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생리학자료

[스크랩] [외형편]힘줄 筋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9. 27. 14:22

◆筋

筋屬肝

內經曰肝主筋○又曰肝主身之筋膜《得效》○肝在體爲筋筋者肝之合也○又曰肝病驚駭筋攣《得效》

힘줄은 간에 속한다[筋屬肝]

『내경』에는 “간은 힘줄을 주관한다”고 씌어 있다.

또한 간은 몸의 힘줄과 () 주관한다[득효].

간은 몸의 힘줄을 생기게 하므로 힘줄은 간과 배합된다.

또한 간이 병들면 놀라면서 힘줄이 경련을 일으킨다.

宗筋

內經曰主束骨而利機關也註曰宗筋爲陰毛中橫骨上下之竪筋也上絡胸腹下貫尻又經於背腹上頭項故云宗筋也

종근(宗筋)

『내경』에는 “종근은 뼈를 단속해서 뼈마디를 놀리게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종근은 음모가 곳에 가로질러 있는 뼈의 위아래에 있는 힘줄을 말한다. 이것이 위로는 가슴과 배에 연락되어 있고 아래로는 엉덩이를 꿰뚫었다. 이것이 다시 잔등과 배를 거쳐 머리와 목덜미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종근(宗筋)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十二經皆有筋

12경맥에는 경근이 있다[十二經皆有筋]

足太陽之筋

起於足小指上結於斜上結于膝其別者結于中結于臀上挾脊上項其支者入結舌本其直者結于枕骨上頭下顔結于鼻其支者爲目上綱下結于○其病小指支腫痛攣脊反折項筋急肩不擧治在燔鍼劫刺以知爲數以痛爲愈《靈樞》

족태양(足太陽) 경근[足太陽之筋]

경근은 새끼발가락에서 시작하여 바깥 복사뼈로 올라가 얽힌 다음 비스듬히 올라가 무릎에서 얽혀 있다. 한가닥은 바깥 복사뼈에서 장딴지를 거쳐 오금으로 올라가 얽힌다. 다음 엉덩이에서 얽히고 등뼈를 끼고 목덜미에까지 올라간다. 여기서 한가닥은 속으로 들어가 혀뿌리에서 얽혀 있다. 곧바로 올라간 가지는 침골(枕骨)에서 얽힌 다음 정수리에 올라갔다가 얼굴로 내려와 코에 와서 얽힌다. 한가닥은 눈두덩의 위쪽으로 내려와 얽혔다가 광대뼈에서 얽힌다.

경근이 병들면 새끼발가락과 바깥쪽 발뒤축이 부어 아프며 오금이 저리고 등뼈가 젖혀지며 목덜미의 힘줄이 땅기고 어깨를 들지 못한다. 치료는 화침[燔鍼]으로 반응이 있을 때까지 세게 찌르면 아픈 것이 낫는다[영추].

足少陽之筋

起于小指次指上結外結于膝其支者上走前者結于伏兎後者結于尻其直者上走腋繫于膺乳其直者上出腋貫缺盆上額角交上下走結于○其病小指次指轉筋膝不可屈伸筋急上引缺盆鍼法同上《靈樞》

족소양(足少陽) 경근[足少陽之筋]

경근은 넷째발가락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 바깥 복사뼈에서 얽혔으며 무릎으로 올라가 얽힌 다음 2가닥으로 갈라져 넓적다리로 올라간다. 앞으로 가닥은 복토(伏兎)에서 얽혔고 뒤로 가닥은 엉덩이로 올라가 얽혔으며 곧바로 겨드랑이로 올라갔다가 젖가슴에서 얽혀 있다. 곧바로 가닥은 겨드랑이에서 나와 결분(缺盆) 거쳐 이마 모서리로 올라가 정수리에서 교차되어 볼로 내려와 광대뼈에서 얽혔다.

족소양의 경근이 병들면 넷째발가락이 뒤틀리며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고 오금의 힘줄이 땅기며 위의 결분(缺盆) 부위가 켕긴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足陽明之筋

起于中二指結于上加輔骨上結于膝上樞上脇屬脊其直者循伏兎上結于聚于陰器上腹而布至缺盆上頸挾口合于下結于鼻上合于太陽太陽爲目上綱陽明爲目下綱○其病足中指轉筋疝腹筋急引缺盆口目不合鍼法同上《靈樞》

족양명(足陽明) 경근[足陽明之筋]

경근은 가운뎃발가락의 둘째마디에서 시작하여 발등에서 얽혔다가 비골[輔骨] 위를 거쳐 무릎에 와서 얽힌다. 다음 고관절을 거쳐 옆구리로 올라가 등뼈에 속한다. 곧바른 가닥은 복토(伏兎) 지나 넓적다리에서 얽혔으며 음부에 모였다가 배로 올라가 결분(缺盆) 가서 퍼지고 목으로 올라가 입을 끼고 광대뼈 아래에서 합친 다음 코에서 얽혔으며 태양경근과 합하는데 태양경근은 위쪽 눈두덩에서 얽히고 양명경근은 아래쪽 눈두덩에서 얽힌다.

경근에 병들면 가운뎃발가락이 뒤틀리며 넓적다리가 붓고 퇴산( ) 되며 배의 힘줄이 땅기고 결분까지 켕기며 입이 비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는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足太陰之筋

起于大指之端上結于內其直者絡于膝循陰股結于聚于陰器上腹結于臍循腹裏散於胸中着於脊○其病足大指轉筋膝引而痛陰器紐痛引臍脊痛鍼法同上《靈樞》

족태음(足太陰) 경근[足太陰之筋]

엄지발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올라가 안쪽 복사뼈에서 얽히고 곧은 가닥은 무릎에서 얽힌 다음 위로 올라가 넓적다리를 지나 허벅다리에 얽히고 음부에 모였다가 배로 올라와 얽혔다. 배꼽에서 뱃속을 돌아 올라와 가슴 속에서 퍼지고 등뼈에 붙었다.

경근에 병들면 엄지발가락이 뒤틀리며 무릎에서 넓적다리까지 켕기면서 아프고 음부가 조이면서 아프고 배꼽 둘레가 당기면서 등뼈가 아프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足少陰之筋

起于小指之下斜走內之下結于踵上于內輔之下循陰股結于陰器循脊內上至項結于枕骨與足太陽之筋合○其病足下轉筋所過而結者皆痛在外者不能在內者不能仰鍼法同上《靈樞》

족소음(足少陰) 경근[足少陰之筋]

새끼발가락 밑에서 시작하여 비스듬히 안쪽 복사뼈 아래로 올라가 발뒤축에서 얽혔다. 안쪽 보골[] 아래로 올라가 허벅다리를 거쳐 음부에 가서 얽혔고 등뼈 안쪽으로 해서 목덜미로 올라가 침골(枕骨)㈜에서 얽혔으며 족태양 경근과 합쳤다.

[]침골(枕骨) : 목덜미 위에 도드라져 나온 뼈로 후두골의 일부분.

경근에 병들면 발바닥 힘줄이 뒤틀리며 경근이 지나가면서 얽힌 곳이 아프다. 병이 겉에 있으면 몸을 구부리지 못하고 속에 있으면 몸을 젖히지 못한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足厥陰之筋

起于大指之上結于內上循脛上結內輔之下上循陰股結于陰器絡諸筋○其病足大指內所過而結者皆痛陰器不用傷於內則不起傷於寒則陰縮入傷于熱則縱挺不收鍼法同上《靈樞》

족궐음(足厥陰) 경근[足厥陰之筋]

엄지발가락 위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 안쪽 복사뼈에서 얽힌 다음 경골을 따라 올라가 안쪽 보골 아래에서 얽혔다가 허벅다리로 올라가 음부에서 얽히고 다른 여러 경근과 연결된다.

경근에 병들면 엄지발가락과 안쪽 복사뼈로 올라가면서 얽힌 곳이 아프고 성기를 쓰지 못하게 된다. 성생활이 지나쳐서 상하였으면 성기가 없어지고 기운에 상하였으면 성기가 줄어들며 열에 상하였으면 늘어져서 제대로 성생활을 없게 된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太陽之筋

起于小指之上結于腕上循臂結于入結于腋下其支者上繞肩胛循頸結于耳後完骨其支者入耳中直者出耳上屬目外○其病手小指內腋下痛繞肩胛引頸而痛耳鳴目瞑鍼法同上《靈樞》

수태양(手太陽) 경근[手太陽之筋]

새끼손가락 위에서 시작하여 올라가 손목에서 얽힌 다음 팔뚝을 따라 올라가 팔굽에 와서 얽히고 겨드랑이 아래로 들어가 얽혔으며 가닥은 어깨박죽[肩胛]으로 올라가 둘러서 목을 거쳐 뒤의 완골(完骨) 가서 얽혔다. 가닥은 귓속으로 들어갔으며 곧은 가닥은 위로 나와 눈귀에 와서 끝났다.

경근이 병들면 새끼손가락과 팔굽 안쪽 겨드랑이 아래가 아프며 어깨박죽[肩胛] 주위와 목까지 켕기면서 아프고 이명(耳鳴) 있고 눈이 보이지 않는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少陽之筋

起于小指次指之端結于腕上循臂結于上肩走頸其支者入繫舌本其支者上曲牙循耳前屬目外○其病當所過者卽支轉筋舌卷鍼法同上《靈樞》

수소양(手少陽) 경근[手少陽之筋]

약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손목에 와서 얽혔고 팔뚝을 따라 올라와 팔꿈치에 와서 얽힌 다음 어깨로 올라가 목으로 뻗어가고 가닥은 속으로 들어가 혀뿌리에 가서 얽혔다. 가닥은 아래의 이를 아귀로 올라가 앞을 지나 눈귀에 가서 끝났다.

경근이 병들면 이것이 지나가는 곳의 힘줄이 뒤틀리며 혀가 말려 들어간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陽明之筋

起于大指次指之端結于腕循臂結于結于其支者繞肩胛挾脊其直者從肩上頸其支者上頰結于○其病當所過者支痛轉筋肩不擧頸不可顧鍼法同上《靈樞》

수양명(手陽明) 경근[手陽明之筋]

집게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손목에 와서 얽힌 다음 위로 올라와 어깨뼈에서 얽혔다. 가닥은 어깨박죽[肩胛] 둘러서 등뼈를 끼고 있으며 곧은 가닥은 어깨뼈에서 목으로 올라오고 가닥은 뺨으로 올라와 광대뼈에 와서 얽혔다.

경근이 병들면 그것이 지나간 곳이 아프고 힘줄이 뒤틀리며 어깨를 없고 목을 돌릴 없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太陰之筋

起于大指之上結于魚上循臂結中上入腋下出缺盆結上下結胸裏散貫賁下抵季脇○其病當所過者支轉筋甚成息賁鍼法同上《靈樞》

수태음(手太陰) 경근[手太陰之筋]

엄지손가락 위에서 시작하여 어제(魚際) 와서 얽힌 다음 팔뚝을 따라 올라와 팔굽 가운데서 얽히고 팔죽지로 올라가 겨드랑이 아래로 들어갔다가 결분(缺盆)으로 나와 어깨뼈 위에서 얽힌 다음 아래로 내려와 가슴 속에서 얽힌다. 흩어져서 가름막을 뚫고 내려가 위의 분문에 갔다가 다시 올라와 계륵부에 와서 끝났다.

경근이 병들면 그것이 지나가는 곳의 힘줄이 뒤틀리며 심하면 식분(息賁) 된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心主之筋

起于中指結于上臂陰結腋下挾脇其支者入腋散胸中結于臂○其病當所過者支轉筋胸痛息賁鍼法同上《靈樞》

수심주(手心主) 경근[手心主之筋]

가운뎃손가락에서 시작하여 팔꿈치 안쪽에서 얽혔다가 팔죽지 안쪽으로 올라가 겨드랑이 아래에서 얽힌 다음 갈비로 내려간다. 가닥은 겨드랑이 속으로 들어가 가슴 속에서 퍼지고 (가름막을 말한다고 본다-역자) 연결되었다.

경근이 병들면 그것이 지나가는 곳의 힘줄이 뒤틀리며 가슴이 아프고 식분이 생긴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영추].

手少陰之筋

起于小指之內結于銳骨上結入腋挾乳裏結于胸中下繫于臍○其病內急心承伏梁下爲綱其病當所過者支轉筋筋痛鍼法同上其成伏梁唾血膿者死不治《靈樞》

수소음(手少陰) 경근[手少陰之筋]

새끼손가락의 안쪽에서 시작하여 손목 뒤로 내민 뼈에서 얽혔다가 위로 올라가 팔꿈치에서 얽힌 다음 겨드랑이로 올라가 속을 지나 가슴 속에서 얽히고 아래로 내려와 배꼽에서 얽혔다.

경근이 병들면 속이 켕기고 () 복량(伏梁) 생긴다. 팔굽에서 얽힌 것에 병이 생기면 경근이 지나간 곳의 힘줄이 뒤틀리며 힘줄이 아프다. 침치료법은 족태양의 경근 때와 같다. 복량이 되어서 피고름을 뱉으면 치료할 없다[영추].

膝爲筋府

內經曰膝者筋之府屈伸不能行則俯筋將憊矣○諸筋者皆屬於節《靈樞》

무릎은 힘줄이 모이는 곳이다[膝爲筋府]

『내경』에는 “무릎은 힘줄이 모이는 곳이다.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면 구부러져서 힘줄이 쓰게 된다”고 씌어 있다.

모든 힘줄들은 뼈마디에 붙어 있다[영추].

筋急筋緩

內經曰濕熱不攘大筋短小筋弛長短爲拘弛長爲註曰大筋受熱則縮而短小筋得濕則引而長縮短故拘攣而不伸引長故弱而無力○靈樞曰筋之病寒則反折筋急熱則筋弛縱不收陰不用寒急用燔鍼熱弛無用燔針○不榮則筋急仲景云血虛則筋急此皆血不榮於筋而成變故丹溪治攣用四物湯(方見血門)加減本事方治筋急用養血地黃元盖本乎此也《綱目》○寒則筋急熱則筋縮急因於堅强縮因於短促若受濕則弛弛因於寬而長盖受寒使人筋急受熱使人筋攣若但熱而不曾受寒亦使人筋緩若受濕則又引長無力也《得效》○酒煮木瓜粥筋急痛處佳《綱目》○金絲膏主風濕筋寒諸病可外貼之(方見丹心)

힘줄이 땅기거나 늘어지는 [筋急筋緩]

『내경』에는 “습열(濕熱) 없어지지 않으면 힘줄은 졸아들어 짧아지고 작은 힘줄은 늘어져서 길어진다. 졸아들어 짧아지면 가드라들고 늘어져서 길어지면 힘이 없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큰 힘줄이 열을 받으면 가드라져서 짧아지고 작은 힘줄이 습기를 만나면 늘어져서 길어진다. 가드라져 짧아지기 때문에 땅기면서 펴지 못하고 늘어져서 길어지기 때문에 약해지면서 힘이 없게 된다”고 씌어 있다.

『영추』에는 “힘줄에 기운으로 병이 생기면 뒤로 젖혀지면서 힘줄이 땅기고 열로 생기면 힘줄이 늘어져서 쓰지 못하며 음위증( ) 생겨 쓰지 못한다. 기운으로 힘줄이 땅기는 데는 화침[燔鍼] 놓고 열로 늘어진 데는 화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맥이 영양하지 못하면 힘줄이 땅긴다. 중경은 혈이 허하면 힘줄이 땅긴다고 것도 혈맥이 힘줄을 영양하지 못하여 힘줄이 가드라든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계가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血門) 있다) 가감하여 썼고 『본사방(本事方)』에서 힘줄이 땅기는 것을 치료하는 양혈지황원을 것들은 원칙에 근거한 것이다[강목].

기운을 받으면 힘줄이 땅기고 열을 받으면 힘줄이 가드라든다. 땅기는 것은 굳세기 때문이고 가드라드는 것은 짧아져서이다. 만일 습기를 받으면 늘어지는데 늘어지는 것은 넓어지면서 길어지는 것이다. 대개 기운을 받으면 힘줄이 땅기게 되고 열을 받으면 힘줄에 경련이 일게 된다. 만일 열만 받고 전에 기운을 받은 일이 전혀 없었으면 역시 힘줄이 늘어진다. 만일 습기만 받으면 힘줄이 늘어져 힘이 없게 된다[득효].

술을 두고 모과죽으로 힘줄이 아픈 곳을 주면 좋다[강목].

금사고(金絲膏, 처방은 잡방(雜方) 있다) 풍습(風濕)으로 힘줄이 차가워진[] 여러 가지 병의 겉에 붙여 주면 좋다[단심].

酒煮木瓜粥

治脚膝筋急痛大木瓜酒水相和煮令爛硏作膏熱痛處冷卽易一宿三五度便差《本草》

술을 두고 모과죽[酒煮木瓜粥]

다리와 무릎의 힘줄이 땅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모과를 술과 물을 것에 넣고 달여 무른 다음 갈아 고약처럼 만든 것을 뜨겁게 하여 아픈 곳에 싼다.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 붙이는데 하룻밤에 세번에서 다섯번 하면 낫는다[본초].

內經曰肝氣熱則膽泄口苦筋膜乾筋膜乾則筋急而攣發爲筋思想無窮所願不得意淫於外入房太甚宗筋弛縱發爲筋及爲白淫故下經曰筋者生於肝使內也○肝氣熱爲筋則筋急而攣《本草》

근위( )

『내경』에는 “간기(肝氣) 열이 있으면 담즙이 나와서 입이 쓰고 힘줄막이 마르며 힘줄막이 마르면 힘줄이 땅기면서 가드라들어 근위가 된다. 생각은 끝없이 하면서 바라는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의욕이 겉으로 넘치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종근(宗筋) 늘어지면 근위나 백음(白淫) 된다. 그러므로 『하경(下經)』에서 “근위는 간과 성생활로 생긴다”고 하였다.

간기에 열이 있어서 근위가 되면 힘줄이 땅기면서 가드라든다[본초].

內經曰筋脈相引而急病名曰亦曰喡犍俗謂之是也《綱目》○筋攣皆屬肝《綱目》○熱氣燥於筋則攣而痛《河間》○諸熱惵喡皆屬于火熱勝風搏倂于經絡風火相乘是以惵喡生矣治宜祛風滌熱之劑折其火熱則立愈《河間》

힘줄에 경련이 이는 [ ]

『내경』에는 “힘줄과 맥이 서로 당기면서 가드라드는 병을 ( )라고 한다. 계종( )이라고 하는 것은 민간에서 경련이라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강목].

힘줄에 경련이 이는 것은 () 속한다[강목].

열기가 힘줄을 말리면 경련이 일면서 아프다[하간].

여러 가지 열로 정신을 잃고 경련이 일어나는 것들은 화에 속한다. 열이 성해서 () 생겨 경락에 부딪치고 풍과 () 서로 억눌러서 정신을 잃게 되고 경련이 일게 된다. 이런 데는 풍을 몰아내고 열을 내리는 약으로 화열(火熱) 없애 버리면 낫는다[하간].

(詳見寒門)

힘줄과 살이 푸들거리는 [ ]

(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 있다).

轉筋

轉筋屬血熱《丹心》○有筋轉于足大指轉上至大腿近腰結了此因奉養厚飮酒感風寒而作四物湯(方見血門)加酒芩紅花蒼朮南星《丹心》○亂後轉筋詳見

전근(轉筋, 쥐가 나는 )

쥐가 나는 것은 혈열(血熱) 속한다[단심].

엄지발가락에서부터 쥐가 나서 허벅다리를 거쳐 허리 가까이에까지 올라와 몰린 것은 술과 고기를 많이 먹고 찬바람에 감촉되어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血門) 있다)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 잇꽃(홍화), 삽주(창출), 천남성을 넣어 쓴다[단심].

곽란을 앓은 뒤에 쥐가 나는 것은 곽란문에 자세하게 있다.

筋傷證

內經曰久行傷筋○有傷於筋縱其若不容《內經》○形苦志樂病生於筋治之以引《內經》

힘줄이 상한 [筋傷證]

『내경』에는 “너무 오랫동안 걸으면 힘줄을 상한다”고 씌어 있다.

힘줄이 상하면 늘어져서 잡아당기지 못하게 된다[내경].

육체는 고통스럽고 마음만 즐거우면 힘줄에 병이 생긴다. 이런 데는 찜질과 도인법으로 치료한다[내경].

筋病外證

靈樞曰目色靑黃赤白黑者病在筋

힘줄병 겉에 나타나는 증후[筋病外證]

『영추』에는 “눈빛이 푸르거나 누르거나 붉거나 희거나 검은 것은 힘줄에 병이 있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筋絶證

靈樞曰筋絶九日死何以知之手足爪甲靑呼罵不休

근절(筋絶) 증후[筋絶證]

『영추』에는 “근절이 되면 9 만에 죽는다. 이것을 어떻게 아는가. 손발톱이 파랗고 계속 욕설하는 것으로써 안다”

舒筋法

治破傷後筋攣縮不能伸他病筋縮亦可用大竹管長尺餘兩頭鑽一竅繫以繩掛于腰間一坐貼擧足袞之勿計工程久當有效《得效》○有人墜馬折脛脚筋攣縮不能行步遇一道人敎以此法數日便愈如常《醫說》

힘줄을 펴는 [舒筋法]

외상[破傷] 당한 힘줄이 땅겨서 펴지 못하거나 다른 병으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있다. 참대롱을 1 남짓하게 잘라서 양쪽에 구멍을 하나씩 뚫고 노끈을 매어 허리에 걸고 앉아서 발을 들고 주물러 주기를 오랫동안 하면 반드시 효과가 있다[득효].

어떤 사람이 말을 타다가 떨어져 정강이가 부러져서 힘줄이 오그라들어 걷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이 방법을 가르쳐 주어 며칠 하였더니 나았다[의설].

單方

凡十五種

단방(單方)/힘줄

모두 15가지이다.

溫泉

主諸風寒筋骨攣縮者可浴之濕多者不可《本草》

온천(溫泉)

() ()으로 뼈와 힘줄이 저리고 가드라드는 때에 목욕하면 좋다. 그러나 습이 많으면 좋지 않다[본초].

薏苡仁

主熱風筋脈攣急又主筋急拘攣煮粥常服《本草》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 풍으로 근맥(筋脈) 가드라들고 땅기는 것과 힘줄에 갑자기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데는 율무쌀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獨活

治筋骨拳攣煮湯服之《本草》

독활(獨活, 땃두릅)

힘줄과 뼈가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하는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淫羊藿

治筋骨攣急煮湯飮之又可釀酒服之《本草》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힘줄과 뼈가 가드라들고 땅기는 것을 치료하는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좋다[본초].

松節

治筋痛攣急取一兩入乳香一錢銀石器同炒令焦爲末木瓜酒下二錢凡筋病皆治之《本草》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힘줄이 아프고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소나무마디( ) 40g 유향 4g 섞어서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눋도록 볶아 가루를 내어 8g 모과술로 먹으면 모든 힘줄병을 치료할 있다[본초].

何首烏

長筋力或丸或散或浸酒久服佳《本草》

하수오(何首烏, 은조롱)

힘이 나게 한다. 알약을 만들거나 가루를 내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되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五加皮

堅筋骨或煮服或釀酒久服《本草》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오가피를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酸棗仁

主筋骨風攣痛作末和酒服或煮粥服《本草》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으로 힘줄과 뼈가 오그라들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메대추씨를 가루를 내어 술에 먹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能使筋骨强或煮服或丸服佳《本草》

두충( )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두충을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木瓜

入肝故益筋能强筋骨凡筋病皆治之煮服丸服皆佳《本草》

목과(木瓜, 모과)

()으로 가는 약이기 때문에 힘줄을 좋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모든 힘줄의 병을 치료할 있다.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覆盆子

益力又云倍力末服丸服皆佳《本草》

복분자(覆盆子)

힘이 나게 하고 또한 힘을 곱절 쓰게 한다. 복분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荊芥

治手足筋急煮湯飮嫩者作食亦可《本草》

형개(荊芥)

손과 발의 힘줄이 땅기는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 만문한[] 것으로 생절이를 먹어도 좋다[본초].

鹿髓

主筋急痛以溫酒和服《本草》

녹수(鹿髓, 사슴의 골수)

힘줄이 땅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데운 술에 먹는다[본초].

羚羊角

主風病筋攣取屑煮湯服《本草》

영양각(羚羊角)

풍병(風病)으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諸筋

食之令人多筋力六畜及獐鹿之筋皆可食《本草》

여러 동물의 힘줄[諸筋]

이것을 먹으면 힘이 세진다. 가축이나 노루, 사슴의 힘줄은 먹을 있다[본초].

鍼灸法

筋攣骨痛補魂門《綱目》○膝曲筋急不能舒取曲泉《綱目》○筋急不能行內筋急灸內四十壯外筋急灸外三十壯立愈《千金》○膝筋攣急不開兩膝內外曲交尖各灸二七壯卽委陽穴《綱目》○筋轉而痛瀉承山或灸二七壯《綱目》○肝熱生筋補行間瀉太衝《綱目》○筋攣陰縮痛灸中封五十壯《資生》○筋會陽陵泉筋病治此《難經》

침뜸치료[鍼灸法]/힘줄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가 아픈 데는 혼문혈[魂門] 보법[] 쓴다[강목].

무릎이 꼬부라지고 힘줄이 땅겨서 펴지 못하는 데는 곡천혈[曲泉] 놓는다[강목].

힘줄이 땅겨 걷지 못하는 데와 안쪽 복사뼈의 힘줄이 땅기는 데는 안쪽 복사뼈에 40장의 뜸을 뜨고 바깥쪽 복사뼈의 힘줄이 땅기면 바깥쪽 복사뼈에 30장의 뜸을 뜨면 낫는다[천금].

무릎의 힘줄이 가드라들고 땅겨서 없는 데는 무릎의 안팎 꺾인 자리 ( 위양혈(委陽穴)) 각각 27장의 뜸을 뜬다[강목].

다리에 쥐가 나면서 아픈 데는 승산혈[承山] 침을 놓아 ()하거나 27장의 뜸을 뜬다[강목].

() 열이 있어 근위( ) 생긴 데는 행간혈[行間] 침을 놓아 보하고 태충혈[太衝] 사한다[강목].

힘줄이 땅기고 음낭이 졸아들면서 아픈 데는 중봉(中封)혈에 50장의 뜸을 뜬다[자생].

근의 회혈[] 양릉천혈[陽陵泉] 힘줄에 생긴 병을 치료한다[난경].

출처 : 명리오행한방(한국오행학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http://cafe.daum.net/skachstj  

문의 010 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