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병리학 자료

[스크랩] [잡병편]소아1-1*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10. 8. 10:36

驚有四證八候

四證者驚風痰熱也小兒熱盛生痰痰盛生驚驚盛發紩紩盛則牙關緊急而八候生焉《直小》○其肝主風其脾生痰其肺作熱其心發驚四證相臨重者先發《直小》○八候者一四顫五反六引七八視也者兩手伸縮者十指開合者勢如相撲顫者頭偏不正反者身仰向後引者臂若開弓者目直似怒視者睛露不活《直小》○又云一者臂狪紩縮○二者十指開合之不已卽成握拳男子看大拇指其指握在外爲順在裏爲逆女子反看之○三者肩膊紩疦或連身跳起○四顫者或手或脚或頭或身四體顫動○五反者身首反張○六引者以手有如挽弓狀男左手直右手曲爲順右直左曲爲逆女子反看之○七者眼上方瓫高男子上爲順下爲逆女子反看之○八視者男子斜目視左爲順視右爲逆視女子反看之《直小》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증이라는 것은 (), (), (), ()이다. 어린아이가 열이 성하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놀라며 몹시 놀라면 경련을 일으키고 경련이 심하면 이를 악물면서 8후가 나타난다[직소].

간은 풍을 주관하고 비는 담을 생기게 하며 폐는 열을 생기게 하고 심은 놀라게 하는데 4증을 겸한 때에는 중한 것이 먼저 나타난다[직소].

8후는 첫째로 ( )이고, 둘째로 ( )이며, 셋째로 ( )이고, 넷째로 ()이며, 다섯째로 ()이고, 여섯째로 ()이며, 일곱째로 ()이고, 여덟째로 ()이다. 휵은 손을 폈다 오그렸다 하는 것이고 익은 손가락을 폈다 오그렸다 하는 것이다. 철은 팔을 내젓는 것이고 전은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반은 몸이 뒤로 젖혀지는 것이다. 인은 팔이 활줄을 당기는 같은 것이고 찬은 눈알이 곧추 서서 성난 것처럼 부릅뜬 것이다. 시는 흘겨 보면서 돌지 않는 것이다[직소].

또는 첫째로 휵은 팔을 폈다 오그렸다 하는 것이고, 둘째로 익은 손가락을 폈다 오그렸다 하는 것이다. 이것이 멎지 않으면 주먹을 쥐게 되는데 주먹을 남자가 엄지손가락이 밖으로 나오면 순증(順證)이고 안으로 들어가면 역증(逆證)이다. 여자는 이와 반대로 나타난다. 셋째로 철은 어깨와 팔이 오그라들면서 잡아당기거나 온몸까지 들먹이는 것이다. 넷째로 전은 손발, 머리 온몸이 떨리는 것이다. 다섯째로 반은 몸과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이다. 여섯째로 인은 손이 활을 당기는 것처럼 한쪽 팔은 펴고 한쪽 팔은 오그리는 것이다. 남자는 왼팔을 펴고 오른팔을 오그리는 것이 순증이며 오른팔을 펴고 왼팔을 오그리는 것은 역증이다. 여자는 이와는 반대로 나타난다. 일곱째로 찬은 눈을 위로 치떠서 높은 곳을 보는 것과 같다. 남자가 위로 치뜨는 것은 순증이고 아래로 내리뜨는 것은 역증이다. 여자는 이와는 반대로 나타난다. 여덟째로 시는 흘겨 보는 것이다. 남자가 왼쪽으로 흘겨 보는 것은 순증이고 오른쪽으로 흘겨 보는 것은 역증이다. 여자는 이와는 반대로 나타난다[직소].

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盖實熱爲急驚虛熱爲慢驚慢驚本無熱所以熱者虛使然爾急驚屬陽用藥以寒慢驚屬陰用藥以溫甚不可以陰陽無別故曰熱論虛實者此也○男左視左女右視右○男眼上女眼下○男握拇指出外女握拇指入裏○男引手挽左直右曲女引手挽右直左曲凡此皆順反之則逆亦有先左而後雙者但順則無聲逆則有聲其指紋形勢彎弓入裏者順出外者逆出入相半者難故曰證別逆順者此也○熱盛生痰痰盛生驚驚盛生風風盛發先於截風治風先於利驚治驚先於豁痰治痰先於解熱其若四證俱有又當兼施理一或有遺必生他證故曰治有先後者此也《直指》○凡痰因氣鬱氣順則痰化而自止先以蘇合香元(方見氣門)以薄荷湯入薑汁化下或星香散(方見下)《入門》

경풍은 대개 열로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것과 먼저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대체로 실열(實熱) 급경풍(急驚風) 되고 허열(虛熱) 만경풍(慢驚風) 된다. 만경풍은 본래 열이 없지만 열이 나는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 급경풍은 양증(陽證) 속하므로 성질이 더운약을 써야 것이다. 그러므로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지 않을 없다. 때문에 열론(熱論)에서 열을 허실로 구분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남자는 경풍 왼쪽으로 가드라들고 왼쪽으로 보며 여자는 오른쪽으로 가드라들고 오른쪽으로 본다.

남자는 눈을 위로 치뜨고 여자는 내리뜬다.

남자는 엄지손가락이 밖으로 가게 주먹을 쥐고 여자는 엄지손가락이 안으로 가게 주먹을 쥔다.

남자는 활을 당기는 것처럼 하는데 왼쪽 팔을 펴고 오른쪽 팔을 오그리며 여자는 활을 당기는 것처럼 하는데 오른쪽 팔을 펴고 왼쪽 팔을 오그리는 것은 모두 순증이고 이와 반대되는 것은 역증이다. 먼저 왼쪽을 오그리다가 후에 양쪽을 오그리는 것도 있다. 다만 경련이 이는데 순증이면 소리를 지르지 않고 경련이 이는데 역증이면 소리를 친다. 그리고 지문(指紋) 구부러져서 안쪽으로 향한 것은 순증이고 밖으로 향한 것은 역증이다. 구부러든 것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절반씩 되는 것은 낫기 어렵다. 그래서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갈라 놓은 것이 바로 이것이다.

열이 심하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놀란다. 몹시 놀라면 풍이 일어나고 풍이 성하면 경련이 일어난다. 경련을 치료하려면 먼저 풍을 없애야 한다. 풍을 치료하려면 먼저 놀라는 것을 치료할 것이다. 놀라는 것을 치료하려면 먼저 담을 치료할 것이고 담을 치료하자면 먼저 열을 없애야 한다. 만일 4가지 증이 있으면 반드시 다른 증이 발생할 있다. 그래서 치료에서 먼저 것과 나중에 것이 있다고 것이 바로 이것이다[직지].

대개 ()으로 경련이 생기는 것은 기울(氣鬱) 인하여 생기기 때문에 기가 돌면 담이 삭아지면서 경련이 저절로 멎는다. 이때는 먼저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은 기문에 있다) 박하 달인 물에 생강즙을 넣은 데다 풀어 먹인다. 성향산(星香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쓴다[입문].

之證有五

一也而有晨夕之分表裏之異身熱力大者爲急驚身冷力小者爲慢驚地作聲醒時吐沫者爲癎頭目仰視者爲天吊角弓反張者爲治各不同也○因潮熱變爲縮在早晨寅卯辰時者肝旺也當補腎治肝補腎地黃元治肝瀉靑丸○因潮熱發在巳午未時者心旺也當補肝治心補肝地黃元治心導赤散凉驚丸(方見下)○因潮熱發在申酉戌時者此肺用事之時也是肝旺當補脾益黃散治肝瀉靑丸治心導赤散盖脾病肝强法當補脾恐木賊害故先瀉心肝以挫其强而後補脾○因潮熱發在亥子丑時者此腎用事之時也當補脾治心補脾益黃散治心導赤散凉驚丸《錢乙》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 之證有五]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것은 가지인데 새벽에 발작하는 것과 저녁에 발작하는 것이 다르고 표증(表證) 것과 이증(裏證) 것이 다르다. 몸에 열이 나고 병세가 심한 것은 급경풍이고 몸이 차고 병세가 약한 것은 만경풍이다. 땅에 넘어지면서 소리를 치다가 깨어날 때에 거품침을 흘리는 것은 간질(癎疾)이다. 머리를 젖히고 눈을 위로 치뜨는 것은 천조증(天弔證)이며 몸이 활과 같이 뒤로 젖혀지는 것은 치병( )이라고 하는데 치료법은 각기 다르다.

조열(潮熱) 경련이 아침 3-9시에 발작하는 것은 ()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 보하고 간을 치료해야 한다. 신을 보하는 데는 지황원(地黃元) 쓰고 간을 치료하는 데는 사청환(瀉靑丸) 쓴다.

조열로 경련이 9-15시에 발작하는 것은 ()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 보하고 심을 치료하여야 한다. 간을 보하는 데는 지황원을 쓰고 심을 치료하는 데는 도적산(導赤散), 양경환(凉驚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 쓴다.

조열로 경련이 15-21시에 발작하는 것은 이때 () 작용하는 시기이고 () 왕성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익황산(益黃散)으로 () 보해야 하고 사청환(瀉靑丸)으로 간을 치료하고 도적산(導赤散)으로 () 치료해야 한다. 대체로 비가 병들고 간이 왕성한 때에는 응당 비를 보해야 한다. 그것은 목이 해할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심과 간을 사하여 강한 것을 누른 다음에 비를 보해야 한다.

조열로 경련이 21-1시에 발작하는 것은 이때에 () 작용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 보하고 () 치료해야 한다. 비를 보하는 데는 익황산을 쓰고 심을 치료하는 데도 도적산, 양경환을 쓴다[전을].

⼗紩媛喡犍輕重

百日內發眞者不過兩三次必死假者頻發不爲重眞者內生驚癎假者外傷風冷盖氣血未實不能勝任乃發也欲知假者口中氣出熱治之可發散大靑膏主之(方見下)《錢乙》○其有紩媛反張斜視而牙關不緊口無痰涎者多是外感或內傷夾驚而成謂之假非內生驚癎也宜參蘇飮(方見寒門)人參羌活散(方見下)《入門》○紩媛者手足牽引一伸一縮卽喡犍之甚者也《河間》○閻孝忠曰似而不甚此名喡犍○凡男左女右爲順易治男右女左爲逆難治○急驚初則紩媛俱作久而住只有急有緩但只肩動喡犍喡犍者候之輕也則盛也又重也《直小》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 輕重]

안으로 이는 경련이 ()성이면 2-3차를 지나지 않아 죽을 있고 ()성이면 자주 발작하여도 ()해지지 않는다. 진성인 것은 속으로 경간(驚癎) 생긴 것이고 가성인 것은 겉으로 풍랭(風冷) 상한 것이다. 기혈이 충실치 못하여 구실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련이 발작된다. 가성인 것은 입김이 더운 것으로 아는데 치료는 발산시켜야 한다. 이때는 대청고(大靑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 주로 쓴다[전을].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몸이 뒤로 젖혀지며 눈을 흘겨 보면서 이를 악물지 않고 담이 없는 것은 대개 외감(外感)이다. 내상(內傷)으로 경풍을 겸하게 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휵경풍증에서의 가성이고 속에서 생긴 경간(驚癎) 아니다. 이런 때에는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쓰는 것이 좋다[입문].

휵닉은 손발이 당기면서 폈다 오그라졌다 하는 것인데 이것은 계종( ) 심한 것이다[하간].

염효충(閻孝忠) 같으면서도 심하게 경련이 일지 않는 것은 계종이라고 하였다.

대체로 팔다리의 경련이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발작하는 것은 순증이므로 치료하기 쉽고 남자는 오른쪽에 여자는 왼쪽에 발작하는 것은 역증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급경풍 초기에는 휵과 익이 함께 발작하다가 오래되면 휵은 멎고 익만 있는데 이에는 급하고 완만한 것이 있다. 어깨만 움직이는 것은 계종이다. 계종은 증상이 경한 것이고 휵은 그보다 중하고 익은 중한 것이다[직소].

有聲無聲

驚癎發男發目左視無聲右視有聲女發目右視無聲左視有聲相勝故也更有發時證○又曰男反右視女反左視亦皆有聲《錢氏》○男爲木故左視木位無聲右視金位相擊則有聲女爲金故右視金位無聲左視木位有聲相擊故也《易老》○一童子三歲發自卯至巳目右視大哭錢氏曰此逆也男爲陽木發左視無聲則順右視有聲則逆所以然者左肝木也右肺金也逆則二藏相戰金木相擊而有聲也治宜瀉强補弱假令女發目左視是肺來乘肝肝不能任故哭也當瀉其肺後治其心續治其肝《錢乙》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 有聲無聲]

경간(驚癎)으로 경련이 발작할 남자는 눈알이 왼쪽으로 돌아가면 소리를 지르지 않고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소리를 지른다. 여자의 눈알이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소리를 지르지 않고 왼쪽으로 돌아가면 소리를 지른다. 이것은 서로 이기기 때문이다. 발작하는 시간을 보는 증상도 있다.

또는 남자의 눈이 오른쪽으로 돌아가고 여자의 눈이 왼쪽으로 돌아가는 것도 소리를 지른다[전씨].

남자는 () 해당되기 때문에 왼쪽으로(목의 위치를) 때에는 소리를 지르지 않고 오른쪽으로(금의 위치를) 서로 부딪치면서 소리를 지른다. 여자는 () 해당되기 때문에 오른쪽으로(금의 위치를) 때에는 소리를 지르지 않고 왼쪽으로(목의 위치를) 서로 부딪치기 때문에 소리를 지른다[역로].

아이가 3 때에 경련이 5-12시에 발작하면서 눈이 오른쪽으로 돌아가고 소리로 우는데 전씨(錢氏) 이것을 역증(逆證)이라고 하였다. 남자는 양이고 목에 해당하며 발작할 때에 왼쪽을 보고 소리가 없는 것은 순증(順證)이며 오른쪽을 보고 소리를 지르면 역증이다. 그것은 왼쪽은 간목(肝木)이고 오른쪽은 폐금(肺金)이기 때문이다. 역증일 때는 개의 장이 서로 싸워 금과 목이 서로 부딪치면서 소리를 지른다. 치료법에서 강한 것은 ()하고 약한 것은 ()한다. 가령 여자가 경련이 발작할 때에 눈이 왼쪽으로 돌아가는 것은 () () 타누르는 것이다. 이때 간이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리로 우는 것이다. 치료법은 반드시 폐를 사한 다음 () 치료하고 계속하여 간을 치료해야 한다[전을].

驚風發不可把捉

小兒急驚方時不用驚擾此不足畏慢驚雖靜乃危病也急驚方時但扶持之不可擒捉盖風氣方盛恐流入筋脈或至手足成拘攣也《綱目》○小兒紩媛時切戒把捉手足握持太急必半身不遂也當其時置一竹鋪之凉地使兒臥其上任其風力行遍經絡勢極自止不至傷人《子和》○一小兒病手足紩媛戴人曰心火勝也勿持捉其手任其紩媛此由乳母保護太過所致乃令掃地以水之令極濕臥兒于地上良久渾身轉側泥漿皆滿仍以井水洗之卽差《子和》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 不可把捉]

어린이들이 급경풍(急驚風)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 놀라서 소동을 피우거나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만경풍(慢驚風) 비록 가만히 있더라도 위태로운 병이다. 급경풍으로 경련이 일어나려 때에는 다만 부추겨 주되 잡아서는 된다. 대개 풍기(風氣) 심해져서 근맥(筋脈) 들어가면 손발이 경련이 일고 오그라들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강목].

어린이에게 경련이 때에 손발을 잡지 말아야 한다. 손발을 잡으면 반드시 반신불수가 된다. 경련이 때에 참대로 엮은 자리를 서늘한 땅에 펴고 아이를 위에 눕혀 마음대로 발작하게 내쳐 둔다. 이때 풍기가 경락에 고루 가서 힘이 지치면 저절로 멎어서 사람을 상하게까지는 하지 않는다[자화].

어떤 어린이가 병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었다. 대인(戴人) 심화가 세기 때문에 손을 붙잡지 말고 경련이 이는 대로 일게 하라고 하였다. 이것은 유모가 너무 지나치게 아이를 보호하였기 때문이다. 땅을 깨끗이 쓸고 물을 뿌려 습하게 다음 아이를 눕히고 한참 두었는데 뒹굴어서 온몸이 진흙투성이가 되었을 우물물로 씻었더니 나았다[자화].

胎驚癎風

者乃孕婦嗜慾忿怒驚撲或傷風邪兒初生下卽嘔吐紩疦口眼斜驚啼聲短開或頰赤或面靑口咬牙眼合涎潮筋骨拘攣身腰强直臍腹腫起與口撮口同證視其眉間氣色紅赤者生靑黑者死辰砂膏最妙猪乳膏鎭驚散(二方見上)太乙散亦佳《入門》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태경과 간풍은 임신부가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고 성내거나 놀라거나 부딪치거나 풍사에 상한 데로부터 생기는데 아이가 나서 토하고 경련이 일며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놀라서 울며 울음소리가 짧고 뺨이 쭈그러들며 숫구멍이 열려 있다. 뺨이 붉고 얼굴이 푸르며 입을 다물고 이를 갈며 눈을 감고 느침을 흘리며 힘줄이 가드라들며 몸과 허리가 뻣뻣해지고 배꼽노리가 부어오른 것이 금구풍( 口風)이나 촬구풍(撮口風) 증상과 같은데 눈썹어간을 보아 기색이 붉으면 살고 검푸르면 죽는다. 이런 때에는 진사고(辰砂膏) 가장 좋고 저유고(猪乳膏), 진경산(鎭驚散, 가지 처방은 모두 위에 있다), 태을산(太乙散) 등도 좋다[입문].

辰砂膏

治胎驚癎風及口風辰砂三錢玄明粉二錢鵬砂馬牙硝各一錢半全蝎眞珠末各一錢麝香一字右爲末油紙封自然成膏每取一豆許薄荷湯調下或乳汁調塗乳頭上令兒之《入門》

진사고(辰砂膏)

갓난아이의 태경과 간풍, 금구풍을 치료한다.

주사 12g, 현명분 8g, 붕사, 마아초 각각 6g, 전갈, 진주가루 각각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기름종이에 싸두면 저절로 고약이 된다. 한번에 콩알만한 것을 박하 달인 물에 먹이거나 젖에 타서 젖꼭지에 발라 아이에게 빨리게도 한다[입문].

太乙散

治胎驚天漿子天南星白附子天麻防風白茯各二錢全蝎朱砂各一錢麝香一字右爲末每取五分乳汁化下《入門》

태을산(太乙散)

태경(胎驚) 치료한다.

천장자(天漿子), 천남성,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마,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8g, 전갈, 주사 각각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 젖에 먹인다[입문].

急驚風

急驚者因聞大聲或大驚而發過則如故此無陰也當下之宜利驚丸○急驚者內有熱卽生風或因驚而發涎潮紩媛身體與口中氣皆熱及其發定或睡起卽了了如故用藥利下痰熱心神安寧卽愈《錢乙》○急驚乃卒然得之心受驚肝主風致筋脈紩媛肝又主筋宜通心飮(方見上)瀉靑丸凉驚元大靑膏《得效》○急驚者因聞不常之聲或遇禽獸之吼以致牙關緊急壯熱涎潮竄視反張紩媛顫動口中熱氣頰赤脣紅大小便黃赤其脈浮數洪緊盖由內有實熱外挾風邪心家受熱而積驚肝家生風而發肝風心火二藏交爭血亂氣倂痰涎壅塞所以百脈凝滯關竅不通風氣蕃盛而無所泄故暴烈也《直小》○治法通關截風定去痰其熱尙作則當下之一泄已後急須和胃鎭心○截風定先與開關散驚散次與驅風膏鎭心丸鎭肝丸錢氏安神丸鎭驚丸保幼化風丹靈神膏痰盛宜抱龍丸截風丸鎭安心神宜金箔鎭心丸寧心膏○所謂溫驚丸利驚丸凉驚丸者盖虛則溫之實則利之熱則凉之是謂活法《直小》○驚風形證不明若言陰證則渾身又溫若作陽證則又不大乃陰陽不和宜用防風溫膽湯下大驚元小驚元《得效》○急驚先當定紩紩由風也風由熱也旣已作方可下熱退驚熱若不退驚亦不散○急驚截風定爲要風旣定次與下熱熱去則無風風散則不《直小》

급경풍(急驚風)

급경풍은 소리를 듣거나 몹시 놀라서 경련이 일다가 멎으면 전과 같은데 이것은 음이 없는 것이다. 이때는 마땅히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경환(利驚丸) 쓴다. 급경풍은 속에 열이 있어서 풍이 일어나는 것이다. 놀라서 풍이 일어나고 느침이 흐르고 경련이 일며 몸과 입김이 달다가 발작이 멎거나 자고 일어나면 앓기 전과 같이 정신이 똑똑해진다. 약을 써서 담열이 대소변으로 나가면 마음과 정신이 편안해지면서 낫는다[전을].

급경풍은 갑자기 생기는 병인데 이것은 () 놀란 것이다. () () 근맥(筋脈) 주관하므로 경련이 이는 것이다. 간은 힘줄을 주관하므로 통심음(通心飮, 처방은 위에 있다), 사청환(瀉靑丸), 양경원(凉驚元), 대청고(大靑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급경풍은 이상한 소리를 듣거나 새나 짐승의 울음소리를 듣고 입을 다물며 높은 열이 나고 느침을 흘리며 눈알이 돌아가며 몸이 뒤고 젖혀지고 경련이 일며 몸을 떨고 입김이 달며 뺨과 입술이 붉고 대소변이 누르고 불그스름하며 () (), (), (), ()하다. 이것은 대개 속에 실열이 있고 밖으로는 풍사에 상해서 심이 열을 받아 쌓여서 경련이 일고 간이 풍을 일으켜 경련이 일어난다. 장에서 생기는 간풍과 심화(心火) 서로 다투어 혈이 흩어지고 기가 담연과 엉키고 막힌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경맥이 막혀 통하지 않고 관규(關竅) 막혀서 풍기가 성하면서 나갈 길이 없으므로 병세가 급하고 심해진다[직소].

치료법은 통하게 하고 풍기를 없애고 경련을 멈추며 담을 없앤다. 그래도 열이 나면 한번 설사시킨 다음 위를 편안하게 하고 마음을 진정시켜야 한다.

풍기를 없애고 경련을 진정시키는 데는 먼저 개관산(開關散), 체경산( 驚散) 쓴다. 다음 구풍고(驅風膏), 진심환(鎭心丸), 진간환(鎭肝丸),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진경환(鎭驚丸),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영신고(靈神膏) 등을 쓴다. 담이 성하면 포룡환(抱龍丸), 절풍환(截風丸) 쓴다. 심신을 안정시키려면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 영심고(寧心膏) 쓴다.

급경풍에는 온경환(溫驚丸), 이경환(利驚丸), 양경환(凉驚丸) 쓴다. 이것들은 대체로 허하면 따뜻하게 하고 실하면 설사시키고 열이 있으면 서늘하게 하는 것이므로 이것이 활용하는 법이다[직소].

경풍의 증상은 똑똑하지 못해서 음증(陰證)이라고 하자니 온몸이 따뜻하고 양증(陽證)이라고 하자니 경련이 심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음과 양이 조화되지 못한 것이다. 이때에는 방풍온담탕 달인 물로 대경원(大驚元)이나 소경원(小驚元) 먹인다[득효].

급경풍에는 먼저 경련을 진정시켜야 한다. 경련은 풍으로 나고 풍은 열로 난다. 경련이 이미 발작되었으면 열을 내리고 놀라는 증을 없애야 한다. 열이 내리지 않으면 놀라는 증도 없어지지 않는다.

급경풍에는 풍기를 없애고 경련을 진정시켜야 한다. 풍기와 경련이 진정된 다음에는 열을 내릴 약을 준다. 열이 내리면 풍기가 없어지고 풍기가 흩어지면 경련은 멎는다[직소].

利驚丸

治急驚身熱面赤口中氣熱大小便黃赤宜下用此黑丑頭末五錢天竺黃靑黛輕粉各一錢右爲末蜜丸豌豆大一歲兒用一丸薄荷湯化下《錢乙》

이경환(利驚丸)

급경풍으로 몸에 열이 나고 열굴이 붉으며 입김이 덥고 대소변이 누르불그스름할 때에는 약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20g, 천축황, 청대, 경분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1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전을].

溫驚丸

治急驚虛證牛膽南星四兩天竺黃一兩朱砂一錢半脂胚半錢龍腦五分右末牛膽汁和丸實大砂糖水化下○一名粉紅丸《錢乙》

온경환(溫驚丸)

허증(虛證) 급경풍을 치료한다. 우담남성 160g, 천축황 40g, 주사 6g, 연지배( 脂胚) 2g, 용뇌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우담즙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사탕물에 풀어 먹인다.

일명 분홍환(粉紅丸)이라고도 한다[전을].

凉驚丸

治急驚風黃連一兩草龍膽防風靑黛各三錢龍腦五分牛黃麝香各一字右爲末糊和丸粟米大每取一二十丸金銀泡湯下《錢乙》

양경환(凉驚丸)

급경풍을 치료한다.

황련 40g, 초룡담, 방풍, 청대 각각 12g, 용뇌 2g, 우황,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좁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금이나 은을 담궈 우린 물로 먹인다[전을].

瀉靑丸

治肝熱急驚紩媛(方見五藏)○一名凉肝元緣肝主風宜先凉肝而風自退《得效》

사청환(瀉靑丸)

간열(肝熱) 급경풍이 생겨서 경련이 이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5장문에 있다).

일명 양간원(凉肝元)이라고도 한다. 간은 풍을 주관하기 때문에 먼저 간을 시원하게 하면 풍이 저절로 없어진다[득효].

大靑膏

治急驚風宜用此發散白附子一錢半天麻靑黛各一錢烏蛇肉蝎梢各半錢朱砂天竺黃麝香各一字右細末生蜜和成膏月內兒粳米大半歲兒半子大一歲兒一子大以薄荷竹葉煎湯化下《得效》

대청고(大靑膏)

급경풍을 치료하는 동시에 표를 풀어 준다.

노랑돌쩌귀(백부자) 6g, 천마, 청대 각각 4g, 오사육, 전갈꼬리 각각 2g, 주사, 천축황,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생꿀로 반죽한 다음 고약을 만들어 전의 어린이에게는 입쌀만하게, 여섯 달이 어린이에게는 주염열매 절반만하게, 1 어린이에게는 주염열매만하게 해서 박하와 참대잎을 넣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득효].

開關散

治驚風口不開蜈蚣一條灸白蠶南星各一錢麝香一字猪牙角三錠略燒存性右爲末以手點薑汁藥少許擦牙或用物引滴入藥三兩點於口中涎出自開《得效》

개관산(開關散)

경풍으로 입을 다문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구운 ) 1, 백강잠, 천남성(싸서 구운 ) 각각 4g, 사향 1g, 주염열매(猪牙 ) 3(약성이 남게 약간 태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생강즙을 묻힌 손가락으로 약을 조금 찍어서 어금니를 문지른다. 혹은 입을 벌리고 두세번 약을 안에 넣어 주면 느침[] 나오면서 저절로 입이 열린다[득효].

⼒疝驚散

治急驚慢驚昏迷不省半夏生一錢角半錢右爲末取豆許吹入鼻中卽醒《得效》

체경산( 驚散)

급경풍이나 만경풍으로 정신을 잃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것) 4g, 주염열매(조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콩알만한 것을 콧속에 불어넣으면 깨어난다[득효].

驅風膏

治肝風發驚及胎風辰砂蝎梢當歸草龍膽川芎梔子大黃羌活防風甘草各一錢右爲末入麝香少許砂糖和丸實大每一丸薄荷竹葉蜜湯化下《丹心》

구풍고(驅風膏)

간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것과 태풍(胎風) 치료한다.

주사, 전갈꼬리, 당귀, 초룡담, 궁궁이(천궁), 산치자, 대황, 강호리(강활), 방풍,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사향을 조금 넣고 사탕을 섞어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와 참대잎, 꿀을 넣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단심].

鎭心丸

治急驚風安心止驚散邪凉膈山藥白茯各一兩寒水石甘草灸各七錢半㴿硝白者朱砂各五錢人參二錢半龍腦麝香各五分右爲末蜜和每一兩作五十丸金箔爲衣薄荷湯下一丸《錢乙》

진심환(鎭心丸)

급경풍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경련을 멈추며 사기를 흩어지게 하고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산약),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한수석, 감초(닦은 ) 각각 30g, 첨초(甛硝, ), 주사 각각 20g, 인삼 10g, 용뇌, 사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50알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전을].

鎭肝丸

治急驚風熱天竺黃生乾地黃當歸竹葉草龍膽川芎大黃羌活防風各二錢半右爲末蜜丸實大每二丸砂糖水化下《綱目》

진간환(鎭肝丸)

급경풍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천축황, 생건지황, 당귀, 참대잎, 초룡담, 궁궁이(천궁),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사탕물에 풀어 먹인다[강목].

錢氏安神丸

治急驚風及心熱驚啼麥門冬馬牙硝白茯山藥寒水石甘草各五錢朱砂三錢龍腦二字右爲末蜜和兩作三十丸每服一丸砂糖水化下《得效》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급경풍과 심에 열이 있어 놀라면서 우는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마아초,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한수석, 감초 각각 20g, 주사 12g, 용뇌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3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사탕물에 풀어 먹인다[득효].

鎭驚丸

治急驚風鎭驚寧神退熱化痰牛膽南星五錢朱砂三錢半琥珀天竺黃雄黃各三錢牛黃二錢眞珠一錢麝香半錢金箔十片右爲末糊和丸梧子大金箔爲衣薄荷薑蜜湯下五六丸《正傳》

진경환(鎭驚丸)

급경풍을 치료하는데 경련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열을 내리고 담을 삭힌다.

우담낭성 20g, 주사 14g, 호박, 천축황, 석웅황(웅황) 각각 12g, 우황 8g, 진주 4g, 사향 2g, 금박 10.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5-6알씩 박하와 생강, 꿀을 넣고 달인 물로 먹인다[정전].

保幼化風丹

治驚風四證八候去風痰驚熱南星半夏川烏白附子各一兩鬱金五錢右爲末裝入臘月黃牛膽內陰乾百日取出硏爲末每一兩入雄黃朱砂鵬砂焰硝各一錢片腦麝香各少許共爲末蜜丸豌豆大燈心薄荷湯硏化下一二丸《醫鑑》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경풍 4 8(四證八候) 치료하는데 , , 놀라는 , 등을 없앤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오두, 노랑돌쩌귀(백부자) 각각 40g, 울금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음력 섣달에 잡은 황소의 담즙 안에 넣어 100 동안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40g 석웅황(웅황), 주사, 붕사, 염초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조금씩 넣고 한데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알씩 골풀속살(등심초) 박하를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靈神膏

赤茯神朱砂各一兩麥門冬五錢麝香二錢半右爲末蜜和作小餠子每一餠臨睡以薄荷湯化下神效○一老醫乃三世小兒科家傳只有四五藥愈病無數如小兒驚多是熱證不宜便用驚風藥只以導赤散(方見五藏)加防風竹葉同煎用二三貼導去心經邪熱其便止次服靈神膏《集驗》

영신고(靈神膏)

적복신, 주사 각각 40g, 맥문동 20g, 사향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작은 떡을 만든다. 한번에 1개씩 때에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이면 낫는다.

3대를 두고 내려오면서 소아과 의사로 있던 어떤 늙은 의사의 집에서 전해 약인데, 불과 4-5종이었지만 병을 수많이 치료하였다. 어린아이가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것은 대부분 열증이기 때문에 경풍을 치료하는 약을 쓰지 않고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방풍과 참대잎을 넣어 2-3첩을 달여 먹이면 심경의 사열이 내리고 경련이 멎는다. 다음 영신고(靈神膏) 먹인다[집험].

抱龍丸

治驚風潮身熱昏睡能下痰熱乃心肺肝藥也牛膽製南星一兩無膽星則只取生者炒熟用之天竺黃五錢雄黃朱砂各二錢半麝香一錢右爲末煮甘草膏和丸莢子大(一云實大)溫水化下百日內兒一丸作三次服五歲兒一二丸服臘雪水煮甘草和藥尤佳《錢乙》○抱者保也龍者肝也肝爲母心爲子母安則子安心藏神肝藏魂神魂旣定驚從何生《丹心》

포룡환(抱龍丸)

경풍으로 일정한 시간에 경련이 일고 몸에 열이 나고 혼곤해서 잠만 자는 것을 치료한다. 담열을 없애는데 , , 간의 병에 쓰는 약이다.

우담남성 40g (우담남성이 없으면 천남성 생것을 썰어서 볶아 익혀서 쓴다), 천축황 20g, 석웅황(웅황), 주사 각각 1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감초를 달여 고약처럼 것으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가시연밥만하게 데도 있다) 알약을 만든다. 100 전의 어린이에게는 1알씩 세번 따뜻한 물에 풀어 먹이고 5 어린이에게는 1-2알씩 먹인다. 납설수(臘雪水) 감초를 넣고 달여 고약을 만들어 반죽하면 더욱 좋다[전을].

() 보호하는 뜻이고 () () 말한 것이다. 간은 어머니격이고 () 아들격이므로 어머니가 편안하면 아들도 편안하다. 심은 () 간직하고 간은 () 간직하는데 신과 혼이 편안하면 경풍이 생기지 않게 된다[단심].

截風丸

治驚風痰天麻白蠶南星各二錢蜈蚣一條白附子防風朱砂全蝎各一錢麝香一字右爲末蜜丸梧子大每一丸薄荷湯化下《入門》

절풍환(截風丸)

경풍과 담으로 경련이 이는 것을 치료한다.

천마, 백강잠, 천남성(싸서 구운 ) 각각 8g, 왕지네(오공) 1, 노랑돌쩌귀(백부자), 방풍, 주사, 전갈 각각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金箔鎭心丸

治驚風鎭安心神全蝎七箇以薄荷葉包慢火灸乾天麻防風羌活牛黃赤茯犀角朱砂麝香甘草各一錢右爲末蜜丸子大金箔爲衣每取一二丸薄荷湯化下《入門》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

경풍을 치료하며 심신을 편안하게 한다.

전갈(박하잎에 싸서 약한 불에 구워 말린 ) 7, 천마, 방풍, 강호리(강활), 우황, 벌건솔풍령(적복령), 서각, 주사, 사향,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2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寧心膏

治小兒不定恍惚不寧恐畏多哭睡中驚朱砂二錢人參白朮白茯茯神山藥羌活甘草各一錢龍腦麝香各一字右爲末蜜丸實大以薄荷湯化下一丸《丹心》

영심고(寧心膏)

어린이가 정신이 어리둥절하며 안정되지 못하고 무서워하면서 울며 때에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백복신, (산약), 강호리(강활), 감초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단심].

防風溫膽湯

治驚風消痰疎風順氣半夏枳殼赤茯各五分陳皮防風各二分半人參二分甘草一分半右作一貼入生薑一片紫蘇二葉煎水調下大驚元小驚元服之《得效》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경풍을 치료하는데 담을 삭히고 풍을 없애며 기를 돌게 한다.

끼무릇(반하),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g, 귤껍질(陳皮), 방풍 각각 1g, 인삼 0.8g, 감초 0.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 차조기잎(자소엽) 2잎과 함께 달인 물에 대경원(大驚元)이나 소경원(小驚元) 풀어 먹인다[득효].

大驚元

治驚風安神定驚又治心熱夜啼酸棗仁去皮粉炒甘草灸各五錢人參赤茯白朮朱砂麥門冬木香代石醋煮各二錢半白蠶桔梗尾各一錢二分半全蝎三箇金銀箔各三片右爲末蜜丸梧子大金銀箔爲衣薄荷湯化下一二丸○一名大安神元《得效》

대경원(大驚元)

경풍을 치료하는데 정신을 편안하게 하고 놀라는 증을 진정시킨다. 또한 심열로 밤에 우는 것을 치료한다.

메대추씨(산조인, 껍질을 벗긴 ), 방분(닦은 ), 감초(닦은 ) 각각 2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주사, 맥문동, 목향, 대자석(식초에 끓인 ) 각각 10g, 백강잠, 도라지(길경, 꼬리 부분) 각각 5g, 전갈 3, 금박, 은박 각각 3.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과 은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2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일명 대안신원(大安神元)이라고도 한다[득효].

小驚元

治驚風鬱金角水浸煮黃連馬牙硝木香藿香草龍膽各二錢半全蝎三箇右爲末糊和丸梧子大以雄黃朱砂麝香金銀箔爲衣薄荷湯化下一二丸《得效》

소경원(小驚元)

경풍을 치료한다.

울금, 주염열매(조각, 물에 담가 삶은 ), 황련, 마아초, 목향, 곽향, 초용담 각각 10g, 전갈 3.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석웅황(웅황), 주사, 사향, 금박과 은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2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득효].

急驚風不治證

眼睛轉口中出血兩足擺跳動摸體尋衣神昏氣促噴藥不下通關不心中熱痛忽大者皆不治《醫鑑》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急驚風不治證]

눈알이 뒤집히고 입에서 피가 나오며 발버둥질치고 배가 뒤틀리며 몸과 옷을 만지작거리고 정신이 혼미하며 숨이 차고 약을 뱉으면서 넘기지 못하며 코에 약을 넣어도 재채기가 나고 가슴 속이 달면서[] 아파하며 갑자기 큰소리를 지르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의감].

慢驚風

慢驚者得於大病之餘吐瀉之後及過服寒凉藥其證眼慢騰騰或露睛手足喡犍面色靑白渾身四肢冷默默不聲其脈沈遲用白朮散益黃散加防風冬瓜仁煎服《得效》○慢驚者因吐瀉日久中氣太虛而得其身冷口鼻中氣寒大小便靑白昏睡露睛目上視手足喡犍盖脾虛則生風風盛則筋急宜用黃湯溫白丸《正傳》○陰證慢驚自急驚陽證傳來經吐瀉便是慢驚男子以瀉得之爲重女子以吐得之爲重○慢驚者眼半開半合似睡不睡十指或開或合似口眼手足有時牽脈或浮或沈身或凉或熱或吐或瀉或不吐瀉或食乳或不乳名半陰半陽合病因吐瀉得者宜加味朮附湯醒脾散養乳方虛風痰多宜八仙散○慢驚純陰證宜烏蝎散陽證尙在宜蟬蝎散○方傳慢候而尙有陽證(八候尙在)不必回陽但與截風調胃用蟬蝎散醒脾散若手足氷冷方可回陽用硫黃附子如腦麝銀粉巴硝一切禁斷《入門》○古云病家驚不瀉醫家瀉不驚如泄瀉不止且先治瀉若更治風則驚風愈甚《直小》○瀉滑靑者宜防慢驚盖瀉靑色者乃夾驚木剋土也○凡兒瀉出靑色者由脾土受肝木剋勝而見本質由其藏之虛寒黃益黃散主之○小兒慢驚或吐利不止變成虛風紩媛者非風也胃氣欲絶故也用來復丹(方見寒門)五粒硏碎米飮送下卽效《得效》○慢驚宜用溫驚丸神效散觀音散全蝎觀音散三味天漿子散補脾湯保生丹延生丹參朮半夏湯防風元銀白散(諸方)○涎盛宜奪命散(方見下)雙金丸南星飮(諸方)

만경풍(慢驚風)

만경풍은 중한 병을 앓은 뒤나 토하고 설사한 뒤나 성질이 차고 서늘한 약을 지나치게 먹은 데서 생긴다. 증상은 눈에 정기가 없거나 눈이 감기지 않으며 손발이 오그라들거나 늘어지고 얼굴빛이 퍼렇고 희며 온몸과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멍해 있으면서 소리를 내지 못하며 맥은 침지(沈遲)하다. 이때에는 백출산(白朮散)이나 익황산(益黃散) 방풍과 동아씨를 넣어 달여 먹인다[득효].

만경풍은 오랫동안 토하고 설사하여 중기(中氣) 몹시 허해서 생긴다. 이때 몸은 싸늘하고 입과 콧김이 차며 대소변이 푸르고 희며 혼곤하여 잠만 자는데 이때 눈이 감기지 않거나 눈을 치뜨기도 하며 손발이 오그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한다. 대체로 () 허하면 () 생기고 풍이 성하면 힘줄이 당긴다. 이런 때에는 황기탕( ), 온백환(溫白丸) 쓰는 것이 좋다[정전].

음증만경풍(陰證慢驚風) 양증급경풍(陽證急驚風)으로부터 오는데 토하고 설사한 뒤에 비로소 만경풍이 생긴다. 남자는 설사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고 여자는 토하기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다.

만경풍은 눈을 절반만 뜨고 절반을 감으며 자는 같으면서도 자지 않고 손가락을 폈다 쥐었다 하며 경련이 이는 같으면서 경련이 일지 않고 입과 , 손발이 때때로 켕기며 맥은 ()하기도 하고 ()하기도 하며 몸이 차기도 하고 달기도 하며 토하기도 하고 설사하기도 하며 토하거나 설사를 하지 않기도 한다. 이것은 반음반양(半陰半陽) 합병한 것이다. 토하고 설사한 탓으로 만경풍이 생긴 데는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성비산(醒脾散), 양유방(養乳方) 쓰고 허한 데다 풍담이 많으면 팔선산(八仙散) 쓴다.

만경풍이 순음증(純陰證) 때에는 오갈산(烏蝎散) 쓰고 양증이 아직 남아 있으면 선갈산(蟬蝎散) 쓰는 것이 좋다.

만경풍으로 넘어가려 하면서도 아직 양증이 있는 것은(8후가 아직도 있다) 반드시 양을 회복시킬 필요는 없고 다만 풍을 없애고 () 조화시켜야 하는데 선갈산(蟬蝎散), 성비산(醒脾散) 쓴다. 만약 손발이 얼음처럼 차면 양을 회복시켜야 하는데 유황, 부자를 쓴다. 용뇌, 사향, 은분, 파초 같은 것들은 일체 금해야 한다[입문].

옛날에 병이 생긴 집에서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나 설사하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능한 의사는 설사하는 것을 두려워하나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만일 설사가 멎지 않으면 먼저 설사를 치료해야 한다. 만일 풍만 치료하면 경풍은 더욱 심해진다[직소].

푸른 빛의 대변을 몹시 설사할 때에는 만경풍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대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경풍이 생기는데 이것은 () () 억제하기 때문이다.

대개 어린이가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간목(肝木) 비토(脾土) 억눌러서 본래의 빛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가 허하고 차서 그런 것이므로 황기익황산( 益黃散) 주로 쓴다.

어린이의 만경풍에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허풍(虛風, 만비풍)으로 전변되어 경련이 이는 것은 풍이 아니다. 이것은 위기(胃氣) 끊어지려고 하는 것이므로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5알을 갈아서 미음으로 먹이면 낫는다[득효].

만경풍에는 온경환, 신효산, 관음산, 전갈관음산, 삼미천장자산, 보비탕, 보생단, 연생단, 삼출반하탕, 방풍원, 은백산 등을 쓴다[제방].

담연(痰涎) 성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쌍금환, 남성음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白朮散

治吐瀉日久不止津液枯竭煩渴引飮欲成慢驚風葛根二錢人參白朮白茯木香藿香甘草各一錢右末每二錢水煎任意服○泄瀉加山藥白扁豆肉豆已成慢驚加天麻細辛全蝎白附子○驚風泄瀉煩渴皆津液內耗也不問陰陽多煎滿意取足飮之彌多彌好○一名錢氏白朮散《錢乙》○一名淸寧散《得效》

백출산(白朮散)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오래도록 멎지 않아 진액이 줄어들어 답답해 하며 목이 말라 물을 켜며[引飮] 만경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목향, 곽향,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 물에 달여 자주 먹인다.

설사할 때에는 (산약), 까치콩(백편두), 육두구를 넣어 쓰고 만성 경풍이 되었으면 천마, 족두리풀(세신), 전갈, 노랑돌쩌귀(백부자) 등을 넣어 쓴다.

경풍증에 설사하고 답답해 하며 목이 말라 하는 것은 모두 진액이 안에서 줄어진 것이므로 음증, 양증을 가리지 말고 약을 많이 달여 두고 충분하게 먹인다. 많이 먹일수록 더욱 좋다.

일명 전씨백출산(全氏白朮散)이라고도 한다[전을].

일명 청녕산(淸寧散)이라고도 한다[득효].

益黃散

治慢驚風黃二錢人參陳皮各一錢白芍藥七分生甘草灸甘草各五分白茯四分黃連二分右末水煎時時服○一名黃益黃散凡驚兒瀉靑色大禁凉驚丸盖風木旺必剋脾土當先實其土後瀉其木也當於心經中以甘溫補土之源更於脾土中瀉火以甘寒補金以酸凉使脾土中金旺火衰則風木自虛矣《東垣》

익황산(益黃散)

만경풍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8g, 감초(생것), 감초(닦은 ) 각각 2g, 흰솔풍령(백복령) 1.6g, 황련 0.8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달여 수시로 먹인다.

일명 황기익황산( 益黃散)이라고도 한다. 대개 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어린이에게는 양경환(凉驚丸) 쓰지 못한다. 풍목(風木)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 억누르므로 반드시 먼저 비토를 ()하게 하고 뒤에 간목(肝木) ()한다. 심경(心經) 가운데서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 근원을 보하고 다시 비토약 가운데서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 내리며 시고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 보해서 비토 가운데서 금을 왕성하게 하고 화를 쇠약하게 하면 풍목(風木) 저절로 없어지게 된다[동원].

治慢驚風大便泄靑色黃二錢人參一錢甘草灸五分右作一貼水煎服加白芍藥一錢尤妙○此證風木旺必剋脾土宜先實其土後瀉其木是爲神治之法○一名保元湯《東垣》

황기탕( )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증에 풍목(風木)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 억누르므로 먼저 비토를 실하게 하고 다음 간목(肝木)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溫白丸

治慢驚風白蠶炒白附子生南星各一兩天麻生五錢全蝎一錢右爲末糊和丸菉豆大生薑米飮下五七丸至二三十丸《錢乙》

온백환(溫白丸)

만경풍을 치료한다.

백강잠(닦은 ), 노랑돌쩌귀(백부자, 생것), 천남성(싸서 구운 ) 각각 40g, 천마(생것) 20g, 전갈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에서 20-30알까지 생강을 넣고 미음으로 먹인다[전을].

加味朮附湯

治吐瀉後變成慢驚或因藏寒洞泄得者附子白朮各一兩肉豆埼氖二箇木香甘草灸各五錢右末每二錢薑三棗二水煎服《入門》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토하고 설사한 뒤에 만경풍이 되거나 5장이 차서 심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 흰삽주(백출) 각각 4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 2, 목향, 감초(닦은 )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입문].

醒脾散

治脾困昏沈吐瀉不止漸成慢驚人參白朮白茯白附子白蠶天麻木香甘草各五分全蝎二分半右末每二錢薑二棗一水煎漸漸服不可頓服《綱目》

성비산(醒脾散)

() 약해져서 정신이 혼미하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점차 만경풍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노랑돌쩌귀(백부자), 백강잠, 천마, 목향, 감초 각각 2g, 전갈 1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 생강 2,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조금씩 자주 먹인다. 단번에 먹여서는 된다[강목].

釀乳方

治慢驚風人參木香藿香沈香陳皮神麴麥芽各一錢丁香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紫蘇五葉棗三枚同煎乳母食後須去乳汁盡方取服之卽仰臥時次令兒數口不可過飽如嘔定急宜截風服八仙散兩日後宜醒脾散此良法也如此調理無不愈者《湯氏》

양유방(釀乳方)

만경풍을 치료한다.

인삼, 목향, 곽향, 침향, 귤껍질(陳皮),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각각 4g, 정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 차조기잎(자소엽) 5, 대추 3알과 함께 달여 유모가 밥을 먹은 뒤에 젖을 짜버리고 약을 먹은 다음 한참 반듯이 누워 있다가 젖먹이에게 젖을 두어 모금 빨게 한다. 너무 지나치게 배불리 먹여서는 된다. 구역이 멎으면 빨리 풍을 없애야 하므로 팔선산(八仙散) 먹이고 2 후에 성비산(醒脾散) 먹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조리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탕씨].

八仙散

治慢驚虛風天麻白附子白花蛇肉防風南星半夏麴冬瓜仁全蝎各二分半加川烏一分右作一貼入薑二棗一薄荷二葉同煎服《湯氏》

팔선산(八仙散)

만경풍과 허풍(虛風, 만비풍) 치료한다.

천마, 노랑돌쩌귀(백부자), 백화사육, 방풍, 천남성, 반하국, 동아씨(동과자), 전갈 각각 1g. 오두 0.4g 넣어 쓰기도 한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 대추1, 박하 2잎과 함께 달여 먹인다[탕씨].

烏蝎散

治慢驚純陰證吐瀉不止四君子湯(方見氣門)加川烏全蝎南星各一錢右入薑三棗二水煎服之《入門》

오갈산(烏蝎散)

순음증(純陰證) 만경풍으로 계속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 오두, 전갈, 천남성 각각 4g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입문].

蟬蝎散

慢驚風陽證尙在宜用此藥全蝎七箇蟬退二十一箇南星一箇甘草二分半右末每一錢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선갈산(蟬蝎散)

양증이 아직 남아 있는 만경풍에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전갈 7, 매미허물(선퇴) 21, 천남성 1, 감초 1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神效散

治慢驚風○歌曰一粒丁香一箇蝎一字辰砂一點血○右三味俱爲末男用男左手中指血女用女右手中指血藥末擦兒脣上則愈《綱目》

신효산(神效散)

만경풍을 치료한다.

노래에는:

정향 전갈 주사 조금 방울

이것들의 가지를 가루내어 쓰는데

남자는 남자의 왼쪽 손의 중지 피를

여자는 여자의 오른 손의 중지 피를

받아서 이것으로 약가루를 묻혀서

어린이의 입술 위쪽 문지르면 아주 빨리 낫는다네[강목].

觀音散

治脾困多瀉不思乳食精神昏困四肢冷欲成慢驚人參一錢蓮肉神麴各二分白茯一分半白朮黃木香白扁豆甘草各一分右入薑二棗一藿香三葉同煎服《入門》

관음산(觀音散)

() 약해져서 설사를 많이 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정신이 혼곤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g, 연밥(연실), 약누룩(신국) 각각 0.8g, 흰솔풍령(백복령) 0.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목향, 까치콩(백편두), 감초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 대추 1, 곽향 3잎과 함께 달여 먹인다[입문].

全蝎觀音散

治吐瀉後成慢驚風亦治慢脾風卽前方加羌活防風天麻全蝎也《入門》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토하고 설사한 뒤에 만경풍이 것을 치료하고 또한 만비풍도 치료한다.

위의 처방에 강호리(강활), 방풍, 천마, 전갈을 넣은 것이다[입문].

三味天漿子散

治慢驚風天漿子白蠶全蝎各三枚右爲末每一字薄荷湯調下《直小》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만경풍을 치료한다.

천장자, 백강잠, 전갈 각각 3.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g 박하 달인 물에 먹인다[직소].

補脾湯

治慢驚風白朮一錢三分白芍藥酒炒一錢白茯半夏各七分陳皮黃蜜水炒人參當歸川芎肉豆埼氖乾葛神麴炒各五分黃連炒甘草灸各三分右作一貼水煎稍稍服《醫鑑》

보비탕(補脾湯)

만경풍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5.2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 4g,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2.8g, 귤껍질(陳皮), 단너삼(황기, 꿀물로 축여 볶은 ), 인삼, 당귀, 궁궁이(천궁),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 칡뿌리(갈근), 약누룩(신국, 닦은 ) 각각 2g, 황련(닦은 ), 감초(닦은 )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조금씩 먹인다[의감].

保生丹

治慢驚風朱砂天麻白附子蠶炒全蝎微炒各二錢乾薑牛黃麝香各一錢右爲末蜜丸麻子大薄荷湯下三丸《直小》

보생단(保生丹)

만경풍을 치료한다.

주사, 천마,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 백강잠(닦은 ), 전갈(약간 닦은 ) 각각 8g, 건강(싸서 구운 ), 우황,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직소].

延生丹

治同上南星二錢半朱砂牛黃羌活各一錢二分半麝香六分蝎梢七枚白蠶三枚右爲末棗肉和丸菉豆大薄荷湯化兩丸服之《直小》

연생단(延生丹)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천남성(싸서 구운 ) 10g, 주사, 우황, 강호리(강활) 각각 5g, 사향 2.4g, 전갈꼬리(닦은 ) 7, 백강잠 3.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직소].

參朮半夏湯

治慢驚風子母俱服人參白朮各二錢半夏天麻各七分白茯陳皮各五分細辛薄荷甘草各二分全蝎炒一枚右作一貼薑三水煎服《正傳》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만경풍을 치료하는데 모자가 먹는다.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8g, 끼무릇(반하), 천마 각각 2.8g,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2g, 족두리풀(세신), 박하, 감초 각각 0.8g, 전갈(닦은 ) 1.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정전].

防風元

治慢驚風天麻防風人參各五錢全蝎白蠶甘草各二錢半朱砂雄黃各一錢七分半右爲末蜜丸實大人參湯或冬瓜仁湯化下《得效》

방풍원(防風元)

만경풍을 치료한다.

천마, 방풍, 인삼 각각 20g, 전갈, 백강잠, 감초 각각 10g, 주사, 석웅황(웅황) 각각 7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인삼 달인 물이나 동아씨 달인 물에 먹는다[득효].

銀白散

治慢驚風祛風助胃蓮肉白扁豆白茯各二錢白附子人參天麻全蝎炒木香藿香甘草炒各一錢陳米炒三錢右末每二錢入薑二片冬瓜仁七粒同煎服《得效》

은백산(銀白散)

만경풍을 치료한다. 풍을 없애고 () 돕는다.

연밥, 까치콩(백편두),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8g, 노랑돌쩌귀(싸서 구운 ), 인삼, 천마, 전갈(닦은 ), 목향, 곽향, 감초(닦은 ) 각각 4g, 묵은 (닦은 ) 1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 생강 2, 동아씨 7개와 함께 달여 먹인다[득효].

南星飮

治慢驚脾困涎盛不思乳食大南星一箇炒赤冬瓜仁白扁豆薑汁炒各三錢右爲末每二錢以薑二片防風少許同煎服《得效》

남성음(南星飮)

만경풍으로 () 약해져서 () 성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 것으로 빨갛게 되도록 닦은 ) 1, 동아씨, 까치콩(백편두,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생강 2, 방풍 조금과 함께 달여 먹인다[득효].

雙金丸

治吐瀉日久脾胃虛損手足厥冷精神昏塞多睡露睛口鼻氣冷欲成慢驚風金液丹(方見寒門)與靑州白元子(方見風門)等分同硏生薑米飮調灌之惟多服乃效雖至危者往往死中得生十救八九沈存中云金液丹治吐利垂絶服之得活須多服方驗《綱目》○一云金液丹眞小兒吐瀉之妙劑也《入門》

쌍금환(雙金丸)

오랫동안 토하고 설사한 탓으로 비위(脾胃) 허손되고 손발이 싸늘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눈을 감지 못하고 잠만 자며 입과 콧김이 서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금액단(金液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처방은 풍문에 있다)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함께 갈아서 생강을 두고 미음에 먹이되 많이 먹어야 효과가 있다. 비록 몹시 위중하게 되었어도 왕왕 죽게 사람 10 가운데서 8-9명은 살릴 있다. 심존중(沈存中) “금액단은 구토설사하여 죽게 것이라도 먹이면 살릴 있는데 반드시 많이 먹어야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강목].

또는 금액단은 참으로 어린이들의 구토설사하는 묘한 약이라고 하였다[입문].

驚風治驗

一小兒吐瀉諸醫以藥下之至虛變成慢驚其候昏睡露睛手足喡犍而身冷錢氏與瓜蔞湯(方見本書)其兒卽開目而身溫其兒不大小便諸醫以藥利之錢曰不當利小便利之必身冷一二日果身冷錢曰不能食而胃虛若利大小便則脾胃俱虛當身冷而開目卽死今幸胎氣實而難衰也用益黃散(方見五藏)使君子丸(方見本書)四服後果能飮食後又不語諸醫作失音治之錢曰此因凉藥利小便致脾腎俱虛今脾已實腎尙虛用六味地黃元一月而聲音如故《錢乙》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어떤 어린이가 구토설사해서 여러 의사들이 약을 썼으나 낫지 않고 허해져서 만경풍이 되었다. 증상은 혼곤해서 눈을 감지 않고 자며 손발이 오그라들거나 힘없이 늘어지며 몸이 싸늘하였다. 전씨(錢氏) 과루탕(瓜蔞湯, 처방은 본서에 있다) 써주었다. 그랬더니 아이는 눈을 뜨고 몸이 따뜻해졌다. 아이가 대소변을 보지 못해서 여러 의사들은 약으로 나가게 하였다. 전씨는 “오줌을 누게 하는 약을 쓰는 것은 적당치 못하다. 오줌을 누게 하면 반드시 몸이 싸늘해질 것이다”고 하였다. 과연 1-2 후에 어린이의 몸이 싸늘해졌다. 전씨는 “음식을 먹지 못하여 위가 허해졌는데 대소변을 누게 하면 비위가 허해져서 반드시 몸이 싸늘해지고 눈을 감으면서 죽는 법인데 지금 아이는 다행히 태기가 실하기 때문에 쉽게 쇠약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래서 익황산(益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사군자환(四君子丸, 처방은 본서에 있다) 네번 먹였더니 후에 과연 음식을 먹게 되었다. 그후 말을 못해서 여러 의사들이 실음(失音)으로 치료하였다. 그런데 전씨는 “이것은 성질이 찬약으로 오줌을 누게 하여 () () 허해졌기 때문이다. 지금 비는 실해졌으나 신이 아직 허하므로 육미지황원을 1 동안 쓰라고 하여 썼더니 나아서 목소리가 전과 같아졌다”고 하였다[전을].

慢驚風不治證

慢驚四肢厥冷吐瀉咳嗽面神慘胃痛鴉聲兩脇動氣口生白瘡髮直搖頭眼睛不轉涎鳴喘頭軟大小便不禁手足一邊牽引者皆不治《醫鑑》○似而不甚似睡而精神慢四肢與口中氣皆冷睡中露睛或胃痛而啼哭如鴉聲此證已危盖脾胃虛損故也《寶鑑》○慢驚欲絶之時虛痰上攻咽喉引氣呼吸大脈來浮數是謂陰盛强陽錯認以爲陽氣已復直與峻藥下痰痰隨藥下氣隨痰絶人以醫殺咎之此不識覆燈將絶之候雖不下藥亦無生意矣《直小》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慢驚風不治證]

만성 경풍에 팔다리가 싸늘하며 구토설사하고 기침하며 얼굴빛이 검고 애처로워 보이며 위부가 아파서 우는 것이 까마귀 소리 같고 양쪽 옆구리에 동기(動氣) 있으며 안이 허옇게 헐고 머리털이 곧추 서며 머리를 흔들고 눈알이 돌아가지 않으며 가래가 끓고 숨이 차며 목이 메고 머리에 힘이 없으며 대소변이 절로 줄줄 나가고 손발이 한쪽으로 땡기는 것은 모두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경련이 이는 같으면서도 그리 심하게 일지 않으며 잠을 자는 것같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팔다리와 입김이 싸늘하며 때에 눈을 감지 못하고 자거나 부위가 아파서 우는 것이 까마귀 소리 같은 것은 벌써 위험해진 것인데, 이것은 비위가 허손되었기 때문이다[보감].

만경풍으로 숨이 끊어지려 때에 허한 () 위로 목구멍을 치밀어서 기를 끌어올려 호흡이 거칠고 맥이 부삭(浮數) 것은 음이 성하여 양도 강해진 것이다. 이것을 양기가 이미 회복된 것으로 잘못 알고 성질이 약으로 담을 내리면 담은 약을 따라 내려가고 기도 담을 따라 끊어진다. 이런 것을 의사가 사람을 죽였다고 비방하나 이것은 엎어진 등불이 꺼지려고 하는 증상인 것을 알지 못한 것이다. 비록 내릴 약을 쓰지 않았더라도 수는 없는 것이다[직소].

急慢驚風通治

宜備急丸牛黃抱龍丸保命丹至聖保命丹千金散星香散朱粉散奪命散探生散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急慢驚風通治]

비급환, 우황포룡환, 보명단, 지성보명단, 천금산, 성향산, 주분산, 탈명산, 탐생산 등을 쓴다.

備急丸

治急慢驚風五月五日取白頸蚓不拘多少去泥焙乾爲末加朱砂等分糊丸菉豆大金箔爲衣每一丸白湯下○一法取蚓以竹刀中斷之看取急跳者治急驚慢跳者治慢驚各硏爛和朱砂末作丸菉豆大分二器貯之記而用之神妙《丹心》

비급환(備急丸)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한다.

음력 5 초에 잡은 목에 줄이 있는 지렁이(구인) 적당한 양을 진흙은 빼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낸다. 가루약에 주사를 같은 양으로 넣어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

가지 방법은 참대칼로 지렁이의 한가운데를 끊어서 심하게 꿈틀거리는 쪽은 급경풍에 쓰고, 힘없이 꿈틀거리는 쪽은 만경풍에 쓴다. 각각 따로 갈아서 주사가루를 섞어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그릇에 담아 표식하여 두고 쓰면 효과가 있다[단심].

牛黃抱龍丸

治急慢驚風痰嗽潮能鎭驚安神牛膽南星一兩天竺黃五錢雄黃辰砂各二錢半麝香眞珠琥珀各一錢牛黃五分金箔十片右細末水煮甘草膏和丸實大金箔爲衣每三歲兒服一丸五歲二丸十歲服三五丸薄荷湯化下《醫鑑》○此方與上鎭驚丸同而錢數異《醫鑑》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급경풍과 만경풍으로 담이 있는 기침을 하며 일정한 시간에 경련이 이는 것을 치료한다. 경풍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우담남성 40g, 천축황 20g, 석웅황(웅황), 주사 각각 10g, 사향, 진주, 호박 각각 4g, 우황 2g, 금박 10.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감초를 물에 두고 달여 고약처럼 만든 것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으로 옷을 입힌다. 3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알씩, 5 어린이에게는 2알씩, 10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3-5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처방은 위의 진경환(鎭驚丸) 같으나 용량이 다르다[의감].

保命丹

治急慢驚風尙有陽證者常服安神化痰全蝎十四箇防風南星蟬退白蠶天麻琥珀各二錢白附子辰砂各一錢麝香五分有熱加牛黃片腦各五分右爲末粳米飯搗丸子大金箔爲衣乳汁或薄荷湯化下一丸《入門》

보명단(保命丹)

급경풍과 만경풍에 아직 양증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먹으면 정신이 안정되고 담을 삭힌다.

전갈 14, 방풍, 천남성, 매미허물(선퇴), 백강잠, 천마, 호박 각각 8g, 노랑돌쩌귀(백부자), 주사 각각 4g, 사향 2g(열이 있으면 우황, 용뇌 각각 2g 넣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쌀밥과 함께 짓찧어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젖이나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千金散

治急慢驚風痰喘雖至死但灌藥下咽卽活黃連天麻朱砂各四分全蝎白蠶各三分牛膽南星甘草各二分牛黃龍腦各六釐右爲末每用五七釐薄荷燈心湯調下《回春》

천금산(千金散)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한다. 담으로 숨이 차서 죽을 지경에 이른 것이라도 약을 떠넣어 목구멍에 넘어가기만 하면 살아난다.

황련, 천마, 주사 각각 1.6g, 전갈, 백강잠 각각 1.2g, 우담남성, 감초 각각 0.8g, 우황, 용뇌 각각 0.2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0.2-2.8g 박하와 골풀속살(등심초) 두고 달인 물에 먹인다[회춘].

星香散

治急慢驚風紩媛竄視涎潮南星二錢半木香橘紅各一錢全蝎二箇右作一貼薑四片水煎頻灌大便去涎卽愈《得效》

성향산(星香散)

급경풍과 만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어서 오그라들며 눈알이 아래나 위로 돌아가고 가래가 끓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싸서 구운 ) 10g, 목향, 귤홍 각각 4g, 전갈 2.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4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자주 떠넣으면 대변에 가래 같은 것이 나가고 낫는다[득효].

朱粉散

治急慢驚風○歌曰一粒朱砂一片雪(輕粉也)七箇蠶三箇不問驚風與慢風服時須用生人血(乳汁也)○右先將蠶微炒燥取出待冷同砂粉硏爲細末却以母乳汁調抹於兒口內立效《十三方》

주분산(朱粉散)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한다.

노래에는,

주사 경분 백강잠 일곱 개에

전갈을랑 3 넣어 만경이나 급경 풍에

젖에 타서 먹인다네.

위의 약들에서 먼저 백강잠과 전갈을 약간 닦아서 말려 식은 뒤에 주사와 경분을 한데 넣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젖으로 개어 어린이의 안에 바르면 낫는다[십삼방].

奪命散

大能控風痰不問急慢驚風痰塞咽喉其響如潮名曰潮涎百藥不能過咽命在須臾但用此藥入喉痰則墜下功有萬全奪天地之造化也靑石一兩同焰硝一兩入鍋內火待硝盡候石如金色取用右細末急驚風身熱用薄荷汁入蜜調微溫服其藥自痰墜下從大便出如稠涕膠粘乃藥之功也次服去風退熱截驚等藥慢驚極危者用此藥以靑州白元子再硏爲末薑汁調煎如糊熟蜜調下其涎卽墜入腹次服蛇蝎蜈蚣川烏等藥○此藥治急慢驚利痰之聖藥以器盛水吐痰水上以藥少許之痰隨藥而下須用木香湯調下《湯氏》○石雖利痰非胃家所好故以木香佐之能痰從大便出而無糞來不動藏府始知藥妙《入門》

탈명산(奪命散)

풍담을 없애는 힘이 세다. 급경풍이나 만경풍을 물론하고 담이 목구멍에 막혀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데 이것을 조연(潮涎)이라고 한다. 온갖 약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아 생명이 위급한 때에 약을 써서 목구멍으로 들어가면 가래가 떨어져 내려가서 낫지 않는 것이 없으니 참으로 신기한 약이다.

청몽석 40g 염초 40g 함께 냄비에 넣고 불에 굽는데 염초가 녹아 없어지고 청몽석이 금빛으로 다음에 꺼낸다. 이것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급경풍으로 몸에 열이 때에는 꿀을 넣은 박하즙에 약을 타서 약간 따뜻하게 하여 먹이면 약이 저절로 담을 싸가지고 대변으로 나가는데 같은 것이 나오면 약효가 나는 것이다. 다음 풍을 없애고 열을 내리고 경련을 진정시키는 약들을 먹인다. 만경풍이 매우 위중할 때에는 약을 쓰되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넣고 다시 갈아 가루내어 생강즙에 섞어 달여서 풀처럼 다음 졸인 꿀을 타서 먹이면 담이 떨어져 뱃속에 들어간다. 다음 뱀허물(사퇴), 전갈, 왕지네(오공), 오두 등의 약을 먹인다.

약은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하는 데서 담을 삭게 하는 좋은 약이다. 그릇에 물을 담고 거기에 토한 담을 넣고 약을 조금 뿌리면 담은 약을 따라 가라앉는다. 약은 반드시 목향 달인 물에 먹인다[탕씨].

청몽석은 비록 담을 삭게는 하지만 위에는 좋지 않다. 그러므로 목향을 좌약으로 하여 쓰면 담을 싸가지고 대변으로 나가게 하되 너무 세게 나가지 않게 함으로 5 6부에도 지장이 없다. 때문에 묘한 약이라는 것을 있다[입문].

探生散

治急慢驚風諸藥不效用此吹鼻定其死生雄黃沒藥各一錢乳香五分麝香一字右爲末吹少許入鼻如眼淚鼻涕俱出者可治《醫鑑》

탐생산(探生散)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한다.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을 때에는 약을 코에 불어넣어 죽는가 사는가를 판정한다.

석웅황(웅황), 몰약 각각 4g, 유향 2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코에 조금 불어넣어 만약 눈물과 콧물이 함께 나오면 치료할 있다[의감].

至聖保命丹

治急慢驚風及胎驚天吊南星三錢(膽星尤佳)白附子防風天麻蟬殼白蠶炒各二錢麝香半錢全蝎十四箇右爲末飯丸梧子大朱砂爲衣每一丸薄荷湯化下《直小》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급경풍과 만경풍, 태경(胎驚) 천조풍(天弔風) 치료한다.

천남성(싸서 구운 ) 12g(우담남성이 좋다), 노랑돌쩌귀(백부자), 방풍, 천마, 매미허물(선각), 백강잠(닦은 ) 각각 8g, 사향 2g, 전갈 14.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직소].

慢脾風

慢脾風由慢驚後吐瀉損脾病傳已極總歸虛處惟脾所受故曰脾風若逐風則無風可逐若療驚則無驚可療但脾間痰涎凝滯虛熱往來其眼合者乃脾困氣乏神迷也世所謂慢風難療者是也《直小》○若見眼合卽是脾風○慢驚察視爲要眼睛昏定爲重竄視爲重四肢厥冷爲重睛定不爲重雖不左右顧亦重汗出如流亦重口面忽作璝椢色至重眼在半合半開之間乃知陰氣所盛傳入藏間陽氣已虧脾經屬陰次第入脾故言慢脾風候○慢驚其眼半開半合則當預作慢脾風調理之○慢脾風之候面靑額汗舌短頭低眼合不開睡中搖頭吐舌頻嘔腥臭口咬牙手足微而不收或身冷或身溫而四肢冷其脈沈微陰氣極盛胃氣極虛十救一二盖由慢驚風而傳變宜用黑附湯救之又生附四君子湯蝎附散皆可《直小》○慢脾風用藥乃不得已也其危如燈無油漸見昏滅錢氏用金液丹與靑州白元子各半硏勻飯飮薄荷湯下一錢半此截風回陽也《直小》○小兒頭雖熱眼珠靑白而足冷○頭雖熱或腹脹而足冷○頭雖熱或泄瀉而足冷○頭雖熱或嘔吐而足冷○頭雖熱或渴而足冷已上五證作者名曰慢脾風速與補脾益眞湯加全蝎一枚或全蝎觀音散(方見上)《直小》

만비풍(慢脾風)

만비풍은 만경풍을 앓은 후에 토하고 설사를 하여 () 상해서 생긴다. 병이 옮겨 가는 것이 극단에 이르면 모두 허하게 되고 허하게 것을 비가 받게 되므로 비풍(脾風)이라고 했다. 만일 풍을 몰아내려고 해도 몰아낼 풍이 없고 경련을 치료하려고 해도 치료할 경련이 없고 다만 비에 담연(痰涎) 응체되고 허열이 있었다 없었다 하며 눈을 감고 있는 것은 비가 약해지고 기운이 부족하며 정신이 혼미한 것이다. 민간에서 말하기를 만비풍(慢脾風) 치료하기 어렵다고 것이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직소].

만일 눈을 감고 있으면 이것은 비풍(脾風)이다.

만경풍의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눈알에 정기가 없으면 ()하고 눈알이 위나 아래로 돌아가는 것도 중하다. 그리고 팔다리가 싸늘한 것도 중하고 눈을 똑바로 뜨고 깜박이지 않는 것도 중하다. 눈을 깜박거려도 좌우로 돌아가지 않는 것도 또한 중하다. 땀이 줄줄 흐르는 것도 중하고 입과 얼굴이 갑자기 검푸르게 되는 것은 매우 중하다. 눈을 반쯤 감고 반쯤 뜨는 것은 음기가 성하여 5장에 들어가고 양기는 허해진 것이다. 비경(脾經) 음에 속하는데 이것은 점차 () 들어가므로 만비풍이라는 증상이 나타난다.

만경풍으로 눈을 반쯤 뜨고 반쯤 감으면 미리 만비풍으로 조리해야 한다.

만비풍의 증상은 얼굴이 푸르고 이마에 땀이 나며 혀가 오그라들고 머리가 처지며 눈을 감고 뜨지 못한다. 또한 때에 머리를 흔들고 혀가 나오며 자주 구역질하면서 비린내가 나고 이를 악물며 이를 갈고 손발에 약간 경련이 일면서 거두지 못한다. 몸이 싸늘하기도 하며 몸이 달기도 하면서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미(沈微) 것은 음기가 극도로 성하였을 아니라 위기가 극도로 허한 것이므로 10명에 1-2명이나 있다. 대체 만경풍에서 전변된 것은 흑부탕(黑附湯)으로 치료해야 한다.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이나 갈부산(蝎附散) 써도 된다[직소].

만비풍에 약을 쓰는 것은 마지못해서이다. 위태로운 것이 마치 등불에 기름이 없어서 점점 어두워지다가 꺼지는 것과 같다. 전씨(錢氏) 금액단(金液丹)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각각 절반씩 함께 갈아서 미음이나 박하 달인 물에 6g 먹이는데 이것은 풍을 없애고 양기를 회복시키는 것이다[직소].

어린이가 비록 머리는 더워도 눈알이 푸르고 희며 발이 싸늘한 , 머리는 더워도 배가 창만하고 발이 싸늘한 , 머리가 더워도 설사하고 발이 싸늘한 , 머리가 더워도 토하고 발이 싸늘한 , 머리가 비록 덥더라도 목이 마르고 발이 싸늘한 5가지 증상이 있으면서 경련이 이는 것을 만비풍이라고 한다. 이때 빨리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전갈 1개를 넣어 쓰거나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처방은 위에 있다) 쓴다[직소].

黑附湯

治慢脾風危急者附子三錢木香一錢半白附子一錢甘草灸半錢右分二貼入薑五水煎以匙灌下若手足煖而甦省卽止《得效》

흑부탕(黑附湯)

만비풍으로 위급한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 12g, 목향 6g, 노랑돌쩌귀(백부자) 4g, 감초(닦은 )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숟가락으로 떠넣는다. 만일 손발이 따뜻해지면서 살아나면 약을 그만둔다[득효].

生附四君子湯

治慢脾助胃回陽四君子湯料加生附子末等分右二錢入薑五片水煎以是灌口中手足煖卽止(方見氣門)《錢氏》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

만비풍을 치료한다. () 돕고 양기(陽氣) 돌아오게 한다.

사군자탕 재료에 부자(생것)가루를 같은 양으로 넣은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8g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안에 떠넣는다. 손발이 더워지면 약을 그만둔다(처방은 기문(氣門) 있다)[전씨].

蝎附散

治慢脾風回陽豁痰附子二錢南星白附子木香各一錢全蝎七箇右取一錢薑五煎服《得效》

갈부산(蝎附散)

만비풍을 치료한다. 양기를 돌아오게 하고 담을 없앤다.

부자(싸서 구운 ) 8g, 천남성(싸서 구운 ),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 목향 각각 4g, 전갈 7.

위의 약들을 썰어서 4g 생강 5쪽을 넣어 달여 먹인다[득효].

補脾益眞湯

治慢脾風丁香木香訶子皮陳皮厚朴草果肉豆白茯人參白朮桂枝半夏附子甘草灸各二分全蝎炒一枚右入薑二棗一水煎灌服服訖令心下以助藥力《綱目》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만비풍을 치료한다.

정향, 목향, 가자피(訶子皮), 귤껍질(陳皮), 후박, 초과, 육두구,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흰삽주(백출), 계지, 끼무릇(반하), 부자(싸서 구운 ), 감초(닦은 ) 각각 0.8g, 전갈(닦은 ) 1.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쪽과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떠먹인다. 먹인 다음 명치 아래를 주물러서 기운을 도와준다[강목].

慢脾風不治證

身冷粘汗直臥如尸喘嗽頭軟背直口頭搖大小便不禁脣縮氣痰如牽鋸之聲者不治《直小》○慢脾風若也一藏絶卽不可用藥如眼無光指甲黑四肢垂五體俱冷不須下藥《直小》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慢脾風不治證]

몸이 차고 끈적끈적한 땀이 나오며 죽은 사람처럼 뻣뻣하여 누워 있고 숨이 차며 기침하고 머리에 힘이 없으며 등이 뻣뻣하고 이를 악물며 머리를 흔들고 대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며 입술이 졸아들고 숨결이 거칠며 가래가 톱질하는 소리처럼 끓는 것은 치료할 없다[직소].

만비풍에 만일 장기의 기가 끊어지면 약을 필요가 없다. 만일 눈에 광채가 없고 손톱이 검으며 팔다리가 늘어지고 온몸이 싸늘한 것은 모두 약을 주지 말아야 한다[직소].

출처 : 명리오행한방(대한명의학협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