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 즉 상을 살피는 방법은 다양하다. 얼굴의 구성을 살피는 면상(面相)이 있고, 뒷모습이나 골격을 살피는 배상(背相), 또는 골상(骨相), 마음을 살피는 심상(心相)이 있다. 그중에서 옛날부터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심상(心相), 즉 마음의 상이었다.
얼굴이나, 골격 등도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마음이 어떠냐에 따라 길흉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관상이 좋지 않았던 사람이 선행을 베푼 뒤에 다시 보니 좋은 상으로 바뀌어 있더라는 이야기는 흔히 들을 수 있는 전설이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을 살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괜히 나온 말이겠는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과학자인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는 이론에 따라 외면을 살피는 방법을 상법(相法)이라고 하고, 이론에다 관상가의 직관이 더해져서 내면을 살피는 방법을 상술(相術)이라고 하면서, 상술의 어려움에 대해 논하였다. 상법은 기존의 이론서를 통해 터득할 수 있지만, 상술은 고도의 신통력을 지녀야만 제대로 알 수 있다고 보았다. 그만큼 마음을 읽기가 어렵다는 것이리라.
그는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보완적 방법으로 행사상(行事相)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모든 상(相)의 길흉은 그 사람의 행위로 드러나기 때문에, 들여다보기 어려운 심술을 보다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실제 행사로 나타난 것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선진(先秦) 시기의 순자(荀子)가 설파했던 “형태를 살피는 것은 마음을 따져보는 것만 못하고, 마음을 따져보는 것은 그 처신하는 방법을 가려보는 것만 못하다. [相形不如論心 論心不如擇術]”는 말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면상, 배상, 심상은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하겠지만, 행사상은 일반인도 특별히 배우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을 듯하다.
초(楚)나라 때 관상을 잘 보는 사람이 있었다. 임금 장왕(莊王)이 그를 찾아가 상법(相法)에 대해 물어보자, 그는 대수롭지 않다는 듯 대답했다.
“신은 사람의 상을 잘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을 잘 관찰하고, 그 사람의 벗을 잘 관찰합니다.”
일상적으로 보이는 처신이나, 교유 관계를 통해 그 사람의 관상을 보았는데, 그것이 거의 들어맞더라는 것이다. 결국에는 인지상정(人之常情)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느냐의 여부가 그 사람의 선악과 길흉을 판단하는 주요 요소인 셈이다.
송(宋)나라 때 사람 채경(蔡京)이 아직 존귀하지 않았을 적에 해를 쳐다보면서도 눈을 깜빡이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이 그가 귀한 신분이 될 것이라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간관으로 명성이 높았던 진관(陳瓘)은 다르게 보았다.
“그의 정신(精神)이 이와 같으니, 훗날 반드시 귀한 신분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 타고난 자질을 뽐내서 감히 해에 대적하니, 이 사람이 훗날 권세를 잡으면 필시 사욕을 부려 임금도 무시하고 방자하게 굴 것이다.”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모진 심성을 지녔기 때문에,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당시에는 사람들이 믿지 않았으나, 과연 그의 말대로 채경은 훗날 권력을 잡고 사마광(司馬光) 등 구법당(舊法黨)을 몰아내고 전횡을 일삼아 ‘육적(六賊)’에 포함되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불과 몇십 년 전, 어느 대기업의 총수가 신입사원 면접 때 관상을 보고 당락을 결정하던 일이 있었다. 현실적 이익에 밝은 기업인이 관상을 중시했던 것은 나름대로 상당한 확신이 있어서가 아니었을까? 일반인들이야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겠지만, 관상을 본다고 생각하고 사람들의 처신을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