雪中面白目靑肌肉消瘦此上中下三陽眞氣俱虛也.當歸一兩良薑附子各七錢茴香五錢右以好酒一盞半同煮至酒盡焙乾乃入炒黃鹽全蝎各三錢柴胡二錢灸甘草川子丁香木香升麻各一錢玄胡索四錢右同爲細末酒麵糊和丸梧子大空心淡醋湯下五七十丸《東垣》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흰이슬이 오랫동안 흐르면서 멎지 않고 허리 아래가 얼음이나 속에 있는 같으며 얼굴빛이 허옇게 되고 눈이 퍼렇게 되며 몸이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 , 3(三陽) 진기(眞氣) 모두 허해졌기 때문이다.

당귀 40g, 양강(良薑), 부자(싸서 구운 ) 각각 28g, 회향 20g(이상의 약들을 썰어서 좋은 1 반에 넣고 술이 없어지도록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소금(누렇게 닦은 ), 전갈 각각 12g, 시호 8g, 감초(닦은 ), 고련자, 정향, 목향, 승마 각각 4g, 현호색 16g.

위의 약들을 함께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에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연한 식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동원].

固眞丸

治白帶久不止臍腹冷痛乾薑四兩龍骨當歸各二兩柴胡白石脂各一兩黃栢白芍藥各五錢右爲末糊和丸梧子大白湯下二三十丸以飯壓下《入門》

고진환(固眞丸)

흰이슬이 오랫동안 멎지 않으면서 배꼽 둘레[臍腹]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강 160g, 용골, 당귀 각각 80g, 시호, 백석지 각각 40g, 황백,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은 다음 밥을 먹어서 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한다[입문].

桂附湯

治白帶腥臭多悲不樂大寒之證附子三錢肉桂一錢黃栢知母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계부탕(桂附湯)

흰이슬에서 비린내가 나고 슬퍼하며 즐거워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심한 증상이다.

부자(싸서 구운 ) 12g, 육계 4g, 황백, 지모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芩朮樗皮丸

治孕婦白帶黃芩白朮各三錢樗根白皮白芍藥山茱萸各二錢半白芷黃連各二錢黃栢一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白湯下五十丸孕婦帶下專是濕熱也.《入門》

금출저피환(芩朮樗皮丸)

임신부가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각각 12g, 가죽나무껍질(저근백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산수유 각각 10g, 구릿대(백지), 황련 각각 8g, 황백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임신부의 이슬은 습열로 생긴 것이다[입문].

琥珀朱砂丸

治室女經水初下一時驚悸或感風冷以致經水止而卽患帶下琥珀木香當歸沒藥各四錢乳香二錢麝香朱砂各二分半右爲末水丸實大每一丸溫酒磨服《入門》

호박주사환(琥珀朱砂丸)

처녀가 월경을 처음할 때에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풍랭(風冷) 감촉되어 월경이 없어지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호박, 목향, 당귀, 몰약 각각 16g, 유향 8g, 사향, 주사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입문].

吐下療白帶

一婦人病白帶如水漏下臭穢不可近戴人曰此帶濁水本熱乘太陽經其寒水不禁固故如此也.夫水自高下宜先絶其上源乃以瓜散涌痰二三升次日服導水丸下汚水十餘行三遍汗出周身至明朝病人云汚已大下矣.次用寒凉之藥服及半載生一男《子和》

토하게 하고 설사시켜 백대하를 치료한다는 [吐下療白帶]

어떤 부인이 흰이슬이 물이 새는 것같이 흐르는데 고약한 냄새가 나서 가까이 없었다. 대인(戴人) “이슬이 흐린 같은 것은 본래 열이 태양경(太陽經) 침범해서 태양경의 한수(寒水) 막는 기능을 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물이라는 것은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르는 것이므로 반드시 먼저 위에 있는 근원을 없애야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과체산( ) 썼는데 () 2-3 정도 토했다. 다음날에는 도수환(導水丸) 먹었는데 더러운 [汚水] 십여 설사하였다. 다음 온몸에 땀을 세번 내게 하였더니 이튿날 아침에 환자는 더러운 [] 이미 많이 나왔다고 하였다. 다음날부터 동안 성질이 차고 서늘한 [寒凉之藥] 썼더니 아들까지 낳았다고 한다[자화].

一方

名曰白芷丸治帶下腸有敗膿淋露不已腥穢殊甚遂至臍腹更增冷痛此爲敗膿血所致須以此排膿單葉紅蜀葵根二兩白芷一兩白芍藥白礬枯各五錢右爲末蠟丸梧子大空心米飮下十五丸膿盡別以他藥補之如無葵根以蘇木節代之《入門本草》

가지 처방

일명 백지환(白芷丸)이라고도 한다.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 썩은 고름[敗膿] 있기 때문에 이슬이 계속 흐르면서 비리고 더러운 냄새가 몹시 나며 배꼽 둘레가 차고 아픈 것이 점차 심해지는 것을 낫게 한다. 이것은 썩은 피고름[敗膿血] 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약으로 고름을 뽑아내야 한다.

촉규화뿌리(蜀葵根, 잎이 하나이고 벌건 ) 80g, 구릿대(백지)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백반(구운 )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황랍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피고름이 없어진 뒤에는 다른 약으로 보해야 한다. 만일 촉규화뿌리가 없으면 대신 소목마디[蘇木節] 쓴다[입문과 본초].

五色帶下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五崩何等類師曰白崩者形如涕赤崩者形如絳黃崩者形如爛瓜靑崩者形如藍色黑崩者形如血也.經》○五色帶下由傷肝則靑如泥色傷心則赤如紅津傷肺則白如鼻涕傷脾則黃如爛瓜傷腎則黑如血《入門》○所下五色各應五藏五藏俱虛五色倂下是皆血之爲病也.《得效》○五色帶下宜胃風湯(方見大便)五積散(方見寒門)去麻黃加荊芥穗伏龍肝散(方見上)溫淸飮地楡散香附散

5가지 빛깔의 이슬은 어떻게 갈라보는가. 이에 대하여 의사가 “흰이슬은 콧물[] 같고 벌건 이슬은 벌건 비단[] 같으며 누런 이슬은 물크러진 참외[爛瓜] 같고 퍼런 이슬은 쪽빛[藍色] 같으며 검은 이슬은 죽은 [ ] 같다”고 하였다[맥경].

5가지 빛깔의 이슬이 생기는 원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상해서 생긴 것은 푸른 빛을 띠는데 진흙 같다. () 상해서 생긴 것은 벌건 빛을 띠는데 벌건 같다. () 상해서 생긴 것은 흰빛을 띠는데 콧물 같다. () 상해서 생긴 것은 누런 빛을 띠는데 물크러진 참외 같다. () 상해서 생긴 것은 검은 빛을 띠는데 죽은 같다[입문].

이슬의 5가지 빛깔은 각각 5(五藏) 빛깔을 것이다. 5장이 허하면 5가지 빛깔의 이슬이 한꺼번에 나오게 된다. 이것은 () 병들었기 때문이다[득효].

5가지 빛깔의 이슬이 흐르는 데는 위풍탕(胃風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이나 오적산(五積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서 마황을 빼고 형개수를 넣어 쓰거나 복룡간산(伏龍肝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온청음이나 지유산이나 향부산을 쓴다.

溫淸飮

治崩漏不止五色相雜面黃腹痛寒熱往來一名解毒四物湯(方見上)

온청음(溫淸飮)

붕루가 멎지 않으면서 5가지 빛깔의 이슬이 섞여 흐르며 얼굴빛이 누렇고 배가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처방은 위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地楡散

治漏下五色黃瘦虛竭地楡三兩醋一升煮十餘沸空心熱服一合《入門》

지유산(地楡散)

5가지 빛깔의 이슬이 조금씩 흐르면서 몸이 누렇게 여위고 허해지며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오이풀뿌리(지유) 120g.

위의 약을 썰어서 식초 1되에 넣고 십여 끓어오르게 달인다. 한번에 1홉씩 빈속에 뜨겁게 하여 먹는다[입문].

香附散

治五色崩漏香附子去毛碎醋煮半日焙爲末每二錢米飮調下空心神效《本事》

향부산(香附散)

5가지 빛깔의 이슬과 붕루를 치료한다.

향부자.

위의 약을 털뿌리( ) 버리고 부스러뜨려서 식초에 한나절 동안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 빈속에 미음에 타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본사].

寒入血室

자궁에 기운이 들어간 [寒入血室]

月經不通臍寒疝痛其沈緊此由寒氣客於血室血凝不行所以作痛宜桂枝桃仁湯

월경이 나오지 않고 배꼽 둘레가 차며 아랫배가 아프고 맥이 침긴(沈緊) 것은 자궁에 기운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면 피가 엉켜서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프다. 이런 데는 계지도인탕을 쓴다.

桂枝桃仁湯

桂枝赤芍藥生乾地黃酒洗各二錢甘草灸一錢桃仁三十箇右作一貼入生薑三片棗二枚水煎溫服《丹心》○瑞金散亦良(方見上)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계지, 함박꽃뿌리(작약), 생건지황(술에 씻은 ) 각각 8g, 감초(닦은 ) 4g, 복숭아씨(도인) 30.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단심].

서금산(瑞金散, 처방은 위에 있다) 좋다.

熱入血室

자궁에 열이 들어간 [熱入血室]

婦人傷寒發熱經水適來適斷晝日明了夜則語如見鬼狀此爲熱入血室宜用柴胡破瘀湯或調經湯《仲景》

부인이 상한(傷寒)으로 열이 월경이 시작되다가 멎고 낮에는 정신이 똑똑하나 밤에는 헛소리를 하며 헛것이 보인다고 하는 것은 자궁에 열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시호파어탕이나 조경탕을 쓰는 것이 좋다[중경].

柴胡破瘀湯

治熱入血室及蓄血證柴胡二錢黃芩半夏赤芍藥當歸生地黃各一錢桃仁五靈脂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과 축혈증(蓄血證) 치료한다.

시호 8g,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생지황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오령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調經湯

治熱入血室柴胡生地黃各一錢半赤芍藥當歸黃芩各一錢半夏人參川芎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海藏》○此方乃小柴胡湯與四物湯合劑也.

조경탕(調經湯)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6g,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끼무릇(반하), 인삼,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처방은 소시호탕(小柴胡湯) 사물탕(四物湯) 섞은 것이다.

經斷復行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經斷復行]

婦人四十九歲已後天癸當住每月却行或過多不止宜芩心丸子芩丸當歸散加味四物湯《綱目》

부인은 49살이 지나면 월경이 없어져야 하는데 도리어 매달 월경을 하거나 () 많이 나오면서 멎지 않는 데는 금심환, 자금환, 당귀산, 가미사물탕 등을 써야 한다[강목].

芩心丸

治婦人天癸過後復行或漏下不止條黃芩二兩(一作醋浸)一日灸乾又浸又灸如此七次爲末醋糊和丸梧子大每七十丸空心溫酒送下日二服《瑞竹》

금심환(芩心丸)

부인이 월경이 없어질 나이가 지나서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과 피가 멎지 않고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80g.

위의 약을 씻은 물에 하루동안 담가 두었다가(식초에 담근다고 데도 있다) 불에 구워 말리기를 일곱번 하여 가루를 낸다. 다음 식초에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하루 두번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서죽].

子芩丸

治同上條黃芩四兩醋浸透紙嚸氖七次當歸酒洗香附米醋炒各二兩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空心酒下五七十丸《醫鑑》

자금환(子芩丸)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썰어서 식초에 담가 두었다가 종이에 싸서 불에 굽기를 일곱번 ) 160g, 당귀(술에 씻은 ), 향부자(썰어서 식초에 축여 볶은 )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의감].

當歸散

治婦人天癸已過期經不勻或三四月不行或一月再至腰腹疼痛內經云七損八益謂女子七數盡而經不依時者血有餘也.不可止之但令得依時不腰痛爲善當歸川芎白芍藥炒條黃芩炒各一兩白朮五錢右爲末每服二錢空心酒調下日二《本事》○良方有山茱萸一兩半

당귀산(當歸散)

부인이 월경이 없어질 나이가 이미 지났으나 월경이 있으면서 고르롭지 못하여[不勻] 3-4 동안 없기도 하고 1달에 두번씩 있기도 하며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는 7 8(七損 八益)㈜이란 여자가 7() 끝난 다음에 월경이 때없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피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그런데 이것을 멎게 해서는 안된다. 오직 월경을 제때에 하도록 하고 요통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제일 좋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 속썩은풀(황금, 닦은 ) 각각 40g, 흰삽주(백출)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하루 두번 빈속에 술에 타서 먹는다[본사].

『양방(良方)』㈜에는 산수유 60g 들어 있다.

[] 7 8(七損 八益) : 여자는 월경이 시작되고 남자는 정기(精氣) 충실해지는 것을 말한다. 7 여자를 표시하고 8 남자를 표시한다. 『내경』에서 “성장과정을 여자는 7, 남자는 8 설명하였다. 때문에 여자에게서 숫자 7 2번째인 14살에 월경이 시작된다고 하였고 숫자 7 마지막인 49살에 월경이 끝난다고 하였다.

[] 『양방(良方) : 1237 진자영이 24권으로 『부인대전양방』을 말한다.

加味四物湯

治經斷後多年忽然再行遂成崩漏腹痛寒熱四物湯四錢加人參吳茱萸各一錢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得效》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월경이 여러 동안 없어졌다가 갑자기 다시 월경을 하면서 붕루가 되고 배가 아프며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 약재 16g, 인삼, 오수유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單方

단방(單方)/

凡四十一種

모두 41가지이다.

伏龍肝

心土也.主婦人崩中帶下爲止血之聖藥盖燥可去濕也.《湯液》○治血露蠶沙阿膠各一兩伏龍肝半兩同爲末溫酒調下二錢《本草》

복룡간(伏龍肝)

아궁바닥흙( 心土)이다. 피를 멎게 하는 데는 제일 좋은 약이다. 대체로 성질이 () 약은 습을 없앤다[탕액].

붉은 이슬(血露) 치료하는 데는 잠사, 갖풀(아교) 각각 40g 복룡간 20g 쓰는데 함께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먹는다[본초].

百草霜

治血崩○百草霜末二錢狗膽汁拌勻分作兩服以當歸酒調下《本草》

백초상(百草霜)

혈붕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8g 구담즙(狗膽汁) 반죽하여 두번에 나누어 당귀술에 먹는다[본초].

芒硝朴硝

治月候不通血閉慎禮取末一錢醋湯下空心《本草》

망초, 박초(芒硝, 朴硝)

이것은 월경이 나오지 않고 중단된 것과 징가( ) 치료한다. 가루내어 4g 빈속에 식초 끓인 물로 먹는다[본초].

乾地黃

治胞漏下血或煎服或丸服佳《本草》

건지황(乾地黃, 마른지황)

자궁에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益母草

治赤白帶下花開時採爲末空心酒調二錢日三服《本草》

익모초(益母草)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꽃이 베다가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하루 세번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蒲黃

止崩漏及赤白帶下炒取二錢溫水調服或丸服《本草》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한다. 닦아서 8g 더운물에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當歸

主崩漏及月水不利煎服末服佳《本草》○血積當歸四錢乾漆三錢爲末蜜丸酒下十五丸《良方》

당귀(當歸)

붕루와 월경이 고르지 못한[不利]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혈적(血積)에는 당귀 16g 마른옻(건칠) 12g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5알씩 술로 먹는다[양방].

黃芩

下血閉治淋露下血《本草》○血崩黃芩爲末二錢以燒稱錘酒調下空心《良方》

황금(黃芩, 속썩은풀)

월경이 중단된 것과 이슬이 조금씩 나오면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혈붕에는 속썩은풀(황금) 가루내어 8g 쓰는데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양방].

芍藥

治血閉不通煎服末服丸服佳《本草》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白芷

治崩漏及赤白帶下煎服末服皆佳《本草》○赤白帶白芷一兩烏賊魚骨二箇燒胎髮一團右爲末空心酒下二錢《良方》

백지(白芷, 구릿대)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데는 구릿대(백지) 40g, 오징어뼈(오적어골, 불에 태운 ) 2, 태발 1뭉치(불에 태운 ) 등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빈속에 술에 먹는다[양방].

酸漿草

治赤白帶下陰乾爲末空心酒下二錢《本草》

산장초(酸漿草, 꽈리)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그늘에 말려 가루내어 번에 8g 빈속에 술에 먹는다[본초].

地楡

主帶下十二病一曰多赤二曰多白三曰月水不通四曰陰蝕五曰子藏堅六曰子門僻七曰合陰陽患痛八曰小腹寒痛九曰子門閉十曰子宮冷十一曰夢與鬼交十二曰五藏不定又治崩漏不止煎服末服佳《本草》○赤白帶骨立者地楡一斤水熬成膏空心服二合日二《良方》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여자의 생식기와 관련된 12가지 병을 주로 치료한다. 1. 벌건 이슬이 많은 2. 흰이슬이 많은 3. 월경이 나오지 않는 4. 음부가 허는 5. 자궁이 뜬뜬해진 [] 6. 자궁이 비뚤어진 7. 성생활을 하면 음부가 아픈 8. 아랫배가 차고 아픈 9. 자궁이 막힌 10. 자궁이 냉한 11.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12. 5(五藏) 온전하지 못한 등이다. 또한 붕루가 멎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면서 여위며 뼈만 남는 데는 오이풀뿌리(지유) 600g 썰어서 물에 넣고 고약처럼 되게 달여 한번에 2홉씩 하루 두번 빈속에 먹는다[양방].

治崩漏煎服末服佳《本草》○治血崩取一兩酒五盞煎至一盞去滓下生地黃汁一盞再煎二三沸分三服《良方》

궁궁( )

붕루를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혈붕을 치료하는 데는 궁궁이(천궁) 40g 썰어서 5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생지황즙 1잔을 넣고 다시 두세번 끓어오르게 달여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艾葉

主崩漏及帶下煎服之○血崩熟艾鷄子大阿膠珠五錢乾薑黑一錢同煎服《本草》

애엽(艾葉, 약쑥잎)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는다.

혈붕에는 약쑥잎(熟艾) 큰달걀(鷄子大)만큼, 아교주 20g, 건강(싸서 터지게 구운 ) 4g 함께 달여서 먹는다[본초].

혈붕에는 엉겅퀴(대계) 조뱅이뿌리 200g 띠뿌리(모근) 120g 술에 달여서 먹는다[양방].

 

主崩漏及赤白帶取汁服《本草》○血崩取根五兩茅根三兩酒煮服《良方》

대계, 소계( , , 엉겅퀴, 조뱅이)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牧丹皮

主月經不通煎服末服佳《本草》

목단피(牧丹皮, 모란껍질)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三稜

通月經破血煎服末服丸服佳《本草》

삼릉(三稜)

월경을 나오게 하고 혈가( ) 헤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玄胡索

主月經不調崩中淋露煎服末服丸服佳《本草》

현호색(玄胡索)

월경이 고르지 못한[不調] 것과 피가 나오면서 이슬이 조금씩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大黃

主血閉脹及諸老血留結成煎服丸服佳《本草》

대황(大黃)

월경이 막혀 배가 붓는 것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가 오랫동안 몰려 있어서 징가( )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桑木耳

主月水不調崩中帶下月閉血凝酒煎服或燒爲末酒服二錢○槐木耳亦同《本草》

상목이(桑木耳, 뽕나무버섯)

월경이 고르지 못한[不調] 것과 붕루, 이슬이 흐르는 , 월경이 막히고 피가 엉킨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달여서 먹거나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먹는다.

홰나무버섯도 역시 같다[본초].

蕎麥麵

治赤白帶下不拘多少以鷄子淸和丸白湯空心下三五十丸卽愈《回春》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적당한 양을 달걀 흰자위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끓인 물로 먹으면 낫는다[회춘].

樗根白皮

治崩漏及赤白帶取白根切一大握水一升煮分二服或爲末蜜丸服亦佳《回春》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속껍질을 썰어서 크게 1줌을 1되에 넣고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 가루를 내어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회춘].

橡實殼

主崩中帶下燒灰和米飮服○取殼與蒼耳燒爲末以加白芷乾薑四物湯調下《正傳》

상실각(橡實殼, 도토리껍질)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에 먹는다.

도토리껍질(상실각) 도꼬마리(창이) 태워 가루내어 쓰는데 사물탕에 구릿대(백지) 건강(싸서 구운 ) 넣어서 달인 물에 먹는다[정전].

棕櫚皮

治崩漏帶下燒灰與白礬枯爲末酒服二錢又與絲瓜燒灰等分爲末鹽湯調下《本草》

종려피(棕櫚皮)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백반(구운 ) 함께 섞어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먹는다. 또한 여기에 수세미오이속(絲瓜) 태워 같은 양으로 넣어서 가루를 내어 소금 끓인 물에 먹어도 된다[본초].

牡蠣

治崩漏及赤白帶下取粉醋調作丸再硏細却用艾醋湯熬膏和丸艾醋湯下五十丸《綱目》

모려(牡蠣, 굴조개껍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식초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다시 불에 구워 보드랍게 가루낸 다음 식초에 달여 만든 약쑥고약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식초와 약쑥(애엽)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鱉甲

治漏下五色羸瘦灸黃爲末酒下一錢又取鱉肉作羹常食之佳《本草》

별갑(鼈甲, 자라등딱지)

5가지 빛깔이 나는 이슬이 흐르면서 몸이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되도록 구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술에 먹는다. 또한 자라고기국을 끓여서 먹어도 좋다[본초].

蠶退紙

主崩漏帶下燒爲末米飮調服《本草》

잠퇴지(蠶退紙, 누에알깐종이)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내어 미음에 먹는다[본초].

烏賊魚骨

治血枯又通月經療血崩血漏爲末丸服或末服皆佳《本草》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혈고와 붕루를 치료하는데 월경을 통하게도 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療婦人帶下百病作羹食或燒食皆佳《本草》

만려어( , 뱀장어)

부인의 이슬과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 먹어도 좋다[본초].

牡鼠屎

治室女月水不通燒灰爲末酒下一錢神效勿令知《本草》

모서시(牡鼠屎, 무서시)

처녀가 월경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g 술에 타서 먹이되 환자가 알지 못하게 해야 한다[본초].

⼒恂

主室女月水不通逐瘀血散積血破血閉去翅足炒爲末醋湯調下或丸服之《本草》

맹충( , 등에)

처녀가 월경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어혈(瘀血) 몰아내고 몰린 [積血] 흩어지게 하며 월경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날개와 발을 떼버리고 닦아서 가루를 내어 식초 끓인 물에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水蛭

治同上破血最良須切斷同石灰再三炒爲末或末服或丸服《本草》

수질(水蛭, 거머리)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하는데 피를 흩어지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 여러 토막으로 잘라서 석회와 함께 두세번 닦아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五靈脂

行經血有功治血崩不止及赤白帶下半生半炒爲末酒下一錢或丸服之《丹心》

오령지(五靈脂)

월경을 나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은 것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荊芥穗

治崩漏不止燒存性爲末每二錢童尿調下《良方》

형개수(荊芥穗)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8g 먹는다[양방].

蜀葵花

赤花治赤帶白花治白帶爲末溫酒下二錢○單葉紅蜀葵根治帶下排膿血極驗《本草》

촉규화(蜀葵花)

빨간 꽃은 벌건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흰꽃은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먹는다.

잎이 하나씩 붙은 벌건 촉규화의 뿌리는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피고름[膿血] 아주 빨아낸다[본초].

水芹

療崩漏帶下作燜灨或煮或生食佳《本草》

수근(水芹, 미나리)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김치를 담가 먹거나 삶아서 먹거나 생것으로 먹어도 좋다[본초].

鹿角膠

主崩漏赤白帶下炒爲末酒下二錢或丸服或煮服良《本草》

녹각교(鹿角膠)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鹿茸

治崩漏赤白帶下灸爲末酒服一錢或丸服之《本草》○鹿角燒灰服亦佳

녹용(鹿茸)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술에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녹각을 태워 가루를 내어 먹는 것도 좋다.

雀肉

治血崩帶下或燒食或作煎食之《本草》

작육(雀肉, 참새고기)

혈붕과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구워 먹거나 끓여서 먹는다[본초].

牛角

止血崩不止及赤白帶下燒灰酒下二錢或作丸服《本草》

우각새(牛角 , 소뿔속뼈)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黃狗頭骨

主崩漏及赤白帶下燒爲末酒下一錢或作丸服之○陰莖及陰卵主帶下十二疾燒作末酒服一錢或丸服之《本草》

황구두골(黃狗頭骨, 누렁개의 대가리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개의 음경(陰莖) 음낭[陰卵] 여자의 생식기[帶下] 관련된 12가지 병을 치료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針灸法

침뜸치료[針灸法]/

月經不調取陰獨中極三陰交腎兪氣海《綱目》○月經斷絶取中極三陰交腎兪合谷四滿三里《綱目》○崩漏不止取血海陰谷三陰交行間太衝中極《綱目》○赤白帶取中極腎兪氣海三陰交章門行間○赤白帶帶穴灸之最奇一女患此灸此穴鬼附身云灸着我我卽去俄而卽差《資生》○崔氏四花穴治帶下如神《綱目》○赤帶取中極氣海委中○白帶取曲骨承陰中極《綱目》○經斷久忽大崩下取豊隆石門天樞中脘氣海《綱目》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면[不調] 음독(陰獨),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신유(腎兪), 기해(氣海)혈에 놓는다[강목].

월경이 중단되었으면 중극, 삼음교, 신유, 합곡(合谷), 사만(四滿), 삼리(三理)혈에 놓는다[강목].

붕루가 멎지 않으면 혈해(血海), 음곡(陰谷), 삼음교(三陰交), 행간(行間), 태충(太衝), 중극혈에 놓는다[강목].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면 중극, 신유, 기해, 삼음교, 장문(章門), 행간혈에 놓는다. 벌겋고 흰이슬이 흐를 때에는 대맥혈(帶脈穴) 뜸을 떠야 효과를 본다. 어떤 여자가 병에 걸렸을 혈에 뜸을 뜨니 몸에 들어왔던 사기(邪氣) 나가고 얼마 지나서 병이 나았다고 한다[자생].

최씨(崔氏) 사화혈(四花穴)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혈이다[강목].

벌건 이슬이 흐르면 중극, 기해, 위중(委中)혈에 놓는다.

흰이슬이 흐르면 곡골(曲骨), 승읍(承泣), 중극혈에 놓는다[강목].

월경이 오랫동안 없다가 갑자기 피를 많이 쏟는 데는 풍륭(豊隆), 석문(石門), 천추(天樞), 중완(中脘), 기해혈을 쓴다[강목]. 

출처 : 명리오행한방(한국오행학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http://cafe.daum.net/skachstj  

문의 010 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