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공부/증산도 수행문화

민족 3대경전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8. 7. 18. 13:40





염표문ㅡ 염표문은 말 그대로 마음속에 지닌 큰 뜻을 드러낸 글입니다. 환웅천황이 처음 공포하였고 11세 도해단군이 천지인의 창조정신을 덧붙여 완성하였습니다. 이후 염표문은 대대로 한국인의 ‘신교문화헌장’으로서 인성론과 심법교육의 모체가 되었습니다.  
 
염표문은 먼저 천지부모의 덕성을 가르쳐줍니다. 하늘은 한순간도 거짓됨이 없이 참되고 땅은 하늘의 뜻을 받들어 한순간도 쉼 없이 생명을 기릅니다. 그리고 사람은 지혜와 능력을 발휘하여 서로 협력하여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을 진일眞一, 근일勤一, 협일協一로 표현하였습니다. 인간은 천지부모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는 태일의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 하나 되어 참여하고 협력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염표문은 이렇게 인간이 할 바를 밝힌 다음 그것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천명합니다. 바로 ‘삼신의 가르침으로 세상을 다스려서[在世理化]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라[弘益人間]’는 것입니다. 원래 인간은 삼신으로부터 참마음을 받은 광명한 존재입니다. 이러한 인간을 삼신의 가르침으로 다스려 일깨워서 천지의 뜻과 대이상을 펼치는 존재가 되게 하는 것, 다시 말해서 인간을 진정한 태일이 되게 하는 것, 이것이 염표문이 전하는 홍익인간의 궁극입니다.



참전계경

참전계경 원문 해설


참전계경과 을파소(乙巴素) 선생
고구려 고국천왕때 유명한 재상 을파소는 일찍이 묘향산맥중의 백운산중에 들어가 기도하던 중 국조 단군(檀君) 성신(聖神)으로부터 하늘의 글(天書)을 얻게 되었다한다. 이 천서(天書)를 일러 참전계경(參佺戒經)이라 하였으니 참전(參佺)이라 함은「사람으로서 온전하게 됨을 꾀한다」는 뜻인 것이다. 고기(古記)에 따르면, 조화경(造化經), 교화경(敎化經), 치화경(治化經)이라 하는 삼화경(三化經)이 있는데 단군왕검께서 참전계경 366훈으로 가르쳐 뭇 백성을 치화(治化)하셨던 것이니 참전계경을 치화경이라한다. 참전계경이 팔강령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팔리훈이라고도 한다.

팔리훈 강령차례(八理訓 綱領 次例 )
머리글 성령장(聖靈章)
제일장(第一章) 성(誠)
제이장(第二章) 신(信)
제삼장(第三章) 애(愛)
제사장(第四章) 제(濟)
제오장(第五章) 화(禍)
제육장(弟六章) 복(福)
제칠장(第七章) 보(報)
제팔장(第八章) 응(應)

제일장(第一章) 성(誠)
1體:敬神: 1用 존봉(尊奉) 2用 숭덕(崇德) 3用 도화(導化) 4用 창도(彰道) 5用 극례(克禮) 6用 숙정(肅靜) 7用 정실(淨室) 8用 택제(擇齊) 9用 회향 (懷香)
2體:正心: 10用 의식(意植) 11用 입신(立身) 12用 불혹(不惑) 13用 일엄(溢嚴) 14用 허영(虛靈) 15用 치지(致知) 16用 폐물(閉物) 17用 척정(斥情) 18用 묵안(默安)
3體:不忘: 19用 자임(自任) 20用 자기(自記) 21用 첩응(貼膺) 22用 재목(在目) 23用 뇌허(雷虛) 24用 신취(神聚)
4體:不息: 25用 면강(勉强) 26用 원전(圓轉) 27用 휴산(休算) 28用 실시(失始) 29用 진산(塵山) 30用 방운(放運) 31用 만타(慢他)
5體:至感: 32用 순천(順天) 33用 응천(應天) 34用 청천(聽天) 35用 낙천(樂天) 36用 대천(待天) 37用 재천(載天) 38用 도천(禱天) 39用 시천(恃天) 40用 강천(講天)
6體:大孝: 41用 안충(安衷) 42用 쇄우(鎖憂) 43用 순지(順志) 44用 양체(養體) 45用 양구(養口) 46用 신명(迅命) 47用 망형(忘形)

제이장(第二章) 신(信)
1 團 義: 1部 정직(正直) 2部 공렴(公廉) 3部 석절(惜節) 4部 불이(不貳) 5部 무친(無親) 6部 사기(捨己) 7部 허광(虛광) 8部 부우(不尤) 9部 체담(替擔)
2 團 約:10部 천실(踐實) 11部 지중(知中) 12部 속단(續斷) 13部 배망(排忙) 14部 중시(重視) 15部 천패(天敗) 16部 재아(在我) 17部 촌적(忖適) 18部 하회(何悔) 19部 찰합(찰合)
3 團 忠:20部 패정(佩政) 21部 담중(擔重) 22部 영명(榮命) 23部 안민(安民) 24部 망가(忘家) 25部 무신(無身)
4 團 烈:26部 빈우(賓遇) 27部 육친(育親) 28部 사고(嗣孤) 29部 고정(固貞) 30部 닐구(닐仇) 31部 멸신(滅身)5 團 循:32部 사시(四時) 33部 일월(日月) 34部 덕망(德望)

제삼장(第三章) 애(愛)
1 範 恕: 1圍 유아(幼我) 2圍 사시(似是) 3圍 기오(旣誤) 4圍 장실(將失) 5圍 심적(心蹟) 6圍 유정(由情)
2 範 容: 7圍 고연(固然) 8圍 정외(情外) 9圍 면고(免故) 10圍 전매(全昧) 11圍 반정(半程) 12圍 안념(安念) 13圍 완급(緩急)
3 範 施: 14圍 원희(原喜) 15圍 인간(認艱) 16圍 긍발(矜發) 17圍 공반(公頒) 18圍 편허(偏許) 19圍 군련(均憐) 20圍 후박(厚薄) 21圍 부혼(付混)
4 範 育: 22圍 도업(導業) 23圍 보산(保産) 24圍 장근(奬勤) 25圍 경타(警墮) 26圍 정노(定老) 27圍 배유(培幼) 28圍 권섬(勸贍) 29圍 관학(灌학)
5 範 敎: 30圍 고부(顧賦) 31圍 양성(養性) 32圍 수신(修身) 33圍 주륜(湊倫) 34圍 불기(不棄) 35圍 물택(勿擇) 36圍 달면(達勉) 37圍 역수(力收)
6 範 待: 38圍 미형(未形) 39圍 생아(生芽) 40圍 관수(寬遂) 41圍 온양(穩養) 42圍 극종(克終) 43圍 전탁(傳托)

제사장(第四章) 제(濟)
1規 시(時) 1模 농재(農災) 2模 양괴( 怪) 3模 열염(熱染) 4模 동표(凍 ) 5模 무시(無時) 6模 왕시(往時) 7模 장지(將至)
2規 지(地) 8模 무유(憮柔) 9模 해강(解剛) 10模 비감(肥甘) 11模 조습(燥濕) 12模 이물(移物) 13模 역종(易種) 14模 척벽(拓闢) 15模 수산(水山)
3規 서(序) 16模 선원(先遠) 17模 수빈(首濱) 18模 경중(輕重) 19模 중과(衆寡) 20模 합동(合同) 21模 노약(老弱) 22模 장건(壯健)
4規 지(智) 23模 설비(設備) 24模 금벽(禁癖) 25模 요검(要劍) 26模 정식(精食) 27模 윤자(潤資) 28模 개속(改俗) 29模 입본(立本) 30模 수식(收殖) 31模 조기(造器) 32模 예제(預劑)

제오장(第五章) 화(禍)
1條 기(欺) 1目 익심(匿心) 2目 만천(慢天) 3目 신독(信獨) 4目 멸친(蔑親) 5目 구운(驅殞) 6目 척경( 傾) 7目 가장(假章) 8目 무종(無終) 9目 호은( 恩) 10目 시총(侍寵)
2條 탈(奪) 11目 멸산(滅産) 12目 역사(易祀) 13目 노금(擄金) 14目 모권(謨權) 15目 투권(偸卷) 16目 취인(取人)
3條 음(淫) 17目 황사(荒邪) 18目 장주( 主) 19目 장자(藏子) 20目 유태(流胎) 21目 강륵(强勒) 22目 절종(絶種)
4條 상(傷) 23目 흉기(凶器) 24目 짐독( 毒) 25目 간계(奸計) 26目 최잔( 殘) 27目 필도(必圖) 28目 위사(委唆) 29目 흉모(兇謨)
5條 음(陰) 30目 흑전(黑箭) 31目 귀염(鬼焰) 32目 투현(妬賢) 33目 질능(嫉能) 34目 간륜(間倫) 35目 투질(投質) 36目 송절(送絶) 37目 비산(誹 )
6條 역(逆) 38目 설신(褻神) 39目 독례(瀆禮) 40目 패리(敗理) 41目 범상(犯上) 42目 역후(逆 )

제육장(弟六章) 복(福)
1門인(仁) 1戶애인(愛人) 2戶호물(護物) 3戶체측(替惻) 4戶희구(喜救) 5戶불교(不驕) 6戶자겸(自謙) 7戶양열(讓劣)
2門선(善) 8戶강개(慷慨) 9戶불구(不苟) 10戶원혐(遠嫌) 11戶명백(明白) 12戶계인(繼人) 13戶존물(存物) 14戶공아(空我) 15戶양능(揚能) 16戶은건(隱愆)
3門순(順) 17戶안정(安定) 18戶정묵(靜默) 19戶예모(禮貌) 20戶주공(主恭) 21戶지념(持念) 22戶지분(知分)
4門화(和) 23戶수교(修敎) 24戶준계(遵戒) 25戶온지(溫至) 26戶물의(勿疑) 27戶성사(省事) 28戶진노(鎭怒) 29戶자취(自就) 30戶불모(不謀)
5門관(寬) 31戶홍량(弘量) 32戶불린(不吝) 33戶위비(慰悲) 34戶보궁(保窮) 35戶용부(勇赴) 36戶정선(正旋) 37戶능인(能忍) 38戶장가(藏呵) 6門엄(嚴) 39戶병사(屛邪) 40戶특절(特節) 41戶명찰(明察) 42戶강유(剛柔) 43戶색장(色莊) 44戶능훈(能訓) 45戶급거(急祛)

제칠장(第七章) 보(報)
1階 적(積) 1及 세구(世久) 2及 무단(無斷) 3及 익증(益增) 4及 정수(庭授) 5及 천심(天心) 6及 자연(自然)
2階 중(重) 7及 유조(有早) 8及 공실(恐失) 9及 면려(勉勵) 10及 주수(株守) 11及 척방(斥訪) 12及 광포(廣佈)
3階 창( ) 13及 유구(有久) 14及 유린(有隣) 15及 기연(其然) 16及 자수(自修) 17及 불권(不倦) 18及 욕及(欲及)
4階 영(盈) 19及 습범(襲犯) 20及 연속(連續) 21及 유가(有加) 22及 전악(傳惡)
5階 대(大) 23及 감상(勘尙) 24及 무탄(無憚) 25及 취준(驟峻) 26及 외선(外善)
6階 소(小) 27及 배성(背性) 28及 단연(斷連) 29及 불개(不改) 30及 권린(勸隣)

제팔장(第八章) 응(應)
1果 적(積) 1形 극존(極尊) 2形 거유(巨有) 3形 상수(上壽) 4形 제손(諸孫) 5形 강령(康寧) 6形 선안(仙安) 7形 세습(世襲) 8形 혈사(血祀)
2果 중(重) 9形 복중(福重) 10形 옥백(玉帛) 11形 절화(節化) 12形 현예(賢裔) 13形 건왕(健旺) 14形 길경(吉慶) 15形 세장(世章)
3果 담(淡) 16形 응복(應福) 17形 유고(裕庫) 18形 무액(無厄) 19形 이수(利隨) 20形 천권(天捲)
4果 영(盈) 21形 뇌진(雷震) 22形 귀갈(鬼喝) 23形 멸가(滅家) 24形 절사(絶祀) 25形 실시(失屍)
5果 대(大) 26形 인병(刃兵) 27形 수화(水火) 28形 도적(盜賊) 29形 수해(獸害) 30形 形역(形役) 31形 천라(天羅) 32形 지망(地網)
6果 소(小) 34形 빈궁(貧窮) 35形 질병(疾病) 36形 패망(敗亡) 37形 미실( 室) 38形 도개(道 ) 39形 급자(及子)





'놀라운 공부 > 증산도 수행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수행  (0) 2020.12.13
행심진볍  (0) 2020.05.13
증산도 수행  (0) 2017.06.26
[수행과 종통] 담痰은 불덩이(相火)다.   (0) 2013.03.02
태을주 수행과 수승화강  (0) 201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