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의 저자인 수암(遂庵) 권상하는 율곡(栗谷) 이이(李珥),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잇는 대표적인 기호학파(畿湖學派) 성리학자입니다. 저자의 문집에서 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산골 마을의 풍경과 벗들을 그리워하는 심정이 담긴 작품이 많습니다. 위의 시 또한 한적한 산촌에서 벗을 만난 심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동문(同門) 임방(任埅)의 시에서 차운해 지은 것입니다.
시인이 사는 곳은 꽃 피는 산골입니다. 여간해선 찾아오는 이 없는 산중이니, 아침저녁으로 사립문을 열고 닫는 것은 그저 하루를 시작하고 정리하는 일상적인 움직임에 지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날은 달밤에 찾아오기로 한 손님이 있어 옷을 챙겨 입고 사립문을 열어둔 채 그를 기다립니다. 꽃이 핀 산골의 밤 풍경을 혼자 누리기엔 아까웠는데, 좋은 벗이 찾아온다기에 설레는 마음으로 문밖을 내다봅니다. 친구는 지금 산속 어디쯤을 달빛 아래 걸어오고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수에 이어 두 번째 수에서는 찾아온 친구와 함께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꽃향기 속에서 이렇게 마주 앉으니 對坐花香裏 밤이슬에 옷이 좀 젖은들 무슨 상관이겠나 何嫌露濕衣 내일 아침 그대를 떠나보내고 나면 明朝分手後 사립문 닫힌 채로 적적할 텐데 寂寂閉山扉
꽃향기가 가득한 산골의 밤을 느끼기에는 방 안 보다는 꽃이 핀 한가운데 자리하는 게 좋았을 것입니다. 달밤에 바람을 타고 전해지는 꽃향기를 맡으면서 실눈이 되어 마주 보고 웃었겠지요? 서로의 안부를 묻고, 지나간 이런저런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글을 읽다 느낀 점을 주고받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러는 사이 밤은 깊어지고 옷은 이슬에 젖어 축축해졌지만, 그것이 오래간만에 만나 대화하는 꽃자리를 파할 만한 이유는 못 됩니다.
이때 시인은 감흥에 젖어 말로 하기 어려운 마음을 시를 지어 고백합니다. 친구가 오지 않아 사립문도 걸지 않고 기다렸노라고. 이슬에 옷이 젖어도 함께하니 즐겁기만 하다고. 짧은 시간 함께한 후 내일이면 떠난다는 생각을 하니 무척 허전하다고.
꽃이 핀 자리, 달 뜨는 시각을 잡아 마음 맞는 친구와 함께 시를 주고받던 옛 풍경이 멋스럽습니다. 그 시절엔 자연스럽던 풍경들이 다 어디로 가고 없는 것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