御醫忠勤貞亮扈聖功臣崇祿大夫陽平君臣許浚奉敎撰
◆積聚
靈樞曰喜怒不節則傷藏藏傷則虛風雨襲虛則病起於上留着於怴稽留不去息而成積○着於陽明之經則挾臍而居飽食則益大飢則益小○着於緩筋也似陽明之積飽食則痛飢則安○着於腸胃之膜原痛而外連於緩筋飽食則安飢則痛○着於嵈筋在腸後者飢則積見飽則積不見按之不得○淸濕襲虛則病起於下積之始生得寒乃生厥乃成積厥氣生足忍足忍生脛寒脛寒則血怴凝澁血怴凝澁則寒氣上入於腸胃入於腸胃則珁脹珁脹則腸外之汁沫迫聚不得散日以成積○卒然多飮食則脹滿起居不節用力過度則陽絡怴傷陽絡傷則血外溢陰絡傷則血內溢血內溢則後血(謂後分下血也)腸胃之絡傷則血溢於腸外腸外有寒汁沫與血相搏則拄合凝聚不得散而積成矣○帝曰人之善病腸中積聚者何以候之少兪嬮曰皮膚薄而不澤肉不堅而婟澤如此則腸胃惡惡則邪氣留止積聚乃成腸胃之間寒溫不次邪氣稍至蓄積留止大聚乃起○內經曰寒氣客於小腸膜原之間絡血之中血澁不得注於大經血氣稽留不得行故宿昔而成積矣
적취의 원인[積聚之因]
『영추』에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노여워하면 5장(五臟)이 상하는데 5장이 상하면 허해진다고 씌어 있다. 비바람을 맞아서 허해지면 상초(上焦)에 병이 생기는데 그것이 혈맥에 생겨서 그 자리에 오래 머물러 있게 되면 적(積)이 된다.
○ 양명경(陽明經)에 적(積)이 생기면 이 경맥은 배꼽 옆으로 지나갔기 때문에 배가 부를 때에는 적 덩어리가 더 크게 나타나고 배가 고플 때에는 작게 나타난다.
○ 완근(緩筋)㈜에 생겼을 때에는 양명경에 생긴 적 때와 비슷하여 배가 부를 때에는 아프고 배가 고플 때에는 편안하다.
○ 장위(腸胃)의 막원(膜原)㈜에 생기면 아프다. 그리고 막원이 밖으로는 완근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배부르게 먹으면 편안하고 배가 고프면 아프다.
[註] 완근(緩筋) : 장간막에 붙어 있는 기름막을 말한다.
[註] 막원(膜原) : 늑막과 횡격막이 있는 부위를 말하는데 모원이라고도 한다.
○ 장(腸) 뒤에 있는 여근( 筋)에 생겼을 때에는 배가 고프면 적 덩어리가 나타나고 배가 부르면 적 덩어리가 나타나지 않으며 눌러 보아도 알리지 않는다[不得].
○ 서늘하고 습한 기운을 받아서 허해지면 하초(下焦)에 병이 생긴다. 적(積)이 생기는 초기에는 몸이 차지면서 궐증(厥證)이 생겼다가 곧 적이 생긴다. 궐증이 생기면 발에 기운이 통하지 못하는데 발에 기운이 통하지 못하면 정강이가 싸늘해진다. 정강이가 싸늘해지면 혈맥이 잘 통하지 못한다. 혈맥이 잘 통하지 못하면 찬 기운이 장위(腸胃)로 들어가게 된다. 찬 기운이 장위로 들어가면 배가 불러 오르고 배가 불러 오르면 장위 밖에 진액이 몰려서 흩어지지 않고 점차 적으로 된다.
○ 갑자기 음식을 많이 먹으면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른다. 자고 일어나는 것을 알맞게 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일을 하면 양낙맥(陽絡脈)이 상하는데 양낙맥이 상하면 피가 겉으로 넘쳐난다. 음낙맥(陰絡脈)이 상하면 피가 속으로 넘쳐나고 피가 속으로 넘쳐나면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 장위(腸胃)의 낙맥(絡脈)이 상하면 피가 장위 밖으로 넘쳐난다. 그러면 장위 밖에 있는 찬 진액과 혈이 서로 뒤섞여 뭉쳐서 흩어지지 못하고 적(積)으로 된다.
○ 황제(黃帝)가 “적취(積聚)는 장(腸) 속에 잘 생긴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소유(少兪)가 “피부가 엷고 윤택하지 못하며 힘살이 든든하지 못하고 수기가 있으면[ 澤] 장위가 나빠진다. 장위가 나빠지면 사기(邪氣)가 머물러 있게 되어 적취(積聚)가 생긴다. 장위 속에 차고 더운 것이 고르롭지 못하면[不次] 사기가 점차 몰려 뭉치기 때문에 결국 큰 적취[大聚]가 생긴다”고 대답하였다.
○ 『내경』에 “찬 기운이 소장막원(小腸膜原) 사이에 있는 낙맥의 혈에 들어가면 혈이 잘 돌지 못하게 되어 큰 경맥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이와 같이 혈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잘 돌지 못하는 것이 오래되면 적(積)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病有積有聚何以別之然積者陰氣也聚者陽氣也故陰沈而伏陽浮而動氣之所積名曰積氣之所聚名曰聚積者五藏所生聚者六府所成積者陰氣也其始發有常處其痛不離其部上下有所終始左右有所窮處聚者陽氣也其始發無根本上下無所留止其痛無常處故以是別知積聚也《難經》○病有積有聚有穀氣何謂也師曰積者藏病也終不移聚者府病也發作有時展轉痛移爲可治㳾氣者脇下痛按之則愈復發爲㳾氣《仲景》○肝之積名曰肥氣在左脇下如覆盃有頭足久不愈令人發咳逆(一云脇痛)穡秇連歲不已○心之積名曰伏梁(如梁之橫架心下)起臍上大如臂上至心下久不愈令人煩心○脾之積名曰搽氣(在胃脘稍右)在胃脘覆大如盤(一作盃)久不愈令人四肢不收發黃疸飮食不爲肌膚○肺之積名曰息賁(喘息奔而上行也)在右脇下覆大如盃久不已令人朝淅寒熱喘咳發肺癰○腎之積名曰奔豚(若豚之奔衝上下無時也)發於小腹上至心下若豚狀或下或上無時久不已令人喘逆骨浔少氣《難經》○肝積面靑怴弦而長(一作細)定在左脇下○心積面赤怴數而實定在心下○脾積面黃怴大而虛(一作沈而實)定在中脘○肺積面白怴數而浮定在右脇下○腎積面黑怴寸口大實(一作沈而急)定在小腹《綱目》
5적과 6취에 대하여[論五積六聚]
적(積)과 취(聚)를 어떻게 갈라보는가. 적은 음기(陰氣)이고 취는 양기(陽氣)이다. 음기 때에는 맥이 침(沈)하면서 복(伏)하고 양기 때에는 맥이 부(浮)하면서 동(動)한다. 기가 맺힌 것을 적(積)이라고 하고 기가 몰린 것을 취(聚)라고 한다. 적은 5장(五臟)에서 생기고 취는 6부(六腑)에서 생긴다. 적은 음기이므로 생긴 초기부터 일정한 곳에 있다. 그리고 아픈 부위도 일정하고 변동이 없으며 아래위에는 시작과 끝이 있고 좌우에도 끝이 있다. 취는 양기이므로 처음 생길 때부터 근본이 없고 아래위에 붙어 있지 않으며 아픈 곳도 일정하지 않다. 이것으로 적과 취를 가른다[난경].
○ 병에는 적과 취와 곡기(穀氣)가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병인가. 이에 대하여 소사[師]가 말하기를 “적은 5장과 연관된 병[藏病]이므로 잘 움직이지 않고 취는 6부와 연관된 병[府病]이므로 발작하는 때가 있고 움직이며 통증도 옮겨가는데 이것은 치료할 수 있다. 곡기라는 것은 옆구리가 아픈 것[脇下痛]인데 누르면 통증이 멎었다가 손을 떼면 다시 아픈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중경].
○ 간적[肝之積]을 비기(肥氣)라고 한다. 이것은 왼쪽 옆구리 아래에 생기는데 술잔을 엎어 놓은 것 같은 것이 생기고 대가리와 발 같은 것이 있으며 오랫동안 낫지 않는다. 그리고 딸꾹질이 나며(옆구리가 아프다고 한 데도 있다) 학질을 여러 해 동안 앓게 된다.
○ 심적[心之積]을 복량(伏梁)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팔뚝만한 것이 배꼽 위에서 명치 밑까지 뻗쳐 있고 오랫동안 낫지 않으며 가슴이 답답하다.
○ 비적[脾之積]을 비기( 氣)라고 한다. 이것은 위완(胃脘, 위완보다 약간 오른쪽에 있다)에 생기는데 크기가 쟁반을 엎어 놓은 것만하고(잔을 엎어 놓은 것 같다고 한 데도 있다) 오랫동안 낫지 않으며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게 되고 황달(黃疸)이 생기며 음식을 먹어도 살찌지 않는다.
○ 폐적[肺之積]을 식분(息奔)이라고 한다(숨이 차다가 올려 치미는 것이다). 이것은 오른쪽 옆구리 밑에 생기는데 잔을 엎어 놓은 것만한 것이 생기고 오랫동안 낫지 않으며 오싹오싹 춥다가 열이 나고 숨이 차며 기침이 나다가 나중에는 폐옹(肺癰)이 된다.
○ 신적[腎之積]을 분돈(奔豚)이라고 하는데(그 증상이 마치 돼지새끼가 무시로 아래위로 달아나는 모양과 같다는 것이다) 이때에는 아랫배에서 발작하여 명치 밑까지 치미는 것이 마치 돼지새끼가 무시로 오르내리는 것 같으며 오랫동안 낫지 않고 숨이 차며 골위(骨 )가 생기고 기운이 약해진다[난경].
○ 간적(肝積) 때에는 얼굴빛이 퍼렇게 되고 맥이 현(弦)하고 장(長)한데(세(細)하다고 한 데도 있다) 이것은 왼쪽 옆구리 밑에 생긴다.
○ 심적(心積) 때에는 얼굴빛이 벌겋게 되고 맥이 삭(數)하고 실(實)하다. 이것은 명치 밑에 생긴다.
○ 비적(脾積) 때에는 얼굴빛이 누렇게 되고 맥이 대(大)하고 허(虛)하다(침(沈)하고 실(實)하다고 한 데도 있다). 이것은 중완(中脘)에 생긴다.
○ 폐적(肺積) 때에는 얼굴빛이 허옇게 되고 맥이 삭(數)하고 부(浮)하다. 이것은 오른쪽 옆구리 밑에 생긴다.
○ 신적(腎積) 때에는 얼굴빛이 거멓게 되고 촌구맥(寸口脈)이 대(大)하고 실(實)하다(침(沈)하고 급(急)하다고 한 데도 있다). 이것은 아랫배[小腹]에 생긴다[강목].
帝曰病有小腹盛上下左右皆有根此爲何病可治否岐伯曰病名曰伏梁嚸大膿血居腸胃之外不可治治之每切按之致死○帝曰人有身體摽股窅皆腫環臍而痛是爲何病岐伯曰病名伏梁此風根也其氣溢於大腸而着於籄籄之原在臍下故環臍而痛不可動之動之爲水尿澁之病此二病同名而實異也《內經》
복량에는 2가지 증이 있다[伏梁有二證]
황제(黃帝)가 “아랫배가 불러 오르는데 아래위와 양 옆에 다 병의 뿌리가 있다. 이것은 무슨 병이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그 병의 이름을 복량(伏梁)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속에 피고름이 많이 고이는데 장위(腸胃) 밖에 고이기 때문에 치료할 수 없다. 만약 치료하려고 자주 다치면[按] 죽는다”고 대답하였다.
○ 황제가 “넓적다리와 종아리가 다 붓고 배꼽노리가 아픈 것은 무슨 병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이 병의 이름을 복량(伏梁)이라고 하는데 병의 근원은 풍(風)이다. 풍기(風氣)가 대장(大腸)에서 황( )㈜으로 들어가면 이런 병이 생기는데 황의 원(原)은 배꼽 아래에 있으므로 이때에는 배꼽노리가 아프고 몸을 움직일 수 없다. 그리고 움직이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병으로 된다”고 대답하였다. 이 2가지 병이 이름은 같으나 실지는 다른 병이다[내경].
[註] 황( ) : 창자 겉에 붙어 있는 기름막을 말하기도 하고 기해혈이 있는 부위를 말하기도 하며 횡경막에 붙어 있는 기름막을 말하기도 한다.
鬱怴多沈伏或結或促或代《正傳》○鬱怴沈斡積怴弦堅《丹心》○病在右脇有積氣得肺怴結結甚則積甚結微則積微肺怴雖不見右手怴當沈伏《難經》○心肺有積其怴皆喘數肝有積其怴弦長脾腎有積其怴皆大《綱目》○怴弦緊爲積怴弦緊而微細者琋也夫琋禮積聚之怴皆弦緊在心下卽寸弦緊在胃脘卽關弦緊在臍下卽尺弦緊○內有積不見怴難治見一怴相應爲易治○診積聚其怴堅强急者生虛弱者死○怴弦而伏者腹中有琋不可轉也必死不治《怴經》○五藏爲積六府爲聚積在本位聚無定處唟緊浮牢小而沈實或結或伏爲聚爲積實强者生沈小者死《怴訣》○五積屬陰沈伏附骨肝弦心壓腎沈急滑脾實且長肺浮喘卒○六聚結沈痼則浮結○又有琋禮其怴多弦弦急禮疾弦細琋堅○沈重中散食成癖竎左轉沈重氣琋胸前若是肉琋右轉橫旋○積聚琋禮緊則痛纏虛弱者死實强可烡《回春》○腹中有積怴忌虛弱《醫鑑》○診婦人疝禮積聚之怴弦急者生虛弱小者死《怴經》
맥 보는 법[脈法]/적취
울증 때의 맥[鬱脈]은 흔히 침복(沈伏)하거나 결(結)하거나 촉(促)하거나 대(代)하다[정전].
○ 울증 때의 맥은 침색(沈 )하고 적병(積病) 때의 맥은 현긴(弦緊)하다[단심].
○ 오른쪽 옆구리에 적이 있을 때에는 폐의 맥[肺脈]이 결(結)하다. 결맥(結脈)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은 적병(積病)이 심한 것이고 결맥이 미약하게 나타나는 것은 적병이 경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 폐의 맥이 비록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오른손 맥은 반드시 침복(沈伏)하다[난경].
○ 심(心)과 폐(肺)에 적(積)이 있으면 맥이 다 천삭(喘數)하고 간(肝)에 적이 있으며 맥이 현장(弦長)하며 비(脾)와 신(腎)에 적이 있으면 맥이 다 대(大)하다[강목].
○ 맥이 현긴(弦緊)한 것은 적이고 맥이 현긴하면서 미세(微細)한 것은 징( )이다. 대체로 징가( ), 적취(積聚) 때에는 맥이 다 현긴한데 징가나 적취가 명치 밑에 있으면 촌맥(寸脈)이 현긴하고 위완(胃脘)에 있으면 관맥(關脈)이 현긴하며 배꼽 아래에 있으면 척맥(尺脈)이 현긴하다.
○ 뱃속에 적이 있으나 그것이 맥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고 맥이 증상과 서로 맞는 것은 치료하기 쉽다.
○ 적취를 진찰할 때 맥이 견(堅), 강(强), 급(急)하면 살고 맥이 허약하면 죽을 수도 있다.
○ 맥이 현복(弦伏)한 것은 뱃속에 징이 있는 것인데 그것이 움직이지 않는 것은 반드시 위험하다[맥경].
○ 5장에 적이 생기고 6부에 취가 생긴다. 적은 일정한 곳에 있고 취는 일정한 곳에 있지 않다. 맥이 쾌( ), 긴(緊), 부(浮), 뇌(牢), 소(小)하면서 침실(沈實)하거나 결맥(結脈) 혹은 복맥(伏脈)이 나타나는 것은 취나 적이다. 이때에 맥이 실하고 강하면 살고 침하고 소하면 죽을 수 있다[맥결].
○ 5적은 음(陰)에 속하는데 이때에 맥은 뼈에 닿도록[骨附] 침복(沈伏)하다. 간적(肝積) 때에는 맥이 현(弦)하고 심적(心積) 때에는 규( )하며 신적(腎積) 때에는 침(沈), 급(急), 활(滑)하며 비적(脾積) 때에는 실(實)하면서 장(長)하며 폐적(肺積) 때에는 부(浮), 천(喘), 졸(卒)하다.
○ 6취 때에는 맥이 결(結)하고 침(沈)하다가 고질이 되면 맥이 부(浮)하고 결(結)해진다.
○ 또한 징가가 생겼을 때에는 맥이 대체로 현하다. 이때에 맥이 현급한 것은 가병[ 病]이고 현세(弦細)한 것은 뜬뜬한 징[ 堅]이 생긴 것이다.
○ 맥이 몹시 침하면서 산(散)한 것은 음식으로 생긴 현벽( 癖)이고 왼쪽 손의 맥이 침한 것은 가슴에 기징(氣 )이 있는 것이다. 육징(肉 ) 때에는 오른쪽 손의 맥이 침하다.
○ 적취나 징가( ) 때에 맥이 긴한 것은 병이 겹친 것[痛纏]인데 허약한 사람은 죽고 튼튼한 사람은 치료할 수 있다[회춘].
○ 뱃속에 적이 있을 때 맥이 허약한 것은 좋지 않다[의감].
○ 부인들의 산가(疝 ), 적취 때에 맥이 현급(弦急)하면 살고 허약하고 소(小)하면 위험하다[맥경].
氣血盓和百病不生一有揬鬱諸病生焉鬱者病結不散也《丹心》○熱鬱而成痰痰鬱而成癖血鬱而成琋食鬱而成搽滿此必然之理也○又氣鬱而濕滯濕滯而成熱熱鬱而成痰痰滯而血不行血滯而食不消化而遂成搽塊此六者相因而爲病也《正傳》○鬱者結聚而不得發越也當升者不得升當降者不得降當變化者不得變化也此爲傳化失常六鬱之病見矣《丹心》○一曰氣鬱二曰濕鬱三曰熱鬱四曰痰鬱五曰血鬱六曰食鬱此六鬱也六鬱不言風寒者風寒鬱則爲熱故也《丹心》○治鬱之法順氣爲先降火化痰消積分多少而治蒼朮蕪芎瘱解諸鬱《丹心》○內經曰木鬱達之火鬱發之土鬱奪之金鬱泄之水鬱折之張子和曰木鬱達之謂吐之令其條達也火鬱發之謂汗之令其疎散也土鬱奪之謂下之令無壅碍也金鬱泄之謂渗泄解表利小便也水鬱折之謂抑之制氣衝逆也此治五鬱之大要耳《正傳》○諸鬱通用六鬱湯㳩麴丸㳩麴保和丸加味㳩麴丸《諸方》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 癖之本]
기혈(氣血)이 고르로우면[ 和] 온갖 병이 생기지 않고 어느 하나라도 지나치게 몰리면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 울(鬱)이라는 것은 병이 몰려서 헤쳐지지 않는 것이다[단심].
○ 열(熱)이 몰리면 담(痰)이 생기고 담이 몰리면 벽(癖)이 생기며 혈(血)이 몰리면 징( )이 생기고 음식이 몰리면 비만( 滿)이 되는 것은 필연적인 이치이다.
○ 또한 기가 몰리면 습(濕)이 막히고 습이 막히면 열이 생기며 열이 몰리면 담이 생기고 담이 막히면 혈이 잘 돌지 못하고 혈이 막히면 음식이 잘 소화되지 못한다. 그리하여 결국 비괴( 塊)가 생긴다. 그러니 이 6가지 병은 서로 연관되어 생긴다[정전].
○ 울이라는 것은 엉키거나 몰린 것이 헤쳐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즉 올라가야 할 것이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가야 할 것이 내려가지 못하며 변화되어야 할 것이 변화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화(傳化)가 제대로 되지 못하여 6가지 울증이 생긴다[단심].
○ 첫째는 기울(氣鬱)이요, 둘째는 습울(濕鬱)이요, 셋째는 열울(熱鬱)이요, 넷째는 담울(痰鬱)이요, 다섯째는 혈울(血鬱)이요, 여섯째는 식울(食鬱)인데 이것을 6울이라고 한다. 6가지 울증에 대한 것을 말할 때 풍(風)과 한(寒)을 말하지 않는 것은 풍과 한이 몰리면 열이 되기 때문이다[단심].
○ 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먼저 기를 고르롭게[順] 한 다음 화(火)를 내리고 담을 삭이며 적을 없애는 것이다. 그러나 병이 경한가 중한가에 따라서 치료해야 한다. 삽주(창출)와 궁궁이(천궁)는 여러 가지 울증을 다 풀어 준다[단심].
○ 『내경』에 “목(木)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통하게[達] 해야 하고 화(火)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발산시켜야[發] 하며 토(土)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설사시켜야[泄] 하고 금(金)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땀과 오줌이 순조롭게 나오도록 하고 수(水)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눌러 주어야[折] 한다”고 씌어 있다. 장자화(張子和)가 “목(木)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은 토하게 하는 약을 써서 위로 통하게 하라는 것을 말하고 화(火)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발산시켜야 한다는 것은 땀을 내어 헤쳐지게 하라는 것이고 토(土)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는 것은 설사시켜서 막힌 것을 없애라는 것이다. 그리고 금(金)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땀과 오줌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라는 것은 삼설(渗泄)㈜하는 약을 써서 약간 땀이 나게 하고 오줌이 잘 나오게 하라는 말이다. 수(水)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눌러야 한다는 것은 치밀어 오르는 기운[衝逆]을 억누르라[抑之制]는 말이다. 이것이 5가지 울증을 치료하는 대체적인 요령이다”고 씌어 있다[정전].
[註] 삼설(渗泄) : 몸에 있는 물을 센 오줌내기약을 쓰지 않고 조금씩 나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맛이 슴슴한 약들은 삼설작용이 있다.
○ 여러 가지 울증에는 육울탕, 익국환, 익국보화환, 가미익국환을 두루 쓴다[저방].
通治六鬱香附子二錢川芎蒼朮各一錢半陳皮半夏製各一錢赤茯巔梔子仁各七分縮砂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薑三水煎服《丹心》○氣鬱加木香檳峹烏藥紫蘇葉○濕鬱加白朮羌活防己○熱鬱加黃連連翹○痰鬱加南星瓜蔞仁海粉○血鬱加桃仁牡丹皮堛汁○食鬱加山擀子神塂麥芽《入門》
육울탕(六鬱湯)
6가지 울증을 두루 치료한다.
향부자 8g,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산치자(치자) 각각 2.8g, 사인,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단심].
○ 기울(氣鬱)에는 목향, 빈랑, 오약,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는다.
○ 습울(濕鬱)에는 흰삽주(백출), 강호리(강활), 방기를 더 넣는다.
○ 열울(熱鬱)에는 황련, 연교를 더 넣는다.
○ 담울(痰鬱)에는 천남성(南星), 하늘타리씨(과루인), 조가비가루(海粉)를 더 넣는다.
○ 혈울(血鬱)에는 복숭아씨(도인),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부추즙( 汁)을 더 넣는다.
○ 식울(食鬱)에는 찔광이(산사자),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을 더 넣는다[입문].
開諸鬱火便香附蒼朮神塂梔子連翹陳皮川芎赤茯巔貝母枳殼紫蘇葉各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薑三片水煎服《醫鑑》
육울탕(六鬱湯)
여러 가지 울화(鬱火)를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삽주(창출), 약누룩(신국), 산치자(치자), 연교, 귤껍질(陳皮),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패모, 지각,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의감].
解諸鬱蒼朮便香附川芎神塂炒梔子炒各等分右爲末水和丸如菉豆大溫水下七九十丸《丹心》○㳩(音伐細恪也)麴丸一名芎朮丸凡願欲不遂如寡婦僧道之類名利不遂或先富後貧或久病不愈者皆宜服此《入門》
익국환( 麴丸)
여러 가지 울증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궁궁이(천궁), 약누룩(신국, 닦은 것), 산치자(치자,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단심].
○ 익국환(익( )이란 보드라운 밀가루(細 )라는 말이다)을 일명 궁출환(芎朮丸)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과부나 중들이 소원을 풀지 못하였거나 명예나 출세욕을 실현하지 못하였거나 부자가 가난해진 것으로 하여 생긴 병일 때와 병이 오랫동안 끌면서 낫지 않을 때에는 다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開鬱行氣消積散熱白朮三兩山擀肉二兩蒼朮川芎神麴炒便香附陳皮半夏白茯巔枳實黃連酒炒當歸酒洗各一兩梔子炒連翹蘿挙子炒木香各五錢右爲末薑汁泡蒸餠和丸梧子大薑湯下五十丸《醫鑑》
익국보화환( 麴保和丸)
울증을 풀어 주고 기를 돌게 하며 적(積)을 삭이고 열을 내린다.
흰삽주(백출) 120g, 찔광이(山 肉) 80g,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약누룩(신국, 닦은 것),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지실,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40g, 산치자(치자, 닦은 것), 연교,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목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의감].
解諸鬱開胸膈進飮食蒼朮厹浸薑汁炒蕪芎便香附神麴炒梔子炒各四兩陳皮去白白朮炒黃芩炒各一兩半山擀肉蒸二兩右爲末稀糊和丸梧子大白湯下五六十丸《醫鑑》
가미익국환(加味 麴丸)
여러 가지 울증을 풀어 주고 가슴을 시원하게 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궁궁이(천궁),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산치자(치자, 닦은 것) 각각 160g, 귤껍질(귤피, 흰속을 버린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각각 60g, 찔광이(山 肉, 찐 것)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묽은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胸滿脇痛怴沈澁宜用香附蕪芎蒼朮《入門》○宜服木香調氣散解鬱調胃湯㳩麴丸○二陳湯煎水呑下交感丹(方見氣門)《入門》
기울(氣鬱)/적취
기울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滿] 옆구리가 아프며 맥이 침(沈)하고 삽(澁)하다. 이런 데는 향부자, 궁궁이(천궁), 삽주(창출)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익국환( 麴丸)을 먹는 것도 좋다.
○ 이진탕(二陳湯)을 달인 물로 교감단(交感丹,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어도 된다[입문].
周身關節走痛首如物蒙足重遇陰寒便發怴沈濡宜用蒼朮川芎白芷赤茯巔《入門》○宜服渗濕湯(方見濕門)平胃散(方見內傷)
습울(濕鬱)
습울이란 통증이 온몸의 뼈마디로 옮겨 다니고 머리에는 무엇을 쓴 것 같으며 다리가 무거운 것을 말한다. 이것은 날이 흐리거나 추우면 곧 발작하는데 맥은 침(沈)하고 유(濡)하다. 이런 데는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벌건솔풍령(적복령)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삼습탕(渗濕湯, 처방은 습문에 있다),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먹는 것도 좋다.
目蒙口乾舌燥小便赤濁怴沈數宜用靑黛香附蒼朮川芎梔子《入門》○宜服升陽散火湯火鬱湯(二方拄見火門)
열울(熱鬱)
열울 때에는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입과 혀가 마르며 오줌이 벌거면서 뿌옇고 맥이 침(沈)하고 삭(數)하다. 이런 데는 청대, 향부자,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산치자(치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화울탕(火鬱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화문에 있다)을 먹는 것이 좋다.
胸滿動則喘急起臥怠惰寸怴沈滑宜用海石香附子瓜蔞仁南星《入門》○宜服瓜蔞枳殼湯升發二陳湯
담울(痰鬱)
담울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움직이면 숨이 몹시 차며 앉으나 누우나 몸이 나른하고 촌맥(寸脈)이 침(沈)하고 활(滑)하다. 이런 데는 해석(海石), 향부자, 하늘타리씨(과루인), 천남성(南星)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과루지각탕, 승발이진탕을 먹는 것이 좋다.
四肢無力能食小便淋大便紅怴沈壓澁宜用桃仁紅花靑黛川芎香附子《入門》○宜服生堛飮順氣丸當歸活血湯
혈울(血鬱)
혈울 때에는 팔다리에 힘이 없고 음식은 잘 먹으며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맥이 침(沈), 규( ), 삽(澁)하다. 이런 데는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청대, 궁궁이(천궁), 향부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생구음, 순기환, 당귀활혈탕을 먹는 것이 좋다.
噫酸惡食黃疸嘓脹搽塊怴氣口緊盛宜用蒼朮香附山擀子神麴鍼砂醋炒《入門》○宜服香砂平胃散散鬱湯
식울(食鬱)
식울 때에는 신트림[噫酸]이 나고 음식을 싫어하며 황달이 있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며 비괴( 塊)가 생기고 기구맥(氣口脈)이 긴(緊)하고 성(盛)하다. 이런 데는 삽주(창출), 향부자, 찔광이(산사자), 약누룩(신국), 침사(鍼砂, 식초에 담갔다가 볶은 것)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향사평위산, 산울탕을 먹는 것도 좋다.
治氣鬱烏藥香附枳殼靑皮陳皮厚朴蕪芎蒼朮各一錢木香縮砂各五分桂皮甘草各三分右犫作一貼薑三片水煎服《回春》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기울(氣鬱)을 치료한다.
오약, 향부자, 지각,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후박,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4g, 목향, 사인 각각 2g, 계피,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회춘].
治氣分之火壅棽於中時作刺痛皆由怒憂思慮勞心所致也梔子鹽水炒當歸酒洗各一錢二分白朮陳皮白茯巔各一錢赤芍藥酒浸生乾地黃酒洗薑汁炒香附米各八分神塂炒麥芽炒各七分川芎六分桃仁生甘草各四分右犫作一貼薑三片水煎服《回春》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기분의 화[氣分之火]가 속으로 몰려 막혀서 때때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지나치게 성냈거나 근심하였거나 마음을 썼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산치자(치자,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4.8g,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함박꽃뿌리(작약, 술에 담갔던 것), 생건지황(술에 씻어서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향부자 각각 3.2g,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2.8g, 궁궁이(천궁) 2.4g, 복숭아씨(도인), 감초(생것)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회춘].
治痰鬱瓜蔞仁枳殼桔梗川芎蒼朮香附杏仁片芩酒炒貝母炒陳皮各一錢縮砂木香各五分甘草三分右犫作一貼水煎入竹瀝薑汁調服《回春》
과루지각탕(瓜蔞枳殼湯)
담울(痰鬱)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향부자, 살구씨(행인),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패모(닦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4g, 사인, 목향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참대기름(竹瀝)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治痰鬱半夏二錢陳皮蕪芎赤茯巔各一錢半柴胡防風升麻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片煎服《入門》
승발이진탕(升發二陳湯)
담울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귤껍질(陳皮), 궁궁이(蕪芎),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6g, 시호, 방풍, 승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입문].
治血鬱胃脘有瘀血作痛生桃仁七箇連皮細嚼以生堛汁一盞送下卽效《回春》
생구음(生 飮)
혈울(血鬱)과 위완(胃脘)에 어혈이 생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生桃仁, 생것) 7알.
위의 약을 꺼풀째로 잘 씹어서 생부추즙 1잔으로 넘기면[送下] 곧 낫는다[회춘].
治血鬱香附子八兩以童便浸望乾爲末以粟米糊和丸服《綱目》
순기환(順氣丸)
혈울을 치료한다.
향부자 300g.
위의 약을 동변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서 가루낸 다음 좁쌀풀(粟米糊)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강목].
治血鬱當歸赤芍藥川芎桃仁各一錢牡丹皮香附子烏藥枳殼靑皮各八分紅花五分桂皮乾薑礐甘草各三分右犫作一貼入薑三水煎服《回春》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혈울을 치료한다.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궁궁이(천궁), 복숭아씨(도인) 각각 4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향부자, 오약, 지각, 선귤껍질(청피) 각각 3.2g, 잇꽃(홍화) 2g, 계피,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회춘].
治食鬱蒼朮厚朴陳皮便香附各一錢山査肉縮砂枳殼麥芽神麴乾薑木香各五分甘草灸三分右犫作一貼入薑三蘿挙子炒硏一撮煎服《回春》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식울(食鬱)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후박, 귤껍질(陳皮),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각각 4g, 찔광이(산사육), 사인, 지각, 보리길금(맥아), 약누룩(신국), 건강, 목향 각각 2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무씨(나복자, 닦아서 간 것) 한자밤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회춘].
治食鬱陳皮赤茯巔各一錢半蒼朮白芍藥川芎梔子各一錢二分枳殼香附各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煎服○鬱則胃熱鬱散則上焦行下脘通水穀之陰自滋沛身中之陰氣自生矣《丹心》
산울탕(散鬱湯)
식울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6g, 삽주(창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산치자(치자) 각각 4.8g, 지각, 향부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
○ 울증이 생기면 위(胃)가 열(熱)해지고 울증이 없어지면 상초(上焦)가 열리고 하완(下脘)이 통하기 때문에 음식의 음기가 영양하게 되어 몸 속에 음기(陰氣)가 저절로 생긴다[단심].
凡搽塊積聚在中爲痰飮○在右爲食積○在左爲血積《丹心》○夫左爲血塊右爲食積中爲痰飮此言誠然夫左關肝膽之位主藏血液右關脾胃之位主藏飮食中間則爲水穀出入之道路所以左爲血塊右爲食積中爲痰飮其理昭然《丹心》
비괴와 적취가 생기는 부위[ 塊積聚所屬部分]
비괴나 적취가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다.
○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食積)이다.
○ 왼쪽에 있는 것은 혈적(血積)이다[단심].
○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血塊)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이 과연 옳다. 왼쪽 관(關) 부위는 간담(肝膽)과 연관된 부위인데 간담은 피를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오른쪽 관 부위는 비위(脾胃)와 연관된 부위인데 비위는 음식을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가운데는 음식이 들어가고 나가는 길이다. 그러므로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으로 생긴 것이라는 말이 정확한 것이다[단심].
塊是有形之物氣不能成塊乃痰與食積死血也宜用化塊丸《丹心》○凡搽塊在皮裏膜外俱宜二陳湯加補氣行氣藥先須斷厚味《丹心》○治塊當降火消食積(卽痰也)行死血塊去後須大補之《丹心》○凡婦人有塊多屬死血《丹心》○搽塊一名琋禮其不能移動也是琋塊也或有或無或上或下或左或右者是禮塊也俱用潰堅湯丸爲主《丹心》○脇下有塊宜當歸龍籲丸(方見五藏)加桃仁薑黃各一兩蜜丸服之《入門》○驚氣成塊者妙應丹(方見痰飮)加穿山甲炒鱉甲燒各三錢玄胡索蓬朮各四錢每服五七十丸以利爲度《綱目》○搽塊宜用連蘿丸消塊丸加味柴平湯消積保中丸開懷散柴香散保和丸化搽丹兼用膏藥外貼之《諸方》○凡腹中有塊不問積聚琋禮俱爲惡候切勿視爲尋常若脹滿已成胸腹嘓急雖倉扁復生亦莫能救其萬一也《正傳》
비괴의 증상과 치료[ 塊證治]
비괴는 형체가 있는 것이다. 기(氣)로는 비괴가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담(痰)이나 식적(食積), 궂은 피[死血]로 생긴다. 이런 데는 화괴환(化塊丸)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 대체로 비괴가 피하에 생겼거나 막의 밖에 생겼을 때에는 다 이진탕(二陳湯)에 기를 보하고 돌게 하는 약[補氣行氣藥]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다. 그런데 먼저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단심].
○ 비괴를 치료할 때에는 화(火)를 내리고 식적(즉 담(痰)이다)을 삭이며 궂은 피[死血]를 없애야 한다. 비괴가 없어진 뒤에는 크게 보해야 한다[단심].
○ 부인에게 생긴 비괴는 대부분 궂은 피로 생긴 것이다[단심].
○ 비괴를 징가( )라고도 하는데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은 징괴( 塊)이고 혹 나타났다 없어졌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왼쪽으로 갔다 오른쪽으로 갔다 하는 것은 가괴( 塊)이다. 이런 데는 다 궤견탕(潰堅湯)이나 궤견환(潰堅丸)을 주로 쓴다[단심].
○ 옆구리 아래에 비괴가 생겼을 때에는 당귀용회환(當歸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복숭아씨(도인), 강황(薑黃) 각각 40g을 더 넣고 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입문].
○ 놀란 기운[驚氣]으로 생긴 비괴에는 묘응단(妙應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산갑(닦은 것), 자라등딱지(별갑, 구운 것) 각각 12g, 현호색, 봉출 각각 16g을 더 넣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먹는데 설사가 날 때까지 써야 한다[강목].
○ 비괴에는 연라환, 소괴환, 가미시평탕, 소적보중환, 개회산, 시향산, 보화환, 화비단 등을 쓰면서 겸하여 겉에 고약을 붙여야 한다[제방].
○ 뱃속에 비괴가 있다면 그것이 적취이거나 징가이거나를 가릴 것 없이 다 좋지 못한 증상이므로 결코 등한히 해서는 안 된다. 이미 창만이 되어서 가슴과 배가 팽팽하게 켕길 때에는 비록 창공(倉公)이나 편작(扁鵲)이라고 해도 만 사람에 한 사람도 살리지 못할 것이다[정전].
治搽塊及血塊海粉酒煮三稜蓬朮拄醋煮紅花桃仁五靈脂香附子各一兩石嶪五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白朮湯下三五十丸《丹心》
화괴환(化塊丸)
비괴와 혈괴(血塊)를 치료한다.
조가비가루(海粉, 술에 달인 것), 삼릉(식초에 달인 것), 봉출(식초에 달인 것), 잇꽃(홍화), 복숭아씨(도인), 오령지, 향부자 각각 40g, 석렴(石 )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흰삽주(백출)를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治食積死血痰飮成塊在兩脇作痛雷鳴爄濜眩暈黃連一兩半取一半以吳茱萸五錢同炒去茱萸一半以益智五錢同炒去益智白芥子蘿挙子拄炒各一兩半梔子川芎三稜蓬朮桃仁香附子山擀肉神麴各一兩靑皮五錢右爲末蒸餠和丸梧子大白湯呑下五六十丸《入門》○一名白芥丸《入門》今名消積丸《俗方》
연라환(連蘿丸)
식적과 궂은 피, 담음으로 비괴가 양 옆구리에 생겨서 아프고 배가 끓으며 명치 밑이 괴롭고 머리가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황련(절반은 오수유 20g과 같이 닦은 다음 오수유는 버리고 절반은 익지인 20g과 함께 닦아서 익지인을 버린다) 60g, 흰겨자(白芥子, 닦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각각 60g, 산치자(치자), 궁궁이(천궁), 삼릉, 봉출, 복숭아씨(도인), 향부자, 찔광이(山 肉), 약누룩(신국) 각각 40g, 선귤껍질(청피)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일명 백개환(白芥丸)이라고도 한다[입문].
○ 요즘은 소적환(消積丸)이라고도 한다[속방].
治搽塊琋禮大黃四兩硝石三兩人參甘草各一兩半右爲末陳醋三升置磁器內先納大黃煎不住手攪使微沸盡一升下餘藥末熬至可丸則丸如梧子大米飮下三十丸當利如谿肝惡物《入門》○一名硝石丸《千金》
소괴환(消塊丸)
비괴와 징가를 치료한다.
대황 160g, 초석 120g, 인삼, 감초 각각 6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먼저 대황을 묵은 식초 3되를 담은 사기그릇에 넣고 쉼 없이 저으면서 천천히 1되가 되도록 달인다. 다음 여기에 나머지 약가루를 넣고 알약을 만들 수 있도록 졸여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닭의 간(肝)같이 생긴 못쓸 것이 나온다[입문].
○ 일명 초석환(硝石丸)이라고도 한다[천금].
治積塊有熱柴胡黃芩半夏蒼朮厚朴陳皮山擀肉靑皮枳殼神麴三稜蓬朮各七分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回春》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적괴(積塊)가 있으면서 열까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후박, 귤껍질(陳皮), 찔광이(산사육), 선귤껍질(청피), 지각, 약누룩(신국), 삼릉, 봉출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散搽除塊白朮土炒三兩陳皮去白二兩半夏白茯巔香附醋炒蘿挙子炒白芥子炒神麴炒黃連薑汁炒梔子薑汁炒各一兩檳峹七錢蓬朮三稜拄醋炒各八錢麥芽炒六錢乾漆炒五錢靑皮香油炒縮砂炒各四錢木香阿魏各三錢右爲末以薑汁酒糊和丸梧子大白湯下八十丸《醫鑑》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비괴를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120g, 귤껍질(귤피, 흰속을 버린 것) 80g,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흰겨자(백개자,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치자,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빈랑 28g, 봉출(식초에 축여 볶은 것), 삼릉(식초에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24g, 마른옻(건칠, 닦은 것) 20g, 선귤껍질(청피, 참기름에 축여 볶은 것), 사인(닦은 것) 각각 16g, 목향, 아위(阿魏)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술을 두고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治心下積塊搽悶或發熱柴胡草豆埼各一錢三稜蓬朮拄醋炒靑皮陳皮半夏白茯巔香附子檳峹枳實紅花甘草各七分右犫作一貼薑三煎服《醫鑑》
개회산(開懷散)
명치 밑에 적괴가 있어서 트직하고 답답하며 혹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초두구 각각 4g, 삼릉(식초에 축여 볶은 것), 봉출(식초에 축여 볶은 것),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향부자, 빈랑, 지실, 잇꽃(홍화),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서 먹는다[의감].
治心腹有氣一塊略通或膨脹寒熱枳實地骨皮三稜蓬朮各一錢柴胡黃芩各七分赤芍藥厚朴香淇黃連玄胡索各五分甘草三分右犫作一貼水煎服《醫鑑》
시향산(柴香散)
명치 밑에 기로 생긴 비괴가 있어서 약간 통하고 혹 팽팽하게 불러 오르며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지실, 지골피, 삼릉, 봉출 각각 4g, 시호, 속썩은풀(황금) 각각 2.8g, 함박꽃뿌리(작약), 후박, 노야기(향유), 황련, 현호색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治一切飮食所傷及積聚搽塊久服自消白朮五兩陳皮半夏茯巔神麴山擀肉各三兩連翹香附子酒炒厚朴蘿挙子炒各二兩枳實麥芽黃連酒炒黃芩酒炒各一兩右末薑汁糊和丸梧子大茶淸下五七十丸《醫鑑》
보화환(保和丸)
일체 음식에 상한 것과 적취, 비괴를 치료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저절로 낫는다.
흰삽주(백출) 200g,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찔광이(산사육) 각각 120g, 연교, 향부자(술에 축여 볶은 것), 후박, 무씨(나복자, 닦은 것) 각각 80g, 지실, 보리길금(맥아),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찻물로 먹는다[의감].
消積塊專攻之劑大黃四兩醋浸七日日望夜露又七日穿山甲土炒二兩木鱉子去油香附子便浸炒桃仁各一兩紅花二錢靑黛五分右爲末將大黃和好醋煮爲糊和丸菉豆大茅根葛根煎湯下五七十丸《回春》
화비단(化 丹)
적괴를 삭이는 데 주로 치는 약[專攻之劑]이다.
대황(식초에 7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다시 7일 동안 낮에는 볕에 말리고 밤에는 이슬을 맞힌 것) 160g, 천산갑(흙과 함께 닦은 것) 80g, 목별자(기름을 뺀 것), 향부자(동변에 담갔다가 볶은 것),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잇꽃(홍화) 8g, 청대 2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대황을 좋은 식초에 타서 풀을 쑨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띠뿌리(모근)와 칡뿌리(갈근)를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회춘].
治積當察其所痛以知其病有餘不足可補可瀉無逆天時詳藏府之高下如高者越之結者散之客者除之留者行之堅者削之强者奪之鹹以檊之苦以瀉之全眞氣藥補之隨所利而行之節飮食愼起居和其中外可使必已《東垣》○凡積病不可用下藥徒損眞氣病亦不退當用消積藥使之融化則自消除根矣《丹心》○經曰治積聚有化積消積楍積磨積而無下積之說盖不可直便取下以傷胃氣也《永類》○諸積勿輕吐下徒損眞氣積亦不去奔豚尤不可吐五積古有五方今增損五積丸更妙《入門》○內經曰破積用毒藥衰其太半而止藥凡大積大聚消其太半乃止藥過劑則死《東垣》○肝積用肥氣丸○心積用伏梁丸○脾積用搽氣丸○肺積用息賁丸○腎積用奔豚丸○六聚宜用散聚湯香稜丸大七氣湯大阿魏丸大安丸《入門》○積初爲寒宜辛溫消導大七氣湯烏白丸阿魏丸○久則爲熱宜辛寒推蕩木香檳峹丸(方見氣門)通玄二八丹消塊丸《入門》○治積要法大抵以所惡者攻之所喜者誘之則易愈○如怄砂水銀治肉積○神麴麥芽治酒積○水蛭恂盤治血積○木香檳峹治氣積○牽牛甘遂治水積雄黃媐粉治痰積○惆石巴豆治食積各從其類也《本事》○又云三稜蓬朮治血積香附枳實治食積山擀阿魏治肉積海粉惆石治痰積雄黃白礬治盤積乾薑巴豆治寒積黃連大黃治熱積《丹心》○五積六聚通用增損五積丸消積正元散肥氣丸伏梁丸搽氣丸息賁丸奔豚丸又有奔豚湯散聚湯香稜丸大七氣湯潰堅湯潰堅丸眞人化鐵湯《諸方》○宿血滯氣凝結爲琋禮腹中搽槐堅硬作楚當以破氣藥伐之或以類相從如敗梳治柕禮銅屑治龍禮麴蘗治米禮石灰治髮禮《得效》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적을 치료할 때에는 아픈 곳을 살펴보아서 실(實)한가 허(虛)한가에 따라 보(補)할 것인가 사(瀉)할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그리고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게 하고 병이 든 장부(藏府)가 상초(上焦)에 있는 것인가 하초(下焦)에 있는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상초에 있는 것이면 토하게 하고 맺혔으면 흩어지게 하며 침입한 것이면 없애버리고 머물러 있으면 돌게 하며 굳은 것은 연하게 하고 강한 것은 약하게 해야 한다. 짠 것으로 부드럽게 하고 쓴 것으로 사하고 원기를 온전하게 하는 약으로 보하는 등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몸의 안팎이 조화되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반드시 낫는다[동원].
○ 대체로 적병(積病) 때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설사시키는 약을 쓰면 필요없이 원기만 상하게 되고 병은 낫지 않는다. 적을 삭이는 약을 써서 녹아 없어지게 해야 병의 뿌리가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 경(經)에 적취를 치료할 때에는 적을 녹이거나 적을 삭이거나 적을 밀어내거나 적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는 말만 있고 적을 내린다[下]는 말은 없는데 그것은 직접 설사시키면 위기(胃氣)가 상하기 때문이다[영류].
○ 여러 가지 적병 때 경솔하게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면 공연히 진기(眞氣)만 상하게 되고 적은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분돈증(奔豚證) 때 토하게 해서는 안 된다. 5적을 치료할 때에 이전에는 5가지 처방을 썼다. 요즘은 증손오적환을 쓰는데 더 좋다[입문].
○ 『내경』에 “적을 헤치는 데[破積]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와 같이 큰 적이나 취 때에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약을 지나치게 쓰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동원].
○ 간적(肝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 심적(心積)에는 복량환을 쓴다.
○ 비적(脾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 폐적(肺積)에는 식분환을 쓴다.
○ 신적(腎積)에는 분돈환을 쓴다.
○ 6취에는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대아위환, 대안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적병의 초기에는 한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써서 삭여야 하는데 대칠기탕, 오백환, 아위환을 쓴다.
○ 오랜 적병은 열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몰아내야 하는데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처방은 기문에 있다), 통현이팔단, 소괴환을 쓴다[입문].
○ 적병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싫어하는 것으로 공격하고[攻] 좋아하는 것으로 유도하는[誘]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쉽게 낫는다.
○ 노사나 수은은 육적(肉積)을 치료한다.
○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은 주적(酒積)을 치료한다.
○ 거머리(수질)와 등에(맹충)는 혈적(血積)을 치료한다.
○ 목향과 빈랑은 기적(氣積)을 치료한다.
○ 나팔꽃씨(견우자)와 감수(甘遂)는 수적(水積)을 치료하고 석웅황(웅황)과 경분은 담적(痰積)을 치료한다.
○ 청몽석과 파두는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병에 따라서 각기 쓰는 약이 다르다[본사].
○ 또한 삼릉과 봉출은 혈적을 치료하고 향부자와 지실은 식적을 치료하며 찔광이(산사)와 아위는 육적을 치료하고 조가비가루(海粉), 청몽석은 담적을 치료하며 석웅황(웅황)과 백반은 충적(蟲積)을 치료하고 건강과 파두는 한적(寒積)을 치료하며 황련과 대황은 열적(熱積)을 치료한다[단심].
○ 5적과 6취에는 증손오적환, 소적정원산, 비기환(肥氣丸), 복량환, 비기환( 氣丸), 식분환, 분돈환을 두루 쓴다. 그리고 분돈탕,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궤견탕, 궤견환, 진인화철탕도 쓴다[제방].
○ 궂은 피[宿血]와 체기(滯氣)가 엉켜서 생긴 징가 때와 뱃속에 비괴가 생겨 뜬뜬하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를 헤치는 약[破氣藥]을 써서 쳐야[伐] 한다. 혹 병과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헌빗으로 슬가( )를 치료하고 구리가루로 용가(龍 )를 치료하며 약누룩(신국)과 보리길금(맥아)으로 미가(米 )를 치료하고 석회로 발가(髮 )를 치료하는 것이다[득효].
通治五積○黃連肝積五錢脾腎積七錢心肺積一兩半○厚朴肝心肺積五錢脾腎積八錢○川烏肝肺積一錢心腎脾積五分○乾薑肝心積五分肺脾腎一錢半○人參肝心脾肺積二錢腎積五分○茯巔一錢半巴豆霜五分右爲末蜜丸梧子大初服二丸漸加以微孈爲度治積塊不拘臍上下左右通用○如肝積加柴胡一兩川椒四錢蓬朮三錢爣角昆布各二錢半○心積加黃芩三錢肉桂茯神丹參各一錢菖蒲五分○肺積加桔梗三稜天門冬靑皮陳皮白豆埼各一錢紫泸川椒各一錢半○脾積加吳茱萸黃芩縮砂各二錢澤瀉茵陳各一錢川椒五分○腎積加玄胡索三錢苦練肉全蝎附子獨活各一錢澤瀉菖蒲各二錢肉桂三分丁香五分《入門》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
5적을 두루 치료한다.
황련(간적에는 20g, 비적이나 신적에는 28g, 심적이나 폐적에는 60g을 쓴다), 후박(간적, 심적, 폐적에는 20g, 비적, 신적에는 32g을 쓴다), 오두(간적, 폐적에는 4g, 심적, 신적, 비적에는 2g을 쓴다), 건강(간적, 심적에는 2g, 폐적, 비적, 신적에는 6g을 쓴다), 인삼(간적, 심적, 비적, 폐적에는 8g, 신적에는 2g을 쓴다), 흰솔풍령(백복령) 6g, 파두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처음에는 2알을 먹는다. 그 다음부터 점차 양을 늘려 가면서 쓰는데 대변이 약간 묽어질 때까지 쓴다. 적괴가 배꼽의 아래나 위에, 왼쪽이나 오른쪽에 있을 때를 막론하고 두루 쓴다.
○ 만일 간적이면 위의 약에 시호 40g, 조피열매(천초) 16g, 봉출 12g, 주염열매(조각), 다시마(곤포) 각각 10g을 더 넣어 쓴다.
○ 심적이면 속썩은풀(황금) 12g, 육계, 백복신, 단삼 각각 4g, 석창포 2g을 더 넣어 쓴다.
○ 폐적이면 도라지(길경), 삼릉, 천문동,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백두구 각각 4g, 자원, 조피열매(천초) 각각 6g을 더 넣어 쓴다.
○ 비적이면 오수유, 속썩은풀(황금), 사인 각각 8g, 택사, 더위지기(인진) 각각 4g, 조피열매(천초) 2g을 더 넣어 쓴다.
○ 신적이면 현호색 12g, 멀구슬나무열매살(고련육), 전갈, 부자, 따두릅(독활) 각각 4g, 택사, 석창포 각각 8g, 육계 1.2g, 정향 2g을 더 넣어 쓴다[입문].
治痰飮氣血鬱結食積氣不升降積聚脹痛白朮一錢半神麴香附枳實玄胡索海粉各一錢赤茯巔陳皮靑皮縮砂麥芽炒山擀肉甘草各七分右犫作一貼薑三水煎服○一名開鬱正元散(無枳實有桔梗)○《入門》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담음이나 기혈이 울체되었거나 먹은 것이 뭉쳐서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에 적취가 생겨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6g, 약누룩(신국), 향부자, 지실, 현호색, 조가비가루(海粉)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선굴껍질(청피), 사인,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찔광이(산사육),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일명 개울정원산(開鬱正元散)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지실이 없고 도라지(길경)가 있다[입문].
治肝積柴胡一兩黃連七錢厚朴五錢川椒四錢甘草三錢蓬朮人參昆布各二錢半爣角白茯巔各一錢半乾薑巴豆霜各五分川烏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初服二丸日加一丸二日加二丸至大便孈便漸減服周而復始塊減半勿服《正傳》
비기환(肥氣丸)
간적(肝積)을 치료한다.
시호 40g, 황련 28g, 후박 20g, 조피열매(천초) 16g, 감초 12g, 봉출, 인삼, 다시마(곤포) 각각 10g, 주염열매(조각),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6g, 건강, 파두상 각각 2g, 오두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처음에는 2알을 먹고 그 다음부터 매일 1알씩 늘려 가면서 먹는데 2일 만에는 2알을 더 먹는다. 대변이 묽어지면 양을 점차 줄인다. 이와 같이 양을 많이 먹고 적게 먹고 하다가 적 덩어리가 절반 정도 줄어들면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정전].
治心積黃連一兩半厚朴人參各五錢黃芩桂枝茯神丹參各一錢乾薑菖蒲巴豆霜川烏各五分紅豆埼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黃連湯下服如上法《正傳》
복량환(伏梁丸)
심적(心積)을 치료한다.
황련 60g, 후박, 인삼 각각 20g, 속썩은풀(황금), 계지, 백복신, 단삼 각각 4g, 건강, 석창포, 파두상, 오두 각각 2g, 홍두구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황련을 달인 물로 먹는데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治脾積黃連八錢厚朴四錢吳茱萸三錢黃芩二錢縮砂一錢半白茯巔人參澤瀉各一錢茵蔯乾薑各一錢半川烏川椒各五分桂皮巴豆霜各四分白朮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甘草湯下服如上法《正傳》
비기환( 氣丸)
비적(脾積)을 치료한다.
황련 32g, 후박 16g, 오수유 12g, 속썩은풀(황금) 8g, 사인 6g,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택사 각각 4g, 더위지기(인진), 건강 각각 6g, 오두, 조피열매(천초) 각각 2g, 계피, 파두상 각각 1.6g, 흰삽주(백출)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감초를 달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治肺積黃連一兩三錢厚朴八錢川烏桔梗白豆埼陳皮三稜天門冬人參各二錢乾薑白茯巔川椒紫泸各一錢半靑皮巴豆霜各五分右爲末蜜丸梧子大薑湯呑下服如上法《正傳》
식분환(息賁丸)
폐적(肺積)을 치료한다.
황련 52g, 후박 32g, 오두, 도라지(길경), 백두구, 귤껍질(陳皮), 삼릉, 천문동, 인삼 각각 8g, 건강, 흰솔풍령(백복령), 조피열매(천초), 개미취(자원) 각각 6g, 선귤껍질(청피), 파두상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생강을 달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治腎積厚朴七錢黃連五錢川鍊子三錢白茯巔澤瀉菖蒲各二錢玄胡索一錢半全蝎附子獨活各一錢川烏丁香巴豆霜各五分肉桂二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服如上法《正傳》
분돈환(奔豚丸)
신적(腎積)을 치료한다.
후박 28g, 황련 20g, 멀구슬나무열매(川練子) 12g,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석창포 각각 8g, 현호색 6g, 전갈, 부자, 따두릅(독활) 각각 4g, 오두, 정향, 파두상 각각 2g, 육계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소금 끓인 물로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治積聚黃連八兩芍藥當歸生地黃烏梅各五錢爲末雄猪屠一具入藥於內以線縫之鋪堛菜二斤於鍋內蒸之一日以藥熟爲度取出搗丸梧子大空心薑湯下七十丸或瀉一二次以粥補住《入門》
통현이팔단(通玄二八丹)
적취를 치료한다.
황련 300g, 집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생지황, 오매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수퇘지 위(雄猪 ) 속에 넣고 실로 꿰맨다. 다음 부추( 菜) 1.2kg을 솥 안에 깔고 여기에 약을 넣어서 하루동안 찌는데 약이 다 익으면 꺼낸다. 이것을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혹 한두번 설사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죽으로 보하여 멎게 해야 한다[입문].
治腎積半夏二錢川芎當歸各一錢半甘李根皮乾葛各一錢黃芩芍藥甘草各七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空心服《入門》
분돈탕(奔豚湯)
신적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6g, 감리근피(甘李根皮), 칡뿌리(갈근)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작약),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治六聚及琋禮隨氣上下心腹刺痛二便不利厚朴吳茱萸枳殼一錢半陳皮杏仁桂心赤茯巔各一錢川芎附子礐甘草灸各五分半夏檳峹當歸各四分右犫作一貼薑三水煎服《入門》
산취탕(散聚湯)
6취나 징가가 기를 따라 오르내리면서 명치 밑이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후박, 오수유, 지각 각각 6g, 귤껍질(陳皮), 살구씨(행인), 계심(桂心),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궁궁이(천궁),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끼무릇(반하), 빈랑, 당귀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입문].
治五積六聚氣塊三稜檳峹各三兩山擀肉二兩香附子蘿挙子枳實枳殼蓬朮陳皮靑皮各一兩黃連神麴麥芽鱉甲乾漆桃仁怄砂縮砂當歸尾木香甘草各五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白湯下三五十丸《入門》
향릉환(香稜丸)
5적과 6취, 기괴를 치료한다.
삼릉, 빈랑 각각 120g, 찔광이(산사육) 80g, 향부자, 무씨(나복자), 지실, 지각, 봉출,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각각 40g, 황련,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자라등딱지(별갑), 마른옻(건칠), 복숭아씨(도인), 노사, 사인(縮砂), 당귀(잔뿌리), 목향,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治五積六聚心腹痛脹二便不利三稜蓬朮靑皮陳皮桔梗藿香益智仁香附子肉桂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薑三棗二水煎服○一方加大黃檳峹各一錢治諸般搽積面色萎黃四肢無力皆緣內有盤積或好食生米或壁土或茶炭鹹辣等物只此一服除根用水煎露一宿空心溫服不得些少飮食不然則藥力減而盤積不行矣服後心腹痛當下惡物如魚凍盤鱉至日午下積盡方用溫粥止之《醫鑑》
대칠기탕(大七氣湯)
5적과 6취로 명치 밑이 아프고 불러 오르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삼릉, 봉출,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곽향, 익지인, 향부자, 육계,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대황, 빈랑 각각 4g을 더 넣어서 여러 가지 비적( 積)으로 얼굴빛이 누르스름하게 되고 팔다리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다 속에 충적(蟲積)이 있어서 생쌀이나 담벽 흙이나 차나 숯이나 짠 것, 매운 것들을 먹기 좋아하여 생긴 것이다. 이 약을 한번만 먹어도 병의 근원이 없어지는데 물에 달여서 하룻밤 밖에 두었다가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그 다음 음식을 약간이라도 먹어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약 기운이 약해져서 충적을 없앨 수 없다. 약을 먹으면 명치 밑이 아프면서 반드시 언 물고기나 벌레, 자라같이 생긴 몹쓸 것이 설사로 나오는데 한낮이 되어 적이 풀려서 다 나오면 따뜻한 죽을 먹어서 설사를 멎게 해야 한다[의감].
治五積六聚諸般搽塊當歸白朮半夏陳皮枳實山擀肉香附子厚朴縮砂各一錢木香五分水磨取汁右犫作一貼水煎調木香汁服之《回春》
궤견탕(潰堅湯)
5적과 6취, 여러 가지 비괴( 塊)를 치료한다.
당귀,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지실, 찔광이(산사), 향부자, 후박, 사인 각각 4g, 목향 2g(물에 갈아서 즙을 낸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목향즙을 타 먹는다[회춘].
治同上前方加海粉瓦壟子鱉甲灸爲細末將阿魏醋煮化入薑汁糊和丸梧子大酒下五七十丸《回春》
궤견환(潰堅丸)
위[上]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앞의 처방에 조가비가루(해분), 와룡자, 자라등딱지(별갑, 구운 것)를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낸다. 다음 식초에 아위를 넣고 달여 녹인 데 생강즙을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약을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회춘].
治五積六聚竎癖琋禮三稜蓬朮靑皮陳皮山擀肉神麴香附子枳實厚朴黃連當歸川芎桃仁檳峹各五分紅花木香甘草各三分右犫作一貼薑二棗一煎服《回春》
진인화철탕(眞人化鐵湯)
5적과 6취, 현벽( 癖), 징가를 치료한다.
삼릉, 봉출,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찔광이(산사육), 약누룩(신국), 향부자, 지실, 후박, 황련, 당귀, 궁궁이(천궁), 복숭아씨(도인), 빈랑 각각 2g, 잇꽃(홍화), 목향,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대추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잡병편] 부종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적취 1-1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해수 2-2 -東醫寶鑑雜病篇卷之五 끝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해수2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해수1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