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생리학자료

[스크랩] [외형편]머리-東醫寶鑑外形篇卷之一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9. 27. 14:00

東醫寶鑑外形篇券之一

御醫忠勤貞亮扈聖功臣崇祿大夫陽平君臣許浚奉敎撰

◆頭

頭爲天谷以藏神

谷者天谷也神者一身之元神也天之谷含造化容虛空地之谷容萬物載山川人與天地同所亦有谷焉其谷藏眞一宅元神是以頭有九宮上應九天中間一宮謂之泥丸又曰黃庭又名崑崙又謂天谷其名頗多乃元神所住之宮其空如谷而神居之故謂之谷神神存則生神去則死日則接於物夜則接於夢神不能安其居也黃帝內經曰天谷元神守之自眞言人身中上有天谷泥丸藏神之府也中有應谷絳宮藏氣之府也下有虛谷關元藏精之府也天谷元宮也乃元神之室靈性之所存是神之要也《正理》

머리는 천곡으로서 신을 간직하고 있다[頭爲天谷以藏神]

()이라는 것은 천곡(天谷)㈜을 말하며 ()이란 것은 몸의 원신(元神)㈜을 말한다.

[] 천곡(天谷) : 뇌의 중심부를 말한다.

[] 원신(元神) : 속에 있어서 일신(一身) 주재하는 작용 또는 그것을 맡은 기관을 말한다.

천곡에는 만물을 내는 조화가 있고 공허하다. 지곡(地谷)에는 만물과 산천이 간직되어 있다. 사람에게도 하늘 땅과 같이 역시 () 있는데 거기에 진기와 원신을 간직하고 있다. 그리고 머리에는 9개의 () 있어서 9개의 () 상응하는데 가운데서 1개의 궁을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또한 황정(黃庭), 곤륜(崑崙), 천곡(天谷)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이름이 많으나 결국은 원신(元神) 간직되어 있는 곳을 말한다. 그리고 마치 비어 있는 같으면서 원신이 들어 있기 때문에 곡신(谷神)이라고도 한다. 사람은 원신이 있어야 살고 원신이 없어지면 죽는다. 원신은 낮에는 사물과 접촉하고 밤에는 꿈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자리에 편안하게 있지 못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는 “천곡이 원신(元神) 지키면 자연히 몸이 튼튼해진다”고 씌어 있다. 상초(上焦)에는 천곡인 이환궁이 있는데 원신을 간직하는 곳이다. 중초(中焦)에는 응곡(應谷) 강궁(絳宮)㈜이 있는데 기를 간직하는 곳이다.

하초(下焦)에는 허곡(虛谷) 관원(關元) 있는데 () 간직하고 있다. 천곡을 원궁(元宮)이라고 하는데 원신과 총명한 기가 들어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정신이 들어 있는 주요한 곳이라고 하였다[정리].

[] 강궁(絳宮) : 심장을 달리 표현한 말이다.

頭有九宮

頭有九宮腦有九辨一曰雙丹宮二曰明堂宮三曰泥丸宮四曰流珠宮五曰大帝宮六曰天庭宮七曰極眞宮八曰玄丹宮九曰太皇宮各有神以主之謂之元首九宮眞人也《黃庭》○問泥丸宮正在何處答曰頭有九宮中曰泥丸九宮羅列七竅應透泥丸之宮魂魄之穴也《正理》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고 뇌에는 9개의 부문[九辨] 있다. 첫째는 쌍단궁(雙丹宮)이고 둘째는 명당궁(明堂宮)이며 셋째는 이환궁(泥丸宮)이다. 넷째는 유주궁(流珠宮)이고 다섯째는 대제궁(大帝宮)이며 여섯째는 천정궁(天庭宮)이다. 일곱째는 극진궁(極眞宮)이고 여덟째는 현단궁(玄丹宮)이며 아홉째는 태황궁(太皇宮)이다. 이것들은 신이 주관하는데 신을 원수구궁진(元首九宮眞)이라고 한다[황정].

이환궁이 어디에 있는가고 물으니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는데 가운데 것을 이환궁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9개의 궁은 제각기 자리가 있는데 7(七竅) 통해 있고 이환궁에는 혼백이 나드는 구멍이 있다고 하였다[정리].

腦爲髓海

腦爲髓之海髓海有餘則輕勁多力不足則腦轉耳鳴脛眩冒目無所見《靈樞》○腦者髓之海諸髓皆屬於腦故上至腦下至尾皆精髓升降之道路也《入門》○髓者骨之充也髓傷則腦髓消體解然不去也註曰不去者不能行去也《內經》○腦者頭之盖骨也百會穴分是也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 골수가 충실하면 몸이 가볍고 튼튼하며 힘이 세고 골수가 부족하면 머리가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다리가 시큰거고[ ] 정신이 아찔하면서 눈이 보이지 않는다[영추].

뇌는 골수의 바다이므로 모든 골수는 뇌에 속한다. 뇌에서부터 꽁무니뼈에 이르기까지는 모든 정수(精髓) 오르내리는 길이다[입문].

골수는 뼛속에 있는데 골수가 상하면 뇌수가 줄어들면서 해역( )㈜증이 생겨 다닐 없게 된다. 주해에 다니지 못한다는 것은 걸을 없다는 말이라고 씌어 있다[내경].

[] 해역( ) : 병으로 몸을 움직이기 싫은

뇌는 머리뼈가 덮고 있는데 백회혈(百會穴) 부위이다.

頭部度數

頭之大骨圍二尺六寸○髮所覆者至項二尺二寸髮以下至長一尺○耳後當完骨者廣九寸耳前當耳門者廣一尺三寸《靈樞》

머리의 치수[頭部度數]

머리뼈의 둘레는 2 6치이다.

이마의 머리털이 곳에서부터 목덜미까지는 2 2치이고 이마의 머리털이 경계의 밑에서부터 턱까지의 길이는 1자이다.

뒤의 완골(完骨) 사이의 너비는 9치이고 앞의 이문(耳門) 사이의 너비는 1 3치이다[영추].

[] 완골(完骨) : 뒤에 도드라지게 나온

頭病外候

頭者精明之府頭傾視深精神將奪矣《內經》○傷寒頭重不能擧有二證太陽病深頭重不能擧陰陽易病亦頭重不能擧皆危證也《入門》○傷寒陽脈不和則頭爲之搖有心藏絶者亦搖頭病風盛則搖頭皆凶證也《入門》○有裏痛而搖頭者亦重證也《入門》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머리는 정명(精明) 들어 있는 곳이다. 머리를 들지 못하고 눈이 꺼져 들어가게 되면 정신이 없어진다[내경].

상한으로 머리가 무거워서 들지 못하는 데는 2가지가 있다. 태양병이 심하여 머리가 무거워서 들지 못하는 것과 음역병(陰易病)이나 양역병(陽易病) 때에 머리가 무거워 들지 못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위험한 증상이다[입문].

상한병(傷寒病) 양맥이 고르롭지 못하면[不和] 머리를 흔드는데 심기가 몹시 약해져도 또한 머리를 흔든다. 치병( ) 풍이 성하여도 머리를 흔든다. 이것은 좋지 못한 증상이다[입문].

속골이 아프면서 머리가 흔들리는 것도 역시 중한 증상이다[입문].

脈法

病若頭痛目痛脈急短者死《綱目》○頭痛浮滑易除短不愈《得效》○頭痛短澁應須死浮滑風痰必易除《脈訣》○陽脈弦者頭痛無疑《脈訣》○肝脈溢大必眩暈宜豫防之《入門》○寸口脈中短者頭痛也《正傳》○寸口緊急或浮或短或弦皆主頭痛《醫鑑》○頭痛陽弦浮風緊寒風熱洪數濕細而堅氣虛頭痛雖弦必痰厥則滑腎厥堅實《脈訣》○風寒暑濕氣鬱生涎下虛上實皆暈而眩風浮寒緊濕細暑虛涎弦而滑虛脈則無《脈訣》○腎厥頭痛其脈擧之則弦按之則堅《丹心》○頭痛左手脈數熱也脈澁有死血也右手脈實有痰積也脈大是久病《丹心》

보는 [脈法]/머리

머리와 눈이 아플 맥이 (), (), ( )하면 죽는다[강목].

머리가 아플 맥이 부활(浮滑)하면 치료하기 쉽고 단색( )하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머리가 아플 맥이 단삽(短澁)하면 죽는다. 부활(浮滑) 것은 풍담(風痰)이므로 반드시 쉽게 낫는다[맥결].

양맥(陽脈) ()하면 머리가 아픈 것이 틀림없다[맥결].

간맥(肝脈) 지나치게 () 것은 어지럼증이 생기려는 것이므로 미리 막아야 한다[입문].

촌구맥(寸口脈) () 것은 머리가 아픈 것이다[정전].

촌구맥이 긴급(緊急)하거나 ()하거나 ()하거나 ()하면 머리가 아프다[의감].

머리가 아플 때에는 양맥이 현한데 이때에 양맥이 부한 것은 풍사가 있는 것이고 긴한 것은 한사가 있는 것이다. 풍열(風熱) 때에는 홍삭(洪數)하고 () 때에는 ()하면서 ()하다. 기가 허하여 머리가 아플 때에는 맥이 ()하면서 ( )하다. 담궐(痰厥) 때에는 활하고 신궐(腎厥) 때에는 견실(堅實)하다[맥결].

, , , 습의 기가 몰려서 담이 생겼거나 하초가 허하고 상초가 실하여도 어지럼증이 생긴다. 맥은 풍사가 있으면 부하고 한사가 있으면 긴하며 습사가 있으면 세하고 서사가 있으면 허하며 담이 있으면 현하면서 활하다. 허맥(虛脈) 알리지 않는다[맥결].

신궐(腎厥) 머리가 아플 때에 맥을 가만히 눌러 보면 ()하다[단심].

머리가 아플 왼손의 맥이 ()하면 열이 있는 것이고 삽하면 궂은 [死血] 있는 것이며 오른손의 맥이 실하면 담적(痰積) 있는 것이고 맥이 ()하면 오래된 병이다[단심].

頭風證

頭風之證素有痰飮或櫛沐取凉或久臥當風以致賊風入腦入項自頸以上耳目口鼻眉稜之間有麻痺不仁之處或頭重或頭暈或頭皮頑厚不自覺知或口舌不仁不知食味或耳聾或目痛或眉稜上下痛或鼻中聞香極香聞臭極臭或只呵欠而作眩冒之狀熱者消風散冷者追風散通用川芎茶調散(方見下)祛風通氣散(方見風門)《入門》○頭風發時悶痛必欲綿者熱鬱也二陳湯(方見痰飮)加酒芩荊芥川芎薄荷石膏細辛或消風百解散(方見寒門)《入門》○頭風宜白芷散天香散加減芎辛湯菊花茶調散○婦人頭風宜養血祛風湯

두풍증(頭風證)

두풍증은 원래 담음(痰飮) 있거나 목욕하다가 한사를 받거나 바람받이에 오랫동안 누워 있어서 머리와 목덜미에 풍사가 침범하게 되면 생기는데 이때에는 목에서부터 , , , , 이마까지가 마비되어 감각이 없다. 또한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며 머리의 피부가 뻣뻣해서 감각을 모르고 입과 혀가 놀려지지 않으며 음식맛을 모르며 귀가 먹고 눈이 아프며 혹은 눈썹 곳이 아래위가 잡아당기는 것같이 아프고 냄새에 지나치게 예민하며 하품할 아찔해지는 증상이 있다. 이때에 열증이면 소풍산을 쓰고 냉증이면 추풍산을 쓰는데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이나 거풍통기산(祛風通氣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두루 쓴다[입문].

두풍증이 발작할 답답하고 아파서 머리를 수건으로 동여매려고 하는 것은 열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술에 법제한 속썩은풀(황금), 형개, 궁궁이(천궁), 박하, 석고, 족두리풀(세신) 넣어 쓰거나 소풍백해산(消風百解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쓴다[입문].

두풍증에는 백지산, 천향산, 가감궁신탕, 국화다조산을 쓰는 것이 좋다.

부인의 두풍증에는 양혈거풍탕이 좋다.

消風散

治諸風上攻頭目昏眩鼻塞耳鳴皮膚麻痒及婦人血風頭皮腫痒荊芥甘草各一錢人參茯蠶川芎防風藿香蟬殼羌活各五分陳皮厚朴各三分右作一貼入細茶一撮同煎服或爲末每二錢以茶淸或溫酒調下《入門》

소풍산(消風散)

여러 가지 풍이 위로 올라와서 머리가 어지럽고 앞이 캄캄해지며 코가 막히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피부가 저리면서 가려운 것과 부인이 혈풍(血風)㈜증으로 머리의 피부가 부으면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형개, 감초 각각 4g, 인삼, 솔풍령(복령), 백강잠, 궁궁이(천궁), 방풍, 곽향, 매미허물(선각), 강호리(강활) 각각 2g, 귤껍질(陳皮), 후박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작설차 1 반과 함께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찻물이나 데운 술에 먹는다[입문].

[] 혈풍(血風) : 피부병의 하나인데 피부가 벌겋게 부어나다가 작은 물집이 생기고 물집빛이 자줏빛으로 변하는 .

追風散

治偏正頭風及面上遊風狀如行川烏石膏蠶炒川芎防風荊芥甘草各五錢南星白附子羌活天麻全蝎地龍白芷各二錢半草烏沒藥乳香雄黃各一錢二分半右爲末每半錢臨臥茶淸或溫酒調下《直指》

추풍산(追風散)

편두통(偏頭痛), 정두풍(正頭風) 얼굴에 유풍(遊風) 생겨 벌레가 기어다니는 같은 것을 치료한다.

오두(싸서 구운 ), 석고(달군 ), 백강잠(닦은 ), 궁궁이(천궁), 방풍, 형개, 감초 각각 20g, 천남성(싸서 구운 ), 노랑돌쩌귀(싸서 구운 ), 강호리(강활), 천마, 전갈, 지렁이(구인), 구릿대(백지) 각각 10g, 바꽃(초오, 싸서 구운 ), 몰약, 유향, 석웅황(웅황) 각각 5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 잠잘 무렵에 찻물이나 데운 술에 먹는다[직지].

白芷散

治頭面諸風及風眩白芷以蘿汁浸爲末每二錢沸湯調下食後《入門》

백지산(白芷散)

머리와 얼굴에 생긴 모든 풍증과 풍현증(風眩證)㈜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무즙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끼니 뒤에 끓인 물에 먹는다[입문].

[]풍현증(風眩證) : 풍증으로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정신이 혼미해지는 .

天香散

治久近頭風發則頑痺麻痒不勝爬搔或生気㳝停痰嘔吐飮食不入兩服可斷根南星半夏湯洗七次川烏生白芷各一錢右作一貼水煎入薑汁半盞調服頭上塊子鍼之效《丹心》

천향산(天香散)

오래되었거나 생겼거나를 막론하고 두풍증으로 감각이 몹시 둔해지고 뻣뻣하며 참을 없이 가려워서 손톱으로 긁으면 울퉁불퉁하게 되는 것과 담이 뭉쳐서 토하거나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두번만 먹으면 낫는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모두 끓인 물에 일곱번 씻은 ), 오두, 구릿대(백지, 생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생강즙 반잔을 타서 먹는다. 머리에 울퉁불퉁하게 두드러져 올라왔을 때에는 침을 놓아야 효과가 있다[단심].

加減芎辛湯

治頭風或攻目川芎細辛白芷石膏藁本角羌活防風荊芥桔梗蔓荊子甘菊薄荷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가감궁신산(加減芎辛散)

두풍증이 눈으로 몰린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석고, 고본, 주염열매(조협), 강호리(강활), 방풍, 형개, 도라지(길경),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박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菊花茶調散

治頭風鼻塞或偏正頭痛甘菊川芎荊芥羌活白芷甘草各一兩防風七錢半細辛五錢蟬殼白蠶薄荷各二錢半右爲細末每取二錢茶淸調下食後《丹心》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두풍증으로 코가 메는 것과 편두통, 정두통(正頭痛)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궁궁이(천궁), 형개,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40g, 방풍 30g, 족두리풀(세신) 20g, 매미허물(선각), 백강잠, 박하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단심].

養血祛風湯

治婦人頭風十居其半每發必掉眩如立舟車之上盖因肝虛風襲故也當歸川芎生乾地黃防風荊芥羌活細辛藁本石膏蔓荊子半夏旋覆花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醫鑑》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부인이 간이 허하고 풍사가 침범하여 두풍증이 생겼는데 발작될 때마다 배나 수레에 것처럼 몸이 흔들리는 것을 치료한다. 두풍증 때에는 사람에 다섯 사람은 어지럼증이 있다.

당귀, 궁궁이(천궁), 생건지황, 방풍, 형개, 강호리(강활), 족두리풀(세신), 고본, 석고, 순비기열매(만형자), 끼무릇(반하), 선복화,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眩暈

上虛則眩又曰上氣不足目爲之眩(此言虛而眩暈)○藏府筋骨血氣之精與脈幷爲目系上屬於腦後出於項中故邪中於項因逢其身之虛其入深則隨眼系以入於腦入於腦則腦轉腦轉則引目系急目系急則目眩以轉矣(此言風入而眩暈)《靈樞》○內經曰頭痛疾下虛上實過在足少陰巨陽甚則入腎○徇蒙招尤目眩耳聾下實上虛過在足少陽厥陰甚則入肝○下虛者腎虛也腎虛則頭痛上虛者肝虛也肝虛則頭暈徇蒙者如以物蒙其首招搖不定目眩耳聾皆暈之狀也肝厥頭暈腎厥痛不同如此《綱目》○內經曰諸風掉眩皆屬於肝河間曰掉搖也眩昏亂旋運也風主動故也所謂風氣動而頭目眩運者由風木旺必是金衰不能制木而木復生火風火皆屬陽多爲兼化陽主乎動兩動相搏則頭目爲之眩暈而旋轉矣火本動也焰得風則自旋轉人或乘舟車及作環舞而眩暈者其動不止而左右紆曲故經曰曲直動搖風之用也眩暈而嘔吐者風熱甚故也○眩暈或云眩冒眩言其黑暈言其轉冒言其昏其義一也《入門》○眩暈者中風之漸也肥白人四君子湯(方見氣門)倍蜜灸黃加半夏陳皮少加川芎荊芥以淸頭目黑瘦人二陳湯(方見痰飮)合四物湯(方見血門)加片芩薄荷入竹瀝薑汁童便服《正傳》○眩暈皆稱爲上盛下虛盖虛者氣與血也實者痰涎風火也《醫鑑》○眩暈者痰因火動也盖無痰不能作眩雖因風者亦必有痰《丹心》○痰在上火在下火炎上而動其痰二陳湯加酒芩梔子黃連蒼朮羌活《丹心》○眩暈有風有熱有痰有氣有虛有濕

어지럼증[眩暈]

상초(上焦) 허해도 어지럽고 상초에 기가 부족해도 앞이 어지럽다(이것은 허해서 생긴 어지럼증을 말하는 것이다).

장부(藏府) 힘줄, , , 기의 정기는 경맥과 같이 목계(目系) 되어 위로 올라가 뇌에 들어갔다가 목덜미 가운데로 나왔다. 때문에 몸이 허한 목에 사기(邪氣) 침범하면 그것이 깊이 들어가서 목계를 따라 뇌에 들어간다. 그러면 머리가 돌아가고[腦轉] 머리가 돌아가면 목계가 켕기고[目系急] 목계가 켕기면 눈앞이 어지럽다[目暈以轉](이것은 풍사가 침범하여 생긴 어지럼증이다)[영추].

『내경』에 “머리가 아픈데 정수리까지 아픈 것은 하초가 허하고 상초가 실하기 때문이다. 원인은 족소음(足少陰) 족태양(足太陽) 있다. 병이 심해지면 ()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어질어질하고 정신이 흐릿하며 특히 앞이 캄캄해지면서 귀가 먹먹해지는 것은 하초(下焦) 실하고 상초(上焦) 허하기 때문인데 원인은 족소양(足少陽) 족궐음(足厥陰) 있다. 병이 심해지면 ()으로 들어간다.

하초가 허하다는 것은 () 허하다는 것인데 신이 허하면 머리가 아프다. 상초가 허하다는 것은 () 허하다는 것인데 간이 허하면 머리가 어지럽다. 순몽(徇蒙)이란 것은 어떤 물건을 머리에 씌운 것같이 된다는 말이다. 몸이 몹시 흔들려서 안정하지 못하며 앞이 어지럽고 귀가 먹먹해지는 것은 어지럼증의 증상이다. 간궐(肝厥) 머리가 어지러운 것과 신궐(腎厥) 정수리가 아픈 것은 이와 같이 다르다[강목].

『내경』에 “풍()으로 ()하거나 () 것은 () 속한다”고 씌어 있다. 『하간(河間)』은 도는 흔들린다[] 말이고 현은 어지러워서 빙빙돈다[昏亂旋] 말이라고 하였다. () 움직이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풍기가 움직여서 머리와 눈이 빙빙 도는 같은 것은 풍목(風木) 왕성해졌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폐금이 쇠약해서 간목을 억제하지 못한다. 간목은 심화를 생기게 한다. 간풍과 심화는 양에 속하는데 흔히 함께 작용한다. 그런데 양은 움직이는 것을 주관하므로 2가지는 움직이는 것이 서로 부딪치게 되어 어지럼증이 생겨서 머리와 눈이 빙빙 돌게 된다. () 본래 움직이는 것이다. 불길이 바람을 만나면 자연히 돌게 되는 것과 같이 사람도 배나 수레를 타거나 빙빙 돌면서 춤을 추게 되면 어지럼증이 생긴다. 이것은 멈춤이 없이 움직이면서 좌우로 빙빙 돌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경』에 “구부러진 것이나 곧은 것이나를 물론하고 흔들리는 것은 바람의 작용이고 어지럼증이 생기면서 토하는 것은 풍열(風熱) 심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현훈(眩暈) 현모(眩冒)라고도 하는데 현은 검다는 말이고 훈은 돈다는 말이므로 어둡다는 말로써 의미는 같은 것이다[입문].

어지럼증은 중풍(中風) 생기려는 초기이다. 그러므로 살찌고 살빛이 허연 사람에게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양을 곱으로 하여 넣고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넣은 다음 궁궁이(천궁) 형개를 조금 넣어 써서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여야 한다. 살빛이 검고 여윈 사람은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섞은데 속썩은풀(황금) 박하를 넣고 달여서 참대기름(竹瀝)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정전].

어지럼증은 상초가 실하고 하초가 허해서 생긴다고 한다. 대체로 허하다는 것은 기와 혈이 허하다는 것이고 실하다는 것은 담연(痰涎) 풍화(風火) 실하다는 것이다[의감].

어지럼증은 담화가 ()하면 생긴다. 그러므로 담이 없으면 어지럼증이 생기지 않는다. 비록 풍으로 생기는 것이 있다고 해도 이때에도 반드시 담이 있다[단심].

담이 상초에 있는데 하초에 있던 () 타올라 담을 움직이게 하였을 때에는 이진탕에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산치자, 황련,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넣어 쓴다[단심].

현훈(眩暈)에는 풍훈, 열훈, 담훈, 기훈, 허훈, 습훈이 있다.

風暈

傷風眩暈惡風自汗或素有頭風而發作宜川芎散芎

풍훈(風暈)

풍사를 받아서 생긴 어지럼증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난다. 본래 두풍증이 있던 사람이 풍훈이 생겼을 때에는 천궁산이나 궁궁산을 쓰는 것이 좋다.

川芎散

治風證眩暈山茱萸肉一兩山藥甘菊人參川芎茯神各五錢右爲末每二錢酒調下《本事》

천궁산(川芎散)

()으로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산수유 40g, (서여), 단국화(감국), 인삼, 궁궁이(천궁), 복신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먹는다[본사].

治頭風眩暈兼治肝虛而暈尤宜婦人川芎一錢當歸七分半羌活旋覆花蔓荊子細辛石膏藁本荊芥穗半夏麴熟地黃防風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三片煎服《本事》(與上養血祛風湯同而分數異)

궁궁산( )

두풍증(頭風證)으로 생긴 어지럼증과 () 허하여 생긴 어지럼증으로 치료하는데 부인에게 좋다.

궁궁이(천궁) 4g, 당귀 3g, 강호리(강활), 선복화, 순비기열매(만형자), 족두리풀(세신), 석고, 고본, 형개수, 반하국, 찐지황, 방풍,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본사]. (위에 있는 양혈거풍탕과 같으나 양이 다르다)

熱暈

火熱上攻煩渴引飮或暑月熱盛宜大黃散荊黃湯

열훈(熱暈)

화열(火熱) 위로 치밀어 올라 번갈(煩渴) 나고 물을 켜며 어지러운 것과 여름철에 열이 심해서 어지럼증이 나는 데는 대황산이나 형황탕이 좋다.

大黃散

治眩暈不可當此火炎上也大黃酒浸炒三次爲細末茶淸調下一錢至二錢《丹心》

대황산(大黃散)

() 떠올라 견딜 없이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대황을 술에 담갔다가 볶기[] 세번 하여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8g 찻물에 먹는다[단심].

荊黃湯

治風熱眩暈大黃酒炒荊芥穗防風各二錢右水煎服以利爲度《丹心》

형황탕(荊黃湯)

풍열(風熱)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볶은 ), 형개수, 방풍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 때까지 써야 한다[단심].

痰暈

痰盛嘔吐頭重不擧○眩而悸是飮宜半夏茯(卽茯半夏湯方見痰飮)澤瀉湯○痰暈宜白附子丸天麻半夏湯人參前胡湯淸暈化痰湯

담훈(痰暈)

담이 ()하면 토하며 머리가 무거워 들지 못한다.

어지럼증이 있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은 담음증(痰飮證)이다. 이런 데는 반하복령탕(半夏茯 , 복령반하탕인데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이나 택사탕이 좋다.

담훈에는 백부자환, 천마반하탕, 인삼전호탕, 청훈화담탕이 좋다.

澤瀉湯

治心下有支飮其人苦眩冒澤瀉二兩半白朮一兩半右水二升煎取一升分二服《仲景》

택사탕(澤瀉湯)

명치 밑에 지음(支飮)㈜이 있어서 괴로우며 어지럽고 정신이 아찔한 것을 치료한다.

택사 100g, 흰삽주(백출) 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되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중경].

[] 지음(支飮) : 담음의 가지 담음이 횡격막 위나 위완부(胃脘部) 머물러 있어 숨이 차서 기대어 숨을 쉬고 반듯이 눕지 못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하는 주요 증상이 있다.

白附子丸

治風痰眩暈或頭痛白附子天南星半夏薑製旋覆花甘菊天麻川芎橘紅白蠶炒乾薑各一兩全蝎炒五錢右爲末生薑半斤取汁打糊和丸梧子大荊芥湯下五十丸《丹心》

백부자환(白附子丸)

풍담(風痰)으로 어지럽거나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노랑돌쩌귀(白附子, 싸서 구운 ), 천남성(싸서 구운 ),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 선복화, 단국화(감국), 천마, 궁궁이(천궁), 귤홍, 백강잠(닦은 ), 건강 각각 40g, 전갈(닦은 )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 300g으로 즙과 풀을 섞은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형개를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天麻半夏湯

治風痰眩暈欲吐天麻半夏製各一錢橘皮柴胡各七分黃芩酒炒白茯前胡甘草灸各五分黃連三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綱目》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풍담(風痰)으로 어지럽고 토할 같은 것을 치료한다.

천마, 끼무릇(반하, 법제한 ) 각각 4g, 귤껍질(陳皮), 시호 각각 2.8g,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흰솔풍령(백복령), 전호, 감초(닦은 ) 각각 2g, 황련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人參前胡湯

治風痰頭暈目眩半夏麴一錢紫蘇葉枳殼赤茯南星前胡橘紅甘草灸各八分木香人參各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丹心》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풍담(風痰)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앞이 아찔한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4g, 차조기잎(자소엽),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천남성(싸서 구운 ), 전호, 귤홍, 감초(닦은 ) 각각 3.2g, 목향, 인삼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淸暈化痰湯

治風火痰眩暈陳皮半夏製白茯各一錢枳實白朮各七分川芎黃芩白芷羌活人參南星防風各五分細辛黃連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或爲末薑汁打糊和丸服之亦佳《醫鑑》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풍담(風痰) 화담(火痰)으로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실, 흰삽주(백출) 각각 2.8g, 궁궁이(천궁), 속썩은풀(황금),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인삼, 천남성(싸서 구운 ), 방풍 각각 2g, 족두리풀(세신), 황련,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생강즙과 밀가루풀을 섞은 넣고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의감].

氣暈

七情過傷氣鬱生涎痰涎迷塞心竅而眩暈眉稜骨痛眼不可開宜玉液湯補虛飮

기훈(氣暈)

칠정(七情) 몹시 상하여 기가 몰려서 담연(痰涎) 생기고 담연이 심규(心竅) 막았기 때문에 생긴 어지럼증이다. 미릉골(眉稜骨) 아파서 눈을 없는 데는 옥액탕이나 보허음을 쓴다.

玉液湯

治氣鬱生涎眩暈悸眉稜骨痛半夏薑製四錢薑十片同水煎入沈香磨水一服《入門》

옥액탕(玉液湯)

기가 몰려서 담연이 생겼기 때문에 어지럼증이 생기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며 미릉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 16g, 생강 10.

위의 약들을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침향을 물에 갈아서 넣고 단번에 먹는다[입문].

補虛飮

治氣鬱涎盛面熱悸及風虛眩暈人參麥門冬山藥各一錢白茯茯神各八分半夏製黃各七分前胡熟地黃各五分枳殼遠志薑製甘草灸各三分右入薑五片米一撮水煎溫服《入門》

보허음(補虛飮)

기가 몰려 담이 성해서 얼굴이 달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과 풍허(風虛)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인삼, 맥문동, (서여) 각각 4g,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각각 3.2g, 끼무릇(반하, 법제한 ), 황기 각각 2.8g, 전호, 찐지황 각각 2g, 지각, 원지(생강즙에 법제한 ), 감초(닦은 )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5, 차좁쌀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먹는다[입문].

虛暈

內傷氣虛而暈宜補中益氣湯(方見內傷)失血過多而暈宜芎歸湯(方見婦人)○虛暈宜香橘飮滋陰健脾湯○老人每早起眩暈須臾自定此是陽虛宜黑錫丹(方見入門)腎虛氣不歸元宜十全大補湯(方見虛勞)

허훈(虛暈)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해져 어지럼증이 생긴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좋고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어지럼증이 생긴 데는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부인문에 있다) 좋다.

허해서 생긴 어저럼증에는 향귤음, 자음건비탕이 좋다.

늙은이가 아침에 일어날 때는 어지럼증이 있다가 조금 지나면 진정되는 것은 () 허하기 때문인데 이런 데는 흑석단(黑錫丹, 처방은 입문에 있다) 좋다. () 허해서 기가 제자리로 돌지 못하여 어지럼이 생긴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좋다.

香橘飮

治氣虛眩暈半夏製二錢陳皮白茯白朮各一錢木香丁香縮砂硏甘草灸各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丹心》

향귤음(香橘飮)

() 허하여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 8g,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4g, 목향, 정향, 사인(보드랍게 ), 감초(닦은 )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滋陰健脾湯

治臨事不寧眩暈雜此心脾虛怯也此治氣血虛損有痰飮作眩暈之仙劑白朮一錢半陳皮鹽水洗去白半夏製白茯各一錢當歸白芍藥生乾地黃各七分人參白茯神麥門冬遠志製各五分川芎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일에 맞닥치면 불안하고 어지럼증이 나며 조잡증( 雜證) 있는 것은 심비(心脾) 허약하기 때문이다. 약은 기혈(氣血) 허손된 탓으로 담음(痰飮) 생겨서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

흰삽주(백출) 6g, 귤껍질(귤피, 소금물에 씻어서 속을 버린 ), 끼무릇(반하, 법제한 ) 각각 2g,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濕暈

冒雨傷濕鼻塞聲重而暈宜芎朮湯

습훈(濕暈)

비를 맞고 습기에 상하여 코가 메고 목소리가 무겁고 탁하면서 어지러운 데는 궁출탕이 좋다.

芎朮湯

治冒雨中濕頭重鼻塞眩暈川芎白朮半夏薑製各二錢甘草灸五分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入門》

궁출탕(芎朮湯)

비를 맞고 습에 상해서 머리가 무겁고 코가 메며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 각각 8g, 감초(닦은 )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頭目不淸利

此由風濕熱痰涎鬱于精明之府故頭目不爲淸爽宜川芎丸防風散川芎散沃雪湯淸神養榮湯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頭目不淸利]

(), (), (), 담연(痰涎) 정명지부(精明之府)㈜에 몰리면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하다. 이런 데는 천궁환, 방풍산, 천궁산, 옥설탕, 청신양영탕이 좋다.

[] 정명지부(精明之府) : 정신작용을 하는 뇌수가 들어 있는 곳을 말한다.

川芎丸

淸頭目止旋暈消風化痰桔梗五兩川芎薄荷各三兩二錢半細辛防風甘草各一兩二錢半右爲末蜜和每一兩半作五丸每一丸茶淸嚼下《丹心》

천궁환(川芎丸)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고 어지럼증을 멎게 하며 () 없애고 () 삭힌다.

도라지(길경) 200g, 궁궁이(천궁), 박하 각각 130g, 족두리풀(세신), 방풍, 감초 각각 5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60g으로 알약 5알씩 만들어 1알씩 씹어서 찻물로 넘긴다[단심].

防風散

治頭目不淸去風明目防風川芎白芷甘菊甘草各一兩右爲末每二錢茶淸調下《丹心》

방풍산(防風散)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는데 () 없애고 눈을 밝아지게 한다.

방풍,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단국화(감국),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찻물에 먹는다[단심].

淸神養榮湯

淸頭目聰耳竅助精神麥門冬當歸各一錢二分川芎一錢白芷七分薄荷甘菊羌活梔子各五分甘草四分升麻二分右作一貼薑三茶一撮煎服《集略》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고 귀를 밝게 하며 정신을 돕는다.

맥문동, 당귀 각각 4.8g, 궁궁이(천궁) 4g, 구릿대(백지) 2.8g, 박하, 단국화(감국), 강호리(강활), 산치자 각각 2g, 감초 1.6g, 승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한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집략].

沃雪湯

治頭目昏眩精神不爽咽乾鼻塞薄荷葉三兩甘草一兩四錢荊芥穗白鹽各一兩二錢天花粉二錢七分縮砂一錢右末每一錢湯點服《類聚》

옥설탕(沃雪湯)

머리가 어지럽고 앞이 아찔하며 정신이 맑지 못하고 목이 마르며 코가 메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120g, 감초 56g, 형개수, 소금 각각 48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10.8g, 사인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유취].

川芎散

治頭目不淸利酒炒黃連酒炒片芩各一兩生乾地黃甘草灸各七錢半羌活防風藁本升麻生甘草各五錢柴胡三錢半川芎二錢半右爲末每二錢食後茶淸調下《正傳》

천궁산(川芎散)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황련(술에 축여 볶은 ),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각각 40g, 생건지황, 감초(닦은 ) 각각 30g, 강호리(강활), 방풍, 고본, 승마, 생감초 각각 20g, 시호 14g, 궁궁이(천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끼니 뒤에 찻물에 먹는다[정전].

正頭痛

凡手之三陽從手走頭足之三陽從頭走足是手與足六陽之脈俱上于頭面也《靈樞》○三陽有頭痛三陰無頭痛惟厥陰脈與督脈會於故有頭痛少陰亦有頭痛但稀少耳《活人》○頭痛多主於痰痛甚者火多也有可吐者亦有可下者諸經氣滯亦作頭痛《丹心》○頭痛連眼痛此風痰上攻須用白芷開之《丹心》○頭痛通治宜川芎茶調散一字輕金散如聖餠子七生丸○頭痛須用川芎如不愈各加引經藥太陽羌活陽明白芷少陽柴胡太陰蒼朮少陰細辛厥陰吳茱萸《丹心》○頭痛有正頭痛偏頭痛風寒頭痛濕熱頭痛厥逆頭痛痰厥頭痛熱厥頭痛濕厥頭痛氣厥頭痛眞頭痛醉後頭痛○婦人頭痛宜養血祛風湯(方見上)四神散○又腦風證首風證別見于下○炭氣熏人亦作頭痛(治法見蘿條下)○足太陽之脈上額交直入絡腦別下項其病衝頭痛目似脫項似拔卽正頭痛也《靈樞》

정두통(正頭痛)

수삼양경[手之三陽] 손에서 시작하여 머리로 갔고 족삼양경[足之三陽] 머리에서 시작하여 발로 내려갔다. 손발에 있는 육양경맥[六陽之脈] 모두 머리와 얼굴로 올라갔다[영추].

삼양경병 때에는 머리가 아프나 삼음경병 때에는 머리가 아프지 않다. 그러나 궐음경맥은 독맥(督脈) 정수리에서 사귀기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머리가 아프다. 소음경에 병이 생겨도 머리가 아플 있는데 이럴 경우는 극히 드물다[활인].

머리가 아픈 것은 흔히 () 관련되는데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은 () 성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토하게 것도 있고 설사시킬 것도 있다. 여러 경맥의 기가 막혀도 머리가 아프다[단심].

머리가 아프면서 눈까지 아픈 것은 풍담이 위로 치밀어 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데는 반드시 구릿대(백지) 써야 한다[단심].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두루 쓰는 약으로는 천궁다조산, 일자경금산, 여성병자, 칠성환이 있다.

머리가 아픈 데는 반드시 궁궁이(천궁) 써야 한다.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그에 맞는 인경약을 넣어 쓰는 것이 좋다. 태양두통에는 강호리(강활), 양명두통에는 구릿대(백지), 소양두통에는 시호, 태음두통에는 삽주(창출), 소음두통에는 족두리풀(세신), 궐음두통에는 오수유를 넣어 써야 한다[단심].

두통에는 편두통, 풍한두통, 습열두통, 궐역두통, 열궐두통, 습궐두통, 기궐두통, 진두통, 술에 취한 뒤의 두통 등이 있다.

부인이 머리가 아픈 데는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사신산이 좋다.

뇌풍증(腦風證) 수풍증(首風證) 대한 것은 아래에 따로 있다.

숯냄새를 맡아도 머리가 아프다(치료하는 방법은 무조[蘿蔔條] 참고해야 된다).

족태양경맥은 이마로 올라갔다가 정수리에서 사귀어 가지고 곧추 뇌로 들어가서 얽힌 다음 다시 갈라져서 목덜미로 내려간다.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머리가 치받치는 것같이 아프고 눈이 쏟아지는 같으며 목이 빠지는 같은데 이것을 정두통(正頭痛)이라고 한다[영추].

川芎茶調散

治偏正頭痛及頭風鼻塞聲重薄荷二兩川芎荊芥穗各一兩羌活白芷甘草各五錢防風細辛各二錢半右爲末每二錢茶淸調下食後或取七錢作一貼入茶少許煎服亦佳○偏頭痛取細末以涎調貼兩太陽穴特效《得效》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편두통, 정두통과 두풍증으로 코가 메고 목소리가 무겁고 탁한 것을 치료한다.

박하 80g, 궁궁이(천궁), 형개수 각각 40g,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20g, 방풍, 족두리풀(세신)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끼니 뒤에 찻물에 타서 먹거나 썰어서 28g 1첩으로 하여 조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

편두통 때에는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파즙( ) 개서 양쪽 태양혈(太陽穴) 붙이면 특별한 효과가 있다[득효].

一字輕金散

治偏正頭風痛夾腦風眉稜骨痛牽引兩眼抽疼痛出或生膜視物不明川芎白芷藿香荊芥旋覆花石膏防風各五錢南星川烏生各二錢半草烏一錢半右望宭爲末每一字茶淸調下神效《得效》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편두통(偏頭痛), 정두통, 두풍증 뇌풍을 겸해서 눈썹 부위가 당기고 아프며 눈이 켕기고 아프면서 눈알이 빠져 나오는 같은 것과 눈에 막이 생겨서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곽향, 형개, 선복화, 석고, 방풍 각각 20g, 천남성, 오두(생것) 각각 10g, 바꽃(초오)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한번에 1g 찻물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득효].

如聖餠子

治風寒伏留陽經氣厥痰厥一切頭痛南星乾薑川芎川烏甘草各一兩防風半夏製天麻細辛各五錢右爲末薑汁糊和丸實大捏作餠子每五餠細嚼茶淸溫酒任下《丹心》

여성병자(如聖 )

풍한사(風寒邪) 양경맥에 잠복해 있어서 생긴 기궐(氣厥), 담궐(痰厥) 등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 건강, 궁궁이(천궁), 오두, 감초 각각 40g, 방풍, 끼무릇(반하, 법제한 ), 천마, 족두리풀(세신)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눌러 떡처럼 만든다. 한번에 5개씩 씹어 찻물이나 데운 술로 넘긴다[단심].

七生丸

治男女八般頭風及一切頭痛痰厥腎厥傷寒傷風頭痛幷治川芎川烏草烏南星半夏二味冷水洗去滑白芷石膏俱生用各等分加細辛全蝎各減半右細末硏取菜自然汁和丸梧子大嚼生茶淸送下七丸或九丸《回春》

칠생환(七生丸)

남자나 여자의 8가지 두풍증과 일체 머리가 아픈 , 담궐, 신궐(腎厥), 상한(傷寒), 상풍(傷風) 등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오두, 바꽃(초오), 천남성, 끼무릇(반하, 천남성과 끼무릇은 찬물에 씻어서 진을 없앤 ), 구릿대(백지), 석고( 생것을 쓴다) 각각 같은 , 족두리풀(세신), 전갈 각각 위의 약의 절반 .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부추즙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9알씩 쓰는데 생파잎을 씹다가 찻물로 먹는다[회춘].

四神散

治婦人血風眩暈頭痛甘菊當歸旋覆花荊芥穗各等分右爲末每二錢白三寸茶末一錢煎水調下《良方》

사신산(四神散)

부인이 혈풍(血風)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당귀, 선복화, 형개수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쓰는데 파밑(총백) 3치와 찻가루 4g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양방].

偏頭痛

偏頭痛者頭半邊痛者是也《丹心》○如頭半寒痛者偏頭痛也《丹心》○偏頭痛在右屬痰屬熱痰用蒼朮半夏熱用酒製片芩在左屬風屬血虛風用荊芥薄荷血用芎歸芍藥酒黃栢《丹心》○偏頭痛在右二陳湯加川芎白芷防風荊芥薄荷升麻在左二陳湯合四物湯加防風荊芥薄荷細辛蔓荊子柴胡酒芩《正傳》○頭風之甚者久則目昏偏頭痛者屬少陽相火久則目束小大便秘澁皆宜出血而大下之《子和》○偏頭痛年久大便燥目赤眩暈者此肺乘肝氣鬱血壅而然宜大承氣湯(方見寒門)下之外用大黃芒硝爲末井底泥調貼兩太陽穴乃愈《入門》○偏頭痛宜川芎茶調散一字輕金散川芎散芎犀元鼻法《入門》○足少陽之脈起目銳上抵頭角其病頭角額痛此偏頭痛也《靈樞》

편두통(偏頭痛)

편두통이라는 것은 한쪽 머리가 아픈 것을 말한다[단심].

한쪽 머리가 차면서 아픈 [寒痛] 편두통이다[단심].

머리의 오른쪽이 아픈 것은 () 속한 것도 있고 () 속한 것도 있다. 담에 속하는 데는 삽주(창출), 끼무릇(반하) 쓰고 열에 속하는 데는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쓴다. 머리의 왼쪽이 아픈 것은 () 속한 것도 있고 혈허(血虛) 속한 것도 있다. 풍에 속하는 데는 형개, 박하를 쓰고 혈허에 속하는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백(술에 법제한 ) 쓴다[단심].

머리의 오른쪽이 아플 때에는 이진탕에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방풍, 형개, 박하, 승마를 넣어 쓰고 왼쪽이 아플 때에는 이진탕과 사물탕을 섞은 방풍, 형개, 박하, 족두리풀(세신), 순비기열매(만형자), 시호,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넣어 쓴다[정전].

두풍증이 오랫동안 심하면 앞이 어지럽다. 편두통은 소양상화(少陽相火) 속하는데 오래되면 눈귀[目束] 작아지고 대변이 굳어져서 나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모두 침으로 피를 빼내고 설사를 심하게 시키는 것이 좋다[자화].

한쪽 머리가 아픈 것이 여러 되도록 낫지 않고 대변이 몹시 굳으며 눈에 피지고 어지러운 것은 () () 억제하여 기가 몰리고 혈이 막혔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 써서 설사시켜야 한다. 다음 외용약으로 대황과 망초를 가루내어 우물 밑바닥 흙에 개어 쓰는데 양쪽 태양혈 부위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입문].

한쪽 머리가 아픈 데는 천궁다조산, 일자경금산, 천궁산, 궁서원을 쓰거나 코에 불어 넣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족소양경맥은 눈초리에서 시작하여 머리 양쪽으로 올라간다.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이마 모서리가 아프다. 이것을 편두통(偏頭痛)이라 한다[영추].

川芎散

治偏頭痛神效甘菊石膏川芎白蠶生各六錢右細末每三錢茶淸調下《綱目》

천궁산(川芎散)

편두통을 치료하면 낫는다.

단국화(감국), 석고, 궁궁이(천궁), 백강잠(생것) 각각 2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 찻물에 먹는다[강목].

芎犀元

治偏頭痛川芎石膏各一兩人參赤茯細辛甘草各五錢麥門冬七錢半阿膠珠四錢梔子仁龍腦犀角各二錢半朱砂五錢半爲衣右爲末煉蜜和丸實大朱砂爲衣每服一丸至二丸細嚼茶淸溫酒任下《得效》○偏頭一邊痛鼻塞不聞香臭服此藥數次出一鋌稠膿卽愈《得效》

궁서원(芎犀元)

편두통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석고 각각 4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0g, 맥문동 30g, 아교주 16g, 산치자, 용뇌, 서각 각각 10g, 주사 22g(알약 겉에 입힌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에 반죽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2알씩 씹어 찻물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한쪽 머리가 아프고 코가 메서 냄새를 맡지 못할 약을 먹으면 재채기가 나면서 걸쭉한 고름이 나오고 낫는다[득효].

風寒頭痛

風寒傷上邪從外入客於經絡令人振寒頭痛或風寒之邪伏留陽經爲偏正頭痛宜三五七散芎辛湯芎芷香蘇散(方見寒門)如聖餠子《東垣》

풍한두통(風寒頭痛)

풍한에 상초가 상하거나 밖으로부터 사기가 경락에 침범하여 떨리면서 머리가 아픈 데와 풍한의 사기가 경락(經絡) 잠복해 있어서 편두통, 정두통이 생긴 데는 삼오칠산, 궁신탕,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처방은 한문에 있다), 여성병자를 쓰는 것이 좋다[동원].

三五七散

治風寒入腦頭痛目眩防風二兩山茱萸乾薑赤茯各一兩半附子細辛各七錢半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或七錢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局方》

삼오칠산(三五七散)

풍한(風寒) 뇌에 들어가서 머리가 아프고 앞이 아찔한 것을 치료한다.

방풍 80g, 산수유, 건강(싸서 구운 ),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60g, 부자(싸서 구운 ), 족두리풀(세신)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먹거나 썰어서 한번에 28g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芎辛湯

治風寒濕在腦頭痛眩暈嘔吐川芎三錢細辛白朮各一錢半甘草一錢右作一貼入生薑五片茶芽少許水煎服《濟生》

궁신탕(芎辛湯)

풍사(風邪) 한사(寒邪) 습사(濕邪) 뇌에 들어가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12g, 족두리풀(세신), 흰삽주(백출) 각각 6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 작설차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濕熱頭痛

心煩頭痛者病在膈中乃濕熱頭痛也宜淸空膏小淸空膏又用吐法(方見下)

습열두통(濕熱頭痛)

가슴이 답답하면서 머리가 아픈 것은 가슴에 병이 생겼기 때문인데 이것은 습열두통(濕熱頭痛)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청공고, 소청공고가 좋다. 또는 토하게 하는 방법도 쓴다(처방은 아래에 있다).

淸空膏

治風濕熱偏正頭痛黃芩三兩內半生半酒炒甘草灸一兩半防風羌活黃連酒炒各一兩柴胡七錢川芎五錢右爲末每二錢茶淸調成膏臨臥抹口內少用白湯送下○此膏治諸般頭痛皆效惟血虛頭痛從魚尾相連痛者不治《東垣》

청공고(淸空膏)

풍사(風邪), 습사(濕邪), 열사(熱邪) 생긴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절반은 생것, 절반은 술에 축여 볶은 ) 120g, 감초(닦은 ) 60g, 방풍, 강호리(강활), 황련(술에 축여 볶은 ) 각각 40g, 시호 28g, 궁궁이(천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찻물에 고약처럼 되게 개서 잠잘 무렵에 안을 문지른 다음 끓인 조금으로 넘긴다.

약은 여러 가지 두통에 효과가 있지만 혈허(血虛) 생긴 두통으로 눈초리[魚尾]까지 아픈 데는 효과가 없다[동원].

小淸空膏

治同上片芩細切酒拌乾爲末茶淸調下二錢酒亦可《丹心》

소청공고(小淸空膏)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술에 버무린 다음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 찻물에 타서 먹거나 술에 먹어도 좋다[단심].

厥逆頭痛

當有所犯大寒內至骨髓髓者以腦爲主腦逆故令頭痛齒亦痛乃厥逆頭痛也宜羌活附子湯○厥者逆也邪氣逆上陽經而作痛甚則發厥頭痛齒亦痛宜白附子散○厥頭痛卽腎厥頂痛不可忍宜玉眞丸《本事》

궐역두통(厥逆頭痛)

몹시 기운이 골수(骨髓) 침범하면 골수는 뇌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뇌로 치밀어 오르게 된다. 그러면 머리와 이빨이 아픈데 이것을 궐역두통(厥逆頭痛)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강활부자탕을 쓰는 것이 좋다.

()이란 치밀어 오른다는 것인데 사기(邪氣) 양경(陽經) 치밀어 올라가면 아프다. 이것이 심하면 궐증이 생겨 머리가 아프고 이빨도 또한 아프다. 이런 데는 백부자산을 쓰는 것이 좋다. 궐두통이란 바로 신궐(腎厥) 정수리가 참을 없이 아픈 것을 말하는데 이런 데는 옥진환을 쓰는 것이 좋다[본사].

羌活附子湯

治大寒犯腦令人腦痛齒亦痛名曰腦風麻黃附子防風白芷白蠶炒各一錢黃栢羌活蒼朮各七分黃升麻甘草灸各五分右作一貼食後水煎服《東垣》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몹시 기운이 뇌에 침범하여 속골이 아프면서 이빨도 또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뇌풍(腦風)이라고도 한다.

마황, 부자, 방풍, 구릿대(백지), 백강잠(닦은 ) 각각 4g, 황백, 강호리(강활), 삽주(창출) 각각 2.8g, 황기, 승마, 감초(닦은 )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白附子散

治風寒入腦令腦逆頭痛齒亦痛或牽引兩眼遂至失明白附子一兩麻黃不去節川烏南星各五錢全蝎五箇乾薑朱砂麝香各二錢半右爲末溫酒調五分服服訖去枕臥少時《得效》○頭痛連齒時發時止連年不已此由風寒留於骨髓髓者以腦爲主腦逆故頭痛齒亦痛宜服白附子散灸曲穴《資生》

백부자산(白附子散)

풍한사(風寒邪) 뇌에 침범하여 뇌가 차졌기 때문에 머리와 이빨이 아프면서 눈알이 잡아당기는 같다가 눈이 멀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노랑돌쩌귀(백부자) 40g, 마황(마디를 버리지 않은 ), 오두, 천남성 각각 20g, 전갈 5, 건강, 주사, 사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 데운 술에 먹고 베개를 베지 말고 잠깐 누워 있는다[득효].

머리가 아프면서 이빨까지 아픈 것이 때때로 발작하기를 여러 계속되는 것은 골수에 풍한사가 있기 때문이다. 골수(骨髓) 뇌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뇌에 궐역이 생기면 머리와 이빨이 아프다. 이런 데는 백부자산을 쓰거나 곡빈혈( ) 뜸을 뜨는 것이 좋다[자생].

玉眞丸

內經曰頭痛疾下虛上實過在足少陰巨陽甚則入腎許學士曰腎厥頭痛也此藥主之硫黃二兩石膏半夏製硝石各一兩右爲末薑汁糊和丸梧子大陰乾每二三十丸薑湯或米飮下《綱目》○頭痛筋攣骨重少氣噫腹滿時驚不嗜臥咳嗽煩寃其脈擧之則弦按之石堅由腎氣不足而內着其氣逆而上行謂之腎厥宜服此藥更灸關元百壯《資生》

옥진환(玉眞丸)

『내경』에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 병이 생기는 것은 하초(下焦) 허하고 상초(上焦) 실하기 때문인데 원인은 족소음과 족태양에 있다.

심해지면 ()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허학사(許學士) 신궐두통(腎厥頭痛) 약으로 주로 치료한다고 하였다.

유황 80g, 석고(달군 ), 끼무릇(반하, 법제한 ), 초석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그늘에서 말린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미음으로 먹는다[강목].

머리가 아프면서 힘줄이 가드라들며 팔다리가 무겁고 기운이 없으며 딸꾹질과 트림이 나고 배가 불러 오르며 가끔 놀라고 눕기를 싫어하며 기침이 나고 답답하며 슬퍼하는데 맥은 약간 눌러 보면 ()하고 힘주어 눌러 보면 석견(石堅) 것은 신기(腎氣) 부족하여 속으로 기가 치밀어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것을 신궐(腎厥)이라고 하는데 약을 먹거나 관원혈(關元穴) 100장을 뜨는 것이 좋다[자생].

痰厥頭痛

頭痛每發時兩頰靑黃眩運目不欲開懶於言語身體沈重兀兀欲吐此厥陰太陰合病名曰痰厥頭痛宜服局方玉壺丸及半夏白朮天麻湯《東垣》○痰厥頭痛宜上淸白附子丸定風餠子芎辛導痰湯《得效》○濕痰發則痛密無間宜三生丸或二陳湯加南星蒼朮川芎細辛《入門》

담궐두통(痰厥頭痛)

머리가 아플 때마다 양쪽 뺨이 퍼러면서 누렇게 되고 어지러우며 눈을 뜨려고 하지 않고 말하기를 싫어하며 몸이 무겁고 메슥메슥해서 토하려고 하는 것은 궐음(厥陰) 태음(太陰) 같이 병이 생긴 것인데 이것을 담궐두통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국방옥호환, 반하백출천마탕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담궐두통에는 상청백부자환, 정풍병자, 궁신도담탕이 좋다[득효].

습담(濕痰) 발작하면 끊임없이 아프다. 이런 데는 삼생환이나 이진탕에 천남성,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玉壺丸

治痰厥頭痛眩暈白三兩半夏生南星生各一兩天麻白朮各五錢雄黃水飛三錢半右爲末薑汁和丸梧子大每三十丸水一盞先煎沸下藥煮至五七沸候藥浮出放溫別以生薑湯呑下食後《局方入門》

옥호환(玉壺丸)

담궐두통과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밀가루 120g, 끼무릇(반하, 생것), 천남성(생것) 각각 40g, 천마, 흰삽주(백출) 각각 20g, 석웅황(웅황, 수비한 ) 1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쓰는데 먼저 1잔을 끓이다가 여기에 약을 넣고 다섯번에서 일곱번 정도 끓어오르게 달이면 약이 위에 뜬다. 이때에 꺼내어 걸러서 다시 식힌다. 이것을 끼니 뒤에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입문].

半夏白朮天麻湯

治脾胃虛弱痰厥頭痛其證頭苦痛如裂身重如山四肢厥冷嘔吐眩暈目不敢開如在風雲中半夏製陳皮麥芽炒各一錢半白朮神麴炒各一錢蒼朮人參黃天麻白茯澤瀉各五分乾薑三分黃栢酒洗二分右作一貼薑五片水煎服《東垣》○頭痛苦甚謂之足太陰痰厥頭痛非半夏不能療眼黑頭旋風虛內作非天麻不能除黃甘溫瀉火補元氣實表虛止自汗人參甘溫瀉火補中益氣二朮俱苦甘溫除濕補中益氣澤瀉茯利小便導濕橘皮苦溫益氣調中神麴消食蕩胃中滯氣大麥蘖寬中助胃氣乾薑辛熱以滌中寒黃栢大苦寒酒洗以療冬天小火在泉發燥也《東垣》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비위(脾胃) 허약하여 담궐두통이 생겨 머리가 터지는 것같이 심히 아프고 온몸이 몹시 무거우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토하며 어지럽고 눈을 없으며 마치 바람이 불고 구름이 속에 있는 같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것),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닦은 ) 각각 6g,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닦은 ) 각각 4g, 삽주(창출), 인삼, 단너삼(황기), 천마,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2g, 건강 1.2g, 황백(술에 씻은 )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은 족태음(足太陰) 담궐(痰厥) 있어서 생긴 통증이다. 이런 것은 끼무릇(반하) 쓰지 않으면 치료할 없다. 그리고 앞이 캄캄해지며 머리가 어지러운 것은 풍허증(風虛證) 속에 생긴 것이므로 천마가 아니면 없앨 없다. 황기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한데 () ()하고 원기(元氣) ()하며 () () 것을 ()하게 하고 저절로 땀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화를 사하고 중기() 보하며 기운() 도와준다[]. 삽주(창출) 희삽주(백출) 모두 맛이 쓰면서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 없애고 중초(中焦) 보하며 기를 도와준다. 택사와 솔풍령(복령) 오줌을 나가게 하여 습을 없앤다. 귤껍질(陳皮)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하며 평한데 기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롭게[調] 한다. 약누룩(신국) 음식을 소화시켜 체한 것을 없애고 보리길금(麥蘖) 속을 시원하게[寬中] 하며 위기(胃氣) 돕는다. 건강은 맛이 맵고 성질이 덥기 때문에 속이 것을 없앤다[滌中寒]. 황백은 맛이 몹시 쓰고 성질이 찬데 이것을 술에 씻어서 쓰면 겨울에 소양상화(少陽相火) 재천(在泉) 되어 생긴 조증(燥證) 낫게 한다[동원.]

上淸白附子丸

治風痰盛頭痛目眩旋暈欲倒嘔惡心神思昏常服除風化痰淸利頭目白附子半夏製川芎甘菊南星蠶炒陳皮去白旋覆花天麻各一兩全蝎炒半兩右爲末薑汁浸蒸餠和丸梧子大薑湯下三十丸《得效》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풍담(風痰) 성하여 머리가 아프고 앞이 어지러워서 넘어질 같고 구역과 딸꾹질이 나며 메스껍고 정신이 흐리멍텅한 것을 치료한다. 약을 먹으면 풍이 없어지고 담이 삭으며 머리와 눈이 시원해진다.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 끼무릇(반하, 법제한 ), 궁궁이(천궁), 단국화(감국), 천남성(싸서 구운 ), 백강잠(닦은 ), 귤껍질(귤피, 속을 버린 ), 선복화, 천마 각각 40g, 전갈(닦은 )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담근 증병( )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定風餠子

治痰厥頭痛嘔吐眩暈川烏川芎南星半夏乾薑天麻白茯白附子甘草各等分生用右爲末薑汁糊和丸實大捏作餠子朱砂爲衣每一餠細嚼薑湯下《得效》

정풍병자(定風 )

담궐두통으로 토하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오두, 궁궁이(천궁), 천남성, 끼무릇(반하), 건강, 천마, 흰솔풍령(백복령), 노랑돌쩌귀, 감초 각각 같은 (모두 생것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풀에 반죽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눌러서 떡같이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개씩 씹어서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芎辛導痰湯

治痰厥頭痛半夏製二錢川芎細辛南星陳皮赤茯各一錢枳殼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七片水煎服《寄效》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 8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천남성(싸서 구운 ),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三生丸

治痰厥頭痛半夏白附子天南星各等分右爲末薑汁浸蒸餠和丸菉豆大食後薑湯下四五十丸《得效》

삼생환(三生丸)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담갔던 증병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40-50알씩 끼니 뒤에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氣厥頭痛

氣血虛而邪氣逆上爲頭痛○頭痛耳鳴九竅不利兩太陽穴痛甚乃氣虛頭痛也宜順氣和中湯黃益氣湯○血虛頭痛自魚尾上攻而爲痛宜當歸補血湯加味四物湯眉尖後近髮際曰魚尾○氣血俱虛頭痛宜加味調中益氣湯安神湯○大病後氣虛頭痛四柱散(方見大便)加茶一撮煎服○如氣上不下厥而爲痛宜芎烏散《入門》

기궐두통(氣厥頭痛)

기혈(氣血) 허해서 사기(邪氣) 치밀어 올라 생긴 두통을 말한다.

머리가 아프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9(九竅) 순조롭지 못하고 양쪽 태양혈(太陽穴) 부위가 몹시 아픈 것은 기가 허해서 생긴 두통이다. 이런 데는 순기화중탕, 황기익기탕이 좋다.

혈이 허해서 머리가 아플 때에는 어미(魚尾)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아프다. 이런 데는 당귀보혈탕, 가미사물탕이 좋다. 어미라는 것은 눈썹끝에서 뒤로 머리털이 지경까지를 말한다.

기혈이 허해서 머리가 아픈 데는 가미조중익기탕이나 안신탕이 좋다.

중병[大病] 앓고 다음에 기가 허해져서 머리가 아픈 데는 사주산(四柱散,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1 반을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

기가 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여 궐증이 생겨서 머리가 아픈 데는 궁오산이 좋다[입문].

 順氣和中湯

治氣虛頭痛宜升補陽氣黃蜜炒一錢半人參一錢白朮當歸芍藥陳皮各五分升麻柴胡各三分蔓荊子川芎細辛各二分右作一貼水煎服《綱目》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 허하여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할 때에는 양기(陽氣) 끌어 올리고 보하는 것이 좋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6g, 인삼 4g, 흰삽주(백출),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각각 2g, 승마, 시호 각각 1.2g, 순비기열매(만형자),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益氣湯

治氣虛頭痛黃蜜炒一錢人參白朮半夏製陳皮各七分當歸酒洗川芎藁本甘草各五分黃栢酒炒升麻細辛各五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황기익기탕( 益氣湯)

() 허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4g, 인삼,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법제한 ), 귤껍질(陳皮) 각각 2.8g, 당귀(술에 씻은 ), 궁궁이(천궁), 고본, 감초 각각 2g, 황백(술에 축여 볶은 ), 승마, 족두리풀(세신)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當歸補血湯

治血虛頭痛生乾地黃酒炒白芍藥川芎當歸片芩酒炒各二錢防風柴胡蔓荊子各五分荊芥藁本各四分右作一貼水煎服《醫鑑》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 허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각각 8g, 방풍, 시호,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2g, 형개, 고본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四物湯

治血虛陰火上衝頭痛當歸川芎生乾地黃酒炒黃栢酒炒知母酒炒黃芩酒炒黃連酒炒蔓荊子梔子炒各七分右作一貼水煎服《回春》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혈이 허하여 음화(陰火) 치밀어 올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 황백(술에 축여 볶은 ), 지모(술에 축여 볶은 ),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 황련(술에 축여 볶은 ), 순비기열매(만형자), 산치자(볶은 )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加味調中益氣湯

治氣血俱虛頭痛其效如神黃蜜炒一錢人參蒼朮甘草各七分陳皮當歸川芎各五分木香升麻柴胡細辛蔓荊子各三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기혈(氣血) 허해져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낫는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4g, 인삼, 삽주(창출), 감초 각각 2.8g, 귤껍질(陳皮),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2g, 목향, 승마, 시호, 족두리풀(세신),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安神湯

治氣血虛而有火頭痛頭旋眼黑黃一錢半羌活黃栢酒浸各一錢柴胡升麻生地黃知母幷酒浸各五分防風二分半生甘草灸甘草各二分右水煎數沸入川芎蔓荊子各三分再煎至半食後溫服《東垣》

안신탕(安神湯)

기혈이 허하고 () 있어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앞이 캄캄한 것을 치료한다.

황기 6g, 강호리(강활), 황백(술에 담갔다 ) 각각 4g, 시호 승마, 생지황, 지모( 술에 담갔다 ) 각각 2g, 방풍 1g, 감초(생것), 감초(닦은 )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궁궁이(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각각 1.2g 넣고 다시 절반이 되게 달여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동원].

芎烏散

川芎烏藥各等分右爲末每二錢以燒稱錘酒調服亦治産後頭痛《入門》

궁오산(芎烏散)

궁궁이(천궁), 오약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먹는데 뒤에 머리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입문].

熱厥頭痛

治頭痛煩熱雖冬天大寒猶喜風寒其痛暫止略來煖處或見烟火則其痛復作宜淸上瀉火湯防風散《東垣》

열궐두통(熱厥頭痛)

머리가 아프고 번열(煩熱) 나서 몹시 추운 겨울이라도 찬바람만 좋아하고 차게 하면 아픈 것이 잠깐 동안 멎었다가도 따뜻한 곳에 가거나 연기나 불만 보면 다시 아프다. 이런 데는 청상사화탕이나 방풍산이 좋다[동원].

淸上瀉火湯

治熱厥頭痛柴胡一錢羌活八分酒黃芩酒知母各七分酒黃栢灸甘草黃各五分生地黃酒黃連藁本各四分升麻防風各三分半蔓荊子當歸身蒼朮細辛各三分荊芥穗川芎生甘草各二分酒紅花一分右作一貼水煎服《東垣》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열궐두통(熱厥頭痛) 치료한다.

시호 4g, 강호리(강활) 3.2g,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지모(술에 법제한 ) 각각 2.8g, 황백(술에 법제한 ), 감초(닦은 ), 황기 각각 2g, 생지황, 황련(술에 법제한 ), 고본 각각 1.6g, 승마, 방풍 각각 1.4g, 순비기열매(만형자), 당귀, 삽주(창출),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형개수, 궁궁이(천궁), 감초(생것) 각각 0.8g, 잇꽃(홍화, 술에 법제한 )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防風散

治積熱上衝頭痛如火羌活防風當歸大黃川芎梔子薄荷各一錢蟬殼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燈心二十莖苦竹葉十片水煎服《得效》

방풍산(防風散)

적열(積熱)㈜이 치밀어 올라와서 머리가 몹시 뜨겁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당귀, 대황, 궁궁이(천궁), 산치자, 박하 각각 4g, 매미허물(선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20오리, 고죽엽 10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적열(積熱) : 열기가 속에 쌓여 있는 .

濕厥頭痛

冒雨傷濕頭重眩痛遇陰雨則甚宜芎辛湯(方見上)芎朮除眩湯《入門》

습궐두통(濕厥頭痛)

맞은 습사(濕邪) 상하여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면서 아프고 날이 흐리거나 비를 맞으면 심해진다. 이런 데는 궁신탕(芎辛湯,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궁출제현탕이 좋다[입문].

芎朮除眩湯

治感寒濕眩暈頭極痛川芎二錢白朮附子生各一錢桂皮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薑七片棗二枚水煎服《入門》

궁출제현탕(芎朮除眩湯)

한습(寒濕) 받아서 어지럽고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8g, 흰삽주(백출), 부자(생것) 각각 4g, 계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眞頭痛

詳見下不治類

진두통(眞頭痛)

아래의 치료할 없는 병증에 자세하게 있다.

醉後頭痛

詳見內傷門

취후두통(醉後頭痛)

내상문에 자세하게 있다.

頭痛當分六經

凡頭痛皆以風藥治之者高之上惟風可到故總其大體而言之也然亦有三陽三陰之異焉○太陽頭痛惡風寒脈浮緊宜羌活獨活麻黃川芎之類○少陽頭痛往來寒熱脈弦而細宜柴胡黃芩之類○陽明頭痛自汗發熱脈緩長實宜乾葛升麻石膏白芷之類○太陰頭痛必有痰身重脈沈緩宜蒼朮半夏南星之類○少陰頭痛三陰三陽經不流行足寒氣逆爲寒厥其脈沈細宜麻黃附子細辛湯(方見寒門)○厥陰頭痛或吐痰沫厥冷其脈浮緩吳茱萸湯(方見寒門)○三陽合病爲頭痛宜三陽湯《東垣》○三陽熱鬱頭痛不敢見日光置氷於頂上宜汗吐下三法行乃愈《子和》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대체로 머리가 아픈 것은 모두 풍약(風藥)으로 치료할 있다고 것은 정수리에는 풍사만이 올라갈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3 3(三陽三陰) 차이가 있다는 것은 알아야 한다.

태양두통일 때에는 바람과 추운 것을 싫어하며 맥은 부긴(浮緊)하다. 이런 데는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마황, 궁궁이(천궁) 등이 좋다.

소양두통일 때에는 추웠다 더웠다 하고 맥은 현세(弦細)하다. 이런 데는 시호, 속썩은풀(황금) 등이 좋다.

양명두통일 때에는 저절로 땀이 나고 열이 나며 맥은 완장(緩長)하면서 실하다. 이런 데는 칡뿌리(갈근), 승마, 석고, 구릿대(백지) 등이 좋다.

태음두통일 때에는 반드시 () 있어서 몸이 무겁고 맥은 침완(沈緩)하다. 이때에는 삽주(창출), 끼무릇(반하), 천남성 등이 좋다. 소음두통일 때에는 3, 3양경맥이 통하지 못하여 발이 차고 기가 치밀어서 한궐(寒厥) 되고 맥은 침세(沈細)하다. 이런 때에는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 좋다.

궐음두통일 때에는 가래와 거품을 토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은 부완(浮緩)하다. 이런 때에는 오수유탕(吳茱萸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 좋다.

3양합병(三陽合病)으로 머리가 아픈 데는 삼양탕이 좋다[동원].

3양경(三陽經) 열이 몰려 머리가 아파서 햇빛을 보지 않으려고 하고 이마에 얼음으로 찜질하는 것을 좋아할 때에는 땀을 내고 토하게 하며 설사시키는 3가지 방법을 함께 써야 효과가 있다[자화].

三陽湯

治三陽合病爲頭痛羌活防風石膏白芷柴胡川芎各一錢荊芥升麻葛根芍藥細辛各五分右作一貼入連根白三莖水煎服《海藏》

삼양탕(三陽湯)

3양합병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석고, 구릿대(백지), 시호, 궁궁이(천궁) 각각 4g, 형개, 승마, 칡뿌리(갈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족두리풀(세신)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腦風證

風氣循風府(穴名)而上則爲腦風《內經》○其證項背怯寒腦戶(穴名)極冷神聖散太陽丹《河間》

뇌풍증(腦風證)

바람 기운[風氣] 풍부혈(風府穴) 해서 위로 올라가면 뇌풍(腦風) 된다[내경].

증상은 목덜미와 잔등이 오싹오싹하고 뇌호혈(腦戶穴) 부위가 몹시 차다. 이런 데는 신성산이나 태양단이 좋다[하간].

神聖散

治腦風麻黃細辛葛根半生半炒藿香葉各等分右爲末每取二錢荊芥薄荷酒調下《河間》

신성산(神聖散)

뇌풍(腦風) 치료한다.

마황, 족두리풀(세신), 칡뿌리(갈근, 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 곽향잎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형개 박하술에 타서 먹는다[하간].

太陽丹

腦寒之病皆因邪攻於上焦令人頭痛晝夜不寧此藥主之石膏二兩川芎川烏白芷甘草各一兩龍腦二錢右爲末煉蜜同糊和勻每一兩作十八丸黃丹爲衣每取二三丸食後以茶煎湯嚼下《得效》

태양단(太陽丹)

뇌한병[腦寒之病] 모두 사기가 상초(上焦) 침범해서 생기는데 이런 병일 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밤낮으로 편안치 않다. 이것을 치료한다.

석고 80g, 궁궁이(천궁), 오두(싸서 구운 ),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40g, 용뇌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과 밀가루풀을 섞은 넣고 반죽해서 40g으로 18알씩 만든 다음 겉에 황단을 입힌다. 한번에 2-3알씩 또는 차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首風證

新沐中風則爲首風其證頭面多汗惡風當先風一日則病甚頭痛不可出內至其風日則病少愈《內經》○大川芎丸主之《河間》○沐浴後眩暈頭痛宜白芷丸《入門》

수풍증(首風證)

목욕한 다음에 바람을 맞으면 수풍증(首風證) 된다. 증상은 머리와 얼굴에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싫어한다. 바람이 불기 전날이면 머리가 몹시 아파서 밖에 나설 수가 없고 정작 바람부는 날에는 병이 조금 나아진다[내경].

대천궁환으로 치료한다[하간].

목욕한 다음에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데는 백지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大川芎丸

治首風川芎四兩天麻一兩右爲末蜜和一兩作十丸每一丸細嚼茶酒送下《河間》

대천궁환(大川芎丸)

수풍증(首風證)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160g, 천마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 찻물이나 술로 먹는다[하간].

白芷丸

治沐浴後眩暈頭痛或頭風眩痛服之令人目明凡暴寒乍煖神思不淸頭目昏暈宜服之新白芷不拘多少以蘿汁浸乾爲末蜜丸彈子大每一丸細嚼以茶淸或荊芥湯下《本事》○一名都梁元

백지환(白芷丸)

목욕한 다음에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두풍증(頭風證)으로 어지럽고 아픈데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 또한 갑자기 추워지거나 더워져서 정신이 흐려지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앞이 아찔한 데도 쓰면 좋다.

새로 구릿대(백지) 적당한 양을 썰어서 무즙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다음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찻물이나 형개를 달인 물로 먹는다[본사].

일명 도량원(都梁元)이라고도 한다.

眉稜骨痛

眉心幷眉梁骨痛者痰也二陳湯(方見痰飮)煎水呑下靑州白元子(方見風門)《得效》○眉稜骨痛連目不可開晝靜夜劇或因濕痰眉骨痛身重者宜芎辛導痰湯(方見上)加川烏白朮《入門》○眉稜骨痛宜選奇湯上淸散○眉痛屬風熱與痰白芷酒片芩等分爲末茶淸調下二錢溫酒亦可《丹心》○眉輪骨痛痰火也眉痛亦痰火之徵也《回春》○因風寒眉骨痛川烏草烏各一錢童尿俱浸二宿炒用細辛羌活酒片芩甘草灸各半錢同爲末分二貼茶淸調下食後《正傳》

미릉골통(眉稜骨痛)

양미간[眉心]이나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증이므로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달인 물에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처방은 풍문에 있다) 먹는다[득효].

미릉골(眉稜骨) 아파서 눈을 없고 낮에는 진정되었다가 밤이면 심해지는 것과 습담(濕痰)으로 둘레의 뼈가 아프며 몸이 무거운 데는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처방은 위에 있다) 오두, 흰삽주(백출)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미릉골통(眉稜骨痛)에는 선기탕과 상청산이 좋다.

둘레의 뼈가 아픈 것은 풍열(風熱) () 속하는데 구릿대(백지),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 찻물로 먹거나 데운 술로 먹으면 좋다[단심].

미릉골이 아픈 것은 담화(痰火) 때문이고 둘레뼈가 아픈 것도 담화의 증상이다[회춘].

풍한(風汗)으로 미릉골이 아픈 데는 오두, 바꽃(초오) 각각 4g(동변에 2 동안 담갔다가 볶은 ) 족두리풀(세신),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감초(닦은 ) 각각 2g 함께 가루를 내어 두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찻물에 먹는다[정전].

選奇湯

治眉稜骨痛不可忍羌活防風半夏製各二錢酒片芩一錢半甘草一錢右作一貼入姜三片水煎服《回春》

선기탕(選奇湯)

미릉골이 참을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끼무릇(반하, 법제한 ) 각각 8g,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6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上淸散

治風頭痛眉骨眼俱痛不可忍川芎鬱金芍藥荊芥薄荷芒硝各二錢半乳香沒藥各五分龍腦二分半右爲末每取一字鼻內之《丹心》

상청산(上淸散)

()으로 머리가 아프고 미릉골[眉骨] 둘레뼈[ ] 모두 참을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울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형개, 박하, 망초 각각 10g, 유향, 몰약 각각 2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 콧구멍에 밀어 넣는다[단심].

頭痛不治難治證

眞頭痛者頭痛甚腦盡痛手足寒至節死不治《靈樞》○眞頭痛者其痛上穿風府陷入泥丸宮不可以藥愈朝發夕死夕發朝死盖頭中人之根根氣先絶也《得效》○頭連腦痛甚手足俱寒者不治《得效》○頭痛入泥丸手足冷爪甲靑者謂之眞頭痛其連齒痛甚者屬少陰厥證俱不治《入門》○診頭痛目痛久視無所見者死《綱目》○頭目痛卒視無所見者亦死《醫鑑》○泄瀉多而眩暈時時自冒者難治《回春》○凡眩暈言亂汗多下利時時自冒者虛極難治《入門》

두통 치료할 없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頭痛不治難治證]

진두통(眞頭痛)이란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인데 속이 아프면서 손발의 뼈마디까지 것은 치료할 없다[영추].

진두통이란 아픔이 풍부혈(風府穴) 뚫고 올라가서 이환궁(泥丸宮)까지 들어간 것인데 약으로는 치료할 없다. 아침에 생겼으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생겼으면 아침에 죽는다. 왜냐하면 머리 속은 사람의 근본인데 근본이 먼저 상하였기 때문이다[득효].

머리가 속까지 몹시 아프고 손발이 모두 것은 치료할 없다[득효].

머리 속의 이환궁까지 아프거나 손발이 차고 손발톱이 푸른 것은 진두통인데 이빨까지 몹시 아픈 것은 소음궐증(小陰厥證) 속한다. 이런 것은 치료할 없다[입문].

머리와 눈이 몹시 아파서 오랫동안 보지 못하는 것은 죽는다[강목].

머리와 눈이 아프면서 갑자기 보지 못하는 것도 죽는다[의감].

설사가 심하고 어지럼증이 있으면서 때때로 앞이 아찔해지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회춘].

대개 어지럼증일 앞뒤가 없이 말하고 땀이 많이 나며 설사하고 때때로 앞이 아찔해지는 것은 몹시 허해진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風頭旋

風頭旋者別無疾痛不自覺知常常頭自搖者是也○肝風盛則搖頭《綱目》○治法同頭風○有一子患七年搖頭三年下血百方無效予思之乃肝血液盛外有風熱乘之肝屬木木盛而脾土爲木所剋脾與肺是子母俱爲肝所勝而血遂漬於大便故便血不止遂處一方但損肝祛風而益脾只數服而愈後十餘日血止而下白膿遂得以安○防風三兩瓜蔞根黃蜜炒羌活白芍藥各五錢犀角屑甘草各二錢半蛇灸赤鉤藤釣子麻黃各一錢右爲末棗肉和丸梧子大食後薄荷湯下五七十丸只二服頭搖卽止便血隨愈《綱目》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風頭旋]

()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은 별로 아프지도 않고 자기도 알지 못하게 머리가 저절로 흔들리는 것이다.

간풍(肝風) 심하면 머리가 흔들린다[강목].

치료하는 방법은 두풍증 때와 같다.

어떤 어린이가 7 동안이나 머리를 흔들고 3 동안이나 하혈(下血) 계속하여 여러 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나는 간에 혈액이 성하고 밖으로부터 풍열이 침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 () 속하는데 목이 지나치게 성하면 비토(脾土) 간목의 억제를 받게 된다. 그런데 () () 모자관계이므로 이것들이 간의 억제를 받게 되어 대변으로 피가 계속 나오는 것이라고 인정하였다. 그리하여 간을 억제하고 풍을 몰아내며 비를 보하는 첩을 먹였는데 10일이 지나서 대변으로 피가 나오던 것은 멎고 흰고름이 나오다가 병이 나았다.

방풍 120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강호리(강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0g, 서각(가루낸 ), 감초 각각 10g. 뱀허물(사태, 빨갛게 구운 ), 조구등씨(釣藤鉤子), 마황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대추살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데 두번만 먹으면 머리가 흔들리는 것과 대변으로 피가 나오는 것이 낫는다[강목].

腦縫開裂

人大熱發頭熱者令腦縫裂開取黑三五百枚碎附之《本草》

숫구멍이 벌어지는 [腦縫開裂]

() 심하여 머리가 더워지면 숫구멍이 벌어진다.

頭生白屑

頭生白屑肺之證也肺主皮毛故因風熱而頭皮燥痒生白屑消風散主之(方見上)《綱目》○頭風生白屑極燥痒藜蘆爲末先洗頭候欲乾時取末之令入髮至皮方得緊縛兩日夜卽不燥痒如不效再用之先以藜蘆煎湯沐頭然後藥尤妙《入門》○又方白芷零陵香爲末頭候三五日去白屑附二三次效《綱目》○頭風白屑凡松曝乾燒灰淋汁熱洗頭六七度差《本草》○熊腦髓作油摩頭可去白屑《本草》

머리에 비듬이 생기는 [頭生白屑]

머리에 비듬이 생기는 것은 () 관련된 증상이다. 폐는 피모(皮毛) 주관하기 때문에 폐가 풍열(風熱) 받으면 머리의 피부가 마르거나 가려우면서 비듬이 생긴다. 이러 데는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위에 있다) 쓴다[강목].

두풍증(頭風證)으로 비듬이 생기면서 피부가 몹시 마르고 가려운 데는 박새뿌리(여로) 가루를 내어 쓰는데 먼저 머리를 씻고 물기없이 말린 다음 머리칼을 헤치고 가루를 피부에 배도록 문질러 바르고 2 동안 싸매 두면 마르거나 가렵지 않다. 효과가 없으면 한번 쓴다. 먼저 박새뿌리(여로) 달인 물로 머리를 감고 가루를 뿌리면 효과가 있다[입문].

가지 처방은 구릿대(백지), 영릉향으로 되어 있는데 가루를 내어 머리에 뿌렸다가 3-5 지나서 빗으로 두세번 비듬을 빗어 내리면 효과가 있다[강목].

두풍증으로 비듬이 생긴 데는 바위손(권백) 볕에 말려 태워서 잿물을 받아 쓰는데 따뜻하게 하여 예닐곱번 머리를 감으면 낫는다[본초].

곰의 골수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문지르면 비듬이 없어진다[본초].

⼗㵏鼻法

治風涎偏正頭痛撥末三錢以猪膽汁拌再入膽內候乾入川芎白芷藁本靑黛玄胡索各二錢爲末水和爲丸如實大令病人臥用一丸水化灌入鼻中覺藥味至喉少酸令病人坐之口咬銅錢一箇當涎出盈盆卽愈名一粒金《入門》《正傳》○偏正頭痛硝石末少許吹入鼻中立愈左痛吹右右痛吹左立愈雷公云腦痛欲亡鼻投硝末者是也《本草》○偏頭痛絶妙撥爲末令患者口中含溫水如左邊疼左鼻吸一字右邊疼右鼻吸一字又粥淸調半錢服《本草》○卒頭痛角末吹少許入鼻中令則止《本草》偏頭痛取生蘿汁一殼仰臥注鼻中左痛注左右痛注右左右痛俱注之神效數十年患皆一二注而愈《本草》鼻又用不臥散上淸散(方見上)六聖散

코에 약을 넣는 방법[ 吹鼻法]

풍담[風涎]으로 생긴 편두통(偏頭痛), 정두통(正頭痛) 치료하는 데는 필발(가루낸 ) 12g 저담즙에 개어 다시 저담(猪膽) 속에 넣어 말린 다음 거기에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고본, 청대, 현호색 각각 8g 넣고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쓴다. 1알을 물에 풀어서 환자를 눕히고 콧구멍에 떨구어 넣어 주면 약맛이 목구멍에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시큰해진다. 이때 환자를 앉게 하고 입에 동전 1닢을 물려 준다. 그러면 침이 나오는데 타구에 차도록 나오면 효과가 난다. 이것을 일립금(一粒金)이라고도 한다[입문과 정전].

편두통, 정두통일 때에는 초석가루를 조금 콧구멍에 불어넣으면 효과가 나는데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 구멍에 불어넣고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불어넣는다. 그러면 효과가 있다. 뇌공(雷公) 속이 아파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콧구멍에 초석가루를 넣으라고 것이 이것을 두고 말이다[본초].

편두통에 신기한 효과가 있는 것은 필발을 가루를 내어 더운물을 입에 머금은 다음 왼쪽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1g 넣고 오른쪽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1g 넣는 것이다. 또한 멀건 죽물에 2g 타서 먹기도 한다[본초].

갑자기 머리가 아플 때에는 주염열매가루( 角末) 콧구멍에 조금 불어넣은 다음 재채기가 나면 효과가 있다[본초].

편두통일 때에는 생무즙을 가막조개껍질로 1 정도 되게 콧속에 부어 넣는데 왼쪽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오른쪽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양쪽이 아프면 양쪽에 넣는다. 그러면 낫는다. 수십년 것도 한두번만 넣으면 효과가 있다[본초].

코에 넣는 약은 불와산, 상청산(上淸散, 처방은 위에 있다), 육성산을 쓴다.

不臥散

治頭痛不可忍玄胡索七枚靑黛二錢猪牙角二兩右爲末用水調成小餠子如杏仁大令病人仰臥以水化開以竹管送入男左女右鼻中覺藥味至喉少酸令病人坐口咬銅錢一箇涎出盈盆卽愈《丹心》○子和方一名靑黛散角用二片

불와산(不臥散)

참을 없이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현호색 7, 청대 8g, 주염열매(저아조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하여 살구씨(행인)만한 작은 떡을 만든다. 한번에 1개씩 물에 풀어서 참대대롱으로 콧구멍에 불어넣어 주는데 환자를 반듯이 눕히고 남자는 왼쪽 코에, 여자는 오른쪽 코에 넣어 준다. 다음 약이 목구멍에까지 들어가 조금 시큰해할 환자를 앉히고 입에 동전 1닢을 물린다. 그러면 침을 흘리는데 침이 타구에 그득 차게 나오면 효과가 있다[단심].

『자화(子和)』의 처방에는 이것을 일명 청대산(靑黛散)이라고 하는데 주염열매(조각) 2쪽만 쓴다고 하였다.

六聖散

諸頭痛治之藥也治頭風牙痛赤眼腦瀉耳鳴偏正頭風頭疼鼻塞聲重乳香沒藥川芎雄黃白芷各二錢芒硝五錢右爲末令病人仰臥口含凉水取藥少許入鼻內卽效《回春》

육성산(六聖散)

여러 가지 두통을 모두 치료하는 약이다. 두풍증(頭風證)으로 이빨이 아프고 눈에 피가 지며 콧물이 많이 나오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것과 편두통, 정두통, 두풍증으로 머리가 아픈 , 코가 메고 목소리가 무겁고 탁한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궁궁이(천궁), 석웅황(웅황), 구릿대(백지) 각각 8g, 망초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환자를 반듯이 눕히고 입에 찬물을 머금게 다음 조금씩 콧구멍에 넣어 주면 낫는다[회춘].

吐法

風頭痛若不吐涎久則目而不治瓜(方見吐門)吐之三吐而差《保命》○頭風後有眼疾眼有半明可救者防風散吐之(方未詳)《保命》○頭風眩暈可用獨聖散(卽瓜)吐之吐訖可用淸上降火之劑防風通聖散(方見風門)加半夏南星《子和》○痰涎頭痛難當胸膈煩悶欲吐瓜散吐之《入門》○濕家頭痛鼻塞聲重令病人先水一口將瓜散末一字鼻內出黃水爲度《入門》○卒頭痛如破非冷非風是胸膈有痰厥氣上衝所致名爲厥頭痛吐之卽差單煮茗飮一二升須臾吐吐畢又飮如此數過須吐痰汁盡乃止不損人待渴卽差《本草》

토하게 하는 방법[吐法]/머리

()으로 생긴 두통일 때에 담을 토하게 하지 않으면 오랜 뒤에 눈이 멀게 되는데 치료하지 못한다. 이런 데는 과체산( , 처방은 구토문에 있다)으로 토하게 해야 하는데 세번만 토하게 하면 낫는다[보명].

두풍증이 생긴 뒤에 눈병이 생겨 눈이 절반 정도 것은 치료할 있다. 이런 데는 방풍산(防風散, 처방의 출처는 자세하지 않다)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보명].

두풍증으로 어지럼증이 생긴 데는 독성산(과체산)으로 토하게 해야 한다. 토한 다음에는 상초(上焦) 시원하게 하고 () 내리게 하는 약을 써야 하는데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끼무릇(반하) 천남성을 넣어 쓴다[자화].

담연(痰涎)으로 머리가 참을 없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토할 같은 데는 과체산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입문].

() 많은 사람이 머리가 아프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무겁고 탁하면 먼저 1모금을 머금게 다음 과체산가루 1g 콧구멍에 넣어 주는데 누런 물이 나올 때까지 해야 한다[입문].

갑자기 머리가 쪼개지는 것같이 아픈 것은 냉증도 아니고 풍증도 아니다. 이것은 가슴에 있는 담궐(痰厥) 기운이 위로 치밀어 오르기 때문인데 이것을 궐두통(厥頭痛)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토하게 하면 낫는다. 차싹 1가지만 달여서 1-2 정도 마시면 조금 있다가 토하게 된다. 토한 다음에 마시기를 여러 하면 담이 나오는데 나온 다음에는 그만두어야 한다. 약이 사람에게는 별로 해가 없으며 다음 목이 마르면 차도가 있다[본초].

下法

三陽熱鬱頭痛不敢見日光置水頂上宜汗吐下《子和》○頭風之甚者久則目昏偏頭痛久則目束小大便秘澁皆宜大承氣湯(方見寒門)下之《子和》○動作頭重痛熱氣潮者屬胃宜調胃承氣湯(方見寒門)下之卽愈《綱目》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3양경(三陽經) 열이 몰려서 머리가 아프고 햇빛을 보지 못하며 이마에 얼음을 올려놓고 싶어할 때에는 땀을 내게 하거나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자화].

두풍증을 심하게 오랫동안 앓으면 앞이 아찔해지고 한쪽 골이 아프다. 그리고 오래되면 눈두덩이 작아지고 대변이 몹시 굳어진다. 이런 때에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자화].

() 크게 뛰면서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매일 때맞추어 열감이 있는 것은 () 속하는 병이다. 이런 때에는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써서 설사시키면 낫는다[강목].

單方

凡二十六種

단방(單方)/머리

모두 26가지이다.

硝石

治偏正頭痛取硝末少許吹入鼻中左痛吹右右痛吹左卽愈(焰硝同)《本草》

초석(硝石)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한다. 가루내서 적은 양을 콧구멍에 불어넣는데 머리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머리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불어넣으면 낫는다. 염초도 같다[본초].

石膏

治熱厥頭痛陽明頭痛爲主藥白虎湯(方見寒門)是也《本草》○治陽明頭痛大效石膏川芎白芷等分爲末每三錢茶淸調下名石膏散《綱目》

석고(石膏)

열궐두통(熱厥頭痛) 양명두통(陽明頭痛) 주로 쓰는 약은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다[본초].

양명두통을 치료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석고,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같은 양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 찻물에 타서 먹는다. 이것을 일명 석고산(石膏散)이라고 한다[강목].

甘菊

治風眩頭痛取花爲末酒調服一錢日再或多取釀酒或浸酒服之(酒法見雜方)○又取嫩莖葉作羹作菜食亦良白菊尤佳《本草》

감국(甘菊, 단국화)

풍증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꽃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하루 두번 술에 먹는다. 많은 양의 꽃으로 술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먹기도 한다(술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

또는 연한 줄기나 잎으로 국을 끓여서 먹거나 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흰국화가 좋다[본초].

羌活

治賊風頭痛眩暈乃太陽頭痛主藥也又主風毒頭連齒痛煎服之《本草》

강활(羌活, 강호리)

적풍(賊風)으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는데 태양두통(太陽頭痛) 쓰는 주약(主藥)이다. 또한 풍독(風毒)으로 머리와 이빨이 아픈 데는 썰어서 달여 먹는다[본초].

細辛

主風頭痛腦動治頭面風不可闕也《本草》○治足少陰腎經苦頭痛煎服末服皆佳《綱目》

세신(細辛, 족두리풀)

풍으로 머리가 아프고 뇌가 흔들리는 것같은 것을 치료하는 데와 두면풍(頭面風)㈜을 치료하는 없어서는 약이다[본초].

족소음신경통으로 머리가 몹시 아플 때에는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강목].

[] 두면풍(頭面風) : 머리와 얼굴에 땀이 많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고 머리가 아픈 것을 말하는데 일명 수풍(首風)이라고도 한다.

主風邪入腦頭痛治頭面風不可闕也《本草》○治偏正頭痛常服除根川芎二兩香附子四兩爲末每二錢茶淸調下名點頭散《得效》○治熱厥頭痛川芎石膏等分水煎服名川芎石膏湯《綱目》○川芎治厥陰經頭痛在腦《綱目》○偏頭痛細酒浸服之或煎服或末服佳《本草》

궁궁( , 궁궁이)

뇌에 풍사(風邪) 들어가서 생긴 두통을 주로 치료하는 약이다. 두면풍(頭面風) 치료하는 없어서는 약이다[본초].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하는데 먹으면 완전히 낫는다. 궁궁이(천궁) 80g,향부자 160g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찻물에 먹는다. 이것을 일명 점두산(點頭散)이라고 한다[득효].

열궐두통을 치료하는 데는 궁궁이(천궁) 석고를 쓰는데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이것을 일명 천궁석고탕(川芎石膏湯)이라고 한다[강목].

궁궁이(천궁) 궐음두통으로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강목].

편두통(偏頭痛)에는 잘게 썰어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防風

主大風頭眩痛又主頭面去來風煎服末服皆佳《本草》○治上部風邪之仙藥也《湯液》

방풍(防風)

대풍(大風)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또한 머리와 얼굴에 풍이 왔다갔다하는 것도 낫게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상초에 풍사(風邪) 있는 것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탕액].

決明子

治頭風明目作枕枕之勝菉豆《本草》○偏頭痛作末水調貼太陽穴甚妙《本草》

결명자(決明子, 결명씨)

두풍증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베개를 만들어 베고 자면 녹두보다 낫다[본초].

편두통일 때에는 가루를 내서 물에 개어 태양혈(太陽穴) 부위에 붙이면 아주 좋다[본초].

蒼耳

主風頭寒痛○婦人血風攻腦忽暈倒取嫩心陰乾爲末酒服二錢名喝起散《本草》○此藥多達腦盖善通頂門末服煎服皆佳《本草》

창이(蒼耳, 도꼬마리)

()으로 머리가 차고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부인이 혈풍이 뇌로 들어가서 갑자기 어지러워 넘어졌을 때에는 연한 속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 술에 먹는다. 일명 갈기산(喝起散)이라고도 한다[본초].

약의 기운은 흔히 뇌로 가는데 정수리로도 간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葛根

主傷寒中風頭痛煎服之《本草》○陽明經頭痛藥也《湯液》

갈근(葛根, 칡뿌리)

상한(傷寒) 중풍(中風)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달여 먹는다[본초].

양명경두통을 치료하는 약이다[탕액].

當歸

治血虛頭痛細酒煎服之《本草》

당귀(當歸)

() 허해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잘게 썰어서 술에 달여 먹는다[본초].

麻黃

主風寒頭痛去節煎服《本草》

마황(麻黃)

풍한(風寒)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디를 버리고 달여 먹는다[본초].

白芷

主熱風頭痛又主風眩作丸服名都粱丸《本草》○治陽明頭痛在額煎服末服亦佳《湯液》

백지(白芷, 구릿대)

열이나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증으로 어지러운 것도 낫게 하는데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일명 도량환(都梁丸)이라고도 한다[본사].

양명두통(陽明頭痛)으로 이마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탕액].

藁本

主風頭痛去頭風《本草》○治頂痛腦齒痛引諸藥至頂上煎服末服佳《丹心》

고본(藁本)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두풍을 없앤다[본초].

약은 정수리와 이마가 아프고 속골과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며 여러 가지 기운을 머리로 끌어 올린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단심].

半夏

主頭眩《本草》○足太陰痰厥頭痛非此不除煎服之《東垣》

반하(半夏, 끼무릇)

어지럼증[頭眩] 치료한다[본초].

족태음의 담궐(痰厥) 생긴 두통은 약이 아니면 치료할 없다. 달여 먹는다[동원].

蔓荊子

主風頭痛腦鳴煎服之《本草》○太陽經頭痛之藥散風邪除頭昏目暗《丹心》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으로 머리가 아프고 속골에서 소리가 나는 같은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는다[본초].

태양경두통(太陽經頭痛) 쓰는 약인데 풍사(風邪) 없애고 머리가 흐릿하며 앞이 캄캄한 것을 치료한다[단심].

山茱萸

主頭風腦骨痛又治肝虛眩暈乃肝藏藥也煎服之《本草》

산수유(山茱萸)

두풍증(頭風證) 머리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이 허하여 나는 어지럼증도 치료하는데 간병에 쓰는 약이다. 달여 먹는다[본초].

⼒爣

除頭風頭痛作末吹鼻中又可爲沐藥《本草》

조협( , 주염열매)

두풍증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콧구멍에 불어넣는데 목욕시키는 약으로도 쓴다[본초].

臘茶也能淸利頭目煎湯常飮之茗葉同功《本草》

()

작설차는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시원하게 한다. 달여서 먹는다. 차싹과 잎도 효과가 같다[본초].

荊芥

主頭旋目眩又治頭風爲要藥煎服末服皆佳《本草》○治頭風荊芥穗石膏等分爲末每二錢以薑煎水調下名荊芥散《綱目》

형개(荊芥)

머리가 핑핑 돌고 앞이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는데 두풍증에 중요하게 쓰는 약이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두풍(頭風) 치료하는데 형개수(荊芥穗) 석고(달군 )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 생강이나 파를 달인 물에 먹는다. 일명 형개산(荊芥散)이라고도 한다[강목].

⼒瘳

連鬚者治傷寒頭痛煎服出汗卽效太陽經藥也《本草》

총백( , 파밑)

뿌리가 달린 채로 쓴다. 상한(傷寒)으로 머리가 아픈 데는 달여 먹고 땀을 내면 효과가 있다. 태양경의 약이다[본초].

菉豆

治頭風頭痛作枕枕之佳《本草》

녹두(菉豆)

두풍증과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베개를 만들어 베고 자면 좋다[본초].

蘿蔔

治偏頭痛取汁鼻中(詳見鼻條)○炭烟熏人致頭痛生蘿取汁飮之無則蘿子硏爛取汁服亦佳《得效》

나복(蘿蔔, )

편두통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어 콧구멍에 넣는다(코에 약을 넣는 방법에 자세하게 있다).

숯냄새를 맡아서 머리가 아픈 데는 생무즙을 내어 먹는데 무가 없으면 무씨를 갈아서 즙을 내어 먹어도 좋다[득효].

薄荷

治頭風又治風熱頭痛爲淸上要切之藥煎服末服佳《本草》

박하(薄荷)

두풍증을 치료한다. 또한 풍열(風熱) 머리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 상초를 시원하게 하는데 좋은 약이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黃牛腦髓

治偏正頭痛取髓一箇入白芷川芎末各三錢同入磁器內加酒煮熟乘熱服之盡量一醉醒後其疾如失《入門》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

편두통(偏頭痛), 정두통(正頭痛) 치료한다. 1마리분을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가루 각각 12g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술을 붓고 달여서 따뜻할 마음껏 먹고 취했다가 깨어나면 병이 낫는다[입문].

⼒眴

主頭風眩顚倒燒灰酒調服《本草》

치두( , 소리개 대가리)

두풍증으로 어지러워서 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를 내서 술에 먹는다[본초].

鍼灸法

眩暈取神庭上星會前頂後頂腦空風池陽谷大都至陰金門申足三里《綱目》○眩暈寒春夏常着綿帽暫去卽發取百會上星風池豊隆《綱目》○偏正頭痛取絲竹空風池合谷中脘解谿足三里《綱目》○正頭痛取百會上星神庭太陽合谷《綱目》○腎厥頭痛灸關元百壯《資生》○厥逆頭痛齒亦痛灸曲七壯《資生》○痰厥頭痛取豊隆《綱目》○頭風頭痛鍼百會立愈又灸會前頂上星百會《丹心》○腦痛腦旋腦瀉腦熱腦冷皆灸會《資生》○眉稜骨痛取竹合谷神庭頭維解谿《綱目》○醉後頭痛取印堂竹足三里風門中《綱目》○一老婦久患頭痛因視其手足有血絡皆紫黑遂用針刺出血如墨汁後刺受病之經得全愈《綱目》○偏頭痛及正頭痛取阿是穴針之卽愈

침뜸치료[鍼灸法]/머리

어지럼증에는 신정(神庭), 상성(上星), 신회( ), 전정(前頂), 후정(後頂), 뇌공(腦空), 풍지(風池), 양곡(陽谷), 대도(大都), 지음(至陰), 금문(金門), 신맥(申脈), 족삼리(足三里) 혈을 쓴다[강목].

어지럼증이 있으면서 추위를 타기 때문에 봄이나 여름에도 항상 솜모자를 쓰고 있으며 모자를 잠깐만 벗어도 도지는 데는 백회(百會), 상성, 풍지, 풍륭(豊隆) 혈을 쓴다[강목].

편두통, 정두통에는 사죽공(絲竹空), 풍지, 합곡(合谷), 중완(中脘), 해계(解谿), 족삼리 혈을 쓴다[강목].

신궐두통에는 관원혈에 1백장을 뜬다[자생].

궐역두통과 이빨이 아픈 데는 곡빈( )혈에 7장을 뜬다[자생].

담궐두통에는 풍륭혈을 쓴다[강목].

두풍증과 두통은 백회혈에 침을 놓으면 낫는다. 또한 신회, 전정, 상성, 백회혈에 뜸을 떠도 된다[단심].

속골이 아프고 머리가 빙빙 도는 같고 콧물이 많이 흐르며 속골이 다는 같기도 하고 같기도 데는 신회혈에 뜸을 뜬다[자생].

미릉골(眉稜骨) 아픈 데는 찬죽( ), 합곡, 신정, 두유(頭維), 해계 혈을 쓴다[강목].

술취한 다음 머리가 아픈 데는 인당(印堂), 찬죽, 족삼리, 풍문, 단중( ) 혈을 쓴다[강목].

늙은 부인이 오랫동안 머리가 아파서 고생하기에 그의 손발을 살펴보았더니 핏줄이 모두 검붉기 때문에 침으로 빼내었는데 핏빛이 먹물같았다. 다음 병이 생긴 경맥을 찾아서 침을 놓았는데 나았다[강목].

편두통과 정두통은 아시혈(阿是穴) 잡아 침을 놓으면 낫는다.

출처 : 명리오행한방(한국오행학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http://cafe.daum.net/skachstj  

문의 010 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