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虛勞氣血俱不足精神短少脾胃虛弱專補肝血遠志白芍藥黃妉白朮各一兩半熟地黃人參五味子川芎當歸山藥各一兩陳皮八錢白茯巔七錢生乾地黃五錢山茱萸四錢右爲末蜜丸梧子大淸米飮下七九十丸《集略》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허로로 기혈이 다 부족하여 정신이 맑지 못하며 비위가 허약한 것을 치료하며 주로 간혈을 보한다.
원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 각각 60g, 찐지황(숙지황), 인삼, 오미자, 궁궁이(천궁), 당귀, 마(산약) 각각 40g, 귤껍질(陳皮) 32g, 흰솔풍령(백복령) 28g, 생건지황 20g, 산수유 16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멀건 미음으로 먹는다[집략].
虛勞證肌肉消瘦飮食不進此是脾虛宜用天眞元還元丹(二方見上)橘皮煎元參巔白朮散(方見內傷)烏朮丸潤腎丸大山芋元參朮調元膏參巔白朮丸九仙王道嗰(三方見內傷)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허로증으로 살이 여위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은 비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천진원, 환원단(還元丹,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귤피전원,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오출환, 윤신환, 대산우원, 삼출조원고, 삼령백출환, 구선왕도고(九仙王道 , 3가지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治脾腎大虛不進飮食肌肉消瘦虛弱憔悴及久秇久痢橘皮五兩甘草三兩三錢當歸摕穨肉瘴蓉吳茱萸厚朴肉桂陽起石巴戟石斛附子砵絲子牛膝鹿茸杜盓乾薑各一兩右爲末用酒一升半於磁器入橘皮末煎熬如孪却入諸藥末攪勻宭丸梧子大空心溫酒鹽湯下五七十丸《入門》
귤피전원(橘皮煎元)
비신(脾腎)이 몹시 허하여 음식이 먹히지 않으며 살이 여위고 몸이 허약해져서 초췌한 것과 오랜 학질, 오랜 이질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200g, 감초 132g, 당귀, 비해, 육종용, 오수유, 후박, 육계, 양기석, 파극, 석곡, 부자, 새삼씨(토사자), 쇠무릎(우슬), 녹용, 두충, 건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도자기 그릇에 술 1되 5홉과 귤껍질가루를 넣고 엿처럼 졸인 것과 우의 약가루를 고루 섞어서 짓찧어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治虛勞補脾腎壯筋骨煖下元蒼朮東流水浸十日去皮切焙半斤川烏米厹浸五日逐日換厹礐去皮臍川椒取開口者燒塼令紅以醋潑塼安椒盖出汗取紅靑皮去白各三兩靑鹽一兩嶽硏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或溫酒下三五十丸《類聚》
오출환(烏朮丸)
허로를 치료하는데 비와 신을 보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하초(下焦)의 원기를 따뜻하게 한다.
삽주(창출, 강물에 10일간 담갔다가 껍질을 벗기고 썰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300g, 오두(천오, 쌀 씻은 물에 5일 동안 담그되 쌀 씻은 물을 날마다 갈아준다. 이것을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조피열매(천초, 벌어진 것을 빨갛게 달군 벽돌에 식초를 뿌린 후 그 위에 놓고 뚜껑을 덮어서 진이 나게 한 다음 벌개진 것만 쓴다), 선귤껍질(청피, 흰속을 버린 것) 각각 120g, 돌소금(청염, 따로 가루를 낸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유취].
治脾腎虛損形瘦而靑黃蒼朮一斤用堛菜一斤宭取汁拌勻九蒸九望又用茴香半斤同蒸一次去茴香熟地黃一斤五味子半斤乾薑冬一兩夏五錢春秋七錢右爲末蒸棗肉和丸梧子大空心米飮下百丸○此方與後陰門黑地黃丸同而製法異《入門》
윤신환(潤腎丸)
비와 신이 허손되어 몸이 여위고 얼굴빛이 파르누르스름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부추 600g을 짓찧어 낸 즙으로 버무려 9번 찌고 9번 볕에 말리운 다음 또 회향 300g과 함께 한번 찐 뒤에 회향은 버린다) 600g, 찐지황(숙지황) 600g, 오미자 300g, 건강(겨울이면 40g, 여름이면 20g, 봄 또는 가을이면 2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찐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 이 처방은 항문문에 있는 흑지황환과 같은데 만드는 방법이 다르다[입문].
治虛弱羸瘦脾胃虛弱飮食減少或大病後氣不復常漸成勞損山藥三兩七錢半甘草三兩半大豆黃卷炒熟地黃當歸肉桂神麴炒各一兩二錢半人參阿膠各八錢二分半白朮麥門冬防風白芍藥杏仁川芎各七錢半白茯巔桔梗柴胡各六錢二分半乾薑三錢七分半白斂二錢半右爲末大棗百枚蒸取肉入煉蜜和丸如彈子大每一丸以溫酒或米飮嚼下《局方》
대산우원(大山芋元)
허약하고 몸이 몹시 여위며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을 적게 먹는 것과 혹 중병을 앓은 뒤에 원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점차적으로 노손증(勞損證)이 되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마(산약) 150g, 감초 140g, 대두황권(닦은 것), 찐지황(숙지황), 당귀, 육계,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50g, 인삼, 갖풀(아교) 각각 33g, 흰삽주(백출), 맥문동, 방풍,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살구씨(행인), 궁궁이(천궁) 각각 30g, 흰솔풍령(백복령), 도라지(길경), 시호 각각 25g, 건강 15g, 가위톱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대추 100알을 쪄서 살을 발라 졸인 꿀을 넣은 것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씹어 먹는다[국방].
虛勞證咳嗽痰盛氣急或唾血此爲肺虛宜用人參膏獨參湯(二方見氣門)人參黃妉散團參飮子(方見咳嗽)保和湯(方見下)
폐가 허한 데 쓰는 약[肺虛藥]
허로증으로 기침하고 가래가 성하며 숨이 가쁘고 혹 피를 뱉는 것은 폐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인삼고, 독삼탕(獨蔘湯, 2가지 처방은 기문에 있다), 인삼황기산, 단삼음자(團蔘飮子,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보화탕(保和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治虛勞客熱潮熱盜汗痰嗽唾膿血鱉甲曧灸一錢半天門冬一錢秦埵柴胡地骨皮生乾地黃各七分桑白皮半夏知母紫泸黃妉赤芍藥甘草各五分人參白茯巔桔梗各三分右犫作一貼水煎服《得效》
인삼황기산(人蔘黃 散)
허로로 열과 조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성하여 기침하고 피고름 뱉는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6g, 천문동 4g, 진교, 시호, 지골피, 생건지황 각각 2.8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지모, 개미취(자원), 단너삼(황기),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 각각 2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도라지(길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腎藏有二左爲腎右爲命門腎屬水水不足則爲陰虛命門屬火火不足則爲陽虛○腎虛宜用六味地黃元太極丸陰煉秋石丹八味補腎丸冷補丸腎氣丸三一腎氣丸延年益壽不老丹(方見身形)無比山藥元補腎養脾丸○命門虛宜用八味丸加減八味丸(二方拄見五藏)小砵絲子元三味安腎丸九味安腎丸小安腎丸加減內固丸(方見前陰)陽煉秋石丹秋石五精丸增益歸茸元○腎與命門俱虛宜用玄砺固本丸斑龍丹陰陽煉秋石丹茸珠丸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신(腎)은 둘이 있는데 왼쪽은 신(腎)이고 오른쪽은 명문(命門)이다. 신은 수(水)에 속하였으므로 수가 부족하면 음이 허해진다. 명문은 화(火)에 속하였으므로 화가 부족하면 양이 허해진다.
○ 신이 허한 데는 육미지황원, 태극환, 음련추석단, 팔미보신환, 냉보환, 신기환, 삼일신기환,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무비산약원, 보신양비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명문이 허한 데는 팔미환,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2가지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소토사자원, 삼미안신환, 구미안신환, 소안신환,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양련추석단, 추석오정환, 증익귀용원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신과 명문이 다 허한 데는 현토고보환, 반룡단, 음양련추석단, 용주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治虛勞腎氣衰弱久新憔悴寢汗發熱五藏齊損瘦弱虛煩骨蒸浔弱怴沈而虛(方見五藏)○此藥專補左尺腎水兼理脾胃少年水虧火旺陰虛之證最宜服之○凡人年幼被誘慾太早者根本受傷及祤賦薄者又瘇喪之過隱諱不敢實告以致元氣虛憊或遺精盜汗神疲力怯飮食不生肌肉面白五心發熱夏先惡熱冬先硲寒腰疼膝重頭暈目眩故曰水一虧則火必勝火動則肺金受剋而痰嗽作矣或勞汗當風面生粉刺則虛損成矣宜服此藥可保無虞《回春》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허로로 신기가 쇠약하여 언제나 얼굴이 초췌해지고 잘 때에 땀이 나며 열이 나는 것과 5장이 다 상해서 여위고 쇠약하며 허번증(虛煩證)이 나며 골증열[骨蒸]이 있어 팔다리가 느른해지고 약하며 맥이 침(沈)하면서 허(虛)한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5장문에 있다).
○ 이 약은 왼쪽 신을 주로 보하면서 겸하여 비위를 조리하는데 젊었을 때에 신수가 줄어들어 화가 왕성하는 음허증(陰虛證)에 먹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 대체로 사람들이 젊은 나이에 너무 일찍 성생활을 하여 정기를 줄어들게 하였거나 또한 타고난 체질이 약한 사람이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몹시 약해진 것을 숨기고 똑바로 말하지 않은 데로부터 원기가 더욱 더 허약해졌거나 유정과 식은땀이 나면 정신이 피로하고 권태감이 심하며 음식을 먹어도 살로 가지 않으며 얼굴빛이 희고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이 난다. 그리고 여름이면 남보다 더위를 몹시 타하고 겨울이면 남보다 취위를 더 타하며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무거우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해진다. 그러므로 신정이 한번 소모되면 심화가 반드시 왕성하게 되며 심화가 동하면 폐금(肺金)이 억제를 받아서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난다. 혹 땀을 흘리면서 노동하다가 바람을 맞아 얼굴에 여드름이 생기면 허손이 되는데 이 약을 먹으면 근심할 것이 없다[회춘].
治腎虛黃栢二兩六錢(屬木)知母一兩四錢(屬水)破故紙二兩八錢(屬火)胡桃肉一兩二錢(屬金)縮砂五錢(屬土)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下三五十丸《入門》
태극환(太極丸)
신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황백(목(木)에 속한다) 104g, 지모(수(水)에 속한다) 56g, 파고지(화(火)에 속한다) 112g, 호두살(금(金)에 속한다) 48g, 사인(축사, 토(土)에 속한다)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治虛勞諸般宿疾大能滋陰降火(製法詳見雜方)每取三十丸空心溫酒呑下○此藥治虛勞羸弱鍼灸不效頭眩腹脹痰喘積年腫滿年少色慾過度未老眼昏膝疼遺泄白濁腰背時痛服之眞還元衛生之寶也如竹器損以竹補之金器損以金補之以人補人眞得其眞此藥能洞入骨體無所不至非惟去疾可以常服有功久病人只數服極爲神效實能再生人也《得效》
음련추석단(陰煉秋石丹)
허로(虛勞)와 여러 가지로 오래된 병을 치료하는데 음을 세게 불쿠어 주고 화를 잘 내린다(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자세히 있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 이 약은 허로로 몹시 쇠약하여 침뜸으로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머리가 어지럽고 배가 불러 오르며 담으로 인해 숨이 차고 오랫동안 몸이 붓고 배가 그득하게 불러오른 것을 치료한다. 젊은 나이에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늙기도 전에 눈이 어둡고 무릎이 아프며 유정, 몽설과 오줌이 뿌옇고 허리와 잔등이 때때로 아플 때에 먹으면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데 귀중한 약이다. 이것은 마치 참대그릇이 파손되었으면 참대로 고치고 쇠그릇이 깨졌으면 쇠붙이로 붙이듯이 사람에게도 역시 그런 식으로 이 약을 쓰면 몸에 들어가서 퍼지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병을 낫게 할 뿐아니라 늘 먹으면 효과가 있다. 오래된 환자도 이 약을 몇 번만 먹으면 신기한 효력이 있으므로 참으로 좋다[득효].
治虛勞補腎滋陰熟地黃砵絲子各八兩當歸身三兩半肉瘴蓉五兩山茱萸二兩半黃栢知母拄酒炒各一兩破故紙酒炒五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酒呑下五七十丸《丹心》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허로를 치료하는데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준다.
찐지황(숙지황), 새삼씨(토사자) 각각 300g, 당귀 140g, 육종용 200g, 산수유 100g, 황백, 지모(다 술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파고지(술로 축여 볶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을 둔 술로 먹는다[단심].
治虛勞腎損或誤服燥熱腎水焦枯口渴目暗耳聾腰痛天門冬麥門冬生乾地黃熟地黃牛膝白芍藥地骨皮石斛玄參磁石沈香各等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七十丸《入門》
냉보환(冷補丸)
허로로 신이 허손되거나 성질이 조(燥)하고 열한 약을 잘못 먹어서 신수가 줄어들어 갈증이 나고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먹고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쇠무릎(우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골피, 석곡, 현삼, 자석, 침향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治虛勞腎損○六味地黃元一劑加五味子四兩乃滋肺之源以生腎水也《易老》○水泛爲痰之聖藥血虛發熱之神劑又能補肝盖腎肝之病同一治故也《回春》
신기환(腎氣丸)
허로로 신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 육미지황환 1제에 오미자 160g을 더 넣은 것이다. 페의 근원을 보해서 신수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역로]]
○ 수기(水氣)가 넘쳐나서 담이 생긴 데와 혈이 허하여 열이 나는데 좋은 약이다. 또한 간을 보해 준다. 그러므로 대개 간(肝)과 신(腎)의 병을 같이 치료하게 된다[회춘].
治虛勞補心腎諸藏精血瀉心腎諸藏火濕熟地黃生乾地黃山藥山茱萸各四兩牡丹皮白茯巔澤瀉期陽龜板各三兩牛膝枸杞子人參麥門冬天門冬各二兩知母黃栢拄鹽炒五味子肉桂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此藥有補有瀉夫五藏藏精血者也精血一虛邪水乘之而爲濕熱補者所以補其精血瀉者所以瀉其濕熱也此方旣有知母黃栢以瀉火茯巔澤瀉以渗濕尤爲備也○古方如腎氣丸固本丸補陰丸俱是滋陰補血之劑然固本丸胸滿有痰者忌之補陰丸脾虛有濕者忌之惟腎氣丸專於補腎滋陰而兼理痰濕最爲切當但品味數少不足以盡其變今將三方合而爲一名曰三一腎氣丸其間補瀉兼施庶乎可也《方廣》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허로(虛勞)를 치료하며 심(心)과 신(腎)의 정혈을 보하며 심과 신의 화와 습을 사(瀉)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마(산약), 산수유 각각 160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쇄양, 남생이배딱지(귀판) 각각 120g, 쇠무릎(우슬), 구기자, 인삼, 맥문동, 천문동 각각 80g, 지모, 황백(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오미자 육계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 이 약은 보(補)하기도 하고 사(瀉)하기도 한다. 대체로 5장은 정혈(精血)을 간직하고 있다. 정혈이 한번이라도 약해지면 사기(邪氣)와 수기(水氣)가 침범하여 습열이 생긴다. 그러므로 보한다는 것은 곧 정혈을 보하는 것이고 사한다는 것은 곧 습열을 사하는 것이다. 이 처방에 있는 지모와 황백은 화를 누르고 솔풍령과 택사는 습기를 잘 내보낸다.
○ 옛 처방에는 “신기환, 고본환, 보음환 같은 것들은 다 음을 불쿠어주고 혈을 보하는 약이다. 그러나 고본환은 가슴이 그득하고 담이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보음환은 비가 허하고 습기가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오직 신기환만이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줄 뿐아니라 겸해서 습담을 치료하는데 가장 적당하다. 그렇지만 약종이 적고 양이 적어서 제작용을 다 하지 못한다. 그래서 지금 3가지 처방을 합쳐서 만들었기 때문에 일명 삼일신기환이라고 한다. 삼일신기환은 보하고 사하는 작용이 다 있다”고 씌어 있다[방광].
治虛勞補腎益精血五味子六兩肉瘴蓉四兩砵絲子杜盓各三兩山藥二兩赤石脂茯神山茱萸巴戟牛膝澤瀉熟地黃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七九十丸○服此藥七日後身輕體潤面光手足煖音聲淸亮是其驗也十日後長肌肉通中入腦鼻必酸疼勿怪《局方》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
허로를 치료하며 신과 정혈을 보한다.
오미자 240g, 육종용 160g, 새삼씨(토사자), 두충 각각 120g, 마(산약) 80g, 적석지, 복신, 산수유, 파극, 쇠무릎(우슬), 택사, 찐지황(숙지황)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 이 약을 먹고 나서 7일이 지나면 몸이 가볍고 몸과 얼굴에 기름기가 돌고 윤기가 나며 손발이 따뜻해지고 목소리가 맑아지는 것을 경험하였다. 10일 후면 몸에 살이 오르고 약기운이 코로 해서 뇌로 들어가기 때문에 코가 반드시 시큰거리며 아플 수 있다. 이것을 이상하게 생각할 것은 없다[국방].
治虛勞諸證熟地黃薑汁浸二兩肉瘴蓉人參黃妉蜜灸白朮當歸酒洗白茯巔山藥各二兩杜盓炒破故紙炒牛膝酒洗五味子各一兩半知母黃栢拄酒炒白芍藥各一兩肉桂沈香各七錢半甘草灸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百丸《北窓》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강즙에 담갔다 낸 것), 육종용, 인삼, 단너삼(황기, 꿀을 발라 볶은 것), 흰삽주(백출), 당귀(술로 씻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마(산약) 각각 80g, 두충(닦은 것), 파고지(닦은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오미자 각각 60g, 지모, 황백(다 술로 축여 볶은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0g, 육계, 침향 각각 30g, 감초(닦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북창].
治虛勞腎損陽氣衰少小便滑數砵絲子五兩山藥(內七錢半作糊)蓮肉各二兩白茯巔一兩右爲末山藥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局方》
소토사자원(小兎絲子元)
허로로 신이 허손되고 양기가 부족하여 오줌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새삼씨(토사자) 200g, 마(산약, 80g 중에서 30g은 풀을 쑨다), 연밥(연육) 각각 80g, 흰솔풍령(백복령)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국방].
治下虛腎氣不得歸元變見諸證用此補腎令其納氣破故紙茴香拄炒乳香各等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三五十丸《入門》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하초(下焦)가 허하여 신기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해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신을 보하여 신기를 잘 돌아오게 한다.
파고지, 회향(다 닦은 것), 유향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治腎虛腰痛目眩耳聾面黑羸瘦(方見腰部)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
신허(腎虛)로 허리가 아프고 눈이 어지러우며 귀가 먹고 얼굴이 검어지고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허리문에 있다).
治虛勞腎氣冷憊夜多昖濁漸覺羸瘦面黑目暗耳鳴牙齒狰痛香附子川練子各半斤用鹽二兩水二升同煮候乾犫焙茴香炒六兩熟地黃四兩川烏礐川椒炒各二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空心鹽湯或溫酒任下三五十丸《得效》
소안신환(小安腎丸)
허로증으로 신기가 몹시 차서 밤에 오줌이 자주 나오고 뿌여면서 맑지 못하며 점점 몸이 여위어 가고 얼굴이 검어지며 눈이 어둡고 이명(耳鳴)이 있고 이가 벌레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고련자(천련자) 각각 300g(소금 80g을 물 2되에 함께 넣고 마르도록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회향(닦은 것) 240g, 찐지황(숙지황) 160g, 오두(싸서 구운 것),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治虛勞諸般冷疾久年腎虛勞損久服壯陽起浔臍下如火此藥能洞入骨髓壯陽補陰眞還元衛生之寶也故一名元陽秋石丹一名還元丹(製法詳見雜方)○每取三十丸空心以溫酒呑下《得效》
양련추석단(陽煉秋石丹)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냉병과 오래된 신허(腎虛)와 노손(勞損)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경을 일어나게 하며 배꼽아래가 몹시 더워진다. 이 약은 골수에 들어가서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을 보하며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 데 귀중한 약이다. 때문에 일명 원양추석단 또는 환원단(還元丹,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治虛勞腎虛陽衰蓮肉六兩白茯巔二兩秋石一兩川椒茴香拄微炒各五錢右爲末以人乳汁和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必用》
추석오정환(秋石五精丸)
허로로 신이 허하고 양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연밥(연육) 240g, 흰솔풍령(백복령) 80g, 추석 40g, 조피열매(천초), 회향(다 약간씩 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젖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필용].
治虛勞腎衰補精血養陽氣熟地黃鹿茸五味子大當歸各四兩山藥山茱萸大附子礐牛膝酒浸肉桂各二兩白茯巔牡丹皮澤瀉酒浸一宿各一兩右爲末用鹿角膠半斤犫入石器中入酒少許熔化和丸梧子大空心溫酒或鹽湯下五七十丸一法膠作末酒和作丸亦可《得效》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허로로 신이 약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정혈을 보하고 양기를 도와준다.
찐지황(숙지황), 녹용, 오미자, 당귀(큰 것) 각각 160g, 마(산약), 산수유, 부자(큰 것으로 싸서 구운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다 낸 것), 육계 각각 80g, 흰솔풍령(백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택사(술에 하룻밤 담갔다 낸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녹각교 300g을 썰어서 돌그릇에 넣고 술을 조금 두고 녹여서 앞의 가루약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녹각교를 가루내어 술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득효].
治虛勞下元衰弱能滋陰助陽砵絲子一斤酒製取淨末八兩熟地黃生乾地黃天門冬麥門冬五味子茯神各四兩山藥微炒三兩蓮肉人參枸杞子各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八九十丸《丹心》
현토고본환(玄 固本丸)
허로로 하초의 원기가 쇠약한 것을 치료하는데 음을 불쿠어 주고 양기를 도와준다.
새삼씨(토사자, 600g을 술로 법제하여 깨끗한 것으로 가루를 낸 것) 300g,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복신 각각 160g, 마(산약, 약간 닦은 것) 120g, 연밥(연육), 인삼, 구기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治虛勞補腎藏氣血精延年益壽(方見身形)○《正傳》
반룡단(斑龍丹)
허로증을 치료하는데 신기와 정혈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정전].
治虛勞腎損兼補命門陽衰鹿茸鹿角霜鹿角膠熟地黃當歸各一兩半肉瘴蓉酸棗仁黃妉栢子仁各七錢陽起石禭附子礐辰砂水飛各三錢右爲末以酒恪糊和丸梧子大以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丹心》
용주환(茸珠丸)
허로로 신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겸하여 명문(命門)의 양기가 쇠약한 것을 보한다.
녹용, 녹각상, 녹각교, 찐지황(숙지황), 당귀 각각 60g, 육종용, 메대추씨(산조인), 단너삼(황기), 측백씨(백자인) 각각 28g, 양기석(달군 것), 부자(싸서 구운 것), 주사(수비한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治虛勞陰陽俱虛取陽煉陰煉朝夕各一服服法見上須二藥相兼服《得效》
음양련추석단(陰陽煉秋石丹)
허로로 음양이 다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양련추석단과 음련추석단을 아침 저녁으로 각각 한번씩 먹는다. 먹는 법은 위에 씌어 있다. 반드시 2가지 약을 겸해 먹어야 한다[득효].
凡人四肢浔弱無力多困未知陰陽先損夏可用六味地黃元春秋宜腎氣丸冬宜八味丸(三方拄見上)○《保命》○虛勞通用千金延壽丹玄珠耘苗丹神仙巨勝子元神仙不老丸段婰補天丸二神交濟丹無比山藥元神仙旣濟丹五補元補天大造丸(方見上)瓊玉膏(方見身形)小建中湯大建中湯十四味建中湯黃妉益損湯秦埵鱉甲散沈香鱉甲散黃妉鱉甲散瑞蓮元當歸膏益壽固眞丹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대체로 팔다리가 몹시 허약해져서 힘이 없고 매우 노곤해하는데 음과 양, 그 어느 것이 먼저 상했는가를 알 수 없을 때에는 여름이면 육미지황원, 봄과 가을이면 신기환, 겨울에는 팔미환(八味丸,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 허로에는 천금연수단, 현주운묘단, 신선거승자원, 신선불로환, 올눌보천환, 이신교제단, 무비산약원, 신선기제단, 오보원,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처방은 위에 있다),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소건중탕, 대건중탕, 십사미건중탕, 황기익손탕, 진교별갑산, 침향별갑산, 황기별갑산, 서련원, 당귀고, 익수고진단 등을 두루 쓴다.
治虛勞百證一切虛損肉瘴蓉二兩砵絲子五味子牛膝杜盓當歸山藥天門冬麥門冬生乾地黃熟地黃各一兩人參白茯巔茴香澤瀉地骨皮鹿茸石菖蒲川椒巴戟遠志覆盆子枸杞子栢子仁各五錢右宭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任下百丸《正傳》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허로의 여러 가지 증상과 일체 허손증을 치료한다.
육종용 80g, 새삼씨(토사자), 오미자, 쇠무릎(우슬), 두충, 당귀, 마(산약),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각각 4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회향, 택사, 지골피, 녹용, 석창포, 조피열매(천초), 파극, 원지, 복분자, 구기자, 측백씨(백자인)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정전].
張長沙戒人妄服燥烈之藥謂藥勢偏有所勝而病生焉猶㳣苗不長而棲之也若祤氣血不强合服此而不服是不耘苗者也故名爲耘苗丹此丹養五藏補不足秘固眞元均調二氣和暢榮衛保神守中五味子八兩巴戟遠志枸杞子山藥白茯巔肉瘴蓉百部根杜盓蛇床子防風栢子仁砵絲子各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任下五七十丸○此方與前陰門上丹同○夏加五味子四兩四季加肉瘴蓉秋加枸杞子六兩《綱目》
현주운묘단(玄珠耘苗丹)
장장사(張長沙)는 사람들이 함부로 성질이 조한 약을 경계해야 한다고 하면서 약의 힘이 지나친 것을 먹어 병이 생기는 것은 마치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 하여 안타까워 뽑아 놓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만일 타고날 때 기혈이 부족한 사람은 약을 먹어야 하는데 만일 먹지 않는 것을 곡식밭의 김을 매지 않는 것과 같다. 때문에 이 약을 운묘단이라고 했다. 운묘단은 5장을 보양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하며 진원(眞元)을 든든하게 하고 음양의 기를 고르게 하며 영위(榮衛)를 잘 돌아가게 하고 정신을 들게 하며 중기(中氣)를 든든하게 한다.
오미자 300g, 파극, 원지, 구기자,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육종용, 백부, 두충, 뱀도랏열매(사상자), 방풍, 측백씨(백자인), 새삼씨(토사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 이 처방은 전음문(前陰門)에 있는 상단과 같다.
○ 육종용을 더 넣어 쓰면서 여름에는 오미자 160g을 더 넣고 가을에는 구기자 240g을 더 넣어 쓴다[강목].
治虛勞諸證千益百補熟地黃生乾地黃何首烏各四兩巨勝子枸杞子兎絲子五味子酸棗仁栢子仁破故紙覆盆子咯仁木香蓮花蘂巴戟肉瘴蓉牛膝天門冬官桂人參白茯巔楮實子堛子天雄蓮肉續斷山藥各一兩右爲末春夏煉蜜爲丸秋冬蒸棗肉胡桃肉同宭如泥和藥宭千杵丸如梧子大溫酒或鹽湯呑下七九十丸或去天雄代鹿茸亦佳《奇效》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하는데 고루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하수오 각각 160g, 참깨씨(巨勝子),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오미자, 메대추씨(산조인), 측백씨(백자인), 파고지, 복분자, 가시연밥(검인), 목향, 연화예, 파극, 육종용, 쇠무릎(우슬), 천문동, 육계,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닥나무열매(저실자), 부추씨, 천웅, 연밥(연육), 속단, 마(산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봄과 여름에는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고 가을과 겨울에는 찐 대추살과 호두살을 같이 넣고 찧어 찰지게 된 것에 약가루를 넣고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혹 천웅을 빼고 대신으로 녹용을 넣어 쓰면 더 좋다[기효].
歌曰不老仙方功效殊駐顔全不費功夫人參牛膝川巴戟蜀地當歸杜盓俱一味地黃生熟用兎絲栢子石菖蒲更添枸杞皮兼子細末蜜丸梧子如早午臨眠三次服鹽湯溫酒任君須忌飡三白幷諸血能使鬚烏髮亦烏人參巴戟酒浸去心當歸酒浸兎絲子酒製各三兩熟地黃生乾地黃酒焙各二兩牛膝酒浸杜盓掦炒各一兩半栢子仁去皮嶽末石菖蒲厹浸枸杞子酒浸地骨皮各一兩右犫不可望只慢火焙宭爲細末蜜和宭千杵丸如梧子大每服七九十丸以溫酒鹽湯任下日三次忌三白諸血物《養老》
신선불로환(神仙不老丸)
다음과 같이 노래를 지었다.
신선불로 좋은 약 그의 효력 유다르네
늙은 얼굴 젊게 하기 힘이 전혀 안 든다네
인삼 우슬 파극과 당귀 두충 같이 넣고
한가지인 지황을 생것 쓰고 쪄서 쓰며
새삼씨와 측백씨에 석창포와 구기자며
지골피를 달아 넣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을 졸여 반죽하여 오자만큼 알약지어
아침 낮과 잘 무렵에 데운 술로 넘기거나
끓인 물에 소금 두어 성미 맞춰 먹은 뒤에
파와 염교 부추밑과 온갖 피를 안먹으면
하얀 머리 검어지고 흰수염도 검는다네
인삼, 파극(술에 담갔다가 심을 뺀 것), 당귀(술에 담갔다 낸 것),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각각 120g,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술로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80g,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다 낸 것), 두충(밀기울과 같이 닦은 것) 각각 60g, 측백씨(백자인, 껍질을 버리고 따로 가루를 낸 것), 석창포(쌀 씻은 물에 담갔다 낸 것), 구기자(술에 담갔다 낸 것), 지골피 각각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볕에 말리지 말고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이것을 꿀로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하루 세번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파, 염교, 부추 등과 온갖 피를 먹지 말아야 한다[양로].
治亡陽失陰諸虛百損陰浔遺精健陽固陰惟寡婦不宜服(方見前陰)
올눌보천환( 補天丸)
망양증(亡陽證)과 실음증(失陰證), 여러 가지 허손증과 음위증, 유정을 치료하는데 성욕을 세게 한다. 다만 과부에게는 좋지 않다(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補虛勞治心脾腎三經虛損茯神薏苡仁各三兩酸棗仁枸杞子白朮神麴各二兩栢子仁咯仁生乾地黃麥門冬當歸人參陳皮白芍藥白茯巔縮砂各一兩右爲末熟水四盞調煉蜜四兩煮山藥末四兩作糊和丸梧子大米飮下五七十丸已上十六味每神字領八味合八節共二十四兩合二十四氣爲一歲也《入門》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허로를 보하는데 심, 비, 신 3경의 허손을 치료한다.
복신, 율무쌀(의이인) 각각 120g, 메대추씨(산조인), 구기자,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각각 80g, 측백씨(백자인), 가시연밥(검인), 생건지황, 맥문동, 당귀, 인삼,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사인(축사)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인 물 4잔에 졸인 꿀 160g과 마가루 160g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治諸虛百損五勞七傷安魂魄起陰陽强筋鍊骨輕身明目(方見上)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
여러 가지 허손증과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정신을 안정시키고 성욕을 세게 하며 근골을 든든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처방은 위에 있다).
專補諸虛百損五勞七傷滋腎水降心火補脾土添精補髓益氣和血壯筋骨潤肌膚聰耳明目開心定智强陰健陽延年益壽性味溫而不熱淸而不寒久服則坎彖旣濟陰陽竻和火不炎而神自淸水不渗而精自固乃平補之聖藥也黃栢酒炒四兩山藥酒蒸牛膝酒洗各三兩人參杜盓薑汁炒巴戟五味子白茯巔枸杞子酒洗茴香鹽水炒肉瘴蓉酒洗山茱萸酒蒸遠志甘草水浸去骨石菖蒲知母酒炒生乾地黃酒炒熟地黃麥門冬砵絲子酒製甘菊酒洗梔子炒各二兩陳皮去白一兩右爲末蜜和蒸棗肉和丸梧子大空心鹽湯溫酒下七九十丸○一方有天門冬當歸酒洗各二兩無甘菊梔子陳皮三味《醫鑑》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여러 가지 허손증과 5로 7상을 치료하는데 신수를 불쿠어 주고 심화를 내리며 비토를 보하고 정을 불쿠어 주며 골수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 혈을 고르게 하고 근골을 든든하게 하며 피부를 윤기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고 성욕을 세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약성이 따뜻하면서 열하지 않고 시원하면서 차지 않다. 오랫동안 먹으면 수화(水火)가 잘 오르내려서 음양이 화합된다. 심화가 떠오르지 않으면 정신은 스스로 상쾌해지고 신수가 스며나가지 않으면 정은 자연히 굳건해진다. 그러므로 평순하게 보하는 좋은 약이다.
황백(술로 축여 볶은 것) 160g, 마(산약, 술로 축여 찐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각각 120g, 인삼, 두충(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파극, 오미자, 흰솔풍령(백복령), 구기자(술로 씻은 것), 회향(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육종용(술로 씻은 것), 산수유(술로 축여 찐 것), 원지(감초 달인 물에 담갔다가 심을 뺀 것), 석창포, 지모(술로 축여 볶은 것), 생건지황(술로 축여 볶은 것),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단국화(감국, 술로 씻은 것), 산치자(닦은 것) 각각 8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 찐 대추살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천문동과 당귀(술로 씻은 것) 각각 80g은 있고 단국화(감국), 산치자, 귤껍질(陳皮) 등 3가지는 없다[의감].
補諸虛百損地骨皮白茯巔牛膝熟地黃人參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五七十丸《入門》
오보원(五補元)
여러 가지 허손증을 치료한다.
지골피,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찐지황(숙지황), 인삼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治虛勞裏急腹中痛夢寐失精四肢攣疼手足煩熱咽乾口燥白芍藥五錢桂枝三錢(無則用薄桂)甘草灸一錢右犫作一貼入生薑五片大棗四枚水煎至半去滓下膠飴(卽黑糖)半盞(卽一兩)再煎熔化服之《仲景》○芍藥味酸於土中瀉木爲君飴糖甘草之溫補脾養胃爲臣水挾木勢亦來侮土故怴弦而腹痛肉桂大辛熱佐芍藥以退寒水薑棗甘辛溫發散陽氣行於經絡皮毛爲使故建中之名始于此焉《東垣》○治虛勞氣虛自汗本方加黃妉蜜炒一錢名曰黃妉建中湯○治虛勞血虛自汗本方加當歸一錢名曰當歸建中湯服法同上《仲景》
소건중탕(小建中湯)
허로로 뱃속이 켕기고 아프며 몽설하고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손발바닥에 번열이 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0g, 계지(계지가 없으면 박계를 대신 쓴다) 12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4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검정엿 반잔(40g)을 넣고 다시 달여서 엿이 풀어지면 먹는다[중경].
○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맛이 신 약인데 비위에 들어가서 억제하는 간기(肝氣)를 사해주므로 주약으로 하였고 엿과 감초는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비위를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수기가 간목의 힘과 어울려서 비토를 억누르기 때문에 맥이 현하면서 배가 아프게 된다. 그러므로 몹시 맵고 성질이 열한 육계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도와서 찬 수기를 없애야 하고 생강과 대추는 달고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땀을 내게 하여 양기가 경락과 피모로 잘 돌게 하므로 사약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건중(建中)이란 이름은 여기서부터 나온 것이다[동원].
○ 허로로 기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본 처방에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4g을 더 넣어쓴다. 이것을 황기건중탕(黃 建中湯)이라고 한다.
○ 허로로 혈이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본 처방에 당귀 4g을 더 넣어 쓴다. 이것을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이라고 한다. 먹는 법은 위와 같다[중경].
治諸虛不足小腹急痛潮熱盜汗痰多咳嗽多臥少起黃妉附子礐鹿茸酒蒸地骨皮續斷石斛白芍藥人參川芎當歸小草各一錢甘草灸五分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得效》
대건중탕(大建中湯)
여러 가지 허증으로 아랫배가 켕기면서 아프고 조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으며 기침하고 계속 누워있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부자(싸서 구운 것), 녹용(술로 축여 찐 것), 지골피, 속단, 석곡,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궁궁이(천궁), 당귀, 원지싹(小草)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治虛勞氣血不足十全大補湯(方見上)加附子礐肉瘴蓉半夏麥門冬各等分服法同上《得效》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허로로 기혈이 부족한 것을 치료한다.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위에 있다)에 부자(싸서 구운 것), 육종용, 끼무릇(반하), 맥문동 각각 같은 양을 더 넣은 것이다.
먹는법은 위와 같다[득효].
治虛勞百證人參黃妉木香白朮當歸桂皮白茯巔白芍藥半夏川芎熟地黃山藥五味子牡丹皮麥門冬石斛甘草各七分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梅一小麥五十粒同煎服《得效》
황기익손탕(黃 益損湯)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단너삼(황기), 목향, 흰삽주(백출), 당귀, 계피,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마(산약), 오미자,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맥문동, 석곡,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개, 밀 50알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治虛勞潮熱盜汗痰嗽諸證乾葛一錢半荊芥貝母前胡天仙藤(靑木香藤也)靑皮柴胡秦埵鱉甲甘草各七分半白芷羌活肉桂各三分半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得效》
진교별갑산(秦 鼈甲散)
허로로 조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6g, 형개, 패모, 전호, 천선등(天仙藤, 청목향덩굴이다), 선귤껍질(청피), 시호, 진교, 자라등딱지(별갑), 감초 각각 3g,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육계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治諸虛百損一切勞傷鱉甲醋灸附子礐肉桂各一錢當歸熟地黃羌活各七分半沈香木香人參巴戟白茯巔牛膝黃妉柴胡荊芥半夏秦埵各五分全蝎二分半肉豆埼氖一箇右犫作一貼薑三棗二瘳二煎服《得效》
침향별갑산(沈香鼈甲散)
여러 가지 허손증과 허로로 몸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부자(싸서 구운 것), 육계 각각 4g, 당귀, 찐지황(숙지황), 강호리(강활) 각각 3g, 침향, 목향, 인삼, 파극,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단너삼(황기), 시호, 형개, 끼무릇(반하), 진교 각각 2g, 전갈 1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 파밑(총백) 2개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治同上鱉甲天門冬各一錢知母地骨皮黃妉秦埵白茯巔赤芍藥柴胡各七分半桑白皮半夏甘草各五分紫泸生地黃各四分人參肉桂桔梗各三分右犫作一貼薑三棗二煎服《入門》
황기별갑산(黃 鼈甲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천문동 각각 4g, 지모, 지골피, 단너삼(황기), 진교, 흰솔풍령(백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시호 각각 3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개미취(자원), 생지황 각각 1.6g, 인삼, 육계, 도라지(길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治虛勞定心煖腎生血化痰蒼朮主脾一斤生用四兩酒醋米厹各浸四兩○蓮肉主心一斤去皮心酒浸軟入猪屠內煮極爛取出焙乾蓮肉一斤約屠二箇○枸杞子主肝○五味子主肺○破故紙主腎○熟地黃主血各二兩右爲末用煎猪屠宭膏同酒煮糊和丸梧子大酒下五七十丸《入門》
서련환(瑞蓮丸)
허로를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신을 따뜻하게 해주며 혈을 생기게 하고 담을 삭힌다.
삽주(창출, 비를 주관한다) 600g(160g은 생것을 쓰고 나머지는 술과 식초, 쌀 씻은 물에 각각 160g씩 담근다), 연밥(연육, 심은 주관한다, 껍질과 심을 버리고 술에 담갔다가 만문해지면 돼지위 2보에 나누어 넣고 푹 삶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600g, 구기자(간을 주관한다), 오미자(폐를 주관한다), 파고지(신을 주관한다), 찐지황(숙지황, 혈을 주관한다)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먼저 삶은 돼지위를 짓찧어 고약처럼 만든 것과 함께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입문].
治五勞七傷諸虛百損補養脾胃滋榮筋骨枸杞子當歸各五兩生乾地黃白朮白芍藥(以米粉同炒)各四兩白茯巔三兩薏苡仁二兩山藥麥門冬各一兩二錢半地骨皮蓮肉人參各一兩熟地黃貝母甘草各七錢半天門冬五錢五味子二錢半琥珀六分右用水五升入藥微火煎之再加水五升如此七次濾去滓文武火煎每斤加熟蜜四兩共熬成膏每取二茶匙空心白湯調下《入門》
당귀고(當歸膏)
5로 7상과 여러 가지 허손증을 치료하는데 비위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자양한다.
구기자, 당귀 각각 200g, 생건지황,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쌀가루와 함께 닦은 것) 각각 160g, 흰솔풍령(백복령) 120g, 율무쌀(의이인) 80g, 마(산약), 맥문동 각각 50g, 지골피, 연밥(연육), 인삼 각각 40g, 찐지황(숙지황), 패모, 감초 각각 30g, 천문동 20g, 오미자 10g, 호박 2.4g.
위의 약들을 물 5되에 넣고 약한 불에 달이다가 다시 물 5되를 넣고 달인다. 이렇게 일곱번 한 다음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달인다. 이렇게 만든 약 600g에 졸인 꿀 160g의 비례로 꿀을 넣고 달여 고(膏)를 만든다. 한번에 약숟가락으로 2숟가락씩 끓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塡精補血益氣養神返老還童延年益壽中年以後最宜常服砵絲子酒浸煮焙宭作末三兩熟地黃酒蒸下篩生乾地黃酒浸焙磁石火禭醋柒九次硏水飛何首烏厹浸一宿切作片黑豆汁拌蒸望乾肉瘴蓉酒浸去鱗甲蒸取肉各二兩天門冬去心麥門冬去心山藥微炒當歸酒洗焙白茯巔水飛澤瀉酒蒸牡丹皮各一兩半人參咯仁山茱萸酒浸取肉石斛酒洗焙覆盆子酒洗焙枸杞子酒洗焙五味子酒洗焙蛇床子炒婔去皮杜盓去皮犫薑汁炒去絲巴戟鹽水煮去骨鹿茸燎去毛堛子炒赤石脂水飛益智去皮鹽水煮一沸蓮花蘂破故紙炒栢子仁去皮靑鹽天雄童尿浸三日礐去皮臍陽起石火禭各一兩段婰臍曧灸黃色一部無則以黃狗陰莖三箇或五箇曧灸黃色代用右拄不犯鐵宭爲細末姎米粉和淸酒煮爲糊和勻宭千杵作丸如梧子大每取二錢或三錢空心以溫酒或鹽湯或米飮呑下○夏月去天雄代黃栢○忌食瘳蒜蘿挙及醋酒色亦宜節《新方》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정을 보충하고 기혈을 보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중년 이후에 늘 먹으면 아주 좋다.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가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를 낸 것) 120g, 찐지황(숙지황, 술로 축여 찐 것), 생건지황(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자석(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아홉번 한 다음 가루를 내어 수비한 것), 하수오(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저며서 검정콩 달인 물로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린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겨 버리고 쪄서 살을 쓴다) 각각 80g, 천문동(심을 버린 것), 맥문동(심을 버린 것), 마(산약, 약간 닦은 것), 당귀(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수비한 것), 택사(술로 축여 찐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60g, 인삼, 가시연밥(검인), 산수유(술에 담갔다가 살을 쓴다), 석곡(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복분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구기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오미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뱀도랏열매(사상자, 닦아서 두드려 껍질을 버린 것), 두충(겉껍질을 버리고 썰어서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실을 버린 것), 파극(소금물에 달여 심을 버린 것), 녹용(구워서 솜털을 없앤다), 부추씨(닦은 것), 적석지(수비한 것), 익지인(껍질을 버리고 소금물을 두고 한번 끓어 오르게 한 것), 연화예, 파고지(닦은 것), 측백씨(백자인, 껍질을 버린 것), 돌소금, 천웅(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싸서 구운 다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양기석(불에 달군 것) 각각 40g, 올눌제(졸인 젖을 발라 누른 빛이 나게 구운 것) 1개(없으면 졸인 젖을 발라 누른빛이 나게 구운 누른개의 음경 3-5개를 대신 쓴다).
위의 약(다 쇠절구로 찧지 않는다)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찹쌀가루를 술에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12g씩 데운 술인 소금 끓인 물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 여름에는 천웅을 빼고 황백을 대신 넣는다.
○ 파, 마늘, 무 및 식초 등을 먹는 것과 주색을 금해야 한다[신방].
宜用淸神甘露丸天地煎三才丸(方見血門)補精膏補髓膏陰陽煉秋石丹(方見上)固眞飮子(方見上)衛生湯陰分生陽湯《諸方》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청신감로환, 천지전, 삼재환(三才丸, 처방은 혈문에 있다), 보정고, 보수고, 음양련추석단(陰陽煉秋石丹, 처방은 위에 있다), 고진음자(固眞飮子, 처방은 위에 있다), 위생탕, 음분생양탕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治虛勞不足大骨枯大肉陷皆治之生地黃汁白蓮藕汁牛乳汁右三味銀石器內熬成膏入人參白朮黃妉黃連五味子胡黃連各等分右爲末和前膏作丸梧子大每五七十丸人參湯下《綱目》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허로로 허해져서 뼈가 마르고 힘살이 빠진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즙, 흰 연뿌리즙, 소젖(우유, 이 3가지 약을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 고를 만든다), 인삼,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황련, 오미자, 호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앞의 고와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인삼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治虛勞血少口乾咽燥煨盔恍惚小便赤濁天門冬二兩熟地黃一兩右末蜜丸梧子大人參湯下百丸《得效》
천지전(天地煎)
허로로 혈이 적어서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며 정신이 어리둥절하며 오줌이 붉고 흐린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80g, 찐지황(숙지황)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인삼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治虛勞益眞氣助胃潤肺山藥八兩嶽爲末胡桃肉四兩硏爲泥杏仁炒四兩嶽爲末雄牛前脚髓四兩白蜜一斤右髓蜜同煮去滓入三末和勻入缸封固重湯煮半日取出每一匙溫酒調服《醫林》
보정고(補精膏)
허로를 치료하는데 진기를 보하고 위를 도위며 폐를 윤활하게 한다.
마(산약, 따로 가루를 낸다) 300g, 호두살(찰지게 간 것) 160g, 살구씨(행인, 닦아서 따로 가루를 낸다) 160g, 황소의 앞다리골수 160g, 꿀(봉밀) 600g.
위의 골수와 꿀을 함께 졸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가루를 낸 3가지 약과 고루 섞어서 단지 안에 넣고 꼭 봉한 뒤에 중탕으로 한나절 달인다. 한번에 1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의림].
治虛勞補精血黃咕牛前脚髓三斤白蜜四斤去滓人參杏仁拄嶽末各四兩胡桃肉五十箇嶽硏爲泥熟地黃蒸爲泥五味子嶽末各一兩右拌勻盛磁缸重湯煮一伏時取出每服一大匙溫酒下日三次《醫林》
보수고(補髓膏)
허로를 치료하며 정혈을 보한다.
불깐 누른 소의 앞다리골수(黃 牛脚髓) 1800g, 꿀(봉밀, 찌꺼기를 버린 것) 2400g, 인삼, 살구씨(행인, 다 따로 가루를 낸 것) 각각 160g, 호두살(따로 찰지게 간다) 50개, 찐지황(숙지황, 쪄서 찰지게 찧는다), 오미자(따로 가루를 낸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서 사기단지에 넣고 중탕으로 2시간쯤 달인다.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하루 세번 데운 술로 먹는다[의림].
補虛勞除煩熱順血怴黃妉蜜炒二錢白芍藥酒炒當歸身各一錢半甘草灸七分右犫作一貼水一盞酒少許煎服氣弱者加人參一錢《易老》
위생탕(衛生湯)
허로를 보하며 번열을 없애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한다.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당귀 각각 6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 1잔, 술 조금과 함께 달여 먹는다. 기가 약한 사람에게는 인삼 4g을 더 넣어 쓴다[역로].
治虛勞當歸一錢二分陳皮一錢白朮九分白芍藥八分蒼朮七分甘草五分右犫作一貼薑三片水煎服冬月加肉豆埼破故紙爲佳盖三焦者乃下焦元氣生發之根疴也《入門》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허로를 치료한다.
당귀 4.8g, 귤껍질(陳皮) 4g, 흰삽주(백출) 3.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2g, 삽주(창출)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겨울에는 육두구와 파고지를 더 넣는 것이 좋다. 대개 3초(三焦)에서 하초(下焦)는 원기가 생겨나는 근본이다[입문].
保眞湯保和湯太平丸消化丸潤肺膏白鳳膏補髓丹十灰散花蘂石散獨參湯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보진탕, 보화탕, 태평환, 소화환, 윤폐고, 백봉고, 보수단, 십회산, 화예석산, 독삼탕 등이다.
治虛勞骨蒸潮熱盜汗當歸生乾地黃白朮人參黃妉蜜炒各一錢赤芍藥甘草灸各八分半天門冬麥門冬陳皮白芍藥知母炒黃栢炒五味子柴胡地骨皮熟地黃各三分半蓮心赤茯巔白茯巔各六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驚悸加茯神遠志酸棗仁○尿濁加猪巔澤瀉摕穨○尿澁加木通石葦磕蓄○遺精加牡蠣蓮子○燥熱加滑石石膏靑蒿鱉甲○盜汗加浮麥牡蠣麻黃根《新書》
보진탕(保眞湯)
허로로 골증조열(骨蒸潮熱)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건지황, 흰삽주(백출), 인삼,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g,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닦은 것) 각각 3.4g, 천문동, 맥문동,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모(닦은 것), 황백(닦은 것), 오미자, 시호, 지골피, 찐지황(숙지황) 각각 1.4g, 연심,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는 복신, 원지, 메대추씨(산조인)를 더 넣는다.
○ 오줌이 흐린 데는 저령, 택사, 비해를 더 넣는다.
○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는 으름덩굴(목통), 석위, 마디풀(편축)을 더 넣는다.
○ 유정이 있는 데는 굴조개껍질(모려), 연씨를 더 넣는다.
○ 조열이 나는 데는 곱돌(활석), 석고, 제비쑥(청호), 자라등딱지(별갑)를 더 넣는다.
○ 식은땀이 나는 데는 밀쭉정이(浮麥), 굴조개껍질(모려), 마황뿌리를 더 넣는다[신서].
治虛勞勞嗽肺浔唾膿血知母貝母天門冬款冬花各一錢麥門冬天花粉薏苡仁杏仁五味子各七分馬兜鈴紫泸百合桔梗阿膠當歸生乾地黃酒炒甘草灸各三分半紫蘇葉薄荷各二分右犫作一貼薑三煎至半去滓入飴糖一大匙攪熔化食後服日三次○血盛加蒲黃电根藕節○痰盛加南星半夏陳皮枳殼瓜蔞仁○喘急加桑白皮熖嵫子陳皮○熱盛加梔子片芩連翹○風盛加防風荊芥金佛草○寒盛加人參桂皮《新書》
보화탕(保和湯)
허로와 허로로 나는 기침, 폐위로 피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천문동, 관동화 각각 4g, 맥문동,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율무쌀(의이인),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2.8g, 쥐방울(마두령), 개미취(자원), 나리(백합), 도라지(길경), 갖풀(아교), 당귀, 생건지황(술로 축여 볶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4g, 차조기잎(자소엽), 박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엿 1숟가락을 넣고 녹여 하루에 두번씩 끼니 뒤에 먹는다.
○ 혈이 많은 데는 부들꽃가루(포황), 꼭두서니(천초), 연뿌리(연근)를 더 넣는다.
○ 담이 성한 데는 천남성,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지각, 하늘타리씨(과루인)를 더 넣는다.
○ 숨이 몹시 찰 때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꽃다지씨(정력자), 귤껍질(陳皮)을 더 넣는다.
○ 열이 심한 데는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연교를 더 넣는다.
○ 풍이 성한 데는 방풍, 형개, 금비초를 더 넣는다.
○ 한이 성한 데는 인삼, 계피를 더 넣는다[신서].
治虛勞肺浔久嗽天門冬麥門冬知母貝母款冬花杏仁各二兩當歸生乾地黃熟地黃阿膠珠各一兩半蒲黃炒京墨桔梗薄荷各一兩白蜜四兩麝香一錢右細末和勻用銀石器先下白蜜煉熟後下諸藥末攪勻再上火入麝香略熬數沸作丸彈子大每日三服食後細嚼一丸以薄荷湯緩緩化下次夜一丸如上法如痰盛先用飴糖拌消化丸呑下却夜此丸仰臥使藥流入肺竅則肺淸潤其嗽退除七日病烡《新書》
태평환(太平丸)
허로와 폐위로 오랫동안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맥문동, 지모, 패모, 관동화, 살구씨(행인) 각각 80g, 당귀,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아교주 각각 60g,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좋은 먹, 도라지(길경), 박하 각각 40g, 꿀(봉밀) 16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고루 섞는다.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먼저 꿀을 넣고 졸인 뒤에 가루를 낸 약을 넣고 잘 섞은 다음 다시 불에 올려 놓고 사향을 넣어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다. 이것을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하루 세번 잘 씹어서 박하 달인 물로 끼니 뒤에 천천히 녹여 먹는다. 다음에 먹을 때도 위의 방법과 같이 1알씩 물고 있다가 넘긴다. 만일 담이 성하면 먼저 소화환을 엿에 개어 먹은 다음 이 약을 먹고 반듯이 누워 약기운이 폐에 들어가게 하면 폐의 열이 내리고 눅여져서 기침하던 것이 멎으며 1주일 만에는 낫는다[신서].
治虛勞肺浔咳嗽熱痰雍盛靑惆石火禭如金色明白礬嶽硏細爣角南星礐半夏生製白茯巔陳皮各二兩枳殼枳實各一兩半薄荷一兩沈香黃芩各五錢右爲末薑汁浸神麴末作糊和丸如梧子大每服百丸每夜臨臥飴糖拌呑次夜嚼太平丸二藥相攻痰嗽除根《新書》
소화환(消化丸)
허로와 폐위(肺 )로 기침하며 열담이 성하여 막힌 것을 치료한다.
청몽석(누른빛이 나도록 불에 달군 것), 백반(따로 보드랍게 간 것), 주염열매(조각), 천남성(싸서 구운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80g, 지각, 지실 각각 60g, 박하 40g, 침향, 속썩은풀(황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담갔다가 약누룩가루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엿에 개어 잠잘 무렵에 먹고 나서 태평환을 씹어 먹는다. 이 2가지 약은 담으로 기침하는 것을 완전히 없앤다[신서].
治虛勞久嗽肺浔羊肺一具杏仁嶽硏枾霜眞曧眞蛤粉各一兩白蜜二兩右先將羊肺洗淨次將五味入水攪粘灌入肺中白水煮熟如常法食之與上藥相間服亦可《新書》
윤폐고(潤肺膏)
허로로 오랫동안 기침하는 것과 폐위를 치료한다.
양의 폐 1보, 살구씨(행인, 따로 간 것), 시상, 졸인 젖(眞 ), 조가비가루(眞蛤粉) 각각 40g, 꿀(봉밀) 80g.
먼저 깨끗이 씻은 양의 폐를 5가지 약과 함께 물에 넣고 잘 저어서 양의 폐 속에 들어가면 찬물을 두고 삶아 익힌다. 보통 먹는 법과 같이 먹는데 위의 약과 서로 번갈아 먹는 것도 좋다[신서].
治虛勞肺浔嗽血黑澇白鴨一隻大棗肥者三升參巔平胃散(方見醫林)末一升陳煮酒一甁右將鴨縛定量患人飮酒多少隨量以酒湯溫將鴨項割開滴血入酒攪勻飮之直入肺經潤補其肺却將鴨乾去毛於脇邊開一孔取去腸雜拭乾次將棗子去核每箇中納參巔平胃散塡入鴨腹中用麻瑬定以砂缸一箇置鴨在內四圍用火慢氖將陳酒煮乾作三次添入煮乾爲度然後食之其棗子陰乾隨意食之用參湯送下後服補髓丹《新書》
백봉고(白鳳膏)
허로와 폐위(肺 )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주둥이가 검은 흰오리(黑嘴白鴨) 1마리, 대추(살찐 것) 3되, 삼령평위산(蔘 平胃散, 처방은 의림에 있다)가루 1되, 오래된 술 1병.
위의 약에서 먼저 환자의 주량에 맞게 술을 데운 다음 오리의 목을 벤 데서 떨어지는 피와 잘 섞어서 먹으면 폐를 눅여 주고 보해 준다. 그리고 오리를 그대로 털을 뽑은 다음 날개 밑을 째고 내장을 꺼낸 후 속을 닦아낸다. 씨를 뺀 대추 속에 삼령평위산가루를 채워넣고 오리 뱃속에 그득 채워 넣고 삼끈으로 꿰맨 다음 사기항아리에 넣고 그 둘레는 약한 잿불로 묻어 놓는다. 오래 묵은 술을 항아리에 두고 달이되 술이 다 줄면 다시 술을 두고 달이기를 3번 한 뒤에 오리를 먹는다. 대추는 그늘에서 말렸다가 인삼 달인 물로 마음대로 먹는다. 그 뒤에 보수단을 먹는다[신서].
治虛勞羸盧能補髓生精和血順氣雄猪脊嵈一條羊脊嵈一條團魚(鱉也)一枚烏鷄一隻右四味製淨去骨取肉用酒一大椀砂缸內煮熟幕細再入後藥大山藥五條蓮肉半斤大棗百箇霜枾十箇四味修淨用井花水一大甁於砂瓮內煮熟幕細與前熟肉一處再用慢火熬之却下明膠四兩黃蠟三兩右二味逐旋漸下與前八味和一處幕成膏子和平胃散末四君子湯末知母黃栢末各一兩共十兩搜和成劑如十分硬再入白蜜同熬取起放靑石上以木槌打如泥丸如梧子大每取百丸不拘時棗湯呑下《新書》
보수단(補髓丹)
허로로 몹시 여윈 것을 치료하는데 골수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혈을 고르게 하며 기를 잘 돌게 한다.
수퇘지의 등골뼈 1개, 양의 등골뼈 1개, 남생이배딱지(귀판) 1개, 뼈검은닭 1마리.
위의 4가지를 씻어서 뼈를 버리고 고기만 발라 술 1사발과 함께 사기항아리에 넣고 삶아서 익힌 다음 잘 짓이긴다. 마(산약, 큰 것) 5개, 연밥(연육) 300g, 대추 100알, 시상 10개 등 4가지 약을 깨끗이 씻어서 큰 병으로 하나되는 물과 같이 질그릇에 넣고 잘 끓인 다음 짓이겨서 앞의 익힌 고기와 한데 섞는다. 이것을 다시 약한 불에 달이면서 좋은 갖풀(아교) 160g, 황랍 120g을 조금씩 넣으면서 잘 저어서 고약이 된 다음 평위산가루, 사군자탕가루, 지모가루, 황백가루 각각 40g을 섞는다. 모두 400g이 되게 해서 잘 반죽한다. 굳으면 꿀을 적당히 넣고 다시 졸인다. 이것을 푸른 빛나는 돌위에 놓고 나무떡메로 찰지게 쳐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아무 때나 대추 달인 물로 먹는다[신서].
治虛勞心肺損大吐血及卋唾血不止(方見血門)宜服此以止之若不效則用花蘂石散以消之《新書》
십회산(十灰散)
허로로 심과 폐가 상하여 피를 몹시 토하는 것과 계속 피섞인 가래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혈문에 있다). 이 약을 먹으면 낫는다. 만일 효과가 없으면 화예석산을 쓴다[신서].
治虛勞吐血五內崩損涌出升斗者(方見血門)宜服此使瘀血化爲黃水繼服獨參湯《新書》
화예석산(花蘂石散)
허로로 피를 토하는 것과 5장이 상해서 1되 이상의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혈문에 있다). 이 약을 먹어서 어혈(瘀血)이 풀려 누른 물이 되어 나온다. 연달아 독삼탕을 먹는다[신서].
治虛勞吐血後羸弱氣微少大人參二兩去蘆右犫作一貼入棗五枚以長流水濃煎服《新書》
독삼탕(獨蔘湯)
허로로 피를 토한 뒤에 몸이 몹시 여위고 기운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인삼(노두를 버린 것)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5알과 함께 물에 넣고 진하게 달여 먹는다[신서].
難經曰七傳者死間藏者生何謂也然七傳者傳其所勝也間藏者傳其子也何以言之假令心病傳肺肺病傳肝肝病傳脾脾病傳腎腎病傳心一藏不再傷故言七傳者死也間藏者傳其所生也假令心傳脾脾傳肺肺傳腎腎傳肝肝傳心是子母相傳周而復始如環無端故言生也今考之經文所謂七傳者只六傳而已謂一藏不再傷按其數乃有四藏不再受傷也夫此條言虛勞之證也其所謂七傳者心病上必脫腎病傳心一句其一藏不再傷當作三藏不再傷皆傳寫之誤耳盖虛勞之證必始於腎經五藏從相剋而逆傳已盡又復傳於腎與心則水絶滅而火太旺故死而不復再傳彼之三藏矣其有從相生而順傳者有生生不息之義故間藏者生也《正傳》
허로에 살 수 있는 증과 죽을 수 있는 증[虛勞生死證]
『난경(難經)』에 “7전(七傳)하는 사람은 죽고 간장(間藏)하는 사람은 산다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 대답하기를 “7전이란 자기가 이기는[勝] 장기에 전하는 것이고 간장이란 자기가 생하여 주는 장기에 전하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가령 심병(心昞)이 폐(肺)에 전하고 폐병(肺病)이 간(肝)에 전하며 간병(肝病)이 비(脾)에 전하고 비병(脾病)이 신(腎)에 전하며 신병(腎病)이 심(心)에 전하는 것인데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기 때문에 7전이라 하는데 위험하다. 간장이란 자기가 생(生)하여 주는 장기에 전하는 것인데 가령 심병이 비에 전하고 비병이 폐에 전하며 폐병이 신에 전하고 신병이 간에 전하며 간병이 심에 전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머니와 아들간에 전하는 것이다. 때문에 암만 전해져도 하나의 고리가 끝이 없는 것과 같으므로 산다고 했다. 경문을 보면 7전이란 단지 6전일 뿐이다. 또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수를 참작해 보면 네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 것이다. 대개 이 조항은 허로의 증을 말한 것인데 7전이란 것은 심의 병이라 할 때, 위에 반드시 신의 병이 심에 전한다는 한 구절이 빠진 것이고 한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는 것은 반드시 세 장기가 재차 상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쓸 때에 잘못된 것이다. 대개 허로증은 반드시 신경에서 시작하여 다섯 장기가 상극하는데 따라 거슬러 전하는 것이 끝나면 또 다시 신과 심에 전하게 된다. 그러면 수기가 없어지고 화기가 왕성해지기 때문에 재차 나머지 세 장기에 전하지 못하고 죽게 되는 것이다. 서로 생하여 주는 장기에 따라서 병이 전하는 것은 낳고 또 낳고 하여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간장하는 사람은 사는 것이다[정전].
虛勞不足汗出而悶怴結代心動悸行動如常不出百日死急者十餘日死宜用灸甘草湯救之(方見怴部)《仲景》
허로증에 대맥이 나타나는 것[虛勞脈代證]
허로로 허해져서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맥이 결대(結代)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행동이 보통 때와 같다 하여도 백일 안으로 죽을 수 있다. 그러나 위급한 것은 십여 일에 죽을 수 있으므로 구감초탕을 써서 치료할 것이다(처방은 맥부문에 있다)[중경].
內經曰陽氣者煩勞則張精絶抗積於夏使人煎厥目盲不可以視耳閉不可以聽潰潰乎若壞都汨汨乎不可止註曰以煎迫而氣逆因以煎厥爲名厥謂氣逆也夫目盲所視耳閉厥聽大矣哉房之爲患也○治法與陰虛火動同當用滋陰降火之藥《入門》
전궐증(煎厥證)
『내경』에는 “양기가 허약하여 밖으로 떠오르게 되면 그에 따라서 정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것이 쌓여서 여름철에 가서 전궐(煎厥)이 된다. 전궐증은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하며 귀가 메서 잘 듣지를 못하여 윙윙 소리가 나는 것 같은 것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음을 졸여서 기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전궐이라고 하였다”고 씌어 있다. 궐이라는 것은 기운이 위로 치민다는 말이다. 대개 눈이 어두워져서 보지를 못하며 귀가 메서 잘 듣지 못하는 것은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 치료하는 법은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것과 같으므로 반드시 음을 불쿠어 주고 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한다[입문].
內經曰尺怴緩澁謂之解橌釋曰尺爲陰部肝腎主之緩爲熱中澁爲無血故謂之解橌解橌者寒不寒熱不熱弱不弱壯不壯娠不可名謂之解橌也○髓傷則消攎窅攣體解橌然不去矣不去謂不能行去也《靈樞》○解者肌肉解散橌者筋不束骨其證似寒非寒似熱非熱四肢骨節解散怠惰煩疼飮食不美或因傷酒或中濕或感冒風寒或房事過多或婦人經事不調以此得病宜通其氣血疎其独理以內傷兼外感藥調之《入門》
해역증(解 證)
『내경』에는 “척맥(尺脈)이 완삽(緩澁)한 것을 해역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척맥은 음부분인 간과 신을 주관한다. 완맥(緩脈)은 속에 열이 있는 것이고 삽맥은 혈이 적은 것이기 때문에 해역이라고 한다. 해역이란 것은 한증같지만 한증이 아니고 열증같지만 열증이 아니며 약한 것 같지만 약하지 않고 튼튼한 것 같지만 튼튼하지 못하여 무어라고 이름을 붙일지 모르는 증을 해역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골수[髓]가 상하면 말라서 다리가 시고 몸을 움직이기 싫어하고 걷지 못한다[영추].
○ 해(解)란 살이 늘어지는 것 같은 것이고 역( )이란 힘줄이 뼈를 가누지 못하는 것이다. 그 증상으로는 한증(寒證)같으나 한증이 아니고 열증(熱證)같으나 열증이 아니며 팔다리의 뼈마디들이 물러나는 것같고 나른하며 안타까우며 아프고 음식맛이 없다. 이것은 술에 상했거나 습에 상하였거나 풍한에 감촉되었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였거나 혹은 월경이 고르지 못한 데서 생긴 병이므로 기혈(氣血)을 통하게 하고 주리( 理)를 열리게 하되 내상(內傷)에 외감(外感)을 겸했을 때에 쓰는 약으로써 치료해야 한다[입문].
平人怴大爲勞極虛亦爲勞夫勞之爲病其怴浮大手足煩熱陰寒精自出脚攣削不能行小腹虛滿春夏劇秋冬瓋俗謂之注夏病《仲景》○大者熱邪也極虛者氣損也春夏劇者時助邪也秋冬瓋者時勝邪也黃妉建中湯主之(方見上)《東垣》○屬陰虛元氣不足補中益氣湯加減用之(詳見暑門)
주하병(注夏病)/허로
보통사람의 맥이 대(大)한 것은 허로병(虛勞病)이고 몹시 허한 것도 허로병이다. 대개 허로병의 증상으로는 그 맥이 부대(浮大)하고 손발에 번열이 나며 음낭부위가 차며 정액이 저절로 나가고 다리가 시고 여위어 잘 걷지 못한다. 또 아랫배가 그득한 것이 봄과 여름철에 더 심하며 가을과 겨울철에 덜한 것을 주하병이라고 한다[중경].
○ 맥이 대(大)한 것은 열병이고 몹시 허한 것은 기가 상한 것이다. 봄과 여름철에 심한 것은 절기가 사기(邪氣)를 도와주는 것이고 가을과 겨울철에 덜해진다는 것은 절기가 사기에 억제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황기건중탕(黃 建中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동원].
○ 음이 허하다는 것은 원기가 부족하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보중익기탕을 가감하여 쓴다(자세한 것은 서문(暑門)에 있다).
內經曰二陽之病發心脾有不得隱曲女子不月其傳爲風消其傳爲息賁者死不治註曰二陽謂陽明大腸及胃之怴也隱曲謂隱蔽委曲之事也夫腸胃發病心脾受之心受之則血不流脾受之則味不化血不流故女子不月味不化故男子少精是以隱蔽委曲之事不能爲也由血虛精少證屬虛勞《綱目》
이양병(二陽病)
『내경』에는 “이양의 병은 심(心)과 비(脾)에서 생기는데 은곡(隱曲)한 일을 하지 못하여 여자가 월경을 하지 못한다. 이것이 풍소(風消)㈜로 전변(傳 )되거나 식분(息賁)㈜으로 전변되면 치료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이양(二陽)이란 족양명위경과 수양명대장경을 가리킨 것이고 은곡이란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이다”고 씌어 있다. 대개 장위(腸胃)가 병들면 심과 비가 그 영향을 받는데 심이 받으면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고 비가 받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혈이 잘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여자는 월경을 하지 못하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남자는 정이 적어진다. 이러한 관계로 남모르게 은근히 하는 일을 하지 못한다. 혈이 허하고 정(精)이 적은 것은 허로증에 속한다[강목].
[註] 풍소(風消) : 옛날 병명의 하나이다. 즉 여자가 억울한 심정이 풀리지 않아서 음식을 점점 먹지 못하고 월경이 없어지며 열이 나고 점차 몸이 파리해지는 것을 말한다.
[註] 식분(息賁) : 폐의 적을 말한다. 식분 때의 증상은 오른쪽 옆구리아래에 술잔을 엎어 놓은 것 같은 덩어리가 있어 가슴과 잔등이 켕기면서 아프고 숨이 차고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기도 한다.
虛勞之疾不受補者難治○喉中生瘡聲啞者難治○久臥生玁瘡者難治《回春》○虛極之病火炎面紅發喘痰多身熱如火趺腫孈泄怴緊不食者死《入門》○五敗死證手足腫無文絞心敗○脣反黑無紋肺敗○面黑有瘡肝敗○陰腫囊縮腎敗○臍突腫滿脾敗○九死候者一手足靑○二手足久腫○三怴枯齒乾○四語聲散鼻虛張○五脣寒冷宣露○六脣腫齒焦○七手循衣縫○八汗出不流○九舌卷卵縮○十絶證者氣短目視亭亭無精光心絶○口鼻虛張氣復短肺絶○面靑眼視人不直數出淚肝絶○面黑眼睛黃素汗不流腎絶○泄涎唾不覺時時妄語脾絶○爪甲靑惡罵不休膽絶○背脊攣疼腰重反覆難骨絶○面無精光頭髮自落血絶○舌卷縮如紅丹嚥唾不得足嚹小腫肉絶○髮直如麻汗出不止腸絶也《千金方》
치료하기 어려운 증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허로
허로병에 보약이 받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목 안이 헐고 목이 쉰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오랫동안 누운 관계로 욕창이 생긴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회춘].
○ 허로병이 심해서 화가 떠올라 얼굴이 붉고 숨이 차며 담이 많고 몸이 불같이 달며 발이 붓고 심한 설사를 하며 맥이 긴(緊)하고 먹지 못하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 5가지 패증(敗證)은 죽는다. 손발이 부어서 손금과 발금이 보이지 않는 것은 심패(心敗)이다.
○ 입술이 오히려 검어지고 입술금이 보이지 않는 것은 폐패(肺敗)이다.
○ 얼굴빛이 검고 헌데가 나는 것은 간패(肝敗)이다.
○ 음부가 붓고 음낭이 줄어든 것은 신패(腎敗)이다.
○ 배꼽이 도드라져 나오고 배가 부어서 그득한 것은 비패(脾敗)이다.
○ 9가지 죽는 증후로는 첫째로, 손발이 푸른 것, 둘째로, 손발이 오랫동안 부어있는 것, 셋째로, 맥이 몹시 약하고 이가 마른 것, 넷째로, 목소리가 갈리고 코를 벌름거리는 것, 다섯째로, 입술이 차고 이를 들어내놓은 것, 여섯째로, 입술이 붓고 이가 마른 것, 일곱째로, 손으로 옷깃을 어루만지는 것, 여덟째로, 땀이 맺히면서 흐르지 않는 것, 아홉째로, 혀가 말려들고 음낭이 졸아든 것들이다.
○ 십절증(十絶證)이란 숨이 가쁘고 눈을 곧추 뜨며 정기가 없고 심기(心氣)가 끊어진 것이다.
○ 입을 벌리고 코를 벌름거리며 숨이 가쁜 것은 폐기(肺氣)가 끊어진 것이다.
○ 얼굴빛이 푸르고 가로 보며 자주 눈물을 흘리는 것은 간기(肝氣)가 끊어진 것이다.
○ 얼굴빛이 검고 눈알이 누르며 정액이 절로 흐르는 것은 신기(腎氣)가 끊어진 것이다.
○ 침을 흘리는 것을 알지 못하며 때때로 헛소리하는 것은 비기(脾氣)가 끊어진 것이다.
○ 손톱이 푸르고 성내어 욕설만 하는 것은 담기(膽氣)가 끊어진 것이다.
○ 등뼈가 시리고 아프며 허리가 무거워서 돌아눕기 곤란한 것은 뼈기운이 끊어진 것이다.
○ 얼굴에 정기가 없고 머리털이 절로 빠지는 것은 혈기가 끊어진 것이다. 혀가 말려들고 몹시 빨가며 침을 삼키지 못하고 복사뼈가 조금 붓는 것은 살기운이 끊어진 것이다.
○ 머리털이 꼿꼿하여 삼 같으며 계속 땀이 나는 것은 장(腸)기운이 끊어진 것이다[천금방].
凡三十六種有水芝丸
단방(單方)/허로
모두 36가지인데 수지환(水芝丸)이 들어 있다.
治虛損五勞七傷安五藏根莖花實皆加服或採根蒸曝餌之或宭末淨水調服日三《本草》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허손(虛損)과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5장을 편안하게 한다. 그 뿌리와 줄기, 꽃, 씨를 모두 먹는다. 혹 뿌리를 캐어 쪄서 볕에 말려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하루 세번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본초].
治虛勞補眞陽不足凡人氣血未定時失調護以致諸虛酒浸蒸九次宭爲末酒調二錢服日二《本草》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허로를 치료하는데 진양(眞陽)이 부족한 것을 보한다. 대개 사람들이 기혈이 온전하지 못한 때에 섭생을 잘 하지 못하면 여러 가지 허증이 생긴다. 이 약을 술에 담갔다가 찌꺼기를 아홉번 한 다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두번 술에 타 먹는다[본초].
補五勞七傷潤五藏冷而能補作末和酒服或蜜丸服或釀酒服拄佳《本草》
천문동(天門冬)
5로 7상을 치료하며 5장을 영양[補]한다. 이 약은 성질이 차면서도 보한다. 천문동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거나 다 좋다[본초].
治五勞七傷安五藏服法與天門冬同《本草》
맥문동(麥門冬)
5로 7상을 치료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한다. 먹는 법은 천문동과 같다[본초].
主五勞士傷健脾胃能益壽作末和酒服或蜜丸服之或煎汁熬爲膏久服尤佳《本草》
출(朮, 삽주)
주로 5로 7상을 치료하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이 약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인 즙을 다시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으면 다 좋다[본초].
治虛勞五勞七傷能益血氣補陰壯陽取根宭末和酒服或作丸久服良《入門》
하수오(何首烏)
허로와 5로 7상을 치료하는데 혈기를 잘 보하며 음을 도와주고 양을 든든하게 한다. 그 뿌리를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는 것이 좋다[입문].
主五勞七傷益氣力補虛損釀酒服之或作丸久服拄佳《本草》
지황(地黃)
5로 7상을 치료하며 기력(氣力)을 도와주고 허손된 것을 보한다. 지황으로 술을 빚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서 오랫동안 먹는다[본초].
治虛勞羸瘦補五勞七傷採根蒸食之或作粥服皆佳《本草》
산약(山藥, 마)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5로 7상을 보한다. 그 뿌리를 캐어 먹거나 죽을 쑤어 먹어도 좋다[본초].
補五藏虛勞羸瘦採取浸酒服之或煎服丸服拄佳《本草》
석곡(石斛)
5장을 보하고 허로(虛勞)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석곡을 술에 담가 두고 먹거나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補虛勞羸瘦諸虛不足能瀉虛火犫蜜水炒煎服《東垣》
황기(黃 , 단너삼)
허로로 몸이 여윈 것과 여러 가지 허손증(虛損證)을 보하며 허화(虛火)를 내린다. 단너삼을 썰어서 꿀물로 축여 볶아서 달여 먹는다[동원].
主虛勞羸瘦補不足令人悅澤去虛熱或作煎服或作丸服或煎服皆佳《本草》
오미자(五味子)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는데 부족한 것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허열(虛熱)을 없앤다. 오미자를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治虛勞寒熱補不足補血和血行血犫煎服或丸服散服皆良《本草》
당귀(當歸)
허로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부족한 것을 보하고 혈을 보하면서 고르게 하고 잘 돌아가게 한다. 당귀를 썰어서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治骨熱虛勞補陰氣犫五錢水煎服或作末丸服亦佳《本草》
지모(知母)
허로로 골증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음기(陰氣)를 보한다. 지모를 썰어서 한번에 20g씩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一名淫羊藿治虛勞冷氣補腎益氣力酒漬服之甚良《本草》
선령비(仙靈脾, 팔팔이)
일명 음양곽(陰陽藿)이라고도 한다. 허로와 냉증을 치료하며 신(腎)을 보하고 기력을 도와준다. 술에 담가 두고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治熱勞骨蒸多取童尿五升水三升煎取汁再熬成膏丸如梧子酒下三十丸○一法童尿浸望丸服亦良《本草》
청호(靑蒿, 제비쑥)
열로(熱勞)와 골증열(骨蒸熱)을 치료한다. 제비쑥을 물 8되에 넣고 달인 다음 그 물을 다시 졸여 고(膏)가 되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동변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본초].
主五勞七傷庶事衰弱皮葉及子同功皆主虛勞○子及皮可釀酒或作丸服○葉作羹和五味常服《本草》
구기(枸杞)
5로 7상과 여러 가지로 쇠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뿌리껍질(지골피)과 잎, 씨 등도 다 효과가 같다. 다 허로를 치료한다
○ 씨와 껍질은 술을 만들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 잎은 국을 끓여 양념을 두고 늘 먹는다[본초].
補五勞七傷補虛損多取酒漬服或釀酒服又煎如茶常服皆佳《本草》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5로 7상과 허손된 것을 보한다. 오갈피를 많이 술에 담가 두고 먹거나 술을 빚어 먹거나 달여서 차처럼 늘 먹어도 다 좋다[본초].
主虛勞之損能補養取其肉煎食之《本草》
모려(牡蠣, 굴조개)
허로로 몹시 허손된 것을 주로 보한다. 그 살을 발라서 끓여 먹는다[본초].
主虛勞及熱勞骨蒸取甲灸爲末作丸服或水煎服之○肉作篰食之主熱勞補虛損《本草》
별갑(鼈甲, 자라등딱지)
허로(虛勞), 열로(熱勞), 골증열(骨蒸熱)을 주로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를 구워서 가루를 낸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
○ 고기는 국을 끓여 먹는데 열로를 주로 치료하며 허손을 보한다[본초].
主熱勞骨蒸補虛損取肉作羹和五味常食最好《本草》
만려어(鰻 魚, 뱀장어)
열로와 골증열을 치료하며 허손을 보한다. 그 고기로 국을 끓여 양념을 두고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蛙中背有金線色者治熱勞羸劣解熱毒或作羹或燒食皆佳《本草》
금선와(金線蛙, 누런 줄이 간 개구리)
등에 누런 줄이 있는 것인데 열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열독을 푼다. 개구리로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 먹어도 다 좋다[본초].
補諸虛實中蓮肉一斤入猪屠內蒸爛或水煎至爛宭丸梧子大酒下百丸名曰水芝丸《入門》
연실(蓮實, 연밥)
여러 가지 허증을 보한다. 연밥(연육) 600g을 돼지위(猪 ) 안에 넣고 푹 찌거나 물에 넣고 문드러지게 끓여서 짓찧은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술로 먹는다. 이것을 수지환(水芝丸)이라고 한다[입문].
主虛損羸瘦補五藏蒸望九次宭爲末酒飮任下三錢日三或作丸常服《本草》
호마(胡麻, 참깨)
허손으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5장을 보한다. 참깨를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 한 다음 짓찧어 가루를 낸다. 한번에 12g씩 하루 세번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혹은 알약을 만들어 늘 먹는다[본초].
補虛勞羸瘦取一隻和五味煮極爛食之甚補益宜常食《本草》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수탉 1마리에 양념을 두고 푹 삶아 먹으면 몹시 보한다.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補勞劣益脾胃依上法煮食《本草》
황자계(黃雌 , 누른암탉)
허로를 치료하며 비위(脾胃)를 보한다. 위의 방법과 같이 삶아 먹는다[본초].
補虛乏健脾胃氣可常食之卽黑糖也《本草》
이당(飴糖, 엿)
몹시 허약한 것을 보하며 비위(脾胃)의 기를 든든하게 하므로 늘 먹는 것이 좋다. 즉 검정 엿이다[본초].
補虛損可煮爛和五味食之○茸主虛勞羸瘦朝朝如秇曧灸作末和酒服○骨主虛勞切碎煮取汁釀酒飮○髓主傷中絶怴筋拘焉以酒和服良《本草》
녹육(鹿肉, 사슴고기)
허손된 것을 보하는데 푹 삶아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
○ 녹용은 허로로 몸이 여위고 학질같이 오싹오싹하는 것을 치료한다.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
○ 사슴의 뼈는 허로를 치료한다. 그 뼈를 썰어서 달인 물로 술을 빚어 먹는다.
○ 사슴의 골수는 중기(中氣)가 상하였거나 맥이 약하면서 힘줄이 켕기는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타 먹는 것이 좋다[본초].
補虛勞益髓長肌令人肥健灸爲末酒服二三錢日二《本草》
녹각교(鹿角膠)
허로를 치료하고 골수를 보충해 주며 사람을 살찌게 하고 튼튼하게 한다. 녹각교를 구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12g씩 하루 2번 술로 먹는다[본초].
主五勞七傷補中續絶傷以酒和服之○大病後虛勞不足黃牛乳一升水四升煮取一升稍稍飮《本草》
우수(牛髓, 소의 골수)
주로 5로 7상을 치료하며 중기를 보하고 뼈가 끊어진 것을 이어지게 한다. 골수를 술에 타 먹는다.
○ 중병을 앓은 뒤와 허로로 허해진 데는 누른 소의 젖 1되, 물 4되와 함께 달여 1되가 되면 조금씩 먹는다[본초].
主五勞七傷虛勞寒中羸瘦作篰和五味食之○羊腎補腎陽衰弱作羹和五味食《本草》
양육(羊肉, 양고기)
5로 7상과 허로로 뱃속이 차고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한다. 양고기로 국을 끓여 양념을 두고 먹는다.
○ 양의 콩팥은 신양(腎陽)이 쇠약한 것을 보한다. 국을 끓여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본초].
補五勞七傷大能補益和五味煮極爛熟食之○戊戌酒極能補養(方見雜方)
황구육(黃狗肉, 누른 개고기)
5로 7상으로 허한 것을 세게 보한다. 고기를 푹 삶아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
○ 무술주(戊戌酒)는 아주 잘 보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補虛損取屠一箇洗淨將黃妉地黃犫入屠內以竹簽簽定用醇㳷包屠放囬內重湯煮爛熟取出常服健脾胃補虛弱《活心》○又法人參五錢乾薑胡椒各二錢瘳白七莖姎米三合爲末丸猪屠內煮爛熟空心食以酒下《入門》
저두(猪 , 돼지위)
허손된 것을 보한다. 돼지위 1보를 깨끗이 씻어서 단너삼과 지황을 넣고 참대껍질로 잡아맨 다음 술지게미로 위를 싸서 단지 안에 넣고 중탕으로 푹 삶아서 늘 먹으면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허약한 것을 보한다[활심].
○ 또 한 가지 방법에는 인삼 20g, 건강, 후추 각각 8g, 파밑(총백) 7개, 찹쌀 3홉 등을 가루내어 돼지위 안에 넣고 푹 삶아서 술로 빈속에 먹는다고 하였다[입문].
主五勞七傷療虛勞羸瘦火灸爲末酒服二錢或作丸服亦佳《本草》
올눌제( 臍)
5로 7상을 치료하며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올눌제를 불에 구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술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본초].
治諸虛百損五勞七傷取人乳二盞好淸酒半盞入銀石器內煮一沸頓服空心《種杏》
인유(人乳, 젖)
여러 가지 허증과 5로 7상을 치료한다. 젖 2잔과 좋은 청주 반잔을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약간 끓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종행].
治勞瘦幾死者取室女無病者月經一盞二三次取之和童男三母乳半盞和之於淨室中服之後發熱作渴不可飮茶湯酒取人乳汁飮之經旬至一月後方可食烟火食忌用心《種杏》
부인경혈(婦人經血)
《번역생략》
治虛勞痰嗽羸悴潮熱盜汗紫河車一具長流水浸洗淨入砂鍋內重湯煮熟入鹽椒末少許食之此補眞元氣也大有殊效《種杏》
인포의(人胞衣, 자하거)
허로로 담(痰)이 있고 기침하며 살이 빠지고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자하거(紫河車) 1보를 강물에 깨끗이 씻어서 사기남비에 넣고 중탕으로 익혀 소금과 후추가루를 조금 두고 먹는다. 이것은 진원(眞元)의 기를 보하는데 효과가 좋다[종행].
五勞羸瘦取足三里○體熱勞嗽瀉魄戶○虛勞骨蒸盜汗瀉陰壿《綱目》○眞氣不足灸氣海《資生》○虛勞百證宜灸膏籄杮穴患門穴崔氏四花穴(取法常見鍼灸門)無所不療此等灸法皆陽虛所宜華睮云風虛冷熱惟有虛者不宜灸但方書云虛損勞瓌只宜早灸膏籄四穴云乃虛損未成之際如瘦弱兼火雖灸亦只宜灸內關三里以散其痰火早年欲作陰火不宜灸《入門》○大病虛脫本是陰虛用艾灸丹田者所以補陽陽生陰長故也《丹心》
침뜸치료[鍼灸法]/허로
5로(五勞)로 몸이 여위는 데는 족삼리혈(足三里穴)에 침을 놓는다.
○ 몸에서 열이 나고 허로병으로 기침이 날 때에는 백호혈(魄戶穴)에 침을 놓아 사(瀉)한다.
○ 허로로 골증(骨蒸)과 식은땀[盜汗]이 나는 데는 음극혈(陰 穴)에 침을 놓아 사한다[강목].
○ 진기가 부족한 데는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뜬다[자생].
○ 여러 가지 허로증에는 반드시 고황유혈(膏 穴), 환문혈(患門穴), 최씨사화혈(崔氏四花穴, 혈을 잡는 법은 침뜸문[鍼灸門]에 자세히 있다)에 뜸을 뜨면 매우 효과가 있다.
○ 이러한 뜸법은 다 양허(陽虛)한데 적당한 것이다. 화타(華 )가 말하기를 “풍(風), 허(虛), 냉(冷), 열증(熱證)에 오직 허한 것이 있으면 뜸이 적당치 않다”고 하였으며 『의서』에는 “허손(虛損)과 노채(勞 )에는 빨리 고황혈(膏 穴), 4화혈[四穴]에 뜸을 뜨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허손이 심해지기 전에 떠야 한다. 만일 몸이 여위어 약하고 화증(火證)을 겸한 데는 뜸을 뜨되 내관혈(內關穴)과 삼리혈(三里穴)에만 떠서 그 담화를 헤칠 것이다. 젊은 시기에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려는 데는 뜸이 적당치 않다[입문].
○ 중병으로 허탈된 것은 본래 음이 허한 것인데 단전혈(丹田穴)에 뜸뜨는 것은 양을 보하려고 하는 것이다. 양이 생기면 음도 불어나기 때문이다[단심].
東醫寶鑑雜病篇卷之四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잡병편]내상 2-1 -⼗不伏水土病與內傷同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허로- 각종 보약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곽란 /토사곽란 -東醫寶鑑雜病篇卷之五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구토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소아 목록 1 2 3 4 5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