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하도와 낙서 (河圖와 洛書)
(1) 하도 (河圖)
하도(河圖)는 중국 황하에서 나왔다는 신비한 그림이다. 지금부터 약 5000년 전 어느 날 하늘에서 갑자기 마른벼락이 쪼개져 내리면서 강물이 용트림하듯 부글부글 끊어 올랐다. 잠시 후 신기한 신마(神馬) 한 마리가 황하를 박차고 뛰어나왔다. 머리는 용이고 몸체는 말의 모습으로, 참으로 희귀한 신물(神物)이었다. 그때 강 언덕을 한가로이 배회하던 한 사내가 불현듯 타보고 싶은 충동에 안장도 고삐도 없이 신마에 올라타고 바람처럼 내달려 집으로 돌아왔다. 집에 도착한 사내가 자세히 보니 말 등에는 이상하게 생긴 반점이 찍혀있었다. 이를 신기하게 여겨 반점에 필묵을 바른 다음 널빤지를 대고 찍어보았다. 그림에는 심오한 우주의 이치가 함축되어 있었다. 이를 황하에서 나온 그림이라 하여 ‘하도(河圖)’라 칭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우주순환의 이치와 인생의 이치, 삶의 철학을 발견하여, 세상 사람들을 깨우쳐 준 이가 바로 복희씨(伏羲氏)다. 전설에 의하면 그는 중국 고대의 제왕(帝王)이 되어 진(陳)에 도읍을 정하고 150년 동안 통치를 했다고 한다. 8괘(八卦)를 처음 만들어 해와 달과 같은 큰 성덕을 베풀어 중국 최고의 제왕으로 평가받는 인물이 되었다. 하도에 나타난 그림은 참으로 묘하고 신기한 것이었다. 숫자들도 생물처럼 서로 음양의 교감을 하고 있었다. 수컷인 양수(陽數) 1은 암컷인 음수(陰數) 6을, 음수 2는 양수 7을, 양수 3은 음수 8을, 음수 4는 양수 9를, 양수 5는 음수10을 찾아가고 있다. 1, 2, 3, 4, 5의 수는 천지만상의 기본수(基本數)인 생수(生數)가 되고 6, 7, 8, 9, 10의 수는 조화수(造化數)인 성수(成數)가 된다. 복희씨는 이를 이용하여 우주의 기본 구조를 선천팔괘(先天八卦)로 설명하였다. 건일(乾一)은 하늘(天)이요, 곤팔(坤八)은 땅(地)이다. 그리하여 천지(天地)는 정립(定立)한다. 간칠(艮七)은 산(山)이요, 태이(兌二)는 연못(澤)이다. 그리하여 산택(山澤)은 통기(通氣)한다. 진사(震四)는 우뢰(雷)요, 손오(巽五)는 바람(風)이다. 그리하여 뇌풍(雷風)은 상박(相搏)한다. 감육(坎六)은 물(水)이요, 이삼(離三)은 불(火)다. 그리하여 수화(水火)는 불상사(不相射)한다. 복희씨는 우주만상은 상대성 원리에 의하여 순환하고 변화한다고 보았다. 태극 음양의 분리선을 접어서 서로 마주 닿는 괘를 살펴보면, 이 괘들은 음과 양이 대칭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천지만물의 온갖 음양조화가 일어난다. 정양(淨陽)은 동서남북 4정위(正位)에 위치하고, 정음(淨陰)은 동북, 동남, 서남, 서북 4간위(間位)에 위치한다. 정양과 정음에 대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10천간(天干)과 12지지(地支)를 하도(河圖)에 배치하여 오행과 음양을 나누면 다음과 같다. [천간과 지지의 음양오행]
|
(2) 낙서 (洛書)와 구궁도(九宮圖)
지금부터 4000년 전 중국 낙수(洛水)에서 신기한 거북이가 등에 지고 나온 그림이 있었다. 문왕(文王)이 자세히 살펴보니, 우주만물의 생성과 조화 그리고 천지운행의 이치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있었다. 이를 낙수에서 나온 그림이라 하여 낙서(洛書)라 부르고, 여기에 담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만물의 생성소멸과 순환의 이치를 밝혀내게 되었다. 즉 천지만물은 봄[春]과 동쪽을 뜻하는 진(震)에서 나와, 춘하(春夏)교체기와 동남쪽을 뜻하는 손(巽)에서 기운을 축적 정제한다. 그리고 여름[夏]과 남쪽을 뜻하는 이(離)에서 왕성한 기운을 얻어, 하추(夏秋)교체기와 남서쪽을 뜻하는 곤(坤)에서 발전 성장한다. 가을[秋]과 서쪽을 뜻하는 태(兌)에서는 결실 성숙하고, 추동(秋冬)교체기와 서북쪽을 뜻하는 건(乾)에서 성취한다. 겨울[冬]과 북쪽을 뜻하는 감(坎)에서는 편히 쉬고, 동춘(冬春)교체기인 입춘과 북동쪽을 뜻하는 간(艮)에서 다시 소생을 준비한다. 이러한 자연이치를 깨달은 문왕은 아들 무왕(武王/BC 1169 ?~BC 1116)과 함께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창건하였다. 이들은 덕으로 백성들을 통치하여 성왕(聖王)으로 추앙을 받았다. 유가(儒家)로부터는 이상적인 성천자(聖天子)로 오늘날까지 숭앙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인『시경(詩經)』은 문왕과 무왕의 덕을 기리는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복희씨의 선천팔괘(先天八卦)가 우주의 기본 구조인 체(體)를 표시했다면, 문왕의 후천팔괘(後天八卦)는 우주의 운용 방법인 용(用)을 표시한 것이다. 복희씨의 팔괘도가 하늘과 땅 사이에 공간적 위치를 그림으로 나태 낸 것이라면, 문왕의 팔괘도는 하늘과 땅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낙서는 아래위나 옆 또는 대각선 어느 쪽으로든 수를 합치면 15가 된다. 또 10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중앙의 5를 빼면 모두가 10이 된다. 양수인 1, 3, 7, 9는 동서남북에 배치하여 정방(正方)이 되었고, 음수인 2, 4, 6, 8은 대각선 방위에 배치하여 간방(間方)이 되었다. 이것은 양수가 동서남북 사방의 주체가 되고, 음수가 간방에서 양수를 보좌하여 천지만물을 움직이는데 조력하고 있는 형상이다. 구궁도(九宮圖)는 낙서에 기원한 천지변화의 이치와 질서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구궁의 순서와 오행은 다음과 같다. 일감백수(一坎白水) → 이곤흑토(二坤黑土) → 삼진벽목(三震碧木) → 사손녹목(四巽祿木) → 오중황토(五中黃土) → 육건백금(六乾白金) → 칠태적금(七兌赤金 )→ 팔간백토(八艮白土) → 구이자화(九離紫火) ◎ 팔괘 쉽게 외우는 방법 건삼연(乾三連) :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모두 양이므로 아버지 태상절(兌上絶) : 태괘는 제일 위 효가 떨어졌다. 세 번째가 음이므로 막내딸 이허중(離虛中) : 이괘는 가운데 효가 떨어져 허하다. 가운데가 음이므로 가운데 딸 진하련(震下連) : 진괘는 제일 아래 효만 연결되어 있다. 처음이 양이므로 큰아들 손하절(巽下絶) : 손괘는 제일 아래 효가 떨어져 있다. 처음이 음이므로 큰딸 감중연(坎中連) : 감괘는 가운데 효만 연결되어 있다. 가운데가 양이므로 가운데 아들 간상련(艮上連) : 간괘는 제일 위 효만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가 양이므로 막내아들 곤삼절(坤三絶) : 곤괘는 3개의 효 모두 떨어져 있다. 모두 음이므로 어머니 |
오행(五行)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로 우주의 삼라만상을 형성하는 5가지 활동적 원소(元素)를 말한다. 처음에는 오행을 자연과 인생에 없어서는 안될 단순한 나무, 불, 흙, 쇠, 물의 물질적 관념으로만 생각하였다. 그런데 나무에 의해서 불이 되고, 불은 모든 것을 태우고 나면 재가 되어서 다시 흙이 되고, 흙으로부터 쇠가 형성되어 나오고, 쇠는 또 물을 생성하며, 물은 나무를 살아가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때부터 오행을 기(氣)의 작용력으로 고찰하게 되었다. 이렇게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은 오행의 변화에 의해서 생성과 소멸을 한다. 오랜 세월 사람의 경험에 의해서 오행의 속성은 여러 가지로 설명되었다. 나뭇잎이 푸르기 때문에 나무[木]를 청(靑)이라 하고, 화염이 붉기 때문에 불[火]을 적(赤)이라 하였다. 금속의 광택이 백색을 반사하기 때문에 쇠[金]를 백(白)이라 하고, 물이 깊어 심연한 것이 암흑이기 때문에 물[水]을 흑(黑)이라 하였다. 흙은 대개 황색이므로 토[土]를 황(黃)이라고 했다. 또 나무를 봄으로 한 것은 봄이 되면 새싹이 돋아나기 때문이다. 불을 여름으로 한 것은 여름에 뜨거움이 심하기 때문이다. 금을 가을로 한 것은 찬 가을 누른 잎이 마치 금속의 색깔과 촉각이 같기 때문이고, 물이 겨울인 것은 물의 한랭함이 겨울의 추위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든 만물은 오행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종류는 수 없이 많다. |
(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천간(天干)은 하늘의 변화하는 이치가 담겨져 있으며 양(陽)의 기운이다. 지지(地支)는 땅의 변화이치를 나타낸 것으로 음(陰)의 기운이다. 이를 사람에 비유한다면 천간은 남성이고 지지는 여성이다. 음양이 짝을 이루어 삼라만상의 무궁한 조화를 이루어낸다. 10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날[日]을 가리키기 위해서, 12지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로 달[月]을 가리키기 위해서 은나라 때 만들어졌다고 한다. 천간과 지지 각각에는 오행이 있고, 그 오행 중에서 또 음양을 가지고 있다. |
(2) 60갑자(甲子)
양인 10천간과 음인 12지지가 차례로 짝을 맺어 합해지는 것을 갑자(甲子)라고 하며, 모두 60개로 이루어져 60갑자라고 한다. 이때 천간자와 지지자의 음양은 서로 같다. 예를 들어 갑자(甲子)에서 천간자 갑(甲)도 양이고, 지지자 자(子)도 양이다. 을축(乙丑)에서 천간자 을(乙)도 음이고, 지지자 축(丑)도 음이다. 을인(乙寅), 신자(辛子) 등과 같이 간지의 음양이 서로 다른 60갑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행의 종류 (五行의 種類)]
● 60갑자와 납음오행(納音五行) 천간과 지지가 합한 60갑자에도 다음과 같이 오행이 존재한다. 남녀의 궁합, 망명(亡命)과 산운(山運)의 오행 상생상극 관계를 따져 길흉화복을 논하는데 사용한다. 오행의 크기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생목(水生木)이라 하나, 대해수(大海水)와 같이 큰물이 석류목(石榴木)과 같이 작은 나무를 생 해주면 오히려 죽이는 꼴이 된다. 금극목(金剋木)이라 하나, 금박금(金箔金)과 같이 작은 쇠가 대림목(大林木)같이 큰 나무를 자를 수는 없다. 오히려 작은칼은 부러진다. [60갑자 납음오행]
爐:화로 로 傍:곁 방 劍:칼 검 鋒:칼끝 봉 澗:산골물 간 ?:땜납 납
(1) 상생 (相生)
(2) 상극 (相剋)
|
년(年), 월(月), 일(日), 시(時)에 천간과 지지를 배합하는 방법이다. 년과 일은 달력이나 만세력을 보면 쉽게 찾을 수 있으나 월과 시는 도출해야 한다. 그 방법을 둔월둔시법(遁月遁時法)이라고 한다. |
(1) 둔월법 (遁月法)
월의 지지(地支)는 일정하다. 즉 음력으로 1월은 인월(寅月), 2월은 묘월(卯月), 3월은 진월(辰月), 4월은 사월(巳月), 5월은 오월(午月), 6월은 미월(未月), 7월은 신월(申月), 8월은 유월(酉月), 9월은 술월(戌月), 10월은 해월(亥月), 11월은 자월(子月), 12월은 축월(丑月)이다. 여기에 천간자(天干字)를 붙이는 방법은 년(年)의 천간(天干)을 기준으로 한다. 갑기지년(甲己之年)은 병인두(丙寅頭) : 갑(甲)과 기(己)년은 병인(丙寅)으로 1월을 시작한다. 을경지년(乙庚之年)은 무인두(戊寅頭) : 을(乙)과 경(庚)년은 무인(戊寅)으로 1월을 시작한다. 병신지년(丙辛之年)은 경인두(庚寅頭) : 병(丙)과 신(辛)년은 경인(庚寅)으로 1월을 시작한다. 정임지년(丁壬之年)은 임인두(壬寅頭) : 정(丁)과 임(壬)년은 임인(壬寅)으로 1월을 시작한다. 무계지년(戊癸之年)은 갑인두(甲寅頭) : 무(戊)와 계(癸)년은 갑인(甲寅)으로 1월을 시작한다. 【예】서기2000년 경진년(庚辰年)의 경우 1월은 무인(戊寅), 2월은 기묘(己卯), 3월은 경진(庚辰), 4월은 신사(辛巳), 5월은 임오(壬午), 6월은 계미(癸未), 7월은 갑신(甲申), 8월은 을유(乙酉), 9월은 병술(丙戌), 10월은 |
(2) 둔시법 (遁時法)
시(時)의 지지(地支)는 일정하다. 즉 자시(子時,오후11시-오전1시), 축시(丑時,오전1시-3시), 인시(寅時,오전3시-5시), 묘시(卯時,오전5시-7시), 진시(辰時,오전7시-9시), 사시(巳時,오전9시-11시), 오시(午時,오전11시-오후1시), 미시(未時,오후1시-3시), 신시(申時,오후3시-5시), 유시(酉時,오후5시-7시), 술시(戌時,오후7시-9시), 해시(亥時,오후9시-11시)이다. 여기에 천간자(天干字)를 붙이는 방법은 일(日)의 천간(天干)을 기준으로 한다. 갑기지일(甲己之日)은 갑자시두(甲子時頭) : 갑(甲)과 기(己)일은 갑자(甲子)로 자시(子時)를 시작한다. 을경지일(乙庚之日)은 병자시두(丙子時頭) : 을(乙)과 경(庚)일은 병자(丙子)로 자시(子時)를 시작한다. 병신지일(丙申之日)은 무자시두(戊子時頭) : 병(丙)과 신(辛)일은 무자(戊子)로 자시(子時)를 시작한다. 정임지일(丁壬之日)은 경자시두(庚子時頭) : 정(丁)과 임(壬)일은 경자(庚子)로 자시(子時)를 시작한다. 무계지일(戊癸之日)은 임자시두(壬子時頭) : 무(戊)와 계(癸)일은 임자(壬子)로 자시(子時)를 시작한다. 【예】서기2000년 1월 1일은 무오(戊午)일이다. 무(戊)와 계(癸)로 시작하는 천간일은 임자시(壬子時)로 시(時)를 시작하므로 각각 임자시(壬子時, 전일밤 11시-오전1시), 계축시(癸丑時, 오전1시-3시), 갑인시(甲寅時, 오전3시-5시), 을묘시(乙卯時, 오전5시-7시), 병진시(丙辰時, 오전7시-9시), 정사시(丁巳時, 오전9시-11시), 무오시(戊午時, 오전11시-오후1시), 기미(己未時, 오후1시-3시), 경신시(庚申時, 오후3시-5시), 신유시(辛酉時, 오후5시-7시), 임술시(壬戌時, 오후7시-9시), 계해시(癸亥時, 오후9시-11시)가 된다. |
십이포태법(十二胞胎法)은 인간과 우주만물의 생성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사주학을 비롯하여 동양철학에서 길흉화복을 가릴 때 많이 쓰이는 법으로, 풍수지리에서는 사국법(四局法)과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에서 주로 사용한다. 12포태란 포(胞). 태(胎). 양(養). 생(生). 욕(浴). 대(帶). 관(官). 왕(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로 분리된다. 인간의 일생과 우주만상의 생성과 소멸과정을 열두 단계로 나누어 적용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중에서 포는 혹 절(絶)이라고도 하며, 생은 장생(長生), 대는 관대(冠帶), 관은 임관(臨官), 왕은 제왕(帝旺)이라고도 한다. 묘는 고(庫) 또는 장(藏)이라고도 하고 고장(庫藏)이라고 묶어 부르기도 한다. 12포태 중 생(生). 왕(旺). 관(官)은 대길(大吉)하다. 양(養). 대(帶). 쇠(衰)는 평길(平吉)하다. 포(胞). 태(胎). 욕(浴)은 소흉(小凶)하고, 병(病). 사(死). 묘(墓)는 대흉(大凶)하다. |
1) 포(胞)
절(絶)이라고도 하며 모든 형체가 절멸(絶滅)된 상태이다. 모든 것이 끊어져서 쉬고 있다. 기(氣)도 아직은 완전한 형상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단지 나중에 기운을 형성할 수 있다는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남녀 즉 음양이 포옹하여 결합하는 과정으로 만물이 무에서 유를 창조하려고 계획하고 준비하는 단계다. 사업의 경우 이제 구상과 계획하는 과정이므로 지출은 있어도 수입은 없다. 화복은 가난과 고통이 따르며 자손이 없다. <빈고핍사(貧苦乏嗣)> |
2) 태(胎)
내부적으로는 생명을 향해서 나아가려는 기운을 받고 있으나, 외부적으로는 아무런 형상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씨앗이 싹을 틔웠으니 만반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다. 정자와 난자가 수태(受胎)되는 과정으로 구상과 계획을 마치고 실천하는 단계다. 희망과 발전을 꿈꾸며 시작에 들어갔기 때문에, 아직 매출은 없고 투자로 인하여 지출은 더 많아진다. 화복은 가난과 고통이 따르며 자손이 귀하다. <빈고핍사(貧苦乏嗣)> |
3) 양(養)
어머니 뱃속에서 태아가 자라 10달을 다 채우고 이제 태어나기만을 기다리는 과정이다. 긴 암흑에서 벗어나 이제 좋은 일만 남았으니, 모든 일이 체계가 잡인 단계다. 새롭게 출발하려는 기대와 포부로 자신만만하다. 매출은 늘고 있지만 아직 손익 분기점에 미치지는 못하고 적자 상태에 있다. 화복은 타향살이를 하던가 다른 집에 양자로 가서 장남구실을 한다. <별무발복(別無發福)> |
4) 생(生)
장생(長生)이라고도 하는데, 드디어 태아가 세상에 태어나는 과정으로 최고의 귀(貴)한 길성(吉星)이다. 천지(天地)의 기운을 다 머금고 태어났으니 경사스러울 뿐이다. 매출이 손익 분기점을 넘어 드디어 흑자를 내기 시작한다. 화복은 부귀를 다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왕정발재(旺丁發財)> |
5) 욕(浴)
목욕(沐浴)이라고도 하고, 태어난 아이가 목욕하는 과정이다. 씻고 닦으면서 아픔과 괴로움이 있다. 세상에 태어났다하여 모두 좋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처음은 아픔을 겪는다. 경쟁 업체의 견제로 인하여 매출이 줄고 가격 경쟁으로 손해가 많아 고비에 처한다. 화복은 음란하고 도박, 사치를 좋아하여 좌절하고 실패한다. <음란도사(淫亂賭奢)> |
6) 대(帶)
관대(冠帶)라고도 하며, 옷을 입고 띠를 두르는 과정이다. 10대에서 성년이 되기까지 학생으로 공부하는 단계다. 꿈이 크고 장래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 찬다. 사업은 도산의 위기를 넘기고 다시 발전하여 흑자를 낸다. 화복은 자녀가 총명하고 영리하여 각종 시험에 합격한다. <등과급제(登科及第)> |
7) 관(官)
임관(臨官)이라고도 하며, 학교를 졸업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가거나 취직하는 과정이다. 20, 30대의 혈기왕성한 단계다. 벼슬을 하였으니 이 보다 더 기쁜 일이 어디 있으며, 거기다 결혼도 하게 되었으니 이제 젊은 기상을 한껏 드높일 시기다. 사업도 재도약하여 생궁(生宮) 만큼은 아니더라도 큰 흑자를 내고 번창한다. 화복은 승진을 거듭하여 관로(官路)가 창창하고 부귀한다. <등과부귀(登科富貴)> |
8) 왕(旺)
제왕(帝旺)이라고도 하며, 일생일대의 가장 왕성한 전성기다. 40, 50대 장년(壯年)으로 벼슬도 높고 재물도 많다. 생궁(生宮)과 함께 최고의 길성(吉星)이다. 생궁이 귀(貴)를 더 관장한다면 왕궁(旺宮)은 부(富)를 더 관장한다. 사업은 최고의 전성기를 맞아 큰 기업으로 성장한다. 관직에 있는 사람은 최고의 직위에 오른다. 화복은 부와 귀를 다하고 자손 또한 번창한다. <부귀왕정(富貴旺丁)> |
9) 쇠(衰)
인생의 최고 정점인 50대 후반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제 더 이상 오를 곳이 없으므로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과정이다. 그렇지만 높은 경륜으로 일을 처리하니 모든 것이 안정되어 있다. 사업도 더 이상 발전은 없는 정체 상태로 안정이 된다. 그러나 이제 사양길로 접어드는 첫 과정이다. 화복은 재물과 자손이 모두 안정된다. <정재안정(丁財安定)> |
10) 병(病)
60대와 70대로, 노화되어 병들어 가는 과정이다. 젊은 날의 높은 기상은 사라지고 죽을 날만 기다리니 흉하기 짝이 없다. 사업도 점점 쇠퇴하여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삼재(三災)가 들어온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재산은 도산 위기에 처한다. <장병패산(長病敗産)> |
11) 사(死)
사망하여 일생을 마감하는 시기이다. 사업도 결국 도산하여 어려움과 고난에 처하게 된다. 삼재(三災)가 머물고 있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자손과 재산이 모두 망하여 흩어진다. <장병패산(長病敗散)> |
12) 묘(墓)
고(庫) 또는 장(藏). 고장(庫藏)이라고도 한다. 죽어서 땅속에 묻혔으니, 일생을 마치고 휴식하는 단계로 다시 내일을 기다린다. 모든 활동을 중지하고 쉬어야만 다음을 기대할 수 있다. 삼재(三災)가 나가지만 조심해야 한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재산과 자손이 모두 망한다. <장병패망(長病敗亡)> |
◎ 풍수지리에서 포태법 운용방법
풍수지리에서 12포태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1) 파구[수구]의 방위를 측정하여 목, 화, 금, 수 사국(四局)을 정한다.
목국(木局) :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수구 화국(火局) :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壬子) 수구 금국(金局) :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수구 수국(水局) :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수구 |
2) 각국(各局)의 기포점(起胞點)에서 포(胞)를 시작하여 한다.
차례로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를 짚어가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입수룡(入首龍)이나 물의 득수처(得水處) 또는 파구처(破口處)의 방위가 12포태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보고 길흉화복을 가늠한다. 기포점은 사국의 정고(正庫: 목국은 정미, 화국은 신술, 금국은 계축, 수국은 을진)를 기준한다. 물은 동(動)하는 양(陽)이므로 정고에서 한 궁위(宮位) 앞에서 기포하여 순행한다. 용은 정지한 음(陰)이므로 정고에서 한 궁위 뒤에서 기포하여 역행한다.
|
나경패철에 있는 24방위를 팔괘(八卦)에 배속시켜 팔괘의 음양을 가리는 것을 정음정양법(淨陰淨陽法)이라고 한다. 나경패철의 24방위는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갑(甲),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 신(辛), 술(戌), 건(乾), 해(亥)다. 이를 팔괘(八卦)에 배납(配納)하면 다음과 같다. 건(乾)과 갑(甲)은 동궁(同宮)으로 건괘(乾卦,?)가 된다. 곤(坤)과 을(乙)은 동궁(同宮)으로 곤괘(坤卦,?)가 된다. 간(艮)과 병(丙)은 동궁(同宮)으로 간괘(艮卦,?)가 된다. 손(巽)과 신(辛)은 동궁(同宮)으로 손괘(巽卦,?)가 된다. 태[유]정사축<兌[酉]丁巳丑>은 동궁(同宮)으로 태괘(兌卦,?)가 된다. 진[묘]경해미<震[卯]庚亥未>는 동궁(同宮)으로 진괘(震卦,?)가 된다. 이[오]임인술<離[午]壬寅戌>은 동궁(同宮)으로 이괘(離卦,?)가 된다. 감[자]계신진<坎[子]癸申辰>은 동궁(同宮)으로 감괘(坎卦,?)가 된다. 팔괘 중에서 가운데 효(爻)를 뺀 다음, 아래 효와 위 효의 즉 건, 곤, 이, 감괘는 가운데 효를 빼면, 아래 효와 위 효가 서로 같은 음양으로 정양(淨陽)이다. 간, 손, 태, 진괘는 가운데 효를 빼면, 아래 효와 위 효가 서로 다른 음양으로 정음(淨陰)이다. 풍수지리를 비롯해서 모든 동양철학은 음과 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져야 길하다고 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정음은 길(吉)한 것이 많고 정양은 흉(凶)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길한 방위를 나타내는 삼길육수(三吉六秀)는 모두 정음이다. 삼길(三吉)방위는 진(震=卯), 경(庚), 해(亥)이고 육수(六秀)방위는 간(艮), 병(丙), 손(巽), 신(辛), 태(兌=酉), 정(丁)이다. 이밖에도 사문(赦文)방위인 손(巽), 병(丙), 정(丁)도 정음이고, 장수(長壽)방위인 간(艮), 병(丙),정 (丁), 태(兌=酉)도 정음이다. 구성(九星)에서 삼길성(三吉星)인 탐랑(貪狼 : 艮丙), 거문(巨門 : 巽辛), 무곡(武曲 : 兌丁巳丑)방위도 모두 정음이다. 참고로 구성 방위는 다음과 같다. 탐랑(貪狼)은 간병(艮丙), 거문(巨門)은 손신(巽辛), 녹존(祿存)은 건갑(乾甲), 문곡(文曲)은 이[오]임인술<離[午]壬寅戌>, 염정(廉貞)은 진[묘]경해미<震[卯]庚亥未>, 무곡(武曲)은 태[유]정사축<兌[酉]丁巳丑>, 파군(破軍)은 감[자]계신진<坎[子]癸申辰>, 보필(輔弼)은 곤을(坤乙)에 해당한다. |
구성(九星)이란 우주천체의 중심인 북극성 주위를 운행하며 우주를 지배하는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좌보성(左輔星), 우필성(右弼星)을 합한 아홉개의 별을 가리킨다. 제일성(第一星)은 탐랑성(貪狼)이며 천추생기궁(天樞生氣宮)으로 오행은 목(木)이다. 제이성(第二星)은 거문성(巨文星)이며 천의제왕궁(天醫帝王宮)으로 오행은 토(土)다. 제삼성(第三星)은 녹존성(祿存星)이며 천기절체궁(天機絶體宮)으로 오행은 토(土)다. 제사성(第四星)은 문곡성(文曲星)이며 천권유혼궁(天權遊魂宮)으로 오행은 수(水)다. 제오성(第五星)은 염정성(廉貞星)이며 천형오귀궁(天衡五鬼宮)으로 오행은 화(火)다. 제육성(第六星)은 무곡성(武曲)이며 합양복덕궁(闔陽福德宮)으로 오행은 금(金)이다. 제칠성(第七星)은 파군성(破軍)이며 요광절명궁(瑤光絶命宮)으로 오행은 금(金)이다. 제팔성(第八星)은 좌보성(左輔星)이며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오행은 토(土)이고, 북두의 제육성 무곡성의 좌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이다. 제구성(第九星)은 우필성(右弼星)이며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오행은 금(金)이고, 북두의 제칠성 파군성의 우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제팔성 좌보성과 제구성 우필성은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같다. 때문에 좌보성과 우필성을 합하여 보필성(輔弼星)이라 하고, 팔괘에 배속할 때도 한 궁위(宮位)로 취급한다. |
(1) 구성의 방위와 화복
1) 탐랑성(貪狼星) : 간(艮), 병(丙)방위에 위치하고 총명(聰明), 문필(文筆), 귀(貴), 관직(官職)을 관장한다. 2) 거문성(巨門星) : 손(巽), 신(辛)방위에 위치하고 총명, 귀, 장수(長壽), 재물을 관장한다. 3) 녹존성(祿存星) : 건(乾), 갑(甲)방위에 위치하고 질병(疾病)을 관장한다. 4) 문곡성(文曲星) : 오(午), 임(壬), 인(寅), 술(戌)방위에 위치하고 음탕(淫蕩), 질병을 관장한다. 5) 염정성(廉貞星) : 묘(卯), 경(庚), 해(亥), 미(未)방위에 위치하고 형살(刑殺)과 흉폭(凶暴)을 관장한다. 6) 무곡성(武曲星) : 유(酉), 정(丁), 사(巳), 축(丑)방위에 위치하고 부(富)를 관장한다. 7) 파군성(破軍星) : 자(子), 계(癸), 신(申), 진(辰)방위에 위치하고 형겁(刑劫), 악질(惡疾)을 관장한다. 8) 보필성(輔弼星) |
(2) 구성법의 운용 방법
구성법(九星法)은 용법, 수법, 사법, 생기복덕법, 양택가상이법 등 풍수지리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법에 따라 기준과 순서가 제각각이다. 지상구성법(地上九星法)처럼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작괘(作卦)를 하여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10. 각종 음양오행의 길흉 방위 (各種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1) 귀인방 (貴人方)
(2) 녹방 (祿方)
(3) 역마방 (驛馬方)
(4) 삼길육수 (三吉六秀)
(5) 겁살방 (劫煞方)
(6) 대장군방 (大將軍方)
(7) 삼재년 (三災年)
(8) 오귀삼살방 (五鬼三煞方)
(9) 팔요수 (八曜水)
(10) 황천살 (黃泉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