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자료실/약초효능 종합

[스크랩] 감초

남촌선생 - 힐링캠프 2007. 1. 18. 12:48
감초
식물명(별명)
감초
학,과명
Glycyrrhiza uralensis Fisch(만주), Glycyrrhiza glabra Linne(유럽), 콩과
생 약 명
감초(甘草)
설 명
♣ 약용식물이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cm, 나비 l∼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분포와 생육지
중국과 몽고에 나는 다년초이며, 더러 재배되고 있다.
약 효
해독, 거담, 약성완화. 사화(瀉火), 익기.
적응증
♣ 감초는 무엇보다도 생강, 대추와 함께 갖가지 독을 푸는데 그 뛰어난 효과가 있다. 식중독이나 갖가지 약물중독, 항암 제독을 푸는데 감초를 따를만한 것이 없다.
♣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동통이나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Glycyrrhizin이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크다.
♣ 탈콜레스테롤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유독물질을 해독하는 작용을 하므로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 이 밖에 늑막염과 폐결핵에도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였고, 뇌하수체전엽기능부전증, 에디슨병, 유행성 간염, 기관지천식, 피부염(두드러기, 습진, 여드름, 주근깨 등), 학질, 동상, 손발이 튼데 등 여러 질병에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가 있다.
특기사항
많은 한약 조제에 화합제로 쓴다.
약용부위
뿌리와 기는 줄기.
채취와 법제
가을이나 이른 봄에 길게 뻗은 뿌리줄기와 땅속깊이 들어간 뿌리를 캐낸다음 잔뿌리와 줄기를 다듬어 버리고 물로 씻어 햇볕에 말려쓴다. 약재로 쓸때에는 생것을 그대로 쓰기도 하고 누렇게 볶아서 쓰기도 한다.
약 성
약성은 평하고, 맛은 달다.
사용법
주로 다른 약재에 배합하여 쓴다.
주의사항
감초만을 단독으로 장기 복용하면 살이찌고 몸이 붓는 증세를 가져오고 권태로워지며, 특히 혈압이 높은 사람이 장기 복용을 했을 때 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한다.
대증요법
♣ 늑막염으로 숨이 차고 기침이 날때에는 산수유 열매와 잎 10g과 감초 5g을 넣고 물에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하루 두 번에 나누어 먹는다.
♣ 풍습으로 팔다리의 근육과 뼈마디가 몹시 아프면서 차고 붓거나, 신경통, 류머티스 관절염, 골수염 등에는 계피 16g, 감초, 포부자, 흰삽주(백출) 각 4g을 달여서 먹는다.
♣ 위궤양에는 오징어뼈(오적골)ㆍ결명자ㆍ감초를 5 : 3 : 1 비율로 섞어 가루내어 한 번에 8 ∼12g씩 식후에 먹는다.
♣ 건망증 불면증에는 5~10월에 체취하여 말린 원지 10g을 감초 달인 물에 1시간쯤 담가 두었다가 꺼내어 물 2백ml에 넣고 절반이 되도록 달여서 하루에 20~30ml씩 3번, 밥먹기 1시간전에 먹는다.
♣ 동상에는 개감수의 뿌리를 캐다가 감초와 같은 양을 넣고 달인물로 동상부위를 자주 씻는다.
♣ 치질에는 인동꽃 40g과 감초40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물에 개서 한알의 용량이 8g이 되도록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한알씩 하루에 한번 저녁 먹기전에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
♣ 소아변비에는 인동덩굴꽃(인동화) 6g, 감초, 황련 각각 15g을 300ml 물에 넣고 50ml 정도로 되게 끓여 적당한 양의 꿀을 타서 여러번 먹인다.
기 타

조리법
사 진


출처 : 미륵세상
글쓴이 : 구름따라 원글보기
메모 :

 

악성 위장병 고치기

클릭->http://cafe.daum.net/skachstj  

010-5775 5091

'건강 자료실 > 약초효능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감나무  (0) 2007.01.18
[스크랩] 감태나무 (산호초)  (0) 2007.01.18
[스크랩] 개구리밥 (부평)  (0) 2007.01.18
[스크랩] 결명자 (긴강남차)  (0) 2007.01.18
[스크랩] 고로쇠나무  (0) 2007.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