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後血暈由氣血暴虛血隨氣上迷亂心神故眼前生花甚者悶絶口夝神昏氣冷宜用淸魂散《良方》○産後血暈有二有下血多而暈者但昏悶煩亂而已當補血宜用芎歸湯(方見下)有下血少而暈者乃惡露上璪於心心下滿急神昏口夝絶不知人當破血行血宜奪命散花蘂石散(方見諸傷)○《良方》○産後血暈宜用四味湯荊芥散醋墨法《諸方》
혈훈(血暈)
해산 후의 혈훈이란 기혈이 갑자기 허해져서 혈이 기를 따라 올라가 정신을 어지럽게 하므로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고 심한 경우에는 까무러쳐서 이를 악물고 정신이 혼미하며 숨쉬는 기운이 서늘한 것이다. 이런 데는 청혼산(淸魂散)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해산 후의 혈훈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피를 많이 흘려서 혈훈이 나는 것이다. 이때에는 정신이 흐릿하고 답답하며 어쩔 바를 모른다. 이런 데는 반드시 보해야 하는데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다른 하나는 피는 적게 흘렸으나 혈훈이 나는 것이다. 이때에 오로(惡露)가 위로 치밀어서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하고 정신이 혼미하며 이를 악물고 전혀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 이런 데는 반드시 어혈을 헤치고 혈을 잘 돌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탈명산(奪命散), 화예석산(花蘂石散, 처방은 제상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해산 후의 혈훈에는 사미탕(四味湯), 형개산(荊芥散), 초묵법(醋墨法)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治産後血暈荊芥穗五錢川芎二錢半人參澤蘭葉各一錢二分半甘草一錢右爲末以溫酒熱湯各半盞調二錢灌之下咽卽甦《良方》
청혼산(淸魂散)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형개수 20g, 궁궁이(천궁) 10g, 인삼, 쉽싸리잎(택란엽) 각각 5g, 감초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과 뜨거운 물 각각 반잔에 타서 입에 떠넣어 목구멍으로 내려가면 곧 낫는다[양방].
治血暈晨妄沒藥血竭各等分右爲末每三錢以童便好酒各半盞煎數沸調服神效○一名血竭散《丹心》
탈명산(奪命散)
혈훈으로 헛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몰약, 혈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 반 잔을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데다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
○ 일명 혈갈산(血竭散)이라고도 한다[단심].
治産後血暈當歸玄胡索血竭沒藥各一錢右㵋末童便煎服《丹心》○或細末每二錢童便調下名曰四味散《入門》
사미탕(四味湯)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당귀, 현호색, 혈갈,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 또는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타 먹는다.
○ 일명 사미산(四味散)이라고도 한다[입문].
治血暈如神荊芥穗搗爲末每二錢童便一盞調熱服口夝斡開灌之《湯液》
형개산(荊芥散)
혈훈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형개수를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 1잔에 타서 따끈하게 하여 먹는다. 이를 악물었으면 입을 억지로 벌리고 떠넣는다[탕액].
防血暈墨半錠燒赤投醋中硏細每五分淡醋湯調下卽效《良方》
초묵법(醋墨法)
혈훈을 방지한다. 먹 반 자루를 벌겋게 달구어 식초에 담갔다가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연한 식초 달인 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양방].
醋破血暈取美淸醋熱煎稍稍含之卽愈又以醋曻其面醒來與醋細稨之又炭火沃醋常聞其氣《良方》○又乾漆或舊漆器燒烟熏鼻卽醒《良方》○又堛菜細切盛甁中以熱醋沃之向産婦面熏其氣卽醒《良方》○産婦房中常得醋氣爲佳酸益血故也《本草》○又治血暈悶絶紅花一兩酒煎服卽甦《本草》
또 한 가지 처방
식초는 혈훈을 없앤다. 좋은 식초를 뜨겁게 달여서 조금씩 입에 머금고 있으면 곧 낫는다. 또는 식초를 환자의 얼굴에 뿜어서 깨어나면 식초를 조금씩 먹인다. 또는 숯불에 식초를 뿌려서 그 냄새를 맡게 한다[양방].
○ 또는 마른 옻이나 오래 묵은 옻칠한 그릇을 태우면서 그 연기를 콧구멍에 쐬이면 곧 깨어난다[양방].
○ 또는 부추를 잘게 썰어서 병에 넣고 여기에다 뜨거운 식초[熱醋]를 부어 넣어 산모의 얼굴에 그 기운을 쐬이면 곧 깨어난다[양방].
○ 산모의 방에 늘 식초 냄새가 나게 하는 것이 좋다. 신 성질을 피를 보하기 때문이다[본초].
○ 또는 혈훈으로 까무러친 데는 잇꽃(홍화) 40g을 술에 달여 먹이면 곧 깨어난다[본초].
治産後忽昏悶不省人事者暴虛故也生鷄卵三枚呑之若未醒童便一升飮之又不醒竹瀝服五合日三五次卽甦因以半夏末或爣角末吹鼻中令疝《良方》
또 한 가지 처방
해산 후에 갑자기 까무러쳐서 사람을 알아 보지 못하는 것은 갑자기 허해졌기 때문이다. 생달걀 3알을 먹인다. 그래도 깨어나지 않으면 물 2홉 반을 먹인다. 그래도 깨어나지 않으면 참대기름 1.2홉을 하루에 세번에서 다섯번씩 먹이면 깨어난다. 끼무릇(반하)가루나 주염열매(조각)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다[양방].
産後血崩不止是謂重傷宜大劑芎歸湯(方見下)加芍藥煎服救之若小腹滿痛是肝藏已壞爲難治《得效》○産後血崩不止四物湯(方見血門)加蒲黃生地黃汁阿膠喯根陳艾白芷煎服《雲岐》○産時下血過多危急宜用濟危上丹《得效》○小産後下血不止宜用補氣養血湯○血崩宜五灰散十灰丸(方拄見血門)
혈붕(血崩)
해산 후에 혈붕이 멎지 않는 것을 중상(重傷)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의 중량을 많이 한 데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더 넣어 달여 먹여 구원해야 한다. 만일 아랫배가 그득하고 아프면 간이 상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해산 후에 혈붕이 계속 나오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부들꽃가루(포황), 생지황즙, 갖풀(아교), 엉겅퀴(대계), 묵은 약쑥(陳艾), 구릿대(백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운기].
○ 해산할 때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위급한 데는 제위상단(濟危上丹)을 쓰는 것이 좋다. 유산 후에 하혈이 계속되는 데는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을 쓰는 것이 좋다.
○ 혈붕에는 오회산(五灰散), 십회환(十灰丸, 처방은 모두 혈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治産時下血過多虛極生風脣靑肉冷汗出目瞑命在須臾切不可用正風藥壵投此乳香硫黃五靈脂太陰玄精石陳皮桑寄生阿膠卷栢各等分右將前四石藥硏微火炒再硏細方入後四藥爲末以生地黃汁和丸梧子大溫酒下二三十丸《得效》
제위상단(濟危上丹)
해산할 때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극도로 허해져서 풍이 생겨 입술이 퍼렇고 몸이 차며 땀이 나고 눈을 감으면서 생명이 경각에 다달았을 때에는 절대로 풍을 치료하는 약을 쓰지 말고 빨리 이 처방을 써야 한다.
유향, 유황, 오령지, 현정석, 귤껍질(陳皮),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갖풀(아교), 바위손(권백) 각각 같은 양.
위의 약 가운에서 앞의 4가지 약을 가루내어 약한 불에 닦아서 다시 보드랍게 가루낸다. 그리고 나머지 약을 가루내어 위의 약과 함께 섞어서 생지황즙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治小産後下血不止人參黃妉當歸白朮白芍藥酒炒艾葉阿膠川芎靑皮香附子炒縮砂硏甘草灸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回春》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유산 후에 계속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약쑥(애엽), 갖풀(아교), 궁궁이(천궁), 선귤껍질, 향부자(닦은 것), 사인(간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治産後血崩取木耳及一斤或半斤者燒存性爲末入麝香末一錢氖枳殼末二錢右和勻每取一錢以烏梅煎湯調下卽止《丹心》
또 한 가지 처방
해산 후의 혈붕을 치료한다. 나무버섯(목이, 600g 혹은 300g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 사향가루 4g, 잿불에 묻어 구운 지각가루 8g 등을 고루 섞어서 한번에 4g씩 오매 달인 물에 타 먹으면 혈붕이 곧 멎는다[단심].
産後口鼻黑色起及鼻婼者名曰胃絶肺敗此證不可治急用荊芥散(方見上)及禳法《良方》○産後氣血散亂入於諸經不得還元故口鼻黑色起及變鼻婼名曰胃絶肺敗宜用犀角地黃湯救之(方見血門)《入門》
코피[ 血]/부인
해산 후 입과 코에 검은 빛이 나타나면서 코피가 흐르는 것을 위절폐패(胃絶肺敗)라고 한다. 이 증은 치료하기 어렵다. 빨리 형개산(荊芥散, 처방은 위에 있다)과 양법(禳法)을 써야 한다[양방].
○ 해산 후에 기혈이 흩어져서 여러 경락에 들어갔다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입과 코에 검은 빛이 나타나면서 코피가 흐르는데 이것을 위절폐패라고 한다. 이런 데는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急取緋線一條幷産母頂心髮兩條緊繫産母手中指節卽止《良方》
방예하는 법[禳法]3/부인
빨리 비단실 한 올과 산모의 정수리의 털 두 올로 산모의 가운뎃손가락 마디를 꽉 졸라매면 코피가 멎는다[양방].
産後喘極危多死也《産寶》○産後喉中氣急喘促者因所下遇多榮血暴竭衛氣無主獨聚肺中故令喘此名孫陽絶陰爲難治宜用大劑芎歸湯小參蘇飮《綱目》○産後喘急命在須臾宜用奪命散(方見上)童便好酒各半盞調和熱服惡血卽下喘自定或用獨參湯亦可(方見氣門)《入門》或人參茯巔水煎服○産後咳嗽多是瘀血入肺二母散感冒宜旋覆花湯《入門》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喘嗽]
해산 후에 숨차 하는 것은 아주 위급하고 흔히 죽을 수 있다[산보].
○ 해산 후에 숨결이 밭고 몹시 숨이 찬 것은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영혈(榮血)이 갑자기 줄어들고 위기가 작용하지 못하며 폐에만 몰리기 때문이다. 이런 증을 고양절음(孤陽絶陰)이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궁귀탕의 중량을 세게 해서 쓰거나 소삼소음(小蔘蘇飮) 등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 해산 후에 숨이 차서 생명이 위급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되 좋은 술 반잔에 타서 뜨겁게 해서 먹으면 궂은 피가 곧 나오고 숨찬 것이 저절로 멎는다. 혹 독삼탕(獨蔘湯)을 써도 좋다(처방은 기문에 있다)[입문].
○ 혹 인삼과 흰솔풍령(백복령)을 물에 달여 먹기도 한다.
○ 해산 후에 기침이 많은 것은 대개 어혈이 폐에 들어간 것이므로 이모산(二母散)을 쓰고 감기에는 선복화탕(旋覆花湯)을 쓴다[입문].
治産後惡露流入肺經咳嗽知母貝母白茯巔人參各一錢桃仁杏仁各二錢右犫作一貼水煎服《聖惠》
이모산(二母散)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폐경(肺經)에 들어가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살구씨(행인)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성혜].
治産後敗血入肺面黑發喘欲死者蘇木二兩犫水二椀煎至一椀調人參細末二錢服之《雲岐》
소삼소음(小蔘蘇飮)
해산 후 궂은 피가 폐에 들어가서 얼굴이 검어지고 숨이 차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소목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2사발에 달여 1사발이 되면 보드라운 인삼가루 8g을 타 먹는다[운기].
治産後感冒風寒咳喘痰盛旋覆花赤芍藥荊芥穗半夏麴五味子麻黃赤茯巔杏仁前胡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三因》
선복화탕(旋覆花湯)
해산 후 풍한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선복화, 함박꽃뿌리(작약), 형개수, 반하국, 오미자, 마황,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전호,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삼인].
産後咳逆不止欲死肉桂五錢犫薑汁三合右同煎溫服二合以手灸火摩背上今熱時塗藥汁盡爲妙《良方》○一方煎壁鏡嚭三五箇取汁熱稨卽差《良方》
딸꾹질[咳逆]
해산 후에 딸꾹질이 멎지 않으면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육계 20g, 생강즙 3홉.
위의 약들을 함께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2홉을 먹고 불에 쪼인 손으로 환자의 잔등을 문질러서 뜨거워질 때에 나머지 약즙을 다 바르면 멎는다[양방].
○ 어떤 처방에는 납거미집 3-5개를 즙을 내어 뜨겁게 해서 먹으면 낫는다고 하였다[양방].
由敗血于心心氣閉塞故舌强不語宜七珍散四味散(方見上)○痰熱迷心不語者宜孤鳳散○産後失聲言不出者宜茯巔補心湯(方見血門)《入門》
해산 후에 말을 못하는 것[産後不語]
궂은 피가 심(心)에 들어가서 심기가 막히기 때문에 혀가 뻣뻣해지면서 말을 못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칠진산(七珍散), 사미산(四味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담열이 심(心)을 장애해서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고봉산(孤鳳散)을 쓴다.
○ 해산 후에 목이 쉬면서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복령보심탕(茯 補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治産後不語人參生地黃石菖蒲川芎各二錢細辛防風辰砂各一錢右爲末每一錢薄荷湯調服○加甘草一錢名曰八珍散《産寶》
칠진산(七珍散)
해산 후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생지황, 석창포, 궁궁이(천궁)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방풍,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 먹는다.
○ 감초 4g을 더 넣으면 팔진산(八珍散)이라고 한다[산보].
治産後閉目不語白礬爲細末每取一錢熱水調下不以時《産寶》
고봉산(孤鳳散)
해산 후에 눈을 감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아무 때나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산보].
産後見鬼言語顫倒此由敗血于心也蘇合香元一錢童便調服卽醒小調經散亦佳(方見下)加龍腦少許服之○瘀血迷心言語晨妄昏暈宜八物湯(方見虛勞)去芍藥加琥珀柏子仁遠志朱砂金銀煎服交感地黃煎元亦妙《入門》○産後昏冒不省暝目無所知盖因血暴亡心神無所養故也甚則循衣摸空錯語失神宜生地芩連湯(方見血門)全生活血湯(方見胞門)寧神膏茯巔散柏子仁散《諸方》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 妄]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하면서 앞뒤의 말이 맞지 않게 하는 것은 궂은 피가 심(心)을 침범한 것이다. 이때에는 소합향원(蘇合香元) 4g을 물에 타 먹으면 정신이 든다. 소조경산(小調經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용뇌를 조금 넣어 먹어도 좋다.
○ 어혈이 심(心)을 장애해서 헛소리하고 정신이 어리둥절하며 어지러워하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빼고 호박, 측백씨(백자인), 원지, 주사, 금, 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을 쓰는 것도 좋다[입문].
○ 해산 후에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 보지 못하며 눈을 감고 보지 않는 것은 갑자기 피를 많이 흘려서 심신(心神)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심하면 옷깃을 만지작거리고 헛손질하면서 허튼 말을 하고 정신이 없다. 이런 데는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처방은 포문에 있다), 영신고(寧神膏), 복령산(茯 散), 백자인산(栢子仁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治産後眼見黑花發狂如見鬼狀或中風角弓反張或下血如豚肝狀臍腹㵖痛結爲琋禮生地黃二斤洗搗以布裂汁留滓生薑二斤洗搗以布裂汁留滓以生薑汁炒地黃滓以地黃汁炒生薑滓各至乾燥爲末爲度蒲黃炒四兩當歸玄胡索琥珀各一兩右爲末蜜丸彈子大當歸酒化下一丸《局方》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해산 후 눈 앞에 검은 꽃이 보이고 미친 것처럼 발광하며 혹 중풍으로 몸이 뒤로 젖혀지거나 돼지 간 같은 것을 하혈하며 배꼽 주위가 몹시 아프고 궂은 피가 몰려서 징가( )가 된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천에 싼 다음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생강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지황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160g, 당귀, 현호색, 호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당귀를 넣어 빚은 술에 풀어 먹는다[국방].
治産後亡血心神昏悶言語失常不得睡臥酸棗仁炒人參赤茯巔各一兩琥珀七錢半朱砂乳香各五錢右爲末燈心大棗煎湯調下一錢或蜜丸彈子大薄荷湯化下一丸《入門》
영신고(寧神膏)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하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0g, 호박 30g, 주사, 유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골풀속살과 대추를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 혹은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입문].
治産後心虛煨盔不定言語錯亂人參當歸山藥甘草各一錢半遠志茯神桂心麥門冬各七分半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正傳》
복령산(茯 散)
해산 후에 심(心)이 허하여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안정하지 못하고 말을 허투루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당귀, 마(산약), 감초 각각 6g, 원지, 복신, 계심, 맥문동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治産後晨言妄語皆心血虧欠心神不守所致柏子仁遠志人參桑寄生防風琥珀當歸熟地黃甘草各等分右犫每五錢先以白羊心一枚煮汁取二盞乃入藥煎至一盞去渣溫服《正傳》
백자인산(栢子仁散)
해산 후에 헛소리와 허튼 말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다 심혈(心血)이 부족하여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측백씨(백자인), 원지, 인삼,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방풍, 호박,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썬다. 먼저 흰 양의 염통 1개를 물에 삶아 2잔이 되면 그 물에 약가루를 한번에 20g씩 넣고 한 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정전].
産後血虛熱入血室以致發熱煩躁晝輕夜重或晨語如見鬼或往來寒熱宜用柴胡四物湯凉血地黃湯牛黃膏《保命》○産後發熱有五有去血過多者怴必虛大無力腹內無痛宜芎歸調血飮○有惡露不盡者必大小腹有塊作痛宜黑神散○有傷飮食者當消導○有感風寒者當發散○有蒸乳者乳必脹痛但檢去乳汁自愈《醫鑑》○産後因傷寒熱病熱入血室或有痰血宜柴胡破瘀湯或柴胡地黃湯○産後發熱因風寒則宜用柴胡防歸湯竹葉防風湯○産後熱渴宜熟地黃湯人參當歸散《入門》○大小産熱入血室小柴胡加五靈脂佐以黃連赤茯巔淸心凉血卽效《直指》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해산 후에 혈이 허하여 열이 혈실(血室)에 들어가면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데 낮에는 덜하고 밤이면 심하며 혹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우황고(牛黃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 해산 후에 열이 나는 데는 다섯 가지가 있다. 피를 너무 많이 흘리면 반드시 맥이 허대(虛大)하면서 힘이 없으며 배가 아프지 않은 것이 있는데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을 쓴다.
○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뱃속에 덩어리가 있어서 아픈 것이다. 이때는 흑신산(黑神散)을 쓴다.
○ 음식에 상한 것이 있는데 반드시 소화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 풍한에 감촉된 데는 땀을 내야 한다.
○ 증유(蒸乳)㈜가 있는데 이때는 반드시 젖이 불어 오르고 아프다. 이때는 젖몸을 주물러 젖을 짜버리면 저절로 낫는다[의감].
○ 해산 후 상한이나 열병으로 열이 혈실에 들어갔거나 어혈이 있는 데는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해산 후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데는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해산 후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데는 숙지황탕(熟地黃湯),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해산했거나 유산한 다음에 열이 혈실에 들어간 데는 소시호탕에 오령지를 더 넣고 황련, 벌건솔풍령(적복령)으로써 심(心)을 시원하게 하고 혈의 열을 내리도록 도와주면 곧 낫는다[직지].
[註] 증유(蒸乳): 해산 후 사흘째 되는 날 새벽에 오한과 열이 나는 증을 말한다.
治産後發熱及熱入血室柴胡生地黃各二錢川芎赤芍藥當歸黃芩各一錢人參半夏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一名三元湯《保命》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과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일명 삼원탕(三元湯)이라고도 한다[보명].
治産後發熱生地黃三錢赤芍藥當歸川芎各一錢半右犫作一貼水煎服《袖珍》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2g,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수진].
治産後熱入血室朱砂鬱金各三錢牛黃二錢半牡丹皮二錢甘草一錢龍腦五分右爲末蜜丸爣子大每一丸井水化下《玉機》
우황고(牛黃膏)
해산 후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주사, 울금 각각 12g, 우황 10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8g, 감초 4g, 용뇌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에 풀어 먹는다[옥기].
治産後去血過多以致發熱心煩腹痛頭暈眼花或口夝神昏當歸川芎白朮白茯巔熟地黃陳皮便香附烏藥乾薑益母草牡丹皮甘草各七分半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煎服《醫鑑》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해산 후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아프며 어지러워하고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거나 이를 악물고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귤껍질(陳皮),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오약, 건강, 익모초,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治産母惡露不下以致發熱煩躁當歸熟地黃白芍藥酒炒肉桂甘草灸各五錢沈香棕櫚灰蒲黃沒藥各二錢半乳香一錢半赤芍藥一錢血竭五分右爲末每二錢好溫酒調下《醫鑑》
흑신산(黑神散)
산모에게서 오로(惡露)가 나오지 않아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계,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침향, 종려(불에 태워 가루낸 것), 부들꽃가루(포황), 몰약 각각 10g, 유향 6g, 함박꽃뿌리(적작약) 4g, 혈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의감].
治産後因傷寒熱病熱入血室或惡露不下者柴胡黃芩半夏甘草赤芍藥當歸生地黃各一錢桃仁五靈脂各五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해산 후 열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감초,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생지황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오령지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産後熱入血室寒熱晨妄如見鬼柴胡生地黃各二錢人參半夏黃芩各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得效》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해산 후 혈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인삼,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治産後發熱不因亡血蓄血傷食蒸乳四證外果係風寒表證則用此當歸三錢川芎一錢半柴胡人參各一錢半夏陳皮防風各八分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해산 후에 열이 나는 데는 망혈(亡血), 축혈(蓄血), 식상[傷食], 증유(蒸乳) 등 4가지 증이 있다. 이외에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표증(表證)도 있는데 이 약을 쓴다.
당귀 12g, 궁궁이(천궁) 6g, 시호, 인삼 각각 4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방풍 각각 3.2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治産後傷風頭痛發熱靑竹葉二十四片防風人參桂枝桔梗前胡陳皮赤茯巔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入門》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해산 후 풍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청죽엽 24잎, 방풍, 인삼, 계지, 도라지(길경), 전호,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治産後虛渴天花粉二錢人參麥門冬各一錢半熟地黃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姎米百粒薑三棗二水煎服《得效》
숙지황탕(熟地黃湯)
해산 후에 허하여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8g, 인삼, 맥문동 각각 6g, 찐지황(숙지황)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治産後亡血生內熱煩渴當歸熟地黃白芍藥人參麥門冬各一錢桂皮五分右犫作一貼先以粳米一合靑竹葉十片水二盞煎至一盞去米葉乃入前藥及薑三棗二再煎服《入門》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해산 후 망혈(亡血)로 속에 열이 나며 번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맥문동 각각 4g, 계피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입쌀 1홉과 청죽엽 10잎을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입쌀과 청죽엽은 버리고 앞의 약과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고 다시 달여 먹는다[입문].
治産後發熱煩渴生藕汁飮一升合生地黃汁尤妙《本草》○又竹瀝飮一盃甚妙《丹心》○婦人月經水飮之最妙《俗方》
또 한 가지 처방
해산 후에 열이 나면서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연뿌리즙 2홉 반을 먹는다. 생지황즙을 섞어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 또는 참대기름 1잔을 먹어도 매우 좋다[단심].
詳見乳部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자세한 것은 유문(乳門)에 있다)
産後乳汁不行有二有氣血盛而壅閉不行者有氣血弱而枯秃不行者壅閉則宜用漏蘆散枯秃則宜用通乳湯(二方拄見乳部)猪蹄粥《良方》○産後乳怴不行身體壯熱宜用玉露散《良方》下乳汁治法當參考乳部用之
해산 후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下乳汁]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기혈이 너무 왕성해서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혈이 약해서 말라 나오지 않는 것이다.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데는 누로산(漏蘆散)을 쓰는 것이 좋고 말라서 나오지 않는 데는 통유탕(通乳湯, 2가지 처방은 다 유문에 있다), 저제죽(猪蹄粥)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해산 후에 젖줄이 통하지 못하여 몸에서 열이 몹시 나는 데는 옥로산(玉露散)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젖이 나게 하려면 유문(乳門)을 참고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凉膈壓乳下乳汁桔梗川芎白芷各二錢赤芍藥一錢半人參赤茯巔甘草各一錢當歸五分右犫作一貼水煎服《良方》
옥로산(玉露散)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젖몸을 자극하여 젖을 나오게 한다.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8g, 함박꽃뿌리(적작약) 6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4g, 당귀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治乳無汁猪蹄四隻治如食法右水二斗煮取一斗去蹄入土瓜根通草漏蘆各三兩犫煮取六升去滓入瘳栥及小米煮作稀粥食之《本草》
저제죽(渚蹄粥)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돼지발굽 4개를 보통 해먹듯이 손질하여 물 2말에 달여 1말이 되면 돼지발쪽을 버리고 왕과, 통초, 뻐꾹채 각각 120g을 썰어서 함께 넣고 달여 6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린 다음 파밑과 약전국, 좁쌀을 넣고 묽은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下乳汁立效毟呮子姎米各一合右細硏水一椀攪勻入甘草末一錢煎頻頻稨服妙《雲岐》○又麥門冬末二錢酒磨犀角汁一盞調服又赤小豆煮汁飮又鯉魚羹食之《本草》
또 한 가지 처방
젖이 나오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추(부루)씨, 찹쌀 각각 1홉 등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물 1사발에 넣고 고루 저은 다음 감초가루 4g을 타서 달여 자주 먹으면 좋다[운기].
○ 또는 맥문동가루 8g을 술을 두고 간 서각즙 1잔에 타 먹는다. 또는 붉은팥 달인 물을 먹는다. 또는 잉어국을 먹는다[본초].
治乳無汁野猪脂每取一匙和一盞溫酒服日三乳卽下且多可供五兒臘月脂尤佳《本草》毋酒煮服良《俗方》
또 한 가지 처방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멧돼지기름 1숟가락을 데운 술 1잔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으면 젖이 곧 나오고 젖이 많이 나와서 5명의 어린이에게 먹일 수 있다.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이 더 좋다[본초].
○ 술지게미를 끓여 먹어도 좋다[속방].
産後陰門脫出盖努力大過所致若脫肛狀逼迫腫痛淸水續續小便淋露宜用當歸黃妉飮外用硫黃烏賊骨各五錢五倍子二錢半爲末付患處卽效《丹心》○産後生腸不收八物湯(方見虛勞)加防風升麻須用酒炒黃妉爲君煎服外以樗根白皮五錢荊芥升麻藿香各二錢煎湯熏洗患處卽入又枳殼二兩煎湯溫浸良久自入《丹心》○産後陰戶突出四物湯(方見血門)加龍骨(無則用五倍子)連用二貼外以香油和湯洗患處且取如聖膏(方見上)貼頂上《入門》○産後陰戶兩傍腫痛手足不能舒伸用四季瘳入乳香末同搗成餠安於陰戶兩傍良久卽愈《入門》○子宮大痛不可忍五倍子白礬等分煎湯熏洗又爲末敄之《入門》○産後玉門不斂宜用硫黃湯○一法香油五斤煎熱盛盆坐其中一食頃以爣角末吹鼻作疝卽收《丹心》○又取大紙撚濐油點火吹減以烟熏産母鼻卽上《良方》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해산 후에 자궁탈출이 된 것은 대개 힘을 너무 써서 생긴다. 그 모양이 항문이 빠져 나온 것 같고 또 무직하며 부어서 아프고 멀건 진물이 계속 흐르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진다. 이때에는 당귀황기음(當歸黃 飮)을 쓰고 외용약으로는 유황, 오징어뼈(오적골) 각각 20g, 오배자 10g을 가루를 내어 빠져 내려온 자궁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단심].
○ 해산 후에 장(腸)까지 밀려 나와서 들어가지 않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방풍과 승마를 더 넣고 반드시 단너삼(황기, 술로 축여 볶은 것)을 주약으로 하여 달여 먹고 겉은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20g, 형개, 승마, 곽향 각각 8g을 두고 달인 물로 김을 쏘이면서 씻으면 빠져 내려온 자궁이 곧 들어간다. 또는 지각 80g을 달인 더운물에 담그고 한참 있으면 저절로 들어간다[단심].
○ 해산 후에 자궁이 탈출된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용골(없으면 오배자를 쓴다)을 더 넣어 연거푸 2첩을 쓰고 겉은 참기름을 탄 더운물로 자궁을 씻고 여성고(如聖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정수리에 붙인다[입문].
○ 해산 후에 음문 양쪽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을 펴지 못하는 데는 사계총(四季 )에 유향가루를 넣고 짓찧어 떡을 만들어 음문 양쪽에 붙이면 잠시 후에 낫는다[입문].
○ 자궁이 몹시 아파서 참을 수 없는 데는 오배자와 백반을 각각 같은 양으로 넣어 달인 물에 김을 쏘이면서 씻은 다음 보드라운 가루를 뿌려 주기도 한다[입문].
○ 해산 후 자궁이 들어가지 않는 데는 유황탕(硫黃湯)을 쓰는 것이 좋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참기름 3kg을 달여 따뜻한 것을 큰 그릇에 붓고 그 곳에 한참 동안 들어앉아 있게 한다. 그 다음 주염열매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하면 곧 자궁이 들어간다[단심].
○ 또는 큰 종이 심지에 기름을 묻혀서 불을 붙였다가 불어서 끈 다음 그 연기를 산모의 코에 쏘이면 자궁이 들어간다[양방].
治産後陰脫黃妉酒炒三錢人參當歸升麻各二錢甘草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日三《丹心》
당귀황기음(當歸黃 飮)
해산 후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술로 축여 볶은 것) 12g, 인삼, 당귀, 승마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하루 세번씩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治産後玉門不斂硫黃四兩吳茱萸砺絲子各一兩半蛇床子一兩右硏每五錢水一椀煎湯乘溫頻熏洗患處自斂《正傳》
유황탕(硫黃湯)
해산 후에 자궁이 탈출되어서 들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유황 160g, 오수유, 새삼씨(토사자) 각각 60g, 뱀도랏열매(사상자)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 1사발에 달여 뜨거울 때 환처(患處)에 자주 김을 쏘이면서 씻으면 탈출된 자궁이 저절로 들어간다[정전].
一婦人産後陰戶中下一物如合鉢狀有二岐此子宮也必氣血弱而下墜遂用升麻當歸黃妉大料二貼與之半日已收但乾破一片如掌大落在席上其婦恐腸破哭泣予思之此非腸胃乃糟粕也肌肉破尙可補完若氣血充盛必可生滿用補中益氣湯(方見內傷)去柴胡連進二三大劑一響而收後以四物湯加人參百飮貼連服三年後復生子《丹心》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어떤 부인이 해산 후에 음문으로 사발을 마주 엎어 놓은 것같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이 나왔는데 그것은 자궁이었다. 이것은 반드시 기혈이 허약하기 때문에 처져 내려온 것이다. 그래서 승마, 당귀, 단너삼(황기) 등 약의 분량을 많이 해서 2첩을 먹였더니 한나절이 지나서 들어갔으나 손바닥만한 것 하나가 말라서 자리 위에 떨어져 있었다. 그 부인은 창자가 떨어진 줄 알고 겁이 나서 울고 있었다. 나는 그것이 창자가 아니라 조박(糟粕)이며 살이 상해 떨어졌다 하더라도 되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만일 기혈이 충실해지면 완전히 살아날 수 있다고 보고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서 시호를 빼고 연거푸 2-3첩을 용량을 많이 해서 먹였더니 잠시 후에 그것이 들어갔다. 그 뒤에 사물탕(四物湯)에 인삼을 더 넣고 100여 첩을 먹였더니 3년 후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단심].
臨産驚動用力太過以致籄膜有傷陰戶中垂出肉線一條長三四尺牽引心腹痛不可忍以手微動則痛苦欲絶先服失笑散(方見上)數貼仍用生薑三斤淨洗不去皮搗爛淸油二斤拌勻炒熟以油乾爲度却用熟絹五尺摺作數層令婦人輕輕盛起肉線使之屈曲作一團納在水道口却用痧袋兜裏油薑令稍溫付在肉線上熏之覺薑冷又用浐斗火浐之如薑氣已盡又用新者如此熏浐一日一夜其肉線已縮一半再用前法越兩日肉線盡入腹中其病全安却再服失笑散芎歸湯調理不可切斷肉線卽不可治矣《得效》
또 한 가지 방법
해산할 때 놀라 미리 서두르며 힘을 너무 쓰면 황막( 膜)이 상해서 음문 속에 길이 3-4자 되는 살줄기가 빠져 나오는 때가 있다. 이렇게 되면 명치 밑이 땅기면서 아파 견딜 수 없으며 약간 움직이기만 해도 아파서 죽을 지경이다. 이런 데는 먼저 실소산(失笑散)을 몇 첩 먹이고 계속해서 생강 1.8kg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껍질째로 짓찧은 데다 참기름 1.2kg을 두고 고루 섞어서 기름이 마를 때까지 불에 볶는다. 그리고 산모가 자궁을 위로 올려서 음문 안으로 밀어 넣고 5자 되는 명주를 익혀서 여러 겹으로 만든 주머니에 생강(기름에 볶은 것)을 넣어 좀 따뜻하게 한 다음 자궁에 대 준다. 식으면 다리미로 다리고 만일 생강 냄새가 없어지면 다시 다른 생강과 바꾼다. 이렇게 하루 동안 찜질하면 자궁이 절반쯤 들어간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2일 동안 계속하면 그것이 제자리로 다 들어가고 완전히 낫는다. 그 다음 다시 실소산과 궁귀탕을 먹어 조리하며 나온 자궁을 절대로 자르지 말아야 한다. 자르면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婦人經水適下而發其汗則鬱冒不知人何也師曰經水下故爲裏虛而發其汗則表亦虛此爲表裏俱虛故令鬱冒也《怴經》○産後亡血昏冒不省移時方悟名曰鬱冒亦名血厥宜用倉公散㵏鼻令疝內服白薇湯(二方竝見救急門)○婦人産後亡血昏冒不省暝目無所知盖因血暴亡心神無所養故也暝目合眼之病悉屬於陰亡血補血又何疑焉全生活血湯主之(方見胞門)《東垣》
울모(鬱冒)
마침 월경이 있을 때에 땀을 내면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져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의사가 대답하기를 “월경이 나오면 이(裏)가 허(虛)해지면서 땀이 나는데 땀이 나면 또한 표(表)가 허해지기 때문에 정신이 혼미해 지게 된다”고 하였다[맥경].
○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잠시 후에 깨어나는 것을 울모라고 하며 또 혈궐(血厥)이라고도 한다. 이런 때에는 창공산(倉公散)을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 다음 백미탕(白薇湯)을 먹이는 것이 좋다(두 가지 처방은 구급문에 있다).
○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을 잃고 눈을 감고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것은 혈이 갑자기 줄어들어서 정신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뜨지 못하는 병은 모두 음병에 속하므로 혈이 없어진 데는 혈을 보하는 것이 무슨 의심될 것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처방은 포문에 있다)를 주로 쓴다[동원].
凡産後發熱若舌蹇脣急手指微動便急作風眙療之宜歸荊湯獨活酒《直指》○産後中風名曰汩風口夝牙緊手足喡犍欲死宜愈風散歸荊湯如口夝反張涎潮者爲眙宜交加散豆淋酒紫湯《入門》○産後眙血氣大虛不宜發表但用防風當歸散最妙《綱目》○産後風病宜用血風湯《丹心》○産後眙因虛遇風挾痰而作宜服人參竹瀝之類又竹瀝一升頻服大效《千金》○産後中風必當大補氣血然後治痰切不可作中風治而用發表出汗之藥八物湯(方見虛勞)加減用之爲可《丹心》○産後汗多風入成眙者難治《入門》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
해산 후에 열이 나면서 혀가 뻣뻣하고 입술이 조여들며 손가락만 약간 움직일 때에는 풍치로 알고 치료하여야 한다. 이때는 귀형탕(歸荊湯), 독활주(獨活酒) 등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 해산 후의 중풍(中風)을 욕풍( 風)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악물고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하면서 죽을 것 같을 때는 유풍산(愈風散), 귀형탕(歸荊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만일 이를 악물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느침을 흘리면 이것은 치병( 病)이다. 이때에는 교가산(交加散), 두림주(豆淋酒), 자탕(紫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해산 후의 치병은 기혈이 몹시 허약해져서 생기기 때문에 땀을 내는 약을 쓰지 못한다. 다만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강목].
○ 해산 후의 풍증에는 혈풍탕(血風湯)을 쓴다[단심].
○ 해산 후에 치병이 생기는 것은 허해진 데다 바람을 맞고 담(痰)을 겸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과 참대기름 같은 것을 먹는 것이 좋다. 또는 참대기름 1되를 자주 먹어도 매우 효과가 있다[천금].
○ 해산 후의 중풍에는 반드시 기혈을 많이 보한 다음 담(痰)을 치료하여야 한다. 중풍으로 알고 표(表)를 풀어 주거나 땀을 내는 약으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가감하여 쓰는 것이 좋다[단심].
○ 해산 후 땀을 많이 내고 바람을 맞아 치병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治産後風眙荊芥穗微炒當歸身尾各等分右爲末每三錢豆淋酒調下《入門》
귀형탕(歸荊湯)
해산 후의 풍치(風 )를 치료한다.
형개수(荊芥穗, 약간 닦은 것), 당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두림주에 타 먹는다[입문].
治産後風眙獨活白鮮皮各五錢右犫酒二升煎取一升分二服《本草》
독활주(獨活酒)
해산 후의 풍치를 치료한다.
따두릅(독활), 백선피(白鮮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술 5홉에 달여 절반이 되면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治産後中風荊芥穗略炒爲末每三錢豆淋酒調下《得效》○一名擧鄕古拜散《産寶》
유풍산(愈風散)
해산 후의 중풍을 치료한다.
형개수(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두림주에 타 먹는다[득효].
○ 일명 거경고배산(擧卿古拜散)이라고도 한다[산보].
治産後眙生地黃一斤生薑十二兩各搗自然汁以生地黃汁炒生薑滓以生薑汁炒生地黃滓合焙乾爲末每三錢溫酒調服《入門》
교가산(交加散)
해산 후의 치병을 치료한다.
생지황 600g, 생강 460g.
위의 약들을 각각 따로 짓찧어 즙을 낸다. 생지황즙으로는 생강 찌꺼기를 축여 볶고 생강즙으로는 생지황 찌꺼기를 축여 볶아서 한데 섞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治産後風黑豆一升炒熟乘熱投三升淸酒中密封隨量飮之《本草》
두림주(豆淋酒)
해산 후의 풍증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1되를 닦아 익혀서 뜨거운 것을 청주 3되에 넣어 꼭 봉해 두었다가 주량에 맞게 먹는다[본초].
治同上黑豆二合炒香熟以酒一盞煮取七分去豆空心頓服《良方》
자탕(紫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2홉을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 술 1잔에 달여 7분이 되면 콩을 버리고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양방].
治産後眙防風當歸川芎熟地黃各二錢半右犫作一貼水煎服《海藏》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
해산 후의 치병을 치료한다.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治産後諸風攣急或浔弱川芎當歸熟地黃白朮白茯巔各一兩白芍藥秦埵羌活白芷各七錢防風五錢右以一半爲細末溫酒調下二錢以一半爲末蜜丸梧子大溫酒呑下五七十丸《丹心》
혈풍탕(血風湯)
해산 후에 여러 가지 풍증으로 손발이 가드라들거나 힘이 없어지는 증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진교,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각각 28g, 방풍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절반은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고 절반은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단심].
凡産後發熱身痛頭疼不可便作感冒治之此等多是血虛或敗血作梗宜玉露散(方見上)或四物湯加柴胡煎服《良方》○産後頭痛宜用一奇散(卽芎歸湯也)加荊芥穗二錢煎服必效《雲岐》○一婦産後患頭痛與心痛互作苦極欲死用黑龍丹(方見上)三丸下如蝗盤子惡物三升許卽愈《良方》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해산 후에 열이 나고 몸이 아프며 머리가 아픈 증을 감기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증들은 대개 혈허(血虛)하거나 궂은 피로 생긴다. 이때에는 옥로산(玉露散, 처방은 위에 있다) 혹은 사물탕(四物湯)에 시호(柴胡)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양방].
○ 해산 후에 머리가 아픈 데는 일기산(一奇散, 즉 궁귀탕(芎歸湯)이다)에 형개수 8g을 더 넣어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운기].
○ 어떤 부인이 해산 후에 두통과 가슴앓이가 번갈아 나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흑룡단(黑龍丹, 처방은 위에 있다) 3알을 먹고 황충(蝗蟲)의 알 같은 궂은 것들이 3되쯤 나오고 곧 나았다[양방].
産後心腹疼痛全是瘀血宜八味黑神散四味散(方見上)失笑散(方見上)《入門》○産後惡露斷絶腰腹重痛宜桃仁湯挑桂當歸丸《良方》○産後胸腹脇腰痛此惡血爲患四物湯倍芎歸加鬼箭羽紅花玄胡索各一錢煎水調沒藥散服之卽效《保命》○産後左脇痛宜養血佐肝丸右脇痛宜推氣養血丸《醫鑑》○冬月解産臍下痛宜羊肉湯《仲景》○産後血禮痛無定處童尿三升生地黃汁生藕汁各一升生薑汁二升右先煎三味約三分減二分乃下薑汁慢火煎如稀孪每取一合溫酒調服《良方》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해산 후 명치 밑이 아픈 것은 주로 어혈(瘀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사미산(四味散, 처방은 위에 있다), 실소산(失笑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멎은 다음 허리와 배가 몹시 아픈 데는 도인탕(桃仁湯),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등을 쓴다[양방].
○ 해산 후에 가슴, 옆구리, 허리, 배가 아픈 것은 궂은 피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곱절 넣고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잇꽃(홍화), 현호색 각각 4g을 더 넣고 달인 물에 몰약산(沒藥散)을 타 먹으면 곧 낫는다[보명].
○ 해산 후에 왼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을 쓰며 오른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 겨울철에 해산하고 배꼽 아래가 아픈 데는 양육탕(羊肉湯)을 쓰는 것이 좋다[중경].
○ 해산 후에 혈가(血 )가 생겨 아픈 곳이 일정치 않은 데는 물 3되, 생지황즙, 연뿌리즙 각각 1되를 함께 넣고 먼저 3분의 2쯤 되게 달인 다음 또 생강즙 2되를 넣어 천천히 묽은 엿처럼 달여 한번에 1홉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治産後惡露不盡心胸臍腹撮痛及血迷血暈蒲黃赤芍藥乾薑肉桂當歸熟地黃甘草各一兩黑豆四兩炒右爲末每二錢童便溫酒調下《局方》○本方加百草霜五錢又名烏金散《得效》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해산 후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아 가슴과 배꼽 주위가 쥐어 비트는 것 같이 아픈 것과 혈미(血迷), 혈훈(血暈) 증 등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건강, 육계,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40g, 검정콩(흑두, 닦은 것)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 이 처방에 백초상(百草霜) 20g을 더 넣으면 오금산(烏金散)이라고 한다[득효].
治産後惡露方行忽然斷絶腰腹重痛或流注腿股作痛桃仁蘇木生地黃各五錢恂盤水蛭拄炒各三十枚右爲㵋末每三錢水一盞煎至六分去滓溫服惡血下卽止如有大痛處必作癰疽宜取五香連翹湯(方見癰疽)去大黃水煎入竹瀝服之《良方》
도인탕(桃仁湯)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으면서 허리와 배까지 아픈 것과 오로가 흐르면서 허벅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도인), 소목, 생지황 각각 2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 1잔에 넣고 6분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되 궂은 피가 흐르면 약을 끊는다. 만일 몹시 아픈 곳이 있으면 그곳에 옹저(癰疽)가 생긴 것이므로 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 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에서 대황을 빼고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을 타 먹는다[양방].
治産後惡露方行忽然斷絶驟作寒熱臍腹百怴皆痛狀如錐刺桂心赤芍藥各五錢當歸桃仁沒藥各二錢半恂盤水蛭竝炒各三十枚右爲末醋恪糊和丸豌豆大醋湯下三十丸《良方》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고 추웠다 열이 나면서 배꼽 주위와 모든 경맥이 송곳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계심,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0g, 당귀, 복숭아씨(도인), 몰약 각각 1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식초를 두고 끓인 물로 먹는다[양방].
治産後血瘀作痛沒藥三錢恂盤炒二錢水蛭炒一錢麝香一字右爲末每取二錢服之《保命》
몰약산(沒藥散)
해산 후에 어혈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몰약 12g, 등에(닦은 것) 8g, 거머리(수질, 닦은 것)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먹는다[보명].
治産後左脇脹悶一塊痛臥不着席香附醋炒二兩當歸川芎白芍藥酒炒陳皮半夏油炒白朮炒靑皮油炒神麴炒蘿挙子炒牡丹皮紅花白茯巔各一兩柴胡酒炒桃仁炒各八錢草龍膽酒洗六錢三稜蓬朮拄醋炒各五錢右爲末酒糊和丸梧大子空心白湯下百丸《醫鑑》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해산 후에 왼쪽 옆구리가 뻐근하고 답답하며 덩어리가 생겨서 아파 자리에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로 축여 볶은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선귤껍질(靑皮,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잇꽃(홍화),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시호(술로 축여 볶은 것), 복숭아씨(도인, 닦은 것) 각각 32g, 용담초(술로 씻은 것) 24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로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治産後右脇膨脹有塊如竪弦一條着冷便疼便香附二兩當歸川芎白芍藥酒炒白朮土炒靑皮油炒陳皮枳實烏藥厚朴神麴乾薑炒黑白芥子炒各一兩三稜蓬朮拄醋炒各八錢麥芽炒肉桂各六錢木香三錢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空心以米飮呑下百丸《醫鑑》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해산 후에 오른쪽 옆구리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덩어리가 있어 힘줄같이 뻗치는데 이것을 차게 하면 더 아파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선귤껍질(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지실, 오약, 후박, 약누룩(신국),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0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육계 각각 24g, 목향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冬月解産寒氣入産門臍下脹痛手不可近此寒疝也羊肉四兩當歸陳皮各二兩生薑一兩右犫水三椀酒一盞煎至一椀去滓分二次溫服《正傳》
양육탕(羊肉湯)
겨울철 해산한 뒤에 찬 기운이 산문(産門)으로 들어가서 배꼽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는 것을 한산(寒疝)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양고기 160g, 당귀, 귤껍질(陳皮) 각각 80g, 생강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3사발, 술 1잔과 함께 달여 1사발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두번에 갈라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정전].
産後腹脹滿悶嘔吐不定此由敗血入脾胃故不能飮食也宜用抵聖湯香靈丸《正傳》
해산 후의 구역[産後嘔逆]
해산 후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은 궂은 피가 비위에 침범하였기 때문인데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때에는 저성탕(抵聖湯), 향령환(香靈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治産後嘔逆惡心不能飮食赤芍藥半夏澤蘭葉人參陳皮各一錢半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濟生》○一名拒勝湯《正傳》
저성탕(抵聖湯)
해산 후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끼무릇(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治産後嘔不止丁香辰砂嶽硏各六分五靈脂一錢右硏勻用狗膽或猪膽和丸咯實大以生薑陳皮煎湯磨化一丸服之《本事》
향령환(香靈丸)
해산 후에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정향, 주사(따로 간 것) 각각 2.4g, 오령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구담(狗膽)이나 저담(猪膽)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과 귤껍질(陳皮)을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본사].
婦人産理不順致傷遺尿無時宜用參朮膏《丹心》○産後淋宜用芽根湯《三因》○産後遺尿宜桑祒曛散黃妉芍藥湯《三因》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해산을 잘못하여 상해서 오줌을 아무 때나 자기도 모르게 누는 데는 삼출고(蔘朮膏)를 쓰는 것이 좋다[단심].
○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데는 모근탕(茅根湯)을 쓴다(삼인].
○ 해산 후에 유뇨증이 있는 데는 상표초산(桑 散), 황기작약탕(黃 芍藥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삼인].
治産後礖損成淋人參二錢半白朮二錢黃妉一錢半陳皮桃仁白茯巔各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水煎猪羊礖後入藥再煎去滓溫服空心○一産婦因收生者不謹損破尿礖而致淋瀝不禁遂爲廢疾因思肌肉在外而破尙可補完診其怴虛甚試與峻補服參朮膏至一月而安盖血氣驟長其礖自完恐稍遲亦難成功《丹心》
삼출고(蔘朮膏)
해산 후에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10g, 흰삽주(백출) 8g, 단너삼(황기) 6g, 귤껍질(陳皮), 복숭아씨(도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돼지나 양의 오좀깨[猪羊 ]를 물에 두고 삶다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해서 빈속에 먹는다.
○ 어떤 산모가 해산방조[收生]를 잘못 받는 데로부터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멎지 않아 병신같이 되었다. 이것을 보고 겉의 기육(肌肉)이 상한 것을 보하면 아물게 할 수 있지 않겠는가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환자의 맥을 짚어 보니 몹시 허하였다. 그래서 시험적으로 세게 보하는 삼출고를 1달쯤 먹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기혈이 왕성해짐으로써 상한 방광이 나은 것이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었더라면 낫기 어려웠을 것이다[단심].
治産後淋白茅根四兩白茯巔二兩瞿麥葵子人參各一兩蒲黃桃膠滑石甘草各五錢紫貝五箇石首魚頭中石十六箇右爲末每二錢木通湯調下或爲㵋末三錢燈心同煎服亦可《三因》
모근탕(茅根湯)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띠뿌리(모근) 160g, 흰솔풍령(백복령) 80g, 패랭이꽃(구맥), 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40g, 부들꽃가루(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곱돌(활석), 감초 각각 20g, 자패 5개, 조기대가리 속의 흰뼈(石水魚頭中石) 16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으름덩굴 달인 물에 타 먹거나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삼인].
治産後淋數及遺尿桑祒曛十五箇炒鹿茸曧灸黃妉各一兩半牡蠣粉人參赤石脂厚朴各一兩右爲末空心以米飮調下二錢《雲峽》○又桑祒曛酒炒爲末薑湯調下二錢亦效《綱目》
상표초산(桑 散)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상표초, 닦은 것) 15개,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단너삼(황기) 각각 60g, 굴조개껍질(모려), 인삼, 적석지, 후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운기].
○ 또는 사마귀알집(상표초, 술로 축여 볶은 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타 먹어도 효과가 있다[강목].
治産後遺尿不禁黃妉當歸尾白芍藥各一錢半白朮一錢人參陳皮各五分甘草灸三分右犫作一貼水煎空心服《三因》
황기작약탕(黃 芍藥湯)
해산 후 유뇨증과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당귀(잔뿌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흰삽주(백출) 4g,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2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삼인].
産後泄瀉宜的奇散○産後月內痢宜鴨子煎(方見上)又四物湯加桃仁黃連木香主之《入門》○當歸芍藥散亦可(方見通治)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해산 후의 설사에는 적기산(的奇散)을 쓰는 것이 좋다.
○ 해산 후 한 달이 되기 전에 생긴 이질에는 압자전(鴨子煎, 처방은 위에 있다) 또는 사물탕에 복숭아씨(도인)와 황련, 목향을 더 넣어 쓴다[입문].
○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처방은 두루 치료하는 문에 있다)도 쓸 수 있다.
治産後泄瀉惡露不行此餘血渗入大腸爲瀉下靑黑色物是驗大荊芥穗於盞內然火燒存性不得犯油火入麝香少許硏爲末每取一錢沸湯一二稨調服神效《得效》
적기산(的奇散)
해산 후의 설사는 오로(惡露)가 다 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으면서 대장(大腸)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데 이때 검푸른 빛의 설사가 나간다. 이것을 치료하여 효과를 보았다.
형개수(약성이 남게 태우되 기름불을 쓰지 않는다),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끓는 물에 타서 한두번 마시면 잘 낫는다[득효].
産後有三種疾鬱冒則多汗汗多則大便難盖新産血虛多汗出致胃燥亡津液故大便秘結宜蘇麻粥(方見大便)及滋腸五仁丸《正傳》○産後大便不通膨滿氣急難以坐臥取麥蘗末酒調下一合神效《丹心》
해산 후의 변비[産後大便秘結]
해산 후에는 3가지 병이 잘 생기는데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면 땀이 많이 나고 땀이 많이 나면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대개 해산하고 나면 혈이 많이 허해지고 땀을 많이 흘려서 위기(胃氣)가 마르게 되어 진액이 적어지기 때문에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소마죽(蘇麻粥,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과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 해산 후에 대변을 보지 못하여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올라 그득하고 숨결이 밭아서 앉으나 누우나 견디기 어려운 데는 보리길금가루[麥 末] 1홉을 술에 타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단심].
治産後陰血虛耗大便閉澁橘紅末四兩杏仁桃仁各一兩栢子仁五錢松子仁二錢半郁李仁一錢右各嶽硏爲膏合橘紅末蜜丸梧子大米飮下五六十丸《正傳》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해산 후에 음혈이 허해지고 줄어들어서 대변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귤홍가루 160g, 살구씨(행인),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측백씨(백자인) 20g, 잣씨(해송자) 10g, 이스라치씨(욱리인) 4g.
위의 약들에서 귤홍가루만 내놓고 나머지 약들을 각각 따로 가루를 내어 고약처럼 만든다. 여기에 귤홍가루를 섞어서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미음에 풀어 먹는다[정전].
産後浮腫此由敗血循經流入四肢故也血行腫消卽愈或敗血停蓄血化爲水而浮腫宜大調經散小調經散正脾散《良方》○産後浮腫必大補氣血爲主四君子湯(方見氣門)加蒼朮煎服忌峻利之劑或用五味白朮散○産後風腫水腫宜用澤蘭散《丹心》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해산 후에 부종(浮腫)이 생기는 것은 궂은 피가 경락을 따라 팔다리에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혈이 잘 돌아가면 부종이 내리고 낫는다. 혹은 궂은 피가 몰렸다가 물로 변하여 부종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대조경산(大調經散), 소조경산(小調經散), 정비산(正脾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해산 후의 부종은 반드시 기혈을 세게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삽주(창출)를 더 넣어 달여 먹어야 하며 센 이뇨제를 써서는 안 된다. 혹은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을 쓴다.
○ 해산 후의 풍종(風腫)이나 수종(水腫)에는 택란산(澤蘭散)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治産後腫滿喘急尿澁黑豆炒一兩茯神五錢琥珀一錢右爲末烏頭紫蘇葉煎湯調下二錢《良方》
대조경산(大調經散)
해산 후의 부종과 창만, 숨이 차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닦은 것) 40g, 복신 20g, 호박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검정콩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양방].
治産後浮腫當歸一兩桂心赤芍藥各五錢沒藥琥珀甘草二錢細辛麝香各一錢右爲末每一錢溫酒入薑汁調服《良方》
소조경산(小調經散)
해산 후의 부종을 치료한다.
당귀 40g, 계심, 함박꽃뿌리(작약) 20g, 몰약, 호박, 감초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즙을 탄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治産後通身浮腫蓬朮礐便香附子陳皮茴香甘草灸各等分右爲末每二錢燈心木通煎湯調下《正傳》
정비산(正脾散)
해산 후에 온몸이 부은 것을 치료한다.
봉출(싸서 구운 것),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회향,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으름덩굴(목통)을 두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治産後腫宜補中導水行氣白朮三錢陳皮一錢半木通川芎赤茯巔各一錢右犫作一貼入水煎呑下與點丸(方見火門)二十五丸《丹心》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
해산 후의 부종을 치료하는데 중기(中氣)를 보하고 수기(水氣)를 빠져 나가게 하며 기가 잘 돌게 한다.
흰삽주(백출) 12g, 귤껍질(陳皮) 6g, 으름덩굴(목통),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여점환(與點丸, 처방은 화문에 있다) 25알과 함께 먹는다[단심].
治産後風腫水腫澤蘭防己各等分右爲末每二錢溫酒或醋湯調下《丹心》
택란산(澤蘭散)
해산 후의 풍종(風腫)과 수종(水腫)을 치료한다.
쉽싸리, 방기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두고 끓인 물에 타 먹는다[단심].
婦人産後之怴洪實不調者死沈微附骨不絶者生○診婦人新産怴沈小者生實大堅强急者死《怴經》○新産之怴緩滑吉實大弦急死來侵又云沈細附骨不絶生《怴訣》
해산 후의 맥 보는 법[産後脈法]
해산 후에 맥이 홍실(洪實)하면서 고르지 못하면 죽을 수 있다. 맥이 침미(沈微)하나 뼈에 닿게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
○ 갓 해산한 부인의 맥을 짚어 보아 맥이 침소(沈小)하면 살고 실대(實大)하고 견(堅)하며 몹시 급(急)하면 죽을 수 있다[맥경].
○ 갓 해산했을 때의 맥이 완활(緩滑)한 것은 좋으나 실대(實大)하고 현급(弦急)하면 죽을 수 있다. 어떤 데는 맥이 침세(沈細)하나 뼈에 닿도록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고 하였다[맥경].
産後當大補氣血爲先宜用補虛湯雖有雜證以未治之○又云胎前母滯産後母虛産後切不可發表又不可用芍藥以性味酸寒能伐生發之氣故也《丹心》○産後必先逐瘀補虛爲主瘀消然後方可行補如不逐瘀遽服參妉之屬或致瘀血攻心卽危《入門》○産後用補虛湯如發熱輕則加茯巔淡渗之重則加乾薑或問大熱用乾薑何也曰此非有餘之邪乃陰虛生內熱耳盖乾薑能入肺分利肺氣又能入肝經引衆藥生血然必與補陰藥同用之此造化之妙非天下之至神其能與於此哉《丹心》○大抵産病天行則用增損柴胡(卽小柴胡湯也)雜病則用加減四物(卽四物湯也)四物加減法春倍川芎夏倍芍藥秋倍地黃冬倍當歸《綱目》
해산 후의 치료법[産後治法]
해산 후에는 응당 기혈을 잘 보하는 것부터 먼저 해야 한다. 그러자면 보허탕(補虛湯)을 쓰는 것이 좋다. 비록 잡증(雜證)이 있더라도 그것은 나중에 치료하여야 한다.
○ 또한 해산 전에는 기혈을 막히게 하지 말고 해산 후에는 기혈을 허하게 하지 말아야 하며 해산 후에는 함부로 땀을 내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또한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같이 성질이 차고 맛이 신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생겨나게 하고 자라게 하는 원기를 억제하기 때문이다[단심].
○ 해산 후에는 반드시 먼저 어혈을 몰아내고 허한 것을 보해 주는 것이 원칙이다. 어혈이 없어진 다음이라야 보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만일 어혈을 몰아내지 않고 먼저 인삼이나 단너삼(황기) 같은 약재를 써서 혹 어혈이 속으로 치밀어서 위험하게 된다[입문].
○ 해산 후에 보허탕을 쓰되 만일 열이 경하면 솔풍령을 더 넣어 오줌이 잘 나가게 하고 열이 몹시 나면 건강을 더 넣는다. 혹 열이 많이 나는데 왜 건강을 쓰느냐고 물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은 실한 사기에 의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음이 허해서 나는 열이기 때문에 쓸 수 있다. 대체로 건강은 폐(肺)에 들어가서 폐기를 잘 통하게 하고 또 간경(肝經)에 들어가서 모든 약의 성분을 이끌어 혈을 생기게 하는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음을 보하는 약과 함께 써야 한다. 이것은 묘한 약리작용이므로 유능한 의사가 아니고서는 이런 이치를 모를 것이다[단심].
○ 대체로 해산 후에 돌림병이 돌면 증손시호탕(增損柴胡湯, 즉 소시호탕이다)을 쓰고 잡병이면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 즉 사물탕이다)을 쓴다. 사물탕에 대한 가감법은 봄철인 경우에는 궁궁이(천궁)을 곱절 넣고 여름인 경우에는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곱절 넣으며 가을철인 경우에는 지황을 곱절 넣고 겨울철인 경우에는 당귀를 곱절 넣는다[강목].
人參白朮各一錢半當歸川芎黃妉陳皮各一錢甘草七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熱輕倍加茯巔熱重加酒芩熱甚加乾薑炒黑引諸藥入肝經生血《入門》
보허탕(補虛湯)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6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열이 경(輕)하면 솔풍령을 곱절 넣고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을 더 넣는다. 열이 더욱더 심하면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을 더 넣어 모든 약 기운을 간경(肝經)으로 이끌어서 혈을 생기게 한다[입문].
産後未滿月不宜多用七情勞倦行動或作鍼工恣食生冷粘硬之物及犯觸風寒當時未覺厥後卽成汩勞凡産後滿百日乃可交合不爾至死虛羸百病滋長愼之《良方》○産後勞傷過度名曰汩勞其證虛羸乍起乍臥飮食不消時有咳嗽頭目昏痛發渴盜汗寒熱如秇十全大補湯(方見虛勞)去川芎加續斷牛膝鱉甲桑寄生桃仁爲㵋末先將猪腎一對薑一片棗三枚水三盞煎至一盞半入前藥末三錢及瘳白三寸烏梅一箇荊芥五穗再煎至七分去滓空心溫服《入門》○産後汩勞宜用當歸羊肉湯當歸建中湯(方見虛勞)增損四物湯人參鱉甲散熟乾地黃散(諸方)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해산 후 1달이 되기 전에 7정(七情)과 정신적 및 육체적 과로, 바느질을 하는 것 혹 날것, 찬 것, 찰진 것, 굳은 것 등을 함부로 먹거나 풍한에 감촉되는 것들은 모두 좋지 않다. 그 당시에는 별로 느끼지 못하나 그 이후에는 욕로( 勞)가 될 수 있다. 해산 후 백일이 지난 다음 성생활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 성생활을 하면 죽을 수 있다. 그리고 허하고 여위어서 온갖 병이 생기게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양방].
○ 해산 후에 힘겨운 일을 지나치게 하여 생긴 병을 욕로( 勞)라고 한다. 그 증상으로는 허하고 여위며 좀 나았다 도졌다 하면서 먹은 것이 잘 삭지 않고 때로는 기침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프며 목이 마르고 식은땀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서 궁궁이(천궁)는 빼고 속단, 쇠무릎(우슬), 자라등딱지(별갑),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복숭아씨(도인) 등을 더 넣어 거칠게 가루낸다. 먼저 돼지콩팥 1쌍, 생강 1쪽, 대추 3알을 함께 물 3잔에 넣고 달여 1잔 반이 되면 앞의 약가루 12g과 파밑(총백) 3치, 오매 1개, 형개수 5개를 넣고 다시 달여 7분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해산 후의 욕로에는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治汩勞肥羊肉四兩當歸川芎黃妉各一兩二錢半生薑一兩半右犫水九盞煎至三盞分三服《良方》○一方無羊肉代以猪內腎一雙《入門》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욕로( 勞)를 치료한다
살찐 양의 고기 160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각각 50g, 생강 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9잔에 달여 3잔이 되면 짜서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 어떤 처방에는 양고기가 없으면 돼지콩팥 1쌍을 대용으로 쓴다고 하였다[입문].
治産後亡血榮衛虛損乍寒乍熱四物湯去熟地黃加人參乾薑甘草等分煎服《濟生》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해산 후에 출혈을 많이 한 탓으로 영위(榮衛)가 허해져서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서 찐지황(숙지황)을 빼고 인삼, 건강,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어 달여 먹는다[제생].
治産後汩勞黃妉鱉甲各一錢二分半牛膝一錢人參桂心桑寄生當歸白茯巔白芍藥桃仁熟地黃麥門冬甘草各七分半續斷五分右犫作一貼空心水煎服《得效》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해산 후의 욕로( 勞)를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자라등딱지(별갑) 각각 5g, 쇠무릎(우슬) 4g, 인삼, 계심,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복숭아씨(도인),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감초 각각 30g, 속단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治産後氣血未復而有房事勞損下血頭目沈重熟地黃一錢半當歸蟹爪微炒鹿角膠珠男子噊布燒存性各一錢伏龍肝七分半蒲黃炒白茯巔白芍藥各五分桂心甘草各二分半右犫作一貼入靑竹茹一錢水煎服《正傳》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해산 후 아직 기혈이 회복되지 않았는데 성생활로 상해서 하혈하면서 머리가 무겁고 눈이 아찔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당귀, 게발톱(약간 닦은 것), 녹각교주 각각 4g, 복룡간 3g,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g, 계심, 감초 각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청죽여 4g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姙娠之婦有按月行經而胎自長者有三五箇月間其血大下而胎不墮者或及期而分娩或逾月而始産其理何歟曰其按月行經而胎自長者名曰盛胎盖其婦氣血充盛養胎之外其血充有餘故也其有數月胎而血大下者謂之漏胎盖因事觸動經怴故血下而未傷於子宮故也雖然孕中失血胎雖不墮其氣亦虧多致逾月不産予曾見有十二三月或十七八月或二十四五箇月生者往往有之俱是氣血不足胚胎難長故爾凡十月之後未産者當服大補氣血之藥以培養之庶分娩之無虞也《正傳》○過月不産用八物湯(方見虛勞)加黃妉鹿角膠珠煎服峻補之《正傳》○又方四物湯(方見血門)加香附桃仁枳殼縮砂紫蘇葉水煎服卽産《良方》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임신부에게 달마다 월경이 있으면서도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수도 있으며 3-5달 동안 피가 많이 나왔어도 태아가 떨어지지 않는 수가 있다. 달이 차서 낳기도 하고 달이 지나서도 낳을 수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달마다 월경이 있으면서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것은 성태(盛胎)라 하는데 그것은 임신부의 기혈이 충실하고 왕성하여 태아를 기르고도 혈이 많이 남기 때문이다. 임신된 지 몇 달 후에 많은 피가 나오는 것을 누태(漏胎)라고 하는데 그것은 대개 어떤 일로 경맥을 발동한 관계로 피가 나오는 것이고 자궁이 상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록 임신 중에 많은 피가 나왔더라도 태아가 떨어지지 않았지만 기가 많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흔히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게 된다. 내가 과거에 12-13개월 혹은 17-18개월 혹은 24-25개월 만에 해산하는 것을 가끔 보았는데 어느 것이나 다 기혈이 부족한 데로부터 태아가 발육되지 못하여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할 때에는 응당 기혈을 세게 보할 약을 먹여서 그것을 도와주어야 해산하는 데 염려가 없게 된다”고 하였다[정전].
○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단너삼(황기)과 녹각교주를 넣고 달여 먹여서 세게 보해야 한다[정전].
○ 또 한 가지 처방은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향부자, 복숭아씨(도인), 지각, 사인, 차조기잎(자소엽) 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으면 곧 해산할 수 있다[양방].
宜用芎歸湯四物湯(方見血門)保安丸當歸芍藥散益母丸(方見上)益母膏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妊娠通治]
궁귀탕(芎歸湯),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보안환(保安丸), 당귀작약산, 익모환(益母丸, 처방은 위에 있다), 익모고(益母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治産前産後諸疾及血暈不省橫生逆産死胎不下血崩不止臨月服之則縮胎易産産後服之則惡血自下川芎當歸各五錢右犫作一貼水煎服日二三次○又治半産去血多産後去血多崩中去血多金瘡去血多拔牙齒去血多及一切去血過多眩暈悶絶不省人事者連進數服卽甦《得效》○當歸六錢川芎四錢名佛手散(方見上)
궁귀탕(芎歸湯)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혈훈(血暈)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 횡산[橫]이나 역산[逆] 또는 태아가 뱃속에서 죽어 나오지 않는 것, 혈붕(血崩)이 멎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이 약은 해산할 달에 먹으면 태아가 줄어들어서 쉽게 해산한다. 해산 후에 먹으면 궂은 피가 잘 나온다.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두세번 먹는다.
○ 또는 유산이나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렸거나 붕중(崩中)으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쇠붙이에 상해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이를 뽑고 피를 많이 흘린 것과 일체 지나치게 많은 피를 흘린 것으로 하여 어지럽고 까무러쳐서 정신을 잃었을 때 연거푸 몇 번 먹이면 곧 깨어난다[득효].
○ 당귀 24g과 궁궁이(천궁) 16g으로 되어 있는 것을 불수산(佛手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라고 한다.
治産前産後諸疾生乾地黃嶽爲末馬鳴退灸(卽蠶退紙)各一兩赤茯巔牡丹皮白芍藥各七錢半川芎細辛人參肉桂當歸牛膝白芷木香藁本麻黃澤蘭葉附子礐甘草灸寒水石禭防風桔梗蟬退各五錢石茱萸沈香各二錢半右爲末蜜丸彈子大酒下一丸《御院》
보안환(保安丸)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생건지황(따로 가루낸 것), 마명퇴(즉 잠퇴지(簪退紙)이다. 닦은 것) 각각 40g, 벌건솔풍령(적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30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인삼, 육계, 당귀, 쇠무릎(우슬), 구릿대(백지), 목향, 고본, 마황, 쉽싸리잎(택란엽),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한수석(달군 것), 방풍, 도라지(길경), 매미허물(선퇴) 각각 20g, 석수유, 침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술로 먹는다[어원].
治姙娠心腹痛及泄痢産前産後通用白芍藥二錢半川芎澤瀉各一錢半當歸赤茯巔白朮各七分半右犫作一貼水煎服或爲細末溫酒調下二錢《局方》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임신 때 명치 밑이 아픈 것과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는데 산전 산후에 두루 쓴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0g, 궁궁이(천궁), 택사 각각 6g,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一名濟陰丹治産前産後一切諸病及難産橫逆能行血養血安胎順氣又能活血行氣有補陰之妙故命名益母(方見上)《丹心》
익모환(益母丸)
일명 제음단(濟陰丹)이라고도 한다.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난산, 횡산, 역산 등을 치료는데 피를 잘 돌게 하고 보혈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기를 잘 돌게 한다. 또는 혈과 기를 잘 돌게 하며 음을 보하는 데 아주 좋다. 때문에 익모(益母, 처방은 위에 있다)라고 한다[단심].
一名返魂丹通治姙娠諸病及催生神效又治橫生逆産及死胎不出胞衣不下益母草重午日不犯鐵器採取洗淨搗取汁銀石器熬成膏右每取一大匙溫酒或白湯化下《丹心》
익모고(益母膏)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한다. 임신 때의 여러 가지 병을 두루 치료하는데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는 횡산, 역산 그리고 죽은 태아가 뱃속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 등을 두루 치료한다.
음력 5월초에 쇠로 만든 도구를 쓰지 말고 익모초를 뜯어서 깨끗이 씻은 다음 짓찧어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 고(膏)를 만들어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단심].
婦人産育艱難或一歲一産可以此少間之四物湯加芸宄子一撮煎於經行後空心服《得效》○母有宿疾終不可保胎者牛膝四分瞿麥桂心蟹爪各二分爲末空心溫酒調服以下之免害其母《入門》○姙婦因疾病胎不能安可下之法麴四兩水二大盞煎取一盞去滓分三服卽下《良方》○又方麥芽神麴各半升和水煎服之卽下神效《良方》○又方附子二枚爲末醋調塗母右足去之大良《良方》○斷子法用白恪麴一升好酒五升打作糊煮至二升半以絹濾去渣作三服候月經將來日晩下吃一服次日五更吃一服天明吃一服月經卽行終身絶子《丹心》○又方故蠶紙方圓一尺燒存性爲末酒飮調服終身不復懷孕《良方》○又方油煎水銀空心服如棗核大一丸永斷不損人《良方》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斷産]
아이를 낳아 기르기 어렵거나 한 해에 한 번씩 해산하는 데는 이 약으로써 조금씩 사이를 뜨게 할 수 있다. 이때는 사물탕에 유채씨 한자밤을 더 넣고 달여 월경이 있은 후 빈속에 먹는다[득효].
○ 임신부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병으로 태아를 더 보존할 수 없는 데는 쇠무릎(우슬) 1.6g, 패랭이꽃(구맥), 계심, 게발톱(蟹爪) 각각 0.8g 등의 약들을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고 유산시키면 산모가 해를 받지 않는다[입문].
○ 임신부가 병으로 태가 편안하지 않을 때에는 유산시켜야 하는데 약누룩(신국, 법제한 것) 160g을 큰 잔으로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곧 유산한다[양방].
○ 또 한 가지 방법은 보리길금(맥아)과 약누룩(신국) 각각 5홉을 물에 달여 먹으면 곧 유산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 또 한 가지 처방은 부자 2개를 가루내어 식초로 갠 다음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바르면 유산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 아이를 배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흰밀가루 누룩 1되에 좋은 술 5되를 두고 풀을 쑤는데 2되 반이 되면 비단천으로 밭아서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 월경할 날을 기다렸다가 저녁에 한 번 먹고 이튿날 새벽에 한번 먹으며 날이 다 밝은 다음에 한번 먹으면 월경이 곧 나오고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는다[단심].
○ 또 한 가지 처방은 잠퇴지(簪退紙, 사방 1자씩 되는 것을 약성이 남게 태운 것)를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으면 일생 동안 다시 임신하지 않는다[양방].
○ 또 한 가지 처방은 기름에 수은 넣고 달인 것으로 대추씨만한 것 1알을 만들어 빈속에 먹으면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게 되고 사람에게는 해를 주지 않는다[양방].
宋灯澄療師尼寡婦別製方盖有謂也此二種寡居獨陰無陽慾心萌而多不遂是以陰陽交爭乍寒乍熱全類溫秇久則爲勞史記倉公傳載濟北王侍人韓女病腰背痛寒熱衆醫多以爲寒熱倉公曰病得之欲男子不可得也何以知之診得其怴肝怴弦出寸口是以知之盖男子以精爲主婦人以血爲主男子精盛以思室婦人血盛以懷胎如厥陰怴弦出寸口又上魚際則陰盛可知故知灯氏之言有謂矣《寶鑑》○寡婦師尼鬱抑成病其證惡風體倦乍寒乍熱面赤心煩或時自汗肝怴弦長而出寸口宜柴胡抑肝湯芙蓉散抑陰地黃丸㵞麴丸(方見積聚)○每日上午神思昏墘硲見明處惡聞入聲至午後方可頭昏腹痛驚瓶稍涉勞動與月經來時其證尤劇此不得遂志之故也宜淸神養榮以四物湯加人參茯神陳皮柴胡羌活香附子甘草煎服○或有與鬼交通者由神不守舍或時獨笑或泣怴遲伏或如雀啄顔色不變者宜(茯神黃妉湯《入門》)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송(宋)나라 저( )씨가 여승과 과부를 치료할 때에 처방을 달리한 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이 두 부류의 여자들은 혼자 살기 때문에 음만 있고 양이 없으며 성욕은 있으나 흔히 소원을 이루지 못하는 관계로 몸에 있는 음기와 양기가 서로 상박되기[交爭] 때문에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온학(溫 )과 같은데, 이것이 오래되면 허로가 된다. 『사기』의 창공전(倉公傳)에 씌어 있기를 제북왕(濟北王)의 시중을 하던 한(韓)씨라는 여자가 허리와 잔등이 아파지면서 추웠다 열이 났다. 그래서 여러 의사들이 이것은 한열병(寒熱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창공(倉公)은 “이 병은 성생활의 소원을 성취하지 못하여 생긴 병이다.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면 그 맥을 짚어 보니 간맥이 현(弦)할 뿐 아니라 촌구(寸口)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써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대체로 남자에게는 정(精)이 위주가 되고 여자에게는 혈(血)이 위주가 되는데 남자는 정기가 왕성하면 여자를 생각하게 되고 여자는 혈이 왕성하게 되면 임신을 하게 된다. 만일 족궐음맥(足厥陰脈)이 현(弦)하여 촌구(寸口)까지 나오고 또 어제(魚際)까지 올라간다면 음이 성(盛)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저( )씨의 말이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보감].
○ 과부와 여승들은 성교를 하지 못해서 우울하여 병이 생기는데 증상으로는 바람을 싫어하고 몸이 나른하며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고 얼굴이 붉으며 가슴이 답답하다. 혹 때로 저절로 땀이 나며 간맥이 현장(弦長)하면서 촌구(寸口)까지 나온다. 이때에는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부용산(芙蓉散),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익국환( ?麴丸, 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날마다 오전이면 정신이 흐리터분하면서 밝은 곳을 싫어하며 사람의 소리를 듣기 싫어하다가 오후에는 머리가 아찔해지고 배가 아프며 잘 놀라고 걷거나 일을 좀 하거나 월경을 할 때에는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이것은 하고 싶은 일을 뜻대로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정신을 맑게 하고 영혈(榮穴)을 보해 주어야 한다. 사물탕에 인삼, 복신, 귤껍질(귤피), 시호, 강호리(강활), 부자, 감초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여야 한다.
○ 혹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사람은 정신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혹 혼자서 웃기도 하고 혹 울기도 하며 맥이 지복(遲伏)하고 혹 작탁맥[雀啄]이 나타나면서 얼굴빛이 변하지 않는 데는 복신황기탕(茯神黃 湯)을 쓴다[입문].
治寡居獨陰無陽慾心萌而多不遂以致寒熱類秇柴胡二錢靑皮一錢半赤芍藥牡丹皮各一錢地骨皮香附子梔子蒼朮各七分川芎神麴炒各五分生地黃連翹各三分甘草二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혼자 사는 과부가 음만 성하고 양이 없어서 성욕이 발동되나 소원을 이루지 못하여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학질 같은 것을 치료한다.
시호 8g, 선귤껍질 6g, 함박꽃뿌리(작약),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4g, 지골피, 향부자, 산치자, 삽주(창출) 각각 2.8g, 궁궁이(천궁),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2g, 생지황, 연교 각각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男無室女無夫思慾動火以致胸痛自汗頰赤怴亂用芙蓉葉有花帶花有子帶子採一朶搗爛和井水濾去渣服之卽效《入門》
부용산(芙蓉散)
홀아비나 과부가 성욕으로 화가 동하여 가슴이 아프고 저절로 땀이 나며 볼이 붉고 맥이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연잎을 쓰되 꽃이 있을 때는 꽃까지, 씨가 있을 때는 씨까지 한 송이를 따서 잘 짓찧어 우물물에 걸러서 찌꺼기를 버리고 먹으면 곧 낫는다[입문].
治寡婦勞證生乾地黃二兩赤芍藥一兩柴胡黃芩秦埵各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烏梅湯下三五十丸《入門》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과부의 허로증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80g, 함박꽃뿌리(적작약) 40g, 시호, 속썩은풀(황금), 진교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오매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茯神羌活蔓荊子防風薏苡仁黃妉五味子麥門冬石菖蒲黃芩各一錢甘草五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복신황기탕(茯神黃 湯)
복신, 강호리(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방풍, 율무쌀(의이인), 단너삼(황기), 오미자, 맥문동, 석창포,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잡병편] 부인1 - 동의보감 잡병편 제10권*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 부인2* (0) | 2013.10.08 |
[스크랩] 동의보감[잡병편] 부인4 - 10권끝*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부인 1 2 3 4 목록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잡방-東醫寶鑑雜病篇卷之九끝*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