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인터넷참고자료

민속 놀이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07. 3. 3. 20:43
ㅡ민속놀이ㅡ

ㅡ민속놀이ㅡ

윷판

윷놀이하는 장면

 

 

 

윷놀이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정초부터 정월 대보름 사이에 가정이나 마을에서 여럿이 함께 즐긴다. 한 뼘 남짓한 길이의 곧고 둥근 막대기를 둘로 갈라서 만든 4개의 윷으로 즐긴다. 등과 배의 경계선을 얼마간 깎아내서 배를 약간 불룩하게 하여 윷이 굴러서 엎어질 듯하다가 젖혀지며, 젖혀질 듯하다가 엎어지는 변화를 가져온다. 윷가락은 엎어지거나 젖혀지는 두 가지의 가능성을 가지므로 4가락을 종합하면 5가지의 경우가 생긴다. 셋이 엎어지고 하나가 젖혀질 때 '도', 둘이 엎어지고 둘이 젖혀질 때 '개', 하나가 엎어지고 셋이 젖혀질 때 '걸', 넷이 다 젖혀졌을 때 '윷', 넷이 다 엎어졌을 때 '모'이다. 도·개·걸·윷·모는 옛날 부여의 관직명에서 온 것으로 원래 후세의 종정도(從政圖)놀이와 같은 것이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도·개·걸·윷·모는 가축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즉 도는 돼지[亥], 개는 개[犬], 걸은 양(羊), 윷은 소[牛], 모는 말[馬]을 가리킨다고 한다.

윷의 종류로는 가장 많이 애용되는 보편적인 크기의 가락윷(채윷), 굵기가 새끼손가락 정도인 나무로 1~2㎝가 되게 만든 밤윷, 콩알이나 팥알에 금을 그어 사용하는 콩윷 등이 있다. 윷놀이판은 멍석이나 짚방석을 깐다. 윷가락 던지기는 4개를 나란히 세워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끼고 앉은 키보다 약간 높게 올라갈 정도로 던진다. 말판은 말밭 또는 윷판이라고도 부르며 종이나 판자에 선과 점을 찍어서 만든다. 승부는 윷가락을 던져 말판의 말을 전진시켜 승부를 결정짓는다. 말판에 놓는 말은 상대 편과 자기 편을 구별할 수 있는 나뭇조각이나 돌 같은 것으로 놓는다. 말을 놓는 방식도 매우 다양하다.

설날의 널뛰기

 

 

 

널뛰기 정초에 여성들이 즐겨 하는 대표적인 놀이.

두꺼운 판자를 짚단이나 가마니 같은 것으로 괴어놓고 양쪽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서로 발을 굴러 공중에 높이 솟아오르는 놀이이다. 그네뛰기와 더불어 여성들이 가장 많이 즐겨온 놀이로 음력 정초를 비롯하여 5월 단오와 8월 추석에도 많이 놀았다. 이름 그대로 '뛰기', 즉 몸을 활달히 움직이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뛰었다가 내려딛는 힘의 반동으로 서로 번갈아 뛴다. 널을 뛸 때 몸의 중심을 바로잡기 위해 널판 옆에 빨랫줄처럼 긴 줄을 임시로 설치해두고 한 손으로 이 줄을 쥐고 할 수도 있다. 옛날 여성들은 이 놀이로 씩씩한 기상을 길러왔고, 별다른 운동경기가 없던 시절의 신체단련에도 좋은 놀이였다. 여성의 외출이 자유롭지 못하던 옛날에는 끼리끼리 안마당에 모여 놀았고, 여성들이 모처럼 해방감에 젖어 놀 수 있었으며 특히 추운 겨울에 알맞은 놀이였다.

널뛰기의 유래에 관하여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 朝鮮常識問答〉에 "이 유희는 후세의 산물이 아니고 대개 기마(騎馬)·격구라도 자유로이 하던 우리 여성 고쇄기 이전의 민속임은 살피기 어렵지 않다."고 했으니 대개 고려시대 이전부터 있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 놀이는 지금도 널리 행해지며, 일본의 오키나와[沖繩]에도 이와 같은 놀이가 있다.

그네뛰기

단오 세시풍속 중의 하나, 광주 광산구 칠성동

 

 

 

 

 

 

그네뛰기 단오명절에 놀던 놀이.

추천(韆)이라고도 함. 남성의 씨름과 더불어 단오절의 가장 대중적인 놀이이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북방의 오랑캐들이 몸을 날쌔게 하기 위해 한식날에 거행했던 것을 후에 중국 여자들이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 중국의 한(漢)과 당(唐)에 이르러서는 궁중에서까지 경기대회가 있었다고 하며, 이것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고려시대에 궁중이나 상류층에서 즐겼으나 조선시대에는 상류층에서 이를 멀리하게 되고 민중 사이에 크게 유행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네는 대개 농번기를 피해 음력 4월 8일을 전후하여 5월 5일 단오절에 이르는 약 한 달 동안 놀았는데, 이 놀이는 오랜 봉건유습에서 내려온 삼간내외법으로 1년 내내 집안에서 바깥 구경을 못하던 젊은 여인네들이 단오날 하루만이라도 밖에 나와 해방감을 맛보고자 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네경기는 외그네·쌍그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놀 수 있으며, 누가 제일 높이 올라가느냐에 따라 승부를 정한다.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며 뛰는 것을 쌍그네 또는 맞그네라고 하는데, 이것은 여흥적으로 하는 것이고 보통은 외그네를 뛴다. 지역에 따라서 그네를 뛰면 발에 무좀이 생기지 않고, 모기에 물리지 않는다는 설이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승부를 결정한다. 첫째, 나뭇가지 또는 꽃가지를 목표물로 정하고 그것을 발 끝으로 차거나 입에 물어 승부를 정했으며, 가장 오래된 방법이었다. 둘째, 그네 앞쪽에 방울줄을 높이 달아놓고 그것에 닿도록 하는 것인데, 밑에서 조종하여 방울줄을 점점 높여감으로써 최고 높이를 측정한다. 셋째, 그네줄 발판 밑에 자눈을 박은 줄을 매어놓고 그네줄의 정지지점부터 얼마나 공중으로 올라갔는가를 측정하여 우열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것은 근래에

강강술래. 전라도 민요. 전라도에서 아낙네들이 둥글게 늘어서서 손을 ...

강강술래, 영·호남 지방에 널리 분포된 민속놀이나 민요, 중요무형문화재 ...

 

 

 

 

 

 

 

 

 

 

 

강강술래 영남·호남 해안지방과 도서지방에 널리 분포된 민속놀이 또는 민요.

 강강수월래라고도 한다. 196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 목포·무안·해남·영광·장흥·순천·화순 등 해안일대와 완도·진도와 같은 섬에서 성행하였다. 정월 대보름, 8월 한가위와 같은 연중행사 때, 달 밝은 밤 부녀자들이 모여 손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과 노래를 함께 하는 강강술래는 소리춤의 하나로 원무형태(圓舞形態)의 춤이다. 세시풍속과 관련된 점으로 미루어 그 발생을 조선시대로 짐작할 수 있다. 유래에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강강수월래(江江水越來)라 하여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군사놀이로 창안했다고도 하고, 마한 때부터 전승된 가장 오래된 민속춤의 하나라고도 한다. 또한 달을 맞이하고 추수를 감사하는 의식에서 나왔다고도 하며, 한자어로 의미를 붙여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는 뜻에서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라는 이야기도 있다.

강강술래는 흥(興)과 사기(士氣)를 돋우는 춤으로, 춤이 끝나면 휴식을 취하고 여흥으로 다른 소리춤과 놀이 등을 즐긴다. 놀이의 종류는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좌수영 일대에 전승·연희되는 놀이로는 늦은 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남생이놀이), 고사리꺾자(고사리꺽기), 청어엮자(청어엮기), 청어풀자(청어풀기), 기와밟기, 문열어라, 덕석몰이, 덕석풀기, 쥔쥐새끼놀이, 가마등, 도굿대당기기, 수건찾기, 품고동, 봉사놀이 등이 있다. 이같은 여흥놀이에는 담넘기·덕석몰이·고사리꺾자·여물썰기·기와밟기와 같은 농경모의(農耕模擬)의 춤과 남생아 놀아라, 바늘귀 끼기와 같은 성모의(性模擬)의 춤, 청어엮자와 같은 풍어모의(豊漁模擬)의 춤이 있다. 문지기놀이·쥔쥐새끼놀이 등의 군사놀이와 노르시름·행기돌기·콩동방동과 같은 체력단련놀이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강강술래를 비롯해 여흥놀이로서 소리춤과 놀이를 하면서 밤새도록 논다.

강강술래의 편성은 선도자(先導者)의 앞소리와 춤꾼들의 받는 소리가 융합된 응답식 소리로 연희하거나, 돌림소리꾼의 앞소리와 춤꾼들의 받는 소리로 연희하는 수가 있으며 구성은 원무(圓舞)나 나선무(螺旋舞)로 진행된다. 이밖의 소리품이나 놀이는 원형을 비롯하여 1렬행렬형(一列行列型)·2열대립형·개인놀이형이 있다. 강강술래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그 춤의 성격이 규정된다. 강강술래가 남성 유혹, 여성의 한(恨), 달과의 대화, 풍자, 효도사상, 인정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핵심은 달에 대한 동경에 있다. 율동적인 면에서는 활달하고 전투적이며, 또 한편으로는 다양한 모의적 성격을 띠고 있다.

 

강강술래는 떠는 목, 평으로 내리는 목, 꺾는 목의 3음음계로 이루어진 계면조이다. 이 놀이는 진양조로 하는〈느린(늦은) 강강술래소리〉 또는〈진강강술래〉에 맞추어 원을 그리며 손을 잡고 돈다. 이때 진양조 선소리(진도지방에서는 설소리라 함)로 매기고 '강강술래'라고 받는 소리를 한다. 중모리조로〈중강강술래소리〉를 하면서 손과 발을 맞추어 원을 그리며 걸어간다. 이어서 자진모리조로〈자진강강술래소리〉를 부르면서 손과 발을 힘차게 구르며 뛰고, 원을 그리며 돌아간다. 이 가운데〈중강강술래〉는 진도지방에서만 전승되고 있다.

어린이들이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는 놀이.

 

 

제기

제기는 구멍 뚫린 동전이나 엽전을 질긴 한지나 미농지, 비단 등으로 접어서 싼 다음, 양끝을 구멍을 꿰고 7~8cm 정도의 술이 달리게 그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서 너풀거리게 한 것인데, 주로 겨울철에 많이 노는 놀이기구이다. 제기차기는 한 번 차고 땅을 딛고, 또 차고 땅을 딛는 '땅강아지'(맨제기), 두발을 번갈아 차는 '어지자지'(양발차기), 땅을 딛지 않고 계속 차는 '헐랭이'(발 들고차기) 등이 기본적인 방법이고, 그밖에 제기를 뒤로 차올리거나 발 등 바깥쪽으로 차는 뒷발차기, 차올린 제기를 입에 물었다 다시 차는 물지기(물기), 제기가 귀 위까지 올라가는 귀 위 차기, 키를 넘게 올려차는 키지기, 차서 머리 위에 올렸다가 다시 차는 언지기, 무릎으로 차는 무릎차기 등이 있다. 앞의 여러 방법 중에 1가지만 정해서 차기도 하고 기본적인 방법 3가지를 차는 '삼세가지'를 해서 놀이를 하는데, 진 쪽에서는 종들이기라 하여 이긴 사람의 서너 걸음 앞에서 그의 발부리에 제기를 던져준다. 그러면 이긴 사람이 이것을 멀리 차보내는데 진 쪽에서 그 제기를 잡거나 차는 사람이 헛발질을 하면 종들이기를 벗어난다. 이 놀이는 고대의 축국(蹴鞠)에서 발전된 것으로 어린이의 발 운동에 좋다.

*굴렁쇠놀이

한국 전래놀이의 하나

 

굴렁쇠놀이

 나무로 만든 술통을 뉘어 굴리며 놀던 데서 유래된 것으로, 굵은 철사를 둥글게 말아서 붙인 굴렁쇠를 끝이 ㄷ자나 Y자 모양인 긴 막대기의 홈에 대고 굴렁쇠가 넘어지지 않게 굴리면서 달린다. 처음에는 대나무를 둥글게 만든 것이나 헌 수레바퀴로 굴렁쇠를 만들었는데, 점차 철사나 살을 떼어낸 자전거테를 쓰기도 했다. 철사보다는 자전거테처럼 너비가 너른 것이 넘어지지 않고 오래 굴릴 수 있다. 큰길보다는 방향을 바꾸어가며 이리저리 굴릴 수 있는 좁은 골목길이 더 재미있으며 혼자서만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굴리기도 한다. 여럿이 굴리는 것을 기차놀이라고 하는데, 한 줄로 서서 한 사람의 허리께를 잡고 굴리기도 하고 편을 나누어 일정한 거리를 돌아오는 이어달리기로 놀기도 한다. 이 놀이는 평형감각발달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개회식 때 한 어린이가 굴렁쇠를 굴리며 운동장을 가로질러 간 〈정적〉의 연출은 국내외의 찬사를 받기도 했다.

투호놀이

병을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병 속에 화살을 던져넣는 민속놀이.

투호놀이

 서울의 궁내(宮內)와 양반집안에서 주로 행해지던 놀이로 〈예기 禮記〉에 투호법이 등장할 정도로 오래된 놀이이다. 원래 중국 당나라 때 성행했으며. 일찍이 한국에 전래되었다. 넓은 마당의 잔디밭이나 대청에 귀가 달려 있는 항아리를 갖다놓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동서로 편을 갈라 10걸음 정도 떨어진 곳에서 화살을 던진다. 화살을 항아리나 귀구멍에 많이 넣은 편이 승리하게 되며, 무희들이 나와 한바탕 춤을 추어 흥을 돋우기도 한다. 살은 병 위 5치가량 되는 데서 반듯하게 떨어져 병 속이나 귀구멍 어느 쪽이든 가운데에 들어가게 한다. 이때 살을 던지는 이는 양쪽 어깨의 균형을 취해 어깨가 기울어지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이기는 것을 현(賢), 지는 것을 불승(不勝)이라 하며, 점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헌배(獻盃)·벌배(罰盃) 등이 행해진다. 투호병은 입구의 지름이 5치·4치·2치이며, 귀의 크기나 종류도 여러 가지이다. 살은 청살과 홍살 2가지로 겨룬다. 남자들도 많이 놀았지만, 함부로 바깥출입을 할 수 없었던 양반 부녀자들이 집 안에서 많이 즐겼다.

고누놀이

겨루기놀이의 하나.

 

 

 

 

고누놀이는 간단한 전통놀이로 널리 보급되어왔다. 사방 30㎝쯤 되는 널빤지에 고누판을 그리고 붉은 말, 푸른 말을 만들어 놀기도 하지만, 야외에서 놀 때에는 성냥개비·조약돌 등을 가지고 땅바닥에 줄을 그어놓고 놀 수도 있다. 고누는 밭머리, 공원 등 어느 곳에서든지 손쉽게 즐길 수 있다. 고누는 선후를 정하고 말을 쓴다. 약자선수(弱者先手)라고 수가 낮은 사람부터 시작한다. 상대편 말을 수를 써서 포위하거나 떼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놀이법이다. 그 종류에는 밭고누·강고누·네줄고누·곤질고누·패랭이고누·줄고누·호박고누·참고누·네바퀴고누·팔팔고누·포위고누·장수고누·왕고누 등이 있다.

그중 간단하고 놀기 쉬운 것이 밭고누와 네줄고누이다. 밭고누는 움직일 수 있는 밭이 9군데인데, 각각 말 3~4개씩을 가지고 그림1과 같이 놓고 1번에 한 발씩 움직인다. 상대방의 말이 갈 곳이 없도록 길을 막아버리면 이기게 된다. 예를 들어 그림1-1과 같은 경우에는 검은 것이 이긴다. 따라서 될 수 있는 대로 상대방의 말을 구석으로 몰아 보내도록 유도해가면서 길을 내주도록 한다. 네줄고누는 각각 4개 또는 6개의 말을 가지고 그림2와 같이 배열하고 한 발씩 움직여 자기 말이 공간이 없도록 한다. 진행 중에 말 2개가 나란히 놓였을 때, 상대방의 말이 바로 옆에 하나가 있으면 상대방의 말을 뗄 수 있다(그림 2-1과 같은 경우 흰말 ③을 뗄 수 있음)

줄다리기

영산 골목 줄다리기

 

 

 

 

 

 

줄다리기

일반적인 줄다리기에서는 줄의 중앙에 테이프나 손수건을 묶고 약 180cm 떨어져서 양쪽에 또 그와 같이 묶어둔다. 이 3개의 표시에 맞추어 땅에 선을 그린다. 한 팀이 상대를 끌어당겨 진 편의 테이프가 승자의 땅에 그려진 표시를 넘어서면 경기가 끝난다. 경기는 3전2선승제로 벌어진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농촌에서 여가를 보내는 놀이였던 줄다리기가 1900~20년에는 올림픽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는데 5명이 1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20세기에는 스코틀랜드 고지대의 운동회나 여러 나라의 친목모임에서 야외경기로 자주 벌어진다.

한국에서는 전래 민속놀이의 하나로서 대개 정월 대보름에 즐겨 놀았으며, 지방에 따라 5월 단오나 7월 백중에 행하기도 했다. 한 마을에서 동서 양편으로 나뉘어 집집마다 볏짚을 모아서 새끼줄을 꼬고, 그 줄을 다시 모아 마을사람이 모두 함께 큰 줄을 꼬아 만든다. 줄머리에는 도래라는 고리를 만들어 양편의 고리를 연결해서 그 속에 비녀목이라 부르는 통나무를 꽂고, 양편에서 줄을 당긴다. 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양편의 줄을 마주보게 해놓고 줄고사를 지낸다. 동서 양편으로 나눈 줄을 암줄과 수줄로 구분하며 각 편의 줄패쟁이를 뽑아 대표로 삼고 농악에 맞추어 줄을 당긴다. 보통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수줄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했는데, 지방에 따라 이기는 편이 풍년이 든다고 하기도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줄은 칼이나 톱으로 베어다가 자기 논에 던져두면 풍년이 든다는 속신도 있고, 또는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자가 줄을 삶아먹으면 아기를 낳게 된다고도 한다. 이는 줄다리기의 목적이 생산의 풍요에 있다는 증거이다. 이 놀이의 큰 목적은 한 해가 시작되는 때 마을사람들이 단결하여 줄을 꼬고 당기는 가운데 공동체의식을 갖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데 있다. 주로 한강 이남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놀이이다. 경상남도 영산줄다리기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어있다.

고리걸기  

한국 전래놀이의 하나

절에 관계없이 하는 연줄놀dl

고리걸기

여자나, 아이들이  뒷마당등에서.기막대를 세워놓고. 동그란 고리를 거는 놀이로 편을 가르거나, 누가 많이 걸어 넣으냥에 따라 승부를 정하거나 내기를 하였다.

 

연날리기

정초에 많이 행하는 개인 놀이의 하나

연날리기

선달부터 날리기도 하지만,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가 본격적인 시기이다. 이것은 그해의 재앙이나 못된 액을 연에다 실어서 날려보낸다는 풍속에서 옛날부터 행하던 풍속이다. 연을 날리는 장소는 땅이 평평하지 않고 앞에 언덕이나 큰 나무가 없고 높은 산이 가로막지 않은 곳에서 날린다. 연날리기는 늙은이나 젊은이를 막론하고 남자는 흔히 연을 날리고 연싸움도 한다. 연은 창호지나 백지, 대나무로 만든다. 종이를 임의의 크기로 정하여 만드는데, 가장 많은 것이 가로60cm안팍, 세로 80cm안팎이다.연의 종류로는 방패연,꼭지연,반달연,치마연,동이연,초연,박이연,발연,가오리연과

    

                                          ㅡ줄넘기ㅡ

    

                                       ㅡ제기차기ㅡ

    

                                        ㅡ투호놀이ㅡ

    

                                        ㅡ윷놀이ㅡ

    

                                ㅡ굴렁쇠놀이ㅡ

 자료제공:재미있는 민속 놀이                                            작성자 : fairy-woodc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