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생리학자료

[스크랩] [내경편] 간장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9. 27. 13:22

◆肝臟

◆肝臟圖

肝形象

간장의 형태[肝形象]

肝有二布葉七小葉如木甲折之象各有支絡居中以宣發陽和之氣魂之官也《內經註》○肝有二大葉七小葉左三葉右四葉分兩如木甲折之多葉也《入門》○肝重四斤四兩左三葉右四葉凡七葉主藏魂《難經》

() 2개의 퍼진 (布葉) 1개의 작은 (小葉)으로 되어 있는데 나무껍질이 터진 모양과 같다. 엽들에는 각각 지락(支絡)㈜과 경맥이 가운데 자리잡고 있으면서 양기(陽氣) 고르롭게[] 퍼지게도 하고 내보내기도 한다. 이곳에는 또한 () 있다[내경주].

[] 지락(支絡) : 갈라진 작은 낙맥(絡脈) 말한다.

간은 2개의 (大葉) 1개의 작은 엽으로 되어 있는데 왼쪽에 3개의 , 오른쪽에 4개의 엽으로 갈라져 있어서 나무껍질이 여러 조각으로 터진 같다[입문].

간의 무게는 2.4kg이다. 그리고 왼쪽에 3개의 , 오른쪽으로 4개의 엽으로 되어 있어 모두 7개의 엽이다. 여기에는 주로 () 간직되어 있다[난경].

肝部位

간의 위치[肝部位]

肝生於左《內經》○肝之系者自膈下着左脇肋上貫膈入肺中與膈膜相連也《入門》○期門二穴肝之募也在兩乳直下一寸半在背則肝兪在九下是肝之分也《銅人》

간은 왼쪽에서부터 생긴다[내경].

간에 달린 줄은 가름막[] 아래에서부터 왼쪽 갈비뼈에까지 붙어 있고 위로는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속으로 들어갔다가 가름막에 연결되었다[입문].

2개의 기문혈(期門穴) 간의 모혈(募穴)인데 양쪽 젖에서 곧바로 아래로 1 되는 곳에 있고 잔등()에는 간유혈(肝兪穴) 있는데 9흉추와 10흉추 극상돌기 사이에서 옆으로 각각 2 되는 곳에 있다. 이것이 간에 해당한 부위이다[동인].

肝主時日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肝主春足厥陰少陽主治其日甲乙○東方生風風生木木生酸酸生肝○肝爲陰中之少陽通於春氣《內經》

간은 봄을 주관한다. 족궐음(足厥陰) 족소양(足少陽) 주치(主治)하는 날은 갑일(甲日) 을일(乙日)이다.

동쪽은 () 생기게 하고 풍은 나무를 생기게 하며 나무는 것을 생기게 하고 것은 간을 생한다.

간은 () 중의 소양(少陽)㈜이 되는데 봄철과 통한다[내경].

[] () 중의 소양(少陽) : 간을 가리켜 하는 말이다. 모든 사물을 음과 양으로 가르고 음과 양을 다시 각각 음과 양으로 가른다. 5장은 음인데 중에 음은 태음(太陰, )이고 중에 양은 소양(少陽, )이며 중에 양은 태양(太陽, )이고 중에 음은 소음(少陰, )이다.

肝屬物類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在天爲風在地爲木在體爲筋在藏爲肝在色爲蒼在音爲角在聲爲呼在變動爲握在竅爲目在味爲酸在志爲怒其液爲淚其榮爲瓜其臭爲其卦爲震(生數三成數八)其穀爲麻(一作麥)其畜爲犬(一作鷄)其蟲爲毛其數爲八其果爲李其菜爲《內經》其爲足厥陰《內經》

하늘에서는 바람이고 땅에서는 나무이며 몸에서는 힘줄이고 5장에서는 간이며 빛깔에서는 푸른 빛이고 ()에서는 ()이며 소리에서는 부르짖는 것이고 동작에서는 쥐는 것이며 구멍[]에서는 눈이고 맛에서는 신맛이며 ()에서는 성내는 것이고 진액에서는 눈물이며 겉에 나타난 것은 손톱이고 냄새에서는 비린내이며 ()에서는 진괘(震卦, 생수(生數) 3이고 성수(成數) 8이다)이고 곡식에서는 (, 보리라고 데도 있다)이며 집짐승에서는 (닭이라고 데도 있다)이고 벌레에서는 벌레이며 숫자에서는 8이고 과실에서는 추리()이며 채소에서는 부추이다[내경].

경맥은 족궐음경(足厥陰經)이다[내경].

肝臟大小

간이 크고 작은 [肝臟大小]

肝者主爲將使之候外欲知堅固視目大小○靑色小理者肝小理者肝大廣胸反者肝高合脇兎者肝下胸脇好者肝堅脇骨弱者肝脆膺背好相得者肝端正脇骨偏擧者肝偏傾也

간은 주로 장수[] 되어서 바깥을 살피게 한다. 간이 든든한가를 알려면 눈의 크기를 보아야 한다.

얼굴빛이 퍼렇고 살결이 부드러운 사람은 간이 작고 살결이 거친 사람은 간이 크다. 가슴이 넓고 발목뼈가 잦혀진 사람[ ] 간이 위로 놓여 있는데 옆구리에 맞붙어 있다. 발목뼈가 토끼발목처럼 사람은 간이 아래로 처져 있다. 가슴통이 실한 사람[胸脇好者] 간이 든든하고 갈비뼈가 약한 사람은 간이 연약하다. 가슴과 잔등() 균형이 잡힌 사람은 간의 위치와 모양이 똑바르고 한쪽 갈비뼈가 들린 사람은 간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肝小則藏安無脇下之病肝大則逼胃迫咽苦膈中且脇下痛肝高則上支賁切脇爲息賁肝下則逼胃脇下空易受邪肝堅則藏安難傷肝脆則善病消易傷肝端正則和利難傷肝偏傾則脇下痛也《靈樞》

간이 작으면 5장이 편안하고 옆구리 아래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 간이 크면 위가 눌려서 목구멍이 눌리는 감이 있고 가슴 속이 말째며[] 옆구리 아래가 아프다. 간이 위로 놓여 있으면 분문(支賁) 위로 밀리고 옆구리가 눌리기 때문에 식분(息賁) 생기고 간이 아래로 놓여 있으면 위가 눌리고 옆구리 아래가 비기[] 때문에 쉽게 사기(邪氣) 받는다. 간이 든든하면 장이 편안하고 상하지 않는다. 간이 연약하면 소갈병(消渴病)이나 황달병이 생기며 쉽게 상한다. 간의 위치와 모양이 똑바르면 조화되어 내보내는 것이 순조롭고 상하지 않는다. 간이 한쪽으로 치우쳐 놓여 있으면 옆구리 아래가 아프다[영추].

肝傷證

간이 상한 증상[肝傷證]

有所墜墮惡血留內有所大怒氣上不下積於脇下則傷肝又曰大怒氣逆則傷肝《靈樞》○怒氣逆上而不下則傷肝《難經》

높은 데서 떨어져서 속에 궂은 [惡血] 몰려 있거나 몹시 성을 내서[大怒] 기운이 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고 옆구리 아래로 몰리면 간이 상한다. 또한 몹시 성을 내서 기운이 거슬러 올라가도 간이 상한다[영추].

성을 내서 기운이 거슬러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면 간이 상한다[난경].

肝病證

간병의 증상[肝病證]

邪在肝則兩脇中痛寒中惡血在內《靈樞》○肝病者兩脇下痛引小腹令人善怒○肺傳之肝病名曰肝痺一名曰厥脇痛出食○肝熱者色蒼而爪枯《內經》○外證善潔面靑善怒內證臍左有動氣按之牢若痛其病四肢滿閉淋澁便難轉筋有是者肝也無是者非也《難經》○大骨枯槁大肉陷下胸中氣滿腹內痛心中不便肩項身熱破脫肉目陷眞藏見目不見人立死其見人者至其所不勝之時則死註曰此肝之藏也所不勝之時謂庚辛之月也《內經》

사기(邪氣) 간에 있으면 양쪽 옆구리가 아픈데 이것은 보통 한사(寒邪) 상하여 궂은 피가 속에 생긴 것이다[영추].

간병 때에는 양쪽 옆구리 아래가 아프면서 아랫배[小腹]까지 켕기며 성을 낸다.

폐병(肺病) 옮아가서 생긴 간병을 간비(肝痺) 또는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옆구리가 아프고 먹은 것을 토한다.

간에 열이 있으면 얼굴빛이 퍼렇고 손톱이 마른다[내경].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며 얼굴빛이 퍼렇고 성을 내는 것이다. 속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배꼽 왼쪽에 동기(動氣) 있으며 눌러 보면 뜬뜬하고[] 약간 아프다. 병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며 대변이 나오지 않고 힘줄이 뒤틀리는 증상이 있으면 간병이다. 이런 증상이 없으면 간병이 아니다[난경].

여위어 뼈들이 두드러지고 힘살이 움푹 들어가며 가슴 속에 기운이 가득 차고 뱃속이 아프며 가슴 속이 편안치 않고 어깨와 목덜미와 몸이 달고() 종아리살이 빠지며 눈이 꺼져들어 가고 진장맥(眞藏脈) 나타나면서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면 죽는다. 그러나 사람을 알아보면 장이 이기지 못하는 때가 되어야 죽는다. 주해에는 “이것은 간의 기운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기지 못하는 때란 바로 경신월(庚辛月)㈜을 말한다”고 씌어 있다[내경].

[] 경신월(庚辛月) : 음력 7 1일부터 9 12일까지를 말한다.

肝病虛實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肝藏血血舍魂肝氣虛則恐實則怒○肝實則兩脇下痛引小腹善怒虛則目籁籁無所見耳無所聞善恐如人將捕之《靈樞》○肝藏血血有餘則怒不足則恐《內經》○人動則血運於諸經靜則血歸於肝藏肝主血海故也《入門》

간은 혈을 저장하는데 ()에는 () 있다. 간기가 ()하면 무서워하고 간기가 ()하면 성을 낸다.

간이 실하면 양쪽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아랫배[小腹] 켕기며 성을 낸다. 간이 허하면 앞이 침침하여 보이지 않고 귀가 먹으며 무서워하면서 누가 잡으러 오는 것같이 느껴진다[영추].

간은 피를 저장한다. 그러므로 피가 지나치게 많으면 성을 내고 부족하면 무서워한다[내경].

사람이 움직이면 피가 여러 경맥으로 돌게 되고 움직이지 않으면 피가 간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은 간이 혈해(血海) 주관하기 때문이다[입문].

肝病間甚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肝病間甚]

病在肝愈於夏夏不愈甚於秋秋不死持於冬起於春○肝病者愈在丙丁丙丁不愈加於庚辛庚辛不死持於壬癸起於甲乙○肝病者平朝慧下甚夜半靜《內經》

간병은 여름에 낫는데 여름에 낫지 못하면 가을에 가서 심해진다. 그리고 가을에 죽지 않으면 겨울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봄철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간병은 ()일이나 ()일에 낫는데 병일이나 정일에 낫지 못하면 ()일이나 ()일에 심해진다. 그리고 경일이나 신일에 죽지 않으면 ()일이나 ()일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일이나 ()일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간병은 아침에는 경하다가 해질 무렵에 심해지며 밤중에 안정된다[내경].

肝病治法

간병을 치료하는 [肝病治法]

肝苦急急食甘以緩之甘草宜食粳米牛肉棗葵註曰肝苦急是其氣有餘也肝欲散急食辛以散之川芎肝虛以生薑陳皮之類補之《內經東垣》○肝病宜食甘粳米牛肉棗葵取其甘能緩急也《內經》○肝病宜食麻犬肉李皆酸取本味也《甲乙經》○肝虛宜四物湯(方見血門)淸肝湯或補肝丸肝實宜瀉靑丸洗肝散當歸龍丸《海藏》○肝病禁當風《內經》

간은 땅기는 [] 괴로워하는데 이런 때에는 빨리 단것을 먹어서 늦추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감초를 쓰는데 흰쌀, 쇠고기, 대추, 아욱을 먹는 것도 좋다. 주해에 간이 땅기는 것을 괴로워하는 것은 기운이 지나치기 때문이라고 씌어 있다. 간은 헤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빨리 매운 것을 먹어서 헤쳐야[] 하는데 궁궁이(천궁) 쓴다. 간이 허하면 생강과 귤껍질(陳皮) 같은 것으로 ()해야 한다[내경과 동원].

간병 때에는 단것이 좋은데 흰쌀, 쇠고기, 대추, 아욱을 먹으면 단맛이 땅기는 것을 늦추어 준다[내경].

간병에는 참깨(호마), 개고기, 추리, 부추를 먹는 것이 좋은데 이것들은 맛이 시다. 그러니 이것은 () 장기의 맛을 ()하는 것이다[갑을경].

간이 허한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이나 청간탕이나 보간환이 좋다. 간이 실한 데는 사청환, 세간산, 당귀용회환이 좋다[해장].

간병 때에는 바람을 쏘이지 말아야 한다[내경].

淸肝湯

治肝經血虛有怒火白芍藥一錢半川芎當歸各一錢柴胡八分山梔仁牧丹皮各四分右水煎服《入門》

청간탕(淸肝湯)

간경(肝經) () ()하기 때문에 성을 내고 () ()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g,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g, 시호 3.2g, 산치자,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補肝丸

治肝虛郞四物湯加防風羌活蜜丸也

보간환(補肝丸)

간이 허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사물탕(四物湯) 방풍(防風) 강호리(강활) 넣어서 꿀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이다.

瀉靑丸

治肝實當歸草龍膽川芎梔子大黃羌活防風各等分右爲末蜜丸實大每一丸竹葉湯同砂糖溫水化下○一名肝丸《綱目》

사청환(瀉靑丸)

간이 ()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궁궁이(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같은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풀어 먹는다.

일명 양간환(凉肝丸)이라고도 한다[강목].

洗肝散

治肝實羌活當歸薄荷防風大黃川芎梔子炒甘草灸各一錢右水煎服加草龍膽一錢尤妙《海藏》

세간산(洗肝散)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당귀, 박하, 방풍, 대황, 궁궁이(천궁), 산치자(닦은 ), 감초(닦은 )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용담초 4g 넣어서 쓰면 좋다[해장].

當歸龍

治肝藏實熱脇痛當歸草龍膽山梔子黃連黃栢黃芩各一兩大黃蘆靑黛各五錢木香二錢半麝香半錢右爲末蜜丸小豆大薑湯下二三十丸《綱目》

당귀용회환(當歸龍 )

간에 실열(實熱) 있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산치자, 황련, 황백, 속썩은풀(황금) 각각 40g, 대황, 노회, 청대 각각 20g, 목향 10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肝絶候

간기가 끊어진 증후[肝絶候]

足厥陰氣絶則筋絶厥陰者肝也肝者筋之合也筋者聚于陰器而絡于舌本也故不榮則筋急筋急則引舌與卵故脣靑舌卷卵縮則筋先死庚日篤辛日死

족궐음(足厥陰) () 끊어지면 힘줄이 상한다. 궐음(厥陰) 간의 경맥인데 간은 힘줄과 연관되어 있다. 힘줄은 음부[陰器] 모였고 혀뿌리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경맥이 영양[]되지 못하면 힘줄이 켕기고[] 힘줄이 켕기면 혀와 음낭이 켕긴다. 그리고 입술이 퍼렇게 되고 혀가 가드라들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은 힘줄이 먼저 상한 것인데 병은 ()일에 위독해져서 ()일에 죽는다.

○厥陰終者中熱乾善尿心煩甚則舌卷卵上縮而終矣《靈樞》○脣吻反靑四肢★習(伸縮也)汗出者此爲肝絶也《仲景》○肝絶八日死何以知之面靑但欲伏眠目示而不見人汗出如水不止《入一作三○經》

궐음병(厥陰病)으로 죽을 때에는 속에 열이 생겨서 목구멍이 마르며 오줌을 자주 누고 가슴이 답답해 지는데 심하면 혀가 가드라들고 음낭이 졸아들면서 죽는다[영추].

입술 둘레가 오히려 퍼렇고 팔다리에 축축하게(폈다 구부렸다 한다고 데도 있다) 땀이 나는 것은 간기가 끊어졌기 때문이다[중경].

간기가 끊어지면 8 만에 죽는다고 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있는가. 얼굴빛이 퍼렇고 엎드려 자려고만 하고 눈은 뜨고 있으나 사람을 보지 못하며 땀이 흐르듯이 나오면서 멎지 않는 것을 보고 안다(8일을 3일이라고 데도 있다)[맥경].

肝臟修養法

간장을 수양하는 [肝臟修養法]

常以正月二月三月朔旦東面平坐叩齒三通吸震宮靑氣入口九呑之閉氣九十息《養生書》

음력 1월과 2, 3월의 초하룻날 아침에 동쪽으로 향하고 편안하게 앉아서 이를 세번 맞쫏고[] 맑은 공기를 마시기를 9 다음 90 숨쉴 동안만큼 숨을 쉬지 않는다[양성서].

肝臟導引法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可正坐以兩手相重按下徐緩身左右各三五度又可正坐兩手相叉飜覆向胸三五度此能去肝家積聚風邪毒氣《仙》

똑바로 앉아서 양손으로 부위[磹] 힘주어 누른 다음 천천히 몸을 좌우로 늦추기를 각각 세번에서 다섯번 하고 다시 똑바로 앉아서 양팔을 끌어다가 서로 교차시켜 손등이 가슴으로 향하게 하여 잡아당기기를 세번에서 다섯번 하면 능히 간에 생긴 적취(積聚), 풍사(風邪), 독기(毒氣) 없앨 있다[구선].

單方

단방(單方)/간장

凡二十一種

모두 21가지이다.

草龍膽

益肝膽氣《本草》○煎服治肝藏濕熱《湯液》

초룡담(草龍膽, 용담초)

간과 () () 보한다[본초].

달여서 먹으면 간의 습열증(濕熱證) 치료한다[탕액].

空靑

益肝氣法木故色靑而入肝細末水飛點服或入藥服《本草》

공청(空靑)

간기를 보한다. 공청은 나무의 기운을 받아 빛이 퍼런데 간으로 들어간다. 보드랍게 갈아서 수비(水飛)하여 조금씩 먹거나 약에 섞어서 먹는다[본초].

黃連

鎭肝去熱毒末服煎服皆可《本草》

황련(黃連)

간을 편안하게 하고 열독(熱毒) 없앤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細辛

益肝膽煎服末服皆佳《本草》

세신(細辛, 족두리풀)

간과 담을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본초].

決明子

除肝家熱助肝氣又治肝毒熱爲末服又取嫩莖葉作菜食《本草》

결명자(決明子, 결명씨)

간병 열을 내리고 간기를 도와준다. 그리고 간의 열독도 치료하는데 가루내어 먹는다. 연한 줄기와 잎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본초].

車前子

養肝爲末服或炒煎服又取嫩葉作羹茹佳《本草》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간을 보하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닦아서 달여 먹는다. 연한 잎으로 국을 끓여서 먹어도 좋다[본초].

薺子

蓂子也主肝壅明目爲末服又取嫩根和米煮粥服能引血歸肝《入門》

제자(薺子, 냉이씨)

이것을 석명자( 蓂子)라고도 한다. 주로 간기가 막힌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는데 가루내어 먹는다. 연한 뿌리를 쌀과 같이 죽을 쑤어 먹으면 피를 이끌어서 간으로 돌게 한다[입문].

覆盆子

補肝明目爲末服生食之亦可《本草》

복분자(覆盆子)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날것으로 먹어도 좋다[본초].

靑箱子

鎭肝主肝藏熱毒爲末服之《本草》

청상자(靑箱子, 개맨드라미씨)

간을 편안하게 하는데 주로 간의 열독(熱毒) 없앤다.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酸棗仁

益肝氣末服煮服皆佳《本草》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간기를 보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山茱萸

溫肝末服煮服佳《本草》

산수유(山茱萸)

간을 따뜻하게 하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沙參

養肝氣煮服或作茹常食之《本草》

사삼(沙蔘, 더덕)

간기를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본초].

蒼耳子

主肝家熱明目煮服末服佳《本草》

창이자(蒼耳子, 도꼬마리열매)

간병 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芍藥

補肝緩中損其肝者緩其中卽此也末服煮服皆可《湯液》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간을 보하고 속을 완화[]시킨다. 간이 상했을 때에는 속을 완화시켜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그런 약이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좋다[탕액].

苦參

養肝膽氣煮服之《本草》

고삼(苦參, 너삼)

간과 담의 기운을 도와주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靑皮

疎肝氣肝氣不達用靑皮以疎之末服煮服皆佳《丹心》

청피(靑皮, 선귤껍질)

간기를 통하게 한다. 간기가 통하지 않을 때에는 선귤껍질을 써서 통하게 해야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좋다[단심].

木瓜

入肝故益筋與血煮服之《本草》

목과(木瓜, 모과)

간으로 들어가서 힘줄과 피를 보한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小麥

養肝氣煮飮服之《本草》

소맥(小麥, )

간기를 도와준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瘳

除肝邪氣煮湯飮或取汁飮《本草》

총백(蔥白, 파밑)

간에 있는 사기(邪氣) 없앤다. 달여서 물을 마시거나 즙을 내어 마신다[본초].

⼒堛

能充肝氣作常食佳《本草》

( , 부추)

간기를 든든하게 한다. 김치를 만들어 먹으면 좋다[본초].

肝病宜食之《本草》

(, 추리)

간병에 먹으면 좋다[본초].

출처 : 명리오행한방(한국오행학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http://cafe.daum.net/skachstj  

문의 010 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