齒者骨之餘腎主營養呼吸之門戶也《得效》○齒者骨之所終髓之所養腎實主之故經云腎衰則齒豁精盛則齒堅虛熱則齒動《直指》○牙齒骨屬腎之標也《入門》
이빨은 뼈의 나머지다[齒者骨之餘]
이빨은 뼈의 나머지로서 신(腎)의 영양을 받는데 호흡하는 문호(門戶)에 있다[득효].
○ 이빨은 뼈의 끝인데 골수가 영양하고 신이 주관한다. 그러므로 『내경』에는 “신이 쇠약하면 이빨짬[齒豁]이 생기고 정기가 왕성하면 이빨이 든든하며 허열이 있으면 이빨이 흔들린다”고 씌어 있다[직지].
○ 이빨과 뼈는 신(腎)의 표(標)에 속한다[입문].
牙齒是手足陽明怴之所過上厇隷於坤土乃足陽明胃之所貫絡也止而不動下厇嚼物動而不休手陽明大腸之怴所貫絡也《東垣》
아래위의 잇몸은 수양명경과 족양명경에 속한다[上下 屬手足陽明]
이빨에는 수양명경맥과 족양명경맥이 통한다. 윗잇몸은 토[坤土]에 속하므로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과 통하여 있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아랫잇몸은 음식물을 씹어야 하므로 쉴 사이 없이 움직이는데 수양명대장경맥과 통하여 있다[동원].
靈樞曰胃惡熱而喜淸冷大腸惡淸冷而喜熱○足陽明胃絡怴入齒上縫其病喜寒飮而惡熱飮手陽明大腸絡怴入齒下縫其病喜熱飮而惡寒飮《入門》○熱牙痛硲冷水冷牙疼硲熱水不硲冷熱乃風牙痛《入門》○胃有實熱上齒痛尤甚宜凉膈散(方見火門)大黃酒蒸爲君加知母石膏升麻爲佐煎水頻頻含嚥卽愈《東垣》○上片牙痛亦屬足少陰腎經虛熱宜細辛湯下片牙痛屬手陽明虛熱有風宜白芷湯《醫鑑》○微惡寒飮大惡熱飮宜立效散《東垣》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영추』에 “위(胃)는 뜨거운 것을 싫어하고 시원한 것을 좋아하며 대장(大腸)은 시원한 것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을 좋아한다”고 씌어 있다.
○ 족양명위경의 낙맥(絡脈)이 윗잇몸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윗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을 마시기는 좋아하나 뜨거운 것을 마시기는 싫어한다. 그리고 수양명대장경의 낙맥이 아랫잇몸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아랫이빨에 병이 생기면 뜨거운 것을 마시기는 좋아하나 찬 것을 마시기는 싫어한다[입문].
○ 열(熱)로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물을 싫어하게 되고 냉(冷)으로 이빨에 병이 생기면 뜨거운 것을 싫어하게 된다. 그리고 찬 것과 뜨거운 것을 다 싫어하지 않는 것은 풍(風)으로 병이 생긴 것이다[입문].
○ 위(胃)에 실열(實熱)이 있으면 윗이빨이 더 몹시 아프다. 이런 데는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는데 술에 축여 찐 대황을 주약[君]으로 하고 지모, 석고, 승마를 좌약[佐]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자주 머금었다가 삼키면 곧 낫는다[동원].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허열로 윗어금니가 아픈 데는 세신탕을 쓰고 수양명경에 허열(虛熱)과 풍(風)이 있어서 아랫어금니가 아픈 데는 백지탕을 쓴다[의감].
○ 찬 것을 마시기는 약간 싫고 뜨거운 것을 마시기는 몹시 싫은 데는 입효산을 쓴다[동원].
細辛一錢半蔓荊子鼠粘子各一錢升麻黃連防己各七分黃栢知母拄酒炒各五分薄荷三分禕撥一分右犫作一貼水煎服《醫鑑》
세신탕(細辛湯)
족두리풀(세신) 6g, 순비기열매(만형자), 우엉씨(대력자) 각각 4g, 승마, 황련, 방기 각각 2.8g, 황백, 지모(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g, 박하 1.2g, 필발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防風荊芥連翹白芷薄荷赤芍藥石膏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醫鑑》
백지탕(白芷湯)
방풍, 형개, 연교, 구릿대(백지), 박하, 함박꽃뿌리(작약), 석고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治牙齒痛不可忍微惡寒飮大惡熱飮草龍膽酒洗三錢防風一錢升麻七分甘草灸五分細辛三分右犫作一貼水煎去滓以匙抄在口中渫痛處少頃卽止如多惡熱飮加龍膽一錢《東垣》
입효산(立 散)
이빨이 참을 수 없이 아프면서 찬 것을 마시기는 약간 싫고 뜨거운 것을 마시기는 몹시 싫은 것을 치료한다.
용담초(술에 씻은 것) 12g, 방풍 4g, 승마 2.8g, 감초(닦은 것) 2g, 족두리풀(세신)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숟가락으로 떠서 아픈 곳에 바르면 조금 있다가 아픈 것이 멎는다. 만일 뜨거운 것을 마시기가 몹시 싫을 때에는 용담초 4g을 넣어 써야 한다[동원].
內經曰女子七歲腎氣盛齒更髮長三七腎氣平均故眞牙生而長極丈夫八歲腎氣實髮長齒更三八腎氣平均故眞牙生而長極五八腎氣衰髮墮齒枯八八則齒髮去去謂落也○兒生八月板齒始生眞牙謂牙床窮處最後生者也《類聚》
이빨이 튼튼해지고 약해지는 것[牙齒盛衰]
『내경』에 “여자는 7살이 되어야 신기(腎氣)가 왕성해지면서 이빨을 갈고 머리털이 길게 자란다. 그리고 21살이 되면 신기가 고르게 되기 때문에 마지막 어금니가 나와 다 자라게 된다. 남자는 8살이 되어야 신기가 충실해지면서 머리털이 길게 자라고 이빨을 갈며 24살이 되면 신기가 고르게 되기 때문에 마지막 어금니가 나와서 다 자란다. 40살이 되면 신기가 쇠약해지기 시작하므로 머리털도 빠지기 시작하고 이빨이 마른다. 64살이 되면 이빨과 머리털이 빠진다”고 씌어 있다.
○ 어린이는 태어난 지 8달이 되어야 이빨이 돋기 시작한다. 마지막 어금니란 잇몸의 맨 구석 제일 나중에 돋은 이빨을 말한다[유취].
口前兩大齒謂之板齒其兩傍長者謂之牙通謂之齒其牙齒之根謂之厇亦曰牙床《類聚》
이빨은 이름이 각기 다르다[牙齒異名]
맨 앞에 있는 2대[兩大]의 이빨을 대문[板齒]이라고 하고 그 양 옆에 있는 긴 것을 송곳니[牙]라고 하는데 통틀어 이빨이라고 한다. 이빨의 뿌리가 박힌 데를 잇몸[ ]이라 하는데 이틀니[牙床]라고도 한다[유취].
右關怴洪數或弦而洪腸胃中有風熱牙痛尺怴洪大而虛者腎虛主齒動疎豁相火上炎而痛《醫鑑》○齒痛腎虛尺濡而大火炎尺洪疎搖豁壞右寸關數或洪而弦此屬腸胃風熱多涎《回春》
맥 보는 법[脈法]/이빨
오른쪽 관맥이 홍삭(洪數)하거나 현홍(弦洪)한 것은 장위(腸胃)에 풍열이 있어서 이빨이 아픈 것이며 척맥(尺脈)이 홍대(洪大)하면서 허한 것은 신이 허하여 이빨이 흔들리고 이빨 사이가 벌어지며 상화(相火)가 타올라서 이빨이 아픈 것이다[의감].
○ 치통은 신(腎)이 허한 것이고 척맥이 유(濡)하고 대(大)한 것은 신화(腎火)가 타오르는 것이다. 척맥이 홍(洪)하면 이빨이 흔들리고 이빨 사이가 벌어지며 이빨이 빠지게 된다. 오른쪽 촌관맥이 삭(數)하거나 홍하면서 현(弦)한 것은 장위(腸胃)에 풍열(風熱)과 담이 많기 때문이다.
牙齒之痛因胃中濕熱上出於牙厇之間適被風寒或飮冷所鬱則濕熱不得外達故作痛也寒是標故外用辛溫擦漱之藥熱是本故內服辛凉散熱之劑《丹心》○通用擦牙方謝傅笑去散(方見下)○手陽明之支怴入齒壅則齒浮虛則宣露挾風則上攻頭面疳㵙則變成法脫《直指》○齒病有開口稨風則痛甚者胃中有風邪也有開口則臭穢不可近者腸胃中有積熱也有齒根腫而痛者胃熱也有痛而動搖者腎元虛也有孔而痛者盤蝕也《醫鑑》○稨風痛甚開口臭穢俱宜當歸連翹飮《回春》○寒者堅牢而痛熱甚則齒動齒厇袒脫作痛不已《東垣》○得淸凉痛甚者爲寒口吸凉風痛止者爲熱《綱目》○齒痛有風熱風冷熱痛寒痛毒痰瘀血盤蝕
치통에는 7가지가 있다[牙齒痛有七]
치통은 위(胃) 속에 있던 습열(濕熱)이 잇몸 사이에 올라갔을 때 풍한에 감촉되거나 찬 것을 마신 것으로 말미암아 습열이 몰리고 맺혀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寒)은 표(標)이기 때문에 맛이 맵고 성질이 더운약으로 문지르고 양치해야 한다. 병의 근본은 열이기 때문에 속으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열을 발산시켜야 한다[단심].
○ 이빨을 닦는 약처방이나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두루 쓴다.
○ 수양명경의 한 가지가 이빨에 들어가 그 맥이 막히면 이빨이 들뜨고 허하면 이빨이 드러나고 풍을 끼면 머리와 얼굴에까지 올려 치밀어서 아프며 감닉(疳 )이 되면 충치가 되거나 이빨이 빠진다[직지].
○ 이빨이 아플 때 입을 벌리고 바람을 맞으면 더 아픈 것은 위(胃) 속에 풍사(風邪)가 있기 때문이다. 입을 벌리면 더러운 냄새가 나서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은 장위(腸胃) 속에 열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 이뿌리가 붓고 아픈 것은 위(胃)에 열이 있는 것이고 이빨이 아프면서 흔들리는 것은 신(腎)의 원기가 허한 것이며 구멍이 생기고 아픈 것은 벌레가 먹은 것이다[의감].
○ 바람을 들여마시면 더 아프고 입을 벌리면 더러운 냄새가 나는 데는 당귀연교음을 쓴다[회춘].
○ 한증일 때에는 이빨이 든든하면서[堅牢] 아프고 열이 심할 때에는 이빨이 흔들리고 잇몸이 벗어지면서 아픈 것이 멎지 않는다[동원].
○ 찬 것을 만나면 더 아픈 것은 한증이고 서늘한 바람을 들여 마시면 통증이 멎는 것은 열증이다[강목].
○ 치통에는 풍열(風熱)로 아픈 것, 풍랭(風冷)으로 아픈 것, 열(熱)로 아픈 것, 한사(寒邪)로 아픈 것, 담독(痰毒)으로 아픈 것, 어혈(瘀血)로 아픈 것, 벌레가 먹어서 아픈 것 등이 있다.
風熱者外風與內熱相搏齒厇腫痛膿汁臭穢宜犀角升麻湯(方見面門)兼以荊芥湯含漱《入門》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은 밖의 풍사와 속의 열이 서로 부딪쳤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잇몸이 붓고 아프며 고름이 나오고 더러운 냄새가 난다. 이런 데는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처방은 얼굴문에 있다)을 먹고 형개탕으로 양치해야 한다[입문].
風冷者齒厇不腫不狰日漸動搖宜溫風散兼以開笑散含漱《入門》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플 때에는 잇몸이 붓지 않고 벌레도 먹지 않으면 날이 갈수록 이빨이 흔들린다. 이때에는 온풍산을 먹고 개소산으로 양치해야 한다[입문].
熱痛者腸胃積熱齒厇腫爛口氣臭穢宜凉膈散(方見火門)加知母石膏升麻爲佐酒蒸大黃爲君夜嚥卽愈《東垣》○如濕熱被風冷鬱而作痛宜當歸龍膽散《入門》○久年齒痛黑爛脫落必吸凉稍止乃膏粱濕熱之火調胃承氣湯(方見寒門)加黃連下之《入門》○胃熱齒痛喜冷惡熱宜淸胃散瀉胃湯滋陰淸胃丸○一婦人齒痛極苦須騎馬外行吸凉風則痛止至家則痛復作此陽明濕熱之盛調胃承氣湯加黃連下三五行外用坈鬼散擦牙卽愈《東垣》○酒客牙疼以冷水頻含漱《入門》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열로 이빨이 아픈 것은 장위(腸胃)에 열이 몰렸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잇몸이 붓고 헤어지며[爛] 입에서 더러운 냄새가 난다. 이런 데는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지모, 석고, 승마를 좌약[佐]으로 더 넣고 술에 축여 찐 대황을 주약[君]으로 더 넣어서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쓰는데 물고 있다가 삼키면 곧 낫는다[동원].
○ 본래부터 습열(濕熱)이 있는데 풍랭(風冷)을 받아서 몰리게 되면 아프다. 이런 데는 당귀용담산을 쓴다[입문].
○ 여러 해 동안 이빨을 앓아서 이빨이 거멓게 되고 잇몸이 헐면서 이빨이 빠지고 찬바람을 들여마시면 아픈 것이 조금 멎는 것은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생긴 습열로 된 화증이다. 그러므로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황련을 넣어 먹여서 설사시켜야 한다[입문].
○ 위(胃)에 열(熱)이 있어서 이빨이 아플 때에는 찬 것을 좋아하고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 이런 데는 청위산, 사위탕, 자음청위환을 쓴다.
○ 어떤 부인이 이빨이 아파서 몹시 고통스러워하다가 말을 타고 밖에 나가 서늘한 바람을 들여 마시면 아픈 것이 멎곤 하였다. 그러다가 집에 들어오면 다시 아팠다. 이것은 양명경에 습열(濕熱)이 성했기 때문이므로 조위승기탕에 황련을 넣어 써서 세번에서 다섯번 정도 설사시키고 괵귀산을 이빨에 문지르면 곧 낫는다[동원].
○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이빨이 아플 때에는 찬물로 자주 양치해야 한다[입문].
客寒犯腦頭連齒痛宜羌活附子湯(方見頭部)蝎梢散細辛散○冷證齒痛宜香椒散(方見下)○寒熱皆痛者爲寒熱痛宜當歸龍膽散《東垣》○此證與厥逆頭痛同當參看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찬 기운이 뇌에 침범하여 머리와 이빨이 아픈 데는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처방은 머리문에 있다)이나 갈초산이나 세신산을 쓴다.
○ 냉증으로 이빨이 아픈 데는 향초산(香椒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이빨이 차게 하거나 덥게 하거나에 관계없이 아픈 것은 한열(寒熱)이 다 있어서 아픈 것이기 때문에 당귀용담산을 써야 한다[동원].
○ 이 증상은 궐역두통의 증상과 같으므로 그것을 참고해야 한다.
熱則生痰毒氣上攻灌注經絡最能發痛外證痰盛咳唾《直指》○宜二陳湯(方見痰飮)加細辛枳殼生薑大棗烏梅煎服仍以薑黃禕撥等分煎湯候溫以舌浸湯內涎自流出效《直指》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열(熱)이 나고 담(痰)이 생겨 독기(毒氣)가 치밀어 올라서 경락(經絡)에 들어갔을 때에 치통이 제일 잘 생기는데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래가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것이다[직지].
○ 이때에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족두리풀(세신), 지각, 생강, 대추, 오매를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 또는 강황과 필발을 같은 양으로 하여 달여서 따뜻할 때에 혀를 담그고 있으면 침이 나오고 낫는다[직지].
風熱挾攻厇間令血出瘀滯不消疦痛鑽刺宜犀角地黃湯(方見血門)或加減甘露飮(方見口門)加升麻《入門》○取五靈脂醋煎汁含嚥卽效《得效》○齒痛法數年不愈當作陽明畜血治之桃仁承氣湯(方見寒門)細末蜜丸梧子大服之好飮過多者多得此疾屢服有效《海藏》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풍열(風熱)이 잇몸을 자극하여 피가 나와서 엉키고 막혀 풀리지 않고 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은 데는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 혹은 가감감로음(加 甘露飮, 처방은 입[口]문에 있다)에 승마를 넣어 쓰기도 한다[입문].
○ 오령지를 식초에 넣고 달여서 입에 머금고 있다가 삼켜도 곧 낫는다[득효].
○ 이빨이 아픈 것과 벌레먹은 이빨이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은 반드시 양명경에 축혈(畜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치료하여야 하는데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약재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술을 많이 먹는 사람에게 이런 병이 많이 생기는데 이 약을 여러 번 써서 효과를 보았다[해장].
凡人飮食不能潔齒腐臭之氣淹漬日久齒厇有孔盤蝕其間蝕一齒盡又度其餘至如疳㵙皆其種類必殺盤而後痛止《直指》○齒病變成骨槽風出血骨露者宜玉池散《入門》○法者齒履也謂齒盤蝕而痛也《本事》○盤痛宜一笑散椒鹽散蜂窩散定痛散○兼用取牙盤法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음식을 먹은 다음 이빨을 깨끗하게 닦지 않으면 이빨 사이에 끼운 찌꺼기가 썩어서 냄새가 나게 된다. 그리고 오래되면 이빨과 잇몸에 구멍이 생기는데 벌레가 그곳을 파먹게 된다. 벌레가 하나의 이빨을 다 파먹은 다음에는 또 다른 이빨을 파먹는다. 감닉(疳 )도 이와 같은 종류인데 이때에는 반드시 벌레를 죽여야 아픈 것이 멎는다[직지].
○ 이 병이 골조풍(骨槽風)으로 변하여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뼈가 드러난 데는 옥지산을 쓴다[입문].
○ 우( )라는 것은 이빨에 벌레가 먹는 것을 말하는데 이빨에 벌레가 먹으면 아프다[본사].
○ 벌레가 먹어서 아픈 데는 일소산, 초염산, 봉와산, 정통산을 쓴다.
○ 겸해서 이빨에 벌레를 없애는 방법을 써야 한다.
治齒痛稨風痛甚開口臭穢當歸生地黃川芎連翹防風荊芥白芷羌活黃芩梔子枳殼甘草各七分細辛三分右犫作一貼水煎服不拘時《回春》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이빨이 아픈 것이 바람을 들여마시면 몹시 아프고 입을 벌리면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궁궁이(천궁), 연교, 방풍, 형개,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지각, 감초 각각 2.8g, 족두리풀(세신)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아무때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治風冷齒痛當歸川芎細辛白芷禕撥藁本露蜂房各一錢右犫水煎服仍含漱吐之《入門》
온풍산(溫風散)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필발, 고본, 노봉방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거나 물고 있다가 뱉는다[입문].
治胃熱上下齒痛不可忍牽引頭腦滿面發熱其痛喜冷惡熱升麻二錢牡丹皮一錢半當歸生地黃黃連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微冷服《東垣》
청위산(淸胃散)
위(胃)에 열(熱)이 있어서 위아래 이빨이 몹시 아프고 속골까지 켕기면서 얼굴이 다는데 아플 때에는 찬 것을 좋아하고 더운 것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8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6g, 당귀, 생지황, 황련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약간 식혀 먹는다[동원].
治牙痛如神此胃熱也當歸川芎赤芍藥生地黃黃連牡丹皮梔子防風荊芥薄荷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回春》
사위탕(瀉胃湯)
위에 열이 있어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당귀,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작약), 생지황, 황련,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산치자, 방풍, 형개, 박하,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治陽明經血熱上下牙床腫痛紅爛肉縮齒根露者石膏禭醋柒二兩當歸酒洗生地黃酒洗梔子鹽水炒牡丹皮各一兩黃連酒炒知母葛根防風各七錢升麻白芷各五錢生甘草節四錢右爲末蒸餠和丸菉豆大米飮下百丸《回春》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양명경에 혈열(血熱)이 있어서 위아래 잇몸이 붓고 아프며 벌겋게 헤어지면서[爛] 패이고 이뿌리가 드러난 것을 치료한다.
석고(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근 것) 80g, 당귀(술에 씻은 것), 생지황(술에 씻은 것), 산치자(소금 물에 축여 볶은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40g,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 칡뿌리(갈근), 방풍 각각 28g, 승마, 구릿대(백지) 각각 20g, 감초마디 16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으로 먹는다[회춘].
治盤牙痛甚當歸生地黃細辛乾薑白芷連翹苦參黃連川椒桔梗烏梅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夜漱後嚥下《回春》
정통산(定痛散)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족두리풀(세신), 건강, 구릿대(백지), 연교, 너삼(고삼), 황련, 조피열매(천초), 도라지(길경), 오매,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입에 물고 양치한 다음 삼킨다[회춘].
齒厇宣露動搖者腎元虛也宜八味丸(方見虛勞)滋陰補腎《入門》○牙齒宣露動搖宜白牙散香鹽散漱擦(方見入門)○齒根動搖宜服還少丹(方見前陰)獨活散○固齒羊脛骨灰二錢當歸白芷猪牙爣角靑鹽各一錢爲末擦牙上《得效》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잇몸이 패어서 이뿌리가 드러나고 흔들리는 것은 신(腎)의 원기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팔미환(八味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으로 음을 불어나게 하고 신을 보하는 것이 좋다[입문].
○ 이빨이 드러나고 흔들리는 데는 백아산이나 향염산(香 散, 처방은 입문에 있다)으로 양치하는 것이 좋다.
○ 이뿌리가 흔들리는 데는 환소단(還少丹,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이나 독활산을 쓴다.
○ 이빨을 든든하게 하려면 양의 정강이뼈를 태운 재 8g, 당귀, 구릿대(백지), 주염열매(猪牙 角), 돌소금(청염) 각각 4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이빨을 닦는 것이 좋다[득효].
治陽明風熱攻注齒厇宣露動痛獨活羌活川芎防風各一錢六分生地黃荊芥薄荷各一錢細辛七分右犫作一貼水煎服《丹心》
독활산(獨活散)
양명경으로 풍열(風熱)이 치밀어 올라 잇몸이 패어서 이뿌리가 드러나고 흔들리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따두릅(독활),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방풍 각각 6.4g, 생지황, 형개, 박하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牙床腫痛動搖黑爛脫落宜淸胃湯神功丸羌活散兼用固齒散玉池散(二方見下)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잇몸이 붓고 아프며 이빨이 흔들리다가 살이 거멓게 헤지면서 빠지는 데는 청위탕이나 신공환이나 강활산을 먹고 겸해서 고치산이나 옥지산(玉池散, 이 2가지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治牙床腫痛動搖黑爛脫落皆屬手足陽明二經石膏末二匙梔子炒連翹牡丹皮條芩各一錢生地黃酒洗黃連炒各八分升麻白芍藥氖桔梗各七分藿香五分甘草三分右犫作一貼水煎食遠服《回春》
청위탕(淸胃湯)
잇몸이 붓고 아프며 이빨이 흔들리다가 살이 거멓게 헤지고 빠지는 것은 수양명경과 족양명경 이 2경맥에 속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석고가루 2숟가락, 산치자(닦은 것), 연교,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생지황(술에 씻은 것), 황련(닦은 것) 각각 3.2g, 승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잿불에 묻어 구운 것), 도라지(길경) 각각 2.8g, 곽향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사이에 먹는다[회춘].
治多食肉人口臭不可近牙齒疳蝕脫落升麻一錢半蘭香葉當歸身藿香木香各一錢黃連縮砂各五分生地黃酒洗甘草生各三分右爲末蒸餠和丸菉豆大白湯下一百丸《東垣》
신공환(神功丸)
고기를 많이 먹는 사람의 입에서 냄새가 몹시 나서 가까이 할 수 없는 것과 치감(齒疳), 이빨이 벌레가 먹다가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6g, 난향엽(蘭香葉), 당귀, 곽향, 목향 각각 4g, 황련, 사인 각각 2g, 생지황(술에 씻은 것),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治風寒濕犯腦痛牙齒厇動搖袒脫柴胡五錢麻黃防風各三錢羊脛骨灰二錢羌活一錢半草豆埼一錢當歸身六分蒼朮升麻各五分藁本白芷桂枝各三分細辛少許右爲末溫水漱口淨擦之其痛立止《東垣》
강활산(羌活散)
풍(風), 한(寒), 습사(濕邪)가 뇌에 침범하여 이빨과 잇몸이 아프면서 이빨이 흔들리다가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20g, 마황, 방풍 각각 12g, 양의 정강이뼈(羊脛骨, 불에 태워 가루를 낸 것) 8g, 강호리(강활) 6g, 초두구 4g, 당귀 2.4g, 삽주(창출), 승마 각각 2g, 고본, 구릿대(백지), 계지 각각 1.2g, 족두리풀(세신)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그리고 더운물로 깨끗하게 양치한 다음 이 약으로 이빨을 문지르면 통증이 멎는다[동원].
宜用雄黃定痛膏殺盤丸塞耳藥哭來笑去散治牙疼方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塞耳鼻止牙痛方]
웅황정통고, 살충환, 귀막는 약이나 곡래소거산 등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들을 쓰는 것이 좋다.
治牙痛大蒜二枚細辛焰硝各三錢雄黃一錢猪牙爣角四錠右爲末蒜膏宭爲丸梧子大每一丸將綿子嚸藥左邊牙疼放在左耳中右邊塞右耳良久痛止神效《綱目》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늘(대산) 2개, 족두리풀(세신), 염초 각각 12g, 석웅황(웅황) 4g, 주염열매(저아조각) 4g, 꼬투리.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늘(대산)을 고약처럼 되게 짓찧은데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솜에 싸서 왼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왼쪽 귀를 막고 오른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오른쪽 귀를 막고 한참 있으면 아픈 것이 아주 잘 멎는다[강목].
治盤牙痛好砒敼不拘多少量加黃丹少許以黃蠟熔成一塊旋用旋丸如黃豆大用白綿包嚸留尾如右牙疼則塞右耳左牙疼則塞左耳兩邊疼則塞兩耳必深入耳孔一夜其盤卽死永不復疼矣《醫鑑》
살충환(殺蟲丸)
이빨이 벌레가 먹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좋은 비상(砒 ) 적당한 양에 황단을 조금 넣고 녹인 황랍과 섞어서 한 덩어리로 만들어 두고 쓴다. 쓸 때에는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흰 솜에 싼 다음 꼬리가 나게 비벼서 쓰는데 오른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 귀를 막고 왼쪽 이빨이 아프면 왼쪽 귀를 막으며 양쪽 이빨이 다 아프면 양쪽 귀를 다 막되 반드시 귓속 깊이 들어가도록 막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하고 하룻밤 지나면 벌레가 다 죽기 때문에 다시는 도지지 않는다[의감].
治牙疼取壁錢包胡椒末如左邊痛塞右耳右痛塞左耳手掩枕之側臥少頃額上微汗卽愈《醫鑑》
색이약(塞耳藥)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납거미집(壁錢包)에 후추가루를 싸서 왼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오른쪽 귀를 막고 오른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왼쪽 귀를 막은 다음 손으로 가리고 베개를 베고서 모로 누워 있으면 조금 있다가 이마에 땀이 약간 나면서 낫는다[의감].
治牙齒痛神效雄黃乳香胡椒麝香禕撥良薑細辛右等分爲末每用少許吹男左女右鼻中立止如牙痛咮腫用紙捲藥末在內作條濐香油點着庀牙痛處條燒盡痛卽止《醫鑑》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잘 낫는다.
석웅황(웅황), 유향, 후추(호초), 사향, 필발, 양강, 족두리풀(세신)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조금씩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콧구멍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 만일 이빨이 아프면서 뺨이 부었을 때에는 종이에 약가루를 말아서 심지를 만든 다음 참기름을 묻혀 불에 태우면서 그 연기를 아픈 이빨에 쏘이면 곧 낫는다[의감].
雄黃沒藥各一錢細辛半錢右爲末若左邊痛用少許紩入左鼻又吹入右耳若右邊疼紩右鼻又吹入左耳《得效》
치아동방(治牙疼方)
석웅황(웅황), 몰약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왼쪽 이빨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조금 밀어 넣은 다음 오른쪽 귓구멍에 불어넣는다. 그리고 오른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밀어 넣은 다음 왼쪽 귓구멍에 불어넣는다[득효].
治狰牙小瓦片上置油拌堛子燒烟閣在水椀上恰用漏斗覆之以狰牙受漏斗口中烟其牙內盤如鍼者皆落水椀中累效《綱目》○治盤牙痛堛菜頭連根洗淨幕爛同人家穜板上泥和勻琟痛處栝上用紙貼之一時頃取出細細盤在泥上出可以絶根《得效》○治積年盤齒雀麥草以苦瓠葉三十枚洗露一宿平朝取草屈長二寸廣一寸厚五分以瓠葉嚸.縛作嚸子取醋浸之至日中取兩嚸礐令極熱貼口內齒外浐之冷則易取銅器盛水解嚸洗之得盤多至三四十少則一二十枚老者黃赤色少者白色《千金》○又方崂砇子三合盛甁內將靑銅錢七文燒令赤投甁中候崂砇子作聲有烟出以筆管引烟氣熏於痛齒盤出痛卽止無崂砇則用瘳子堛子亦可出盤《千金》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방법[出牙蟲殺蟲法]
이빨에 벌레가 먹는 것은 다음과 같이 치료한다. 작은 기와 조각 위에 기름에 버무린 부추씨를 놓고 거기에 불을 피운 다음 물 사발 위에 걸쳐 놓고 누두(漏斗) 같은 것으로 덮는다. 다음 벌레가 먹은 이빨을 누두구멍[漏斗口中]에 대고 연기를 쏘이면 이빨 속에 있던 바늘 같은 벌레들이 물 사발 안에 떨어지는데 이것을 여러 번 경험하였다[강목].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부추를 뿌리째로 깨끗하게 씻어서 짓찧어 쓰는데 집에 있는 소나무 널판자의 속진[泥]과 섞어서 아픈 쪽 뺨에 바르고 종이를 붙인 다음 2시간 정도 있다가 떼어보면 가는 벌레가 약 위에 나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완전히 낫는다[득효].
○ 이빨에 벌레가 먹은 지 여러 해 된 것을 치료하는 데는 귀리짚과 쓴박잎사귀 30개를 깨끗하게 씻어서 하룻밤 이슬을 맞혀 쓰는데 아침에 귀리짚을 길이가 2치, 너비가 1치, 두께가 5푼이 되게 구부린 다음 박잎으로 싸고 얽어 매어 뭉치를 만든다. 이것을 식초에 한낮이 될 때까지 담가 두었다가 2개를 꺼내서 불에 몹시 뜨겁게 구워 이빨에 대고 찜질하되 식으면 갈아낸다. 다음 구리그릇에 물을 담고 여기에 뭉치를 풀어서 씻어 보면 벌레가 있는데 많을 때에는 30-40마리 적을 때에는 10-20마리 정도 된다. 오랜 벌레는 누러면서 벌겋고 갓 생긴 것은 허옇다[천금].
○ 또 한 가지 방법은 싸리풀씨( 子) 3홉을 병 속에 넣은 다음 청동전 7개를 벌겋게 달구어 넣어서 싸리풀씨가 튀면서 소리가 나고 연기가 날 때에 붓대로 그 연기를 빨아 아픈 이빨에 쏘인다. 그러면 벌레가 나오고 아픈 것도 곧 멎는다. 싸리풀씨가 없으면 파씨( 子)나 부추씨( 子)를 써도 벌레가 나온다[천금].
治盤牙痛堛子全蝎各一兩乳香雄黃各二錢半右爲末熔黃蠟和丸彈子大磁甁內燒一丸以紙盖口以筆管引烟熏牙孔其盤盡出將藥甁安於水中其盤撲在水中《千金》
구자환( 子丸)
이빨에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부추씨, 전갈 각각 40g, 유향, 석웅황(웅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녹인 황랍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1알을 사기병에 넣고 불을 붙인다. 다음 종이로 병 아구리를 막고 붓대[筆管]로 연기를 빨아서 아픈 이빨에 쏘이면 벌레가 다 나오는데 이와 같이 한 다음 그 병을 물 속에 넣어보면 벌레들이 물 속에서 왔다갔다 한다[천금].
治盤牙疼不可忍神效川椒爲末巴豆一粒硏成膏和飯作丸綿嚸安於狰孔內卽愈《埴仙》
일소산(一笑散)
벌레가 먹은 이빨이 참지 못하게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잘 낫는다.
조피열매(천초)를 가루를 내서 파두 1알을 간 것과 함께 고약처럼 만든다. 이것을 밥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 다음 솜에 싸서 벌레가 먹은 곳에 넣으면 곧 낫는다[구선].
宜血竭散神功丸(方見上)麝香散玉池散(方見下)治牙疳藥○天疱瘡後牙疳詳見瘡類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이 병에는 혈갈산, 신공환(神功丸, 처방은 위에 있다), 사향산, 옥지산(玉池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이나 치감[牙疳]을 치료하는 약을 쓴다.
○ 천포창(天疱瘡)을 앓고 난 뒤에 생긴 치감에 대한 것은 헌데문[瘡類]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治牙疳惡瘡久不差蒲黃二錢龍骨枯白礬各一錢寒水石禭四錢血竭五分右爲末取少許敄瘡上以紙封貼《丹心》
혈갈산(血竭散)
치감(牙疳)과 악창(惡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8g, 용골, 백반(구운 것) 각각 4g, 한수석(불에 달군 것) 16g, 혈갈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조금씩 헌데 위에 뿌리고 종이를 붙인다[단심].
治疳㵙牙厇臭爛出膿水枯白礬靑黛胡黃連蘆籲各二錢半蝦徳灰半錢麝香二分半右爲末每半錢敄付患處加胡桐淚二錢半尤妙《直指》
사향산(麝香散)
감닉창(疳 瘡)으로 잇몸이 썩어서 냄새가 나고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 청대, 호황련, 노회 각각 10g, 청개구리(蝦 , 태워 가루를 낸 것) 2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헌데에 뿌리는데 호동루(胡桐淚) 10g을 넣어 쓰면 더 좋다[직지].
信砒靑黛輕粉各一錢麝香五分右爲末香油矋紙上用木槌槌實收起臨臥以漿水漱淨可瘡口大小以藥紙封之至曉去藥紙漱淨勿嚥三次必效《東垣》
아감(牙疳)을 치료하는 약[治牙疳藥]
신석(信砒), 청대, 경분 각각 4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기름에 개서 종이에 발라 나무방망이로 두드려서 두었다가 잠잘 무렵에 좁쌀죽웃물로 깨끗하게 양치한 다음 상처에 맞게 잘라서 붙인다. 다음 새벽에 그것을 떼고 깨끗하게 양치해야 하는데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세번 하면 반드시 낫는다[동원].
牙齒黃黑不瑩淨石膏細末砂鍋細末各一兩零陵白芷靑鹽升麻各二錢半細辛一錢麝香半錢右爲細末每早晨取少許擦齒上溫水漱口吐出名白牙藥《丹心》
이빨이 누렇거나 거멓게 된 것[齒黃黑]
이빨이 누렇거나 검어져서 깨끗하지 못한 데는 석고(보드랍게 가루를 낸 것), 사와(砂鍋, 보드랍게 가루를 낸 것) 각각 40g, 영릉향, 구릿대(백지), 돌소금(청염), 승마 각각 10g, 족두리풀(세신) 4g, 사향 2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이것으로 매일 아침마다 이빨을 닦은 다음 깨끗한 물로 양치하고 뱉아 버린다. 이 약을 이빨이 희게 하는 약[白牙藥]이라고도 한다[단심].
厇間努肉漸長此乃齒壅取生地黃汁一鍾爣角數片火上灸熱柒地黃汁內再灸又柒以汁盡爲度望爲末傅之卽縮《入門》○一婦人平日好食動風物尤嗜蟹一日齒間壅出肉漸大不能開口有一道人傅此方卽愈或朴硝爲末付之亦消《集驗》
치옹을 삭게 하는 방법[消齒壅法]
치옹(齒壅)이라는 것은 잇몸에 군살이 점점 살아나서 커지는 것이다. 이런 데는 생지황즙 1종지와 주염열매(조각) 몇 알을 쓰는데 주염열매(조각)를 불에 구워서 지황즙에 담그기를 생지황즙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하여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내서 붙이면 곧 삭는다[입문].
○ 어떤 부인이 보통 때에는 풍(風)을 동하게 할 수 있는 음식을 좋아하였는데 게[蟹]를 몹시 좋아했다. 그런데 하루는 이빨 사이에 군살이 살아났고 그것이 점차 커져서 입을 벌리지 못하게 되었다. 이때에 어떤 사람이 이 처방을 알려 주기에 써보았는데 곧 나았다. 박초를 가루를 내서 붙여도 삭는다[집험].
牙齒逐日漸長開口難爲飮食盖髓液溢所致只服白朮末和水服及煮水灌漱自愈《得效》
이빨이 점차 자라는 것[牙齒漸長]
이빨이 날마다 자라나서 입을 벌린 채 있게 되고 음식을 먹기 힘들게 되는 것은 대체로 수액(髓液)이 넘쳐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흰삽주(백출)을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먹거나 물에 달여 양치질하면 낫는다[득효].
牙齒被傷打欲落點椒五錢天靈盖紅內消白芷各二錢右爲末齒動敄上卽安或已落有血絲未斷者亦可敄藥齒厇間鬪之《入門》○治打傷搖動牙齒珰藜根燒灰貼動牙卽牢名珰藜散《瑞竹》
투치(鬪齒)
얻어맞아 이빨이 빠지려고 하는 데는 조피열매(點椒) 20g, 은조롱(天靈蓋紅內消), 구릿대(백지) 각각 8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쓰는데 흔들리는 이빨에 뿌리면 고정된다. 그리고 이빨은 이미 빠져 나왔으나 핏줄이 채 끊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약을 잇몸 사이에 뿌리고 이빨을 박아 넣으면 된다[입문].
○ 얻아맞아서 흔들리는 이빨을 치료하는 데는 남가새뿌리(질려근)를 쓰는데 태워 가루를 내어 붙이면 든든해진다. 이것을 질려산( 藜散)이라고도 한다[서죽].
詳見血門
치뉵(齒 )
(혈문(血門)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凡人睡中上下齒相磨切有聲謂之喹齒亦曰棰齒亦曰咬齒治法取患人臥席下塵一捻納口中勿令知卽差《類聚》○傷寒熱病咬齒及小兒咬牙拄見各門
이빨을 가는 것[ 齒]
자면서 이빨을 갈아 소리를 내는 것을 개치( 齒)라고 하는데 알치( 齒)라고도 하고 교치(咬齒)라고도 한다. 치료하는 방법은 환자가 누워 자던 자리 밑의 먼지 한 줌을 환자가 모르게 입에 넣어 주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곧 낫는다㈜[유취].
[註] 현실성이 없는 비위생적인 치료법이다.
○ 상한(傷寒) 열병(熱病)으로 이빨을 가는 것과 어린이가 이빨을 가는데 대한 것은 다 해당한 문에 있다.
取疼牙落不犯手川椒細辛各一兩草烏禕撥各五錢右爲細末每少許吝痛齒自落《本事》○取狰牙法鵬砂朱砂各一錢怄砂二錢川烏尖七箇附子尖十四箇蟾曧七箇信砒二錢右五月五日合爲末取少許吝牙上牙落後以防風荊芥甘草煎湯漱吐《本事》○落牙方馬肉犫十兩信砒巴豆肉各五錢爲末右拌勻用石器盛候出盤焙乾硏末於牙疼處出些血點上隨落妙《綱目》○取牙方龍肝乃墓中陳石灰也棧膽一箇收龍肝納膽內陰乾爲末用時宜些少點牙根上卽落切忌墜入口中《種杏》
아픈 이빨을 손을 대지 않고 빼는 방법[去痛齒不犯手方]
조피열매(천초), 족두리풀(세신) 각각 40g, 바꽃(초오), 필발 각각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조금씩 아픈 이빨을 문지르면 저절로 빠진다[본사].
○ 벌레가 먹은 이빨을 빼는 처방은 붕사, 주사 각각 4g, 노사 8g, 오두끝 7개, 부자끝 14개, 두꺼비진(섬소) 7마리분, 신석(信砒) 8g으로 되어 있는데 위의 약들을 음력 5월 5일에 섞어서 가루를 내어 조금씩 아픈 이빨을 문지르면 이빨이 빠져 나온다. 그 다음에는 방풍, 형개, 감초를 넣고 달인 물로 양치하고 뱉아 버려야 한다[본사].
○ 이빨을 빼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말고기(썬 것) 400g에 비상, 파두살 각각 20g을 가루를 내어 고루 섞은 다음 돌그릇에 담아 두었다가 이빨에 벌레가 먹으면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내어 쓰는데 아픈 이빨에서 피를 약간 빼내고 그 위에 뿌린다. 그러면 이빨이 잘 빠진다[강목].
○ 이빨을 빼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간(龍肝)을 기러기쓸개[ 膽] 속에 넣고 그늘에 말려 가루를 내서 조금씩 이뿌리[牙根]에 떨구어 넣으면 이빨이 곧 빠진다. 약이 입 안에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종행].
雷公曰長齒生牙賴雄鼠之骨末牙齒若折年多不生取雄鼠脊骨作末吝折處齒立生如故《本草》○牙落重生方雄鼠一部取骨法取鼠剝去皮用怄砂擦上三日肉爛化盡取骨尾上焙乾用香附子一兩白芷川芎桑白皮地骨皮蒲公英川椒旱蓮草靑鹽川槿皮各三錢右爲細末擦百日其牙復生良驗《醫鑑》○又方取未開眼嫩老鼠三四箇外用白奁白芷靑鹽細辛當歸熟地黃各五錢先將五味硏爲末入地黃宭爛如泥和勻作一餠包老鼠在內外用濕紙包嚸文武火燒盡烟絶取出硏爲末擦上卽生牙《醫鑑》○又方雄鷄糞雌鷄糞各十四顆右焙乾硏末入麝香少許先於齒不生處以鍼刺令血出敄藥老人二十日少者十日當出不拘傷損及自落者皆生《千金》○烏鷄雄雌糞各畜收之舊麻鞋底三物燒存性爲末入麝敄之一月生齒名雄雌散《千金》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방법[落齒重生方]
뇌공(雷公)이 이빨을 자라나게 하고 이빨을 나오게 하는 데는 숫쥐뼈를 가루를 내어 쓴다고 하였다. 이빨이 부러져서 여러 해가 되도록 빠지지 않을 때에는 숫쥐의 등뼈를 가루를 내서 이빨이 부러진 끝에 문지르면 빠진다[본초].
○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처방은 다음과 같다. 숫쥐의 뼈 1마리분(뼈를 발라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쥐를 잡아 껍질을 벗긴 다음 노사를 그 위에 문지르면 3일이 지나서 살은 다 헤어지고 뼈만 남는다)을 기왓장 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향부자 40g,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민들레(포공영), 조피열매(천초), 한련초, 돌소금(청염), 천근피 각각 12g과 함께 가루를 내어 1백일 동안 이빨을 문지르면 이빨이 다시 나온다. 이런 것은 여러 번 경험하였다[의감].
○ 또 한 가지 처방은 눈을 뜨지 못한 쥐새끼 3-4마리를 쓰게 되어 있는데 백급, 구릿대(백지), 돌소금(청염), 족두리풀(세신), 당귀, 찐지황(숙지황) 각각 20g씩에서 먼저 5가지 약을 가루를 낸 다음 지황을 넣고 풀지게 짓찧는다. 이것으로 떡을 빚는데 그 속에 쥐새끼를 넣고 빚는다. 다음 이것을 물에 적신 종이로 싸서 세지도 약하지도 않은 불에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구워 가루를 내어 이빨을 문지르면 이빨이 다시 나온다[의감].
○ 또 한 가지 처방은 웅계시[雄 糞]와 자계시[雌 糞] 각각 14개를 쓰게 되어 있는데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다음 사향을 조금 섞어 두었다가 이빨이 빠진 곳을 침으로 찔러 피가 나오게 한 다음 뿌린다. 늙은이는 20일, 젊은이는 10일 간 쓰면 반드시 이빨이 나온다. 다쳐서 빠졌거나 절로 빠졌거나에 관계없이 다 나온다[천금].
○ 검정닭 수컷과 암컷을 따로 길러서 계시( 屎)를 받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다. 다음 사향을 조금 섞어서 뿌리면 한 달이 지나서 이빨이 나온다. 일명 웅자산(雄雌散)이라고 한다[천금].
人多食酸則齒軟謂其水生木水氣弱木氣盛故如是《本草》○齒瘅細嚼胡桃肉解之《本草》
신 것을 먹어서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食酸齒 ]
사람이 신 것을 많이 먹으면 이빨이 연해지는데 이것은 수(水)가 목(木)을 생(生)한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수기가 약하면 목기가 성하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본초].
○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은 호두살[胡桃肉]을 꼭꼭 씹으면 풀린다[본초].
齒痛宜謝傅笑去散香椒散坈鬼散蝎梢散細辛散當歸龍膽散擦牙方擦牙止痛方腎虛胃熱牙疼方固齒散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이빨이 아픈 데는 사부소거산, 향초산, 괵귀산, 갈초산, 세신산, 당귀용담산이나 이빨을 닦는 처방, 이빨에 문질러서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 신(腎)이 허하고 위(胃)에 열이 있어서 이빨이 아픈 데 쓰는 처방, 고치산 등을 쓴다.
治牙齒痛乳香沒藥雄黃胡椒兩頭尖烏藥右等分爲末擦患處吐涎卽愈《入門》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석웅황(웅황), 후추(호초), 양두첨(兩頭尖)㈜, 오약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아픈 이빨에 문지른 다음 침을 뱉으면 곧 낫는다[입문].
[註] 양두첨(兩頭尖) : 오두를 달리 부른 이름이다.
大鼠一箇去肉取骨川椒炒乳香各二兩香附子炒白珰藜炒靑鹽各一兩右爲末每日擦牙永無齒病《回春》
고치산(固齒散)
큰 쥐 1마리(大鼠, 살을 버리고 뼈만 쓴다),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유향 각각 80g, 향부자(닦은 것),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돌소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매일 이빨을 닦으면 이빨에 병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회춘].
治冷證齒痛香附子川椒破古紙各二錢禕撥一錢右爲末入炒鹽二錢擦牙上《得效》
향초산(香椒散)
냉증(冷證)으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조피열매(천초), 보골지 각각 8g, 필발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닦은 소금 8g과 섞어서 이빨을 닦는다[득효].
治胃熱齒痛黃連胡桐淚荊芥穗薄荷升麻羊脛骨灰等分麝香少許爲末擦之神效《東垣》
괵귀산( 鬼散)
위(胃)에 열(熱)이 있어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련, 호동루, 형개수, 박하, 승마, 양의 정강이뼈(羊脛骨, 태워 가루를 낸 것) 각각 같은 양,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이빨을 닦으면 아주 좋다[동원].
治大寒犯腦牙痛羊脛骨灰二錢半麻黃一錢半草豆埼皮一錢羌活五分桂枝升麻防風藁本黃妉各三分白芷當歸身柴胡各二分全蝎梢少許右爲末擦牙上《東垣》
갈초산(蝎梢散)
몹시 찬 기운이 뇌에 들어가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양의 정강이뼈(羊脛骨, 태워 가루를 낸 것) 10g, 마황 6g, 초두구껍질 4g, 강호리(강활) 2g, 계지, 승마, 방풍, 고본, 황기 각각 1.2g, 구릿대(백지), 당귀, 시호 각각 0.8g, 전갈(꼬리)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이빨을 닦는다[동원].
治大寒犯腦頭連齒痛麻黃三錢桂枝羊脛骨灰各二錢半羌活草豆埼各一錢半當歸四分藁本蒼朮各三分防風柴胡升麻白芷各二分細辛一分右爲末先以溫水漱口以藥擦之《東垣》
세신산(細辛散)
몹시 찬 기운이 뇌에 들어가서 머리와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황 12g, 계지, 양의 정강이뼈(羊脛骨, 태워 가루를 낸 것) 각각 10g, 강호리(강활), 초두구 각각 6g, 당귀 1.6g, 고본, 삽주(창출) 각각 1.2g, 방풍, 승마, 시호, 구릿대(백지) 각각 0.8g, 족두리풀(세신) 0.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먼저 더운물로 양치한 다음 이빨을 닦는다[동원].
治寒熱齒痛升麻麻黃草龍膽黃連草豆埼各一錢生地黃白芷當歸梢羊脛骨灰各五分右爲末擦之《東垣》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냉열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승마, 마황, 용담초, 황련, 초두구 각각 4g, 생지황, 구릿대(백지), 당귀(잔뿌리), 양의 정강이뼈(양경골, 태워 가루를 낸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이빨을 닦는다[동원].
凡牙齒痛必用胡椒禕撥能散其中浮熱監以升麻寒水石佐以辛凉薄荷荊芥細辛之類牙痛用淸凉藥便痛甚者宜從治之禕撥細辛川椒荊芥薄荷樟腦靑鹽爲末擦之《丹心》○又方荊芥薄荷細辛胡桐淚等分麝香少許爲末擦牙熱加馬牙硝冷加川椒《入門》
찰아방(擦牙方)
이빨이 아픈 데는 반드시 후추, 필발로 속에 있는 열을 헤쳐야 한다. 이런 데는 승마(升麻)와 한수석(寒水石)을 주로 쓰는데 맛이 맵고 성질이 서늘한 박하, 형개, 족두리풀(세신)을 좌약[佐]으로 넣어 써야 한다. 이빨이 아파서 성질이 찬약을 썼는데 도리어 아픔이 심해질 때에는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필발, 족두리풀(세신), 조피열매(천초), 형개, 박하, 장뇌(樟腦), 돌소금(청염)을 가루를 내서 이빨을 닦아야 한다[단심].
○ 또 한 가지 처방은 형개, 박하, 족두리풀(세신), 호동루 각각 같은 양과 사향 조금으로 되어 있는데 가루를 내서 이빨을 닦는다. 열이 있으면 마아초를 더 넣고 냉이 있으면 조피열매(천초)를 더 넣는다[입문].
黃瓐蜂嚭一箇以川椒塡滿其竅更以白鹽一錢封口燒存性入白芷羊脛骨灰各一錢同硏爲末先以茶淸漱口乃擦之有孔則以藥塞其孔立愈《正傳》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노란 벌의 집(黃 蜂 ) 1개의 구멍에 조피열매(천초)를 채워 넣은 다음 소금 4g으로 그 구멍을 막는다. 다음 약성이 남게 태워서 구릿대(백지), 양의 정강이뼈(양경골, 태워 가루를 낸 것) 각각 4g과 함께 가루를 내어 쓰는데 먼저 찻물로 양치한 다음 이빨을 문질러 준다. 구멍이 있으면 그 약으로 구멍을 막아야 곧 낫는다[정전].
羊脛骨灰四兩石膏五兩升麻生地黃各五錢黃連一錢胡桐淚三錢龍膽草半錢右爲末擦牙以水漱去《入門》
신허위열아동방(腎虛胃熱牙疼方)
양의 정강이뼈(양경골, 태워 가루를 낸 것) 160g, 석고 200g, 승마, 생지황 각각 20g, 황련 4g, 호동루 12g, 용담초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이빨을 닦고 물로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입문].
宜用玉池散荊芥湯開笑散椒鹽散蜂窩散牙疼夜漱藥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옥지산, 형개탕, 개소산, 초염산, 봉와산이나 이빨이 아플 때에 물고 양치하는 약들을 쓴다.
治風盤牙痛動搖潰爛或變成骨槽風出膿血骨露地骨皮白芷細辛防風升麻川芎當歸槐花藁本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入生薑三片黑豆百粒煎熱漱冷吐《丹心》
옥지산(玉池散)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아프면서 흔들리고 잇몸이 헤어지며[爛] 혹 골조풍(骨槽風)으로 변하여 고름과 피가 나오고 이뿌리가 드러나는 것을 치료한다.
지골피, 구릿대(백지), 족두리풀(세신), 방풍, 승마, 궁궁이(천궁), 당귀, 홰나무꽃(괴화), 고본,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검정콩 1백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는데 식으면 뱉아 버린다[단심].
治風熱齒痛荊芥薄荷升麻細辛各三錢右爲末每二錢沸湯點含漱吐之《直指》
형개탕(荊芥湯)
풍열(風熱)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형개, 박하, 승마,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풀어서 조금씩 물고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직지].
治風冷齒痛白芷細辛良薑禕撥川椒香附子露蜂房各等分右爲末每三錢水煎含漱或擦之《直指》
개소산(開笑散)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족두리풀(세신), 양강, 필발, 조피열매(천초), 향부자, 노봉방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양치하거나 가루로 이빨을 닦아도 된다[직지].
治盤牙痛川椒白鹽露蜂房各一錢右犫入瘳白三莖煎水熱漱冷吐《直指》
초염산(椒鹽散)
이빨에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조피열매(천초), 소금(백염), 노봉방 각각 4g.
위의 약들을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직지].
治風牙盤牙痛不可忍露蜂房白珰藜川椒艾葉瘳根荊芥細辛白芷各一錢右犫水醋同煎熱漱冷吐《回春》
봉와산(蜂窩散)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노봉방, 남가새열매(백질려), 조피열매(천초), 약쑥잎(애엽), 파뿌리, 형개,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식초와 같이 넣고 달여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회춘].
蜂房一箇每一孔內納胡椒川椒各一粒用椀盛之入水令滿加黃栢如指大三片於內以晌盖住用紙封固重湯煮一炷香盡取出淚溫夜漱良久吐之《醫鑑》
아동금수약(牙疼 漱藥)
말벌집(노봉방)의 매(每) 구멍 속에 후추와 조피열매(천초) 각각 1알씩 넣어서 사발에 담은 다음 물을 채워 넣는다. 여기에 손가락만한 황백 3조각을 넣고 접시로 덮은 다음 종이로 잘 싸 봉하고 한 대의 향불이 다 탈 동안만큼 중탕하여 꺼내서 더울 때 입에 물고 한참 동안 양치하다가 뱉아 버린다[의감].
百物養生莫先口齒不漱不洗損履之媒凡暑毒酒毒常伏於口齒之間莫若時時洗漱之爲愈也晨興洗畢灌漱一口吐出掌中就掌滌眼自覺光明終身行之可爲妙法《直指》○齒宜朝暮叩以會神一云以集身神若卒遇凶惡當叩左齒三十六名曰打天鍾若抗邪穢叩右齒名曰癬天磬若存念至眞叩中央齒名曰鳴天鼓《養性》○凡人患齒不能食果菜者皆齒露也爲鹽湯含漱叩齒神效《類聚》○每晨起以一捻鹽納口中以溫水含吝齒及叩齒百遍爲之不絶不過五日齒卽牢密《千金》○凡飮食訖輒以濃茶漱口煩媐旣去而脾胃不知凡肉之在齒得茶漱滌不覺脫去而不煩挑剔也盖齒性便苦緣此漸堅牢而齒履且自去矣《延壽》○食畢漱口數過齒不炷養生家晨興叩齒永無齒疾《延壽》○附齒有黃黑色物似爛骨之狀者名爲齒牀治齒者先看有此物卽用疳刀掠去之否則齒不着厇也《千金》○一人中年得風疾上下齒常磨切相叩甚有聲響緣此得壽一百二十歲《抱朴》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수양법[修養固齒法]
㈜ 이 부분에 쓰여진 내용들은 과학성과 현실성이 전혀 없는 비위생적인 치료법들이다. 그리고 이빨을 양생하여 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 내용들은 다 허황한 말이다.
여러 가지 양생법(養生法) 가운데서 입 안과 이빨을 양생하는 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양치를 하지 않거나 입 안을 가시지 않으면 벌레가 생길 수 있는 터전으로 된다. 더위독이나 술독은 항상 입 안과 이빨 사이에 잠복한다. 그러므로 때때로 입 안을 가시거나 양치하는 것이 좋다. 새벽에 일어나서 양치한 물을 한 모금 손바닥에 뱉아 눈을 씻으면 눈이 밝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일생 동안 하는 것이 좋다[직지].
○ 아침 저녁으로 이빨을 맞쪼아서[叩] 신기를 모아야 한다. 또한 몸의 신기가 이빨에 모이게 해야 한다. 만일 험악한 일을 당했을 때에는 왼쪽 이빨을 36번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타천종(打天鍾)이라고 한다. 나쁜 병독을 예방하려면 오른쪽 이빨을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추천경( 天磬)이라고 한다. 만일 정신을 수양하려면 앞이빨을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명천고(鳴天鼓)라고 한다[양성].
○ 사람들이 이빨을 앓을 때 과실과 채소를 먹지 못하는 것은 다 이뿌리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끓인 소금 물로 양치한 다음 이빨을 맞쪼으면[叩] 잘 낫는다[유취].
○ 매일 새벽에 일어나서 소금 한자밤을 입 안에 넣고 더운물을 물고 이빨을 문지른 다음 이빨을 1백번씩 맞쪼는 것을 계속하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이빨이 든든해지고 빽빽해진다[천금].
○ 음식을 다 먹은 다음 곧 진한 찻물로 입 안을 가시면 입 안이 텁텁한 것과 이빨 때( )가 다 없어지므로 비위(脾胃)에는 아무렇지도 않다. 이빨에 고기가 끼인 것은 찻물로 양치하고 가시면 저도 모르게 다 빠져 나온다. 그러므로 이빨을 쑤시거나 후벼 낼 필요가 없다. 대체로 이빨의 성질은 쓴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찻물을 마시면 점차 든든해지고 벌레 먹은 이빨도 저절로 낫는다[연수].
○ 음식을 먹은 뒤에 양치를 몇 번 하면 이빨에 벌레가 먹지 않는다. 양생하는 사람은 새벽에 일어나서 이빨을 맞쪼기 때문에 일생 동안 이빨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연수].
○ 이빨에 누렇고 검은 것이 붙어서 썩은 뼈같이 된 것을 치상(齒牀)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하려면 감창[疳]을 깎아 내는 칼로 깎아 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빨이 잇몸에 붙지 않는다[천금].
○ 어떤 사람이 중년이 되어 풍병에 걸려서 늘 소리가 세게 나도록 위아래 이빨을 맞쪼았는데 그로 인하여 120살까지 살았다고 한다[포박].
齒病勿食油及乾棗《千金》○患齒者忌脂麻油乾棗及桂心若犯之卽重發《千金》○凡人好患齒病多由月蝕夜飮食之所致也所以日月蝕未平時特忌飮食《千金》
이빨병 때 꺼릴 것[齒病禁忌]
이빨병에는 기름이나 마른 대추를 먹지 말아야 한다[천금].
○ 이빨병 때에는 참기름과 마른 대추, 계심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먹으면 곧 도진다[천금].
○ 이빨을 잘 앓는 것은 많은 경우 월식(月蝕)하는 밤에 음식을 먹은데 있다. 그러므로 일식(日蝕)이나 월식이 끝나기 전에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천금].
[註] 비과학적인 내용이다.
病人脣腫齒焦者死脾腎絶也《扁鵲》○病人齒忽變黑者十三日死少陰絶也《扁鵲》○病人陰陽俱竭其齒如熟小豆者死《扁鵲》
이빨의 빛깔을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齒色占病]
입술이 붓고 이빨이 마르는 것은 비(脾)와 신(腎)의 기가 끊어진 것이므로 죽는다[편작].
○ 이빨이 갑자기 새까맣게 되는 것은 소음경의 기가 끊어진 것이므로 13일 만에 죽는다[편작].
○ 음양(陰陽)이 줄어들어 이빨이 삶은 팥같이 되면 죽는다[편작].
凡二十七種有如神散
단방(單方)/이빨
모두 27가지인데 여신산(如神散)도 들어 있다.
治牙齒腫痛枯白礬露蜂房等分爲末每二錢水煎熱渫痛處冷吐之《本草》
백반(白礬)
이빨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과 말벌집(노봉방)을 같은 양으로 하여 한번에 8g씩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아픈 쪽으로 물었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殺齒盤取爲末和棗肉作丸塞狰孔《本草》
웅황(雄黃, 석웅황)
이빨을 파 먹는 벌레를 죽인다. 가루를 내어 대추살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벌레 먹은 구멍을 막는다[본초].
治盤牙痛○齒痛落盡膽礬末和人乳汁擦病齒上及孔中日三痛止齒復生百日如故《本草》
담반(膽礬)
이빨이 벌레가 먹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이빨이 아프다가 빠지려 할 때에는 담반을 가루를 내어 젖에 개서 병든 이빨에 문지르는데 파먹은 구멍 속에까지 닿도록 하루 세번 문지르면 통증이 멎는다. 그리고 빠진 이빨도 다시 돋는데 1백일이면 전과 같이 된다[본초].
治齒根宣露動搖以鹽末擦之熱湯含漱百遍不過五日齒卽牢固《本草》○齒婼鹽湯漱卽止《本草》○百荷鹽末擦牙固齒尤良
백염(白鹽, 소금)
이뿌리(齒根)가 드러나고 이빨이 흔들리는 것을 치료한다. 소금을 가루를 내서 이빨을 닦은 다음 더운 물로 100여 번 양치하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이빨이 든든해진다[본초].
○ 잇몸에서 피가 나올 때에는 소금 끓인 물로 양치하면 곧 멎는다[본초].
○ 백하염가루로 이빨을 닦으면 이빨을 든든하게 하는 데 아주 좋다.
入腎入骨能固齒擦夜拄佳《得效》○治一切牙疼靑鹽二兩白鹽四兩用川椒四兩煎汁拌炒二鹽爲末擦牙上仍用溫水含漱吐之洗眼尤妙《入門》
청염(靑鹽, 돌소금)
신(腎)에 들어가고 뼈에 들어가서 이빨을 든든하게 한다. 이것으로 이빨을 닦거나 입에 물고 있어도 다 좋다[득효].
○ 여러 가지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돌소금(청염) 80g과 흰소금(백염) 160g을 조피열매(천초) 160g을 달인 물에 축여 볶아서 쓰는데 가루를 내어 이빨을 닦은 다음 곧 더운 물로 양치하고 뱉아 버린다[입문].
治口齒風㵙腫痛牙根浮爛出膿血煎湯服之仍頻含漱《本草》
승마(升麻)
이빨이 풍(風)이나 감닉[ ]으로 붓고 아프며 이뿌리(牙根)가 들뜨고 뭉크러져서 피고름(膿血)이 나오는데 달여 먹는다. 그리고 자주 양치해야 한다[본초].
治風牙痛及疳蝕爲末二錢入鹽一匙水煎帶熱含漱大能止痛固齒《入門》
백질려(白 藜, 남가새열매)
풍으로 이빨이 아프거나 치감[疳]으로 패어 들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서 8g을 소금 1숟가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면 통증이 잘 멎는데 이빨도 든든해진다[입문].
治牙齒痛動搖血出取二兩犫炒令黑色爲末囜漱後吝齒根良久吐之《綱目》○骨碎補銅刀切片銅鍋炒以槐枝攪至微黑色住火停冷又炒至老黑色硏爲末無時擦牙極能堅骨固齒痛不復作如牙動搖將落頻頻用之立住再不復動搖《醫鑑》
골쇄보(骨碎補)
이빨이 아프고 흔들리면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80g을 썰어서 거멓게 되도록 볶은 다음 가루를 내어 양치한다. 다음 이뿌리를 문지르고 한참 있다가 뱉아 버린다[강목].
○ 골쇄보를 구리칼로 썰어서 구리그릇에 담고 홰나무가지로 저으면서 약간 거멓게 되도록 닦은 다음 불을 끄고 식힌다. 이것을 다시 아주 거멓게 되도록 닦아서 가루를 내어 때때로 이빨을 문지르면 이빨이 든든해진다. 그리고 이빨이 다시 아프지도 않다. 이빨이 흔들리면서 빠지려고 할 때에 자주 이 약을 쓰면 흔들리던 것이 멎어서 다시는 흔들리지 않게 된다[의감].
治風冷齒痛又治狰牙痛細辛白芷煎湯含漱《綱目》
세신(細辛, 족두리풀)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과 이빨이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족두리풀(세신)과 구릿대(백지)를 달인 물로 양치한다[강목].
治法齒痛煎湯日漱三升五六日愈仍灸列缺穴《漢史》
고삼(苦蔘, 너삼)
이빨이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매일 이것을 달인 물 3되로 양치하면 5-6일 만에 낫는다. 그다음 열결혈(列缺穴)에 뜸을 떠야 한다[한사].
卽崂砇子也主齒痛出盤《本草》○盤牙痛當孔咬之盤出《本草》○盤牙痛天仙子燒烟以竹筒抵牙引烟熏之其盤卽死永差《綱目》
천선자(天仙子, 사리풀씨)
즉 낭탕자( 子)이다.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벌레를 나오게 한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플 때 이 약을 구멍에 대고 물고 있으면 벌레가 나온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플 때 사리풀씨를 태우면서 연기를 참대대롱으로 빨아서 쏘이면 벌레가 죽고 완전히 낫는다[강목].
治牙疼巴豆一粒氖熟去殼大蒜一辨毥其中安巴豆合定綿嚸隨患處塞左右耳中《本草》○盤牙痛巴豆肉一粒川椒末一錢右末飯丸麻子大綿嚸塞孔中《直指》○治盤牙痛巴豆肉一枚香油燈上燒過塡入孔中《綱目》
파두(巴豆)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파두 1알을 잿불에 묻어 구워서 껍질을 버린다. 다음 마늘쪽 가운데를 파고 그 안에 파두를 넣고 봉한다. 이것을 솜에 싸서 아픈 이빨이 있는 쪽 귓구멍을 막는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픈 데는 파두살 1개와 조피열매(천초)가루 4g을 쓰는데 밥에 반죽하여 삼씨(마자)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솜에 싸서 귓구멍을 막는다[직지].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파두 1알의 살을 쓰는데 기름불에 태워서 벌레가 먹은 구멍을 막는다[강목].
治風疳㵙齒牙疼痛骨槽風勞爲末擦之《本草》○治口齒爲最要之物《本草》○寒牙痛勿用《綱目》
호동루(胡桐淚)
풍(風)이나 감닉(疳 )으로 이빨이 아픈 것이나 골조풍(骨槽風)이 오래된 것을 치료하는데 가루를 내서 이빨을 문지른다[본초].
○ 이 약은 이빨병(口齒)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본초].
○ 한사로 이빨이 아픈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강목].
堅齒髮除齒痛《本草》○齒痛醋煎含漱吐之《本草》○凡齒痛惟藉川椒麻痺熱痛勿用《直指》○牙齒痛川椒露蜂房等分爲末每二錢入鹽一匙水煎含漱吐之名如神散《局方》
천초(川椒, 조피열매)
이빨과 머리털을 충실하게 하고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한다[본초].
○ 이빨이 아플 때에는 식초에 달여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리면 된다[본초].
○ 이빨이 아픈 데는 반드시 조피열매(천초)를 써야 통증이 멎는다. 그러나 열로 아픈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직지].
○ 이빨이 아픈 데는 조피열매(천초)와 말벌집(노봉방)을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소금 1숟가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물고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 이 약을 여신산(如神散)이라고도 한다[국방].
治齒痛堅齒《本草》○治法腫痛郁李根白皮切水煮濃汁含漱冷卽易吐出盤卽愈《本草》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빨을 든든하게 한다[본초].
○ 이빨에 벌레가 먹어서 잇몸이 붓고 아픈 데는 이스라치뿌리속껍질(욱리근백피)을 쓰는데 썰어서 물에 진하게 달여 그 물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그러면 벌레가 나오고 낫는다[본초].
治牙痛醋煎含漱吐之《本草》○齒痛白楊樹皮或葉煎湯含漱吐之《類聚》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식초에 달여서 양치하고 뱉아 버린다[본초].
○ 이빨이 아픈 데는 백양나무의 껍질이나 잎을 달인 물로 양치하고 뱉아 버린다[유취].
治牙齒痛煎湯含漱《本草》○盤痛有孔蜂房細辛煎湯含漱《本草》
노봉방(露蜂房)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말벌집(노봉방)을 달인 물로 양치하면 낫는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프고 구멍이 뚫린 데는 말벌집(노봉방)과 족두리풀(세신)을 달인 물로 양치한다[본초].
琾木愈法《淮南》○狰牙有孔痛瞨木鳥舌尖綿嚸當痛處咬之立差《本草》○牙齒疳㵙瞨木鳥燒爲末納孔中不過三度差《本草》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딱따구리가 쪼은 나무조각은 벌레가 먹은 이빨을 낫게 한다[회남].
○ 이빨에 벌레가 먹어 구멍이 뚫리고 아픈 데는 딱따구리의 혀 끝을 잘라서 쓰는데 솜에 싸서 아픈 곳에 대고 물고 있으면 곧 낫는다[본초].
○ 이빨 감닉창[齒疳 瘡]에는 딱따구리를 태워 가루를 내서 쓰는데 벌레 먹은 구멍에 넣으면 세번 넘지 않아 낫는다[본초].
主盤牙痛取少許入孔中涎出吐之勿嚥《本草》○牙齒痛蟾曧用銀珠晜和爲丸如蘿挙子大擦上患處便不疼至三丸吐濃涎數口便愈《綱目》
섬소(蟾 , 두꺼비진)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픈 데 주로 쓴다. 자그마한 것을 벌레가 먹은 구멍에 넣으면 침이 나오는데 뱉아 버리고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본초].
○ 이빨이 아픈 데는 두꺼비진(섬소)을 은주(銀珠)에 넣고 반죽해서 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아픈 이빨에 바르면 곧 통증이 멎는다. 3알을 더 쓰지 않아 건침[濃涎]을 몇 번 뱉아 버리게 되고 곧 낫는다[강목].
治牙疳臭蜘蛛殼爲末入檍脂麝香付之《直指》○又大蜘蛛燒爲末入麝香付之《直指》
지주(蜘蛛, 말거미)
치감[牙疳]으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말거미껍질(지주각)을 가루를 내어 연지, 사향과 섞어서 붙인다[직지].
○ 또한 큰거미[大蜘蛛]를 태워 가루를 내어 사향 조금과 섞어 붙이기도 한다[직지].
牙厇痛杏仁百枚鹽一錢水一升煮令沫出含漱吐之三度差《本草》○杏仁燒硏如泥綿嚸納㵙齒孔中能殺盤《本草》○風盤牙痛鍼刺杏仁淸油燈上烟熏乘熱搭病齒上連用七箇永絶不痛《得效》
행인(杏仁, 살구씨)
이빨과 잇몸이 아픈 데는 살구씨 1백알과 소금 4g을 물 1되에 넣고 거품이 나도록 달여서 쓰는데 그 물로 양치하고 뱉아 버리는 것을 세번 하면 낫는다[본초].
○ 살구씨를 태워서 끈적끈적하게 갈아 솜에 싸서 감닉창으로 이빨에 구멍이 난 데 넣으면 벌레가 잘 죽는다[본초].
○ 풍으로나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데는 살구씨를 쓰는데 침에 꽂아 가지고 참기름 등불에서 나는 연기에 뜨겁게 쏘여 병든 이빨에 붙인다. 7알을 연거푸 쓰면 아픈 것이 완전히 낫는다[득효].
狰牙痛先以溫米醋含漱出盤又以絲瓜燒存性爲末擦之《綱目》○風盤牙痛霜殺老絲瓜燒存性爲末擦痛處立止《得效》
사과(絲瓜, 수세미오이)
이빨에 벌레가 먹어서 아플 때에는 먼저 뜨거운 쌀초로 양치하면 벌레가 나온다. 그 다음 수세미오이를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를 내어 아픈 곳에 문질러야 한다[강목].
○ 풍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아픈 데는 서리 맞은 늙은 수세미 오이를 쓰는데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내어 아픈 이빨에 문지르면 곧 멎는다[득효].
主法齒取屎綿嚸塞孔內日一易《本草》
웅작시(雄雀屎)
이빨에 벌레가 먹는 데 주로 쓴다. 웅작시를 솜에 싸서 벌레가 파먹은 구멍에 막되 하루 한번씩 바꾸어 막는다[본초].
能生齒固齒令不老末服丸服皆佳《本草》
녹용(鹿茸)
이빨이 나오게도 하고 든든하게도 하며 사람을 늙지 않게도 하는데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能堅齒治腎虛齒搖動常擦之妙《入門》○牙齒疎豁須用之《丹心》
양경골회(羊脛骨灰, 양의 정강이뼈 태운 재)
이빨을 든든하게 하는데 신이 허하여 이빨이 흔들리는 것을 낫게 한다. 늘 문지르면 잘 듣는다[입문].
○ 이빨 사이가 벌어지는 데는 이것을 반드시 써야 한다[단심].
固牙齒取殺牛齒三十枚火禭爲末取二錢水煎熱漱冷吐且以末擦之搖動者皆堅牢《本草》
우치(牛齒, 소 이빨)
이빨을 든든하게 하는데 소 이빨 30개를 불에 달구었다가 가루를 내어 8g을 물에 달여서 뜨거울 때에 양치하는데 식으면 뱉아 버린다. 또는 가루를 이빨에 문질러도 흔들리던 것이 모두 든든해진다[본초].
治風盤牙痛馬夜眼以刀刮起如米大扱孔中或咬在痛處瀝出涎勿嚥卽差斷根《得效》
마야안(馬夜眼)
풍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칼로 마야안(馬夜眼)㈜을 쌀알만큼 긁어서 벌레가 먹은 구멍에 넣거나 아픈 곳에 물고 있는다. 그러면 침이 나오는데 그 침을 삼키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곧 완전히 낫는다[득효].
[註] 마야안(馬夜眼) : 말의 앞종아리 안쪽에 있는 티눈 같은 것.
靈樞曰齒痛不惡淸飮取足陽明上齒痛亦如之齒痛惡淸飮取手陽明下齒痛亦如之○手陽明有入口磈齒者名曰大迎下齒法取之足太陽有入口磈齒者名曰角孫上齒法取之《得效》○手陽明之別名曰偏歷主齒寒痛宜取此《內經》○牙痛牙槽取太谿灸之治上牙齒痛二間灸之治下牙痛委中鍼之又足內嚹兩尖灸之治上牙痛龍玄在列缺上靑脈中灸之治下牙痛承漿風府合谷內庭治上牙痛《綱目》○齒痛灸列缺七壯永不疼又灸肩泏七壯又灸耳垂下牙盡骨上三壯《得效》○齒痛以線量手中指至掌後橫紋折爲四分去三分將一分於橫紋後臂中灸三壯隨左右《得效》○牙疼屈手大指本節後陷中灸三壯初灸覺牙疼再灸覺牙有聲三灸疼止永不復作恐是陽谿穴也左疼灸右右疼灸左《資生》○牙疼百藥不效灸兩耳當三壯立止《回春》○口齒蝕生瘡灸承漿《正傳》
침뜸치료[鍼灸法]/이빨
『영추』에 “이빨이 아플 때 찬 음식을 싫어하지 않으면 족양명경의 혈을 쓴다. 윗이빨이 아픈 데도 그 경의 혈을 쓴다. 이빨이 아플 때 찬 것을 싫어하며 수양명경의 혈을 쓴다. 아랫이빨이 아픈 데도 마찬가지다”고 씌어 있다.
○ 수양명경은 입으로 들어가서 잇몸으로 돌아가는데 그 시작한 곳이 대영(大迎)혈이다. 아랫이빨이 벌레가 먹은 데도 이 혈을 쓴다. 족태양경도 입으로 들어가서 잇몸으로 돌아가는데 그것은 각손(角孫)혈이다. 윗이빨이 벌레가 먹은 데 이 혈을 쓴다[득효].
○ 수양명경의 별락[別名]을 편력(偏歷)혈이라고 하는데 주로 이빨이 한사로 아플 때 쓴다[내경].
○ 이빨과 잇몸이 아플 때에는 태계(太谿)혈에 뜸을 떠야 하는데 윗이빨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이간(二間)혈에 뜸을 뜨면 아랫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위중(委中)혈에 침을 놓은 다음 양쪽 발 안쪽 복사뼈의 뾰족한 곳에 뜸을 뜨면 윗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용현혈(龍玄穴, 열결혈의 우측 푸른 맥 가운데 있다)에 뜸을 뜨면 아랫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승장(承漿), 풍부(風府), 합곡(合谷), 내정(內庭) 혈은 윗이빨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강목].
○ 이빨이 아플 때 열결혈에 뜸 7장을 뜨면 영원히 아프지 않게 된다. 또는 견우(肩 )혈에 뜸 7장을 뜬다. 그리고 귓방울 아래, 마지막 어금니가 돋은 데 해당되는 부위의 뼈 위에 뜸을 3장 떠도 된다[득효].
○ 이빨이 아플 때에는 실로 가운데 손가락 끝에서부터 손바닥 뒤의 가로 간 금이 있는 데까지 재어서 4등분 하여 그 1등분의 길이로 손바닥 뒤의 가로 간 금에서 팔뚝에 댄 다음 실 끝이 닿는 곳에 뜸을 3장 뜨는데 아픈 쪽 팔에 뜬다[득효].
○ 이빨이 아픈 데는 엄지손가락을 구부린 다음 밑마디 뒤의 움푹한 곳에 뜸 3장을 뜨는데 첫 장을 뜰 때까지는 이빨이 아픈 것이 아린다. 그리고 두번째 장을 뜨면 이빨에서 소리가 나고 세번째 장을 떠야 아픈 것이 멎는데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양계(陽谿)혈인 것같다). 그런데 왼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에 뜨고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에 떠야 한다[자생].
○ 어금니가 아픈 것이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을 때 양쪽 이당(耳當)혈에 뜸 3장을 뜨면 낫는다[회춘].
○ 이빨에 벌레가 먹고 잇몸에 헌데가 났을 때에는 승장(承漿)혈에 뜸을 뜬다[정전
강사 - 남촌선생
매주 일요일15:00정기강좌
남촌선생 강의 안내 ->http://blog.daum.net/skachstj/16459011
수강문의-010-5775 5091
악성 위장병 고치기 문의 010 5775 5091
'건강 자료실 > 생리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외형편] 후음 - 東醫寶鑑外形篇卷之四 (0) | 2013.09.27 |
---|---|
[스크랩] [침구편]13독맥 14임맥 (0) | 2013.09.27 |
[스크랩] [외형편]입혀 (0) | 2013.09.27 |
[스크랩] [외형편]코 (0) | 2013.09.27 |
[스크랩] [외형편] 눈2 예막 (0) | 201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