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氣爲精神之根 ]
東垣曰氣者神之祖精乃氣之子氣者精神之根疵也
동원은 “기는 신(神)의 조상격이 되고 정(精)은 기의 아들격이 된다. 그러므로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 된다”고 하였다.
○茅眞君曰氣是添年藥心爲使氣神若知行氣主便是得仙人《養性》
○ 모진군(茅眞君)은 “기(氣)란 오래 살게 하는 약이고 심(心)은 기(氣)와 신(神)을 주관한다. 만약 기가 주가 되어 돌아가는 것을 안다면 곧 신선이 될 사람이다”고 하였다[양성].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靈樞曰人受氣於穀穀入於胃以傳與肺五藏六府皆以受氣其淸者爲榮其濁者爲衛榮在怴中衛在怴外營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陰陽相貫如環無端
『영추』에는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장 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 맑은 것은 영(榮)이 되고 그의 흐린 것은 위(衛)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又曰上焦開發宣五穀味熏膚充身澤毛若霧露之漑是謂氣
○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氣)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正理曰日啖飮食之精熟者益氣此氣生於穀故從氣從米人身之中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得勤而用之人年二十而氣壯節慾小勞則氣長而緩多慾勞倦則氣少而短氣少則身弱身弱則病生病生則命危矣
○ 『정리』에는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천기 기( )’자에 ‘쌀 미(米)’자가 들어 있다. 사람의 몸에는 천지의 음양을 조화하는 기가 완전히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응당 삼가해서 써야 한다. 사람이 20살이 되면 기운이 왕성하여지는데 성욕을 억제하고 피로를 적게 하면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숨이 고르게 되지만 성생활을 많이 하고 피로가 심해지면 기운이 적어지고 숨이 가쁘게 된다. 기운이 적어지면 몸이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나고 병이 나면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기(氣)는 위(衛)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靈樞曰衛氣者所以溫分肉而充皮膚肥独理而司開闔故衛氣溫則形分足矣
『영추』에는 “위기[衛]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고 살갗을 충실하게 하며 주리( 理)㈜를 좋게 하고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용을 맡았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따뜻하면 몸이 충실해진다”고 씌어 있다.
○內經曰衛者水穀之悍氣也其氣慓疾滑利不能入於怴也故循皮膚之中分肉之間熏於籄膜散於胸腹
○ 『내경』에는 “위기란 음식물의 날랜 기이다. 그 기가 날래고 미끄러워서 혈맥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살갗 속과 분육 사이로 돌면서 황막( 膜)㈜을 훈증하고 가슴과 배로 퍼진다”고 씌어 있다.
○又曰陽氣者一日而主外平旦人氣生日中而陽氣隆日西而陽氣虛氣門乃閉是故暮而收拒無擾筋骨無見霧露反此三時形乃困薄
○ 또한 “양기(陽氣)는 온종일 몸의 겉을 주관한다. 아침에 양기가 생기고 낮에는 양기가 왕성하고 날이 저물게 되면 양기가 허해지고 기가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저물어지면 몸을 움직이지 말며 뼈와 힘줄을 과로하지 말고 안개와 이슬을 맞지 말아야 한다. 이 3가지를 위반할 때는 몸이 피곤하고 약해진다” 고 씌어 있다.
○又曰陽氣若天與日失其所則折壽而不彰故天運當以日光明是故陽因而上衛外者也釋曰陽主動凡人之知覺運動耳目視聽言嗅皆陽氣熏膚充身澤毛若霧露之漑而充之耳若陽氣一失其所則散解不行而熏充澤漑之道澁所以九竅閉塞于內肌肉壅滯于外而知覺運動視聽言嗅之靈皆失也人之陽氣猶天之日光人失陽氣則壽命易折猶天失光明則萬物無以發生也
○ 또한 “양기는 하늘이나 해와 같은데 그것이 작용하지 못하면 수명이 짧아지며 몸이 튼튼해지지 못하게 된다. 하늘이 돌아가야 날이 밝아지는 것처럼 양기도 해가 솟으면 위로 올라가 겉을 보호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양기는 움직이는 것을 주관한다. 사람에게 있어서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은 모두 양기가 살갗을 훈증하고 몸을 충실케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일 양기가 한번이라도 자기 위치를 잃으면 흩어져서 제대로 돌지 못하여 훈증하고 충실케 하며 윤기나게 축여 주는 작용이 막히기 때문에 9규(九竅)가 속으로 막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육(氣肉)이 막히면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사람의 양기는 하늘의 햇빛과 같으므로 사람이 양기를 잃으면 수명이 쉽게 짧아진다. 이것은 마치 하늘이 햇빛을 잃으면 만물이 생길 수 없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入門曰人身之氣流行每子時自左脚心涌泉穴起陽循左足腹脇手而上至頭頂桠門午位而止午時自頂門循右手脇腹足而下至右脚心而止是坎彖爲陰陽消息也
○ 『입문(入門)』㈜에는 “사람의 몸의 기는 돌아가는데 매일 23-1시에 왼쪽 발바닥 한가운데 있는 용천혈(涌泉穴)에서 양기가 일어나 왼쪽 다리와 배, 옆구리와 팔을 돌아 위로 정수리의 숫구멍까지 올라가 오(午)㈜의 위치에서 멎었다가 11-13시에는 숫구멍에서 떠나 오른쪽 옆구리, 배, 다리 부위를 돌아 내려와 오른쪽 발바닥 한가운데에 와서 멎는다. 이것은 감리(坎 )㈜가 음양과의 관계를 말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註] 황막( 膜) : ①횡격막. ②소장 겉에 있는 가름막 즉 장간막.
[註] 주리( 理) : 피부의 가는 금, 땀과 기운이 통하는 피부의 구멍. 즉 한선을 말한다. 피부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註] 분육(分肉) : ①겉에 있는 살갗과 속에 있는 살의 사이. ②살가죽과 살의 사이. ③살과 뼈 사이.
[註] 『입문(入門)』 : 1624년에 이천이 쓴 책인데 8권으로 된 『의학입문』을 말한다.
[註] 오(午) : 몸을 4방위로 귀속시킬 때 머리는 남방 오의 방위에 해당시킨데 근거하여 숫구멍을 오라고 하였다.
[註] 감(坎) : 북방수(물)를 말하는데 발을 말한 것이다.
[註] 이( ) : 남방화(불)를 말하는데 머리를 말한 것이다. 몸에서 음양이 잘 조화되는 것을 감리기제 혹은 수화기제라고 한다.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靈樞曰衛氣之行一日一夜五十周於身晝日行於陽二十五周夜行於陰二十五周是故平旦陰盡陽氣出於目目張則氣上行於頭循項下足太陽循背下至小指之端其散者別於目銳潮下手太陰下至手小指之間外側其散者別於目銳潮下足少陽注小指次指之間以上循手少陽之分側下至小指之間其別者以上至耳前注足陽明以下行至掗上入五指之間其散者從耳下下手陽明入大指之間入掌中其至於足也入足心出內嚹下行陰分復合於目故爲一周二十五周於身陽盡於陰陰受氣矣其始入於陰常從足少陰注於腎腎注於心心注於肺肺注於肝肝注於脾脾復注於腎亦如陽行之二十五周而復合於目矣
『영추』에는 “위기는 하룻동안에 몸을 50번 돌아간다. 낮에는 양(陽)부위를 25번 돌고 밤에는 음(陰)부위를 25번 돈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는 음기가 없어지고 양기가 눈으로 나온다. 눈을 뜨면 기가 머리로 올라갔다가 목덜미를 따라 족태양경맥에 내려와서 잔등을 따라 내려가 새끼발가락 끝에 와서 끝난다. 다른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수태양경맥을 따라 내려가 새끼손가락의 바깥쪽에 와서 끝난다. 또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족소양경맥을 따라 내려와서 새끼발가락과 넷째발가락 사이로 빠진다. 위로 돌아가는 것은 갈라진 수소양경맥쪽으로 올라가서 새끼손가락에 와서 끝난다. 여기에서 갈라진 것이 귀의 앞으로 올라가서 족양명경맥으로 들어간다.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다시 발등으로 내려와서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간다. 다른 한 가닥은 귀 밑에서 수양경맥으로 내려와서 엄지손가락을 거쳐 손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간다. 발에 도달한 것이 발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가서 안쪽 복사뼈로 나와 음분(陰分)을 돌아 눈에서 다시 합해지기 때문에 한번 도는 것으로 된다. 몸을 25번 돌고 나서 양분(陽分)에로 도는 것은 끝나고 음으로 가게 되어 음이 기를 받는다. 처음에 음으로 들어가는데 언제나 족소음경맥을 거쳐 신(腎)에 가고 신에서는 심(心)으로 가며 심에서는 폐(肺)로 가고 폐에서는 간(肝)으로 가며 간에서는 비(脾)로 가고 비에서는 다시 신으로 간다. 역시 양기와 같이 25번을 돌아 다시 눈에서 합친다”고 씌어 있다.
○又曰人經怴上下左右前後二十八怴周身十六丈二尺以應二十八宿漏水下百刻以分晝夜故一萬三千五百息氣行五十營於身矣
○ 또한 “사람의 경맥이 상하, 좌우, 전후로 뻗어 있는 것이 28경맥인데 온몸을 돌아간 길이가 162자이므로 28수(二十八宿)㈜에 상응하며 누수(漏水)㈜의 백각(百刻)으로 일주야를 나누었기 때문에 1만 3천5백 번 숨을 쉬고 기는 50번을 돌아서 몸을 영양한다”고 씌어 있다.
○東垣曰元氣之來也徐而和細細如線邪氣之來也緊而强如巨川之水不可棽也
○ 동원은 “원기(元氣)가 오는 것은 천천히 오고 고르게 오면서 실과 같이 가늘다. 사기가 오는 것은 빠르고 세서 큰 냇물과 같으므로 막아내지 못한다”고 하였다.
[註] 28수(二十八宿) : 고대 천문학에서 황도를 중심으로 둘러 있는 28개의 성좌. 사방에 각각 7개씩 분포되어 있는데 동쪽은 각, 항, 저, 방, 심, 미, 기이며 북쪽은 두, 우, 여, 허, 위, 실, 벽이며 서쪽은 규, 루, 위, 묘, 필, 자, 삼이며 남쪽은 정, 귀, 류, 성, 장, 의, 진이다.
[註] 누수(漏水) : 고대 물시계를 말하는데 물시계에서 물이 방울방울 떨어져 일정한 눈금까지 차오르는 것을 1각이라 하고 1주야를 100각으로 계산한 것을 말한 것이다.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綱目曰榮氣之行自太陰始至足厥陰終一周於身也詳其一周於身外至身體四肢內至五藏六府無不周遍故其五十周無晝夜陰陽之殊衛氣之行則不然晝但周陽於身體四肢之外不入五藏六府之內夜但周陰於五藏六府之內不出於身體四肢之外故必五十周至平但方與榮大會於肺手太陰也
『강목』에는 “영기는 수태음(手太陰)에서 시작하여 족궐음(足厥陰)에 와서 끝나는데 몸을 한번 돌아간다. 그 도는 것을 보면 겉으로는 몸체와 팔다리로 가고 안으로는 5장 6부에 가서 돌아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것이 50번을 도는데 밤과 낮, 음과 양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위기가 돌아가는 것은 그렇지 않다. 낮에는 양부위인 몸체와 팔다리의 밖으로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50번을 돌아서 아침이 되면 영기(榮氣)와 수태음에서 또다시 만난다”고 씌어 있다.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難經疎曰十二經怴者皆係於生氣之原所謂生氣之原者謂腎間動氣也此五藏六府之本十二經怴之根呼吸之門三焦之原一名守邪之神故氣者人之根本也
○ 또한 “기해(氣海)와 단전(丹田)은 실제로 기를 생기게 하는 근원이 된다. 기해혈은 배꼽 아래에서 1치 5푼 되는 곳에 있고 단전은 일명 관원(關元)이라고도 하는데 배꼽 아래에서 3치 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다.
○又曰氣海丹田實爲生氣之原氣海一穴在臍下一寸半丹田一穴一名關元在臍下三寸
『난경』에는 “12경맥은 모두 기가 생기는 근원과 연계되어 있다. 기가 생기는 근원이라는 것은 양쪽 신장 사이에 있는 동기(動氣)를 말한다. 이것이 5장 6부의 기본이며 12경맥의 근원이고 호흡하는 문호이며 삼초의 근본이다. 또한 사기(邪氣)를 받는 신(神)이라고도 한다. 때문에 기란 것은 사람의 몸에서 근본이다”고 씌어 있다.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正理曰人受生之初在胞胎之內隨母呼吸及乎生下剪去臍帶則一點眞靈之氣聚于臍下凡人唯氣最先莫先於呼吸眼耳鼻舌意(是謂六慾)皆由是氣非是氣則聲色香味觸法都不知覺氣之呼接于天根氣之吸接于地根氣之在人身一日周行八百一十丈
『정리』에는 “사람이 처음 생겨날 때 태(胎)중에 있을 때에는 어머니를 통해서 호흡하다가 태어나서 탯줄을 끊으면 한 점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배꼽 밑에 모인다. 대개 사람에게는 오직 기(氣)가 제일 먼저이다. 기는 호흡에서부터 시작된다. 눈, 귀, 코, 혀, 살갗, 의식(이것을 6욕이라 한다) 등은 모두 기에 의해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기가 아니면 빛깔, 소리, 냄새, 맛, 촉감, 예법을 모두 모르게 된다. 숨을 내쉴 때에는 하늘의 근본과 맞닿고 숨을 들이쉴 때에는 땅의 근본에 적응하는 것이다. 기가 사람의 몸을 하루에 810장을 돈다”고 씌어 있다.
○易曰一闔一闢謂之變往來不窮謂之通程伊川曰涵養之道出入之息者闔闢之機而已又曰闔闢往來見之鼻息張橫渠曰人之有息盖剛柔相摩乾坤闔闢之象也朱紫陽調息箴曰漘殞開闔其妙無窮誰其尸之不宰之功
○ 『주역』에는 “한번 닫히고 한번 열리는 것을 변화라고 하며 오가는 것을 끊임없이 하는 것을 통한다고 한다”고 씌어 있다. 정이천(程伊川)은 “수양하는 방법에서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것은 열고 닫고 하는 작용이다. 또한 열렸다 닫혔다, 갔다왔다 하는 현상은 코로 숨쉬는 데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장횡거(張橫渠)는 “사람이 숨을 쉬는 것은 대개 굳센 것과 부드러운 것이 서로 마찰하고 건곤(乾坤)이 열렸다 닫혔다 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고 하였다. 주자양(朱紫陽)의 『조식잠(調息箴)』에는 “천지의 기운이 배합되는 것은 열렸다 닫혔다 하는 묘한 작용에 의해 끝없이 진행되며 그 누가 맡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하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參同契曰二用無爻位周流行六虛六虛卽卦之六畵也以喩一呼一吸往來上下久之則神凝息定所以成變化也呼則氣出陽之闢也吸則氣入陰之闔也盖人身之陰陽與天地陰陽相似若能御呼吸於上下使之周流不息則闔闢往來之妙盡在吾身中元和子曰人身大抵同天地是也
○ 장주(莊周)는 “수양이 높은 사람의 숨은 발꿈치까지 가게 깊이 쉬고 보통사람의 숨은 목구멍에서 나온다. 대개 기가 하초에 있으면 그 숨결이 길고 기가 상초에 있으면 그 숨결이 빠르다는 뜻도 역시 이와 비슷한 것이다”고 하였다.
○莊周曰眞人之息息之以踵衆人之息息之以喉盖氣在下焦其息遠氣在上焦其息促義亦類此
○ 『참동계(參同契)』에는 “호(呼)와 흡(吸) 두 가지는 정한 방위가 없이 작용하여 6허로 두루 돌아간다. 6허란 것은 상하, 전후, 좌우 등 괘의 6획을 말한다.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쉬는 숨이 올라가고 내려가며 오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오래되면 신(神)이 모이고 호흡이 안정됨으로써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숨을 내쉴 때 기가 나오는 것은 양이 열리는 작용이고 숨을 들이쉴 때 기가 들어가는 것은 음이 닫히는 작용이다. 대개 사람 몸의 음양이 천지의 음양과 서로 통한다. 만일 상하로 호흡하는 것을 조절해서 쉬지 않고 돌게 한다면 천지에서 열렸다 닫혔다, 갔다왔다 하는 묘한 작용이 모두 내 몸 가운데 있을 것이다”고 씌어 있다. 원화자(元和子)는 “사람의 몸은 대체로 천지와 같다는 것이 곧 이것이다”고 하였다.
태식법㈜(胎息法)
眞詮曰人在胎中不以口鼻呼吸惟臍帶繫于母之任怴任怴通于肺肺通于鼻故母呼亦呼母吸亦吸其氣皆于臍上往來天台謂識神托生之始與精血合根在于臍是以人生時惟臍相連初學調息須想其氣出從臍出入從臍滅調得極細然後不用口鼻但以臍呼吸如在胞胎中故曰胎息初閉氣一口以臍呼吸數之至八十一或一百二十乃以口吐氣出之當令極細以鴻毛着于口鼻之上吐氣而鴻毛不動爲度漸習漸增數之久可至千則老者更少日還一日矣葛仙翁每盛暑輒入深淵之底十日許乃出以其能閉氣胎息耳但知閉氣不知胎息無益也
『진전(眞詮)』에는 “사람은 태(胎)중에 있을 때에 입과 코로써 호흡하지 않고 오직 배꼽줄을 통하여 어머니의 임맥(任脈)에 매달려 숨을 쉰다. 임맥은 폐에 통하고 있으며 폐는 코와 서로 통해 있기 때문에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 태아도 내쉬고 어머니가 숨을 들이쉬면 태아도 들이쉰다. 그 기가 모두 배꼽 위에서 오간다. 천태(天台)를 식신(識神)이라고 한다. 태어나려고 할 때에는 정혈과 서로 합하여 배꼽에 뿌리를 박고 있다. 그리하여 태어날 때 배꼽줄이 서로 달려 있는 것이다. 호흡조절을 처음 배우려면 반드시 그 기운이 나올 때에는 배꼽에서 나오고 들어갈 때에는 배꼽에 가서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 호흡을 조절하여 아주 적게 쉬다가 나중에는 입과 코로 쉬지 않고 다만 배꼽으로써 호흡하는 것이 태중에 있는 것과 같이하기 때문에 태식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숨을 한번 들이쉰 다음 숨을 쉬지 않고 배꼽으로써 호흡하되 수를 세어서 81에 이르거나 혹은 120에 이르렀을 때 입으로 숨을 내쉬어 공기가 나가게 하되 몹시 적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붙여 놓고 숨을 내쉬어도 털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한다. 점차 연습하여 점점 수를 늘이고 1,000에 이르게 되면 늙은이가 다시 젊어지며 하루 지나면 그만큼 더 젊어진다. 갈선옹(葛仙翁)이 매해 혹심한 더위 때에 갑자기 깊은 물밑에 들어갔다가 10일 만에 나오곤 하였다. 그는 능히 숨쉬는 것을 참고 태식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숨쉬는 것을 참을 줄만 알고 태식할 줄을 모르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씌어 있다.
○養性曰胎息者如櫖兒在母胎中氣息自在上至氣關下至氣海不假口鼻之氣故能閉氣不息能入深泉旬日不出也
○ 『양성서(養性書)』에는 “태식이란 것은 아이가 태 속에 있을 때 숨을 쉬는 것처럼 숨을 마음껏 들이쉬어 위로는 기관(氣關)에까지 가게 하고 아래로는 기해(氣海)에까지 가게 하며 입과 코로 숨을 쉬지 않는 것과 같이 되기 때문에 숨을 쉬지 않고 깊은 물속에 들어가서 10일 동안 있다가 나올 수 있다”고 씌어 있다.
○又曰內觀之要靜神定心亂想不起邪妄不侵氣歸臍爲息神入氣爲胎胎息相合混而爲一名曰太乙
○ 또한 “내관(內觀)하는 요령은 정신과 마음을 안정하고 잡념을 없게 하며 옳지 못하고 허튼 생각이 들어가지 않게 하여서 기가 배꼽에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을 식(息)이라고 한다. 신(神)이 기(氣)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태(胎)다. 이 태(胎)와 식(息)이 서로 배합하여 하나로 뭉친 것을 태을(太乙)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註] 태식법(太息法) : 양생법의 하나인데 숨을 아주 약하게 천천히 쉬어서 숨을 쉬지 않는 것같이 보이게 숨을 쉬는 방법이다.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彭祖曰和神導氣之道當得密室閉戶安床煖席枕高二寸半正身偃臥瞑目閉氣於胸膈中以鴻毛着鼻上而不動經三百息耳無所聞目無所見心無所思如此則寒暑不能侵蜂瓐不能毒壽三百六十歲此隣於眞人也
팽조(彭祖)는 “정신을 고르게 하고 기를 인도하는 방법은 반드시 조용한 방에서 문을 닫고 자리를 편안하게 하고 따뜻하게 하며 베개를 2치 반 높이로 베고 똑바로 눕는다. 그리고 눈을 감고 숨을 가슴속으로 들이쉰 후 멈추는데 이 때 기러기털을 콧구멍에 붙인다. 그것이 움직이지 않게 300여 번 숨을 쉬고 귀로는 아무 것도 들리지 않게 한다. 또한 눈에 보이는 것이 없게 하고 마음속으로는 아무 것도 생각하는 것이 없게 한다. 이렇게 하면 추운 것과 더운 것을 잘 이겨내고 벌이 쏘아도 독을 타지 않으며 360살을 살게 되는데 진인(眞人)에 가까운 사람이 된다”고 하였다.
○養性曰人身虛無但有遊氣氣息得理卽百病不生故善攝養者須知調氣方焉調氣之法夜半後日中前氣生得調日中後夜半前氣死不得調調氣之時則仰臥床鋪厚軟枕高下共身平舒手展脚兩手握固去身四五寸兩脚相去四五寸數數叩齒飮玉漿引氣從鼻入腹足則停止有力更取久住氣悶從口細細吐出盡遠以鼻細細引入出氣一准前法閉口以心中數數令耳不聞能至千則去仙不遠矣若天陰風雨大寒暑勿取氣但閉之
○ 『양성서』에는 “사람의 몸을 따지고 보면 아무 것도 없고 단지 돌아다니는 기가 있을 뿐이다. 이 기(氣) 즉 숨쉬는 기가 잘 조절되면 온갖 병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우선 숨쉬는 것을 잘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숨쉬는 것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밤 12시부터 낮 12시까지는 기가 생기는 때이므로 조절할 수 있지만 낮 12시부터 밤 12시까지는 기가 죽는 때이므로 조절하지 못한다. 숨쉬는 것을 조절할 때는 똑바로 누워 포단의 두께나 베개의 높이가 몸에 알맞게 하고 팔다리는 쭉 펴고 두 주먹을 꽉 쥐어 몸에서 4-5치 떨어지게 놓고 두 다리는 서로 4-5치 떨어지게 벌리며 자주 이빨을 쪼고 입에서 나오는 침을 삼킨다. 그리고 코로 공기를 들이켜 배에 들어가게 한다. 마음껏 들이켰으면 멈춘다. 더 들이쉴 힘이 있으면 더 들이쉰다. 오랫동안 참다가 숨이 답답해지면 입으로 천천히 모두 내보내고 다시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는 것을 전과 같이 반복하면서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셈을 센다. 그리고 귀에 들리지 않게 하여 천까지 셈을 세게 되면 멀지 않아 신선이 된다. 만약 날씨가 음침하고 비바람이 있어서 몹시 차거나 더우면 공기를 마시지 말고 단지 숨만 참는다”고 씌어 있다.
○又曰凡吐者出故氣亦名死氣納者取新氣亦名生氣故老子云玄牝之門(鼻曰玄門口曰牝戶)天地之根綿綿若存用之不動言口鼻天地之間可以出納陰陽死生之氣也
○ 또한 “숨을 내쉬는 것은 나쁜 공기를 내보내는 것이므로 이것을 사기(死氣)라고도 한다. 숨을 들이쉬는 것은 깨끗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므로 역시 생기(生氣)라고도 한다. 때문에 노자는 현빈의 문(玄牝之門, 코를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을 빈호(牝戶)라고 한다)은 천지의 근본이기 때문에 끊어질 듯하면서도 아무리 써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입과 코로써 하늘과 땅 사이에 있으면서 죽고 사는 것이 달려 있는 음양의 기를 호흡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고 하였다.
○正理曰守氣之妙在乎全精尤當防其睡眠夫人遇行走則氣急而撲甚睡則氣㵋而糞惟坐靜則氣平而緩
○ 『정리』에는 “기를 간수하는 묘리는 정을 온전히 하는 것이며 반드시 잠을 자지 않는 것이다. 대체로 사람이 달리면 숨이 가쁘고 목이 쉬며 깊이 잠들면 숨결이 거칠어지면서 코를 곤다. 오직 조용히 앉아 있어야 숨이 고르고 완화해진다”고 씌어 있다.
○醫鑑曰人自十六歲精氣漸減不但男女之慾足以損敗一與事應則視聽言動皆耗散精氣之原故釋氏面壁仙家坐關皆築基煉己苦行以防耗此神氣便是長生之術
○ 『의감』에는 “사람의 몸은 16살이 되면 정기가 점차 줄어든다. 그것은 단지 남녀간의 정욕을 지나치게 하는데서 정기를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일을 할 때 보고 듣는 것,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모두 정기를 소모하며 흩어지게 하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석씨(釋氏)는 벽을 향하였고 선가(仙家)는 집에 앉아 모두 기초를 쌓고 자기의 몸을 단련하는데 애써서 신기가 소모되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것이 오래 살게 하는 방법이다”고 씌어 있다.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內經曰肺主氣又曰諸氣者皆屬於肺註曰肺有六葉兩耳葉中有二十四孔行列分布陰陽淸濁之氣
『내경』에는 “폐(肺)는 기(氣)를 주관한다. 또한 모든 기는 폐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폐에는 6엽(六葉)과 두 귀로 되어 있으며 엽 속에 24개의 구멍이 줄지어 있어 음기(陰氣), 양기(陽氣), 청기(淸氣), 탁기(濁氣)가 퍼져 있다”고 씌어 있다.
○又曰肺藏氣氣有餘則喘咳上氣不足則息利少氣
○ 또한 “폐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부족하면 숨을 잘 쉬나 기운이 적다”고 씌어 있다.
○靈樞曰烷中爲氣之海(烷中者肺室也)有餘則胸面俱赤不足則少氣力不多言
○ 『영추』에는 “전중( 中)은 기가 모이는 곳이다(전중은 폐의 방과 같다).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가슴과 얼굴이 다 벌겋고 기가 부족하면 기력이 적고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맥 보는 법[脈法]/기
仲景曰怴浮而汗出如流珠者衛氣衰也
『중경』은 “맥이 부(浮)하면서 구슬 같은 땀이 흐르면 위기(衛氣)가 쇠약한 것이다”고 하였다.
○又曰寸口怴微而澁微者衛氣衰澁者榮氣不足
○ 또한 “촌구맥이 미(微)하면서 삽미(澁微)한 것은 위기가 쇠약한 것이다.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부족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怴經曰寸口怴瞥瞥如羹上肌者陽氣微櫴櫴如蜘蛛絲者陰氣衰也
○ 『맥경』에는 “촌구맥이 국 위에 기름덩이가 뜬 것같은 것은 양기가 미약한 것이며 거미줄을 만지는 것같은 맥은 음기가 쇠약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又曰代者氣衰細者氣少浮而絶者氣欲絶
또한 “대맥(代脈)은 기가 쇠약한 것이며 세맥(細脈)은 기가 적은 것이고 맥이 부(浮)하면서 끊어지는 것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又曰趺陽怴浮而澁澁則衛氣虛虛則短氣
○ 또한 “부양맥(趺陽脈)㈜이 부(浮)하면서 삽(澁)한데 삽하면 위기가 허한 것이고 위기가 허하면 숨결이 가쁘다”고 씌어 있다.
[註] 부양맥(趺陽脈) : 충양맥이라고도 하는데 족양명위경의 해계혈에서 1치 5푼 앞에 있는 충양혈 부위(발등 한가운데)에서 뛰는 맥. 옛날 9후맥을 볼 때 부양맥을 보았다. 9후맥은 머리, 손, 발의 각각 3곳 즉 9곳의 맥을 보는 것이다.
○怴訣曰下手怴沈便知是氣沈極則伏斡弱難治其或沈滑氣兼痰飮
○ 『맥결』에는 “손으로 눌러서 맥이 침(沈)하면 곧 기병(氣病)인 줄 알아야 한다. 몹시 침한 것을 복맥(伏脈)이라고 한다. 색약맥( 弱脈)은 치료하기 어렵다. 그 맥이 침활(沈滑)하면 기병에 담음(痰飮)을 겸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又曰沈弦細動皆氣痛證心痛在寸腹痛在關下部在尺怴象顯然
○ 또한 “맥이 침현(沈弦)하고 세동(細動)한 것은 모두 기통증(氣痛證)㈜이다. 심통(心痛)㈜이 있으면 촌맥 부위에 나타나고 복통(腹痛)인 경우에는 관맥 부위에 나타난다. 아랫도리에 병이 있을 때에는 척맥 부위에 나타나고 맥상(脈象)이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씌어 있다.
[註] 기통증(氣痛證) : 기로 인한 통증. 기가 잘 돌지 못하여 막히고 몰리면 아픈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註] 심통(心痛) : 명치가 아픈 것. 가슴앓이라고도 한다.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
○仲景曰趺陽怴微而緊緊則爲寒微則爲虛微緊相搏則爲短氣
○ 『중경』에는 “부양맥(趺陽脈)이 미(微)하고 긴(緊)한데 긴한 것은 한증(寒證)이고 미한 것은 허증(虛證)이며 미맥(微脈)과 긴맥(緊脈)이 서로 어울리면 숨이 차게 된다”고 하였다.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丹溪曰周流乎一身以爲生者氣也苟內無所傷外無所感何氣病之有哉今者冷氣滯氣逆氣上氣皆是肺受火邪氣得炎上之化有升無降熏蒸淸道甚而轉成劇病局方例用辛香燥熱之劑是以火濟火也
단계는 “기는 온몸을 돌면서 사람을 살아나가게 한다. 만일 속으로 상한 일이 없고 겉으로 사기를 받지 않으면 어찌 기병이 생기겠는가. 최근에 냉기(冷氣), 체기(滯氣), 역기(逆氣), 상기(上氣)라는 것들은 모두 폐가 화사(火邪)를 받아 기가 타오르면서 변한 것이다. 기는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오지 않거나 숨길[淸道]을 훈증하는데 이것이 심하면 병이 된다. 『국방(局方)』㈜에는 “보통 맵고 향기롭고 성질이 조열한 약을 쓰는데 이것은 불로써 불을 끄자는 것이다”고 하였다.
[註] 국방(局方) : 태평혜민화제국방의 약칭. 진사문 등이 쓴 10권으로 된 의서이다.
○張子和曰諸病皆生於氣諸痛皆因於氣
○ 장자화(張子和)는 “여러 가지 병은 모두 기에서 생기고 모든 통증도 기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回春曰風傷氣者爲疼痛寒傷氣者爲戰慄暑傷氣者爲熱悶濕傷氣者爲腫滿燥傷氣者爲閉結
○ 『회춘(回春)』㈜에는 “풍사(風邪)가 기를 상하면 통증이 오고 한사(寒邪)가 기를 상하면 오한이 나면서 몸이 떨린다. 더위가 기를 상하면 열이 나고 답답하며 습사(濕邪)가 기를 상하면 부종이 오고 조사(燥邪)가 기를 상하면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다”고 씌어 있다.
[註] 『회춘(回春)』 : 공신이 쓴 책인데 8권으로 된 『만병회춘』을 말한다.
○序例曰人生氣中如魚在水水濁則魚瘦氣昏則人病邪氣之傷人最爲深重經絡旣受此氣傳入藏府隨其虛實冷熱結以成病病又相生故流變遂廣矣
○ 『서례(序例)』에는 “사람이 기(氣) 속에서 사는 것은 물고기가 물 속에서 사는 것과 같다. 물이 흐리면 물고기가 여위고 기가 흐리면 사람이 병든다. 사기(邪氣)가 사람을 상하면 아주 심중하다. 경락(經絡)이 이 사기를 받으면 장부(藏府)에 전해 들어가는데 그 허실, 냉열에 따라 병이 된다. 또한 장부의 상생관계가 있기 때문에 병이 전달되고 변화되는 것이 광범해진다”고 씌어 있다.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埴仙曰人之勞倦有生於無端不必持重執輕絎絎終日惟是閑人多生此病盖閑樂之人不多運動氣力飽食坐臥經絡不通血怴凝滯使然也是以貴人貌樂而心勞賤人心閑而貌苦貴人嗜慾不時或昧於忌犯飮食珍羞便乃寢臥故常須用力但不至疲極所貴榮衛流通血怴調暢譬如流水不汚戶樞不履也
구선은 “사람에게 나른해지는 병이 까닭없이 발생하는 것이 있으니 반드시 무겁거나 가벼운 것을 가지고 종일 바쁘게 다닌데서만 오지 않는다. 오직 한가한 사람에게 이 병이 많이 생긴다. 대개 한가하고 편안한 사람은 흔히 운동을 하지 않으며 배불리 먹고 앉아 있거나 잠이나 자기 때문에 경락이 잘 통하지 않고 혈맥(血脈)이 응체(凝滯)되어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귀인의 얼굴은 즐거운 듯하나 마음은 괴롭고 천한 사람의 마음속은 한가하나 얼굴은 고통스러워 보인다. 귀인은 때없이 성생활을 하며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다. 또한 영양분이 많은 음식만 먹고 잠만 잘 것이 아니라 항상 몹시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일을 해야 한다. 영위가 잘 돌아가고 혈맥이 잘 조화되게 해야 한다. 비유하면 흐르는 물이 썩지 않으며 문지방이 좀이 먹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入門曰逸則氣滯亦令氣結輕者行動卽愈重者橘皮一物湯
○ 『입문』에는 “가만히 있으면 기가 막힌다. 기가 막혀 몰린 것이 경한 것은 움직이면 낫지만 중한 것은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고 씌어 있다.
橘皮洗淨一兩新汲水煎服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귤껍질(橘皮, 깨끗이 씻은 것) 40g을 깨끗한 물에 달여 먹는다.
7기(七氣)
七氣者喜怒悲思憂驚恐或以爲寒熱樰怒喜憂愁皆通也《直指》
7기란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슬퍼하는 것, 생각하는 것, 근심하는 것, 놀라는 것, 무서워하는 것들을 말한다. 혹은 추워하는 것, 열이 나는 것, 원망하는 것, 성내는 것, 기뻐하는 것, 근심하는 것, 슬퍼하는 것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서로 통한다[직지].
○直指曰人有七情病生七氣氣結則生痰痰盛則氣愈結故調氣必先豁痰如七氣湯以半夏主治而官桂佐之盖良法也
○ 『직지』에는 “사람에게 7정(七精)이 있고 병은 7기(七氣)에서 생긴다. 기가 몰리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몰리게 된다. 때문에 기를 고르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담을 삭게 해야 한다. 칠기탕과 같이 끼무릇(반하)을 주약으로 하고 육계를 좌약으로 해서 치료하는 것이 대체로 좋은 방법이다”고 씌어 있다.
○又曰七氣相干痰涎凝結如絮如膜甚如梅核窒碍於咽喉之間喀不出嚥不下或中滿艱食或上氣喘急曰氣隔曰氣滯曰氣秘曰氣中以至五積六聚疝癖琋禮心腹塊痛發則欲絶殆無往而不至矣
○ 또한 “7기가 서로 어울려서 담연(痰涎)이 뭉친 것이 솜 같기도 하고 엷은 막 같기도 하며 심하면 매화씨 같기도 하다. 이러한 것이 목구멍을 막아서 뱉으려고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으며 혹은 속이 그득하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기가 치밀면서 숨이 몹시 차게 된다. 이것을 기격(氣隔), 기체(氣滯), 기비(氣秘), 기중(氣中)이라고 한다. 심해지면 5적(五積), 6취(六聚)㈜, 산증(疝證), 벽증(癖證), 징하( )가 되어 명치 밑과 배에 덩어리가 생겨서 아프다. 이 통증이 발작하면 숨이 끊어지는 것같고 안 가는 데가 없이 돌아다니면서 작용한다”고 씌어 있다.
[註] 적(積)과 취(聚) : 뱃속에 병적으로 생긴 덩어리를 말한다.
[註] 5적(五積) : 주로 5장과 관련되어 덩어리가 일정한 곳에 생기면서 통증도 국한되어 있다.
[註] 6취(六聚) : 6부와 관련되어 생기면서 일정한 곳에 덩어리가 있지 않고 또 아픈 곳도 일정치 않다.
○宜服七氣湯四七湯分心氣飮香橘湯.
○ 이런 때에는 칠기탕, 사칠탕, 분신기음, 향귤탕을 쓴다.
治七情鬱結心腹絞痛半夏製三錢人參肉桂甘草灸各七分右犫生薑三片煎服《局方》
칠기탕(七氣湯)
7정(七精)이 울결되어 명치 밑과 배가 비트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12g,인삼, 육계,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을 넣어 달여 먹는다[국방].
治七氣凝結狀如破絮或如梅核窒碍咽喉卋不出嚥不下或胸膈搽滿痰涎壅盛半夏製二錢赤茯巔一錢六分厚朴製一錢二分紫蘇葉八分右犫薑七片棗二枚煎服《局方》
사칠탕(四七湯)
7기(七氣)가 엉켜서 생김새가 마치 헌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막혀 있으면서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으며 혹은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가래가 성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벌건솔풍령(적복령) 6.4g, 후박(법제한 것) 4.8g, 차조기잎(자소엽)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7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治七情搽滯通利大小便淸而疎快紫蘇葉一錢二分甘草灸七分半夏製枳殼各六分靑皮陳皮木通大腹皮桑白皮木香赤茯巔檳峹蓬朮麥門冬桔梗桂枝香附子藿香各五分右犫薑三片棗二枚燈心十莖煎服《直指》
분심기음(分心氣飮)
7정(七情)이 몰리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변을 잘 나가게 하고 오줌을 맑게 하면서 시원히 나가게 한다.
차조기잎(자소엽) 4.8g 감초(닦은 것) 2.8g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지각 각각 2.4g,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으름덩굴(목통), 대복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목향, 벌건솔풍령(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도라지(길경), 계피, 향부자, 곽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 골풀속살(등심초) 10줄기와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治七情所傷中脘腹脇脹滿香附米炒半夏製橘皮各一錢半甘草灸五分右犫薑五片棗二枚煎服《直指》
향귤탕(香橘湯)
7정에 상해서 중완(中脘)이나 배와 옆구리가 불러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닦은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橘皮) 각각 6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5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9기(九氣)
黃帝問曰余知百病生於氣也怒則氣上喜則氣緩悲則氣消恐則氣下寒則氣收炅則氣泄驚則氣亂勞則氣耗思則氣結九氣不同何病之生
황제가 묻기를 “나는 모든 병이 기(氣)에서 생긴다는 것을 알고 있다. 성내면 기가 올라가고 기뻐하면 기가 늘어지며 슬퍼하면 기가 가라앉는다. 그리고 두려워하면 기가 내려가고 추워하면 기가 졸아들며 더우면 기가 빠져 나가고 놀라면 기가 혼한[亂]해진다. 또 피로하면 기가 소모되고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기가 뭉치게 되는 등 9기가 같지 않다. 그런데 어떤 병이 생기는가”
岐伯對曰怒則氣逆甚則嘔血及朄泄故氣上矣喜則氣和志達榮衛通利故氣緩矣悲則心系急肺布葉擧而上焦不通榮衛不散熱氣在中故氣消矣恐則精却却則上焦閉閉則氣還還則下焦脹故氣不行矣寒則独理閉氣不行故氣收矣炅則独理開榮衛通汗大泄故氣泄矣驚則心無所倚神無所歸慮無所定故氣亂矣勞則喘息汗出內外皆越故氣耗矣思則心有所存神有所歸正氣留而不行故氣結矣《內經》
기백이 대답하기를 “성내면 기가 치미는데 심하면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기 때문에 기가 올라가는 것이다. 기뻐하면 기가 고르게 되고 뜻이 통하며 영위가 잘 돌아가기 때문에 기가 늘어진다. 슬퍼하면 심계(心系)가 당기고 폐엽(肺葉)이 들떠서 상초가 잘 통하지 않으며 영위가 잘 헤쳐 나가지 않으면서 열기가 속에 있기 때문에 기가 가라앉게 된다. 무서워하면 정기가 없어지고 정기가 없어지면 상초가 막힌다. 상초가 막히면 기가 되돌아온다. 기가 되돌아오면 하초가 불러오르고 그득해지기 때문에 기가 돌아가지 못한다. 추우면 주리( 理)가 막히고 기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줄어든다. 더우면 주리가 열리고 영위가 잘 통하여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기가 빠져 나간다. 놀라면 마음이 의지할 곳이 없어지고 정신이 귀착할 곳이 없어지며 생각하는 것이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혼란해진다. 피로하면 숨이 차고 땀이 나서 안팎으로 모두 넘쳐 나기 때문에 기가 소모된다. 생각하면 마음이 붙어 있을 곳이 있고 정신이 돌아가는 데가 있어 정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뭉친다”고 하였다[내경].
○又有九氣一曰膈氣二曰風氣三曰寒氣四曰熱氣五曰憂氣六曰喜氣七曰驚氣八曰怒氣九曰山嵐瀆氣積聚如盃心腹刺痛發則欲死宜神仙九氣湯正氣天香湯《得效》
○ 또한 9가지 기가 있는데 첫째는 격기(膈氣), 둘째는 풍기(風氣), 셋째는 한기(寒氣), 넷째는 열기(熱氣), 다섯째는 우기(憂氣), 여섯째는 희기(喜氣), 일곱째는 경기(驚氣), 여덟째는 노기(怒氣), 아홉째는 산람장기(山嵐 氣)이다. 이것이 모이고 쌓여서 술잔을 덮어 놓은 것같으면서 배가 찌르는 것처럼 아픈데 발작하면 죽을 것같다. 이런 때는 신선구기탕, 정기천향탕을 쓴다[득효].
○九氣治法高者抑之下者擧之寒者熱之熱者寒之驚者平之勞者溫之結者散之喜者以恐勝之悲者以喜勝之《心法》
○ 9기(九氣)로 생기는 병을 치료하는 방법 : 위로 올라오는 것은 내리누르고 처진 것은 들어올리며 찬 것은 덥게 하고 더운 것은 차게 하며 놀란 것은 편안하게 하고 노곤한 것은 따뜻하게 하며 뭉친 것은 풀어 주고 기뻐하는 것은 무서운 감정으로써 이겨내게 하며 슬퍼하는 것은 기뻐하는 것으로써 이겨내게 한다[심법].
治九氣作痛香附子片子薑黃甘草灸各等分右爲末每服二錢鹽湯點服《得效》
신선구기탕(神仙九氣湯)
9기(九氣)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강황,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治同上亦治婦人氣痛香附子三錢烏藥陳皮紫蘇葉各一錢乾薑甘草各五分右犫水煎服或爲末鹽湯點服二錢亦佳《丹溪》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부인이 기로 인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12g, 오약,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건강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어도 좋다[단계].
중기(中氣)
本事曰凡人暴喜傷陽暴怒傷陰憂愁揬意氣多:厥逆便覺涎潮昏塞牙關緊急若槪作中風用藥:多致殺人若有此證急化蘇合香元灌之醒後隨證調治
『본사』에는 “대체로 사람이 갑자기 너무 기뻐하면 양기(陽氣)를 상하고 갑자기 몹시 성내면 음기(陰氣)를 상하며 근심과 수심으로 불안한 기운이 많아지면 기가 위로 치밀면서 갑자기 목으로 담이 올라와 막히는 것같은 감을 느끼다가 까무러치고 이를 악문다. 이때 중풍으로 보고 약을 쓰면 흔히 사람을 죽일 수 있다. 만일 이런 증상이 있으면 급히 소합향원을 풀어 먹여서 정신이 든 다음에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得效曰中風則怴浮身溫口多痰涎中氣則怴沈身凉口無痰涎中風而以中氣藥治之:亦無所傷中氣而以中風藥投之禍不旋踵先用蘇合香元次用七氣湯加石菖蒲
○ 『득효(得效)』㈜에는 “중풍(中風)이면 맥이 부(浮)하고 몸이 따뜻하며 입에 느침[痰涎]이 많이 나온다. 중기(中氣)이면 맥이 침(沈)하고 몸이 싸늘하며 입에 느침이 없다. 중풍은 중기에 쓰는 약으로 치료하여도 사람을 상하지 않지만 중기(中氣)㈜는 중풍에 쓰는 약을 쓰면 곧 해를 본다.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다음에 칠기탕에 석창포를 더 넣어 쓴다”고 씌어 있다.
○方氏曰中風多不能治中氣須臾便醒其故何歟夫中風中氣一源流也皆由忿怒所致人之五志惟怒爲甚所以爲病之暴也盖少壯之人氣血未虛眞水未竭火畏於水不能上升所以身凉無痰涎須臾便醒也老衰之人氣血俱虛眞水已竭火寡於畏得以上升所以身溫有痰涎多不能治也
○ 방씨(方氏)는 “중풍은 많은 경우에 잘 치료되지 않지만 중기는 얼마 가지 않아서 곧 깨어난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하면 중풍, 중기의 원인은 한 가지이다. 모두 몹시 성을 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5지(五志)㈜에서 성내는 것이 제일 심하다. 그러므로 병도 갑자기 생긴다. 대개 젊은 사람은 기혈이 허하지 않고 진수(眞水)㈜가 마르지 않으므로 화기(火氣)가 물에 눌려서 올라가지 못하여 몸이 싸늘하게 되며 느침[痰涎]이 없고 얼마 안 가서 곧 깨어난다. 그러나 노쇠한 사람은 기혈이 모두 허하고 진수(眞水)가 이미 말라서 화기(火氣)는 눌리는 데가 없이 올라가므로 몸이 덥고 담연이 있는 것이다. 많은 경우에 치료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入門曰中氣虛者八味順氣散實者四七湯
○ 『입문』에는 “중기로 허한 사람은 팔미순기산을 쓰고 실한 사람은 사칠탕을 쓴다”고 씌어 있다.
○回春曰中氣者因與人相爭暴怒氣逆而暈倒也先用薑湯灌救甦後用木香順氣散
○ 『회춘』에는 “중기란 서로 다투다가 갑자기 몹시 성내는 기가 올라가서 까무라쳐 넘어지는 것이다. 이때는 먼저 생강을 달인 물을 먹여 정신이 든 다음에 목향순기산을 쓴다”고 씌어 있다.
○醫鑑曰內經曰無故而渾怴不至不治自己謂氣暴逆也氣復則已審如是雖不服藥亦可
○ 『의감』에는 『내경』에 “원인 없이 벙어리가 되고 맥이 뛰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않아도 낫는다고 한 것은 기가 갑자기 치밀기 때문인데 기가 돌아서면 낫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약을 먹지 않아도 역시 좋다”고 씌어 있다.
[註] 『득효(得效)』 : 1337년 위역림이 쓴 20권으로 된 책. 『세의득효방』을 말한다.
[註] 중기(中氣) : ①갑자기 기절하여 넘어지면서 이를 악물고 몸이 싸늘해지는 것.
②속에 있는 정기 즉 비위의 기, 중초의 기를 말하기도 한다.
[註] 5지(五志) : 5정과 같다.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근심하는 것, 생각하는 것, 겁내는 것들이다. 5지를 5장과 결부시켜 보았다.
[註] 진수(眞水) : 신음, 진음, 원음이고도 한다.
治中氣最佳人參白朮白茯巔靑皮白芷陳皮烏藥各七分甘草三分右犫水煎服《得效》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
중기를 치료하는 데 매우 좋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선귤껍질(청피), 구릿대(백지), 귤껍질(귤피), 오약 각각 2.8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治中氣烏藥靑皮香附子陳皮半夏製厚朴枳殼各一錢木香縮砂各五分桂皮乾薑甘草灸各三分右犫薑三片水煎服《回春》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중기를 치료한다.
오약, 선귤껍질(청피), 향부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후박, 지각 각각 4g, 목향, 사인 각각 2g, 계피, 건강,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상기(上氣)㈜
靈樞曰邪在肺則寒熱上氣
『영추』에는 “사기(邪氣)가 폐(肺)에 있으면 추웠다 열이 나고 기가 위로 치민다”고 씌어 있다.
○內經曰肺藏氣氣有餘則喘咳上氣
○ 『내경』에는 “폐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너무 많으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면서 기가 위로 치민다”고 씌어 있다.
○上氣者呼多吸少氣息促急也宜蘇子降氣湯秘傳降氣湯至聖來復丹(方見下)沈香降氣湯快氣湯
○ 기가 위로 치밀면 내쉬는 숨이 많아지고 들이쉬는 숨은 적어지며 숨쉬기가 몹시 가쁘다. 이때는 소자강기탕, 비전강기탕, 지성래복단(至聖來復丹, 처방은 아래에 있다), 침향강기탕, 쾌기탕 등을 쓴다.
[註] 상기(上氣) : ①기가 아래에서 위로 치미는 것. ②상초의 기운, 몸 웃도리의 기운.
治上氣喘促半夏麴蘇子炒硏各一錢肉桂陳皮去白各七分半當歸前胡厚朴甘草灸各五分右犫薑三片棗二枚紫蘇五葉同煎服《局方》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차조기씨(자소자, 닦아서 간 것) 각각 4g, 육계,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3g, 당귀, 전호, 후박,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 차조기(자소엽) 5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治上氣及氣不升降頭目昏眩腰脚無力桑白皮一錢陳皮枳殼柴胡甘草灸各五分地骨皮五加皮骨碎補訶子皮草果桔梗半夏麴各三分右犫薑三片紫蘇三葉水煎服《局方》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기가 위로 치미는 것과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여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4g, 귤껍질(陳皮), 지각, 시호, 감초(닦은 것) 각각 2g, 지골피, 오갈피, 골쇄보, 가자피, 초과, 도라지(길경), 반하국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차조기 3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治氣不升降上氣喘促便香附子四兩甘草灸一兩二錢縮砂五錢沈香四錢右爲細末每服二錢以蘇鹽湯調下《正傳》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160g, 감초(닦은 것) 48g, 사인 20g, 침향 16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과 차조기(자소)를 두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治同上香附子三兩半縮砂八錢甘草灸四錢右細末每一錢鹽湯點服《得效》
쾌기탕(快氣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향부자 140g, 사인 32g, 감초 (닦은 것) 16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卒上氣喘急鳴息便欲絶人參爲細末每一錢溫水調服日五六服濃煎服亦可《本草》
한 가지 처방
갑자기 기가 치밀어 올라서 숨이 몹시 차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곧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다섯에서 여섯번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 진하게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治上氣白芥子一升搗碎盛袋浸二升酒中經七日每溫服三合日二次《本草》
또 한 가지 처방
기가 위로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흰 겨자 1되를 짓찧어 주머니에 넣어서 술 2되에 담갔다가 7일이 지나면 한번에 3홉씩 하루 두번 데워 먹는다[본초].
하기(下氣)
綱目曰下氣屬心經曰夏怴者心也心怴不及下爲氣泄是也
『강목』에는 “하기(下氣)㈜는 심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경』에는 “여름의 맥은 심(心)이 주관하는데 심맥(心脈)이 제대로 뛰지 못하고 처지면 기설증(氣泄證)㈜이 된다”고 씌어 있다.
○又曰癲癎勞瓌者若氣下泄不止者必死此眞氣竭絶腸胃独理閉塞穀氣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從腸胃中泄出也
○ 또한 “전간(癲癎)이나 노채(勞 )에 걸린 환자가 만약 기가 처져 내려가 계속 설사하면 반드시 죽는다. 이것은 진기가 말라 없어지고 장위(腸胃)와 주리( 理)가 막혀서 곡기(穀氣)㈜가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장위를 따라 설사로 나간다”고 씌어 있다.
○河間曰腸胃鬱結穀氣內發而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善噫而或下氣也
○ 하간(河間)은 “장위(腸胃)가 울결되어 곡기가 안으로만 쏠리고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트림이 나가고 혹은 방귀가 잘 나간다”고 하였다.
○仲景曰傷寒陽明病胃中有燥屎者必轉失氣下之卽愈轉失氣乃氣下泄也詳見寒門
○ 중경은 “상한 양명병에 속에 마른 대변이 있을 때는 반드시 방귀가 나간다. 설사시키면 곧 낫는다. 방귀가 나오는 것은 기가 처져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註] 하기(下氣) : ①기가 위로 치민 것이 가라앉는 것.
②하초의 기운, 몸 아랫도리의 기운.
③방귀가 나가는 것.
[註] 기설증(氣泄證) : ①기로 인해서 생긴 설사증. ②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
[註] 곡기(穀氣) : 음식을 먹어서 생긴 기(기운)를 말한다.
단기(短氣)
明理曰短氣者氣短而不能相續者是已若有氣上衝而實非氣上衝也呼吸雖數而不能相續似喘而不搖肩似呻吟而無痛實爲難辨之證要識其眞者氣急而短促是也
『명리(明理)』에는 “단기란 기력이 아주 약해서 숨을 잘 이어가지 못 하는 것이다.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같으나 사실은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아니다. 숨쉬기가 비록 잦아도 연달아 되지 않고 천식 같으나 어깨를 들먹이지 않으며 신음하는 듯하나 아파하지 않으므로 실지 구분하기 어려운 증상이다. 그런데 그 증상을 알고 보면 숨이 가쁘고 몹시 밭은 것이다”고 씌어 있다.
○仲景曰平人寒熱短氣不足以息者實也又曰短氣有微飮當從小便去之巔桂朮甘湯主之腎氣丸亦主之(方見虛勞)
○ 중경은 “보통 사람이 추웠다가 열이 나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은 실증(實證)이다. 또한 숨결이 밭으면서 담음이 약간 있으면 반드시 오줌으로 나가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영계출감탕을 주로 쓰며 또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고 하였다.
○入門曰氣短者呼吸不相接續是也有結胸者有停水煨盔者有風濕相搏者有素弱氣虛者大抵心腹脹滿者爲實爲邪在裏心腹濡滿者爲虛爲邪在表
○ 『입문』에는 “기단(氣短)이란 숨을 연달아 쉬지 못하는 것이다. 결흉(結胸) 으로 생기는 것, 물이 고여서 정충증( 證)이 생긴 것, 풍습이 서로 어울려서 생기는 것, 평시부터 약하고 기가 허해서 생기는 것도 있다. 대개 명치 밑이 불러오르고 그득한 것은 실증이고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다. 명치 밑이 유연하면서 그득한 것은 허증이고 사기가 겉에 있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東垣曰氣短小便利者四君子湯去茯巔加黃妉補之
○ 동원은 “숨결이 밭고 오줌이 잘 나오는데는 사군자탕에서 솔풍령(복령)을 빼고 황기를 더 넣어 보한다”고 하였다.
○入門曰氣散則中虛倦怠無力短氣不足以息宜調中益氣湯(方見內傷)人參養榮湯(方見虛勞)
○ 『입문』에는 “기가 흩어지면 속이 허해서 권태증이 나며 힘이 없고 숨결이 밭으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데는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고 씌어 있다.
○怴經曰寸口怴沈胸中短氣
○ 『맥경』에는 “촌구맥이 침한 것은 가슴 속에 단기증(短氣證)이 있다”고 씌어 있다.
治胸有痰飮短氣赤茯巔二錢桂枝白朮各一錢半甘草五分右犫水煎服《仲景》
영계출감탕( 桂朮甘湯)
가슴에 담음(痰飮)이 있어서 숨결이 밭은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8g, 계지, 흰삽주(백출)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중경].
소기(少氣)
綱目曰少氣者氣少不足以言也
『강목』에는 “소기란 기운이 약해서 말을 할 수 없을 만큼 된 것이다”고 씌어 있다.
○靈樞曰肺藏氣氣不足則息微少氣又曰肺虛則少氣不能報息又曰腎生氣腎虛則少氣力言吸吸骨攣懈惰不能動又曰烷中爲氣之海不足則少氣不足以言
○ 『영추』에는 “폐(肺)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숨결이 약해지고 기운이 적어진다. 또한 폐가 허하면 기가 적어져서 숨을 잘 쉴 수 없게 된다. 또한 신(腎)은 기를 생기게 한다. 신이 허하면 기운이 없어서 말하기 힘들어 하고 말을 채 잇지 못하며 뼈가 시리고 몸이 나른하여 잘 움직이지 못한다. 또한 단중( 中)은 기가 모이는 곳이다. 단중이 약하면 기운이 적어져서 말할 힘도 없다”고 씌어 있다.
○內經曰怯然少氣者是水道不行形氣消索也言而微終日乃復言者奪氣也宜生怴散(方見暑門)人參膏獨參湯黃妉湯
○ 『내경』에는 “몸이 몹시 나른해서 기운이 없는 것같은 것은 수기(水氣)가 잘 돌아가지 못하고 살이 빠지고 기운이 소모된 것이다.말할 힘이 없어서 한마디하고는 하루종일 하지 않다가 또 한마디 하는 것은 기운이 빠진 것이다. 이때는 생맥산(生脈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인삼고, 독삼탕, 황기탕 등을 쓴다”고 씌어 있다.
○易老曰眞氣虛弱怴弱懶語宜四君子湯人參黃妉湯益氣丸
○ 『역로』는 “진기(眞氣)㈜가 허약하고 맥이 약하며 기운이 없이 말하는 데는 사군자탕, 인삼황기탕, 익기환 등을 쓴다”고 하였다.
[註] 진기(眞氣) : ①원기, 정기, 진원. 선천적으로 받은 정기와 후천적으로 생기는 곡기가 합쳐서 진기가 되는데 생명활동에 주요한 작용을 한다. ②심의 기운.
○東垣曰內傷脾胃致中氣虛少宜補中益氣湯益胃升陽湯(方見內傷)
○ 『동원』은 “속으로 비위를 상하여 중기가 허해지고 적어진 데는 보중익기탕,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처방은 모두 내상문에 있다) 등이 좋다”고 하였다.
治元氣虛乏精神短少言語不接能回元氣於無何有之鄕王道也人參一斤切片入砂鍋內水浮藥一指文武火煎乾一半傾在別處又將渣如前煎三次嚼參無味乃止却將前汁入鍋內熬成膏日服五六匙有肺火與天門冬對用甚妙《入門》
인삼고(人蔘膏)
원기가 허약하고 정신이 부족하며 말을 연달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원기를 완전히 회복시키는 데 좋은 처방이다.
인삼 600g.
위의 약을 썰어서 사기냄비에 넣고 물은 약보다 한 손가락 길이만큼 더 올라오게 두고 세지도 약하지도 않은 불에 달여 절반쯤 줄면 물을 다른 그릇에 따라 둔다. 그리고 약 찌꺼기는 먼저와 같이 세번 달인다. 인삼을 씹어 보아 아무 맛도 없으면 더 달이지 않고 앞의 달인 물을 남비에 넣고 졸여 고약처럼 만든다. 하루에 5-6숟가락씩 먹는다. 폐에 열이 있을 때에는 천문동과 같이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입문].
○人參治脾肺陽氣不足能補氣促短氣少氣非升麻爲引用不能補上升之氣升麻一分人參三分爲相得也若補下焦元氣瀉腎中火邪茯巔爲之使《東垣》
○ 인삼은 비(脾)와 폐(肺)의 양기부족을 치료하고 기촉(氣促)㈜, 단기(短氣), 소기(少氣) 등을 보하는 작용을 한다. 승마를 인경약으로 쓰지 않으면 올라가는 기를 보하지 못한다. 승마 1, 인삼 3의 비례로 합해서 쓰는 것이 좋다. 만약 하초의 원기를 보하고 신(腎)의 화사(火邪)를 사(瀉)하려면 솔풍령(복령)을 사약(使藥)으로 써야 한다[동원].
○人參膏獨參湯須以長流水煎服乃有奇效《醫說》
○ 인삼고와 독삼탕은 반드시 흐르는 물로 달여 먹어야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의설].
[註] 기촉(氣促) : 숨이 몹시 가쁜 것
單用人參濃煎服《醫說》
독삼탕(獨蔘湯)
인삼 한 가지만을 진하게 달여 먹는다[의설].
治氣虛發熱百怴搖動有如蟲行相火自足上升心常煩悸頭重腦悶乃淸和調勻鎭定之劑也黃妉二錢人參甘草各一錢當歸五分五味子九粒右犫煎服《活人心方》
황기탕(黃 湯)
기가 허하여 열이 나고 온몸의 혈맥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으며 상화(相火)가 발에서부터 위로 올라와서 가슴이 늘 안타까우면서 두근거리며 머리가 무겁고 띵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열을 내리고 기를 고르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황기 8g, 인삼, 감초 각각 4g, 당귀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달여 먹는다[활인심방].
補眞氣虛弱治氣短氣少人參去蘆白茯巔白朮甘草灸各一錢二分半右犫水煎服《局方》
사군자탕(四君子湯)
진기(眞氣)가 허약한 것을 보하는데 기력이 아주 약하고 기운이 적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노두를 버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것)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方氏曰人參補肺扶脾白朮健脾燥濕茯巔降氣渗濕甘草補胃和中譬如寬厚和平之君子不爲奸險卒暴之行也
○ 방씨(方氏)는 “인삼은 폐를 보하고 비를 든든하게 해준다. 흰삽주는 비를 든든하게 하고 습기를 없앤다. 흰솔풍령(백복령)은 기를 내리고 습기를 빠져 나가게 한다. 감초는 위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비유하면 너그럽고 후하며 마음씨 좋은 사람은 간사하고 험하며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醫鑑曰人參補元氣白朮健脾胃茯巔渗濕又引人參下行補下焦元氣《入門》
○ 『의감』에는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흰삽주는 비위를 든든하게 한다. 흰솔풍령(백복령)은 습기를 빠지게 하는 것과 함께 인삼을 이끌어 내려가게 해서 하초의 원기를 보한다”고 씌어 있다[입문].
治虛損少氣人參二錢黃妉白朮陳皮各一錢當歸白茯巔甘草灸各五分右犫薑三片棗二枚水煎空心服《易老》
인삼황기탕(人蔘黃 湯)
허손증(虛損證)과 기운이 적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 8g, 황기,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g,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역로].
治言語多損氣氣少懶語能補上益氣人參麥門冬各七錢橘皮桔梗甘草灸各五錢五味子二十一粒右極細末水浸油餠和丸咯實大每一丸細嚼津唾嚥下油餠乃和油燒餠也《回春》《易老》
익기환(益氣丸)
말을 많이 하여 기를 상하거나 기운이 적어서 말하기를 싫어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상초를 보하고 기운을 도와준다.
인삼, 맥문동 각각 28g, 귤껍질(橘皮), 도라지(길경),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오미자 21알.
위의 약들을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물에 불린 유병(油餠)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먹는다. 유병은 기름을 쳐서 구운 떡이다[회춘, 역로].
기로 생긴 통증[氣痛]
入門曰人身元氣與血循環彼橫行藏府之間而爲疼痛積聚竎癖壅逆胸臆之上而爲搽滿刺痛等證多因七情飮食鬱爲痰飮初起宜辛溫開鬱行氣豁痰消積久則宜辛寒降火以除根《入門》
『입문』에는 “사람 몸의 원기는 혈과 같이 돌아가는데 그것이 장부(藏府)의 사이를 잘못 돌아가게 되면 통증이 생기고 적취(積聚)와 현벽( 癖)이 가슴에 몰리거나 치밀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쑤시는 것같이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이것은 흔히 7정(七情)과 음식으로 담음(痰飮)이 된 것이다. 그것이 처음 생겼을 때에는 맵고 성질이 더운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잘 돌아가게 하며 담을 삭이고 적취를 없애야 한다. 오래된 것은 맵고 성질이 찬약으로 화를 내려가게 하여 근원을 없애야 한다[입문].
○氣滯上焦爲心胸搽痛宜枳橘湯桔梗枳殼湯(方見胸部)淸膈蒼莎丸(方見下)
○ 기가 상초(上焦)에 막혀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데는 지귤탕,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처방은 가슴문에 있다),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氣滯中焦爲腹脇刺痛宜神保元木香破氣散撞氣阿魏丸
○ 기가 중초(中焦)에 막혀서 배와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신보원, 목향파기산, 당기아위환을 쓴다.
○氣滯下焦爲腰痛疝禮宜蟠瘳散(方見前陰)四磨湯(方見大便)木香順氣丸木香檳峹丸
○ 기가 하초(下焦)에 막혀서 허리가 아프고 산가증(疝 證)㈜이 생긴 데는 반총산(蟠 散,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사마탕(四磨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목향순기환, 목향빈랑환을 쓴다.
[註] 산가증(疝 證) : 아랫배에 기가 몰리고 막혀서 산증처럼 아프고 당기면서 때로 위로 치미는 증이다.
○氣滯於外則周身刺痛或浮腫宜流氣飮子木香流氣飮三和散五皮散(方見浮腫)
○ 기가 겉에 막히면 온몸이 쑤시는 것같이 아프거나 부종이 생긴다. 이때는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삼화산, 오피산(五皮散, 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凡氣痛宜烏沈湯復元通氣散神仙沈麝元一粒金丹小烏沈湯
○ 대개 기로 생긴 통증에는 오침탕, 부원통기산, 신선침사원, 일립금단, 소오침탕 등이 좋다.
治氣滯胸搽痛橘皮八錢枳殼一錢半右犫薑四片水煎服鬱甚加薑黃少許《入門》
지귤탕(枳橘湯)
기가 막혀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32g, 지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4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막힌 것이 심하면 강황을 조금 더 넣어 쓴다[입문].
治濕熱散鬱止痛蒼朮二兩便香附子一兩半黃連黃芩各五錢右爲末取紅熟瓜蔞去皮同搗丸如菉豆大溫水下三五十丸一方蒸餠和丸薑湯下《入門》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습열증(濕熱證)을 치료하는데 기가 몰린 것을 헤쳐 통증을 멎게 한다.
삽주 80g,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60g, 황련, 속썩은풀(황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잘 익은 하늘타리(껍질을 버린 것)와 함께 짓찧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어떤 책에는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고 하였다[입문].
治諸氣注痛又治心膈痛腹脇痛腎氣痛全蝎全者七箇巴豆十箇去皮爲霜木香胡椒各二錢半朱砂一錢(半內入半爲衣)右爲末蒸餠和丸麻子大朱砂爲衣每五七丸薑湯溫酒任下《局方》
신보원(神保元)
여러 가지 기가 몰려서 아픈 것과 가슴아픔, 배와 옆구리의 아픔, 신기통(腎氣痛) 등을 치료한다.
전갈(온전한 것) 7개, 파두 10개(껍질을 버리고 상을 만든다), 목향, 후추 각각 10g, 주사 4g(절반은 약에 넣고 절반은 겉에 입힌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국방].
治氣痛香附子四兩烏藥薑黃各二兩木香甘草灸各五錢右細末每二錢鹽湯點服《心法》
목향파기산(木香破氣散)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향부자 160g,오약,강황 각각 80g,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심법].
治一切氣痛蓬朮炒丁香皮炒陳皮靑皮川芎茴香炒甘草灸各一兩縮砂桂心白芷各五錢阿魏酒浸一宿硏爲糊胡椒各二錢半生薑四兩切片鹽一兩同淹一宿炒褐色右爲末以阿魏糊和丸咯實大朱砂爲衣每取三丸空心以薑鹽湯細嚼嚥下《得效》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일체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봉출(닦은 것), 정향피(닦은 것), 귤껍질(陳皮), 선귤껍질, 궁궁이(천궁), 회향(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0g, 사인, 계심, 구릿대(백지) 각각 20g, 아위(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갈아서 풀을 만든다), 후추 각각 10g, 생강 160g(썰어서 소금 40g을 두고 버무려서 하룻밤 두었다가 갈색이 나게 볶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아위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알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로 잘 씹어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治諸氣搽滯刺痛黑牽牛子頭末破故紙各二兩枳殼陳皮香附子各一兩木香蘿挙子大腹皮各五錢右爲末水丸梧子大溫水下五十丸使氣升降而歸於腎也《心法》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
여러 가지 기가 몹시 막혀서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견우자, 맏물가루), 파고지 각각 80g, 지각, 귤껍질(陳皮), 향부자 각각 40g, 목향, 무씨(나복자), 빈랑껍질(대복피)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신(腎)에 가게 한다[심법].
治濕熱氣滯搽痛大黃四兩黑丑頭末黃芩各二兩木香檳峹黃連當歸枳殼靑皮陳皮香附子蓬朮黃栢各一兩右爲末水丸梧子大溫水下五七十丸《瑞竹堂方》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습열(濕熱)로 기가 막혀서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 160g, 나팔꽃검은씨(맏물가루), 속썩은풀(황금) 각각 80g, 목향, 빈랑, 황련, 당귀, 지각,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향부자, 봉출, 황백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서죽당방].
治氣注疼痛或腫脹大腹子一錢陳皮赤茯巔當歸白芍藥川芎黃妉枳實半夏製防風甘草各七分半紫蘇葉烏藥靑皮桔梗各五分木香二分半右犫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유기음자(流氣飮子)
기가 몰려서 아프거나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빈랑씨(대복자) 4g,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황기, 지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방풍, 감초 각각 3g, 차조기잎(자소엽), 오약, 선귤껍질(청피), 도라지(길경) 각각 2g, 목향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治諸氣搽痛或腫脹陳皮一錢藿香木香厚朴靑皮香附子麥門冬白芷沈香各七分半白朮肉桂木通檳峹紫蘇葉各六分草果甘草各五分大腹皮木瓜人參蓬朮丁香皮半夏製赤茯巔石菖浦各三分右犫分二貼薑三片棗二枚水煎服《正傳》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여러 가지 기로 더부룩하고 아프거나 배가 불러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4g, 곽향, 목향, 후박, 선귤껍질, 향부자, 맥문동, 구릿대(백지), 침향 각각 3g, 흰삽주(백출), 육계, 으름덩굴(목통), 빈랑,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2.4g, 초과, 감초 각각 2g, 빈랑껍질(대복피), 모과, 인삼, 봉출, 정향피,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석창포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治諸氣鬱滯或脹或痛川芎一錢沈香紫蘇葉大腹皮羌活木瓜各五分木香白朮檳峹陳皮甘草灸各三分右犫水煎服《入門》
삼화산(三和散)
여러 가지 기가 울체(鬱滯)되어서 혹 배가 불러 오르거나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4g, 침향, 차조기잎(자소엽), 빈랑껍질(대복피), 강호리(강활), 모과 각각 2g, 목향, 흰삽주(백출), 빈랑,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諸氣背嵈心腹痛烏藥一兩沈香五錢甘草灸四錢人參三錢右細末每一錢薑鹽湯點服《局方》
오침탕(烏沈湯)
여러 가지 기로 등골과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 40g, 침향 20g, 감초(닦은 것) 16g, 인삼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국방].
治氣不宣通周身走痛白丑頭末二兩茴香炒穿山甲孌火氖懈各一兩半陳皮去白玄胡索甘草灸各一兩木香五錢右細末每二錢薑湯或溫酒調下《局方》
복원통기산(復元通氣散)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여 왔다갔다 하면서 몸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씨(견우자, 맏물가루) 80g, 회향(닦은 것), 천산갑(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6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현호색, 감초 (닦은 것)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이나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治一切氣痛不可忍甘草二兩沒藥血竭沈香麝香朱砂各一兩木香五錢右爲末熬甘草作膏搜和藥末丸如咯實大每一丸薑鹽湯嚼下血氣痛醋湯下《直指》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일체 기로 인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 80g, 몰약, 혈갈, 침향, 사향, 주사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감초를 졸여 고(膏)를 만든 것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로 씹어 먹는다. 혈기(血氣)로 아픈 데는 식초를 끓인 물로 먹는다[직지].
治氣痛啞芙蓉卽鴉片二錢半阿魏一錢木香沈香各五分牛黃二分半右將沈香木香牛黃爲末以鴉片阿魏放椀內滴水熔化和蜜爲丸菉豆大金箔爲衣每一粒熱氣痛凉水下冷氣痛滾水下神效《回春》
일립금단(一粒金丹)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아부용(즉 아편) 10g, 아위 4g, 목향, 침향 각각 2g, 우황 1g.
위의 약들에서 먼저 침향, 목향, 우황을 가루를 내어 아편과 아위를 담은 사발에 물을 부어 녹인 것과 함께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먹되 열기로 생긴 통증이면 찬물로 먹고 냉기로 생긴 통증이면 끓인 물로 먹는다. 아주 잘 낫는다[회춘].
治諸氣心腹刺痛香附子二兩烏藥一兩沈香甘草各二錢半右爲末每一錢沸鹽湯點服《局方》
소오침탕(小烏沈湯)
여러 가지 기로 명치 밑이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80g, 오약 40g, 침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국방].
治一切氣痛香附子炒四兩陳皮去白一兩甘草生二錢半右細末每二錢鹽湯點服《綱目》
한 가지 처방
일체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향부자(닦은 것) 16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40g, 감초(생 것)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강목].
기가 치미는 것[氣逆]
靈樞曰黃帝曰何謂逆而亂岐伯對曰淸氣在陰濁氣在陽榮氣順怴衛氣逆行淸濁相干亂于胸中是爲太忍(與悶同)故氣亂于心則煩心密默恔首靜伏亂于肺則恔仰喘喝按手以呼亂于腸胃則爲囍亂亂于臂脛則爲四厥亂于頭則爲厥逆頭重眩捒
『영추』에는 “황제가 묻기를 ‘무엇이 치밀어서 문란[亂]하게 하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맑은 기는 음에 있고 탁한 기는 양에 있는데 영기(榮氣)는 혈맥을 따라 돌고 위기(衛氣)가 거슬러 올라가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어울려서 가슴 속에서 혼란하게 되어 몹시 답답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슴에서 기가 혼란하면 가슴이 답답하고, 아무 말 없이 머리를 숙이고 엎드려 있는다. 폐에서 기가 혼란하면 몸을 숙일 때나 젖힐 때나 숨이 차서 손으로 폐를 누르고 숨을 내쉬게 된다. 장위에서 혼란하면 곽란증( 亂證)이 생기며 팔다리에서 혼란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머리에서 혼란하면 정신을 잃고 넘어지거나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워 넘어진다”고 씌어 있다.
○入門曰氣逆者氣自腹中時時上衝也
○ 『입문』에는 “기가 치민다는 것은 기가 배에서부터 때때로 치밀어 오르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內經曰諸逆衝上皆屬於火
○ 『내경』에는 “여러 가지로 치밀어 오르는 것은 모두 화(火)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丹溪曰病人自言冷氣從下而上者此上升之氣自肝而出中挾相火其熱爲甚自覺其冷非眞冷也又曰氣之上逆屬陽無寒之理覺惡寒者乃火極似水也
○ 단계는 “환자 자신이 찬 기운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온다고 하는 것은 올라오는 기가 간장에서 나와 속에 상화(相火)를 끼고 있어 열이 심한 것이다. 환자 자신이 찬 기운을 느끼게 되나 진짜 찬 기운은 아니다. 또한 기가 위로 올려 치미는 것은 양에 속하는데 찬 기운이 있을 리가 없다. 오한을 느끼는 것은 곧 화가 심하여 수(水)와 비슷하게 된 것이다”고 하였다.
○入門曰散火之法必先破氣氣降則火自降矣
○ 『입문』에는 “화를 해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기를 쳐야 한다. 기가 내려가면 화는 절로 내려 간다”고 씌어 있다.
○氣逆宜退熱淸氣湯導氣枳殼丸火盛者滋陰降火丸加便香附子茯神沈香(方見虛勞)
○ 기가 치미는 데는 퇴열청기탕, 도기지각환을 쓰고 화가 성한 데는 자음강화환에 향부자(香附子, 동변으로 법제한 것)와 복신, 침향을 더 넣어 쓴다(처방은 어로문에 있다).
治氣逆柴胡陳皮赤茯巔各一錢半夏製枳殼各八分便香附七分川芎五分縮砂七粒硏木香甘草灸各三分右犫薑三片水煎服《入門》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지각 각각 3.2g,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2.8g, 궁궁이(천궁) 2g, 사인 7알(간다),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治逆氣上攻心胸搽痛枳殼掦炒木通炒靑皮陳皮桑白皮灸蘿蔔子炒白丑炒頭末黑丑炒頭末蓬朮氖三稜氖茴香炒各等分右爲末薑汁糊和丸梧子大每三五十丸橘皮湯呑下《宣明》
도기지각환(導氣枳殼丸)
기가 위로 치밀어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지각(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으름덩굴(목통, 닦은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구운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나팔꽃흰씨(백축, 맏물가루를 내서 닦은 것),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를 내서 닦은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회향(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귤껍질(橘皮)을 달인 물로 먹는다[선명].
기울(氣鬱)/기
丹溪曰氣之初病其端甚微或因七情或感六氣或因飮食以致津液不行淸濁相干自氣成積自積成痰氣爲之鬱或搽或痛
단계는 “기에 처음 병이 생길 때는 그 원인이 매우 애매하다. 혹 7정(七情)으로 생기거나 6기(六氣)에 감촉되거나 음식 관계로 진액이 잘 돌아가지 못하여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어울려서 기로부터 적(積)이 된다. 적에서 담(痰)이 생기고 기가 울체되어 혹 막히기도 하고 혹 아프기도 하다”고 하였다.
○正傳曰氣鬱而濕滯濕滯而成熱故氣鬱之病多兼浮腫脹滿
○ 『정전(正傳)』㈜에는 “기가 울체되면 습(濕)이 막히고 습이 막히면 열이 나기 때문에 기울병(氣鬱病)은 흔히 부종과 창만증(脹滿證)을 겸한다”고 씌어 있다.
[註] 『정전(正傳)』 : 1515년에 우박이 쓴 것인데 8권으로 된 『의학정전』을 말한다.
○入門曰鬱者病結不散也氣鬱不散二陳湯煎水呑下交感丹又曰血凝氣滯宜復元通氣散痰壅氣滯宜順氣導痰湯(方見風門)
○ 『입문』에는 “울(鬱)이란 병으로 기가 몰려서 풀리지 않는 것이다. 기가 몰려서 풀리지 않는 데는 이진탕을 달인 물로 교감단을 먹는다. 또한 피가 엉키고 기가 막힌 데는 복원통기산을 쓰며 담이 뭉치고 기가 막힌 데는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 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쓴다”고 씌어 있다.
○氣鬱宜交感丹木香勻氣散木香調氣散(方見積聚)上下分消導氣湯鬱兼腫脹宜流氣飮子木香流氣飮沈香降氣湯(三方見上)五皮散(方見浮腫)
○ 기울증(氣鬱證)에는 교감단, 목향균기단,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상하분소도기탕을 쓰고 울증에 부종과 창만증(脹滿證)을 겸한 데는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오피산(五皮散, 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治諸氣鬱滯一切公私揬情名利失志抑鬱煩惱七情所傷不思飮食面黃形羸胸膈搽悶諸證神效大能升降水火香附子一斤長流水浸三日取炒茯神四兩右搗爲末蜜丸彈子大每一丸細嚼以降氣湯送下《回椿》
교감단(交感丹)
여러 가지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일체 공무나 사사로운 일에 마음이 맞지 않거나 명예와 재물을 모으려는 것이 뜻대로 되지 않아 억울하게 생각하면서 고민하거나 7정(七情)에 상하여 음식을 먹고 싶지 않고 얼굴이 누렇고 몸이 여위며 가슴 속이 그득하고 답답한 것 등의 모든 증에 잘 들으며 수화(水火)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향부자(흐르는 물에 3일간 담갔다가 꺼내어 볶은 것) 600g, 복신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강기탕 달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회춘].
香附子製茯神甘草各一錢右水煎服
강기탕(降氣湯)
향부자(법제한 것), 복신,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먹는다.
治氣鬱滯藿香甘草灸各八錢縮砂四錢沈香木香丁香白檀香白豆埼各二錢右爲末每二錢薑三片紫蘇五葉鹽少許煎湯點服《入門》
목향균기산(木香勻氣散)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곽향, 감초(닦은 것) 각각 32g, 사인 16g, 침향, 목향, 정향, 백단향, 백두구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차조기잎(자소엽) 5개 소금을 조금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治氣鬱功勝分心氣飮常患氣惱之人可用此枳殼桔梗桑白皮川芎赤茯巔厚朴靑皮香附子便炒各二兩黃連薑汁炒半夏製瓜蔞仁澤瀉木通檳峹麥芽炒各一兩甘草灸三錢右犫每一兩薑三片水煎服或爲末神麴糊和丸白湯下七八十丸名分消丸《回春》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기울증(氣鬱證)을 치료하는데 그 효과가 분심기음보다도 좋다. 늘 기병(氣病)으로 앓는 사람이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지각, 도라지(길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후박, 선귤껍질, 향부자(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황련(생강즙을 축여 볶은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택사, 으름덩굴(목통), 빈랑,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40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40g씩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약누룩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8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일명 분소환(分消丸)이라고 한다 [회춘].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靈樞曰邪之所在皆爲不足故上氣不足腦爲之不滿耳爲之苦鳴頭爲之苦傾目爲之瞑中氣不足杏便爲之變腸爲之苦鳴下氣不足乃爲浔厥心忍
『영추』에는 “사기(邪氣)가 들어 있는 것은 모두 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상초(上焦)에 기가 부족하면 뇌수[腦]가 그득 차지 못하게 되어 심한 이명(耳鳴)이 있고 머리를 잘 들지 못하게 되며 눈이 어둡게 된다. 중초(中焦)에 기가 부족하면 대소변이 달라지고[變] 배가 몹시 끓는다. 하초(下焦)에 기가 부족하면 위궐( 厥)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又曰上氣不足推而揚之下氣不足積而從之陰陽皆虛火自當之
○ 또한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밀어 올라가게 하고 하초에 기가 부족하면 내려가게 해야 한다. 음양이 모두 허(虛)하면 불로 치료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씌어 있다.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靈樞曰五陰氣俱絶則目系轉轉則目運目運者爲志先死志先死則遠一日半死矣六陽氣俱絶則陰與陽相離離則独理發泄絶汗乃出故旦占夕死夕占旦死(絶汗者大如珠出而不流也)
『영추』에는 “5가지의 음기가 모두 끊어지면 목계(目系)㈜가 뒤집혀진다. 목계가 뒤집혀지면 눈알이 돌아간다. 눈알이 돌아가는 것은 지(志)가 먼저 죽는 것이다. 지가 먼저 죽으면 늦어도 하루 반이면 죽는다. 6가지 양기가 모두 끊어지면 음과 양이 서로 떨어진다. 음양이 떨어지면 주리( 理)가 열려서 절한(絶汗,땀방울이 구슬 같으나 흐르지는 않는 것이다)이 나온다. 때문에 아침에 그렇게 되면 저녁에 죽게 되고 저녁에 그렇게 되면 아침에 죽는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고 씌어 있다.
[註] 목계(目系) : 눈알이 뇌와 연결되는 맥락. 눈에 달린 줄.
○又曰六府氣絶于外者上氣脚縮五藏氣絶于內者下利不禁甚者手足不仁
○ 또한 “6부의 기가 겉에서 끊어지면 기가 위로 치밀고 다리가 가드라든다[不仁]. 5장의 기가 속에서 끊어지면 설사가 멎지 않고 심하면 손발을 쓰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又曰若陽氣前絶陰氣後竭者其人死身色必靑陰氣前絶陽氣後竭者其人死身色必黃腋下溫心下熱也《仲景》
○ 또한 “만약 양기가 먼저 끊어지고 음기가 뒤에 끊어지면 그 사람은 죽는데 그의 몸빛은 반드시 누렇고 겨드랑이 밑이 따뜻하고 명치 아래가 뜨겁다”고 씌어 있다[중경].
꺼려야 할 것[禁忌]/기
內經曰久臥傷氣
『내경』에는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 기를 상한다”고 씌어 있다.
○西山記曰近穢氣觸眞氣近死氣亂生氣
○ 『서산기』에는 “더러운 기운을 가까이 하면 진기(眞氣)를 상하고 죽은 사람의 기운을 가까이 하면 원기(元氣)를 혼란하게 한다”고 씌어 있다.
○凡人空腹不用見尸臭氣入鼻舌上白起口常臭欲見尸者皆須飮酒見之能抗毒《得效》
○ 대체로 사람은 빈속일 때에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한다. 시체의 냄새를 맡으면 혀에 백태가 끼며 입에서 늘 냄새가 난다. 시체를 보려면 반드시 술을 마시고 보아야 독을 피할 수 있다[득효].
○凡入疫嵀熱病之家皆當防其毒氣傳染毒氣者大汗穢毒之氣也《類聚》
○ 대체로 전염성 열병이 생긴 집으로 들어갈 때는 반드시 그 독기를 미리 막아야 한다. 독기라는 것은 땀이 몹시 나는 더러운 독한 기운이다[유취].
약 쓰는 법[用藥法]/기
正傳曰男子屬陽得氣易散女人屬陰遇氣多鬱是以男子之氣病常少女人之氣病常多故治法曰女人宜調其血以耗其氣男子宜調其氣以養其血
『정전』에는 “남자는 양에 속하기 때문에 기를 얻어도 흩어지기 쉽다. 여자는 음에 속하므로 기를 만나면 막히는 일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남자의 기병은 언제나 적고 여자의 기병은 언제나 많다. 그러므로 치법(治法)에는 ”여자는 피를 고르게 하여 그 기를 소모시켜야 하며 남자는 그 기를 고르게 해서 그 피를 보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入門曰七情總發於一心七氣總隸於一氣氣陽也動則爲火故以降火化痰消積分治之大槪氣虛四君子湯氣實小烏沈湯火多合黃連解毒湯(方見傷寒)痰多合二陳湯(方見痰飮)積多合平胃散(方見五臟)
○ 『입문』에는 “7정(七情)은 모두 마음에서 생기고 7기(七氣)는 모두 기에 속한다. 기는 양인데 발동하면 화가 되기 때문에 화를 내리고 담을 삭히며 적을 없애는 것으로 갈라 치료해야 한다. 대개 기허증(氣虛證)에는 사군자탕을 쓰고 기실증(氣實證)에는 소오침탕을 쓰는데 화가 많으면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합하여 쓴다. 담이 많으면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합하여 쓰고 적이 많으면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합하여 쓴다”고 씌어 있다.
○丹溪曰久患氣證氣不歸元久服藥無效者以破故紙爲君則效其方破故紙炒一兩茴香炒乳香各五錢爲末蜜丸梧子大空心白湯下五十丸
○ 단계(丹溪)는 “오랫동안 기병(氣病)을 앓으면서 기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아서 오랫동안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을 때에는 파고지를 주약으로 해서 쓰면 낫는다. 그 처방은 다음과 같다. 파고지(닦은 것) 40g, 회향(닦은 것), 유향 각각 20g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고 하였다.
○方氏曰氣病用氣藥而不效者氣之所藏無以收也盖肺主氣腎藏氣靑木香元木香順氣丸皆用破故紙所以使氣升降而歸於腎藏也
○ 방씨(方氏)는 “기병에 기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은 기를 간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개 폐는 기를 주관하고 신은 기를 간직하기 때문에 청목향원과 목향순기환에 모두 파고지를 넣은 것은 기로 하여금 잘 오르내리게 하고 신에 잘 돌아가게 하자는 데 있다”고 하였다.
○入門曰氣病通用二陳湯(方見痰飮)上焦氣滯加枳殼桔梗香附縮砂中焦氣滯加厚朴枳實三稜蓬朮下焦氣滯加靑皮木香檳峹氣痛加枳殼氣實加烏藥香附氣虛加參朮木香
○ 『입문』에는 “기병에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두루 쓰는데 상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지각, 도라지(길경), 향부자, 사인을 더 넣어 쓴다. 중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후박, 지실, 삼릉, 봉출을 더 넣어 쓴다. 하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선귤껍질, 목향, 빈랑을 더 넣어 쓴다. 기로 생긴 통증에는 지각을 더 넣으며 기실증(氣實證)에는 오약, 향부자를 더 넣어 쓴다. 기허증(氣虛證)에는 인삼, 흰삽주(백출), 목향을 더 넣어 쓴다”고 씌어 있다.
○丹溪曰治上升之氣用香附黃連黃芩梔子又曰氣無補法世俗之言也不思正氣虛者不能運行邪氣着而爲病經曰壯者氣行則愈怯者着而成病苟或氣怯不用補法氣何由行又曰氣鬱須用川芎香附梔子芩連
○ 단계는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치료하는데는 향부자,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를 쓴다. 또한 기병에 보하는 법이 없다는 것은 민간에서 하는 말이다. 정기(正氣)가 허하면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침범해서 병이 되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경』에는 “건강한 사람은 기가 잘 돌아가기 때문에 낫고 약한 사람은 기가 잘 돌지 않아서 병이 된다. 만일 기가 약한데 보법(補法)을 쓰지 않으면 기가 어떻게 돌아가겠는가. 또한 기가 몰린 데는 반드시 궁궁이(천궁), 향부자,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쓴다”고 하였다.
○又曰木香行中下焦氣香附快滯氣陳皮泄逆氣紫蘇散表氣厚朴泄衛氣檳峹泄至高之氣藿香上行胃氣沈香升降眞氣腦麝散眞氣凡此皆泄氣之標不能治氣之本
○ 또한 “목향은 중초, 하초의 기를 잘 돌아가게 하고 향부자는 막힌 기를 잘 통하게 하며 귤껍질(陳皮)은 치미는 기를 잘 내보내고 차조기는 표(表)의 기를 헤치고[散] 후박은 위기(衛氣)를 내보내게 하며 빈랑은 높은 곳에 있는 기를 내리고 곽향은 위기를 올라가게 하며 침향은 진기(眞氣)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용뇌와 사향은 진기를 헤치게 한다. 대체로 이것은 모두 기로 인하여 겉에 나타나는 증상을 없애는 것이고 기병의 근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고 씌어 있다.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宜用蘇合香元至聖來復丹交感丹四七湯分心氣飮上下分消導氣湯烏沈湯流氣飮子木香流氣飮(七方見上)
소합향원, 지성래복단, 교감단, 사칠탕, 분심기음, 상하분소도기탕, 오침탕, 유기음자,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7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治一切氣疾及中氣上氣氣逆氣鬱氣痛白朮木香沈香麝香丁香安息香白檀香朱砂(水飛半爲衣)犀角訶子皮香附子禕撥各二兩蘇合油(入安息香膏內)乳香龍腦各一兩右細末用安息香膏幷煉蜜搜和千宭每一兩分作四十丸每取二三丸井華水或溫水溫酒薑湯化服《局方》
소합향원(蘇合香元)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註] 수비(水飛) : 약을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내는 방법의 하나이다. 대체로 광물성 약재를 물과 같이 보드랍게 갈아 가루를 내어 물을 휘저은 다음 그 물을 다른 그릇에 찌워 넣으면 물에 떴던 보드라운 가루가 밑에 가라 앉는다. 이것을 말려 약으로 쓴다.
○有龍腦則謂之龍腦蘇合元無龍腦則謂之麝香蘇合元
○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
治氣不升降一切危急之證可冷可熱可緩可急如中氣上氣氣痛氣鬱皆效硝石硫黃各一兩同爲細末入椀內以微火溫炒以柳木摆不住手攪令陰陽氣相入不可火太過恐傷藥力再硏極細名二氣末太陰玄精石硏飛一兩五靈脂硏水飛澄去砂石望乾靑皮陳皮拄去白各二兩爲末和勻以好醋打麵糊搜和丸如豌豆大每服三十粒或五十粒空心粥飮呑下《局方》
지성래복단(至聖來復丹)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는 일체 위급한 증상을 치료한다. 냉증, 열증, 천천히 진행되는 증과 급하게 진행되는 증에 모두 쓴다. 그리고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로 생긴 통증, 기울(氣鬱) 같은 것들에도 쓰면 모두 효과가 있다.
초석, 유황 각각 40g(2가지를 함께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그릇에 넣고 약한 불로 따뜻하게 볶으면서 버드나무주걱으로 쉼없이 저어 섞이게 한다. 불을 너무 세게하는 것은 약효를 약하게 할 염려가 있으므로 좋지 않다. 이것을 다시 갈아서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이것을 2기말(二氣末)이라고 한다), 현정석(갈아서 수비한 것) 40g, 오령지(갈아서 수비하여 모래는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모두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고루 섞어서 좋은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죽물로 빈속에 먹는다[국방].
단방(單方)/기
凡二十四種
모두 24가지이다.
補五藏氣不足又治氣弱氣短氣虛或煎或末或熬膏多服妙
인삼(人蔘)
5장(五藏)의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또한 기운이 약한 것, 기력이 아주 미약한 것, 기가 허한 것들을 치료한다. 달이거나 가루를 내거나 고약처럼 만들어 많이 먹으면 좋다.
治心腹一切氣《本草》⃝凡腔子裏氣須用些木香行之《入門》⃝丹溪曰木香行中下二焦氣須以檳峹爲使又曰木香味辛如氣鬱不達固宜用之若陰火上衝則當用黃栢知母而少用木香佐之⃝湯液曰調諸氣散滯氣治腹中氣不轉運末服煎服拄佳
목향(木香)
명치 밑과 배에 생긴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본초].
○ 속에서 생기는 기병에는 반드시 목향을 써서 기가 돌아가게 해야 한다[입문].
○ 단계는 “목향은 중초와 하초의 기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빈랑을 사약(使藥)으로 하여야 한다. 또한 목향은 맛이 매운데 만일 기울이 되어 잘 돌아가지 못하면 반드시 써야 한다. 만약 음화(陰火)㈜가 치밀어 오르면 황백, 지모를 쓰면서 목향을 좌약으로 조금씩 넣어 쓴다”고 하였다.
[註] 음화(陰火) : 신화. 음분에서 생기는 화.
○ 『탕액편』에는 “모든 기를 고르게 하고 막힌 기를 헤치며 뱃속에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다 좋다”고 씌어 있다.
治氣爲最能治冷氣刺痛末服煮服皆佳《本草》
편자강황(片子薑黃, 강황)
기병을 치료하는데 제일 좋다. 냉기로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잘 낫게 한다. 강황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다 좋다[본초].
湯液曰實衛氣能溫分肉充皮膚肥独理又能補上中下內外三焦之氣⃝東垣曰肥白氣虛人宜多服蒼黑氣實者勿用煎湯服之佳
황기(黃 )
탕액편에는 “위기(衛氣)를 실하게 하고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며 살갗을 충실하게 하고 주리( 理)를 든든하게 한다. 또한 3초의 속과 겉의 기를 보한다”고 씌어 있다.
○ 『동원』에는 “살빛이 희고 기가 허한 사람은 황기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얼굴이 검푸르고 기가 실한 사람은 황기를 쓰지 말고 달여 먹으면 좋다”고 하였다.
丹溪曰生薑散氣⃝湯液曰此藥能行陽而散氣煎服良
생강(生薑)
단계는 “생강은 기를 보한다”고 하였다.
○ 탕액편에는 “이 약은 양기를 잘 돌게 하고 기를 헤치는데 달여 먹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大下氣《本草》⃝丹溪曰香附主氣分之病佐以木香散滯氣泄肺氣佐以沈香無不升降又曰沈香佐香附流動諸氣極妙凡人有病則氣滯而婚故香附入氣分爲君藥末服煎服丸服拄佳
향부자(香附子)
기를 잘 내린다[본초].
○ 단계는 “향부자는 기분(氣分)㈜의 병에 주로 쓰는데 목향을 좌약으로 하면 막힌 기를 헤치고[散] 폐기(肺氣)를 잘 내보낸다.침향을 좌약으로 쓰면 기가 잘 오르내리게 된다. 또한 침향은 향부자를 도와서 모든 기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매우 좋다. 대체로 사람이 병들면 기가 막혀서 여위기 때문에 향부자는 기분(氣分)에 들어가서 주약이 된다. 향부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고 하였다.
[註] 기분(氣分) : ①기에 해당한 부분 ②기가 잘 통하지 않아서 생긴병. 부종의 한 가지.
下氣《本草》⃝丹溪曰補上焦元氣馨香之氣味令胃氣上行末服佳
백두구(白豆 )
기를 내린다[본초].
○ 단계는 “상초의 원기를 보하며 그 향기로운 냄새와 맛은 위기(胃氣)를 올라가게 한다. 백두구를 가루를 내어 먹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黑者屬水白者屬金乃瀉氣之藥也(心法)⃝下一切氣壅滯《本草》⃝末服丸服拄佳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검은 것은 수(水)에 속하고 흰 것은 금(金)에 속하는데 기를 상하게 하는 약이다[심법].
○ 일체 기가 막힌 것을 내린다[본초].
○ 나팔꽃씨(견우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
升降眞氣又能養諸氣上而至天下而至泉用爲使《湯液》⃝佐以烏藥走散滯氣《本草》⃝入門曰保和衛氣入湯磨汁和服入丸散硏極細服
침향(沈香)
진기(眞氣)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기를 잘 보양하며 기를 위로는 머리까지 가게 하고 아래로는 발바닥까지 가게 한다. 사약(使藥)으로도 쓴다[탕액].
○ 오약(烏藥)을 좌약으로 해서 쓰면 기를 잘 헤친다[본초].
○ 『입문』에는 “위기(衛氣)를 보하고 조화시킨다. 탕약에 넣어 쓰기도 하고 갈아서 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쓰는 데는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고 씌어 있다.
下氣《本草》正傳曰稟受素壯而氣刺痛用枳殼烏藥若氣不舒而刺痛當用木香⃝治冷氣攻刺枳殼二兩香附子甘草各一兩爲末每二錢瘳白煎湯調服《得效》
지각(枳殼)
기를 내린다[본초].
○ 『정전』에는 “체질이 본래 튼튼한 사람이 기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지각과 오약을 같이 쓴다. 만약 기가 펴지 못하여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반드시 목향을 쓴다”고 씌어 있다.
○ 냉기가 침범하여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지각 80g, 향부자, 감초 각각 40g을 함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파흰밑(총백)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治一切氣與沈香同磨作湯點服治胸腹冷氣甚穩當《本草》
오약(烏藥)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 침향과 같이 갈아서 달여 조금씩 먹는다. 가슴과 배에 냉기가 심한 것도 치료하는데 곧 편안해진다[본초].
下一切氣《本草》⃝湯液曰苦以破滯辛以散邪專破滯氣下行又泄胸中至高之氣末服良
빈랑(檳 )
일체 기를 내린다[본초].
○ 탕액편에는 “쓴 맛은 막힌 기를 헤치고[破] 매운 맛은 사기(邪氣)를 몰아낸다. 주로 체기(滯氣)를 내려가게 하며 또한 가슴에 있는 기를 내려가게 한다. 빈랑을 가루를 내어 먹으면 좋다”고 씌어 있다.
主五藏一切氣又能走冷氣煎服佳《本草》
후박(厚朴)
5장의 모든 기병에 주로 쓴다. 또한 냉기를 몰아낸다. 이 약을 달여 먹으면 좋다[본초].
下氣治一切氣氣虛人宜緩緩少服盖雖澁腸而又泄氣故也煎服末服竝佳《本草》
가자피(訶子皮)
기를 내리고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 기가 허하면 천천히 조금씩 먹는다. 가자피는 비록 장의 배설을 막아주기는 하지만 또한 기를 내보내기도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下惡氣其性輕浮飛揚能透達關竅之氣入他藥服《本草》
용뇌(龍腦)
좋지 못한 기를 내보낸다. 약의 성질이 가볍고 떠올라서 관규(關竅)를 뚫고 들어간다. 다른 약에 넣어 먹는다[본초].
抗惡氣《本草》⃝麝能引藥氣透達《直指》⃝通關透竅上達肌膚內入骨髓與龍腦相同香竄過之《入門》末服又入丸藥用
사향(麝香)
좋지 못한 기를 없앤다[본초].
○ 사향은 약 기운을 이끌어 병 있는 곳까지 뚫고 들어간다[직지].
○ 관규에 들어가며 겉으로는 살갗에 가고 속으로는 골수(骨髓)에 들어가는 것이 용뇌와 같으나 향기로워서 헤치는 힘은 더 세다[입문].
○ 사향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또는 알약에 넣어 쓰기도 한다.
下氣又治逆氣《本草》⃝湯液曰導胸中滯氣又能益氣若去滯氣橘皮三分加靑皮一分煎服《本草》
진피(陳皮, 귤껍질)
기를 내리며 또는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탕액』에는 “가슴에 막힌 기를 잘 돌아가게 한다. 또한 기를 보하기도 한다. 만약 체기를 없애려면 귤껍질(橘皮) 1.2g, 선귤껍질 0.4g 을 넣어 달여 먹는다”고 씌어 있다[본초].
主氣滯破積結及膈氣煎服末服拄佳《本草》
청피(靑皮, 선귤껍질)
기가 막힌 데 주로 쓴다. 쌓여서 맺힌 것과 격기(膈氣)㈜를 헤친다. 이 약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註] 격기(膈氣) : 기운이 막히는 것. 열격증으로 음식물이 잘 내려가지 않고 또 기운이 막히는 것을 말한다.
大下氣草木中惟蘿挙下氣最速爲其辛也生薑雖辛止能散而己蘿挙辛而又甘故能散緩而下氣速也蘿挙子尤下氣炒煎服末服拄佳《本草》
나복(蘿蔔, 무)
기를 잘 내린다. 풀이나 나무 가운데서 오직 무만이 기를 내리는 데 가장 빠르다. 그것은 맵기 때문이다. 생강은 비록 맵지만 기를 헤칠 뿐이다. 그러나 무는 맵고 또 달기 때문에 기를 천천히 헤치는 동시에 빨리 내리는 성질이 있다. 무씨(나복자)는 기를 더 잘 내린다. 무씨를 닦아서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通陽氣以通上下之陽去靑取白連根煎服《本草》
총백( 白, 파밑)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는데 위아래의 양기를 모두 통하게 한다. 푸른 것은 버리고 뿌리가 붙은 흰밑만 달여 먹는다[본초].
下氣與橘皮相宜氣方中多用之又散表氣濃煎服《本草》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기를 내린다. 귤껍질(橘皮)과 함께 기병을 치료하는 처방 중에 많이 쓴다. 또한 표에 있는 기를 헤치기도 한다.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益氣爲百藥之長最宜長服之《本草》
인유(人乳, 사람의 젖)
기를 보하며 모든 약가운데서 제일이다. 오래 먹을수록 좋다[본초].
補虛益氣滋養氣血屠尤良爛蒸食之《本草》
우육(牛肉, 쇠고기)
허(虛)한 것을 보하고 기도 보하며 기와 혈을 불쿠어 주고 좋게 한다. 소의 위가 매우 좋은데 푹 쪄서 먹는다[본초].
益氣補陽氣和五味煮熟食之《本草》
황구육(黃狗肉, 누런 개고기)
기를 돕고 양기를 보한다. 잘 삶아서 양념을 쳐서 먹는다[본초].
6자기결㈜(六字氣訣)
噓肝氣呵心氣呼脾氣絧肺氣吹腎氣絩三焦氣其法以口吐鼻取能去病延壽
천천히 부는 것은 간(肝)의 기운이고 불어 덥히는 것은 심(心)의 기운이다. 보통으로 내쉬는 것은 비(脾)의 기운이고 가쁘게 내쉬는 것은 폐(肺)의 기운이다. 그리고 세게 부는 것은 신(腎)의 기운이고 한숨을 내쉬는 것은 3초(三焦)의 기운이다.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쉬면 병을 없애고 오래 살게 된다.
⃝肝若噓時目爭精肺知絧氣手雙擎心呵頂上連叉手腎吹抱取膝頭平脾病呼時須撮口三焦客熱臥絩絩
○ 간병(肝病)으로 천천히 불 때에는 눈에 정기를 모으고 폐병(肺病)으로 가쁘게 내쉴 때에는 두 손을 쳐든다. 심병(心病)에 불어서 덥힐 때에는 두 손을 정수리 위에 올려 깍지를 끼고 신병(腎病)에 세게 불 때에는 무릎을 두 손으로 껴안는다. 비병(脾病)에 보통으로 내쉴 때에는 입을 오므린다. 3초(三焦)에 객열(客熱)이 있으면 누워서 한숨을 내쉰다.
⃝春噓養肝夏呵養心秋絧養肺冬吹養腎四季呼養脾不時絩養三焦切忌出聲聞於口耳也(埴仙)
○ 봄에는 천천히 불어 간을 보양한다. 여름에는 불어 덥혀서 심을 보양한다. 가을에는 가쁘게 내쉬어 폐를 보양한다. 겨울에는 세게 불어 신을 보양한다. 사철에는 보통으로 내쉬어 비를 보양하고 때없이 한숨을 내쉬어 3초를 보양해야 할 것이다.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절대로 귀에 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구선].
⃝肝病大呼三十遍細呼十遍心病大呵三十遍細呵十遍脾病大呼三十遍細呼十遍肺病大絧三十遍細絧十遍腎病大吹五十遍細吹十遍皆須左右導引然後乃爲之《得效》
○ 간병에는 천천히 세게 30번 내어 분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심병에는 불어 덥히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비병에는 보통 숨쉬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신병에는 세게 불기를 5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여기서 어느 것이나 모두 반드시 좌우로 도인법(導引法)을 한 후에 해야 한다[득효].
[註] 육자기결(六字氣訣) : 숨을 내보내는(呼氣) 형태를 6가지(천천히 내쉬는 것, 불어서 덥히는 것, 보통으로 내쉬는 것, 가쁘게 내쉬는 것, 세게 내쉬는 것, 한숨을 내쉬는 것)로 구분하여 실시해서 5장의 기운을 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가들이 하는 양생도인법의 하나이다.
침뜸치료[鍼灸法]/기
一切氣疾取氣海氣逆取尺澤商丘太白三陰交噫氣上逆取太淵神門短氣取大陵尺澤少氣取間使神門大陵少衝足三里下廉行間然谷至陰肝兪氣海《伸應》
일체 기병에는 기해혈(氣海穴)에 놓고 기가 치미는 데는 척택(尺澤), 상구(商丘), 태백(太白), 삼음교(三陰交) 등의 혈에 놓는다. 트림이 올라올 때에는 태연(太淵)과 신문혈(神門穴)에 놓고 숨결이 밭을 때에는 대릉(大陵)과 척택혈(尺澤穴)에 놓는다. 기운이 적을 때에는 간사(間使), 신문, 대릉, 소충(少衝), 족삼리(足三里), 하렴(下廉), 행간(行間), 연곡(然谷), 지음(至陰), 간유(肝兪), 기해(氣海) 등의 혈에 놓는다[신응].
⃝上氣灸太衝氣結食不消灸太倉冷氣臍下痛灸關元百壯短氣灸大㴣隨年壯肺兪百壯神闕二七壯又灸第五㴣下隨年壯《得效》
○ 기가 치미는 데는 뜸을 태충혈(太衝穴)에 뜬다. 기가 몰려서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을 때에는 뜸을 태창혈(太倉穴)에 뜬다. 냉기가 있어서 배꼽 아래가 아플 때에는 관원혈(關元穴)에 뜸을 100장 뜬다. 숨결이 밭을 때에는 나이수만큼 뜸을 대추혈(大椎穴)에 뜨고 폐유혈(肺兪穴)에 100장, 신궐혈(神闕穴)에 14장 또는 나이수만큼 장수의 뜸을 제5추 아래에 뜬다[득효].
⃝短氣取天井大㴣肺兪肝兪魚際尺澤《甲乙》
○ 숨결이 밭은 데는 천정(天井), 대추, 폐유, 간유, 어제(魚際), 척택(尺澤) 등의 혈에 놓는다[갑을]
⃝氣亂于心取神門大陵氣亂于肺取魚際太谿氣亂于腸胃取太白陷谷足三里氣亂于頭取天柱大灎通谷束骨氣亂于臂脛取二間三間內庭陷谷液門中渚俠谿臨泣《靈樞》
○ 기가 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신문혈과 대릉혈에 놓는다.
기가 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어제혈과 태계혈(太谿穴)에 놓는다.
기가 창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태백혈(太白穴), 함곡혈(陷谷穴), 족삼리혈에 놓는다.
기가 머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천주(天柱), 대저(大 ), 통곡(通谷), 속골(束骨) 등의 혈에 놓는다.
기가 팔과 다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침을 이간(二間), 삼간(三間), 내정(內庭), 함곡, 액문(液門), 중저(中諸), 협계(俠谿), 임읍(臨泣) 등의 혈에 놓는다[영추].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문의 010 5775 5091
'건강 자료실 > 생리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내경편]신神 (0) | 2013.09.27 |
---|---|
[스크랩] [내경편]혈血 1 (0) | 2013.09.27 |
[스크랩] [내경편]정精 (0) | 2013.09.27 |
[스크랩] [내경편] 대변大便1-1 대변의 파악 설사 (0) | 2013.09.27 |
[스크랩] 동의보감[내경편]삼초부 (0) | 201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