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癰疽潰後氣血大虛惟恐毒陷托裏之法不可一日缺也宜用十宣散托裏散(二方見下)托裏和中湯芎歸托裏散托裏消毒飮加味十全湯神效托裏散聖愈湯盖托裏則氣血壯而脾胃盛膿穢自排毒氣自解死肉自去新肉自生瘡口自斂矣《入門》○瘡肉不斂由於肌肉不生肌肉不生由於腐肉不去腐肉不去由於脾胃不壯氣血不旺必以補托爲主而佐以行經活血之藥則新肉自生死肉自潰又何待於點割耶《入門》○凡膿血出多陰陽兩虛十全大補湯(方見虛勞)補氣血進飮食有回生起死之功但不分經絡不載時令醫者觸類而長之可也或見腫平痛寬遂以爲安慢不知省無補養調攝之功愈後虛證復見因而轉成他病者多矣《丹溪》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옹저가 터진 다음 기혈이 몹시 허약해지면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제일 우려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탁리하는 방법을 하루라도 쓰지 않아서는 안된다. 이때에는 십선산, 탁리산(托裏散, 이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탁리화중탕, 궁귀탁리산, 탁리소독음, 가미십전탕, 신효탁리산, 성유탕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대체로 탁리하면 기혈이 왕성해지고 비위가 든든해져 고름과 진물이 저절로 나오고 독기가 자연히 풀리며 궂은 살이 저절로 없어지고 새살이 살아나면서 헌데가 저절로 아문다[입문].
○ 헌데가 아물지 않는 원인은 새살이 살아나지 못하기 때문이고 새살이 살아나지 못하는 것은 궂은 살이 없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궂은 살이 없어지지 않는 것은 비위가 약하고 기혈이 왕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보하고 탁리하는 것을 위주로 하되 경맥과 혈을 잘 돌게 하는 약으로 보좌해야 새살이 저절로 살아나오면서 궂은 살이 없어진다. 그러니 썩어나는 약을 넣어 쓰거나 살을 베어낼 필요가 없다[입문].
○ 대체로 피고름이 많이 나와서 음양이 다 허해진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이 약은 기혈을 보하고 음식맛이 있게 하며 죽을 것같이 되었던 사람도 살아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렇지만 경락을 가르지 않고 쓰거나 계절에 맞지 않게 쓰지 말고 의사가 참작하여 여러 가지 약을 알맞게 넣어 써야 좋다. 혹 부은 것이 내리고 아픈 것이 덜해졌다고 하여 곧 마음을 놓고 보양하고 조섭하는데 등한히 하면 나은 뒤에 허한 증상이 또 생길 수 있는데 이로 말미암아 다른 병이 생기는 수가 많다[단계].
治癰疽潰後氣虛飮食少思或嘔吐泄瀉久不收斂人參白朮各一錢半黃妉白茯巔乾薑礐陳皮半夏各一錢木香甘草灸各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탁리화중탕(托裏和中湯)
옹저가 터진 뒤에 기가 허하여 음식을 적게 먹고 혹 토하고 설사하면서 헌데가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6g, 단너삼(황기), 흰솔풍령(백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4g,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托裏排膿生肌川芎當歸白芍藥酒炒白茯巔木香白芷各一錢二分人參辣桂丁香甘草生各七分右犫作一貼水煎服或爲末每二錢米飮調下《直指》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탁리하여 고름을 빨아내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목향, 구릿대(백지) 각각 4.8g, 인삼, 육계, 정향, 감초(생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治癰疽潰後補氣血進飮食排膿生肌黃妉酒蒸熟地黃當歸川芎人參白茯巔白芍藥炒白朮陳皮烏藥五味子桂心甘草各八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得效》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옹저를 치료하는데 터진 뒤에 기혈을 보하고 음식맛이 있게 하며 고름이 나오게 하고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단너삼(황기, 술에 찐 것), 찐지황(숙지황), 당귀, 궁궁이(천궁),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오약, 오미자, 계심, 감초 각각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治癰疽腫毒能托裏排膿黃妉忍冬草各三錢當歸二錢甘草一錢右犫作一貼酒水煎服《正傳》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
옹저와 종독을 치료하는데 탁리하여 고름이 잘 나오게 한다.
단너삼(황기), 인동초 각각 12g, 당귀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정전].
治癰疽膿水出多心煩少睡能托裏補氣血熟地黃生地黃川芎人參各二錢當歸黃妉各一錢右犫作一貼水煎服《東垣》
성유탕(聖愈湯)
옹저 때 고름과 진물이 많이 나오고 가슴이 답답하며 잠이 잘 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탁리하여 기혈을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생지황, 궁궁이(천궁), 인삼 각각 8g, 당귀, 단너삼(황기)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治癰疽潰後元氣虛弱久未收斂乃去腐生新之良劑也又治陰疽不潰發人參黃妉白芍藥當歸白朮白茯巔陳皮連翹金銀花各一錢白芷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옹저가 터진 뒤에 원기가 허약해져서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궂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좋은 약이다. 또한 음저(陰疽)가 터지지 않은 것도 낫게 한다.
인삼, 단너삼(황기),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연교, 금은화 각각 4g,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深山黃牛糞塞滿瘡內藤紙貼上三四日後去之最妙深山黃牛喫百草故入藥○又白芷大腹皮露蜂房煎湯淋洗拭乾以黃桑葉望爲細末散敄其中常服排膿內補散(卽十宣散)飮醇酒食肥肉自然生肌易合《直指》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깊은 산속에 있는 황우시(黃牛糞)를 헌데 구멍 속에 채워 넣고 그 위에 등지(藤紙)㈜를 붙였다가 3-4일이 지나서 떼어 버리면 아주 좋다. 깊은 산속에 있는 누렁소는 백 가지 풀을 먹기 때문에 약에 쓴다.
[註] 등지(藤紙): 오래 묵은 등나무껍질로 만든 종이이다.
○ 또는 구릿대(백지), 빈랑껍질, 노봉방을 넣고 달인 물로 씻고 수건으로 씻어 말린 다음 누런 뽕잎을 햇볕에 말려 보드랍게 가루내어 헌데 구멍 속에 뿌려 넣는다. 그 다음 배농내보산(排膿內補散, 즉 십선산이다)을 늘 먹으면 좋다. 좋은 술을 마시고 살코기를 먹으면 새살이 저절로 살아 나오면서 잘 낫는다[직지].
癰疽惡瘡中有惡肉若不去則好肉不生瘡口不合宜用藥消蝕之翠霞散(方見諸瘡)巴豆膏追毒丹去惡散消蝕散鹿角散雄黃散皆可○癰疽惡瘡有死肉不去者白丁香霜梅爲末深則㳱之淺則乾敄甚妙《精要》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옹저나 악창 때 속에 생긴 궂은 살을 없애지 않으면 새살이 살아 나오지 못하므로 헌데가 아물지 않는다. 그러므로 약을 써서 궂은 살을 없애야 한다. 이런 데는 취하산(翠霞散, 처방은 제창문에 있다), 파두고, 추독단, 거악산, 소식산, 녹각산, 웅황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옹저나 악창 때 궂은 살이 없어지지 않는데는 백정향과 상매, 백매를 가루내서 쓰는데 헌데 구멍이 깊으면 심지를 만들어 넣고 옅으면 마른 채로 뿌려야 아주 좋다[정요].
巴豆去殼炒焦硏如膏如發背中央肉死塗之卽腐未死塗之生肌惡瘡唪瘡久不收斂內有毒根以紙撚濐藥納之根去卽斂如元氣虛弱毒氣散漫中央肉死急服大補之劑中塗三四寸許至五六日赤椢之界自裂紋如刀劃狀中央漸潰若脾胃大虛肉不知痛急補脾胃肉多復生《入門》
파두고(巴豆膏)
파두를 껍질을 버리고 눋도록 닦아서 갈아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등창의 한가운데 살이 썩었을 때 바르면 그것이 녹아나오고 살이 썩지 않았을 때 바르면 새살이 살아난다. 악창(惡瘡)이나 염창( 瘡)이 오랫 동안 아물지 않는 것은 속에 독이 있는 근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종이 심지에 약을 묻혀서 넣어야 근(根)이 빠지면서 헌데가 곧 아문다. 만일 원기가 허약해지고 독기가 확 퍼져서 헌데의 한가운데 살이 썩으면 빨리 세게 보하는 약을 먹은 다음 한가운데 3-4치 너비로 이 약을 발라야 한다. 그러면 5-6일이 지나서 벌건 살과 꺼먼 살의 한계가 저절로 갈라지는데 칼로 그은 것 같은 금이 생기고 한가운데가 점차 물크러진다. 만일 비위(脾胃)가 몹시 허(虛)하여 살이 아픈 것도 모르게 되었을 때에는 빨리 비위를 보해야 새살이 잘 살아난다[입문].
治癰疽黑陷者用鍼開瘡口納此丹使之潰然後去敗肉排膿隨證治之巴豆七箇去皮心不去油硏細白丁香輕粉各一錢雄黃黃丹各二錢右爲末和白恪三錢滴水丸如麥粒大鍼後納其中貼以膏藥追出膿血毒物漏瘡四壁死肌不去則不可治亦以此追毒去死肌乃養肉令愈《得效》
추독단(追毒丹)
옹저가 거멓게 꺼져 들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침으로 헌데에 구멍을 낸 다음 그 곳으로 이 약을 넣으면 터지면서 궂은 살이 없어지고 고름이 빠진다. 그 다음 증상에 맞게 치료해야 한다.
파두 7알(껍질과 심을 버리고 기름은 빼지 않고 보드랍게 간다), 백정향, 경분 각각 4g, 석웅황(웅황), 황단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 12g과 함께 반죽하여 보리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헌데를 터뜨리고 넣는다. 다음 고약을 붙이면 피고름과 독물이 나온다. 누창(漏瘡) 둘레의 살이 썩은 것이 없어지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약으로 독기를 몰아내고 썩은 살을 없애야 새살이 살아나면서 낫는다[득효].
治癰疽及諸瘡有惡肉不能去者雄黃一錢巴豆一箇右同硏如泥入乳香沒藥末各少許又再硏勻每取少許點上惡肉卽去《入門》○諸瘡有惡肉者膏藥內入巴豆雄黃不傷良肉只去惡肉有死血不去白丁香上之《東垣》
거악산(去惡散)
옹저와 여러 가지 헌데에 궂은 살이 없어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4g, 파두 1알(이 2가지 약은 풀지게 간다), 유향, 몰약가루 조금.
위의 약들을 한데 넣고 갈아서 한번에 조금씩 궂은 살에 붙이면 곧 없어진다[입문].
○ 여러 가지 헌데에 궂은 살이 있을 때에는 고약에 파두와 석웅황을 넣어서 붙이면 성한 살은 상하지 않고 궂은 살만 없어진다. 궂은 피가 없어지지 않으면 백정향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消蝕惡肉淫盤歛骨先用洗瘡方然後付此藥白礬枯一兩綠礬枯雄黃乳香檎脂遠志各一錢右爲末蜜水硏膏付惡肉上麻油調亦得《直指》
소식산(消蝕散)
궂은 살을 없애고 벌레를 죽이며 썩은 뼈를 녹여낸다. 먼저 헌데를 씻는 약으로 씻은 다음에 이 약을 붙여야 한다.
백반(구운 것) 40g, 녹반(구운 것), 석웅황(웅황), 유향, 연지, 원지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궂은 살에 붙인다. 참기름에 개어 붙여도 좋다[직지].
主癰疽瘡腫去惡肉生好肌鹿角細末醋熬爲糊貼之當頭上開孔被膠急撮膿自出盡惡肉亦去矣《本草》
녹각산(鹿角散)
옹저와 창종의 궂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녹각.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식초에 넣고 달여서 풀처럼 만들어 헌데에 붙이면 꼭대기에 구멍이 뚫리고 녹각교의 빨아내는 센 작용에 의해서 고름이 저절로 다 나온다. 그리고 궂은 살도 또한 없어진다[본초].
去諸瘡中惡肉雄黃末一錢巴豆一箇不去皮硏如泥入乳香沒藥各少許再硏細點上惡肉自去○凡膏藥內入雄黃巴豆少許不傷好肉止去惡肉諸癰瘡有惡肉者皆可去《海藏》
웅황산(雄黃散)
여러 가지 헌데의 속에 생긴 궂은 살을 없앤다.
석웅황가루 4g, 파두(껍질을 버리지 않은 것) 1개.
위의 약들을 풀지게 갈아서 유향, 몰약 각각 조금씩 함께 넣고 다시 보드랍게 갈아서 쓰면 궂은 살이 저절로 없어진다.
○ 고약에 석웅황과 파두를 조금씩 넣어서 쓰고 성한 살은 상하지 않고 궂은 살만 없어진다. 그러므로 모든 옹창 때 생기는 궂은 살을 모두 없앨 수 있다[해장].
瘡家藏府生熱熱蒸其血血敗則肉腐肉腐則成膿當膿血組聚之時所賴朝夕洗瘡以外舒其毒氣瀮覺有膿卽煖醋濐浐而破之瀮見破肉卽煮藥砄射而去之稍或稽延不返掌而侵蝕筋骨矣《直指》○夫湯洗之法宣通肌表發散邪氣使瘡內消也盖湯水有砄滌之功凡瘡腫初生一二日須用藥湯淋射之在四肢者矰漬之在腰腹背者淋射之在下部委曲者浴漬之如藥二兩用水二升煎取一升半以淨布或新綿濐藥水稍熱矰漬患處稍凉則急令再溫勿用冷者日用五七次以腫消痛止爲驗《精義》初作宜宣熱拔毒外以洗滌角付以斂其暈已潰則排膿止痛朝夕洗滌以舒毒氣膿盡則生肌付痂次第施治《得效》○猪蹄湯解毒湯洗毒湯乾艾湯選用《入門》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헌데가 생기면 장부에 열이 생기는데 그 열이 혈(血)을 훈증한다. 그러면 혈이 썩으면서 살이 썩는다. 살이 썩으면 고름이 생긴다. 그러므로 피고름이 몰리려고 후끈후끈 달 때에는 아침 저녁으로 약물로 씻는 것이 독기를 풀리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 그러나 이미 고름이 생긴 것 같을 때에는 곧 식초를 뜨겁게 하여 솜에 묻혀서 찜질해야 터진다. 터졌을 때에는 곧 씻는 약을 달인 물로 씻으면서 고름을 짜내야 한다. 조금만 늦으면 손 쓸 사이 없이 힘줄과 뼈까지 상하게 된다[직지].
○ 대체로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은 기표(肌表)를 잘 통하게 하고 사기를 발산시켜서 헌데가 속으로 삭게 하자는 것이다. 그것은 달임약물이 확 씻어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헌데가 생긴 지 1-2일이 되었을 때에는 반드시 달임약물을 끼얹으면서 씻어야 하는데 팔다리에 생겼을 때에는 축여 주어서 젖어 있게 하고 허리, 배 등에 생겼을 때에는 끼얹으면서 씻고 아랫도리의 사타구니에 생겼을 때에는 목욕해야 한다. 그리고 약이 80g이면 물 2되에 넣어서 1되 5홉이 되게 달인 다음 여기에 깨끗한 천이나 새 솜을 적셔서 좀 뜨겁게 하여 헌데에 찜질한다. 약간 식어도 곧 데워서 써야 하지 식은 것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하루 5-7번씩 하되 부은 것이 내리고 아픈 것이 멎을 때까지 해야 한다[정의].
○ 헌데가 생기는 초기에는 열을 퍼지게 하고 독을 빨아내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겉으로 씻고 부항을 붙여서 벌건 무리를 없애야 한다. 이미 터졌으면 고름을 빼내고 아픈 것을 멎게 해야 하는데 아침 저녁으로 씻어서 독기를 풀어야 한다. 고름이 다 나온 다음에는 새살이 살아나고 딱지가 앉게 하는 순서로 치료해야 한다[득효].
○ 저제탕, 해독탕, 세독탕, 건애탕에서 골라 써야 한다[입문].
凡瘡有口用此湯洗掾猪蹄兩隻水三升煮軟將汁分爲兩次澄去上油及下滓却將白芷生甘草羌活露蜂房黃芩芍藥當歸各一錢右細犫投一半汁中再煎十數沸去滓以故帛濐藥湯溫洗惡物令淨避風冷及穢氣觸冒《精要》○一名肉汁湯《入門》
저제탕(猪蹄湯)
헌데 구멍이 생겼을 때에는 이 약을 달인 물로 씻어야 한다.
수퇘지 발굽 2개.
위의 것을 물 3되에 넣고 푹 끓여서 국물 위에 뜨는 기름과 찌꺼기를 버리고 2몫으로 나눈다. 여기에 구릿대(백지), 감초(생것), 강호리(강활), 노봉방,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각각 4g씩 잘게 썰어서 넣고 다시 10여 번 끓어 오르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약물에 천을 적셔서 따뜻하게 하여 궂은 물을 깨끗하게 씻어낸다. 다음 찬 바람과 나쁜 공기를 쏘이지 말아야 한다[정의].
○ 일명 육즙탕(肉汁湯)이라고 한다[입문].
治癰疽未破已破皆洗如成膿潰爛最要洗淨然後用藥敄貼黃栢澤蘭甘草荊芥赤芍藥大黃白芷當歸獨活各二錢右細犫入瘳白五莖大棗五枚水三升同煎去滓乘溫熏洗如潰爛入猪蹄一隻同煎用可免乾痛○一名水師精明《得效》
해독탕(解毒湯)
옹저가 터지지 않은 것이나 이미 터진 것도 다 치료하는데 씻어낸다. 만일 곪아터져서 헤쳐졌으면 이 약물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뿌리거나 붙이는 약을 쓰면 아주 좋다.
황백, 쉽싸리(택란), 감초, 형개, 함박꽃뿌리(적작약), 대황, 구릿대(백지), 당귀, 따두릅(독활) 각각 8g.
위의 약들을 잘게 썰어서 파밑 5대, 대추 5알과 함께 물 3되에 넣고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하여 김을 쏘이면서 씻는다. 만일 터져 헤쳐졌으면 돼지발굽 1개와 함께 넣고 달여서 그 물로 씻으면 마르면서 아픈 것도 미리 막을 수 있다.
○ 일명 수사정명(水師精明)이라고도 한다[득효].
湯洗一切瘡腫苦參防風露蜂房甘草各二錢半右犫作一貼水煎取汁溫洗日二《精義》
세독탕(洗毒湯)
달여서 씻는 것인데 모든 창종(瘡腫)에 다 쓴다.
너삼(고삼), 방풍, 노봉방,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따뜻한 것으로 씻는데 하루 2번 쓴다[정의].
癰疽瘡口久不合肉白而膿血少乃氣血不潮于瘡冷滯而然陳艾葉濃煎取湯逐日溫洗仍以白膠香燒烟熏之神異膏貼之(方見雜方)《精要》
건애탕(乾艾湯)
옹저 때 헌데 구멍이 오랫동안 아물지 않고 살이 허옇게 되며 피고름이 약간 생기는 것은 기혈이 헌데가 생긴 곳으로 잘 돌지 못하고 차져서 뭉치기 때문이다.
묵은 약쑥잎(陳艾葉).
위의 약을 진하게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매일 씻은 다음 즉시 백교향을 태우면서 연기를 쏘여야 한다. 그 다음 신이고(神異膏, 처방은 잡방에 있다)를 붙여야 한다[정요].
去瘡中膿血毒水桑灰淋汁侵洗《俗方》
뽕나무잿물[桑灰水]
헌데 속에 있는 피고름과 진물을 없애는데 이 잿물로 씻는다[속방].
溫洗癰疽毒腫日二三次最妙《俗方》
소금 끓인 물[監湯]
옹저와 독종 때 덥혀서 씻는데 하루 2-3번 하면 아주 좋다[속방].
凡瘡腫初生似有頭者卽貼溫熱藥引出熱毒火就燥之義也於四畔赤組處貼生寒藥折伏熱勢驅逐邪惡乃撲火之義也腫皮厚者以故軟帛或紙花子塗藥貼之腫皮薄者用疎紗或薄紙塗藥貼之乾則換易新者宜用乳香膏圍藥鐵井欄水澄膏沈水膏三神膏洪寶膏妙勝散《精要》○貼膏藥之法瘡口有膿血不淨痂瘢閉楝須用藥水洗淨拭乾侯水眞乾却用膏貼貼後有黃水膿血出流用紙吝從側畔出一日一換黃水膿血止二三日一換貼至愈宜用神異膏萬應膏靈應膏太乙膏雲母膏善應膏姎米膏斂瘡散挑花散紅玉散生肌散木香檳峹散竹筒吸毒方《得效》○凡付貼之藥須是細末則不痛《直指》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 貼法]
창종(瘡腫)이 생긴 초기에 꼭대기가 있는 것 같을 때에는 곧 성질이 따뜻하거나 뜨거운 약을 붙여서 열독을 빼야 한다. 이것은 불이 마른 곳으로 퍼져가는 이치를 이용한 것이다. 헌데 둘레가 벌겋게 되면서 달 때에는 그곳에 성질이 찬 약을 생것으로 붙여서 잠복되어 있는 열기를 억누르고 사기(邪氣)와 악기(惡氣)를 몰아내야 한다. 이것은 화를 치는 것을 의미한다. 헌데 딱지가 두꺼우면 부드러운 천이나 두꺼운 종이에 약을 발라 붙여야 하고 헌데 딱지가 얇으면 엷은 천이나 엷은 종이에 약을 발라 붙여야 하는데 마르면 갈아 붙인다. 유향고, 위약, 철정란, 수증고, 침수고, 삼신고, 홍보고, 묘승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요].
○ 고약을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헌데 구멍에 피고름이 있어서 깨끗하지 못하거나 딱지가 앉았을 때에는 반드시 약물로 씻은 다음 수건으로 물기가 없이 닦고 고약을 붙여야 한다. 고약을 붙인 뒤에 누런 진물이나 피고름이 나오면 종이로 묻혀내거나 옆으로 흐르게 하고 하루 1번씩 고약을 갈아 붙여야 한다. 누런 진물이나 피고름이 멎으면 2-3일에 1번씩 갈아 붙이되 나을 때까지 해야 한다. 그리고 신이고, 만응고, 영응고, 태을고, 운모고, 선응고, 나미고, 염창산, 도화산, 홍옥산, 생기산, 목향빈랑산이나 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붙이는 모든 약들은 반드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써야 아프지 않다[직지].
治背瘡初發赤腫而高乳香一兩靑薄荷葉四兩右硏勻樢患處靑絹盖之如乾新水潤之令熱毒消散減疼免牽引《涓子》
유향고(乳香膏)
등창의 초기에 벌겋게 부어 도드라져 올라온 것을 치료한다.
유향 40g, 푸른 박하잎(청박하엽) 160g.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 아픈 곳에 붙이고 쪽물 들인 천[靑絹]으로 싸맨다. 마르면 새로 길어온 물로 축여주어 열독이 헤쳐지게 하고 아프고 켕기는 것을 덜하게 해야 한다[연자].
南星草烏黃栢白奁各二兩五倍子一兩炒右末水調如糊隨四圍濖如墻壁可移險處於不險處如神《綱目》
위약(圍藥)
천남성, 바꽃(초오), 황백, 백급 각각 80g, 오배자(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풀처럼 되게 개서 헌데 둘레에 담벽처럼 테를 돌려서 붙인다. 이것은 위험한 것을 위험하지 않게 변동시키는 좋은 방법이다[강목].
治一切癰疽腫毒以此圍定不復畔開芙蓉葉重陽日前採蒼耳葉端午前採燒存性爲末蜜水調敷《入門》
철정란(鐵井欄)
여러 가지 옹저와 종독을 치료하는데 헌데 둘레에 돌려 붙이면 옆으로 퍼지지 못한다.
연잎(부용엽, 음력 9월 9일 전에 딴 것), 도꼬마리잎(창이엽, 단오 전에 딴 것).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붙인다[입문].
治癰瘡熱毒腫痛黃連黃栢白奁白斂各四錢雄黃一錢乳香沒藥各五分右末水調鷄羽掃上腫處《丹心》
수증고(水澄膏)
옹창과 열독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련, 황백, 백급, 가위톱(백렴) 각각 16g, 석웅황(웅황) 4g, 유향, 몰약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개서 닭의 깃으로 헌데에 바른다[단심].
治癰疽發背排膿斂毒大南星七錢半白奁白芷赤小豆半夏生貝母各五錢木鱉子仁乳香沒藥各二錢半雄黃一錢右爲末蜜水調付紗貼《直指》
침수고(沈水膏)
옹저와 등창을 치료하는데 고름을 빠지게 하고 독기를 없앤다.
천남성(큰 것) 30g, 백급, 구릿대(백지), 붉은팥(적소두), 끼무릇(반하), 패모(생것) 각각 20g, 목별자인, 유향, 몰약 각각 10g, 석웅황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천에 발라 붙인다[직지].
治癰疽發背摕麻子去殼四十九枚陳醋一椀半鹽一撮右同入鍋中熬之槐枝攪成膏先以米厹洗瘡琟上留頂未成膿卽消已成膿卽出膿《醫鑑》
삼신고(三神膏)
옹저와 등창을 치료한다.
아주까리( 麻子, 껍질을 버린 것) 49알, 묵은 식초(陳醋) 1사발 반, 소금 1자밤.
위의 약들을 냄비에 넣고 홰나무가지로 저으면서 고약이 되게 졸인다. 먼저 쌀 씻은 물로 헌데를 씻고 이 약을 붙이되 헌데 꼭대기는 내놓고 붙인다. 곪지 않았으면 삭고 이미 곪았으면 고름이 나온다[의감].
治一切腫毒散血消膿天花粉三兩白芷赤芍藥各二兩鬱金一兩右爲末茶調塗患處乾則換新《回春》
홍보고(洪寶膏)
여러 가지 종독을 치료하는데 어혈을 헤쳐지게 하고 고름을 삭게 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120g, 구릿대(백지),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80g, 울금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찻물에 개서 헌데에 붙인다. 마르면 갈아 붙여야 한다[회춘].
消腫斂毒排膿落地茄花去白黃蜀蔡花去心幷棋日乾右爲末井水稀調鷄羽掃付患處乾則再付或收毒平散或破潰出膿神效如瘡口開用末敄亦斂毒不急澁《直指》
묘승산(妙勝散)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독기를 삭히며 고름이 빠지게 한다.
땅에 떨어진 가지꽃(落地茄花, 흰꽃은 쓰지 못한다), 황촉규화(심과 꽃받침을 버린 것).
위의 약들을 함께 햇볕에 말려서 가루낸 다음 우물물에 묽게 개어 닭의 깃에 묻혀서 헌데에 바른다. 마르면 다시 발라야 한다. 독기를 빠지게 하여 풀리게도 하고 터지게 하여 고름이 나오게 하는데 아주 좋다. 구멍이 커서 아물지 않는데는 가루내어 뿌린다. 그러면 독기가 빠지고 아무는데 몹시 조여들지도 않는다[직지].
治發背癰疽及諸般惡毒瘡癤貼之其效如神○膏藥甚多效驗無出于此(方見雜方)
신이고(神異膏)
등창과 옹저, 여러 가지 악독, 창절을 치료하는데 붙인다. 효과가 아주 좋다.
○ 많은 고약이 있으나 효과가 이것보다 나은 것은 없다(처방은 잡방(雜方)에 있다).
治一切瘡疽初發組腫或老瘡不差亦令收斂早合貼之神效(方見雜方)
만응고(萬應膏)
여러 가지 헌데와 옹저의 초기에 화끈화끈 달면서 붓는 것을 치료하는데 혹 헌데가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병의 초기에 붙여야 아주 좋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治五發癰疽惡瘡岤嵤結核乳癰貼之則未成膿者自消已成膿者便潰惡肉易去新肉早生其效如神(方見雜方)○一名麥飯石膏《精要》
영응고(靈應膏)
5발, 옹저, 악창, 나력, 멍울이 진 것, 유옹을 치료한다. 곪지 않은데 붙이면 저절로 삭고 이미 곪은 데 붙이면 곧 터지고 궂은 살이 잘 없어지며 새살이 살아나는데 그 효과가 아주 좋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일명 맥반석고(麥飯石膏)라고도 한다[정요].
治五發癰疽一切惡瘡及蛇虎犬蝎幷湯火刀斧打撲損傷可內服外貼○若作丸服之則蛤粉爲衣○一名神仙太乙膏(方見雜方)
태을고(太乙膏)
5발, 옹저, 여러 가지 악창과 뱀, 범, 개, 전갈 등이나 끓는 물이나 불이나 칼, 도끼에 상한 것,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먹기도 하고 붙이기도 한다.
○ 만일 알약을 만들어 먹을 때에는 겉에 조가비가루[蛤粉]를 입혀야 한다.
○ 일명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처방은 잡방에 있다)라고도 한다.
治一切癰疽惡瘡腫毒折傷岤嵤骨疽內疽乳癰肺癰腸癰拄可外貼內服(方見雜方)○凡五發及發背外以敗蒲煎水洗瘡貼之又取一兩作丸梧子大溫酒呑下三十丸岤嵤骨疽亦如之腸癰作丸甘草湯呑下下膿血卽愈一切瘡疽外貼立差忌食羊血《局方》
운모고(雲母膏)
여러 가지 옹저, 악창(惡瘡), 종독(腫毒), 절상(折傷), 나력( ), 골저(骨疽), 내저(內疽), 페옹(肺癰), 장옹(腸癰)을 치료하는데 먹거나 붙인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대체로 5발이나 등창 때에는 낡은 부들자리를 달인 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붙인다. 그 다음 40g으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먹어야 한다. 나력이나 골저를 치료할 때에도 이처럼 한다. 장옹에는 알약을 만들어 감초를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 그러면 피고름이 즉시 나오고 곧 낫는다. 여러 가지 악창에 붙이면 곧 낫는다. 이 약을 쓸 때에 양(羊)의 피를 먹지 말아야 한다[국방].
治諸般腫毒惡瘡發背腦疽岤嵤打撲閃婰金瘡杖瘡蛇盤犬馬咬疥癬等疾拄外貼內服○內疽肺癰腸癰作丸如上法服(方見雜方)
선응고(善應膏)
여러 가지 종독, 악창, 등창, 뇌저(腦疽), 나력, 타박상, 염좌(捻挫), 쇠붙이에 다친 것, 매맞아 상한 것, 뱀, 벌레, 개, 말한테 물린 것, 옴, 버짐 등을 치료하는데 붙이기도 하고 먹기도 한다.
○ 내저, 폐옹, 장옹에는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위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淨姎米三升入磁盆內於端午前四十九日以冷水浸之一日兩度換水勿令米碎至端午日取出用絹袋盛之風乾每旋取少許炒黑爲末冷水調成膏量瘡大小貼之絹帛包定直侯瘡愈爲度乾則換常令濕爲妙《入門》
나미고( 米膏)
찹쌀(깨끗한 것) 3되.
위의 것을 단오 49일 전에 사기 항아리에 담아서 찬물에 담가두는데 하루 2번씩 물을 갈아주며 쌀알이 깨지지 않게 해야 한다. 단오날에 건져서 자루에 넣어 바람에 말린다. 한번에 조금씩 거멓게 되도록 닦아서 가루내어 찬물에 고약같이 되게 개서 헌데의 크기에 맞게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나을 때까지 붙이는데 마르면 갈아 붙여서 늘 젖어 있게 하는 것이 좋다[입문].
軟滑石禭花蘂石禭鷄內金各五錢白奁三錢半白斂二錢半黃丹乳香各一錢右爲末乾敄神效《直指》
염창산(斂瘡散)
연한 곱돌(활석, 달군 것), 화예석(달군 것), 계내금 각각 20g, 백급 14g, 가위톱(백렴) 10g, 황단, 유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리면 잘 낫는다[직지].
治一切瘡久不合白艾白斂黃栢黃連乳香麝香黃丹各等分右極細末敄瘡上二三日生肌平滿《丹心》
도화산(桃花散)
여러 가지 헌데가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급, 가위톱(백렴), 황백, 황련, 유향, 사향, 황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헌데에 뿌리면 2-3일 내에 새살이 살아나와 아문다[단심].
治諸瘡生肌肉寒水石不以多少鹽泥包嚸火禭右爲末入黃丹少許敄瘡上《丹心》○諸惡瘡血出不止寒水石細末敄之立止《東垣》
홍옥산(紅玉散)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하는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한수석 적당한 양.
위의 약을 소금물에 이긴 진흙으로 싸서 불에 구워 가루낸다. 다음 황단을 조금 섞어서 헌데에 뿌린다[단심].
○ 여러 가지 악창으로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에는 한수석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뿌리면 곧 멎는다[동원].
寒水石滑石龍骨(無則狗頭骨代之)烏賊魚骨各一兩定粉密陀僧白礬灰乾檎脂各五錢右爲極細末敄之《精要》○一方老狗頭生腦骨碎禭桑白皮新者一兩當歸二錢半右極細末油調付或乾敄《直指》
생기산(生肌散)
한수석, 곱돌(활석), 용골(없으면 대신 개대가리뼈를 쓴다), 오징어뼈(오적어골) 각각 40g, 연분, 밀타승, 백반(구운 것), 연지(마른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뿌린다[정요].
○ 어떤 처방은 늙은 개대가리뼈(생것으로 부스러뜨려서 태워 가루낸 것),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갓 캔 것) 40g, 당귀 10g을 함께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기름에 개어 붙이거나 마른 채로 뿌리게 되어 있다[직지].
治癰疽瘡癤潰後膿水不止肌肉不生不斂木香檳峹黃連各等分右細末新水調塗濕則乾敄膏粱熟瘡所宜用○一方加黃丹《局方》
목향빈랑산(木香檳 散)
옹저와 창절이 터진 뒤에 고름과 진물이 멎지 않고 나오고 새살이 살아나오지 못하며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빈랑,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개서 바른다. 진물이 많이 나오면 마른 가루로 뿌린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긴 열로 된 열창(熱瘡)에 쓴다.
○ 어떤 처방에는 황단이 더 들어 있다[국방].
治癰疽丁瘡腫毒及諸般惡瘡吸出膿血惡水甚佳苦竹筒三箇或五箇長一二寸許一頭留節薄削去靑皮以蒼朮白斂白珰黎厚朴艾葉白奁茶芽各三錢右爲㵋末將竹筒水二升同煮十數沸乘竹筒熱以手按於瘡上候膿血水滿自然脫落不然用手拔脫更換新筒如此三五次其毒盡消卽付生肌膏《丹心》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옹저, 정창, 종독, 여러 가지 악창을 치료한다. 피고름, 궂은 물을 빨아내는데 대단히 좋다. 참대 3-5개를 길이가 1-2치 정도 되게 자르되 한쪽은 마디가 있게 잘라서 겉껍질은 긁어버린다. 이것을 삽주(창출), 가위톱(백렴), 남가새열매(백질려), 후박, 약쑥(애엽), 백급, 작설차 각각 12g을 거칠게 가루낸 것과 함께 물 2되에 넣고 10여 번 끓어 오르게 달인 다음 곧 대롱을 꺼내서 뜨거운 것을 붙인다. 그 다음 한참 있으면 대롱 속에 피고름과 진물이 가득 차서 저절로 떨어진다. 만일 떨어지지 않으면 손으로 잡아당겨 떼내고 다른 새 대롱을 갈아 붙여야 한다. 이와 같이 3-5번 하면 독기가 다 빠지는데 그 다음 곧 생기고를 붙여야 한다[단심].
內疽者皆因飮食之火挾七情之火相鬱而叢飮食者陰受之七情者藏府受之宜其發在腔子而向裏非于腸胃籄膜也謂之內疽者以其視之不見故名焉《綱目》○發於內者曰肺癰心癰肝癰腎癰胃脘癰腸癰腹癰○發於外者曰嵈癰乳癰臀癰懸癰便癰囊癰附骨疽流注骨疽煿疽○內疽施點陰膠法次服仙方活命飮(方見上)內消沃雪湯《綱目》○內疽用內托之藥外以鍼開之而愈先用四物湯(方見血門)加桔梗香附生薑煎服潰後亦用四物調理雲母膏太乙膏作丸兼服《丹心》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내저(內疽)는 다 음식의 화(火)와 7정의 화가 뒤섞여 몰려서 생긴 것인데 음식의 화는 음부(陰府) 위에 생기고 7정의 화는 장부(藏府)에 생긴다. 내저는 몸통 속에 생겨 속으로 향하는데 장위(腸胃)나 황막에는 관계없다. 내저란 보이지 않는 곳에 생긴다는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강목].
○ 내장에 생기는 것은 폐옹(肺癰), 심옹(心癰), 간옹(肝癰), 신옹(腎癰), 위완옹(胃脘癰), 복옹(腹癰)이다.
○ 겉에 생기는 것은 비옹(臂癰), 유옹(乳癰), 둔옹(臀癰), 현옹(懸癰), 변옹(便癰), 낭옹(囊癰), 부골저(附骨疽), 유주골저(流注骨疽), 정저( 疽)이다.
○ 내저(內疽)에는 음교(陰膠)를 넣는 방법을 쓴 다음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처방은 위에 있다), 내소옥설탕을 써야 한다[강목].
○ 내저는 내탁하는 약을 쓰고 침으로 째면 낫는다.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도라지(길경), 향부자, 생강을 넣어서 달여 먹고 터진 뒤에 또 사물탕을 써서 조리해야 한다. 그리고 겸해서 운모고, 태을고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야 한다[단심].
欲知內疽所在點陰膠少許於口中卽知藏府所起直達至住處知痛足可醫也陰膠卽是久用甑中氣垢也○雷公云知瘡所在口點陰膠《本草》
음교를 넣는 방법[點陰膠法]
내저(內疽)가 어느 장부에 생겼는가 하는 것은 음교를 입안에 조금 넣어 보면 알 수 있다. 그것은 음교가 내저가 생긴 곳까지 곧바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아픈 것을 느끼는 것은 치료할 수 있다. 음교란 바로 오랫동안 쓴 시루 안에 김이 올라서 생긴 때이다. 뇌공(雷公)이 “내저가 있는 곳을 알려면 입안에 음교를 넣어보아야 한다”고 하였다[본초].
中府(穴名)隱隱而痛者肺疽上肉微起者肺癰也《靈樞》○肺之癰喘而兩呫滿肺癰吐膿如姎米粥咽燥振寒《內經》○振寒發熱寸怴滑數咳唾膿血其人飮食起居如故此爲癰腫膿在胸中爲肺癰其怴緊數爲膿未成緊去但數爲膿已成《仲景》○肺癰吐膿候其怴短而澁者自烡浮大者難治其面色白而反赤者此火之克金不可治《丹心》○大凡肺癰當咳喘短氣胸滿時唾膿血久久如姎米粥者難治其嘔膿而自止者自愈《精義》○始萌可救膿成多死《仲景》○肺癰乃風寒之氣內舍於肺而作先須發表宜參蘇飮(方見寒門)肺癰咳而胸膈隱痛時出濁唾腥臭實者先投參蘇飮四貼虛者先投小靑龍湯四貼(方見寒門)《得效》○肺癰口燥咽乾胸中隱痛二便赤澁咳唾膿血腥臭置之水中則沈宜用桔梗湯消膿飮華葉湯黃昏湯五香白朮散牧丹皮湯參妉補肺湯參朮補脾湯《入門》○肺癰之證男子以氣爲主得之十救二三婦人以血爲主得之十全七八歷試屢驗《得效》○雲母膏作丸服太乙膏亦可《入門》
폐옹(肺癰)
중부(中府,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폐저(肺疽)이고 그곳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폐옹(肺癰)이다[영추].
○ 폐옹이 생기면 숨이 차고 양 옆구리가 그득해진다. 폐옹 때에는 찹쌀죽같은 고름을 토하며 목구멍이 마르고 추워서 부들부들 떤다[내경].
○ 추워서 부들부들 떨며 열이 나고 촌맥(寸脈)이 활삭(滑數)하며 기침하면서 피고름을 뱉는데 음식을 먹는 것과 자고 일어나는 것이 평상시와 같은 것은 옹종(癰腫)이다. 이것은 가슴 속에 고름이 생긴 폐옹이다. 맥이 긴삭(緊數)하면 채 곪지 않는 것이다. 맥이 긴(緊)하지는 않고 삭(數)하기만 한 것은 다 곪은 것이다[중경].
○ 폐옹으로 고름을 토한 다음에 맥이 단삽(短澁)해지면 저절로 낫고 부대(浮大)해지면 치료하기 어렵다. 얼굴빛이 허옇게 되어야 하는데 도리어 빨갛게 되는 것은 화가 금을 이긴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단심].
○ 폐옹 때에는 반드시 기침이 나고 숨이 차고 숨결이 밭으며 가슴 속이 그득하며 때때로 피고름을 뱉는데 찹쌀죽같은 고름을 오랫동안 뱉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고 고름을 토하다가 멎는 것은 저절로 낫는다[정의].
○ 초기에는 살릴 수 있고 고름이 생기면 흔히 죽을 수 있다[중경].
○ 폐옹은 풍한(風寒)의 사기가 폐에 들어가서 생긴 것이므로 먼저 발표시켜야 한다. 이런 데는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폐옹 때에는 기침이 나고 늘 가슴이 은은히 아프며 때때로 걸쭉한 가래를 뱉는데 비린내가 난다. 실증(實證)이면 먼저 삼소음 4첩을 먹고 허증(虛證)이면 먼저 소청룡탕(小靑龍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4첩을 먹어야 한다[득효].
○ 폐옹 때에는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가슴이 은은히 아프며 오줌이 벌겋게 되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기침이 나고 비린내가 나는 피고름을 뱉는데 이것을 물에 넣으면 가라앉는다. 이런 데는 길경탕, 소농음, 위엽탕, 황혼탕, 오향백출산, 목단피탕, 삼기보폐탕, 삼출보비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폐옹은 주로 남자는 기가 원인이 되어 생기므로 10명에 2-3명을 살릴 수 있고 여자는 주로 혈이 원인이 되어 생기므로 10명에 7-8명은 치료할 수 있다. 여러 번 경험해 보았으나 다 그렇다[득효].
○ 운모고(雲母膏)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 태을고(太乙膏)도 또한 좋다[입문].
治肺癰桔梗貝母各一錢二分當歸瓜蔞薏苡仁各一錢枳殼桑白皮防風黃妉各七分杏仁百合甘草節各五分右犫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正傳》
길경탕(桔梗湯)
폐옹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패모 각각 4.8g, 당귀, 하늘타리씨(과루인), 율무쌀(의이인) 각각 4g, 지각,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방풍, 단너삼(황기) 각각 2.8g, 살구씨(행인), 나리(百合), 감초마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治肺癰嘔膿南星礐一錢射干桔梗天門冬薄荷紫蘇葉杏仁半夏防風各七分半知母貝母阿膠川芎生乾地黃桑白皮白奁白芷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薑七片烏梅一箇水煎服《入門》
소농음(消膿飮)
폐옹으로 고름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싸서 구운 것) 4g, 범부채(사간), 도라지(길경), 천문동, 박하,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끼무릇(반하), 방풍 각각 3g, 지모, 패모, 갖풀(아교), 궁궁이(천궁), 생건지황,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백급,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肺癰心胸甲錯咳喘煩熱薏苡仁冬瓜仁桃仁各二錢犫先以葦葉一握水二盞煎取一盞去滓入三藥煎至六分去滓食後服吐膿血勿怪《得效》
위엽탕(葦葉湯)
폐옹으로 가슴에 고기비늘 같은 것이 생기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차고 번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율무쌀(의이인), 동아씨(동과자), 복숭아씨(도인) 각각 8g.
먼저 갈대잎[葦葉]을 썰어서 1줌을 물 2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위의 3가지 약을 넣고 6분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끼니 뒤에 먹는다. 그 다음 피고름을 토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득효].
治同上夜合樹皮一掌大水煎服卽合歡皮也《本草》
황혼탕(黃昏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자귀나무껍질(夜合樹皮) 손바닥만한 것.
위의 약을 물에 달여 먹는다. 야합수피(夜合樹皮)는 합환피(合歡皮)이다[본초].
治肺癰生肺金益脾土進飮食人參白朮山藥白茯巔薏苡仁白扁豆桔梗縮砂蓮肉白豆埼甘草各二錢沈香木香乳香丁香藿香各一錢右爲末每三錢蘇鹽湯調下大棗湯亦可《得效》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폐옹을 치료하는데 폐금(肺金)을 생(生)하고 비토(脾土)를 보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율무쌀(의이인), 까치콩(백편두), 도라지(길경), 사인, 연밥, 백두구, 감초 각각 8g. 침향, 목향, 유향, 정향, 곽향 각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차조기와 소금을 넣어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대추를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좋다[득효].
治肺癰胸乳間皆痛口吐膿血氣作腥臭牧丹皮升麻桔梗薏苡仁地楡黃芩赤芍藥甘草生各一錢三分右犫作一貼水煎服《得效》
목단피탕(牡丹皮湯)
폐옹으로 젖가슴이 아프고 피고름을 토하면서 비린내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승마, 도라지(길경), 율무쌀(의이인), 오이풀뿌리(지유), 속썩은풀(황금),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생것) 각각 5.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一小婦膺間潰一竅口中所咳膿血與竅相應而出宜大補氣血以參妉當歸加退熱排膿藥多服兼取雲母膏作丸甘桔湯呑下而愈《丹心》
또 한 가지 처방
어떤 젊은 부인이 폐옹으로 젖가슴에 구멍이 하나 생겼는데 기침할 때마다 그 구멍으로 피고름이 나왔다. 이런 때에는 기혈을 세게 보해야 한다. 그러므로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를 넣어 써서 열을 내리고 고름을 나오게 하는 약을 많이 넣어 쓰면서 겸하여 운모고로 알약을 만들어 감초와 도라지(길경)를 달인 물로 먹였는데 나았다[단심].
治肺癰咳吐膿血發熱作渴熟地黃一錢半牧丹皮一錢人參黃妉白朮白茯巔陳皮山茱萸當歸山藥五味子麥門冬各七分甘草灸五分右犫作一貼薑三水煎服《入門》
삼기보폐탕(蔘 補肺湯)
폐옹으로 기침이 나며 피고름을 토하고 열이 나며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4g, 인삼,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산수유, 당귀, 마(산약), 오미자, 맥문동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肺癰吐膿血久不愈脾弱不食此藥能補脾生肺黃妉二錢人參白朮各一錢半陳皮當歸白茯巔各一錢麥門冬七分桔梗六分甘草五分五味子四分升麻三分右犫作一貼薑三水煎服《入門》
삼출보비탕(蔘朮補脾湯)
폐옹으로 피고름을 토하며 오랫동안 낫지 않고 비(脾)가 허약해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비(脾)를 보하고 폐(肺)를 생(生)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맥문동 2.8g, 도라지(길경) 2.4g, 감초 2g, 오미자 1.6g, 승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巨闕(穴名)隱隱而痛者心疽上肉微起者心癰也《靈樞》○心癰者心經有熱或好飮酒或嗜熱物積聚成熱凝滯而生先用凉血飮次服加味十奇散(方見上)《得效》○心癰者於胸乳間生蜂嚭癰發靈樞經所謂一名井疽狀如豆大三四日起不早治則入於腹七日死急用疎導心火之藥宜用淸心丸淸心散內固淸心散瀉心湯《入門》
심옹(心癰)
거궐(巨闕, 혈이름) 부위가 아픈 것은 심저(心疽)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심옹(心癰)이다[영추].
○ 심옹은 심경(心經)에 열이 있거나 술이나 열이 나게 하는 음식을 많이 먹어서 열이 몰려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먼저 양혈음(凉血飮)을 쓰고 다음에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어야 한다[득효].
○ 심옹이란 젖가슴에 벌둥지 같은 옹이 생긴 것을 말한다. 『영추경』에 일명 정저(井疽)라고 한 것이 이것인데 3-4일 내에 크기가 콩알만해진다. 이것을 일찍 치료하지 않으면 배로 들어가므로 7일 만에 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빨리 심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하는데 청심환, 청심산, 내고청심산, 사심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治心癰退潮止渴解熱能內消木通瞿麥荊芥薄荷白芷天花粉赤芍藥麥門冬生乾地黃梔子車前子連翹甘草各八分右犫作一貼入燈心竹葉水煎服○一名引兵先鋒《得效》
양혈음(凉血飮)
심옹을 치료하는데 조열을 없애고 갈증을 멈추며 열을 내리며 속으로 삭게 한다.
으름덩굴(목통), 패랭이꽃(구맥), 형개, 박하, 구릿대(백지), 하늘타리뿌리(과루근), 함박꽃뿌리(적작약), 맥문동, 생건지황, 산치자, 길짱구씨(차전자), 연교, 감초 각각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참대잎(죽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일명 인병선봉(引兵先鋒)이라고도 한다[득효].
諸痛痒瘡瘍皆屬心火此藥主之黃連一兩茯神赤茯巔各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米飮下百丸《入門》
청심환(淸心丸)
여러 가지 아프고 가려운 헌데는 다 심화에 속하는데 주로 이 약을 쓴다.
황련 40g, 복신,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治心癰及癰疽熱證遠志赤茯巔赤芍藥生乾地黃麥門冬知母甘草生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加黃連尤佳《入門》
청심산(淸心散)
심옹과 옹저의 열증을 치료한다.
원지,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생건지황, 맥문동, 지모, 감초(생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황련을 넣으면 더 좋다[입문].
治心癰及癰疽惡瘡煩躁以此解毒神效辰砂赤茯巔人參白豆埼雄黃菉豆朴硝甘草爣角各一錢龍腦麝香各一字右爲末每一錢蜜水調下《入門》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심옹과 옹저, 악창으로 답답해 날치는 것을 치료하는데 독을 풀어서 잘 낫게 한다.
주사,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백두구, 석웅황(웅황), 녹두, 박초, 감초, 주염열매(조각)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꿀물에 타 먹는다[입문].
治心癰及癰疽毒盛躁渴大黃一錢半黃連黃芩山梔子漏蘆澤蘭連翹蘇木各七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사심탕(瀉心湯)
심옹과 옹저로 독이 성(盛)하여 번조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6g,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뻐꾹채(누로), 쉽싸리(택란), 연교, 소목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期門(穴名)隱隱而痛者肝疽上肉微起者肝癰也《靈樞》○發於腋下赤堅者名曰米疽治之以磠石其堅而不潰者爲馬刀挾櫬急治之《靈樞》○脇癰由肝心火盛宜柴胡淸肝湯(方見上)潰後方可淸熱托裏忌熱藥《入門》○肝癰兩呫滿臥則驚不得小便《內經》○小柴胡湯隨證加厡用(方見寒門)
간옹(肝癰)
기문(期門,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간저(肝疽)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간옹(肝癰)이다[영추].
○ 겨드랑 밑에 벌겋고 뜬뜬한 것이 생긴 것을 미저(米疽)라고 하는데 침으로 치료해야 한다. 뜬뜬하기만 하고 곪지 않는 것은 마도협영(馬刀挾 )이라고 하는데 빨리 치료해야 한다[영추].
○ 협옹(脇癰)은 간(肝)과 심(心)에 화(火)가 성(盛)하여 생긴 것이므로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곪아터진 다음에는 열을 내리고 탁리하는 약을 쓰는 것이 좋고 성질이 열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 간옹 때에는 양쪽 옆구리가 그득하고 자면서 잘 놀라며 오줌을 누지 못한다[내경].
○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증상에 따라 가감하여 써야 한다.
京門(穴名)隱隱而痛者腎疽上肉微起者腎癰也《靈樞》○腎癰呫下至小腹滿《內經》○腎癰乃與內腎相對皆由腎氣衰敗而成突起皮赤者易安陷入皮黑者難差宜加減八味元(方見虛門)加味十奇散(方見上)《得效》五藏癰疽俱宜十六味流氣飮或托裏散(方見上)加山梔仁黃芩杏仁連翹且與癰疽通治法相參用《入門》
신옹(腎癰)
경문(京門,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신저(腎疽)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신옹(腎癰)이다[영추].
○ 신옹 때에는 옆구리 밑에서부터 아랫배까지 그득하다[내경].
○ 신옹은 내신(內腎)과 상대되는 부위에 생기는데 이것은 다 신기(腎氣)가 쇠약하고 상하여 생기는 것이다. 뾰쪽하게 도드라져 올라오고 피부가 벌겋게 되는 것은 치료하기 쉽고 움푹하게 들어가고 피부가 거멓게 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데는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5장에 생긴 옹저에는 다 십육미류기음(十六味流氣飮)을 쓰는데 혹 탁리산(托裏散, 처방은 위에 있다)에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살구씨, 연교를 넣어서 쓰기도 한다. 또는 옹저를 두루 치료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쓰는 것도 좋다[입문].
治癰疽無名惡腫等疾乃表裏氣血藥也人參當歸黃妉桔梗防風木香枳殼川芎肉桂白芍藥檳峹白芷厚朴紫蘇葉烏藥甘草各六分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십육미류기음(十六味流氣飮)
옹저와 원인 모를 악종 등을 치료하는데 표(表), 리(裏), 기(氣), 혈(血) 증에 다 쓸 수 있는 약이다.
인삼, 당귀, 단너삼(황기), 도라지(길경), 방풍, 목향, 지각, 궁궁이(천궁), 육계,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빈랑, 구릿대(백지), 후박, 차조기잎(자소엽), 오약,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帝曰人病胃脘癰者診當何如岐伯曰診此者當候胃怴其怴當沈細沈細者氣逆也逆者人迎甚盛甚盛則熱人迎者胃怴也逆而盛則熱聚於胃口而不行故胃脘爲癰也《內經》○中脘(穴名)屬胃隱隱痛者胃脘癰也《靈樞》○怴洪數者膿已成也設怴遲緊雖膿未就已有瘀血也宜急治之《精義》○多因飮食及七情火鬱復感風寒使熱濁之氣塡塞胃脘胃中淸氣下陷故胃怴沈細惟寒氣所隔故人迎緊盛者有此二怴眞胃脘癰也《入門》○外證寒熱如秇胃濁則肺金失養故身皮甲錯或咳或嘔或唾膿血射干湯主之千金內消散(方見上)內消沃雪湯東垣托裏散皆可服又雲母膏作丸以桔梗甘草湯呑下太乙膏亦佳《入門》
위완옹(胃脘癰)
황제(黃帝)가 “위완옹은 어떻게 진단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이것을 진단하려면 반드시 위맥(胃脈)을 보아야 하는데 그 맥이 반드시 침세(沈細)해야 한다. 침세한 것은 기가 치미는 것인데 기가 치밀면 인영맥(人迎脈)이 몹시 성(盛)하게 된다. 인영맥이 몹시 성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인영은 위의 맥이므로 기가 치밀어 몹시 성하면 열이 위의 어구에 몰려서 헤쳐지지 못하므로 위완에 옹이 생긴다”라고 대답하였다[내경].
○ 중완(中脘, 혈이름)은 위에 연관된 것이므로 중완이 은은히 아픈 것은 위완옹이다[영추].
○ 맥이 홍삭(洪數)한 것은 이미 곪은 것이다. 맥이 지긴(遲緊)한 것은 완전히 곪지는 않았으나 어혈(瘀血)이 있는 것이므로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정의].
○ 음식이나 7정(七情)의 화(火)가 몰려서 상하였을 때 또 풍한사에 감촉되면 열하고 탁한 기운이 위완(胃脘)을 막게 된다. 그러면 위 속에 있던 청기(淸氣)가 처져내려가게 되어 위맥(胃脈)이 침세해지고 찬 기운의 침습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인영맥이 긴성(緊盛)하게 된다. 이 2가지 맥이 나타나는 것은 틀림없이 위완옹이다[입문].
○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고 위의 기운이 탁해지며 폐금이 영양을 받지 못하므로 피부가 고기비늘같이 되고 혹 기침이 나거나 구역이 나고 피고름을 뱉는 것인데 이런 데는 주로 사간탕을 쓴다.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처방은 위에 있다), 내소옥설탕, 동원탁리산 등도 다 쓸 수 있다. 또는 운모고로 알약을 만들어 도라지와 감초를 달인 물로 먹어도 된다. 태을고도 역시 좋다[입문].
治胃脘癰赤芍藥二錢半射干梔子赤茯巔升麻各一錢半白朮一錢右犫作一貼水煎去滓入生地黃汁一合蜜半合再煎一沸溫服《河間》
사간탕(射干湯)
위완옹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적작약) 10g, 범부채(사간), 산치자, 벌건솔풍령(적복령), 승마 각각 6g, 흰삽주(백출)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여기에 생지황즙 1홉, 꿀 반 홉을 넣어서 다시 한번 끓어 오르게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하간].
治胃脘癰及屠癰內疽神效當歸身白芍藥甘草節黃妉射干連翹白芷貝母陳皮爣角刺天花粉穿山甲金銀花木香靑皮乳香沒藥各五分大黃酒製一錢半右犫作一貼酒水相半煎服《醫鑑》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위완옹과 두옹( 癰)㈜, 내저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마디, 단너삼(황기), 범부채(사간), 연교, 구릿대(백지), 패모, 귤껍질(陳皮), 주염나무가시(조각자),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천산갑, 금은화, 목향, 선귤껍질(靑皮), 유향, 몰약 각각 2g, 대황(술로 법제한 것)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의감].
[註] 두옹( 癰): 배꼽에서 고름이 나오는 큰 헌데
治胃脘癰內疽及一切惡瘡始發腫痛怴洪數弦實將欲作膿者三服消盡金銀花當歸各二錢大黃牡蠣瓜蔞根爣角刺連翹朴硝各六分赤芍藥黃芩各四分右犫作一貼酒水相半煎服《精義》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위완옹과 내저, 여러 가지 악창의 초기에 붓고 아프며 맥이 홍(洪), 삭(數), 현(弦), 실(實)하고 점차 곪으려고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3번만 먹으면 낫는다.
금은화, 당귀 각각 8g, 대황, 굴조개껍질(모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주염나무가시(조각자), 연교, 박초 각각 2.4g, 함박꽃뿌리(적작약), 속썩은풀(황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정의].
東醫寶鑑雜病篇卷之七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잡병편]옹저 하1 -東醫寶鑑雜病篇卷之八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 옹저 상1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사수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온역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해학2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