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세기를 살다간 처사 남명 조식(曺植 1501~1572)은 백성들이 처한 삶에 대해 누구보다 고민하였다. 그의 문집인 『남명집』 곳곳에서는 백성의 어려운 현실에 대해 근심하는 남명의 모습이 발견된다. 제자인 정인홍은 스승의 행장에서,
“백성들의 괴로움을 염려하여 마치 자기 몸이 아픈 듯이 하였고 회포가 이어져 이를 말함에 이르러서는 혹 목이 메어 눈물을 흘렸다. 관리들과 더불어 이야기 할 때는 일분이라도 백성을 이롭게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면 힘을 다해서 말했으니 혹 베풀어지기를 바라서였다.[念生民困悴 若恫懁在身 懷抱委襞 言之或至鳴噎 繼以涕下 與當官者言 有一分可以利民者 極力告語 覬其或施]”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연려실기술』에는 “일찍이 선비들과 말을 하다가 당시 정치의 득실과 민생의 곤궁한 데 말이 미치면 팔을 걷어붙이고 목이 메어 눈물까지 흘렸다.[嘗與士子 語及時政闕失 生靈困悴 未嘗不扼腕哽咽 至於流涕]”1)고 하여 조식이 백성들의 어려운 삶에 대해 울분을 터뜨리는 모습이 잘 나타난다. 그리고 무엇보다 조식의 적극적인 대민 인식이 구체화되어 있는 글이 『남명집(南冥集)』 권1에 실려있는 「민암부(民巖賦)」이다. 「민암부」에서 남명은 민의 존재를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백성이 물과 같다 함은 예로부터 있는 말이다. 백성이 임금을 추대하지만 나라를 뒤엎기도 한다. 내 진실로 알거니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물이니, 험함이 밖에 드러난 것은 만만히 대하기 어렵지만,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마음이니, 험함이 안에 있는 것은 쉽게 대한다. 걷기에 평지보다 편안한 곳이 없지만 맨발로 다니면서 살피지 않으면 발을 다치고, 거처하기에 이부자리보다 편안한 것이 없지만 모서리를 조심하지 않으면 눈을 다친다. 화는 실로 소홀함에서 연유하는 것이니 바위는 계곡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원독(怨毒)이 마음속에 있으면 한 사람의 생각이라 몹시 미세하고, 필부(匹夫)가 하늘에 호소해도 한 사람일 적에는 매우 보잘 것이 없다. 그러나 저 밝은 감응은 다른 것에 있지 않고 하늘이 보고 듣는 것은 이 백성이라. 백성이 원하는 바를 반드시 따르니 진실로 부모가 자식에게 하는 것과 같다.[民猶水也。古有說也。民則戴君。民則覆國。吾固知可見者水也。險在外者難狎。所不可見者心也。險在內者易褻。履莫夷於平地。跣不視而傷足。處莫安於衽席。尖不畏而觸目。禍實由於所忽。巖不作於溪谷。怨毒在中。一念銳。匹夫呼天。一人甚細。然昭格之無他。天視聽之在此。民所欲而必從。寔父母之於子。]」
조식은 먼저 백성을 물에 비유하고 임금을 배에 비유하여 물이 배를 순항하게 할 수도 있고 빠뜨릴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임금을 추대하고 갈아치우는 힘을 민에게서 찾은 것은 적극적인 대민인식으로서, 각종 경전을 적극 인용하고 있다. 원래 ‘민암’이라는 말은 『서경』의 ‘顧畏于民巖[백성이 바위임을 돌아보고 두려워하십시오]’라는 말에서 비롯된 용어이며, ‘대군(戴君)’과 ‘복국(覆國)’의 논리는 『순자』「왕제(王制)」에 ‘君者舟也 庶人者水也 水則戴舟 水則覆舟[임금은 배이고 서인은 물과 같은데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고 배를 엎기도 한다]’라는 표현과도 흡사하다. ‘天視聽之在此’라는 표현은 『맹자』「만장장(萬章章)」에 나오는 ‘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廳[하늘의 보심은 우리 백성이 보는 것을 따르고 하늘의 들으심은 우리 백성이 듣는 것을 따른다]’는 내용과 유사함을 보인다. 결국 조식은 백성들의 힘을 중시한 각종 경전을 광범하게 인용하여 백성이 우선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강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어 조식은 배를 뒤엎을 수 있는 민의 암(巖)이 생기는 원인을 당시의 현실 속에서 찾고 있다.
「궁실(宮室)의 넓고 큼은, 바위의 시작이요. 여알(女謁)이 성행함은, 바위의 계단이요, 세금을 기준 없이 거두어들임은, 바위의 쌓음이요, 도에 넘치는 사치는 바위의 세움이요, 부극(掊克)이 자리를 차지함은 바위의 길이요, 형벌의 자행은 바위를 굳게 함이다. 비록 그 바위가 백성에게 있지만, 어찌 임금의 덕에서 말미암지 않겠는가? 물은 하해(河海)보다 더 큰 것이 없지만, 큰 바람이 아니면 고요하고, 바위의 험함이 민심보다 더 위태로운 것이 없지만, 포악한 임금이 아니면 다 같은 동포이다. 동포를 원수로 생각하니, 누가 그렇게 하도록 하였는가? 남산이 저렇듯 우뚝하지만 오직 돌이 바위가 된 것이고, 태산이 저렇듯 험준하지만, 노(魯)나라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바이다. 그 바위는 마찬가지로되, 안위(安危)는 다름이 있다. 나로 말미암아 편안하기도 하고, 나로 말미암아 위태롭기도 하니, 백성을 바위라 말하지 말라. 백성은 바위가 아니니라.[宮室廣大。巖之輿也。女謁盛行。巖之階也。稅斂無藝。巖之積也。奢侈無度。巖之立也。掊克在位。巖之道也。刑戮恣行。巖之固也。縱厥巖之在民。何莫由於君德。水莫險於河海。非大風則妥帖。險莫危於民心。非暴君則同胞。以同胞爲敵讎。庸誰使而然乎。南山節節。唯石巖巖。泰山巖巖。魯邦所詹。其巖一也。安危則異。自我安之。自我危爾。莫曰民巖。民不巖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