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병리학 자료

[스크랩] [잡병편] 변증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13. 10. 8. 14:29

◆辨證

五實五虛

黃帝曰願聞五實五虛岐伯對曰盛皮熱腹脹前後不通悶此謂五實細皮寒氣少泄利前後飮食不入此謂五虛帝曰其時有生者何也岐伯曰漿粥入胃泄注止則虛者活身汗得後利則實者活此其候也《內經》○五虛之證予嘗治數人在下則泄瀉不止在上則吐痰不止者皆死盖氣脫無所管攝故也早用參朮膏救之十活一二五實之證大承氣湯(方見寒門)加麻黃救之《綱目》

5가지 실증과 5가지 허증[五實五虛]

황제가 5가지 실증과 5가지 허증을 알고 싶다”고 하였다. 그러자 기백이 “맥() () , 피부가 다는[] , 배가 불러 오르는 ,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 가슴이 답답하고 정신이 흐린 것을 5가지 실증이라 하고 맥이 () , 피부가 , 기운이 약한 , 설사가 나면서 오줌량이 많은 ,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5가지 허증(虛證)이라 한다”고 대답했다. 황제가 “이런 때에도 사는 사람이 있는데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식을 먹게 되고 설사가 멎으면 허증(虛證)이라도 있고 몸에 땀이 나고 대변이 나오면 실증(實證)이라도 있다”고 대답하였다[내경].

5가지 허증을 내가 사람 치료하여 보았는데 설사가 멎지 않고 가래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죽었다. 이것은 기운이 빠져서 수습할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 빨리 삼출고를 먹여서 구급치료를 하면 10 1-2명은 살릴 있다. 5가지 실증에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마황을 넣어서 쓴다[강목].

陰陽生病

內經曰夫邪之生也或生於陰或生於陽其生於陽者得之風雨寒暑其生於陰者得之飮食居處陰陽喜怒○風雨寒熱不得虛邪不能獨傷人此必因虛邪之風與其身形兩虛相得乃客其形虛邪之中人也始於皮膚皮膚緩則理開開則邪從毛髮入入則抵深深則毛髮立毛髮立則浙然故皮膚痛留而不去則傳舍於絡時痛肌肉留而不去傳舍於經淅善驚留而不去傳舍於輸六經不通四肢肢節痛腰脊乃强留而不去傳舍於伏衝之體重身痛留而不去傳舍於腸胃賁響腹脹多寒則腸鳴泄食不化多熱則《靈樞》○風兩之傷人也先客於皮膚傳入於孫滿則傳入于絡滿則輸于大經血氣與邪幷客於分之間其堅大故曰實實者外堅充滿不可按之按之則痛《內經》○寒濕之中人也皮膚不收肌肉堅緊榮血澁衛氣去故曰虛虛者晷抗(晷謂皺謂疊)氣不足按之則氣足以溫之故快然而不痛《內經》○其生於陰者憂思傷心重寒傷肺忿怒傷肝醉以入房汗出當風傷脾用力過度若入房汗出浴水則傷腎《靈樞》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내경』에 “대체로 병은 ()이나 ()에서 생긴다. 병이 양에서 생기는 것은 비바람이나 기운, 더위에 상했을 생기고 음에서 생기는 것은 음식이나 거처를 잘못하였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였거나 7정에 상했을 생긴다”고 씌어 있다.

비바람이나 기운, 열은 허사(虛邪) 만나지 못하면 홀로는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한다. 이것들은 허사인 () 함께 몸이 () 것을 만나야 겹쳐서 몸으로 들어가게 된다. 허사가 사람의 몸으로 들어갈 때는 피부로 들어간다. 피부가 늘어져서 주리( ) 열리게 되면 사기(邪氣) 털구멍을 따라 들어가서 점차 깊이 들어가게 되는데 깊이 들어가면 머리털이 꼿꼿해진다. 머리털이 꼿꼿해지면 으슬으슬 추워서 피부가 아프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고 낙맥(絡脈)으로 전해가면 힘살이 아프고 거기에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고 경맥(經脈)으로 전해가면 오싹오싹 춥고 놀란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고 수혈[] 전해가면 6(六經) 통하지 못하게 되어 팔다리 뼈마디가 아프고 허리와 등이 뻣뻣해진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고 뱃속으로 지나간 충맥[衝之脈] 부분으로 전해가면 몸이 무겁고 아프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고 장위(腸胃) 전해가면 배가 끓으면서 불러 오르는데 이때에 기운이 심하면 배가 끓으면서 삭지 않은 설사가 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며 열이 심하면 묽으면서 삭지 않은 대변이 나간다[영추].

비비람에 상하면 그것이 먼저 피부에 들어갔다가 손맥(孫脈)으로 전해간다. 그러나 손맥이 그득하면 낙맥(絡脈)으로 전해가고 낙맥이 그득하면 경맥(經脈)으로 들어간다. 혈기(血氣) 사기(邪氣) 동시에 분육(分肉) 주리( ) 사이에 들어가면 맥이 뜬뜬해지면서[] 커진다. 이것을 ()하다고 하는데 실하다는 것은 [] 뜬뜬하고 그득하여 누를 없다는 것이다. 이때에 누르면 아프다[내경].

한습(寒濕) 상하면 피부는 수축되지 않고 살만 뜬뜬해지면서[堅緊] 영혈(榮血) 돌아가지 못하고 위기(衛氣) 없어진다. 그러므로 ()라고 한다. 허라는 것은 힘살이 쭈글쭈글하고 기운이 부족하다는 것인데 이때에 누르면 따뜻한 기운이 생기면서 시원하고 아프지 않다[내경].

병이 음에서 생기게 되는 것은 지나치게 근심하고 생각하여 () 상하고 몹시 기운에 () 상하고 성내거나 노하여 () 상하고 술에 취한 다음 성생활을 하거나 땀을 흘린 다음 바람을 맞아서 () 상하고 지나치게 힘들게 일하거나 성생활을 하면서 땀을 흘린 뒤에 목욕을 하여 () 상한 있다[영추].

陰陽虛盛

內經曰陽虛則外寒陰虛則內熱陽盛則外熱陰盛則內寒○陽虛生外寒者陽受氣於上焦以溫皮膚分肉之間今寒氣在外則上焦不通上焦不通則寒氣獨留於外故寒慄《內經》○陰虛生內熱者有所勞倦形氣衰少穀氣不盛上焦不行下脘不通胃氣熱熱氣熏胸中故內熱《內經》○陽盛生外熱者上焦不通利則皮膚緻密理閉塞玄府不通衛氣不得泄越故外熱《內經》○陰盛生內寒者厥氣上寒氣績於胸中而不瀉不瀉則溫氣去寒獨留則血凝血凝則不通其盛大以故內寒《內經》

음양이 허하고 실한 [陰陽虛盛]

『내경』에 “양() 허하면 겉이 차고[] () 허하면 속에 () 생긴다. 양이 성하면 겉에 열이 생기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진다[]”고 하였다.

() ()하면 겉이 차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양은 상초(上焦)에서 기를 받아 피부와 분육(分肉) 따뜻하게 하는데 기운이 겉에 있게 되면 상초가 통하지 못한다. 상초가 통하지 못하면 기운이 겉에 머물러 있게 되므로 겉이 차진다. 이때에는 춥고 떨린다[내경].

() ()하면 속에 열이 생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면 형체와 기가 쇠약해지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상초의 기가 돌지 못하고 하초(下焦) 통하지 못하여 위기(胃氣) ()해진다. 그러면 열기가 가슴을 훈증하기 때문에 속에 열이 생긴다[내경].

() ()하면 겉에 열이 생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초(上焦) 통하지 못하면 피부가 치밀(緻密)해지면서 주리( ) 막히게 되어 땀구멍이 통하지 못한다. 그러면 위기(衛氣)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겉에 열이 생긴다[내경].

() ()하면 속이 차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늘한 기운이 [] 거슬러 올라가면 기운이 가슴에 몰려서 나가지 못한다. 그러면 따뜻한 기운은 없어지고 기운만 머물러 있게 되므로 속이 차진다. 이와 같이 되면서 혈이 응체[]되는데 혈맥이 통하지 못한다. 때문에 맥이 성대(盛大)하면서 ( )한데 이것은 속이 차기 때문이다[내경].

內傷精神

內經曰故貴脫勢雖不中邪精神內傷身必敗亡始富後貧雖不傷邪皮焦筋屈浔抖爲攣暴樂暴苦始樂後苦皆傷精氣精氣竭絶形體毁沮

속으로 정신을 상한 [內傷精神]

『내경』에 “지난날에 벼슬하다가 떨어지면 비록 사기(邪氣) 받지 않았다 하여도 정신이 ()하고 몸이 반드시 허약해진다. 살던 사람이 가난해지면 비록 사기는 받지 않았다고 하여도 피부가 마르고 힘줄이 가드라들며[] 팔다리가 힘이 없이 늘어지고 쓰지 못하게 된다. 지나치게 즐거워하거나 지나치게 괴로워하거나 처음에는 즐거워하다가 후에 괴로워하여도 정기(精氣) 상하게 된다. 정기가 줄어들면 몸이 상한다”고 씌어 있다.

寒熱傷形氣

內經曰寒傷形熱傷氣氣傷痛形傷腫故先痛而後腫者氣傷形也先腫而後痛者形傷氣也註曰氣傷則熱結於肉分故痛形傷則寒薄於皮故腫也○喜怒傷氣寒暑傷形《內經》

한열에 형체와 기가 상한다[寒熱傷形氣]

『내경』에 “한사(寒邪) 형체[] ()하고 열에는 () 상한다. () 상하면 아픔이 생기고 형체가 상하면 붓는다. 그러므로 먼저 아프다가 후에 붓는 것은 기가 상해서 형체가 상한 것이고 먼저 붓고 후에 아픈 것은 형체가 상해서 기가 상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기가 상하면 열이 부분에 몰리기 때문에 아프고 형체가 상하면 한사가 피부와 주리로 들어가기 때문에 붓는다.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성내면 기가 상하고 한사와 더위에는 형체가 상한다”고 하였다[내경].

求屬法

黃帝曰有病熱者寒之而熱有病寒者熱之而寒二者皆在新病復起奈何岐伯對曰諸寒之而熱者取之陰熱之而寒者取之陽所謂求其屬也註曰言益火之源以消陰壯水之主以鎭陽光故曰求其屬也《內經》

속한 것을 찾는 방법[求屬法]

황제(黃帝) “병으로 열이 차게 하여도 열이 계속 나는 것이 있고 병으로 추울 덥게 하여도 계속 추운 것이 있다. 2가지 병이 그대로 있을 다른 병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 “차게 하여도 계속 열이 때에는 () 취해야 하고 덥게 하여도 계속 추울 때에는 양을 취해야 한다. 이것이 속한 것을 찾는 것이다”고 대답하였다. 주해에 “화() 근원을 []하여 () 없어지게 하고 () 근원을 세게 하여 양을 억누르는 것이 소속을 찾기 위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내경].

療病式

欲療病先察其源先候病機五藏未虛六府未竭血未亂精神未散服藥必活若病已成可得半愈病勢已過命將難《本草》

병을 치료하는 방법[療病式]

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근원을 살피고 병의 기전[病機] 알아야 한다. 5(五藏) 허해지지 않고 6(六府) 고갈되지 않았으며 혈맥(血脈) 착란되지 않았고 정신이 흩어지지 않았을 약을 쓰면 반드시 낫는다. 만일 병이 이미 깊어졌으면 절반 정도 치료할 있지만 병의 시기(時期) 지나면 치료하기 어렵다[본초].

三不治六不治

倉公有言曰病不肯服藥一死也信巫不信醫二死也輕身薄命不能將愼三死也《本草》○扁鵲曰病有六不治驕恣不倫於理一不治也輕身重財二不治也衣食不能適三不治也陰陽幷藏氣不定四不治也形羸不能服藥五不治也信巫不信醫六不治也《入門》

3가지 치료할 없는 것과 6가지 치료할 없는 [三不治六不治]

창공(倉公) “병은 있으나 약을 먹기 싫어하는 것이 첫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고, 무당을 믿고 의사를 믿지 않는 것이 둘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며, 생명을 귀중히 여기지 않고 몸을 조리하지 않는 것이 셋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다”고 하였다[본초].

편작(扁鵲) “병에 6가지 치료할 없는 것이 있는데 교만하고 건방져 이치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첫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고, 몸을 소중히 여기지 않고 재물만 소중히 여기는 것이 둘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며, 먹고 입는 것을 적당히 하지 않는 것이 셋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고, 음양(陰陽) 장기(藏氣) 안정되지 않는 것이 넷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고, 몸이 수척해지고 약을 먹지 못하는 것이 다섯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며 무당을 믿고 의사를 믿지 않는 것이 여섯째로 치료할 없는 것이다”고 하였다[입문].

醫貴三世

論語云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明此二法不可以權妄造所以醫不三世不服其藥九折臂者乃成良醫盖謂學功須深故也《本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논어』에 “사람이 항심(恒心) 없으면 의사가 없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가식으로나 임시변통으로 꾸며 나갈 없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래서 3대를 내려오지 않은 의사의 약은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자기가 아홉번 팔이 부러져 봐야 거기에 대한 치료법을 아는 의사가 된다는 것은 의학공부를 깊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본초].

四時生病

靈樞曰冬傷於寒春生熱春傷於風夏生泄腸夏傷於暑秋生穡秇秋傷於濕冬生咳嗽○內經曰春傷於風夏生泄夏傷於暑秋爲穡秇秋傷於濕冬生咳嗽冬傷於寒春必病溫○又曰春傷於風邪氣留連乃爲洞泄夏傷於暑秋爲穡秇秋傷於濕上逆而咳發爲厥冬傷寒春必病溫《內經》○盛身寒得之傷寒虛身熱得之傷暑《仲景》

4 생기는 [四時生病]

『영추』에 “겨울에 추위에 ()하면 몸에 열병(熱病) 생기고 봄에 () 상하면 여름에 삭지 않은 설사나 이질(痢疾) 생기고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 ) 생기고 가을에 습기(濕氣) 상하면 겨울에 기침이 난다”고 씌어 있다.

『내경』에 “봄에 () 상하면 여름에 삭지 않은 설사가 나고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이 생기고 가을에 습기에 상하면 겨울에 기침이 나며 겨울에 추위에 상하면 봄에 반드시 온역[溫病] 생긴다”고 씌어 있다.

또한 봄에 () 상하면 사기(邪氣) 머물러 있게 되어 설사가 나고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이 생기며 가을에 습기에 상하면 기운이 치밀어 올라서 기침이 나거나 팔다리가 나른해지고 싸늘해지는[ ] 병이 생긴다. 겨울에 추위에 상하면 봄에 반드시 온병(溫病) 생긴다[내경].

맥이 ()하고 몸이 것은 추위에 상한 것이고 맥이 ()하고 몸에 열이 나는 것은 더위에 상한 것이다[중경].

百病始生

靈樞曰夫百病之始生也皆生風兩寒暑淸濕喜怒喜怒不節則傷藏風雨則傷上淸濕則傷下藏傷則病起於陰淸濕襲虛則病起於下風雨襲虛則病起於上○內經曰凡消嫁捒擊偏枯厥氣滿發逆肥貴人則膏粱之疾也○隔則閉絶上下不通則暴憂之病也○暴厥而聾偏塞閉不通內氣暴薄也○不從內外中風之病故瘦留着也○蹠跛寒風濕之病也○黃疸暴痛癲疾厥狂久逆之所生也○五藏不平六府閉塞之所生也○頭痛耳鳴九竅不利腸胃之所生也《內經》○五邪中人各有法度風中於前(口眼)寒中於後(頭項强痛)霧傷於上濕傷於下風令浮寒令急霧傷皮濕流關節食傷脾胃極寒傷經極熱傷絡《難經》○無痰不成無積不成痢《直指》

온갖 병이 처음에 생기는 경위[百病始生]

『영추』에 “모든 병은 처음에 바람, , , 더위, 서늘한 , 습기,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성내는 것으로 말미암아 생긴다”고 씌어 있다. 기뻐하거나 성내는 것을 조절하지 못하면 5(五臟) ()하고 바람과 비에는 상초(上焦) 상하고 서늘하거나 습한 기운에는 하초(下焦) 상한다. 5장이 상하면 병이 ()에서 시작되고 서늘하거나 습한 기운이 () 틈을 타서 들어오면 병이 하초에서 시작하고 허해졌을 비바람에 상하면 병이 상초에서 시작된다.

『내경』에 “소갈[ ], 졸도[ ], 편고(偏枯), 위궐( ) 때에는 기운이 그득차서 치밀어 오르는데 잘사는 사람이 이런 것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고 씌어 있다.

흉격(胸隔) 막혀서 아래위가 통하지 못하는 것은 몹시 근심하여 생긴 것이다.

갑자기 궐증(厥證) 생기면서 귀가 먹거나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은 속의 기운이 갑자기 약해진 것이다.

내상(內傷)이나 외감(外感) 중풍(中風) 오지 않고 앓는 것은 형체와 () 선천적으로 약한 것이다. 때문에 이때에는 몸이 여위고 피부가 약해진다.

다리를 절면서 발이 싸늘한 것은 풍습(風濕)으로 생긴 것이다.

황달(黃疸) 몹시 아픈 [暴痛], 전간[癲疾], 몸이 싸늘해지면서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 광증[] 음양이 오랫동안 거슬러올라서 생긴 것이다.

5(五臟) 편안하지 못한 것은 6(六府) 막혔기 때문이다.

머리가 아프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9(九竅) 통하지 않는 것은 장위(腸胃) 병이 생긴 것이다[내경].

5가지 사기[五邪] 각기 법칙적으로 침범하는데 바람은 몸의 앞면으로 침범하고(입과 눈이 비뚤어진다[口眼 ]) 추위는 뒷면으로 침범한다(머리와 목이 뻣뻣해지며 아프다[頭强項痛]). 안개[] 상초(上焦) 상하게 하고 () 하초(下焦) 상하게 하여 바람은 () ()해지게 하고 추위는 맥이 급해지게 한다. 안개는 피부와 주리( ) 상하게 한다. () 뼈마디로 가며 음식은 비위(脾胃) 상하게 한다. 심한 추위는 경맥(經脈) 상하게 하고 심한 () 낙맥(絡脈) 상하게 한다[난경].

() 없으면 학질( ) 생기지 않고 () 없으면 이질(痢疾) 생기지 않는다[직지].

百病朝慧夕加

黃帝問曰百病朝慧晝安夕加夜甚何也岐伯對曰朝則人氣始生衛氣始行故朝慧日中人氣長長則勝邪故安夕則人氣始衰邪氣始生故加夜半人氣入藏邪氣獨居於身故甚也《靈樞》

모든 병은 아침에 경해졌다가 저녁에 중해진다[百病朝慧夕加]

황제가 “모든 병은 아침에 ()해졌다가 한낮에 편안해지고 저녁에 ()해지며 밤에 심해지는데 이유는 무엇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아침에는 양기(陽氣) 생겨나기 시작하고 위기(衛氣) 돌기 시작하는 때이므로 병이 낫고 한낮에는 양기가 성해져 사기(邪氣) 이기기 때문에 편안해진다. 저녁에는 양기가 쇠퇴하기 시작하고 사기가 성해지기 시작하는 때이므로 병이 중해진다. 밤에는 양기가 5장으로 들어가고 사기만 몸에 남아 있기 때문에 병이 심해진다”고 대답하였다[영추].

反常爲病

內經曰氣實形實氣虛形虛此其常也反此者病○穀盛氣盛穀虛氣虛此其常也反此者病○實血實虛血虛此其常也反此者病○氣虛身熱此謂反也穀入多而氣少此謂反也穀不入而氣多此謂反也盛血少此謂反也少血多此謂反也○穀入多而氣少者得之有所奪血濕居下也穀入少而氣多者邪在胃及與肺也《內經》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내경』에 “기() ()하면 형체도 실하고 기가 ()하면 형체도 허해야 정상이다. 이와 반대되는 것은 병이다”고 하였다.

배가 부를 때는 기가 실하고 배가 고플 때는 기가 허해야 정상이다. 이와 반대되는 것은 병이다.

() 실할 때는 () 실하고 맥이 허할 때는 혈이 허해야 정상이다. 이와 반대되는 것은 병이다. 기가 허한데 몸에 열이 나는 , 음식은 많이 먹는데 기가 약한 , 음식은 적게 먹는데 기가 , 맥은 실한데 혈이 적은 , 맥은 약한데 혈이 많은 것은 정상과 반대되는 것이다. 음식은 많이 먹는데 기가 약한 것은 피를 많이 흘렸거나 하초(下焦) () 있기 때문이다. 음식은 적게 먹는데 기가 것은 () () 사기(邪氣) 있기 때문이다[내경].

便寒便熱

黃帝曰臨病人問所便奈何岐伯對曰夫中熱消則便寒寒中之屬則便熱胃中熱則消穀令人懸心善飢臍以上皮熱腸中熱則出黃如臍以下皮寒胃中寒則腹脹腸中寒則腸鳴泄胃中寒腸中熱脹而且泄胃中熱腸中寒則疾飢小腹痛脹《靈樞》

것을 좋아하거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便寒便熱]

황제(黃帝) “진찰할 때에는 환자에게 무엇을 좋아하는가 하고 물어보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 “중열(中熱), 소갈[ ] 때에는 것을 좋아하고 한중(寒中) 때에는 뜨거운 것을 좋아한다. () 속이 열하면 음식이 빨리 소화되어 가슴 속이 쌀쌀하고 이내 배가 고프다. 배꼽 위의 피부가 다는[] 것은 () 속에 열이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미음 같으면서 누런 대변이 나온다. 배꼽 아래의 피부가 것은 () 속이 것인데 이때에는 배가 불러 오른다. () 속이 차면[] 배가 끓으면서 삭지 않은 설사가 난다. 속은 차고, 속이 ()하면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가 난다. 속이 열하고 뱃속이 차면 배가 빨리 고프고 아랫배가 아프면서 불러 오른다”고 대답하였다[영추].

肥瘦辨病候

靈樞曰肥而澤者血氣有餘肥而不澤者氣有餘血不足瘦而無澤者血氣俱不足審察其形氣有餘不足而調之可以知逆順矣○人黑瘦者易治肥大肉厚赤白者難愈黑人耐風濕赤白者不耐風濕瘦人肉硬肥人肉軟肉軟則受病難愈《千金》○氣衰則身冷血衰則膚硬《入門》○肥人氣虛生寒寒生濕濕生痰瘦人血虛生熱熱生火火生燥故肥人多寒濕瘦人多熱燥也《丹心》

살이 쪘거나 여윈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肥瘦辨病候]

『영추』에 “살이 찌고 윤기가 나는 것은 기혈(氣血) 넉넉한 것이고 살은 쪘으나 윤기가 없는 것은 기가 넉넉하고 혈이 부족한 것이다. 여위고 윤기가 없는 것은 혈기가 부족한 것이다. 그러므로 형체와 기가 넉넉한가 부족한가를 살펴보고 조절해야 하며 병이 역증[]인가 순증[]인가를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살빛이 거멓고 여윈 사람은 병이 낫기 쉽고 살쪄서 힘살[] ()하며 살빛이 벌겋거나 사람은 병이 낫기 어렵다. 살빛이 검은 사람은 풍습(風濕) 견디어 내지만 벌겋거나 사람은 풍습을 견디어 내지 못한다. 여윈 사람은 힘살이 단단하고 살찐 사람은 힘살이 연한데 힘살이 연하면 병이 낫기 어렵다[천금].

() 쇠약하여 몸이 차고 () 쇠약하면 피부가 단단하다[입문].

살찐 사람은 () 허하므로 추워한다. 것은 () 생기게 하고 습은 () 생기게 한다. 여윈 사람은 혈이 허하므로 열이 난다. 열은 () ()하게 하고 화는 ()하게 한다. 그러므로 살찐 사람은 한증(寒證), 습증(濕證) 많고 여윈 사람은 열증(熱證), 조증(燥證) 많다[단심].

勇怯異形

黃帝曰願聞勇怯之所由然少兪曰勇士者目深以固長衝直揚三焦理橫其心端直其肝大以堅其膽滿以傍怒則氣盛而胸脹肝擧而膽橫裂而目揚毛起而面蒼此勇士之由然也○帝曰願聞怯士之所由然少兪曰怯士者目大而不深陰陽相失三焦理縱原泎短而小肝系緩其膽不滿而縱腸胃挺脇下空雖方大怒氣不能滿其胸肝肺雖擧氣衰復下故不能久怒此怯士之由然也○帝曰怯士之得酒怒不異勇士者何藏使然少兪曰酒者水穀之精熟穀之液也其氣慓悍其入于胃中則胃脹氣上逆滿于胸中肝浮膽橫當是之時固比于勇士氣衰則悔與勇士同類不知避之名曰酒悖也《靈樞》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勇怯異形]

[] 여기에 씌어 있는 내용들은 사람의 얼굴이나 체격을 보고 상을 판단하는 비과학적인 것들이다.

황제(黃帝)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의 형체가 다르다고 하는데 그것을 알고 싶다”고 하였다. 그러자 소유(少愈) “용감한 사람은 눈이 우뚝 들어갔고 크며 쏘아보는 광채가 있다. 그리고 3(三焦) 살결이 가로[] 갔고 심장이 똑바로 놓여 있으며 () 크고 뜬뜬하며 ()에는 담즙이 가득 있고 옆으로 놓여 있다. 그리고 성을 때에는 기운이 왕성해지고 가슴이 커지며 () 들리고 () 가로로 놓이며 눈귀[ ] 찢어지고 눈에서 광채가 나며 머리털이 일어서고 얼굴빛이 퍼렇게 된다. 이것이 용감한 사람의 표정이다”고 하였다.

황제가 “비겁한 사람은 어떤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소유(少兪) “비겁한 사람도 눈이 크나 우묵 들어가지 않았고 음양(陰陽) 알맞지 못하여 3(三焦) 살결이 세로[] 갔고 명치뼈가 짧고 작으며 간이 달린 줄이 늘어졌고 담즙이 가득 있지 않으며 세로로 놓여 있고 장위(腸胃) 똑바로 놓여 있으며 옆구리 아래가 같고 몹시 노하여도 가슴에 기운이 그득 차지 않는다. 그리고 () () 들렸다가도 () 약해지면 다시 내려가므로 오랫동안 노하지 못한다. 이것이 비겁한 사람의 표정이다”고 하였다.

황제가 “비겁한 사람도 술을 마셨을 때에는 노하는 것이 용감한 사람과 같은데 그것은 어느 장기 때문에 그런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소유가 “술이란 [] 곡식[] 정기이며 익은 곡식의 진액(津液)이므로 기운은 날래고 빠르다. 그러므로 () 속에 들어가면 위가 몹시 불러 오르게 되고 () 치밀어 오르게 된다. 때문에 가슴 속이 그득해지고 () 들뜨면 () 가로로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용감한 사람과 비슷해진다. 그리고 기가 약해지면 후회하는 것도 용감한 사람과 같다. 주정을 억제할 모르는 것을 주패(酒悖)라고 한다”고 대답하였다[영추].

臟腑病緩傳

內經曰五藏相通移皆有次五藏有病則各傳其所勝不治法三月若六月三日若六日傳五藏而當死註曰病有緩傳者有急傳者緩者或一歲二歲三歲而死其次或三月若六月而死急者一日二日三日四日或五六日而死○今風寒客於人使毫毛畢直皮膚閉而爲熱當是之時可汗而發也不治病入舍於肺名曰肺痺發咳上氣不治肺卽傳而行之肝病名曰肝痺脇痛出食當是之時可按若刺耳不治肝傳之脾病名曰脾風發腹中熱煩心出黃當此之時可按可藥可浴不治脾傳之腎病名曰疝小腹寃熱而痛出白當此之時可灸可藥不治腎傳之心筋脈相引而急病名曰當此之時可灸可藥不治滿十日法當死腎因傳之心心卽復反傳而行之肺發寒熱法當三歲死此病之次也○此邪初入表傳之緩也《內經》

장부병이 천천히 전해가는 [臟腑病緩傳]

『내경』에 5(五臟) 서로 ()하며 전하는데[] 차례가 있다. 5장에 병이 있으면 각기 자기가 이기는 [] 전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대체로 3달이나 6 또는 3일이나 6 만에 5장에 전해져서 반드시 죽게 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병이 천천히 전해지는 것과 빨리 전해지는 것이 있는데 천천히 전해지는 것은 1년이나 2, 3 만에 죽을 있다. 혹은 3달이나 6 만에 죽을 수도 있다. 빨리 전해지는 것은 1-4 또는 5-6 만에 죽을 있다”고 하였다.

풍한(風寒) 침범하면 솜털이 일어서고 땀구멍[皮膚] 닫히기 때문에 열이 나게 된다. 이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서 발산시켜야 한다. 이렇게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폐로 전해져서 폐비(肺痺) 생긴다. 이때에는 기침이 나고 기운이 치밀어 오른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에서 ()으로 전해가므로 간비(肝痺) 생긴다. 이때에는 옆구리가 아프고 먹은 것을 토하게 되는데 안마도 하고 침도 놓아야 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에서 () 전해가므로 비풍(脾風) 생긴다. 그러면 황달(黃疸) 생겨 뱃속이 ()해지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온몸이 노랗게 된다. 이때에는 안마도 하고 약도 쓰고 목욕도 해야 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에서 ()으로 전해가서 산가( ) 된다. 그러면 아랫배에 원열(寃熱)㈜이 나면서 아프고 전음으로 허연 물이 나온다. 이때에는 뜸도 뜨고 약도 써야 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에서 ()으로 전해가므로 힘줄이 맞당기게 된다. 때문에 계종[ ] 생긴다. 이때에는 뜸도 뜨고 약도 써야 한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10 만에 죽을 있다. 병이 ()에서 ()으로 전해가고 심에서 다시 () 전해가면 한열(寒熱) 생긴다. 이와 같이 되면 대체로 3 만에 죽을 있다. 이것이 병이 전해가는 차례이다.

이것은 사기(邪氣) 처음에 () 들어갔다가 천천히 전해가는 것을 말한 것이다[내경].

[] 원열(寃熱) : 열이 몹시 나서 답답하고 괴로운 .

臟腑病急傳

夫病傳者心病先心痛一日而咳(心傳肺)三日脇支滿(肺傳肝)五日閉塞不通身痛體重(肝傳脾)三日不已死冬夜半夏日中○肺病喘咳三日而脇支滿(肺傳肝)一日身重體痛五日而脹(肝傳脾胃)十日不已死冬日入夏日出○肝病頭目眩脇支滿三日體重身痛五日而脹(肝傳脾胃)三日腰脊小腹痛脛攣(脾傳腎)三日不已死冬日入夏早食○脾病身重體痛一日而脹(脾自傳胃)二日小腹腰脊痛脛三日背筋痛小便閉(脾傳腎膀胱)十日不已死冬人定夏晏食○腎病小腹腰脊痛窈攣三日背筋痛小便閉(腎傳膀胱)三日腹脹(膀胱傳小腸)三日兩脇支痛(小腸傳心)二日不已死冬大晨夏晏脯○胃病脹滿五日小腹腰脊痛窈攣(胃傳腎)二日背筋痛小便閉(腎傳膀胱)五日身體重(膀胱傳心)六日不已死冬夜半後夏日○膀胱病小便閉五日小腹脹腰脊痛窈攣(膀胱傳腎)一日腹脹(腎傳小腸)二日身體痛(小腸傳心)二日不已死冬鷄鳴夏下脯○謂大氣入藏盖傳之急者也《內經》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臟腑病急傳]

병이 전해간다는 [病傳] 심병(心病) 먼저 심장 부위가 아프다가 하루 지나면 기침이 나고(병이 ()에서 () 전해간 것이다) 3 만에는 옆구리가 벅차면서 그득하고(병이 ()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5 만에는 대소변이 나오지 않고 온몸이 아프며 몸이 무겁게 되는 것을 말한다(병이 ()에서 () 전해간 것이다). 3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밤중에, 여름에는 한낮에 죽을 있다.

폐병(肺病) 때에는 숨이 차고 기침이 나다가 3일이 되면 옆구리가 벅차면서 그득하다(병이 ()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그리고 하루가 지났을 때에는 몸이 무겁고 온몸이 아프다. 5 만에는 창만[] 생긴다(병이 ()에서 비위(脾胃) 전해간 것이다). 10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해질 무렵에, 여름에는 해뜰 무렵에 죽을 있다.

간병(肝病) 때에는 머리가 어지럽고 옆구리가 벅차면서 그득하다가 3 만에는 몸이 무겁고 온몸이 아프며 5 만에는 창만[] 생긴다(병이 ()에서 비위(脾胃) 전해간 것이다). 또한 3 만에는 허리뼈와 아랫배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린다(병이 ()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3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해질 무렵에, 여름에는 아침 끼니 죽을 있다.

비병(脾病) 때에는 몸이 무겁고 온몸이 아프다가 하루가 지나면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병이 ()에서 () 전해간 것이다). 2 만에는 아랫배와 허리뼈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린다. 3 만에는 등골[ ] 아프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다(병이 ()에서 () 방광(膀胱)으로 전해간 것이다). 10 만에 낫지 않을 경우에는 10시경에, 여름에는 아침 끼니 때가 지나서 죽을 있다.

신병(腎病) 때에는 아랫배와 허리뼈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리다가[ ] 3 만에는 등골이 아프고 오줌이 나가지 않는다(병이 ()에서 방광(膀胱)으로 전해간 것이다). 또한 3 만에는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병이 방광(膀胱)에서 소장(小腸)으로 전해간 것이다). 또한 3 만에는 옆구리가 벅차면서 아프다(병이 소장(小腸)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2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새벽에, 여름에는 늦은 저녁에 죽을 있다.

위병(胃病) 때에는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다가 5 만에는 아랫배와 허리뼈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린다(병이 ()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또한 2 만에는 등골이 아프고 오줌이 나가지 않는다(병이 ()에서 방광(膀胱)으로 전해간 것이다). 5 만에는 몸이 무겁다(병이 방광(膀胱)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6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밤중이 지나서, 여름에는 저녁 무렵에 죽을 있다.

방광병(膀胱病) 때에는 오줌이 나가지 않다가 5 만에는 아랫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며 허리뼈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린다(병이 방광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하루가 지나면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병이 신에서 소장(小腸)으로 전해간 것이다). 2 만에는 몸이 아프다(병이 소장에서 ()으로 전해간 것이다). 2 만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첫닭이 , 여름에는 해질 무렵에 죽을 있다. 대기(大氣) 5(五臟) 들어갔다고 하는 것은 병이 빨리 전해졌다는 것이다[내경].

邪精虛實

內經曰邪之所湊其氣必虛許學士云留而不去其病則實○邪氣盛則實精氣奪則虛《內經》○重實重虛者言大熱病氣熱滿是謂重實也虛氣虛尺虛是謂重虛也《內經》

사기와 정기가 허하거나 실한 [邪精虛實]

『내경』에 “사기(邪氣) 몰리는 곳에는 반드시 정기(正氣) (())하다”고 씌어 있다. 허학사(許學士)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가지 않으면 실증이 된다고 하였다.

사기가 심하면 실증(實證) 되고 정기가 허탈[]되면 허증(虛證) 된다[내경].

중실(重實) 중허(重虛)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열이 심한 () ()하고 () 충실한 것을 중실(重實)이라고 하고 맥이 허하고 기가 허하며 척부[] 허한 것을 중허(重虛)라고 한다[내경].

三虛三實

人有三虛三實何謂也然有之虛實有病之虛實有診之虛實之虛實者濡者爲虛緊牢者爲實病之虛實者出者爲虛入者爲實言者爲虛不言者爲實緩者爲虛急者爲實診之虛實者濡者爲虛牢者爲實痒者爲虛痛者爲實外痛內快爲外實內虛內痛外快爲內實外虛《難經》

3가지 허한 것과 3가지 실한 [三虛三實]

사람에게 3가지 () 것과 3가지 () 것이 있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맥에 허실(虛實) 있고 병에 허실이 있으며 진찰하는데 허실이 있다는 것이다. 맥의 허실이란 () 맥은 () 맥이고 긴뢰(緊牢) 맥은 () 맥이라는 것이다. 병의 허실이란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병이 속에서 겉으로 나오는 것은 ()증이고 겉에서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증이다. 말을 하는 것은 허증이고 말을 안하는 것은 실증이다. 병이 완만한 것은 허중이고 급한 것은 실증이다. 진찰하여 허실은 다음과 같이 갈라 낸다. 유맥(濡脈) 나타나는 것은 허증으로, 뇌맥(牢脈) 나타나는 것은 실증으로, 아파하는 것은 실증으로 가려워하는 것은 허증으로 본다. 겉이 아프고 속이 편안한 것은 겉이 실하고 속이 허한 것이며 속이 아프고 겉이 편안한 것은 속이 실하고 겉이 허한 것이다[난경].

⼗怴從病反

黃帝曰從而病反者何如岐伯曰至而從按之不鼓諸陽皆然帝曰諸陰之反何如岐伯曰至而從按之鼓甚而盛也註曰病熱而數按之不鼓動乃寒盛格陽而致之非熱也形證皆寒按之而氣鼓擊於指下而盛此爲熱盛拒陰而生病非寒也《內經》○證似陽者亦從證似陽而其病反是寒也證似陰者亦從證似陰而其病反是熱也皆反其證施治如身熱煩躁面赤其沈而微是陰證似陽也身熱者裏寒故也煩躁者陰盛故也面戴陽者下虛故也若誤謂實熱反與凉藥則氣消成大病矣四逆湯(方見寒門)白治之如手足逆冷大便秘小便赤脈沈而滑者陽證似陰也輕者白虎湯重者承氣湯(二方見寒門)下之○此二節言證似陽而病屬陰證似陰而病屬陽故反其證而治之盖證似陽而病屬陰者世尙能辨若證俱是陰而病獨屬陽者擧世莫辨而致夭折者滔滔皆是《綱目》

맥과 병이 일치되는 것과 반대되는 [脈從病反]

황제(黃帝) “맥() () 일치되는 것과 반대되는 것은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 “맥이 뛰는 것이 병과 일치되다가도 누르면 나타나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 모든 양증(陽證) 그렇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모든 음증(陰證) 맥이 반대되는 것은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맥이 뛰는 것이 병과 일치되는데 누르면 뛰는 것이 세지고 성해지는 것을 말한다”고 대답하였다. 주해에 “열병(熱病) 맥이 ()하다가도 누르면 나타나지 않는 것은 기운이 심하여 양기(陽氣) 가로막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러니 열증은 아니다. 맥과 증상은 한증(寒證) 증상인데 맥을 누르면 세게 뛰는 것은 () ()해서 () 가로막았기 때문에 생긴 병이다. 그러니 한증(寒證) 아니다”고 하였다[내경].

증상[] 양증 비슷하고 맥도 역시 양증 비슷하지만 반대로 한증(寒證) 것도 있고 증상이 음증 비슷하고 맥도 역시 음증 비슷하지만 반대로 열증(熱證) 것도 있다. 이런 때에는 맥이나 증상과는 반대로 치료해야 한다. 가령 몸에 열이 나고 안타까우며 얼굴이 벌겋게 되고 맥이 침미(沈微) 것은 음증이 양증 비슷하게 나타난 것이다.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속에 [] 있기 때문이고 안타까워하는 것은 () 왕성하기 때문이며 얼굴이 벌건 것은 하초(下焦) ()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만일 실열(實熱)증으로 잘못 알고 한증약[凉藥] 쓰면 도리어 () 소모되어 중병[大病] 된다. 이런 데는 사역탕(四逆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파밑(총백) 넣어서 써야 한다. 만일 손발이 싸늘해지고 변비가 있으며 오줌이 벌겋고 맥이 ()하면서 () 것은 양증이 음증 비슷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때에 병이 ()하면 백호탕을 쓰고 ()하면 승기탕(承氣湯, 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2가지 내용은 증상이 양증 비슷하나 () () 음증에 속하는 것과 증상이 음증 비슷하나 () () 양증에 속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므로 증상과 반대로 치료해야 한다. 증상이 양증 비슷하나 맥과 병이 음증에 속하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대체로 가릴 있지만 맥과 증상이 음증 증상 같은데 양증에 속하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잘못 치료하여 일찍 죽게 하는 일이 많다[강목].

標本相反

六氣之病標本相反者惟太陽少陰之病爲最盖太陽標陽而本寒少陰標陰而本熱按之不鼓爲寒盛格陽者太陽寒水之本與標相反也按之鼓甚爲熱甚拒陰者少陰君火之本與標相反也不知相反者逆標氣之陰陽而正治則順本氣之寒熱而病加知相反者順標氣之陰陽而反治則逆本氣之寒熱而病愈矣《綱目》

표와 본이 서로 반대되는 [標本相反]

6(六氣) () () 반대되는 것은 태양한수(太陽寒水) 소음군화(少陰君火)에서 특히 심하다. 태양한수는 표가 ()이고 본이 ()이며 소음군화는 표가 ()이고 본이 ()이다. () 누르면 나타나지 않는 것은 () 성하여 () 가로막는 것인데 태양한수의 본과 표가 상반된 것이다. 눌러도 몹시 뛰는 것은 () 심하여 () 가로막는 것인데 소음군화의 본과 표가 상반된 것이다. 상반에 대한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표기(標氣) 음양에 거슬러 오르게 정치법[正法]으로 치료한다. 그러면 본기(本氣) 한열(寒熱) 따라가기 때문에 병이 심해진다. 그리고 상반에 대한 것을 아는 사람은 표기의 음양을 따라 반치법[反治]으로 치료한다. 그러면 본기(本氣) 한열(寒熱) 반대로 가기 때문에 병이 낫는다[강목].

惡寒惡熱

發熱惡寒者發於陽無熱惡寒者發於陰《仲景》○惡寒非寒明是熱證惡熱非熱明是虛證《丹心》○久病非寒暴病非熱《綱目》

오한과 오열[惡寒惡熱]

() 나면서 오한(惡寒) 나는 것은 ()에서 생긴 것이고 열이 없으면서 오한이 나는 것은 ()에서 생긴 것이다[중경].

오한이 나는 것은 한증(寒證) 아니라 열증(熱證) 분명하다. 오열이 나는 것은 열증이 아니라 허증(虛證) 분명하다[단심].

오랜 병은 한증(寒證) 아니고 갑자기 생긴 병은 열증(熱證) 아니다[강목].

榮衛生病

黃帝問曰榮衛寒痺之爲病奈何伯高答曰榮之所生也寒熱少氣血上下行衛之生病也氣痛時來時去愾賁響風寒客于腸胃之中寒痺之爲病也留而不去時痛而皮不仁也《靈樞》

영위에 병이 생긴 [榮衛生病]

황제가 “영위병(榮衛病) 한비병(寒痺病)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백고(伯高) “영() 병이 생긴 때에는 춥다가 열이 나고 기운이 약해지며 피가 아래 위로 나간다. () 병이 생긴 때에는 () 통증이 생기는데 통증[氣痛] 때로 있었다 없었다 하며 답답하고 한숨을 쉬며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난다. 이것은 장위(腸胃) 속에 풍한(風寒) 사기(邪氣) 있기 때문이다. 한비병(寒痺病) 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는데 때로 아프며 피부에 감각이 없어진다”고 하였다[영추].

能食不能食

中風能食傷寒不能食《丹心》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能食不能食]

중풍(中風) 때에는 음식을 먹고 상한(傷寒) 때에는 음식을 먹지 못한다[단심].

凡病辨有餘不足

凡病來潮作之時病氣精神增添者是爲病氣有餘乃邪氣勝也急瀉之以寒凉酸苦之劑○若病來潮作之時神氣困弱者爲病氣不足乃眞氣不足也急補之以辛甘溫熱之劑○如病人形氣不足病來潮作之時病氣亦不足此乃陰陽俱不足也禁用鍼宜補之以甘藥又灸臍下氣海穴○夫氣謂口鼻中氣息也形謂皮肉筋骨血也形勝者爲有餘消瘦者爲不足也氣者審口鼻中氣勞役如故爲氣有餘也若喘息氣促氣短或不足以息者爲不足也故曰形氣也《東垣》

병이 실한 것인가 허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凡病辨有餘不足]

병이 한창 발작할 기운이 세지고 정신이 드는 것은 병사가 () 것이다. 사기(邪氣) 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빨리 성질이 차고[] 서늘하며[] 맛이 시고 약으로 ()해야 한다.

만일 병이 한창 발작할 정신이 피로해지고 기운[病氣] 약해지는 것은 병사가 약한 것이다. 원기[眞氣] 부족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빨리 맛이 맵고 달며 성질이 따뜻하고 열한 약으로 ()해야 한다.

만일 환자의 형기(形氣) 부족할 병이 한창 발작하는 것은 사기[病氣] 역시 부족한 것인데 이것은 음양(陰陽)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침을 놓지 말고 맛이 약으로 보하거나 배꼽 아래에 있는 기해혈(氣海穴) 뜸을 떠야 한다.

()라는 것은 입과 코로 숨을 쉬는 기운이고 ()이라는 것은 피부, 힘살, , 혈맥을 말한다. 형체가 든든한 것을 []하다고 하고 여윈 것을 부족(不足)하다고 한다. () 입과 코로 숨쉬는 기운을 살펴보면 있는데 일할 때에도 평상시와 같은 것은 기가 실한 것이고 숨차하는 , 숨쉬기 가빠하는 , 숨결이 밭은 ,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은 기가 부족한 것이다. 이것을 형기(形氣)라고 한다[동원].

凡病有形無形

靈樞曰有形而不痛者陽之類也無形而痛者陰之類也無形而痛者陽完而陰傷之也急治其陰無攻其陽有形而不痛者其陰完而陽傷之也急治其陽無攻其陰陰陽俱動乍有形乍無形加以煩心命曰陰勝其陽此謂不表不裏其形不久也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凡病有形無形]

『영추』에 “형체[] 있으면서 아프지 않은 것은 () 속하고 형체가 없으면서 아픈 것은 () 속한다. 형체가 없으면서 아픈 것은 양이 온전하고 음이 () 것이므로 빨리 음만 치료하고 양은 치지[] 말아야 한다. 형체가 있으면서 아프지 않은 것은 음이 온전하고 양이 상한 것이므로 빨리 양만 치료하고 음을 치지 말아야 한다. 음양이 동하여 방금 형체가 나타났다가도 잠깐 사이에 없어지면서 속이 답답한 것은 음이 양을 억누른 것인데 이것은 ()증도 아니고 ()증도 아니다. 그러므로 형체가 오랫동안 가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三焦不歸

寸口微而微者衛氣不行者榮氣不逮榮衛不能相將三焦無所仰身體痺不仁榮氣不足則煩疼口難言衛氣虛則惡寒數欠三焦不歸其部上焦不歸者噫而呑酢中焦不歸者不能消穀引食下焦不歸者則遺尿《仲景》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三焦不歸]

촌구맥(寸口脈) ()하면서 ( )하다면 미한 것은 위기(衛氣) 돌지 못하기 때문이고 색한 것은 영기(榮氣) 따라 돌지 못하기 때문이다. 영위(榮衛) 서로 돕지 못하면 3초가 의지할 곳이 없게 된다. 그러면 몸이 저리고 마음대로 움직일 없게 된다. 영위(榮衛) 부족하면 말할 없이 안타깝고 아프며 위기(衛氣) ()하면 오한이 나면서 자주 하품을 하게 된다. 3초가 제대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상초(上焦) 작용하지 못하면 트림이 나면서 신물이 올라오고 중초(中焦) 작용하지 못하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하초(下焦) 작용하지 못하면 오줌이 나가는 것을 모르게 된다는 것이다[중경].

二尸四異四奇

小兒魃病生者爲相繼死者爲傳尸也有而無氣謂之尸厥有氣而無謂之行尸○丁奚哺露客無睾四異病也○陽易陰易百合狐惑四奇病也《海藏》

2, 4, 4[二尸四異四奇]

어린이가 아우타는 [ ]으로도 사는 것을 상계(相繼)㈜라고 하고 죽는 것을 전시(傳尸)㈜라고 한다. 맥은 뛰는데 기운이 없는 것을 시궐(尸厥)이라 하고 기운은 있는데 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행시(行尸)라고 한다.

[] 상계(相繼) : 젖먹이가 있는데 임신하거나 해산하면 젖먹이가 여위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기병이라고도 한다.

[] 전시(傳尸) : 노채충으로 감염되는 병인데 허로증 가운데서 제일 심한 것이다.

정해(丁奚), 포로(哺露), 객오( ), 무고(無辜)감을 4이병(四異病)이라고 한다.

양역(陽易), 음역(陰易), 백합(百合), 호혹(狐惑)증을 4기병(四奇病)이라 한다[해장].

男女病因

凡病男子必審房勞女人先問經孕《入門》

남자와 여자 병의 원인[男女病因]

모든 남자에게는 반드시 성생활에 대한 것을 물어봐야 하고 여자에게는 먼저 월경과 임신에 대한 것을 물어봐야 한다[입문].

升降失常爲病

凡頭面上病皆百邪上攻胸膈間病皆百邪上衝腸胃間病皆百邪下流而傳入不然則血氣失升降之常陽當升而不升陰當降而不降識病機括盡於此矣《入門》○陽病者上行極而下陰病者下行極而上上下必干中焦於是三焦亂內外氣塞《靈樞》○手之三陽從手走頭足之三陽從頭走足是高能接下也足之三陰從足走腹手之三陰從腹走手是下能趨上也故上下升降而爲和易曰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難經曰氣主煦之升也血主濡之潤也夫唱則婦隨血隨氣而上行氣也者寄于辛用于寅平朝始從中焦注循天之紀左旋至丑而終晝夜通行五十度周流八百一十丈《東垣》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머리와 얼굴에 병이 생기는 것은 여러 가지 사기(邪氣) 윗도리[] 침범했기 때문이고 가슴에 병이 생기는 것은 여러 가지 사기가 올려 치밀기 때문이며 장위(腸胃) 병이 생기는 것은 여러 가지 사기가 아래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이런 원인이 아니면 혈기(血氣) 제대로 오르내리지 못하여 올라와야 () 올라오지 못하거나 내려가야 () 내려가지 못하여 생긴 것이다. 이것이 무슨 병인가를 아는 중요한 고리이다[입문].

양병(陽病) 머리 끝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고 음병(陰病) 끝까지 내려갔다가 올라온다.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에는 반드시 중초(中焦) 지나게 된다. 그러므로 3(三焦) 혼란되면 안팎으로 기가 막히게 된다[영추].

[] 3(三陽)경맥은 손에서 시작하여 머리로 갔고 다리의 3양경맥은 머리에서 시작하여 발로 갔다. 그러니 이것은 [] 있는 것이 아래에 있는 것과 연결되었다는 말이다. 다리[] 3음경맥은 발에서 시작하여 [] 갔고 팔의 3음경맥은 []에서 시작하여 손으로 갔다. 그러니 이것은 아래에 있던 것이 능히 위로 올라갈 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아래[] 있던 것이 능히 [] 올라갈 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위의 것과 아래의 것이 오르내리면서 서로 조화되게 된다. 『주역』에 “하늘의 () 내려와서 맑게 하고 땅의 기는 낮은 곳에서부터 올라간다”고 씌어 있다. 『난경』에 “기는 덥게 하여 올라가게 하는 것을 주관하고 () 축여 주어서 윤택하게 하는 것을 주관한다. 남편이 부르면 처가 따라가는 것처럼 () () 따라 위로 올라간다. 기라는 것은 () 자리잡고 있으면서 새벽 3-5시경부터 작용하는데 이른 아침에 처음 중초(中焦)에서 시작하여 자연의 법칙을 따라 왼쪽으로 돌다가 새벽 1-3시경에 끝난다. 하룻동안에 50번을 돌므로 모두 810장을 돈다”고 씌어 있다[동원].

辨陰陽二證

凡病陰證則身靜重語無聲氣難布息目睛不了了鼻中呼不出吸不入往來口與鼻中氣冷水漿不入大小便不禁面上惡寒有如刀刮《東垣》○陽證則身動輕語有聲目睛了了鼻中呼吸出入能往而能來口與鼻中氣皆然《東垣》○身表凉知在陰經也名曰陰證身表熱知在陽經也名曰陽證《入門》○陽勝則身熱理閉喘爲之仰汗不出而熱齒乾以煩寃腹滿死能冬不能夏(能與耐同)陰勝則身寒汗出身常數慄而寒寒則厥厥則腹滿死能夏不能冬《內經》○凡病人開目喜見人者屬陽也閉目不欲見人者屬陰也○多睡者陽虛陰盛也無睡者陰虛陽盛也○喜明者屬陽元氣實也喜暗者屬陰元氣虛也○睡向壁者屬陰元氣虛也睡向外者屬陽元氣實也《回春》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음증(陰證) 때에는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목소리가 무거우며 말이 되지 않고 숨쉬기 힘들며 눈정기[目睛] 없고 코로 숨쉬는 것이 순조롭지 못하여 입김과 콧김이 차고 미음도 넘기지 못하며 대소변이 나가는 것을 참지 못하고 오한이 나서 얼굴이 마치 칼로 에이는 듯한 느낌이 있다[동원].

양증(陽證) 때에는 몸을 자주 움직이고 목소리가 가볍고 말이 되며 눈정기가 있고 코로 숨쉬는 것이 순조롭고 입김과 콧김이 보통 때와 같다[동원].

몸의 겉면이 [] 것은 사기가 음경(陰經) 있는 것이므로 음증(陰證)이라고 하고 몸의 겉면이 다는[] 것은 사기가 양경(陽經) 있는 것이므로 양증(陽證)이라고 한다.

() []하면 몸이 달고[] 주리( ) 막히며 숨이 차서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며 땀이 나오지 않으면서 열이 나고 이빨이 마르며 답답하고 배가 그득해지는데 경과가 나빠서 죽을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견디어내다가 여름에 가서 죽는다. () []하면 몸이 차고 땀이 나며 몸이 서늘하고 자주 떨리면서 춥다. 그리고 춥다가 궐증[] 되는데 궐증이 생기면 배가 그득해지면서 경과가 나빠서 죽을 있다. 그러나 여름에는 견디어 내다가 겨울에 가서 죽는다[내경].

환자가 눈을 뜨고 사람을 보기 좋아하는 것은 양증(陽證) 속하고 눈을 감고 사람을 보기 싫어하는 것은 음증(陰證) 속한다.

잠이 많은 것은 () ()하고 () () 것이고 잠이 없는 것은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한 것이다.

밝은 곳을 좋아하는 것은 양증에 속하는데 원기(元氣) () 것이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것은 음증에 속하는데 원기가 () 것이다.

벽을 향하고 자는 것은 음증인데 원기(元氣) 허한 것이고 밖을 향하고 자는 것은 양증인데 원기가 실한 것이다[회춘].

辨內傷外傷

祥見內傷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자세한 것은 내상문(內傷門) 있다)

八虛候五臟

黃帝問曰人有八虛各何以候岐伯對曰以候五藏也肺心有邪其氣流于兩肝有邪其氣流于兩脇(一作腋)脾有邪其氣流于兩摽(一作股)腎有邪其氣流于兩凡此八虛者皆機關之室眞氣之所過血絡之所遊邪氣惡血固不得留住留住則傷經絡骨節機關不得屈伸故病攣也《靈樞》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황제(黃帝) 8(八虛) 각각 생기는 증후는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 “이것은 모두 5(五臟) 관련이 있다. () () 사기(邪氣) 있으면 기운이 양쪽 팔굽으로 들어가고 () 사기가 있으면 기운은 양쪽 옆구리(겨드랑이라고 데도 있다) 들어가며 () 사기가 있으면 기운은 양쪽 허벅다리(사타구니라고 데도 있다) 들어가고 () 사기가 있으면 기운은 양쪽 오금[ ]으로 들어간다. 8허는 뼈마디 부위에 있는데 진기(眞氣) 통과하는 곳이고 혈락(血絡) 도는 곳이다. 그러므로 사기나 궂은 피가 여기에 머물러 있을 없다. 만일 머물러 있게 되면 경락(經絡) 뼈마디가 ()하여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고 가드라들게[] 된다”고 대답하였다[영추].

人不食七日死

黃帝曰願聞人之不食七日而死何也伯高對曰腸胃之中常留穀二斗水一斗五升故平人日再後後二升半一日中五升七日則五七三斗五升而留水穀盡矣故平人不食飮七日而死者水穀精氣津液皆盡故也《靈樞》

사람은 7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황제가 “사람은 7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데 이유를 알고 싶다”고 하였다. 그러자 기백이 “장위(腸胃) 속에는 항상 음식 2되와 1되의 5홉이 간직된다. 그리고 보통 사람은 하루에 뒤를 두번 보는데 한번에 2 5잔씩 내보낸다. 그러니 하루에 5홉을 내보내게 되고 7일이면 3 5홉을 내보내게 된다. 그러면 장위에 있던 물과 음식이 나오게 된다. 보통 사람이 7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 것은 안에 있던 음식물의 정기(精氣) 진액(津液) 사이에 없어지기 때문이다”[영추].

病有五逆

黃帝曰何謂五逆岐伯曰熱病靜汗已出盛躁是一逆也病泄脈洪大是二逆也着痺不移肉破身熱脈偏絶是三逆也淫而奪形身熱色夭白及後下血篤重是謂四逆也寒熱奪形堅搏是謂五逆也《靈樞》○帝曰諸病皆有逆順可得聞乎岐伯曰腹脹身熱大是一逆也腹鳴而滿四肢淸泄其大是二逆也而不止大是三逆也咳且血脫形其小勁是四逆也咳脫形身熱小以疾是謂五逆也如是者不過十五日而死矣《靈樞》○腹大脹四末淸脫形泄甚是一逆也腹脹便血其大時絶是二逆也咳血形肉脫搏是三逆也嘔血胸滿引背小而疾是四逆也咳嘔腹脹且泄其絶是五逆也如是者不及一時而死矣《靈樞》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황제(黃帝) 5가지 역증(逆證)이란 어떤 것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 “열병 맥이 고르게 뛰다가 땀을 뒤로부터 맥이 몹시 뛰는 것이 첫째 역증이고 설사하면서 맥이 홍대(洪大) 것이 둘째 역증이며 착비(着痺) 옮겨가지 않아 속에 있는 힘살까지 빠지고 몸에 () 나면서 맥이 한쪽씩 끊어지는 것이 셋째 역증이고 음탕하여 몸이 여위고 열이 나며 얼굴이 윤기가 없이 허옇고 뒤로 검붉은 핏덩어리가 몹시 쏟아져 나오는 것이 넷째 역증이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몸이 여위며 맥이 () 것이 다섯째 역증이다”고 대답하였다[영추].

황제가 “모든 병에는 ()증과 ()증이 있는데 그것을 알고 싶다”고 하였다. 그러자 기백이 “배가 불러 오르고 몸에 열이 나면서 맥이 () 것이 첫째 역증이고 배가 끓으면서 그득하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가 나면서 맥이 () 것이 둘째 역증이며 코피가 멎지 않으면서 맥이 대한 것이 셋째 역증이고 기침이 나고 오줌으로 피가 섞여 나오며 몸이 여위고 맥이 ()하면서 세게 뛰는 것이 넷째 역증이며 기침이 나고 몸이 여위며 열이 나고 맥이 ()하면서 빠른 것이 다섯째 역증이다. 이와 같이 되면 15일을 넘기지 못하고 죽는다”고 대답하였다[영추].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팔다리가 싸늘하고 몸이 여위고 설사가 심한 것이 첫째 역증이고 배가 불러 오르고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몸이 몹시 여위고 맥이 ()하면서 때로 끊어지는 것이 둘째 역증이며 기침이 나고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며 몸이 여위고 맥이 세게 뛰는 것이 셋째 역증이고 피를 토하고 가슴이 그득하면서 잔등까지 켕기며 맥이 ()하면서 빠른 것이 넷째 역증이고 기침이 나고 구역이 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삭지 않은 설사가 나며 맥이 끊어지는 [] 다섯째 역증이다. 이와 같이 되면 2시간을 넘지 못하고 죽을 있다[영추].

五味所入

酸入肝辛入肺苦入心鹹入腎甘入脾是謂五入《內經》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신맛은 ()으로 들어가고 매운 맛은 () 들어가며 맛은 ()으로 들어가고 맛은 ()으로 들어가고 단맛은 () 들어간다. 이것이 5가지 맛이 들어가는 곳이다[내경].

五氣所病

心爲噫肺爲咳肝爲語脾爲呑腎爲欠爲胃爲氣逆爲爲恐大腸小腸爲泄下焦溢爲水膀胱不利爲不約爲遺尿膽爲怒是謂五病《內經》

5 기운으로 생기는 [五氣所病]

() 때에는 트림이 나고 () 때에는 기침이 나며 () 때에는 말을 많이 하고 () 때에는 탄산[] 있고 () 때에는 하품과 재채기를 한다. () 때에는 역기[] 나고 딸꾹질이 나며 무서움이 생긴다. 대소장(大小腸) 때에는 설사를 하고 하초(下焦) 넘쳐 나서 수종[] 생긴다. 방광(膀胱)병으로 구멍이 열리지 못하면 오줌이 막히고 닫히지 못하면 유뇨(遺尿)증이 생긴다. () 때에는 성을 낸다. 이것을 5(五病)이라고 한다[내경].

五精所病

精氣幷於心則喜幷於肺則悲幷於肝則憂幷於脾則畏幷於腎則恐是謂五幷虛而相幷者也註曰精氣謂火之精氣也肺虛而心精幷之則爲喜他藏倣此《內經》

5정소병(五精所幷)

정기(精氣) () 어울리면 기뻐하고 () 어울리면 슬퍼하며 () 어울리면 근심하고 () 어울리면 무서워하고 () 어울리면 두려워한다. 이것을 5(五精所幷)이라고 하는데 ()해서 서로 어울리게 것이다. 주해에 “정기(精氣) () 정기이다”고 씌어 있다. 폐가 허할 심의 정기가 어울리면 기뻐하게 된다. 다른 장기들도 이와 같다[내경].

五臟所惡

心惡熱肺惡寒肝惡風脾惡濕腎惡燥是謂五惡《內經》

5장이 싫어하는 [五臟所惡]

() () 싫어하고 () [] 싫어하며 () () 싫어하고 () () 싫어하며 () () 것을 싫어한다. 이것을 5(五惡)라고 한다[내경].

五臟化液

心爲汗肺爲涕肝爲淚脾爲涎腎爲唾是謂五液《內經》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 () 관련된 것이고 콧물[] () 관련된 것이며 눈물[] () 관련된 것이고 군침[] () 관련된 것이며 느침[] () 관련된 것이다. 이것을 5(五液)이라고 한다[내경].

五味所禁

辛走氣氣病無多食辛鹹走血血病無多食鹹苦走骨骨病無多食苦甘走肉肉病無多食甘酸走筋筋病無多食酸是謂五禁無令多食《內經》

5가지 맛을 꺼릴 [五味所禁]

매운 맛은 () 가므로 () 때에는 매운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하며 맛은 () 가므로 혈병 때에는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하고 맛은 뼈로 가므로 뼈에 생긴 때에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하며 단맛은 [] 가므로 살에 생긴 때에는 단것을 먹지 말아야 하고 신맛은 힘줄[] 가므로 힘줄에 생긴 때에는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이것을 5(五禁)이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나 많이 먹지 말라는 것이다[내경].

五病所發

陰病發於骨陽病發於血陰病發於肉陽病發於冬陰病發於夏是謂五發《內經》

5병소발(五病所發)

음병(陰病) 뼈에 생기고 양병(陽病) 혈에 생기며 음병(陰病) []에도 생긴다. 양병은 겨울에 생기고 음병은 여름에 생긴다. 이것을 5병소발 또는 5(五發)이라고 한다[내경].

五邪所亂

邪入於陽則狂邪入於陰則痺搏陽則爲疾搏陰則爲陽入之陰則靜陰出之陽則怒是謂五亂《內經》

5사소란(五邪所亂)

사기(邪氣) () 들어가면 ()병이 생기고 사기가 () 들어가면 ()병이 생긴다. 양과 부딪치면 전질( ) 생기고 음과 부딪치면 말을 못하게 된다. 양이 음으로 들어가면 안정되고 음이 양으로 들어가면 노하게 된다. 이것을 5사소란 또는 5(五亂)이라고 한다[내경].

五邪所見

春得秋夏得冬長夏得春秋得夏冬得長夏是謂五邪皆同命死不治《內經》

5사맥이 나타나는 [五邪所見]

봄에 가을 맥이 나타나고 여름에 겨울 맥이 나타나며 늦은 여름에 봄맥이 나타나고 가을에 여름맥이 나타나며 겨울에 늦은 여름맥이 나타나는 것을 5(五邪)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내경].

五臟所藏

心藏神肺藏魄肝藏魂脾藏意腎藏志是謂五藏所藏《內經》

5장이 간직하고 있는 [五臟所藏]

() 정신[] 간직하고 () [] 간직하며 () () 간직하고 () 의식[] 간직하며 () 의지[] 간직한다. 이것이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내경].

五臟所主

心主肺主皮肝主筋脾主肉腎主骨是謂五主《內經》

5장이 주관하는 [五臟所主]

() 혈맥을 주관하고 () 피부를 주관하며 () 힘줄을 주관하고 () [] 주관하며 () 뼈를 주관한다. 이것을 5(五主)라고 한다[내경].

五勞所傷

久視傷血久臥傷氣久坐傷肉久立傷骨久行傷筋是謂五勞所傷《內經》

5로소상(五勞所傷)

지나치게 오랫동안 보면 () 상하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 () 상하며 지나치게 오랫동안 앉아 있으면 [] 상하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있으면 뼈가 상하며 지나치게 오랫동안 걸어다니면 힘줄이 상한다. 이것을 5로소상(五勞所傷)이라고 한다[내경].

五脈應象

弦心鉤脾代肺毛腎石是謂五藏之脈《內經》

5장과 관련된 5가지 [五脈應象]

간맥은 ()하고 심맥은 ()하며 비맥은 ()하고 폐맥은 ()하며 신맥은 ()하다. 이것이 5(五臟) 맥이다[내경].

출처 : 명리오행한방(대한명의학협회)
글쓴이 : 무태안 원글보기
메모 :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