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는 『논어』에 나오는 ‘중도이폐’에 대한 다산의 해석이다. 『논어』의 관련 구절은 다음과 같다.
염구: “선생님의 도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만 힘이 부족합니다.” 공자: “힘이 부족하면 중도이폐한다. 지금 너는 선을 긋고 있는 것이다.”[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今女畫。”]
기존의 주석가들은 대부분 중도이폐의 폐(廢)를 ‘그만두다’, ‘멈추다’ 등으로 풀었다. 그래서 중도이폐는 ‘가던 길을 멈추다.’, ‘하던 일을 그만두다.’의 뜻으로 이해하였다. 그래서 때로 중도이폐는 포기라는 부정적인 맥락에 쓰이는 빌미가 되었다. 그러나 다산은 이 ‘폐’ 자를 글자 본래의 뜻이 ‘집이 기울어 무너지다.’이므로 사람의 경우라면 ‘기력이 다해 쓰러져 죽다.’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시 이런 설명을 덧붙였다.
“이 말은 죽음에 이르도록 그치지 않는다는 지극한 표현이다. 말이 측달하고 격렬하다.[此是至死不已之至言。其言惻怛激烈。]”
우리는 때로 어떤 지향이 펼쳐 보이는 비전에 황홀함을 경험할 때가 있다. 이 황홀함의 경험은 그 지향에 대한 신념의 골격을 이룬다. 아울러 그 지향을 실현하고자 하는 열정적인 삶의 동력이 된다. 그러나 이 황홀함의 경험은 순간일 뿐이다. 우리 삶의 대부분은 그것과는 동떨어진 실제투성이다. 우리의 실제는 변화 불가능을 완고히 주장하고 우리는 그 속에서 ‘역부족’을 실토하게 된다. 이런 실토가 늘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염구처럼 아예 멈춰 서서 바라보기만 하는 형해(形骸)화된 신념을 갖게 된다.
이런 염우에게 공자가 한 말을 다산은 다음과 같이 전한다: 내가 말한 ‘길’은 걸어가는 데 다른 이유가 없다. 단지 그 길이 좋기 때문이다. 이 길을 걸어가는 것이 인간의 고양된 삶에 대한 충만한 의미를 누리는 것이기 때문일 뿐이다. 내가 이 길을 어디까지 걸어갈 수 있는지는 문제가 아니다. 그저 걷다가 더 이상 걸을 힘이 없으면 쓰러질 뿐이다. 쓰러져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면 힘이 부족한 것도, 힘이 다한 것도 아니다. 네가 이 길을 좋아한다면 바라보고만 있지 말고 어서 길에 오르거라.
공자는 이 길을 걷는 것을 다음과 같이 술회하기도 하였다: “(이 길을 좋아하면) 그 길을 향해 가다가 가던 길에서 쓰러진다. 몸이 늙는 것도 잊고 길을 다 가기엔 나이가 부족한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 날마다 부지런히 뚜벅뚜벅 걸어가다가 쓰러지고 나서 끝난다. [鄕道而行, 中道而廢。忘身之老也, 不知年數之不足也, 俛焉日有孶孶, 斃而后已。]”『예기(禮記) 표기(表記)』
등에 진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 수많은 현실의 완고한 걸림돌에도 내 힘의 부침에도 계속 길을 향해 간다. 그래서 이 길을 걷는 것은 어느 것보다 격렬하다. 이 길을 걸어가는 것이 그 길을 걷는 기쁨을 누리는 것이지만 길을 걷는 자에게 허락된 것은 가던 길에서 쓰러지는 것뿐이다. 그래서 이 길을 걷는 것은 아름다우면서도 비장하다.
그래서 무언가를 추구하는 것이 기쁜 자에게 ‘중도이폐’는 삶의 도중의 모습이 아니라 삶의 끝에야 성취하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