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관련 자료
***고조선에 대한 가장 중요한 문헌 - 삼국유사 검색방법 ***
http://www.khaan.net/menu.html
이 사이트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중국문헌 등 원문이 대부분 모아져 있습니다.
http://www.dlibrary.go.kr
국가전자도서관으로 들어가 원문보기로 검색하면
목판인쇄된 삼국유사의 원문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역사서에서 고조선을 더 알고 싶을 때***
- 제왕운기(이승휴)
- 동국통감(서거정등)
- 목은집(이색)
- 세종실록지리지 평양조, 영변
- 신증동국여지승람
- 동사(허목)
- 동국역대총목(홍만종)
- 동사강목(안정복)
- 신단실기(김교헌)
위에 제시된 거의 대부분의 책은 국가전자도서관 http://www.dlibrary.go.kr에서 원문검색가능합니다.
http://kyujanggak.snu.ac.kr/info/info01.jsp
세종실록은 위의 사이트(규장각)에서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고조선에 대한 일반적인 개론서***
-<한국고대사속의 고조선사> 교원대학교 송호정교수 저, 푸른역사출판사
-<단군과 고조선사> 서울대 노태돈교수외 저, 사계절 출판사
-<고조선 력사개관> 북한 사회과학출판사편, 중심출판사
-<한국생활사박물관 2 - 고조선생활관>, 사계절출판사
-<단군과 고조선> 선문대 이형구교수 편, 살림터출판사
-<고조선연구> 단국대 윤내현교수 저, 일지사
그리고 신채호선생의 조선상고사(일신서적출판) 등이 있습니다.
***고조선과 요서지역의 관련성에 집중하고 싶으면
-<요서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연구> 단국대 복기대 연구원 저, 백산자료원
-<발해연안에서 찾은 한국고대문화의 비밀> 선문대이형구교수저, 김영사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 고조선사를 공부하고 싶을 때***
고조선에 대한 가장 빠른 문헌기록은
산해경이나 관자, 상서대전등 입니다.
산해경, 관자, 염철론, 상서대전등 거의 모든 고조선언급 사서는
http://www.dlibrary.go.kr
국가전자도서관에서 그 내용을 PDF 파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한나라시기이전의 사료는 인쇄하면 양이 몇페이지 되지 않습니다.
http://www.khaan.net/menu.html
칸네트라는 개인 사이트에서는 대부분 사서를 파일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고조선에 대한 자료가 방대한 중국사서는 사마천의 사기입니다.
사기를 비롯한 중국 25사기록에서 고조선관련 기록을 보기 위해서는
http://www.sinica.edu.tw/~tdbproj/handy1/
에서 조선이라는 검색어를 넣어서 찾으면 매우 간편하게 고조선에 대한 모든 중국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갈석에 대해서 검색하면 갈석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발췌해 보여주기 때문에 일일이 방대한 원문을 읽어야하는 수고를 들어줍니다.
이 사이트는 대만의 중앙연구원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중국25사와 13경의 무료검색사이트인데 매우 활용할 만한 사이트입니다.
고조선의 인접문화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홍산문화를 알고 싶을 때는
http://daangoon.pe.kr/ham2.htm
이 사이트는 사진자료등이 풍부합니다.
***재야 사서 찾아보기***
그 외 고조선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지만 그 진위에 대한 논란이 여전한 책으로
규원사화,
환단고기,
부도지,
단기고사,
등의 재야사서가 있으며 이런 자료들은
http://www.khaan.net/menu.html
http://www.dlibrary.go.kr
http://www.coo2.net
등에서 자료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고조선에 대한 가장 중요한 문헌 - 삼국유사 검색방법 ***
http://www.khaan.net/menu.html
이 사이트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중국문헌 등 원문이 대부분 모아져 있습니다.
http://www.dlibrary.go.kr
국가전자도서관으로 들어가 원문보기로 검색하면
목판인쇄된 삼국유사의 원문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역사서에서 고조선을 더 알고 싶을 때***
- 제왕운기(이승휴)
- 동국통감(서거정등)
- 목은집(이색)
- 세종실록지리지 평양조, 영변
- 신증동국여지승람
- 동사(허목)
- 동국역대총목(홍만종)
- 동사강목(안정복)
- 신단실기(김교헌)
위에 제시된 거의 대부분의 책은 국가전자도서관 http://www.dlibrary.go.kr에서 원문검색가능합니다.
http://kyujanggak.snu.ac.kr/info/info01.jsp
세종실록은 위의 사이트(규장각)에서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고조선에 대한 일반적인 개론서***
-<한국고대사속의 고조선사> 교원대학교 송호정교수 저, 푸른역사출판사
-<단군과 고조선사> 서울대 노태돈교수외 저, 사계절 출판사
-<고조선 력사개관> 북한 사회과학출판사편, 중심출판사
-<한국생활사박물관 2 - 고조선생활관>, 사계절출판사
-<단군과 고조선> 선문대 이형구교수 편, 살림터출판사
-<고조선연구> 단국대 윤내현교수 저, 일지사
그리고 신채호선생의 조선상고사(일신서적출판) 등이 있습니다.
***고조선과 요서지역의 관련성에 집중하고 싶으면
-<요서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연구> 단국대 복기대 연구원 저, 백산자료원
-<발해연안에서 찾은 한국고대문화의 비밀> 선문대이형구교수저, 김영사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 고조선사를 공부하고 싶을 때***
고조선에 대한 가장 빠른 문헌기록은
산해경이나 관자, 상서대전등 입니다.
산해경, 관자, 염철론, 상서대전등 거의 모든 고조선언급 사서는
http://www.dlibrary.go.kr
국가전자도서관에서 그 내용을 PDF 파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한나라시기이전의 사료는 인쇄하면 양이 몇페이지 되지 않습니다.
http://www.khaan.net/menu.html
칸네트라는 개인 사이트에서는 대부분 사서를 파일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고조선에 대한 자료가 방대한 중국사서는 사마천의 사기입니다.
사기를 비롯한 중국 25사기록에서 고조선관련 기록을 보기 위해서는
http://www.sinica.edu.tw/~tdbproj/handy1/
에서 조선이라는 검색어를 넣어서 찾으면 매우 간편하게 고조선에 대한 모든 중국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갈석에 대해서 검색하면 갈석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발췌해 보여주기 때문에 일일이 방대한 원문을 읽어야하는 수고를 들어줍니다.
이 사이트는 대만의 중앙연구원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중국25사와 13경의 무료검색사이트인데 매우 활용할 만한 사이트입니다.
고조선의 인접문화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홍산문화를 알고 싶을 때는
http://daangoon.pe.kr/ham2.htm
이 사이트는 사진자료등이 풍부합니다.
***재야 사서 찾아보기***
그 외 고조선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지만 그 진위에 대한 논란이 여전한 책으로
규원사화,
환단고기,
부도지,
단기고사,
등의 재야사서가 있으며 이런 자료들은
http://www.khaan.net/menu.html
http://www.dlibrary.go.kr
http://www.coo2.net
등에서 자료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출처 : 눈에 보이는 것이 다 진실은 아니다,
글쓴이 : sadko 원글보기
메모 :
'놀라운 공부 > 우리역사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달국 나라 이름 뜻 (0) | 2007.01.08 |
---|---|
[스크랩] 설과 서 삼신신앙 흔적 (0) | 2007.01.08 |
[스크랩] 중국(中國)은 없다! (0) | 2007.01.08 |
[스크랩] 상고시대 역사를 바꾼 4명의 여인 (0) | 2007.01.08 |
[스크랩] 당신은 우리 문화의 혼과 역사의 국통맥을 아십니까? (0) | 200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