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팔덕(水有八德)/주신중(朱新仲)의 세시오계(歲時五計)
![](https://m1.daumcdn.net/cfile223/R400x0/9923883359F99A6D08BE12)
수유팔덕(水有八德)
![](https://m1.daumcdn.net/cfile203/R400x0/994F82335993E5792748AB)
노자(老子)는 인간수양(人間修養)의 근본을 물이 가진 여덟 가지의 덕목(水有八德)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2/R400x0/990A3F335993E57A1A8A72)
1. 낮은 곳을 찾아 흐르는 = 謙遜(겸손)
![](https://m1.daumcdn.net/cfile222/R400x0/99C977335993E57C0721D0)
2. 막히면 돌아갈 줄 아는 = 智慧(지혜)
![](https://m1.daumcdn.net/cfile209/R400x0/998116335993E57C24B984)
3. 구정물도 받아주는 = 包容力(포용력)
![](https://m1.daumcdn.net/cfile206/R400x0/99D5D9335993E57D1EADD6)
4. 어떤 그릇에나 담기는 = 融通性(융통성)
![](https://m1.daumcdn.net/cfile214/R400x0/994822335993E57D149559)
5. 바위도 뚫는 끈기와 = 忍耐(인내)
![](https://m1.daumcdn.net/cfile228/R400x0/99D079335993E57E18E5C5)
6. 장엄한 폭포처럼 투신하는 = 勇氣(용기)
![](https://m1.daumcdn.net/cfile235/R400x0/993FCD335993E57E225729)
7. 유유히 흘러 바다를 이루는 = 大義(대의)
![](https://m1.daumcdn.net/cfile219/R400x0/990E1E335993E57F28D25A)
8. 걷은 변해도 근본 무변하는 = 신의(信義)
이 여덟 덕목을 모두 갖춘 사람이야 말로 현인 이리니, 우리도 물처럼 선하고 착하게 살자는 上善若水 의 뜻을 익히며 살아요
![](https://m1.daumcdn.net/cfile228/R400x0/99F57C335993E5822C72E0)
주신중(朱新仲)의 세시오계(歲時五計)
![](https://m1.daumcdn.net/cfile204/R400x0/1112FC1A49A48EFD501CF5)
중국 송(宋)나라에 주신중이라는 훌륭한 인물이 있었는데, 그는 인생에는 다섯 개의 계획(五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https://m1.daumcdn.net/cfile235/R400x0/1512FC1A49A48EFE53833B)
첫째는 생계(生計)다. 내가 장차 무슨 일을 하면서 먹고 살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다. 생계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내 적성에 맞는 직업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남의 의식하지 말고, 정말로 내가 미치도록 좋아하는 일에 매진하면 된다. 아무리 하찮은 직업이라도 자신의 목숨을 걸 정도의 '혼(魂)'을 발휘하면 큰일을 해낼 수 있다.
![](https://m1.daumcdn.net/cfile211/R400x0/1312FC1A49A48EFE5692AD)
둘째는 신계(身計)다. 즉 건강하게 살기 위한 계획이다. 어떻게 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튼튼하게 살 수 있는가를 설계해야 한다. 과음 과식을 피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면서 남에게 좋은 일 많이 하고 슬로우 템포로 삶의 여유를 찾으면 그게 최고다.
![](https://m1.daumcdn.net/cfile208/R400x0/1312FC1A49A48EFF5D1EAB)
셋째는 가계(家計)다. 어떻게 하면 가정을 원만하게 경영할 것인가의 문제다. 경제적인 문제는 물론 노부모와의 관계, 부부관계, 부모 자식관계, 형제 관계를 잘 설정해 나갈 것인가의 문제다. 자신이 먼저 마음의 문을 열고, 다가가서 따뜻한 손을 내밀면 만사 오케이다.
![](https://m1.daumcdn.net/cfile212/R400x0/1412FC1A49A48EFF5E49BB)
넷째는 노계(老計)다. 어떻게 하면 국가나 자식들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고 당당한 노후를 보낼 것인가의 문제다. 젊었을 때, 놀면서 방황하는 것은 금물이다. 왜냐하면 노년의 삶은, 그가 젊었을 때 어떤 자세로 살았느냐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 노년은 울림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러려면 많은 것을 비워야 한다. 북이 크게 울리는 것은 속이 비어있기 때문이다. 노년의 욕심은 노추(老醜)라고 비판받는다.
![](https://m1.daumcdn.net/cfile226/R400x0/150FC51C49A48F202F4708)
다섯째는 사계(死計)다. 어떤 모습으로 이 세상을 떠날 것인가의 계획이다. 호랑이가 호피를 남긴다면, 인간은 무슨 일을 하든 일가(一家)를 이뤘다는 이름을 남겨야 한다. 당연히 일생에 걸친 피나는 노력을 통해 이름 석자를 세인들에게 각인시킬 수 있어야 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