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 인월갑목 갑자시진월갑목 병인시 否則名爲鈍斧無鋼。
辰月甲木은 계절로 火로 들어서니 퇴기(退氣)인데, 다행으로 時에 寅木인 건록(建祿)을 만나 약함이 강함으로 변하였다. 丙火식신은 寅木에서 투출하여 불길이 거세므로 木을 설기(洩氣)함이 좋다. 辰月은 火의 기운이 진기(進氣)가 되므로 甲木은 火를 원하지 않으며, 火가 왕성하면 金을
甲木 日干이 寅月이므로 건록(建祿)의 월이고, 시간에 甲木비견이 일간을 돕고, 시지 子水정인이 나를 도우니 틀림없이 강한 사주이다. 그런데 생각할 것은 초 봄 甲木이 아직은 추운 계절이고, 木의 기운이 완성되지 않은 시기이므로, 火식상으로 조후(調候)를 도모해야 발전을 이룰 수 있다. 木기운이 왕성하고 金관살이 보이면 명예로 삼고, 팔자 중에 土는 재물이 된다.
甲木일간은 卯月에 양인(陽刃)이고 乙木시간은 卯月에 건록(建祿)이므로, 꼭지는 굳어 있고 뿌리가 깊은 형상이다. 시지인 丑土정재는 이 같이 강한 일간과 시간의 극을 받아 망가지기 직전의 상태이다. 火식상으로 곤란한 土재성을 도우면 좋고, 土金재관이 팔자에 나란히 보여도 역시 상격(上格)이 된다.
辛 甲 ○ ○ 甲木이 시에 未土인 묘고(墓庫)를 만나고 巳月의 불 기운이 강하므로, 마르고 뜨거운 흙이 되어 甲木의 뿌리를 키울 수 없다. 그러므로 壬癸인수로 자윤(滋潤)함이 필요하다. 팔자에 木의 생기가 없는 중 火土재관을 거듭보면 순국(順局)이 되니 木火土 세 개의 오행의 흐름에 순응해 종아격(從兒格)이 된다. 그러나 팔자에 壬癸인수가 있는 경우는 종아가 되지 않고 인수를 용신으로 하여야 한다.
甲木이 午月에 태어나니 사지(死地)의 월을 만나 약하다. 생시가 戊辰이니 재성이 일간보다 왕성한데, 다행히 辰土 중 지장간 乙癸가 있어 일간의 약함을 돕고 있다. 木비겁이 와 일간을 돕고, 水인수가 있어 일간을 생함이 있으면, 일간과 재성의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좋다.
甲 甲 ○ ○
己 甲 ○ ○
酉月은 金의 기운이 왕성하여 甲木일간이 쇠약하다. 시간에 있는 庚金칠살은 酉月에 뿌리가 있으니 甲木은 더욱 쇠약해진다. 묘한 것은 시지에 午火상관이 있어 金을 제극하므로 가을의 甲木이 火金이 있어 큰 쓰임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甲木일간이 휴수(休囚)된 중 극설(剋洩)이 겹쳐 있으므로, 팔자에 甲木을 돕는 寅亥가 있어야 甲木의 기운이 충실해진다.
乙 甲 ○ ○ 甲木이 戌月에 태어나니 잡기재관(雜氣財官)으로 약하고, 시간인 乙木이 甲木을 돕는 역할을 한다. 생시인 丑土는 甲木의 천을귀인(天乙貴人)에 해당된다. 재성의 세력은 왕성하고 甲木은 약하니 천간에 火土가 투출하고 지지에 戌土 외에 土를 보면 종재격(從財格)에 해당이 된다. 혹, 구조가 이렇지 않으면 水木이 와 한편으론 일간을 도우면서 흙의 기운을 눌러야 한다.
亥月甲木이 축축한 데 시지에 巳火가 있어 甲木을 따뜻하게 한다. 애석하게, 일시지가 巳亥沖이 되어 亥水가 쇠약한 巳火를 제거한다. 己土시간은 亥水인 병을 제거하는 힘이 부족하여 土木이 모두 한랭하므로 甲木은 생기가 없다. 그러므로, 丙丁식상이 팔자에 많이 보이고 겸하여 木이 생조를 받게 된다면 火는 왕성해지고 木은 온난하게 된다.
子月甲木이 시에 丑 천을귀인(天乙貴人)을 만났다. 丑土인 습토를 월령인 子水가 도우므로 甲木일간의 뿌리가 됨은 분명한다. 그러나, 한랭한 나무가 왕성한 것에 불과하다. 지지에 寅巳가 있으면 일간의 뿌리가 견고해지기 시작한다. 여기에 丙火가 뚜렷이 투출하면 한곡회춘(寒谷回春)이 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火가) 생왕(生旺)의 자리를 많이 보면 묘하고, 사절(死絶)의 자리를 만나면 좋지 않다.
戊 甲 ○ ○ 甲木일간이 辰土시지에 있는 乙木의 기운을 얻었으나, 戊土시간이 辰丑에 통근(通根)하여 一木 三土로 재성이 많아 재다신약(財多身弱)의 팔자다. 팔자에 木비겁이 있으면 약한 甲木일간을 도우면서 土재성이 병이 되는 것을 제거하니 좋다. 여기에 火식상이 있으면 한랭한 土木이 따뜻해지게 된다. 팔자 중에 水木인비(印比)가 보이지 않고 한 무리 火土 식상과 재성만 있으면 종재격(從財格)으로 봐야 한다.
庚 乙 ○ ○ 寅月乙木이 신왕하니 충분히 관성의 극함을 감당할 수 있다. 이른 봄의 乙木은 따뜻하여야 하며 윤택함이 있어야 한다. 특히 庚金정관이 용신이므로 土재성이 土生金을 하는 것이 좋다. 팔자에 水인수가 많으면 金관성을 설기하게 되고, 火식상이 많으면 오히려 金관성을 제극하게 된다. 이르기를, 용신이 손상되면 안 된다고 한 말은 맞는 말이다.
甲 乙 ○ ○ 乙木일간이 卯月인 건록(建祿)을 만나고 甲木겁재가 투출하여 일간의 기세가 극히 왕성하다. 시지 申金정관의 장간(藏干)에 壬水인수가 있어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되니 팔자에 土재성이 있어 생금하면 당연히 재관을 써야 한다. 지지에 子水 또는 습토인 辰이 보이는 경우는 申과 합을 하여 水가 되므로 土재성으로 귀함을 삼는다.
己 乙 ○ ○ 辰月乙木이 지지에 卯辰이 있어 월령이 동방(東方)으로 변하니 신왕하다. 시간에 己土재성이 있지만 卯木의 살지(殺地)에 있어 손상을 당하니 신왕(身旺)에 재약(財弱)하다. 그러므로 火식상으로 재성을 도와줘야 재성과 일간의 균형이 맞게 된다. 겸하여 한 두 개의 水인수가 있어 흙을 자윤(滋潤)하면 재성은 참되게 되어 기세가 문호(門戶)에 흐르게 된다.
여름의 나무는 火가 병이고 金水가 약이다. 외격(外格)인 경우를 제외하고 정(正) 오행을 취하는 경우는 이 한 가지 이치로 본다. 巳月乙木이 시에 庚辰을 만났으니 辰 중에 장간 癸水가 巳月의 金을 윤택하게 하며, 습토(濕土)인 辰은 巳火를 받아들인다. 즉, 乙木이 水를 얻어 기세가 일어나고, 월령 巳火는 辰을 봐 자신의 기운을 설기하니 기세가 순수하다. 여기에 壬癸水가 투간(透干)하면 乙木이 활발하여 져 좋다.
丙 乙 ○ ○ 午月은 火가 왕성하고 土는 메마르니 벼와 곡식이 다 메마르므로 팔자의 용신은 癸水를 떠날 수 없다. 지지에 子午沖이 되어 火는 왕성하고 水는 약하여 水는 火의 기세를 꺾을 수 없다. 여기에 丙火시간이 투출하여 乙木일간의 기운을 뺏긴다. 그러므로, 뿌리가 있어 유력한 水가 있으면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뤄 좋다. 水를 막는 土재성을 보는 것은 꺼리지 않으나, 물기있는 흙은 좋고, 마른 흙은 꺼린다.
丙 乙 ○ ○ 未月乙木은 가을에 접어드는 시기로 그 성질이 차게 변하지만, 팔자 중 金水의 세력이 방합(方合)이나 국(局)이 된 경우에 火가 木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金水를 필요로 한다. 월령의 未土는 乙木일간의 고지(庫地)이고, 시간에 丙火가 있으니 乙木은 밝아지고 불은 뛰어난 기운이 된다. 여기에 시지 子水가 있어 흙을 윤택하게 하고 乙木을 기르는 상이다. 팔자에 또 火식상이 있게 되면 팔자가 편고(偏枯)해지고, 金水관인이 오게 되면 기세가 모두 맑아진다.
己 乙 ○ ○ 申月乙木은 월령이 절지(絶地)이지만, 卯木시지가 건록(建祿)의 자리이니 귀록격(歸祿格)이 된다. 乙庚이 암합(暗合)되어 관성이 맑고 아름답다. 시간에 있는 己土재성은 卯木시지에 극을 당하여 약하다. 재성이 약하니 이를 돕는 火식상이 있으면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 된다.
戊 乙 ○ ○ 乙木일간은 전적으로 寅木시지의 도움에 의지하는 상황이다. 酉金월령은 칠살이며, 戊土시간은 재성이므로 생금(生金)하여 칠살의 기운을 강하게 한다. 寅木 중의 지장간 丙火상관이 있어 강한 칠살을 암중 제압한다. 팔자 金관살이 또 보이면 좋지 않고, 木火인 비겁.식상을 보면 좋다.
丙 乙 ○ ○ 乙木일간에 지지에 조토(燥土)인 戌이 두 개가 있고 丙火시간이 투출하여 木의 메마름과 조열(燥熱)함이 극에 달했다. 水인수가 투출하여 火를 조절하고 木을 촉촉하게 하면 수화기제(水火旣濟)의 상이 되니 좋다. 乙木일간이 약한 경우는 水인수의 생함에 의지하고, 아주 약한 경우는 木비겁의 도움이 없으면 좋지 않다. 팔자에 水木인 인수.비겁이 없고 왕성한 火가 무리를 이룬 경우는 종아격(從兒格)으로 보아야 한다.
甲 乙 ○ ○ 천간에 투출한 甲乙木이 亥水월지를 뿌리로 삼으므로 기운이 강하다. 申金시지의 장간에 壬水가 있고 亥水월지에도 壬水가 있으며, 申金시지가 장간의 壬水를 생하므로 물 기운의 왕성함은 천간에 투출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겨울 木에 이와 같이 水가 강한 경우는 필히 土로 이를 제극(制剋)하고 火로 따뜻하게 하여야 나무에 생기가 있게 된다.
乙 乙 ○ ○ 두 개의 乙木이 천간에 투출되어 있다. 酉金시지가 子水월령을 생하여 왕성한 水가 강해지니 뿌리있는 乙木은 오히려 한랭해진다. 또한 木은 허약하고 지지에서 도와주지도 않고 있다. 이런 경우는 土재성으로 木을 배양(培養)하며 한편으론 水를 막아야 하며, 火식상으로 乙木을 따뜻하게 하여야 한다. 이러면 木은 자연스럽게 영화를 볼 수 있다.
己 乙 ○ ○ 乙木일간이 시에 卯木인 건록(建祿)을 만나니 귀록(歸祿)이다. 일간도 뿌리가 있고 己土시간도 丑土월령에 뿌리가 있으니, 팔자에 일간과 재성이 모두 머무른 신재양정(身財兩停)의 상이다. 그러나 木土인 비겁과 재성의 기세가 만족치 못한 상황으로 쟁재(爭財)의 우려가 있다. 火식상이 木土를 통하게 해준다면 乙木이 따뜻해져 영화를 보게 된다.
丙火일간은 寅木월령에 장생(長生)이 되고 壬水는 수고(水庫)인 辰土 위에 있으니, 寅木.辰土는 나무를 돕는다. 丙火일간은 壬水칠살보다 더 왕성하므로 칠살을 감당할 수 있다. 단, 壬水가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로 볼 때 휴(休)의 상태에 있으므로 土식상이 다시 나타나는 것을 꺼린다. 土식상이 있게 되면 壬水가 혼탁해지고, 丙火일간은 위엄을 잃게 된다. 金이 나타나 土生金.金生水로 水용신을 보좌하면 천간은 화합하고 지지는 윤택한 아름다운 팔자가 된다.
乙 丙 ○ ○ 卯月 未時로 卯未는 합이 되어 인수가 되고, 乙木시간은 未土 고지(庫地)에 앉아 있다. 木인수가 많아 일간이 막히는 모왕자허(母旺子虛)의 상이다. 그러므로 金재성으로 木인성을 제거함이 좋고, 水관살은 丙火를 조후하는 진신(眞神)이므로 역시 먼저 봐야 좋다.
丁 丙 ○ ○ 丙丁이 일시에 있고 辰酉는 합하여 金이 되므로 팔자의 위 아래 기운이 火金이 서로 싸움을 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火金을 서로 이어 주고 통하게 하는 성분이 있어야 한다. 다행인 것은 辰酉는 합금이 되지만 월령의 辰土는 火를 설기하고 金을 생조하는 역할을 한다. 팔자를 보면 金재성은 왕성하고 火비겁은 약세이므로 방조(幇助)하는 木火의 기운이 적으면 좋지 않다.
丙火일간이 巳月에 출생하였으니 건록격(建祿格)이다. 시간에 戊土식상이 투출하였으니 신왕에 식신도 왕성한 중 시지에 있는 子水정관은 火土 사이에 있어 미약하다. 만약 팔자에 壬水칠살이 투출하고 金재성이 이를 도우면 외로운 양(陽)이 보좌를 받는 격이므로 밝게 빛나는 귀함이 있게 된다.
丁 丙 ○ ○ 丙火일간은 午火월령에 양인(陽刃)을 얻고 시간에 丁火가 투출하여 양인도벌(陽刃倒伐)의 형세이다. 양인도벌이라 함은 양인의 세력이 지나치게 왕성하다는 의미이다. 酉金시지는 강한 불기운에 녹아 버리니 습토(濕土)로 불기운을 뽑아 내 火生土.土生金으로 金을 도우면 생기가 있게 된다. 지지가 금국(金局)이 되면 火金이 모두 많아 균형을 이루니 역시 귀하게 된다.
壬 丙 ○ ○ 丙火일간에 辰未식상의 설기가 무거우므로 일간은 약하다. 그러나 未土월령 중에 乙丁이 있어 丙火일간을 돕고 있다. 여기에 천간에 甲木인수가 투출하여 일간을 생하면 힘이 있게 된다. 壬水시간은 화염조토(火炎燥土)를 해결하는 조후의 역할을 하니 좋다. 未月은 火가 퇴기(退氣)에 해당하는 달이므로 팔자에 金水가 많이 보이면 삼복의 계절에도 불구하고 찬 기운을 막아야 한다.
丙 丙 ○ ○ 申月의 丙火인 태양은 서쪽으로 기울고, 천간의 丙은 申金 위에 앉아 있으니 丙火의 기운은 약하고 申 중에 金水가 있어 재관(財官)의 기운은 강하다. 쇠약한 불이 꺼져 가는 상황이니 비겁과 인수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 올 실로 천근의 무게를 감당하는 짝이 된다.
丁 丙 ○ ○ 시간에 丁火겁재가 있고 지지에는 酉金정재가 쌍으로 있어, 火金이 대치하지만 金재성이 견고하고 火비겁은 꺼져 가는 상으로, 팔자 모양이 재성이 왕하여 신약하다. 그러므로, 먼저 火비겁으로 일간을 돕고, 木인수로 金재성을 막아야 火金 양편의 문호(門戶)가 세워지고 서로 장애가 없게 된다. 만약 金재성이 팔자에 중첩하여 나타나면 나를 버리고 재성에 다르는 종재격(從財格)이 된다.
乙 丙 ○ ○ 丙火일간이 월령 戌土가 고지(庫地)이고, 乙木시간도 未土 시지가 고지이니 일간과 인수가 득지(得地)했다. 지지의 戌未土는 丙火일간의 기운을 설기하여 팔자의 木火土의 기운이 생(生)으로 이어지게 한다. 丙火일간이 조토(燥土)인 戌未를 만나 건조하므로 팔자에 金水가 있어야 조화가 된다. 그러므로 戌月丙火가 신약한 경우는 木인수를 쓰고, 신왕한 경우는 水관살을 쓴다. 이 방법은 비록 정해진 원칙은 아니고 용신 선정의 대략을 말한 것이다.
甲 丙 ○ ○ 겨울의 丙火는 기세가 쇠약하다. 木火인비로 생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丙火일간이 午火양인을 시지에 만나고, 甲木시간이 火를 도우니 유정(有情)하다. 亥水칠살이 월령을 차지하고 있어 양인을 제압하지만, 甲木시간이 칠살의 기운을 설기하므로 칠살의 기운이 맑지 못한 것이 흠이다. 하나의 壬水정관이 천간에 투출하면 살인(殺刃)이 함께 빛나면 짜임이 아름답고 묘하게 된다.
丁 丙 ○ ○ 천간에 투출한 丙丁은 본래 같은 기운이다. 지지에 酉金과 子水가 서로 정을 주고 있어, 火비겁은 허약하고 水관살은 튼실하니 관왕신경(官旺身輕)의 상태가 된다. 겨울은 본래 水의 기운이 왕성하다. 이 水가 다시 천간에 투출하여 방자하고 왕성해 지는 것을 꺼린다. 모름지기 丙火일간이 득지(得地)하고 木인수가 이를 보조한 연후에 水관살을 쓴다. 명의 왕쇠를 판단하는 경우 전체를 고려하여야 한다.
己 丙 ○ ○ 丑月도 상관 월이며 시도 己丑시이므로 상관이 함께 있다. 丑土 중에 지장간 癸水.辛金이 있으므로 기(氣) 또한 생왕(生旺)하다. 지장간에서 土.金.水가 상생하여 유정(有情)은 하지만, 丙火일간은 홀로 버려져 고립되어 있다. 왕성한 자가 더 왕해지면 편왕하여 못쓰고, 응당 왕성하여야 할 자가 왕성하지 않으면 창성하지 못한다. 丑月 丙火의 폐단을 고치는 방법은 木인수.火비겁 두 기운의 조화가 있어야 한다.
時 日 月 年 寅卯는 木방위의 합을 이루고 木인수가 지지에 자리를 잡으니 丁火일간이 강하다. 시간에 癸水칠살이 있으나 卯木시지에 설기되니 허약한 칠살이 되었다. 그러므로 金水로 약한 칠살을 도와야 좋은 사주가 된다.
丁火일간이 卯辰 동방목국을 보고, 시간에 甲木정인이 투출하였다. 시지의 辰土상관이 왕성한 火를 설기(泄氣)하므로, 사주 중에 金재성이 적으면 좋지 않다. 木이 왕성한 경우 金의 제극(制剋)에 의지하여 기둥이 될 수 있다. 水관살이 투출하면 金生水가 되니 의당 金재성을 용신으로 하지 않고 水관살을 용신으로 삼는다.
丁 丁 ○ ○ 丁火시간이 일간을 돕고, 未土 중에 木火의 기운이 암장(暗藏)되어 있으니 일간은 힘이 있다. 단, 지지에 辰未가 있어 설기하는 힘이 강하므로 甲木정인으로 土식상을 헤쳐 주는 것이 좋다. 이런 후에 金水재관이 오면 일간의 용신을 얻는 것이다.
壬 丁 ○ ○ 丁火가 巳月인 건록(建祿)을 만나고 寅木시지에 장생(長生)이 된다. 겁재와 인수를 월시에서 모두 만났으니 불기운이 강하다. 불기운을 조절할 壬水정관은 월에 뿌리가 없고 앉은 자리인 寅木에 설기된다. 그러므로 인비(印比)가 나무 왕성하다. 팔자에 丙火가 투출하면 丙火가 丁火의 빛을 뺏는 병탈정광(丙奪丁光)의 상태가 되니 좋지 않다. 水관살이 있어 壬水정관을 보조하며, 金재성이 水관살을 도우면 좋다.
乙 丁 ○ ○ 지지에 巳午 남방의 기운이 강하다.
|
'남촌선생 역리학 > 남촌선생 역리학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컴퓨터 사주 도사 김상숙 (0) | 2016.01.21 |
---|---|
명리학 도사 김영철 (0) | 2016.01.21 |
현문나경(玄門羅經) (0) | 2016.01.20 |
옥배추와 명리학 (0) | 2016.01.06 |
엔트로피 법칙과 개운법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