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眞人曰乘馬遠行當沐浴更衣然後方可近於櫖兒否則多爲天吊急驚之疾錢仲陽曰步履糞穢之氣無使近於櫖兒令兒急驚風紩也《類聚》○天吊亦驚風之證但天吊發時頭目仰視驚風則無也《綱目》○小兒喡犍不定扪眼戴睛狀若神杜頭目仰視手足抽疦如魚之上釣故曰天釣甚者爪甲亦靑宜服蘇合香元(方見氣門)○此由乳母過食熱毒心肺生熱加以外感風邪所致宜用九龍控涎散釣藤散熱勝則保命丹痰盛則抱龍丸(二方拄見上)○又有驚風內釣之證腹痛多啼面靑脣黑垢废反張外腎腫尿如米厹眼有紅筋血點乃寒氣壅結宜釣藤膏《入門》
천조경풍(天弔驚風)
손진인(孫眞人)은 “말을 타고 멀리 갔다 와서는 반드시 목욕하고 옷을 갈아 입은 다음 애기의 곁에 가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흔히 천조급경풍(天弔急驚風)이 된다”고 하였다. 전중양(錢仲陽)은 “대변이나 더러운 것을 밟고 다니다가 애기의 곁에 가서 애기가 급경풍으로 경련이 일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유취].
○ 천조도 또한 경풍의 일종이다. 천조는 발작할 때에 머리가 젖혀지고 눈은 위로 보는데 경풍은 그렇지 않다[강목].
○ 어린이의 손발이 계속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며 눈이 뒤집혀져서 치뜨는 증상이 헛것에 들린 탈 같고 머리가 젖혀지며 눈은 위로 쳐다보고 손발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이 물고기가 낚시에 걸려 올라오는 것과 같으므로 천조라고 했다. 병이 심하면 손톱도 푸르러진다. 이런 때에는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 이것은 유모가 젖먹이에게 열독이 있는 음식을 지나치게 먹인 탓으로 심폐에 열이 생긴 데다가 밖으로 풍사를 받아서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는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과 조등산(釣藤散)을 쓰는 것이 좋다. 열이 심하면 보명단(保命丹)을 쓰고 담이 성하면 포룡환(抱龍丸, 두 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을 쓴다.
○ 또는 경풍내조증(驚風內釣證)으로 배가 아파서 몹시 울며 얼굴이 푸르고 입술이 검으며 등이 앞으로 꼬부리기도 하고 뒤로 젖혀지기도 하며 고환이 붓고 오줌빛이 쌀 씻은 물 같으며 눈에 붉은 줄이나 점이 있는 것은 찬 기운이 몰리고 막힌 것이므로 조등고(釣藤膏)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治天吊蜈蚣一條酒塗灸臘茶雄黃甘草各二錢乳香天竺黃白礬枯荊芥穗各一錢菉豆半生半炒一百粒右爲末每半錢人參薄荷湯調下《醫林》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천조(天弔)를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술을 발라 구운 것) 1개, 작설차, 석웅황(웅황), 감초 각각 8g, 유향, 천축황, 백반(구운 것), 형개수 각각 4g, 녹두 100알(절반은 날것, 절반은 닦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인삼과 박하를 두고 달인 물에 타먹인다[의림].
治同上人參犀角各五分全蝎天麻各二分甘草一分右犫水煎服《入門》○一名釣藤飮有釣藤一味《湯氏》
조등산(釣藤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서각 각각 2g, 전갈, 천마 각각 0.8g, 감초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일명 조등음(釣藤飮)이라고 하는데 조구등[釣藤] 한 가지가 더 들어 있다[탕씨].
治驚風內釣木香薑黃各二錢乳香沒藥各一錢半木鱉子肉五箇右爲末蜜調成膏收罐內以釣藤煎湯或薄荷湯化下少許《入門》
조등고(釣藤膏)
경풍내조증(驚風內釣證)을 치료한다.
목향, 강황 각각 8g, 유향, 몰약 각각 6g, 목별자육 5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개어 고약을 만들어 항아리에 넣어 두고 조구등 달인 물이나 박하 달인 물에 조금씩 풀어 먹인다[입문].
眙與痙亦驚風之類○眙者手足氷冷痙者擧身强直眙痙本一病當以陽剛陰柔別之剛者有汗柔者無汗其證肢體强直腰身反張甚於風癎大抵不治《直小》○身軟時醒者爲癎身反張强直如弓不時醒者爲眙十無一生《湯氏》○證候治法詳具風門
치경( 痙)
치경도 경풍(驚風)의 부류에 속한다.
○ 치( )는 손발이 얼음처럼 차고 경(痙)은 온몸이 뻣뻣해지는 것이다. 치와 경이 본래 한 가지 병인데 양강(陽剛)과 음유(陰柔)로 구별한다. 양강은 땀이 있고 음유는 땀이 없다. 그 증상은 팔다리와 몸이 뻣뻣하고 허리와 몸이 뒤로 젖혀지는 것이 풍간(風癎)보다 더 심한데 대체로 치료되지 않는다[직소].
○ 몸이 뻣뻣하지 않고 금방 깨어나는 것은 간질이다. 몸이 뒤로 활처럼 젖혀지고 뻣뻣하며 금방 깨어나지 않는 것은 치병인데 10에 하나도 사는 것이 없다[탕씨].
○ 증상과 치료법은 풍문에 자세히 씌어 있다.
驚風三發則爲癎癎者小兒惡病也大人曰癲小兒曰癎其實一也又曰十歲以上爲癲十歲以下爲癎《入門》○驚癎卽急驚之證但驚癎發時捒地作聲醒時吐涎沫急慢驚則不作聲不吐沫也《綱目》○癎者卒然暈倒目琌流涎神氣鬱勃四肢紩媛沈默昏墘似死似生其聲惡墺過後惺惺《直小》○錢氏方有五癎病關五藏用五色丸(方見神門)○治法惟以驚風食三種陰陽二證別而治之○驚癎者恐怖積驚而發啼墺恍惚宜定魄丸沈香天麻湯○風癎者風邪外襲先屈手指如數物乃發宜追風祛痰丸(方見神門)○食癎者乳食時遇驚停積或成癖或大便酸臭宜紫霜丸○始也身熱抽疦啼墺是爲陽癎易治宜龍腦安神丸淸心滾痰丸(二方拄見神門)○始也身無熱手足淸冷不抽疦不啼墺是爲陰癎難治宜五生丸引神歸舍丹(二方拄見神門)○因急驚爲癎宜三癎丹○因慢驚成癎取來復丹(方見寒門)薄荷泡湯化下一二丸得利卽愈《入門》○又有胎中受驚成癎宜燒丹丸(方見神門)○癎病方萌耳後高骨間必有靑紋紛紛如線見之急用瓜破須令血出啼墺尤得氣通易效也《直小》
전간(癲癎)/소아
경풍이 세번 발작하면 간질(癎疾)이 된다. 간질은 어린들이게 좋지 못한 병이다. 어른은 전질(癲疾)이라고 하고 어린이는 간질이라고 하는데 실상은 한 가지이다. 또는 10살 이후는 전질이라고 하고 10살 이전은 간질이라고 한다[입문].
○ 경간(驚癎)은 급경풍의 일종이다. 다만 경간은 발작할 때에 넘어지고 소리를 지르며 깨어날 때에 거품침을 토하지만 급경풍과 만경풍은 소리도 지르지 않고 거품침도 토하지 않는다[강목].
○ 간질은 갑자기 어지럼증이 나면서 넘어지고 눈을 부릅뜨며 느침을 흘리고 신기(神氣)가 막혀서 팔다리에 경련이 일며 멍청하고 혼미하여 죽은 것 같기도 하고 산 것 같기도 하며 좋지 못한 소리를 지른다. 깨어나면 정신이 여전하다[직소].
○ 『전씨방(錢氏方)』에는 5가지 간질이 있는데, 이 병은 5장과 관련된다고 해서 오색환(五色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쓴다.
○ 치료법은 경간(驚癎), 풍간(風癎), 식간(食癎)의 3가지 증과 음양(陰陽)의 2가지 증으로 구별하여 치료한다.
○ 경간은 무서운 일을 여러 번 당하여 놀라서 발작하는 것인데 울면서 소리를 지르고 정신이 어리둥절해진다. 이런 데는 정백환(定魄丸),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을 쓰는 것이 좋다.
○ 풍간은 풍사가 밖으로부터 침범하여 생기는 것인데 먼저 물건을 세는 것처럼 손가락을 꼽다가 발작한다. 이때에는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식간은 젖이나 음식을 먹을 때에 놀라서 생기는데 체하여 적(積)이나 벽(癖)이 되고 혹 대변에서 신 냄새가 나는 것이다. 이때에는 자상환(紫霜丸)을 쓰는 것이 좋다.
○ 처음 발작할 때에 몸에 열이 있고 경련이 일어나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은 양간(陽癎)이므로 치료하기 쉽다. 이런 때에는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두 가지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처음 발작할 때 몸에 열이 없고 손발이 싸늘하며 경련이 일어나지 않고 소리를 지르지 않는 것은 음간(陰癎)인데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오생환(五生丸), 인신귀사단(引神歸舍丹, 두 가지 처방은 모두 신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급경풍으로 간질이 된 것은 삼간단(三癎丹)을 쓰는 것이 좋다.
○ 만경풍으로 간질이 된 것은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박하를 우린 물에 1-2알씩 풀어 먹여서 설사시키면 낫는다[입문].
○ 또는 태중에 놀란 원인으로 간질이 된 것은 소단환(燒丹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간질병이 처음 시작할 때에는 귀 뒤의 두드러진 뼈 부위에 반드시 살과 같은 푸른 무늬가 뒤섞여 나타나는데 이때는 빨리 손톱으로 터뜨려 피가 나오게 하며 소리내어 울게 하면 기가 더 잘 통해서 쉽게 나을 수 있다[직소].
治因驚發癎人參琥珀茯神遠志朱砂天麻石菖蒲天門冬酸棗仁甘草各等分右爲末蜜丸爣子大朱砂爲衣每一丸燈心薄荷煎湯化下《入門》
정백환(定魄丸)
놀라서 간질이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호박, 백복신, 원지, 주사, 천마, 석창포, 천문동, 메대추씨(산조인),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알씩 골풀속살(등심초)과 박하를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治小兒因驚成癎發紩痰涎壅塞目多白睛項背强急喉中有聲神思如痴羌活五分獨活四分防風天麻半夏附子礐各三分沈香益智川烏礐各二分薑屑當歸甘草各一分半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先灸兩垍怴各二七壯《寶鑑》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어린이가 놀라서 간질이 되어 경련이 발작할 때 담연이 막히고 눈에 흰자위가 많아지며 목과 등이 뻣뻣하고 목구멍에서 소리가 나며 정신이 어리둥절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2g, 따두릅(독활) 1.6g, 방풍, 천마, 끼무릇(반하),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2g, 침향, 익지인, 오두(싸서 구운 것) 각각 0.8g, 건강가루, 당귀, 감초 각각 0.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이되 먼저 음교맥(陰 脈)과 양교맥(陽 脈)에 각각 14장씩 뜸을 뜬다[보감].
治食癎及腹中有食積痰癖吐竂乳(音顯不嘔而吐也)代澋石醋柒七次赤石脂各一兩巴豆三十粒去皮油杏仁五十箇去皮尖右先將杏仁泥巴豆霜入二石末相和搗千杵若硬入少蜜貯密器中月內兒服麻子大一粒乳汁化下百日內服小豆大○食癎用此取積拄不虛人凡兒有熱不欲飮乳眠睡不寧常常驚悸此皆發癎之漸卽以此藥導之減其盛勢則無驚風釣癎之患矣《入門》○一方澋石二錢巴豆二十一粒去皮油杏仁二十一箇右末飯丸粟米大《錢乙》
자상환(紫霜丸)
식간(食癎)과 뱃속에 있는 식적(食積), 담벽(痰癖)이 있어서 젖을 토하는 것(소리는 있고 구역은 없으면서 토한다)을 치료한다. 대자석(식초에 일곱번 담갔다 낸 것), 적석지 각각 40g, 파두 30개(껍질과 기름을 버린 것), 살구씨(행인) 50알(껍질과 끝을 버린 것).
위의 약들에서 먼저 살구씨와 파두상을 풀지게 짓찧은 데다 대자석과 적석지를 가루내어 넣고 섞은 다음 오랫동안 짓찧는데 만일 되면 꿀을 조금 넣는다. 이것을 약 기운이 새 나가지 않는 그릇에 담아 두고 쓴다. 한 달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삼씨만하게 1알을 젖에 풀어 먹인다. 100일 전의 어린이에게는 팥알만하게 1알을 먹인다.
○ 식간에 이 약을 쓰면 적만 없어지고 몸은 허약해지지 않는다. 대개 어린이가 열이 있으면서 젖을 먹으려고 하지 않고 잠을 잘 자지 않으며 자주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은 모두 간질이 점차 발작하려는 징조이므로 곧 이 약으로 풀려 나가게 해서 심한 증세를 덜어 주면 경풍(驚風), 천조풍(天弔風), 간질(癎疾) 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입문].
○ 어떤 처방에는 대자석 8g, 파두 21개(껍질과 기름을 버린 것), 살구씨 21알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좁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고 하였다[전을].
治急驚爲癎蜈蚣一條牛膽南星二錢全蝎防風白附子遠志蘆籲玄胡索辰砂各一錢麝香一字金銀箔各三片右爲末糊丸梧子大金銀箔爲衣每一丸以薄荷湯化下《錢乙》
삼간단(三癎丹)
급경풍으로 간질이 된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1개, 우담남성 8g, 전갈, 방풍, 노랑돌쩌귀(백부자), 원지, 노회, 현호색, 주사 각각 4g, 사향 1g, 금박, 은박 각각 3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과 은박으로 겉을 입혀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전을].
疳者乾也瘦盧少血也兒童二十歲以下曰疳二十歲以上曰勞皆由氣血虛憊藏府受傷故有五藏疳外有蛔疳脊疳腦疳乾疳疳渴疳瀉疳痢腫脹疳無辜疳丁奚哺露治之各有方其病多因乳哺失常肥甘不節腸胃積滯而得之故其爲證頭皮光急毛髮焦稀栝縮鼻乾口淡脣白兩眼昏爛涑鼻濉目脊聳體重鬪甲咬牙焦渴自汗昖白瀉酸屠脹腸鳴結癖潮熱或身多瘡疥酷嗜瓜果酸鹹炭米泥土多飮水者是也惟腎疳害人最速盖腎虛受邪疳奔上焦故以走馬爲喩初作口臭次傳齒黑厇爛熱血拤出甚則齒脫宜急治之縱得全活齒不復生矣《得效》○疳乾疳渴疳勞疳瀉疳痢疳腫皆五疳之危證曰蛔疳腦疳脊疳無辜疳丁奚疳哺露疳皆五疳死證所以然者五藏俱病故也《入門》○大抵疳病當辨冷熱肥瘦其初病者爲肥熱疳久病者爲瘦冷疳冷熱交作者爲冷熱疳當分治之《錢乙》○疳病因多食肥甘所致故命名曰疳《正傳》○凡兒大便色白小便濁如米厹此疳病也《回春》○諸疳皆依本藏補其母假令日中發潮熱是心虛熱也肝爲心母法當先補肝母肝實而後瀉心心得母氣則內平而潮熱自愈矣《錢乙》
감병(疳病)
감(疳)이란 “마를 건(乾)” 자이다. 여위고 말라서 혈이 적어진다는 것이다. 20살 이전의 어린이들이 이렇게 되는 것을 “감(疳)”이라고 하고 20살 이상에서 이렇게 되는 것을 “노(勞)”라고 하는데 모두 기혈이 허약하고 5장 6부가 상하기 때문에 5장감(五臟疳)이 있다. 이 밖에 회감(蛔疳), 척감(脊疳), 뇌감(腦疳), 건감(乾疳), 감갈(疳渴), 감사(疳瀉), 감리(疳利), 종창감(腫脹疳), 무고감(無辜疳), 정해감(丁奚疳), 포로감(哺露疳) 등이 있으며 치료하는 법도 각각 다르다. 감병은 흔히 젖을 정상적으로 먹이지 않았거나 기름지고 맛있는 음식을 조절해 먹이지 못하여 장위(腸胃)에 적체가 생겨서 된다. 증상은 머리의 피부가 번질번질하면서 팽팽하고 머리털이 까슬까슬하면서 성글며 뺨에 주름이 지고 코가 마르며 입맛이 슴슴하고 입술이 희며 두 눈이 침침하고 진물며 코를 문지르고 눈을 비빈다. 또는 등뼈들이 나타나고 몸이 무거우며 손톱을 뜯고 이를 갈며 입 안이 타면서 목이 마른다. 또한 저절로 땀이 나고 오줌이 희며 설사를 하는데 시큼한 냄새가 나고 배가 불러 오르고 끓으며 벽(癖)이 생긴다. 그리고 조열(潮熱)이 나고 혹 몸에 가려운 헌데가 많이 생긴다. 또 오이와 과실, 시고 짠 것과 숯, 생쌀, 진흙 등을 즐겨 먹으려 하고 물을 많이 마신다. 그 중에서도 신감(腎疳)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신이 허해서 병사를 받아 감질이 되면 상초에 빨리 올라가서 주마감(走馬疳)이 생긴다. 주마감 초기에는 입에서 냄새가 나다가 점차 이가 거매지고 잇몸이 상해 헤지며 더운 피가 나온다. 심하면 이가 빠진다. 이때 급히 치료하면 이가 다시 제대로 나올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다시 나오지 못한다[득효].
○ 감건(疳乾), 감갈(疳渴), 감로(疳勞), 감사(疳瀉), 감리(疳痢), 감종(疳腫) 등은 5감에서 위중한 증상이다. 회감(蛔疳), 뇌감(腦疳), 척감(脊疳), 무고감(無辜疳), 정해감(丁奚疳), 포로감(哺露疳) 등도 5감에서 다 죽을 수 있는 증인데 그 원인은 5장이 다 병들었기 때문이다[입문].
○ 대체로 감병은 반드시 춥고 열이 나는 것과 살찌고 여윈 것을 감별해야 한다. 처음 병이 생겼을 때는 살찌고 열이 있는 감병이며 오래된 병은 여위고 추운 증이 있는 감병이다. 추워하거나 열이 나는 것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은 냉열감(冷熱疳)이다. 그러므로 감별하여 치료해야 한다[전을].
○ 감병은 기름지고 단 음식을 많이 먹어서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달감” 자의 음을 따서 감병이라고 한 것이다[정전].
○ 대개 어린이의 대변빛이 희고 오줌이 흐려서 쌀 씻은 물 같은 것은 감병이다[회춘].
○ 여러 가지 감병은 다 그 본 장기에 따라 그 어머니격이 되는 장기를 보해야 한다. 가령 한낮에 조열이 나는 것은 심(心)의 허열(虛熱)인데 간은 심의 어머니격이기 때문에 먼저 간(肝)을 보해야 하고 간이 실해진 다음에 심(心)을 사해야 한다. 심이 어머니격인 간의 기운을 받으면 속이 편안해지면서 조열이 저절로 멎는다[전을].
一曰肝疳其證搖頭涑目白膜遮睛合面而臥肉色靑黃髮立筋靑腹中積聚下痢頻多轉甚羸瘦又曰肝疳一名風疳白膜遮睛或雀目昏暗○二曰心疳其證渾身壯熱吐利無常頰赤面黃口舌生瘡痢久不烡多下膿血有時虛驚又曰心疳一名驚疳苦要驚啼常喫水○三曰脾疳其證腹多靑筋乳食不多心腹脹滿面色萎黃骨立毛焦乳食不消好喫泥土痢多酸臭又曰脾疳亦曰食疳面黃腹大好食泥土身有瘡疥○四曰肺疳其證咳嗽氣逆皮毛乾焦涑鼻咬甲壯熱憎寒口鼻生瘡頻頻泄利糞中米出皮上粟生又曰肺疳亦曰氣疳咳嗽氣急口鼻生瘡○五曰腎疳其證肌肉消瘦齒厇生瘡寒熱時作腦熱如火脚冷如氷乳食減少瀉痢頻作又曰腎疳又名急疳言五疳中惟腎疳爲最急卽走馬牙疳也亦曰骨疳喜臥冷地○五疳通用五疳保童元疳積餠消疳丸○心疳舌乾肝疳啼乾脾疳口乾肺疳聲乾腎疳尿乾通用連膽丸《入門》
5장감(五臟疳)
첫째는 간감(肝疳)인데 그 증상은 머리를 흔들고 눈을 비비며 흰 막이 눈동자를 가리고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리며 살빛이 푸르고 누르며 머리칼이 일어서고 배에 푸른 핏줄이 나타나며 뱃속에 적취가 있고 설사와 이질이 자주 나며 몹시 여윈다. 또는 간감을 풍감(風疳)이라고도 하는데 흰 막이 눈동자를 덮고 혹 밤눈증[省目]으로 잘 보지 못한다.
○ 둘째는 심감(心疳)인데 그 증상은 온몸에 심한 열이 나며 때없이 토하고 설사하며 뺨이 붉고 얼굴이 누르며 입 안과 혀가 헐고 이질이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서 피고름을 많이 누고 때로 까닭없이 놀라기도 한다. 또는 심감은 경감(驚疳)이라고도 하는데 놀라서 울기를 잘하고 늘 물을 먹는다.
○ 셋째는 비감(脾疳)인데 그 증상은 배에 푸른 줄이 많고 젖과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며 명치 아래와 배가 창만하고 얼굴이 누르스름하고 여위어 뼈만 남으며 머리털에 윤기가 없고 까실까실하며 젖과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며 흙 먹기를 좋아하고 설사를 하는데 시큼한 냄새가 난다. 또는 비감은 식감(食疳)이라고도 하는데 얼굴빛이 누렇고 배가 크며 흙 먹기를 좋아하고 몸에 헌데가 난다.
○ 넷째는 폐감(肺疳)인데 그 증상은 기침하고 기가 치밀며 피부와 털이 마르고 윤기가 없으며 코를 비비고 손톱을 깨물며 열이 심하게 나면서 오한이 나며 입과 코가 헐고 설사를 자주 하는데 밥알이 그대로 섞여 나오고 피부에 좁쌀알 같은 것이 돋는다. 또는 폐감은 기감(氣疳)이라고도 하는데 기침하고 숨이 차고 입과 코에 헌데가 난다.
○ 다섯째는 신감(腎疳)인데 그 증상은 살이 여위고 잇몸이 헐며 때때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머리가 불덩어리처럼 덥고 다리는 얼음장같이 차며 젖이나 음식은 적게 먹고 설사와 이질이 자주 난다. 또는 신감은 급감(急疳)이라고도 한다. 5감 가운데서 신감이 가장 급한데 즉 주마아감(走馬牙疳)이다. 또는 골감(骨疳)이라고도 하는데 찬 땅에 눕기를 좋아한다.
○ 5감에는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감적병(疳積餠), 소감환(消疳丸) 등을 두루 쓴다.
○ 심감(心疳)은 혀가 마르고 간감(肝疳)은 눈물이 없이 울며 비감(脾疳)은 입이 마르고 폐감(肺疳)은 목소리가 쉬며 신감(腎疳)은 오줌이 적어진다. 이때에는 연담환(連膽丸)을 두루 쓴다[입문].
治五藏疳黃連白昺頭(無則蕪荑代之)草龍膽五倍子靑皮夜明砂炒苦練根雄黃麝香靑黛天漿子熊膽蘆籲胡黃連各二錢半蟾頭一枚灸黃色右爲末飯丸麻子大一歲兒米飮下一二丸《局方》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5장감을 치료한다.
황련, 백선두(없으면 참느릅열매를 대신한다), 초룡담, 오배자, 선귤껍질(靑皮), 야명사(닦은 것), 멀구슬나무뿌리(고련근피), 석웅황(웅황), 사향, 청대, 천장자, 곰열(웅담), 노회, 호황련 각각 10g, 두꺼비대가리(蟾頭, 누른빛이 나게 구운 것)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2알씩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治五疳諸積使君子肉一兩白朮黃連各三錢靑皮陳皮山擀肉神麴炒麥芽炒三稜氖蓬朮氖木香各二錢半縮砂檳峹肉豆埼訶子肉甘草灸各二錢茴香炒川練肉夜明砂炒各一錢半乾蟾一箇右爲末白恪三斤炒黃以砂糖五兩水煮化和勻得所印作餠子每重一錢每服二三餠任意嚼吃米飮送下《醫鑑》
감적병(疳積餠)
5감과 여러 가지 적(積)을 치료한다.
사군자육 40g, 흰삽주(백출), 황련 각각 12g,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찔광이(산사),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목향 각각 10g, 사인, 육두구, 가자육(訶子肉), 감초(닦은 것) 각각 8g, 회향(닦은 것),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 야명사(닦은 것) 각각 6g, 마른 두꺼비(건섬)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노랗게 닦은 것) 1.8kg에 사탕 200g을 섞어서 물을 두고 졸인 데다 알맞게 반죽한 다음 4g씩 되게 작은 떡을 판에 찍어 만든다. 한번에 2-3개씩 아무 때나 미음으로 먹인다[의감].
治五乾疳黃連五錢猪膽汁浸瓜蔞根烏梅肉蓮肉杏仁各二錢右爲末牛膽汁浸嗰和丸麻子大每十五丸烏梅薑蜜煎湯下《入門》
연담환(連膽丸)
5건감(五乾疳)㈜을 치료한다.
황련 20g(저담즙에 담갔다 낸 것),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오매육, 연밥(연실), 살구씨(행인)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우담즙에 담갔다 낸 떡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오매와 생강, 꿀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註] 5건감(五乾疳): 다섯 가지 감병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마르는 증상, 즉 심감에는 혀가 마르고 간감에는 울지 못하며 비감에는 입이 마르고 폐감에는 소리가 잘 안 나오며 신감에는 오줌이 잘 안 나오는 것이다.
治五疳蒼朮陳皮厚朴枳殼檳峹神麴炒山擀肉麥芽炒三稜氖蓬朮氖縮砂茯巔黃連炒胡黃連蕪荑使君子蘆籲各等分右爲末蒸餠和丸彈子大米飮化下一丸《回春》
소감환(消疳丸)
5감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후박, 지각, 빈랑, 약누룩(신국, 닦은 것),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사인, 솔풍령, 황련(닦은 것),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 사군자, 노회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서 풀어 먹인다[회춘].
疳有熱疳冷疳冷熱疳籵疳腦疳脊疳走馬疳無辜疳丁奚疳哺露疳又有疳渴疳勞疳瀉疳痢疳腫疳瘡洗藥《諸方》
여러 가지 감병[諸疳]
감병에는 열감(熱疳), 냉감(冷疳), 냉열감(冷熱疳), 회감(蛔疳), 뇌감(腦疳), 척감(脊疳), 주마감(走馬疳), 무고감(無辜疳), 정해감(丁奚疳), 포로감(哺露疳) 등이 있고 또 감갈(疳渴), 감로(疳勞), 감사(疳瀉), 감리(疳痢), 감종(疳腫), 감창(疳瘡) 등이 있는데 여기에 씻는 약이 있다[제방].
疳病初起瞼赤脣焦潮熱如火大便秘澁者爲熱疳宜胡黃連丸《入門》○熱疳黃瘦雀目夜不見物或生瘡宜五福化毒丹局方龍膽元《入門》
열감(熱疳)
감병이 시작할 때에 볼이 붉고 입술이 타며 조열이 나서 불덩이 같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이 열감인데 호황련환(胡黃連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열감으로 몸이 누르고 여위며 밤눈증으로 물건을 잘 보지 못하며 혹 헌데가 나는 데는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국방용담원(局方龍膽元)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疳病久則目腫面嵗腹脹滑泄或靑或白或如垢媐者爲冷疳宜至聖丸《入門》○冷疳多渴好臥冷地煩躁啼墺大便滑泄漸成羸瘦宜木香丸使君子丸疳在內目腫腹脹痢色靑白無常漸瘦弱此冷證也《錢乙》
냉감(冷疳)
감병이 오래되면 눈이 붓고 얼굴이 거무스름하며 배가 창만하고 설사하는데 대변빛이 혹 푸르기도 하고 희기도 하고 곱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은 냉감인데 지성환(至聖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냉감은 갈증이 많고 찬 땅에 눕기를 좋아하며 번조해 하고 소리내어 울며 설사를 하여 점차 여위게 된다. 이런 데는 목향환(木香丸), 사군자환(使君子丸)을 쓰는 것이 좋다. 감병이 있어서 눈이 붓고 배가 창만하며 이질로 대변빛이 푸르기도 하고 희기도 한 것이 일정치 않으며 점차 몸이 여위고 약해지는 것은 냉증이다[전을].
冷熱交互非新非久宜消積和胃滋血調氣用如聖丸《錢乙》
냉열감(冷熱疳)
냉감증상과 열감증상이 둘 다 섞어서 나타나는 것이다. 새 것도 오랜 것도 아닌 데는 적(積)을 삭게 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며 혈을 불쿠어 주고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여성환(如聖丸)을 쓴다[전을].
因缺乳喫粥飯肉食太早或甘肥過多化爲蛔盤多啼嘔沫腹痛脣紫蛔雖食盤却不可動動從口鼻出者難治凡疳積久莫不有盤宜服下盤丸《入門》
회감(蛔疳)
젖이 없어서 죽과 밥, 고기 등을 너무 일찍 먹이기 시작했거나 단것이나 기름진 것을 많이 먹여 회충이 생겨서 되는데 몹시 울며 느침을 토하고 배가 아프며 입술은 자줏빛이다. 회충이 비록 맛있는 것을 좋아하지만 동하게 해서는 안 된다. 동하여 그것이 입과 코로 나오면 치료하기 어렵다. 대체로 감적(疳積)이 오래되면 회충이 없는 것이 없으므로 하충환(下蟲丸)을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腦疳者鼻痒毛髮作穗面黃羸瘦《聖惠》○頭皮光急頭髮作穗或有頭瘡腫至桠桠腫則多損眼項軟倒肥而不瘦附子生天南星右爲末薑汁調矋貼患處又獇魚膽滴於鼻中三五日效《湯氏》○腦疳滿頭餠瘡腦熱如火桠腫桠高遍身多汗宜龍膽丸《入門》
뇌감(腦疳)
뇌감은 코가 가렵고 머리털이 까슬까슬해지고 얼굴이 누르고 몸이 여윈다[성혜].
○ 머리의 피부가 반질반질하고 머리털이 까슬까슬하게 되며 혹 머리에 생긴 헌데가 퍼져서 숫구멍까지 부으며 숫구멍이 부으면 흔히 눈을 상하고 목에 힘이 없어서 고개를 숙이며 살이 찌면서 여위지 않는다. 이때는 부자와 천남성(생것)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개어 앓는 곳에 붙인다. 또는 붕어 담즙을 3-5일 동안 콧구멍에 떨구어 넣으면 효과가 난다[탕씨].
○ 뇌감으로 온 머리에 병창(餠瘡)㈜이 생기고 머리가 불같이 더우며 숫구멍이 부어 오르고 온몸에 땀이 많이 나는 데는 용담환(龍膽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註] 병창(餠瘡): 헌데의 둘레가 넓고 딱지가 잘 앉는 헌데.
小兒疳積漸黃瘦拍背如鼓鳴脊骨如鋸宜服蘆籲丸露星膏《湯氏》○脊疳者盤蝕脊嵈骨如鋸齒拍背如鼓鳴十指背生瘡頻咬爪甲煩熱黃瘦下利宜蘆籲丸《入門》
척감(脊疳)
어린이의 감적으로 점차 누렇게 여위어지며 잔등을 치면 북소리가 나고 등뼈가 톱날같이 드러나는 데는 노회환(蘆 丸), 노성고(露星膏)를 먹이는 것이 좋다[탕씨].
○ 척감은 벌레가 척추를 파 먹어서 등뼈가 앙상하여 톱날같이 되고 잔등을 치면 북소리가 나며 열 손가락 등쪽에 헌데가 나고 자주 손톱을 깨물며 번열이 나고 누렇게 여위며 설사한다. 이런 데는 노회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腎疳又名急疳多因痘後餘毒更加乳食不調甘味入脾而生盤上蝕齒厇則口瘡出血臭氣甚則齒根潰爛齒黑脫落栫有穴者名曰走馬疳言陽明熱氣上奔如馬然下蝕腸胃則下痢肛爛其證腦熱肌削手足如氷爪黑面嵗甚者天柱骨倒宜腎氣丸(方見虛勞)加使君子川練肉《入門》○走馬牙疳宜用乳香丸立效散銅靑散尿白散《綱目》
주마감(走馬疳)
신감(腎疳) 또는 급감(急疳)이라고도 한다. 흔히 마마를 앓은 뒤에 여독이 있는 데다 또 젖과 음식을 잘 조절해 먹이지 못하여 단맛이 비(脾)에 들어가 벌레가 생겨서 위로 잇몸을 파 먹으면 입이 헐어 피가 나오고 냄새가 나며 심하면 이뿌리가 헤어지고 문드러져서 이가 거매지면서 빠지며 볼이 구멍이 뚫리는 것을 주마감이라 한다. 이것은 양명(陽明)의 열기가 말이 달아나듯이 위로 빨리 올라가서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로 내려가 장위(腸胃)를 파 먹으면 설사와 이질이 생기고 항문이 짓무는데 그 증상은 머리가 덥고 살이 빠지며 손발이 얼음장 같으며 손톱이 검고 얼굴이 거무스름하며 이 병이 심하면 목에 힘이 없어서 제대로 가누지 못한다. 이런 때에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사군자와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을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주마아감(走馬牙疳)에는 유향환(乳香丸), 입효산(立效散), 동청산(銅靑散), 요백산(尿白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無辜疳者其候面黃髮直時時壯熱飮食不生肌膚積經日月遂至於死言天有鳥名曰無辜晝伏夜遊兒家洗浣衣褥露天經宿或遇此鳥飛過落羽所汚而與兒穿臥便令有此疾也又腦後有核初生軟而不覺痛其中有盤如米粉不速破去則熱氣漸長盤隨氣血流散侵蝕藏府肌肉作瘡或大便泄膿血漸漸黃瘦頭大髮竪手足細弱宜用月蟾丸十全丹二連丸《綱目》
무고감(無辜疳)
무고감의 증상은 얼굴이 누르고 머리털이 곧추 서고 때때로 열이 심하며 음식을 먹어도 살찌지 않고 여러 해 지나면 죽게 된다. 하늘에 무고라는 새가 있어서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면 돌아다니는데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 옷이나 포대기를 빨아서 밖에 널어 밤이 지나도록 널어 놓았을 때 혹 이 새가 날아가다가 떨어뜨린 깃으로 더럽힌 것을 아이에게 입히거나 덮어 주면 이 병이 걸리게 된다는 것이다. 또는 뒷머리에 멍울이 있는데 갓 생겼을 때에 터뜨리지 않으면 열기가 점점 많아지고 벌레는 기혈을 따라 흩어져서 5장 6부를 파 먹으며 살에 헌데가 나거나 대변은 설하는데 피고름이 섞여 나오고 점차 누렇게 여위며 머리는 크고 머리털은 곧추 서며 손발은 가늘어지고 약해진다. 이때는 월섬환(月蟾丸), 십전단(十全丹), 이련환(二連丸)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丁奚者腹大頸細黃瘦是也丁者手足與項極小伶煔也奚者腹大也甚者尻高肉削臍突胸滿或生穀琋愛喫生米土炭等物宜服十全丹布袋丸《入門》
정해감(丁奚疳)
정해감이란 것은 배가 크고 목이 가늘며 누렇게 여위는 것이다. 정(丁)이란 손발과 목이 아주 가늘고 힘없이 홀로 걷는 모양이고 해(奚)라는 것은 배가 큰 것이다. 심한 것은 살이 빠져 꽁무니뼈가 드러나고 배꼽이 두드러 올라오고 가슴이 그득하며 혹 음식으로 징벽( 癖)이 생기며 생쌀이나 흙이나 숯 등을 먹기를 좋아한다. 이런 때에는 십전단(十全丹), 포대환(布袋丸)을 먹는 것이 좋다[입문].
虛熱往來頭骨分解反食吐盤煩渴嘔籖骨瘦稜層露形盖丁奚哺露皆因脾胃久虛形體瘦削亦由胎稟所成盡皆無辜種類拄難治大體相似宜用十全丹布袋丸《入門》
포로감(哺露疳)
허열(虛熱)이 있었다 없었다 하고 머리뼈가 아물지 않고 먹은 것을 도로 토하고 벌레를 토하며 번갈이 나고 구역질과 딸꾹질을 하며 여위어 뼈가 드러난다. 대개 정해감이나 포로감은 모두 비위(脾胃)가 오랫동안 허한 데로부터 몸이 여위어 가는 것이다. 또는 선천적으로 체질이 허약하여 되는 것도 있다. 이것은 다 무고감 종류인데 치료하기 어려우며 대체로 비슷하다. 이때는 십전단(十全丹), 포대환(布袋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疳病日則煩渴引飮乳食不進夜則渴止宜用連膽丸《入門》
감갈(疳渴)
감병이 낮에는 번갈이 날서 물을 켜고 젖과 음식을 잘 먹지 않으며 밤이 되면 갈증이 없어진다. 이때는 연담환(連膽丸)이 좋다[입문].
骨蒸潮熱盜汗咳嗽泄瀉屠硬如石面色如銀斷不可治宜連膽丸加蝦徳灰救之《入門》
감로(疳勞)
뼈가 찌는 것 같고 조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고 기침하며 설사하고 배가 돌같이 뜬뜬하며 얼굴이 은빛같이 흰 것은 잘 치료되지 않는다. 연담환(連膽丸)에 두꺼비 태운 가루를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身瘦面黃有瘡疥或食泥土瀉靑白黃沫或如垢媐或所瀉爛如泥宜至聖丸《入門》
감사(疳瀉)
몸이 여위고 얼굴이 누르며 헌데가 나고 혹 진흙을 먹으며 설사하는데 푸르면서 희고 누런 거품 같은 것을 누거나 혹 곱 같은 것이나 진흙 풀어진 것 같은 것을 설사한다. 이때는 지성환(至聖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疳在內則目胞腫腹脹痢色無常《錢乙》○疳痢黃白積或見五色下無時度漸加瘦瘠宜使君子丸木香元《錢乙》
감리(疳痢)
감병이 속에 있으면 눈두덩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며 이질빛이 일정하지 않다[전을].
○ 감리로 대변빛이 누르고 희거나 5가지 빛이 보이는 설사를 때없이 하며 점점 몸이 더 여위어 가는 데는 사군자환(使君子丸), 목향환(木香丸)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小兒疳病虛中有積身面浮腫屠腹脹大宜肥兒丸脹甚者宜褐丸子《錢乙》
감종(疳腫)
어린이의 감병으로 허해진 데나 적이 있어 몸과 얼굴이 붓고 배가 창만한 데는 비아환(肥兒丸)이 좋고 몹시 창만한 데는 갈환자(褐丸子)를 쓰는 것이 좋다[전을].
脾疳腎疳皆身有瘡疥無辜疳盤氣流散肌肉作瘡肺疳鼻下生瘡○疳病遍體生瘡乃盤蝕皮膚宜服蘆籲丸月蟾丸化㵙丸猪屠黃連丸玉蟾散洗疳瘡藥《入門》
감창(疳瘡)
비감(脾疳), 신감(腎疳)은 모두 몸에 진옴이 나고 무고감(無辜疳)은 벌레의 독이 흩어져서 살에 헌데가 나며 폐감(肺疳)은 코밑에 헌데가 생긴다.
○ 감병으로 온몸에 헌데가 생기는 것은 벌레가 피부를 파 먹기 때문이다. 이때는 노회환(蘆 丸), 월섬환(月蟾丸), 화닉환(化 丸), 저두황련환(猪 黃連丸), 옥섬산(玉蟾散), 감창(疳瘡)에 씻는 약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治熱疳胡黃連黃連各五錢朱砂二錢半右爲細末塡入猪膽內用淡漿水於砂汛內懸胎煮一飯時許取出入蘆籲靑黛蝦徳灰各二錢麝香一分右爲末飯丸麻子大米飮下三五丸至一二十丸《入門》
호황련환(胡黃連丸)
열감(熱疳)을 치료한다.
호황련, 황련 각각 20g, 주사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저담 속에 채워 넣고 연한 신좁쌀죽웃물에 부은 사기냄비 속에 달아매 놓고 30분쯤 끓인 다음 꺼낸다. 여기에 노회, 청대, 두꺼비(하마, 태운 가루) 각각 8g, 사향 0.4g을 가루낸 것을 함께 넣고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에서 10-20알까지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治熱疳多生瘡癤及痘瘡餘毒口齒出涎血臭氣或雀目夜不見物玄參一兩桔梗八錢人參赤茯巔馬牙硝各五錢靑黛二錢半甘草一錢麝香五分金箔銀箔各八片右爲末蜜和每兩作十二丸金銀箔爲衣一歲兒一丸分四服薄荷水化下雀目陳粟米厹水化下《丹心》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열감으로 창절(瘡癤)이 많이 생겼거나 마마의 여독(餘毒)으로 입에서 느침과 피가 섞여나오고 냄새가 나며 혹 밤눈증을 치료한다.
현삼 40g, 도라지(길경) 32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마아초 각각 20g, 청대 10g, 감초 4g, 사향 2g, 금박, 은박 각각 8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12알을 만들어 겉에 금박과 은박을 입힌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알을 네번에 나누어 먹이는데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야맹증으로 잘 보이지 않는 데는 묵은 좁쌀 씻은 물에 풀어 먹인다[단심].
治熱疳龍膽草黃連靑皮使君子各等分右爲末猪膽汁和丸蘿挙子大熟水一二十丸《局方》
용담원(龍膽元)
열감을 치료한다.
용담초, 황련, 선귤껍질(靑皮), 사군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으로 반죽한 다음 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국방].
治冷疳木香厚朴使君子陳皮肉豆埼各二錢丁香丁香皮各一錢右爲末神麴糊和丸麻子大米飮下七丸至十丸十五丸《入門》
지성환(至聖丸)
냉감을 치료한다.
목향, 후박, 사군자, 귤껍질(陳皮), 육두구 각각 8g, 정향, 정향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10-15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治冷疳木香靑黛檳峹肉豆埼各二錢半麝香一錢半千金子去皮炒一兩蝦徳望乾燒存性右爲末蜜丸菉豆大每三五丸至一二十丸薄荷湯下○一女子得疳疾百藥無效與此藥不數服而愈後用無不獲效《錢乙》
목향환(木香丸)
냉감을 치료한다.
목향, 청대, 빈랑, 육두구 각각 10g, 사향 6g, 속수자(껍질을 벗기고 닦은 것) 40g, 두꺼비(하마) 1마리(햇볕에 말려 약성이 남게 태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에서 10-20알까지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
○ 어떤 여자가 감병에 걸려서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었는데 이 약을 주었더니 몇 번 먹지 않아 나았다. 그후에 이 약을 써서 효과를 보지 않은 때가 없었다[전을].
治冷疳使君子恪嚸氖去殼一兩厚朴訶子皮半生半氖甘草灸各五錢陳皮去白二錢半右爲末蜜丸咯實大每一丸米飮化下三歲以下服半丸乳汁化下《錢乙》
사군자환(使君子丸)
냉감을 치료한다.
사군자(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껍데기를 버린 것) 40g, 후박, 가자피(訶子皮, 절반은 생것, 절반은 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풀어 먹인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반 알을 젖에 타 먹인다[전을].
治冷熱疳黃連胡黃連蕪荑使君子肉各一兩麝香五分乾蝦徳五箇酒浸煮成膏右五味爲末和
膏丸如麻子大人參湯下二三歲兒五七丸《錢乙》
여성환(如聖丸)
냉열감을 치료한다.
황련,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사군자육 각각 40g, 사향 2g, 두꺼비(하마, 말린 것) 5개(술에 담갔다가 끓여 고약처럼 되게 한 것).
위의 약 5가지를 가루내어 두꺼비 고약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2-3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5-7알씩 인삼 달인 물로 먹인다[전을].
治蛔疳乾蝦徳灰三錢苦練根皮貫衆木香桃仁蕪荑檳峹各二錢鶴柕一錢輕粉半錢使君子肉五十箇右爲末糊丸麻子大每一二十丸肉汁下《得效》
하충환(下蟲丸)
회감을 치료한다.
두꺼비(하마, 말린 것을 태워 가루낸 것) 12g, 멀구슬나무뿌리껍질(고련근피), 쇠고비(관중), 목향, 복숭아씨(도인),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빈랑 각각 8g, 담배풀열매(학슬) 4g, 경분 2g, 사군자육 5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고기 삶은 물로 먹인다[득효].
治腦疳龍膽草升麻苦練根防風赤茯巔蘆籲油髮灰靑黛黃連各等分右爲末猪膽汁浸嗰和丸麻子大薄荷紫蘇湯下一二十丸《入門》
용담환(龍膽丸)
뇌감(腦疳)을 치료한다.
용담초, 승마, 먹구슬나무뿌리껍질(고련근피), 방풍, 벌건솔풍령(적복령), 노회, 유발회, 청대,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담갔다가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박하와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로 먹인다[입문].
治瘠疳龍膽草黃連蕪荑各一兩先炒蕪荑黃色次入二味同炒赤色右爲末嶽入蘆籲二錢半和勻爛飯和丸黍米大一歲兒十丸二歲兒二十丸米飮下《湯氏》
노회환(蘆 丸)
척감을 치료한다.
용담초, 황련, 참느릅나무열매(무이) 각각 40g(먼저 참느릅나무열매를 닦아 누른빛이 나게 되면 나머지 2가지 약을 한데 넣고 붉은 빛이 나게 닦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따로 노회 10g을 넣고 섞어서 진밥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0알, 2살 난 어린이에게는 2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탕씨].
治同上黃妉蜜水炒胡黃連地骨皮柴胡各等分右爲末蜜丸咯實大隔宿酒浸露一宿次日澄去酒薄荷湯浸服之《湯氏》
노성고(露星膏)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꿀물로 축여 볶은 것), 호황련, 지골피, 시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하룻밤 지나서 술에 담가서 하룻밤 동안 바깥에 놓아 두었다가 다음날 가라앉힌 다음 술을 찌워 버리고 박하 달인 물에 담갔다가 먹인다[탕씨].
治走馬牙疳如神乳香輕粉砒敼各五分麝香小許右硏細以薄紙一堛葉許按過涑紙少許和丸如黃米大臨臥將藥塡患處至明卽愈忌食醬鹽醋《綱目》
유향환(乳香丸)
주마아감을 치료하는 데 신기하게 낫는다.
유향, 경분, 비상 각각 2g,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얇은 종이를 부추잎만하게 베어 그 위에 약을 놓고 빚어서 찰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자려고 할 때에 약을 아픈 곳에 넣으면 다음날 곧 낫는다. 장이나 소금, 식초 등을 먹여서는 안 된다[강목].
治走馬牙疳靑黛黃栢白礬枯五倍子各一錢右爲末先以米厹材口敄之《丹心》
입효산(立效散)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청대, 황백, 백반(구운 것), 오배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쌀 씻은 물로 양치하고 약을 뿌려 준다[단심].
治同上白芷五錢銅綠二錢半馬牙硝一錢麝香一字右爲末乾敄之《得效》
동청산(銅靑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20g, 동록 10g, 마아초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것으로 뿌려 준다[득효].
治走馬牙疳雖遍口齒落脣穿者亦效人中白火媾白礬枯白梅肉燒存性各二錢右爲末先用堛菜根陳艾煎濃汁以鷄翎濐汁刷去腐肉洗去鮮血然後付藥日二三次《入門》
요백산(尿白散)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비록 이가 다 빠지고 입술이 뚫어졌더라도 효과가 있다.
백반(구운 것), 백매육(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먼저 부추뿌리와 묵은 쑥을 진하게 달인 물을 닭의 깃에 묻혀 썩은 살은 닦아 버리고 그 물로 선지피를 씻어 버린 다음 약을 붙이는데 하루에 두세번씩 갈아붙인다[입문].
治無辜疳蝦徳一箇打殺置桶中以尿浸之却取糞灪一杓入內任灪食一日夜取出以布袋繫之於急流水中浸一宿瓦上焙乾入麝香一字爲末飯丸麻子大每三十丸米飮下一服虛煩退再服渴止三服瀉住《入門》
월섬환(月蟾丸)
《번역 생략》
治丁奚哺露無辜壞證陳皮靑皮蓬朮川芎五靈脂白豆埼檳峹蘆籲各五錢木香使君子蝦徳灰各三錢右爲末以猪膽汁浸嗰和丸麻子大米飮下二三十丸《入門》
십전단(十全丹)
정해감, 포로감(哺露疳), 무고감 등이 심해진 증상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봉출, 궁궁이(천궁), 오령지, 백두구, 빈랑, 노회 각각 20g, 목향, 사군자, 두꺼비(하마, 태운 가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불군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治無辜疳黃連胡黃連蕪荑靑黛各五錢乾蝦徳一箇酒浸去骨焙右爲末糊丸粟米大米飮下二三十丸日三次服之《得效》
이련환(二連丸)
무고감을 치료한다.
황련, 호황련,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청대 각각 20g, 두꺼비 1개(마른 것을 술에 담갔다가 뼈를 발라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좁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득효].
治丁奚哺露無辜疳夜明砂蕪荑使君子各二兩蘆籲人參白朮白茯巔甘草各五錢右爲末湯浸蒸餠和丸彈子大每一丸用絹袋盛之次用精猪肉二兩同煮候肉爛熟提起藥掛風前陰乾只用肉和汁與兒食之次日依前煮服藥盡爲度《入門》
포대환(布袋丸)
정해감, 포로감, 무고감 등을 치료한다.
야명사,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사군자 각각 80g, 노회,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끓는 물에 담근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비단주머니에 넣은 다음 돼지살코기 80g과 같이 달여 고기가 푹 물렀으면 약을 꺼낸다. 이것을 그늘진 바람받이에 매달아서 말린 다음 고기만을 국물에 넣어 아이에게 먹인다. 다음날도 먼저와 같이 달여 먹이되 약이 다 없어질 때까지 먹인다[입문].
治疳腫腹脹蘿挙子一兩黑丑頭末半生半炒七錢半靑皮陳皮三稜蓬朮五靈脂赤茯巔檳峹各五錢胡椒二錢半木香一錢半右爲末恪糊和丸菉豆大每取十五丸蘿挙煎湯下治五疳八痢肌瘦腹大者如神《丹心》
갈환자(褐丸子)
감종(疳腫)으로 배가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한다.
무씨 40g,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30g,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삼릉, 봉출, 오령지, 벌건솔풍령(적복령), 빈랑 각각 20g, 후추 10g, 목향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무씨 달인 물로 먹이면 5가지 감병과 8가지 이질로 살이 여위고 배가 큰 것을 치료하는 데 신기하게 낫는다[단심].
治肺疳鼻流臭汁汁流處隨卽成瘡名曰疳㵙宜用此蕪荑蘆籲靑黛川芎白芷胡黃連黃連蝦徳灰各等分右爲末猪膽汁浸嗰和丸麻子大杏仁湯下一二十丸《入門》
화닉환(化 丸)
폐감을 치료한다. 냄새 나는 콧물이 흐르고 콧물이 흐른 자리에 헌데가 나는 것을 감닉(疳 )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쓰는 것이 좋다.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노회, 청대,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호황련, 황련, 두꺼비(하마, 태운 가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불군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살구씨(행인) 달인 물로 먹인다[입문].
治諸般疳瘡乾蟾燒灰三錢黃連二錢靑黛一錢麝香一字右爲末先以甘草湯洗後塗之妙《醫鑑》
옥섬산(玉蟾散)
여러 가지 감창을 치료한다.
두꺼비(乾蟾, 태워 가루낸 것) 12g, 황련 8g, 청대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먼저 감초 달인 물로 씻은 다음 위의 약가루를 뿌려 주면 좋다[의감].
治疳瘡自孩提至弱冠潮熱發瘡乃疳氣使然疳盤食其肌膚肌膚空虛疳熱流注遍身熱瘡發歇無已雄猪屠一具洗煖黃連七兩犫右黃連入猪屠中線縫密頓在五升米上蒸十分爛取入臼中入些飯宭千杵衆手丸如菉豆大米飮下二三十丸冠者倍之《得效》
저두황련환(猪 黃連丸)
감창을 치료한다. 어려서부터 20살이 될 때까지 조열이 나고 헌데가 나는 것은 감질기(疳疾氣)가 있어서 그러한 것인데 감충(疳蟲)이 살을 파 먹는 관계로 살이 여위며 감열이 온몸에 돌아다녀 열창(熱瘡)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수퇘지 창자[雄猪 ] 한 보를 깨끗이 씻어서 황련 280g을 썰어서 돼지창자 속에 넣고 실로 동여맨 다음 5되의 쌀 위에 놓고 푹 무르도록 쪄서 절구에 넣는다. 그 다음 밥을 조금 넣고 잘 짓찧어 여러 사람이 달라 붙어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이되 20살이 된 사람에게는 곱을 먹인다[득효].
治疳痢黃連三錢木香厚朴縮砂夜明砂炒各二錢訶子肉一錢右末飯丸麻子大薑湯下十五丸《得效》
목향원(木香元)
감리(疳痢)를 치료한다.
황련 12g, 목향, 후박, 사인, 야명사(닦은 것) 각각 8g, 가자육(訶子肉)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인다[득효].
甘草黃栢馬鞭草連根瘳荊芥穗煎湯溫洗後訶子燒灰入麝香輕粉各少許敄之《得效》
감창을 씻는 약[洗疳瘡藥]
감초, 황백, 마편초, 파( , 뿌리가 달린 것), 형개수 등을 넣고 달인 물로 따뜻하게 해서 씻은 다음 가자를 태운 가루에 사향, 경분을 각각 조금씩 넣어 뿌려 준다[득효].
通治宜用肥兒丸疳積餠(方見上)五疳消食元消疳丸(方見上)十味蘆籲丸五疳保童元(方見上)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비아환(肥兒丸), 감적병(疳積餠, 처방은 위에 있다),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소감환(消疳丸, 처방은 위에 있다), 십미노회환(十味蘆 丸),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凡疳病以肥兒丸疳積餠爲主此藥消疳化積磨癖淸熱伐肝補脾進食殺盤胡黃連五錢使君子肉四錢半人參黃連薑汁炒神麴炒麥芽炒山擀肉各三錢半白朮白茯巔甘草灸各三錢蘆籲碗盛泥嚸糠灰火氖透二錢半右爲末黃米糊和丸菉豆大米飮下二三十丸《醫鑑》
비아환(肥兒丸)
대체로 감병에는 비아환과 감적병(疳積餠)을 주로 쓴다. 이 약은 감병을 없애고 적(積)을 풀어 주며 벽(癖)을 없어지게 한다. 이와 함께 열(熱)을 내리고 간기(肝氣)를 누르며 비(脾)를 보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벌레를 죽인다.
호황련 20g, 사군자육 18g, 인삼,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찔광이(신사) 각각 14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닦은 것) 각각 12g, 노회(사발에 넣고 진흙으로 싸발라 겻불 속에 묻어 속까지 구워진 것)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찰기장쌀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의감].
通治諸疳殺盤退熱磨積進食使君子草龍膽麥芽陳皮蕪荑神麴黃連山擀肉各等分右爲末陳米飯和丸黍米大米飮下二三十丸《入門》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한다. 벌레를 죽이며 열을 내리고 적을 없애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사군자, 초룡담, 보리길금(맥아), 귤껍질(陳皮),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약누룩(신국), 황련, 찔광이(산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묵은 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治諸疳殺盤和胃止瀉退熱胡黃連雷丸蘆籲蕪荑木香靑黛鶴柕黃連各五錢蟬退十箇麝香五分右爲末猪膽汁浸嗰和丸麻子大米飮下二三十丸《入門》
십미노회환(十味蘆 丸)
여러 가지 감병을 치료한다. 벌레를 죽이고 위를 편하게 하며 설사를 멈추고 열을 내린다.
호황련, 뇌환, 노회,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목향, 청대, 학슬, 황련 각각 20g, 매미허물(선퇴) 10개,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저담즙에 불쿤 떡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감안(疳眼)
어린이가 감안으로 야맹증이 생기거나 눈에 예막이 덮여 아무것도 보이지 않거나 고름이 흐르는 데는 자간환(煮肝丸), 용담음자(龍膽飮子) 등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治疳眼盲膜不見物夜明砂靑蛤粉穀精草各等分右細末小兒一錢七歲以上三錢猪肝一大片批開敄藥麻線縛定米厹半椀煮肝熟取出肝湯則傾椀內熏眼取肝分三次嚼訖却以肝湯下一日三服十日必退如大人雀目空心服至夜便見物《綱目》
자간환(煮肝丸)
감안(疳眼)으로 예막이 덮여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야명사, 청합분, 곡정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7살 전의 어린이에게는 4g, 7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12g을 먹이는데 돼지 간(큰 것) 한 쪼박[大片]을 짜개고 약을 그 속에 넣은 다음 실로 동여매서 쌀 씻은 물 반 사발을 두고 삶아서 간이 익으면 간은 꺼내고 간 삶은 물은 사발에 담아 눈에 김을 쐬어 준다. 그 다음 간은 세번에 나누어 간 삶은 물로 하루에 다 먹이면 10일 만에 반드시 낫는다. 만일 어른이 밤눈증이 생겼을 때는 빈속에 먹으면 밤에 아무것이나 잘 보게 된다[강목].
治疳眼流膿神效靑蛤粉蛇脫皮穀精草各五錢羌活草龍膽各三錢麻黃二錢半黃芩炒升麻各二錢鬱金甘草各半錢右末每二錢茶淸調下《綱目》
용담음자(龍膽飮子)
감안으로 고름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청대, 뱀허물(사퇴), 곡정초 각각 20g, 강호리(강활), 초룡담 각각 12g, 마황 10g,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승마 각각 8g, 울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인다[강목].
肝疳目帶靑左脇下硬多吐沫眼頭黑者不治○心疳耳邊有靑脈舌上有焦點者不治○脾疳屠大靑筋脣口無血色人中平下痢不止者不治○肺疳咳逆氣急瀉白水身上黑懅者不治○腎疳要喫鹹醋喫水不住小便如粉汁齒黑有瘡骨出耳乾腦焦不治《綱目》○如五乾俱見身上粟生色斑黑者必死《入門》○如疳勞疳瀉面槁色夭骨露齒張腹硬不食皆危篤證也《得效》○疳渴飮水不止舌黑者死○疳勞氣促者死○疳瀉痢脫肛咳逆者不治《入門》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간감(肝疳) 때에 눈이 푸르고 왼쪽 옆구리 아래가 뜬뜬하며 흔히 거품침을 토하고 눈두덩이 검은 것은 잘 치료되지 않는다.
○ 심감(心疳) 때에 귓바퀴에 푸른 핏줄이 있고 혀가 타서 검은 점이 있으면 잘 치료되지 않는다.
○ 비감(脾疳) 때에 배가 크고 푸른 핏줄이 서며 입술과 입에 핏기가 없고 인중이 펀펀하며 이질이 멎지 않는 것은 잘 치료되지 않는다.
○ 폐감(肺疳) 때에 기침이 나고 숨결이 급하며 물 같은 설사를 하고 몸에 검은 점이 있는 것은 잘 치료되지 않는다.
○ 신감(腎疳) 때에 짠 것과 식초를 즐겨 먹고 물을 계속 켜며 오줌이 쌀 씻은 물 같고 이가 검으며 헌데가 나고 여위어서 뼈가 드러나며 귀에 윤기가 없고 머리털이 까칠까칠하면 잘 치료되지 않는다[강목].
○ 만일 5건증(五乾證)이 다 나타나고 몸에 좁쌀 같은 것이 돋으며 검은 반진이 있으면 죽을 수 있다[입문].
○ 만일 감로(疳勞), 감사(疳瀉) 등으로 얼굴이 마르고 윤기가 없으며 뼈가 드러나고 이 사이가 벌어지며 배가 뜬뜬하고 밥을 먹지 못하면 다 위태로운 증상이다[득효].
○ 감갈(疳渴)에 물을 계속 마시고 혀가 검은 것은 죽을 수 있다.
○ 감로 때에 숨이 몹시 찬 것은 죽을 수 있다.
○ 감사와 감리 때에 항문이 나오고 딸꾹질하는 것은 치료되지 않는다[입문].
有肝熱心熱脾熱肺熱腎虛熱潮熱驚熱痘熱變蒸熱疳熱(驚痘變疳四熱見上)積熱(見下)胎熱骨蒸熱痰熱秇熱風寒熱壯熱實熱虛熱○面上左栝爲肝右栝爲肺額上爲心鼻爲脾穳爲腎赤色者熱也隨證治之○身熱不飮水者熱在外身熱飮水者熱在內也○小兒熱病六一散(方見暑門)妙藥也寒水石散亦佳○凡熱證疎利後或和解後無虛證勿溫補熱必隨生《錢乙》○諸熱通用小兒淸心丸天乙丸《入門》
여러 가지 열[諸熱]
간열(肝熱), 심열(心熱), 비열(脾熱), 폐열(肺熱), 신허열(腎虛熱), 조열(潮熱), 경열(驚熱), 두열(痘熱), 변증열(變蒸熱), 감열(疳熱, 경(驚), 두(痘), 변(變), 감(疳) 등 4가지 열은 위에 있다), 적열(積熱, 아래에 있다), 태열(胎熱), 골증열(骨蒸熱), 담열(痰熱), 학열( 熱), 풍한열(風寒熱), 장열(壯熱), 실열(實熱), 허열(虛熱) 등이 있다.
○ 왼쪽 뺨은 간(肝)에 속하고 오른쪽 빰은 폐(肺)에 속한다. 이마는 심(心)에 속하고 코는 비(脾)에 속한다. 턱은 신(腎)에 속하는데 붉은 빛이 나타나면 열이 있는 것이므로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 몸에 열이 있으면서도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은 열이 겉에 있는 것이다. 몸에 열이 있으면서 물을 많이 켜는 것은 열이 속에 있는 것이다.
○ 어린이의 열병에는 육일산(六一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이 좋은 약이고 한수석산(寒水石散)도 좋다.
○ 대체로 온갖 열증에 설사를 시켰거나 화해를 시킨 다음에 허한 증상이 없으면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해서는 안 된다. 보하면 반드시 열이 난다[전을].
○ 여러 가지 열증에는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천을환(天乙丸)을 두루 쓴다[입문].
肝熱者手尋衣領亂捻物左栝赤瀉靑丸(方見五藏)主之《入門》
간열(肝熱)/소아
간열이 있으면 손으로 옷섶을 만지작거리며 물건을 주무르고 왼쪽 뺨이 붉다. 이때는 사청환(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心熱者口中氣溫或合面臥及眼上竄額赤搖頭咬牙導赤散(方見五藏)主之《入門》
심열(心熱)/소아
심열이 있으면 입김이 덥거나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리며 눈을 위로 치뜨고 이마가 붉고 머리를 흔들며 이를 간다. 이때는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脾熱者面黃屠大怠惰嗜臥身熱飮水鼻赤色瀉黃散(方見五藏)主之《入門》
비열(脾熱)/소아
비열이 있으면 얼굴이 누르고 배가 크며 몸이 나른하며 눕기를 좋아하며 몸에 열이 나면서 물을 많이 마시고 코가 붉다. 이때는 사황산(瀉黃散, 처방은 5장문(五臟門)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肺熱者咳嗽寒熱壯熱飮水喘悶右栝赤色瀉白散(方見五藏)主之《入門》
폐열(肺熱)/소아
폐열이 있으면 기침하고 추웠다 열이 나며 높은 열이 나면서 물을 많이 마시고 숨이 차며 가슴이 답답하고 오른쪽 뺨이 붉다. 이때는 사백산(瀉白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腎虛熱者下竄畏明穳赤色地黃元(方見五藏)主之《入門》
신열(腎熱)/소아
신이 허하여 나는 열은 눈을 내리뜨고 밝은 것을 싫어하며 턱이 붉다. 이때는 지황원(地黃元,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潮熱者似潮有信每日應時而發過時卽止宜用通心飮(方見上)甘露飮梨漿飮《入門》
조열(潮熱)/소아
조열은 조수와 같이 날마다 그 시간이 되면 열이 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열이 내리는 것이다. 이때는 통심음(通心飮, 처방은 위에 있다), 감로음(甘露飮), 이장음(梨漿飮)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胎熱者胎中受熱生下而面赤眼閉大便秘小便赤黃不飮乳宜用生地黃湯及釀乳方以活之《湯氏》
태열(胎熱)/소아
태열은 태중에서 열을 받아 나서부터 얼굴이 붉고 눈을 감으며 대변이 굳고 오줌이 누르고 붉으며 젖을 먹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는 생지황탕(生地黃湯)을 쓰는 것이 좋고 동시에 양유방(釀乳方)을 쓰고 젖을 먹인다[탕씨].
骨蒸熱者肌瘦頰赤口乾潮熱盜汗五心煩躁宜用地仙散(方見火門)生犀散《錢乙》
골증열(骨蒸熱)/소아
골증열이 있으면 살이 여위고 뺨이 붉으며 입이 마르고 조열(潮熱)이 있으며 식은땀이 나고 가슴과 손발바닥이 번조하다. 이때는 지선산(地仙散,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 생서산(生犀散)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痰熱者面赤身熱喘咳胸膈不利咽喉有痰聲宜抱龍丸(方見上)《錢乙》
담열(痰熱)/소아
담열이 있으면 얼굴이 붉고 몸에서 열이 나며 숨이 차고 기침하며 가슴이 말째고[不利]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 이때는 포룡환(抱龍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秇熱者一日一發或二三日一發寒熱往來宜梨漿飮《入門》
학열( 熱)/소아
학열이 있으면 하루에 한번씩 발작하거나 2-3일에 한번씩 발작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이때는 이장음(梨漿飮)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風寒熱者發熱不歇身熱口中氣熱呵欠鼻塞宜人參羌活散《入門》
풍한열(風寒熱)/소아
풍한열이 있으면 계속 열이 나고 입김이 덥고 하품을 하며 코가 막힌다. 이때는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壯熱者遍身發熱一向熱而不已甚則發驚紩宜通心飮(方見上)人參羌活散《入門》
장열(壯熱)/소아
장열이 있으면 온몸에 계속 열이 나고 심하면 놀라면서 경련이 일어난다. 이때는 통심음(通心飮, 처방은 위에 있다),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實熱者身熱飮水大小便秘澁宜淸凉飮子(方見火門)《入門》
실열(實熱)/소아
실열이 있으면 몸에서 열이 나고 물을 켜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다. 이때는 청량음자(淸凉飮子, 처방은 화문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虛熱者身熱不飮水大小便如常宜服地骨皮散《入門》
허열(虛熱)/소아
허열이 있으면 몸에 열이 있으나 물을 마시지 않으며 대소변은 평상시와 같다. 이때는 지골피산(地骨皮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治小兒諸熱利小腸去心熱下驚涎寒水石滑石各一兩甘草二錢半右爲末每一錢暑月冷水調下寒月溫湯調下《得效》
한수석산(寒水石散)
어린이의 여러 가지 열증을 치료한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심열을 없애며 놀라면서 군침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한다.
한수석, 곱돌(활석) 각각 40g, 감초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여름에는 냉수에 타 먹이고 겨울에는 더운물에 타 먹인다[득효].
治潮熱寒水石石膏鬱金薄荷甘草各等分右爲末每一錢薄荷湯調下《得效》
감로음(甘露飮)
조열(潮熱)을 치료한다.
한수석, 서고, 울금, 박하,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 먹인다[득효].
治同上靑蒿童便浸一宿望乾柴胡人參黃芩前胡秦埵甘草各二分生梨一片薄荷二葉生地黃一寸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이장음(梨漿飮)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제비쑥(청호, 동변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시호, 인삼, 속썩은풀(황금), 전호, 진교, 감초 각각 0.8g, 생배(生梨) 한 쪽, 박하 2잎, 생지황 1치.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治胎熱生地黃赤芍藥川芎當歸瓜蔞根各一錢半右犫作一貼水煎乳母食後服以飼乳幷略與小兒服之《湯氏》
생지황탕(生地黃湯)
태열(胎熱)을 치료한다.
생지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유모가 끼니 뒤에 먹고 어린이에게 젖을 먹인다. 겸해서 약을 아이에게 조금 먹인다[탕씨].
治同上澤瀉二錢生地黃一錢半猪巔赤茯巔茵陳天花粉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乳母食後煎服《丹心》
양유방(釀乳方)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택사 8g, 생지황 6g, 저령, 벌건솔풍령(적복령), 더위지기(인진),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유모가 끼니 뒤에 달여 먹는다[단심].
治骨蒸熱犀角地骨皮赤芍藥柴胡乾葛甘草各三分右㵋末入薄荷五葉水煎服之《得效》
생서산(生犀散)
골증열(骨蒸熱)을 치료한다.
서각, 지골피, 함박꽃뿌리(적작약), 시호,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박하 5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득효].
治傷風寒發熱羌活獨活柴胡前胡枳殼桔梗人參赤茯巔川芎甘草各二分天麻地骨皮各一分右犫作一貼入薄荷三葉水煎服《綱目》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풍한에 상하여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시호, 전호, 지각, 도라지(길경),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0.8g, 천마, 지골피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박하 3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강목].
治虛熱知母半夏柴胡人參地骨皮赤茯巔甘草各三分右爲㵋末入薑三片水煎服《錢乙》
지골피산(地骨皮散)
허열(虛熱)을 치료한다.
지모, 끼무릇(반하), 시호, 인삼, 지골피,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전을].
治諸熱及驚熱煩躁人參茯神防風朱砂柴胡各二錢金箔三十片右爲末蜜丸梧子大每一丸竹瀝調下《直小》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여러 가지 열과 경열(驚熱)로 번조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 백복신, 방풍, 주사, 시호 각각 8g, 금박 30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기름(죽력)에 타 먹인다[직소].
凡小兒生理本天一生水之妙凡治病以水道通利爲捷徑此方淸心利水小便所以散火也凡小兒蘊熱丹毒驚風痰熱變蒸發熱之病用之最當而嘔吐瀉利無不治也燈心一兩六錢以米粉漿水洗望乾爲末入水澄之浮者爲燈心取二錢半入赤茯巔白茯巔茯神各一錢七分滑石猪巔各二錢半澤瀉三錢右爲末用人參一兩煎膏和丸如櫻桃大朱砂爲衣金箔嚸之每一丸以燈心麥門冬湯或薄荷湯化下《入門》
천을환(天乙丸)
태아가 생겨나는 이치도 하늘이 제일 먼저 수를 생하는 법칙에 근거하였으므로 모든 병을 치료할 때에는 오줌을 잘 통하게 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다. 처방은 심열(心熱)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함으로써 화를 내린다. 어린이의 심한 열과 단독(丹毒), 경풍(驚風), 담열(痰熱), 변증열(變蒸熱) 등에 쓰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다 치료한다.
골풀속살(등심초, 64g을 쌀가루죽웃물로 씻어서 햇볕에 말려 가루낸 다음 물에 넣고 가라앉히는데 위에 뜨는 것이 골풀속살이다) 10g,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솔풍령(백복령), 백복신 각각 6.8g, 곱돌(활석), 저령 각각 10g, 택사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인삼 40g을 고약처럼 달인 것과 함께 반죽한 다음 앵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겉에 입히고 금박으로 싼다. 한번에 1알씩 골풀속살(등심초)과 맥문동을 넣고 달인 물이나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食積者凡小兒失乳以食飼之未有食腸不能剋化致成食積腹脹瘦弱痢色無常《東垣》○積證有傷乳傷食而身體熱者惟屠熱爲甚耳夜間有熱者傷積之明驗也《永類》○小兒積證面黃腫○腹脹○多嘔○小便如油○眼睛黃○腹內虛鳴○多睡○赤白痢下○多瀉凡有積滯須辨虛實實者可服進食丸消食丸虛而有疳瘦者宜服肥兒丸(方見上)○小兒病癖由乳食不消伏在腹中乍凉乍熱飮水不止或喘而嗽與潮熱相類若不早治必成勞疳寒熱飮水脇下有形硬痛法當用藥漸消磨之以其有琋癖故令兒不食脾胃虛而發熱故引飮也《錢乙》○癖塊者僻於兩脇搽結者否於中脘皆因乳哺失節飮食停滯邪氣相搏而成也《回春》○乳食積宜用七聖丸厚腸丸白餠子○癖塊宜用紫霜丸(方見上)六味三稜丸廣朮化癖丸千金消癖丸化癖如神散○愛喫泥土宜淸胃養脾湯治喫泥方《綱目》
적과 벽[積癖]
식적(食積)은 대개 어린이에게 젖이 없을 때에 밥을 먹이면 위장이 소화를 시키지 못하여 되는 것이다.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면서 약해지고 일정치 않은 빛의 이질을 앓는다[동원].
○ 적병(積病)에는 젖에 상한 것과 음식에 상한 것이 있는데 몸에 열이 있으면서 배에 열이 더 심하며 밤에 열이 있는 것은 적병이 분명하다[영류].
○ 어린이의 적병의 증상은 얼굴이 누르고 부으며 배가 불러 오르고 구역을 많이 하며 오줌이 기름 같고 눈알이 누르며 배가 끓고 잠이 많으며 피곱이 섞인 이질과 설사를 많이 한다. 적체(積滯)는 반드시 허하고 실한 것을 구별하여 치료해야 하는데 실증일 때에는 진식환(進食丸), 소식환(消食丸)을 먹이고 허해서 감질이 생겨 여위 데는 비아환(肥兒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이는 것이 좋다.
○ 어린이가 벽증으로 앓으면 젖과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벽증이 뱃속에 있기 때문에 잠깐 싸늘해졌다 잠깐 열이 났다 하고 계속 물을 켜며 숨이 차하고 기침하며 조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허로(虛勞)와 감질(疳疾)이 되는데 추웠다 열이 나면서 물을 켜며 옆구리에 뜬뜬한 덩어리가 있으면서 아픈 데는 약을 써서 천천히 없애야 한다. 징벽( 癖)이 있어서 어린이가 먹지 못하고 비위가 허하여 열이 나므로 물을 켜는 것이다[전을].
○ 벽괴(癖塊)는 양쪽 옆구리에 치우쳐 있고 비결( 結)은 중완(中脘)에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다 젖과 음식을 조절하여 먹이지 못하여 먹은 음식이 체한 데다 사기가 겹쳐서 된 것이다[회춘].
○ 젖과 음식으로 생긴 적은 칠성환(七聖丸), 후장환(厚腸丸), 백병자(白餠子)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벽괴에는 자상환(紫霜丸, 처방은 위에 있다),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진흙을 먹기 좋아하는 데는 청위양비탕(淸胃養脾湯)과 흙 먹기를 즐겨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消癖積木香枳殼當歸代澋石朱砂各三錢巴豆霜一錢麝香五分右爲末恪糊和丸黍米大一歲兒取二三丸米飮呑下《局方》
진식환(進食丸)
벽과 적을 삭힌다.
목향, 지각, 당귀, 대자석, 주사 각각 12g, 파두상 4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2-3알씩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治宿食不消消乳積食積香附子炒五錢縮砂陳皮三稜蓬朮神麴麥芽各二錢半右爲末神麴糊和丸麻子大依上法服之《湯氏》○一名消乳丸《回春》
소식환(消食丸)
오랜 체기로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유적(乳積)과 식적(食積)을 삭힌다.
향부자(닦은 것) 20g, 사인, 귤껍질(陳皮), 삼릉, 봉출,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 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먹인다[탕씨].
○ 일명 소유환(消乳丸)이라고도 한다[회춘].
治乳食積三稜蓬朮川練子靑皮陳皮洑花杏仁泥各等分右先用醋浸洑花一宿炒漸乾次入蓬稜同炒赤色又入陳練再炒令微焦取出爲末入杏仁泥和勻醋糊和丸黍米大一歲兒常服二丸臨臥溫湯送下使日間所食之物一夜而化永無疳疾能使黃瘦子頓作化生兒《湯氏》
칠성환(七聖丸)
유적(乳積)과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삼릉, 봉출,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원화, 살구씨(행인, 풀지게 간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에서 먼저 원화를 하룻밤 식초에 담갔다가 볶아서 약간 말린다. 그 다음 삼릉과 봉출을 넣고 벌겋게 되도록 닦은 다음 또 귤껍질(陳皮)과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를 넣고 다시 닦아서 약간 검누르면 꺼낸다. 이것을 가루내어 살구씨를 풀지게 간 것과 함께 섞어서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2알씩 잠잘 무렵에 더운물로 먹이면 낮에 먹은 음식이 하룻밤 사이에 소화되어 영영 감질이 없어지고 누르고 여위었던 아이가 딴 아이로 된다[탕씨].
治乳食積腹脹瘦弱枳實麥芽神麴末各五分橘紅半夏蒼朮人參各三分厚朴靑皮各二分右爲末恪糊和丸麻子大溫水下二三十丸《東垣》
후장환(厚腸丸)
유적과 식적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며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지실, 보리길금(맥아), 약누룩(신국)가루 각각 2g, 귤홍,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인삼 각각 1.2g, 후박, 선귤껍질 각각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더운물로 먹인다[동원].
腹中有癖則不食但飮乳此主之滑石輕粉白附子南星礐各一錢爲末巴豆二十四粒去皮膜水一升煮水盡爲度右硏勻姎米飯和丸如菉豆大檢作餠子三歲以下一二餠三歲以上三五餠瘳白湯下《錢氏》○一名玉餠子一名白玉餠《入門》○人乳味甘戀膈易於停積小兒之病多繫於此此方南星以豁痰輕粉滑石以瀉濕熱巴豆去積所以爲妙《丹心》
백병자(白餠子)
뱃속에 벽이 있어서 밥을 먹지 않고 다만 젖만 먹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경분,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4g(가루낸다), 파두 24알(껍질과 막을 버리고 물 1되를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다).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찹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처럼 만든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1-2개씩, 3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3-5개씩 파밑(총백) 달인 물로 먹인다[전씨].
○ 일명 옥병자(玉餠子)라고도 하고 또는 백옥병(白玉餠)이라고도 한다[입문].
○ 사람의 젖은 맛이 달고 잘 내리지 않아서[膈易於停] 적(積)이 되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병은 대개 이와 관련된다. 이 처방에서 천남성은 담을 헤치고 경분, 곱돌(활석) 등은 습열을 내리며 파두로는 적을 없애기 때문에 묘한 것이다[단심].
治未喫食小兒有癖積者蓬朮三稜拄氖神麴麥芽拄炒靑皮陳皮各等分右爲末恪糊和丸菉豆大白湯下一二十丸《丹心》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밥을 먹지 못하는 어린이가 벽과 적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봉출, 삼릉(모두 잿불에 묻어 구운 것),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모두 닦은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단심].
治乳癖食琋木香五錢代澋石禭醋柒當歸炒朱砂硏枳殼炒蓬朮三稜拄礐各二錢半麝香巴豆霜各一錢二分半右爲末恪糊和丸麻子大一歲兒米飮下二三丸《丹心》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유벽(乳癖)과 식징(食 )을 치료한다.
목향 20g, 대자석(달구어 식초에 담근 것), 당귀(닦은 것), 주사(간 것), 지각(닦은 것), 봉출, 삼릉(모두 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사향, 파두상 각각 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2-3알씩 미음으로 먹인다[단심].
治小兒癖塊水紅花子微炒神麴炒麥芽炒各四錢人參白朮白茯巔各三錢使君子胡黃連山擀肉香附子三稜蓬朮拄醋炒各二錢蘆籲阿魏靑黛木香檳峹厚朴陳皮甘草各一錢右將阿魏硏水和恪打糊和丸菉豆大白湯下三四十丸《回春》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어린이의 벽괴(癖塊)를 치료한다.
수홍화자(약간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16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g, 사군자, 호황련, 찔광이(산사), 향부자, 삼릉, 봉출(모두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8g, 노회, 아위, 청대, 목향, 빈랑, 후박,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에서 먼저 아위를 물에 갈아서 나머지 약들을 가루낸 것과 함께 밀가루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회춘].
治搽塊積聚蟾曧黃蠟各二錢巴豆肉一錢羚羊角末牛黃各五分麝香三分怄砂龍腦各一分右爲末丸如菜子大每用一丸以鍼刺破患處用藥貼上一伏時揭起其搽化膿血出盡而愈《回春》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비괴( 塊)와 적취(積聚)를 치료한다.
두꺼비진(섬소), 황랍 각각 8g, 파두육 4g, 영양각가루, 우황 각각 2g, 사향 1.2g, 노사, 용뇌 각각 0.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배추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되 침으로 아픈 곳을 찔러 터뜨린 다음 약을 그 위에 붙여 2시간쯤 지난 후에 떼면 그 비괴가 피고름으로 되어 나오고 낫는다[회춘].
治小兒愛喫泥土乃脾虛胃熱所致石膏一錢陳皮白朮赤茯巔甘草黃芩各二分右犫作一貼水煎時時服之《回春》
청위양비탕(淸胃養脾湯)
어린이가 흙 먹기를 좋아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그것은 비(脾)가 허(虛)하고 위(胃)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석고 4g,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속썩은풀(황금)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때때로 먹인다[회춘].
治小兒喫泥土及槂屠(槂音讓脹也)媐粉一分砂糖搜和丸麻子大空心米飮下一丸瀉出土卽差《綱目》○小兒食土取好土濃煎黃連取淸汁搜和日乾與服卽止名曰黃金餠《回春》
흙 먹기를 즐겨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治喫泥方]
어린이가 흙 먹기를 즐겨하는 것과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경분 0.4g을 사탕과 함께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여 흙을 설사하게 하면 곧 낫는다[강목].
○ 어린이가 흙을 먹는 데는 좋은 흙을 황련을 진하게 달인 웃물로 개어서 볕에 말려 먹이면 곧 낫는다.
○ 일명 황금병(黃金餠)이라고도 한다[회춘].
小兒吐瀉泄黃傷熱乳也吐瀉泄靑傷冷乳也皆當下白餠子主之(方見上)下後傷熱乳者玉露散傷冷乳者益黃散(方見五藏)服之《正傳》○初生月內吐瀉宜朱砂丸後以朱沈煎調之○初生吐瀉大便色白停乳也紫霜丸下後用香橘餠○吐瀉昏睡露睛者胃虛熱也宜白朮散(方見上)和中散吐瀉昏睡不露睛者胃實熱也宜益元散(方見暑門)玉露散○暑月吐瀉身熱宜玉露散或五巔散(方見寒門)益元散各半調服○寒月吐瀉身冷宜益黃散(方見五藏)理中湯(方見寒門)○吐瀉有寒痰半粟散主之○小兒初生拭口中穢惡不盡嚥入喉中故吐不止宜用木瓜丸○如吐驟或瀉完穀者傷風甚也凡傷風多作吐瀉者風木好侵脾土故也宜大靑膏(方見上)○吐瀉不止危甚者用燒鍼丸○經年吐乳眼慢糞穢有筋膜者乃父母交感時喫乳所致名曰交精吐婭宜用益黃散五疳保童元(方見上)○吐瀉久將成慢驚風宜用和胃丸雙金元(方見上)《錢乙》○小兒吐瀉通用助胃膏最妙《湯氏》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를 하는데 누런 대변을 설하는 것은 더운 젖에 상한 것이고 퍼런 대변을 설하는 것은 찬 젖에 상한 것이다. 이런 때에는 다 설사를 시켜야 하는데 백병자(白餠子, 처방은 위에 있다)를 주로 쓴다. 설사한 뒤에 더운 젖에 상한 데는 옥로산(玉路散)을 먹이고 찬 젖에 상한 데는 익황산(益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먹인다[정전].
○ 갓 나서 1달 전에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주사환(朱砂丸)을 먹이고 나서 주침전(朱沈煎)으로 조리하는 것이 좋다.
○ 갓 나서 토하고 설사하는데 대변빛이 흰 것은 젖에 체한 것이므로 자상환(紫霜丸)을 먹여 설사시킨 뒤에 향귤병(香橘餠)을 쓴다.
○ 토하고 설사하며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눈을 채 감지 못하는 것은 위에 실열이 있는 것이므로 익원산(益元散, 처방은 서문(暑門)에 있다), 옥로산(玉露散)을 쓴다.
○ 여름철에 토하고 설사하며 몸에서 열이 나는 데는 옥로산이나 오령산(五 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익원산을 각각 절반씩 타 먹인다.
○ 겨울철에 토하고 설사하며 몸이 싸늘한 데는 익황산(益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과 이중탕(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토하고 설사하면서 한담이 있는 데는 반속산(半粟散)을 주로 쓴다.
○ 갓 나서 애기의 입 안의 구정물을 다 닦아 주지 않아서 그것을 삼킨 탓으로 계속 토하는 데는 모과환(木瓜丸)을 쓰는 것이 좋다.
○ 만일 자주 토하거나 먹은 것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하는 것은 풍에 몹시 상한 것이다. 대체로 풍에 상하여 토하고 설사를 많이 하게 되는 것은 풍목(風木)이 비토(脾土)를 침범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대청고(大靑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 계속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위태롭게 된 데는 소침환(燒鍼丸)을 쓴다.
○ 여러 해 동안 젖을 토하며 눈이 풀리고 똥냄새가 역하고 힘줄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은 성교 때 갓난아이에게 젖을 먹였기 때문인데 그것을 교정토내(交精吐 )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익황산(益黃散),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오래되어서 만경풍이 되려는 데는 화위환(和胃丸), 쌍금원(雙金元,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조위고(助胃膏)를 두루 쓰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탕씨].
治暑月吐瀉身熱或煩渴石膏寒水石各五錢生甘草一錢右細末或半錢或一錢溫水凉水任下《錢乙》
옥로산(玉露散)
여름철에 토하고 설사하면서 몸에 열이 나거나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 한수석 각각 20g, 감초(생것)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g 혹은 4g씩 따뜻한 물이나 찬물로 먹인다[전을].
治初生兒吐瀉此因穢惡入胃中所致朱砂南星巴豆霜各等分右爲末糊丸黍米大以薄荷湯化下二三丸後以朱沈煎調之《入門》
주사환(朱砂丸)
갓난아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구정물이 위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주사, 천남성, 파두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이고 나서 주침전(朱沈煎)으로 조리한다[입문].
朱砂二錢藿香三錢滑石五錢丁香十四粒右爲末以新汲水一盞入麻油滴成花抄藥五分在上須臾墜下澄去水別用溫水下○月內生嘔先用朱砂丸下之次用朱沈煎墜其邪氣使穢物自下而不爲嘔也《綱目》
주침전(朱沈煎)
주사 8g, 곽향 12g, 곱돌(활석) 20g, 정향 14개.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새로 길어온 물 1잔에 참기름을 떨구어 넣으면 꽃처럼 기름방울이 뜬다. 여기에다 약가루 2g을 떠놓으면 잠깐 사이에 가라앉는다. 그러면 그 웃물은 찌워 버리고 다른 따뜻한 물로 먹인다.
○ 한 달 전에 난 갓난아이가 토하는 데는 먼저 주사환으로 설사시키고 다음에 주침전으로 사기를 몰아내면 속에 있는 구정물이 절로 내려가면서 토하지 않는다[강목].
治初生停乳吐瀉木香橘皮靑皮各二錢半厚朴神麴麥芽縮砂各五錢右爲末蜜丸咯實大每一丸以紫蘇煎湯或米飮任下《入門》
향귤병(香橘餠)
갓 나서 젖에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귤껍질(陳皮), 선귤껍질 각각 10g, 후박,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사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차조기잎(자소엽) 달인 물이나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和胃止吐瀉定煩渴人參白朮白茯巔甘草灸乾葛黃妉白扁豆炒藿香各二分半右㵋末作一貼入薑五片棗二枚水煎服《錢乙》○一方治腹痛泄瀉厚朴一錢白朮五分乾薑甘草各三分水煎服亦名和中散《正傳》
화중산(和中散)
위를 편안하게 하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며 번갈증을 없앤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닦은 것), 칡뿌리(갈근), 단너삼(황기), 까치콩(백편두, 닦은 것), 곽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낸 다음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전을].
○ 어떤 처방에는 복통과 설사를 치료하는 데는 후박 4g, 흰삽주(백출) 2g, 건강, 감초 각각 1.2g을 함께 넣고 달여 먹인다. 이것도 화중산(和中散)이라고 했다[정전].
治吐涎沫或白綠水者胃冷宜用此半夏薑製二錢陳粟米一錢右作一貼入薑十片水煎服《正傳》
반속산(半粟散)
위가 차서 거품침이나 희고 푸른 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8g, 묵은 좁쌀 4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10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정전].
治初生吐不止木瓜麝香木香檳峹媐粉各一字右爲末恪糊和丸如黍米大甘草湯下一二丸《正傳》
모과환(木瓜丸)
갓 나서 계속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모과, 사향, 목향, 빈랑, 경분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알씩 감초 달인 물로 먹인다[정전].
治內傷乳食吐瀉不止危甚者黃丹朱砂白礬枯各等分右爲末棗肉和丸咯實大每一丸用鍼挑於燈焰上燒存性乳汁或米飮化下此藥淸鎭專主吐瀉《醫鑑》
소침환(燒鍼丸)
젖과 음식에 체하여 계속 토하고 설사하여 몹시 위태로운 것을 치료한다.
황단, 주사, 백반(구운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바늘에 꿰서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젖이나 미음에 타 먹인다. 이 약은 열을 내리고 진정시키는 힘이 있어서 순전히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의감].
治吐瀉不止欲生慢驚丁香白朮各一兩半夏五錢藿香蝎尾各一錢右爲末薑汁糊和丸小豆大一歲兒十丸薑湯化下《綱目》
화위환(和胃丸)
계속 토하고 설사하여 만경풍이 생기려는 것을 치료한다.
정향, 흰삽주(백출) 각각 40g, 끼무릇(반하) 20g, 곽향, 전갈꼬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0알씩 생강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강목].
治小兒吐瀉和脾胃進乳食最妙山藥五錢人參白朮白茯巔陳皮甘草各二錢半木香一錢縮砂二十箇白豆埼七箇肉豆埼二箇右爲末蜜丸夿子大每一丸米飮化下或爲末木瓜湯調下一錢《湯氏》
조위고(助胃膏)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비위를 편안하게 하고 젖과 음식을 잘 먹게 하는데 아주 좋다.
마 20g, 인삼,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10g, 목향 4g, 사인 20개, 백두구 7개, 육두구 2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모과 달인 물에 타 먹인다[탕씨].
一五歲兒吐瀉壯熱不思食飮錢氏見曰此兒目中黑睛少而白睛多面色晄白必多病夫面色晄白者神怯也黑睛小者腎虛也黑睛屬水本怯而虛故多病也縱長成必肌膚不壯不耐寒暑易虛易實脾胃亦怯更不可縱恣酒色若不保養不過壯年也面上常無精神光澤者如婦人之失血也今吐利不食壯熱者傷食也又虛怯不可下下之虛入肺則嗽入心則驚入脾則瀉入腎則益虛但以消積丸磨化之爲微有食積也《錢乙》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어떤 5살 난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면서 열이 몹시 나며 음식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을 전씨(錢氏)가 보고 말하기를 이 아이는 눈에 검은 자위가 적고 흰자위가 많으며 얼굴빛이 희므로 반드시 병이 많을 것이라고 하였다. 대체로 얼굴빛이 흰 것은 신기(神氣)가 약해진 것이고 눈에 검은자위가 적은 것은 신(腎)이 허한 것이다. 눈의 검은자위는 신수(神水)에 속하므로 근본이 약하고 허하기 때문에 병이 많은 것이다. 비록 성장하더라도 반드시 살이 단단치 못하여서 추위와 더위를 견뎌 내지 못할 것이며 허해지기도 쉽고 실해지기도 쉬우며 비위도 또한 약해질 것이므로 함부로 주색을 즐겨 해서는 안 된다. 만일 보해 주지 않으면 중년기를 넘기지 못한다. 만일 얼굴에 늘 정기와 윤기가 없는 것은 부인이 피를 많이 흘린 것과 같다. 지금 토하고 설사하면서 먹지 못하고 열이 몹시 나는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다. 또한 허하고 약하면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설사시켜서 폐가 허해지면 기침하고 심이 허해지면 놀라며 비가 허해지면 설사하고 신이 허해지면 더욱 허해진다. 그러므로 소적환(消積丸)으로 점차 없어지게 해야 한다. 이것은 식적(食積)이 있기 때문이다[전을]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의보감[잡병편] 소아1- 東醫寶鑑雜病篇券之十一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소아1-1* (0) | 2013.10.08 |
소아3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소아5- 東醫寶鑑雜病篇卷之十一終*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부인 1 2 3 4 목록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