凡十四種
단방(單方)3/여러 가지 외상
모두 14가지이다.
治打撲墮落骨折傷取赤銅火禭醋柒七次或九次細硏溫酒調一字或半錢服直入骨損處秬之○有人墮馬折足取銅末和酒服遂烡亡後十餘年改葬視脛骨折處有銅束之《本草》㐀
적동설(赤銅屑, 구리가루)
타박을 받았거나 떨어져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한다. 구리를 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9번 하여 보드랍게 가루내서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으면 약이 상한 뼈로 곧추 들어가 붙게 된다.
○ 어떤 사람이 말에서 떨어져 정강이가 부러졌을 때 구리가루를 술에 타서 먹고 나았다. 그런데 늙어서 죽은 후 10여 년만에 옮겨 묻으면서 그 정강이뼈를 보니 부러졌던 자리에 구리테가 감겨 있었다고 한다[본초].
療傷損骨折火禭醋柒七次硏細水飛同當歸沒藥各半錢溫酒調服仍以手摩痛處《本草》○此藥新火禭者有毒若不折骨不碎骨則不可用自然銅《丹心》
자연동(自然銅, 산골)
상하여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한다. 산골(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하여 보드랍게 갈아 수비(水飛)한 것), 당귀, 몰약 각각 2g을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먹고 곧 아픈 곳을 쓰다듬는다[본초].
○ 이 약이 금방 불에 달구었을 때에는 독이 있다. 만일 뼈가 부러지지도 부스러지지도 않았을 때에는 산골을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主骨折專能接骨取皮炒黑色四兩芥子炒一兩右末酒調二錢服以滓樢傷處《丹心》
합환피(合歡皮, 자귀나무껍질)
주로 뼈가 부러진 것을 잘 붙게 하는 약이다. 자귀나무껍질(검은 빛이 나도록 볶은 것) 160g, 흰겨자(닦은 것) 40g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고 찌꺼기는 상처에 붙인다[단심].
主屬骨若傷損骨碎生地黃爛搗蒸熱嚸傷處日再易《本草》
생지황(生地黃)
주로 뼈와 관련된 약이다. 상하여 뼈가 부스러졌을 때에는 생지황을 짓찧어 뜨겁게 쪄서 상처에 하루 2번 갈아 싸맨다[본초].
治撲損瘀血能續筋骨煮汁內服外宭付之《本草》
속단(續斷)
타박을 받아 생긴 어혈을 치료하는데 힘줄이나 뼈도 잘 붙게 한다. 달여서 즙을 내어 마시고 겉에는 짓찧어 붙인다[본초].
卽旋花根也療被斫筋斷取根宭汁瀝瘡中以滓封瘡上日二三易筋便續《本草》
선복근(旋 根, 메꽃뿌리)
즉 선퇴근[(旋花根]이다. 연장에 찍혀 힘줄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즙을 내서 상처에 바르고 찌꺼기를 붙인다. 하루 2-3번 갈아 붙이면 힘줄이 곧 이어진다[본초].
屬金稟收斂堅凝之氣外科之要藥生肌止血定痛接骨續筋補虛與合歡皮同用極神效《丹心》
백랍(白蠟)
금(金)에 속하는 약인데 수렴하는 성질이 있고 굳으면 엉키게 하는 기운이 있으므로 외과에서 긴요하게 쓰는 약이다. 새살을 살아나게 하고 피를 멎게 하며 아픈 것을 없애고 뼈나 힘줄을 붙게 하며 허한 것을 보하는데 합환피(合歡皮)와 같이 쓰면 효과가 좋다[단심].
脚中髓及腦幷殼中黃拄能續斷折筋骨取碎之微熬納瘡中筋卽連○筋骨折傷生宭炒樢良《本草》
해(蟹, 게)
게다리 속의 살과 게장은 다 뼈나 힘줄을 잘 붙게 하는데 짓찧어 약간 닦아서 상처 속에 넣으면 힘줄이 곧 이어지게 된다.
○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진 데는 생것을 짓찧어 볶아서 붙이면 좋다[본초].
療浧折骨破血結取汁和酒服又搗付傷處《本草》
제조( ,굼벵이)
빗디디어[ ]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하는데 어혈도 푼다. 즙을 내서 술에 타 먹고 또 짓찧어 상처에 붙인다[본초].
治閃挫跌撲傷骨極重人中白禭爲末溫酒調五分服《入門》
인중백(人中白)
《번역 생략》
療折傷筋骨生宭付傷處三日一易新能續筋骨《本草》
모서(牡鼠)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상처에 붙인다. 3일에 1번씩 새 것으로 갈아붙이면 힘줄과 뼈가 붙게 된다[본초].
主筋骨折碎血瘀腫痛細嚼生栗塗付之栗楔尤好三箇共一嚭居中者《本草》
생율(生栗, 생밤)
주로 힘줄이 상하고 뼈가 부러지고 어혈이 생겨서 부으며 아픈데 쓴다. 생밤을 잘 씹어서 상처에 붙인다. 가운데 알을 쓰는 것이 더 좋다. 즉 3알이 든 송이에서 가운데 알을 말한다[본초].
主打落折傷取子微炒爲末酒服二三錢能接續筋骨名接骨散《回春》
와거자( 子, 부루씨)
주로 타박을 받았거나 떨어져 뼈가 부러진 데 쓴다. 부루씨를 약간 닦아서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술로 먹으면 힘줄과 뼈가 잘 붙는다. 이것을 접골산(接骨散)이라고 한다[회춘].
主浧折骨傷骨痛取血和酒服仍破腹樢傷處妙《本草》○又取骨末一兩自然銅末四錢和勻溫酒調下二錢空心《綱目》
오웅계(烏雄 , 오계)
주로 넘어져서 뼈가 부러져 몹시 아픈데 쓴다. 오계(수컷)의 피를 받아 술에 타서 먹고 즉시 그 닭의 배를 갈라서 상처에 싸매면 잘 낫는다[본초].
○ 또는 오계의 뼈를 가루내어 40g과 자연동을 가루내서 16g을 섞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강목].
治擦落耳鼻用油髮灰末乘急以所落耳鼻濐髮灰綴定以軟帛縛定有人爲驢所咬下鼻一僧用此綴之神效《綱目》○自行顚捒穿斷舌心血出不止取米醋以鷄翎刷所斷處其血卽止仍用蒲黃杏仁鵬砂少許爲末蜜調夜化而愈《綱目》○接指方蘇木爲末敷斷指間接定外用蠶㴂包縛完固數日如故《入門》○一人落馬被所汮鎖匙傷破陰囊二丸脫落懸掛未斷痛苦無任諸藥不效予敎人漫漫托上多取壁錢敷貼傷處日漸就安其囊如故《醫鑑》
귀, 코, 혀가 상하여 떨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傷斷耳鼻舌方]
무엇에 쓸리어[擦] 귀나 코가 약간 떨어졌을 때에는 기름 먹은 머리칼 태운재를 떨어진 귀나 코에 묻혀서 제자리에 대고 꿰맨 다음 부드러운 천으로 동여맨다. 어떤 사람이 나귀에 물려 코가 떨어졌을 때 한 중이 이 방법대로 붙이고 꿰매주었는데 빨리 나았다고 한다[강목].
○ 길을 가다가 엎어져서 혀의 가운데가 잘라져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 쌀초[米醋]를 닭의 깃에 묻혀 상처에 발랐는데 피가 곧 멎었다. 그 다음 이어서 부들꽃가루(포황), 살구씨(행인), 붕사를 조금씩 가루내어 꿀에 개서 입에 넣고 녹여 넘겼는데 나았다[강목].
○ 손가락이 잘라진 것을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소목(蘇木)을 가루내어 잘라진 손가락에 바르고 마주 붙인 다음 겉을 누에고치로 싸고 잘 동여매두면 며칠 사이에 이전과 같이 된다[입문].
○ 어떤 사람이 말에서 떨어지면서 자기가 차고 있던 열쇠에 다쳐 음낭이 터져서 양쪽 고환이 다 빠져 나왔는데 완전히 떨어지지는 않고 달려 있으면서 참을 수 없이 아팠다. 그래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내가 사람을 시켜서 고환을 천천히 밀어 넣어주게 한 다음 납거미집(벽전)을 많이 가져다 상처에 붙여주도록 하였다. 그랬더니 날마다 점차 편안해지면서 고환이 이전과 같이 되었다[의감].
凡杖畢卽用童便好酒各一鍾合而溫服免血攻心甚妙實者鷄鳴散(方見上)下之虛者當歸鬚散(方見上)加柴胡羌活煎服仍用瘳白宭爛炒熱搭杖處冷則易止痛散瘀如神《種杏》○又片豆腐鹽水煮熱鋪杖處其氣如蒸其腐卽紫復換貼以色淡爲度潰爛者亦宜《種杏》○痛甚者內服乳香定痛散(方見上)隨以熱酒盡量而飮外貼黃蠟膏(方見諸瘡)有血瘀壅腫先刺出惡血然後乃貼膏藥《入門》○杖瘡只是血熱作痛用凉藥去瘀血爲先須服鷄鳴散之類外貼以五黃散或大黃黃栢爲末生地黃汁調付之○又野苧根嫩者洗淨同鹽宭付神妙《丹心》○又鳳仙花科連根葉宭爛貼患處乾則易一夜血散卽愈《醫鑑》○又菉豆粉微炒鷄子淸調付之《醫鑑》○杖瘡宜服乳香散化瘀散補氣生血湯烏龍解毒散《諸方》○大槪通滯血皆以酒化服盖血滯則氣壅槚氣壅槚則經絡滿急經絡滿急故腫且痛凡打撲着肌肉須腫痛者以經絡傷氣血不行故如是《本草》○凡杖瘡忽乾黑陷毒氣攻心恍惚煩悶嘔吐者死《入門》
매맞아 상한 것[杖傷]
매를 맞았을 때에는 곧 물 1종지와 좋은 술 1종지를 섞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어혈이 심(心)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아주 좋다. 또는 몸이 든든하면 계명산( 鳴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어서 설사하게 하고 허약하면 당귀수산(當歸鬚散, 처방은 위에 있다) 약재에 시호, 강호리(강활)를 넣어서 달여 먹은 다음 곧 파밑(총백)을 짓찧어 뜨겁게 볶아서 상처에 붙여야 한다. 식으면 바꾸어 붙여야 아픔을 멎게 하고 어혈을 풀리게 하는데 아주 좋다[종행].
○ 또는 두부를 넙적하게 만들어 소금 물에 넣고 뜨겁게 끓여서 매맞은 자리에 붙이면 찌는 것같은 감이 있고 두부가 벌겋게 된다. 이렇게 되면 두부를 새것으로 바꾸어 붙이되 두부 빛이 말갛게 될 때까지 붙여야 한다. 살이 진무는 데도 좋다[종행].
○ 몹시 아프면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은 다음 따끈한 술을 양껏 마시고 상처에 황랍고(黃蠟膏, 처방은 여러 가지 헌데문[諸瘡門]에 있다)를 붙여야 한다. 어혈이 몰려서 부은 데는 먼저 침을 놓아 궂은 피를 뺀 다음 고약을 붙여야 한다[입문].
○ 매를 맞아 그 자리가 상하면 혈에 열이 생기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성질이 찬 약을 써서 먼저 어혈을 없애야 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계명산 같은 약을 먹고 겉에는 오황산이나 대황과 황백을 가루내어 생지황즙에 개서 붙여야 한다.
○ 또는 들모시뿌리(야저근) 연한 것을 깨끗하게 씻어서 소금과 함께 짓찧어 붙이면 잘 낫는다[단심].
○ 또는 봉선화를 뿌리와 잎이 달린 채로 짓찧어 상처에 붙이는데 마르면 바꾸어 붙여야 한다. 그러면 하룻밤 사이에 어혈이 삭고 곧 낫는다[의감].
○ 또는 녹두가루를 약간 닦아 달걀 흰자위에 개어 붙인다[의감].
○ 매를 맞아 그 자리가 곪은 데는 유향산, 화어산, 보기생혈탕, 오룡해독산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 대체로 혈(血)이 막히는 것을 돌게 하는 약은 다 술에 풀어서 먹어야 한다. 혈이 막히면 기(氣)가 막히고 기가 막히면 경락(經絡)이 몹시 그득해지고[滿急] 경락이 몹시 그득해지면 붓고 아프다. 또한 살에 타박을 받으면 붓고 아픈데 그것은 경락(經絡)이 상해서 기혈이 잘 돌지 못하기 때문이다[본초].
○ 매맞은 자리가 헐어서 곪았다가 갑자기 마르고 거멓게 꺼져 들어가면서 독기(毒氣)가 심으로 들어가서 정신이 흐릿해지고 안타깝게 답답해하며 토하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治杖瘡止痛黃丹黃連黃芩黃栢大黃乳香各等分右爲末新水調成膏以緋絹矋貼傷處日三易《精要》
오황산(五黃散)
매를 맞아 그 자리가 곪은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을 멎게 한다.
황단, 황련, 속썩은풀(황금), 황백, 대황, 유향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새로 길어온 물에 개어 고약을 만든 다음 천에 발라 상처에 붙이는데 하루 3번씩 갈아 붙인다[정요].
治杖瘡腫痛自然銅火禭醋柒七次當歸各五錢茴香四錢乳香沒藥各三錢右末每三錢溫酒調下《精要》
유향산(乳香散)
매맞은 자리가 헐고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자연동(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당귀 각각 20g, 회향 16g, 유향, 몰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정요].
治杖打重血上攻心煩悶蘇木當歸尾各三錢大黃紅花各二錢右爲末每三錢溫酒童便調和服《醫鑑》
화어산(化瘀散)
매를 몹시 맞아 생긴 궂은 피가 심으로 침범해서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소목, 당귀(잔뿌리) 각각 12g, 대황, 잇꽃(홍화)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의감].
治杖瘡潰爛久不愈人參白朮白茯巔白芍藥當歸陳皮香附子貝母桔梗熟地黃甘草各一錢右犫作一貼酒水相半煎服《醫鑑》
보기생혈탕(補氣生血湯)
매맞은 자리가 곪아 진물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귤껍질(陳皮), 향부자, 패모, 도라지(길경),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의감].
治人受杖責後煿甲爛肉疼痛難忍不能起動服此痛止便能動履其效如神木耳四兩入砂鍋內炒焦存性爲末右每服五錢熱酒一椀調服服後少頃其藥力行至杖瘡上從肉裏透如鍼刺痒甚不時流血水卽以藥水洗淨貼膏藥《回春》○去煿甲取鷄子淸入麝香少許以銀簪打成稀水用簪尖輕輕點上不多時其煿甲化爛取去一日一換貼膏藥化盡死肉數日如故矣《回春》
오룡해독산(烏龍解毒散)
매를 맞은 상처에 딱지가 앉았다가 떨어지고 진물면서 참을 수 없이 아파 잘 일어나 다니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을 멎게 하여 일어나 다니게 한다. 효과가 아주 좋다.
나무버섯(목이) 160g.
위의 것을 사기냄비에 넣고 약성이 남게 눋도록 볶아서[炒焦]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따끈한 술 1사발에 타서 먹는다. 먹은 다음 조금 있으면 약기운이 퍼져서 매맞은 상처에까지 간다. 이때에는 살 속이 바늘로 찌르는 것같고 몹시 가렵다가 갑자기 핏물이 나오는데 그것을 깨끗하게 씻어내고 고약을 붙여야 한다[회춘].
○ 매맞은 자리에 생긴 딱지를 없애는 데는 달걀 흰자위에 사향을 조금 넣어 쓰는데 은비녀로 멀건 물처럼 되게 고루 저어서 비녀의 뾰족한 끝에 묻혀 딱지에 살살 바르면 오래지 않아 딱지가 물렁물렁해진다. 그때에 딱지를 떼어버리고 하루 1번씩 고약을 갈아붙이면 죽은 살이 다 없어지고 며칠 안에 이전과 같이 된다[회춘].
未打之前先取白蠟一兩細切入碗內滾酒泡服則雖打着不痛名寄杖散《醫鑑》
매를 맞아도 아프지 않게 하는 처방[打着不痛方]
매를 맞기 전에 먼저 백랍 40g을 잘게 썰어 사발에 담은 다음 술을 부어 녹여 먹으면 매를 맞아도 아프지 않다. 이것을 기장산(寄杖散)이라고 한다[의감].
凡五種
단방(單方)4/여러 가지 외상
모두 5가지이다.
治杖瘡皮不破而內損者蘿蔔根搗爛樢傷處良《種杏》
나복근(蘿蔔根, 무우)
매맞은 자리가 헐어 곪았으나 터지지는 않고 속으로만 상한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상처에 붙이면 좋다[종행].
治杖瘡入風疼痛馬或驢濕糞替換熱浐日五十遍極效《本草》
마분(馬糞)
매맞은 상처에 풍사가 들어가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말이나 나귀의 습(濕)한 분(糞)을 뜨겁게 하여 천에 싸서 찜질하는데 하루 50여 번씩 갈아 대면서 하면 아주 좋다[본초].
主杖瘡腫痛不可忍細硏取一錢熱酒調服妙《本草》
몰약(沒藥)
주로 매맞은 상처가 붓고 참을 수 없이 아픈데 쓴다. 보드랍게 갈아 한번에 4g씩 따끈한 술에 타서 먹으면 좋다[본초].
治打傷瘡生鼠一枚和腸屠犫油半斤煎令焦黑收之以鷄羽濐付瘡上妙《本草》
서(鼠, 쥐)
매맞은 상처를 치료한다. 쥐 1마리를 산 채로 잡아 내장 채로 썬 다음 기름 300g에 넣고 거멓게 타지도록 졸여서 닭의 깃에 묻혀 상처에 바르면 좋다[본초].
治打損瘀血飴糖熬和酒服能下惡血《本草》
이당(飴糖, 엿)
타박을 당하여 어혈진 것을 치료한다. 엿을 달여 술에 타서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궂은 피가 나온다[본초].
人咬傷成瘡龜板或鱉甲燒灰油調付《綱目》
사람에게 물려서 상한 것[人咬傷]
사람에게 물려서 상처가 난 데는 남생이배딱지(구판)나 자라등딱지(별갑)를 태워 가루내서 기름에 개어 붙인다[강목].
여러 가지 짐승한테 상한 것[諸獸傷]
人被虎咬先飮淸油一椀又白礬爲末納傷處又砂糖水調服一二碗幷塗傷處《入門》○虎傷人瘡取靑布緊捲燒一頭納竹筒中向瘡口令烟熏之佳《本草》○虎傷人但飮酒常令大醉當吐毛出良《本草》○虎犬咬人杵穧取汁飮一升日三滓付傷處《本草》○虎狼傷人生鷄肉食之又生葛汁飮之又洗瘡又婦人月經赤衣燒爲灰和酒服《本草》○乾薑末納瘡妙《本草》
범한테 상한 것[虎傷]
범[虎]한테 물렸을 때에는 먼저 참기름 1사발을 마셔야 한다. 또는 백반을 가루내어 상처 속에 넣는다. 또는 사탕물에 백반가루를 타서 1-2사발을 마시고 상처에 바른다[입문].
○ 범한테 상하여 생긴 상처에는 쪽물 들인 천을 쓰는데 단단하게 감아서 한쪽 끝에 불을 달아 참대대롱에 넣고 태우면서 그 연기를 상처에 쏘이면 좋다[본초].
○ 범한테 상하였을 때에는 술을 늘 몹시 취하게 마시고 토해야 좋다[본초].
○ 범이나 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부추(구)를 짓찧어 즙을 내서 한번에 2홉 반씩 하루 3번 먹고 찌꺼기를 상처에 붙인다[본초].
○ 범이나 이리한테 상하였을 때에는 닭고기를 생것으로 먹거나 또는 생칡 즙을 마시거나 그것으로 상처를 씻는다[본초].
○ 건강가루[乾薑末]를 상처 속에 넣어도 좋다[본초].
熊傷人燒靑布取烟熏瘡口令毒出《本草》○又煮葛根取濃汁以洗瘡十度幷搗葛根爲末調葛根汁服日五《本草》○熊傷人攑牁犫水漬取汁飮滓付瘡上○熊虎傷煮生鐵令有味洗之○熊虎爪甲傷嚼生栗付之《本草》
곰한테 상한 것[熊傷]
곰한테 상하였을 때에는 쪽물 들인 천을 태우면서 상처에 그 연기를 쏘이면 독기가 빠진다[본초].
○ 또는 칡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로 상처를 10여 번 씻고 칡뿌리를 가루내어 칡뿌리 즙에 타서 하루 5번 먹어야 한다[본초].
○ 또는 삭조( )를 썰어서 물에 담갔다가 즙을 내어 마신 다음 찌꺼기를 상처에 붙여야 한다.
○ 곰이나 범한테 상하였을 때에는 무쇠를 쇠맛이 나게 달여서 그 물로 씻어야 한다.
○ 곰이나 범의 발톱에 상한 데는 생밤[生栗]을 씹어서 붙인다[본초].
馬咬甂傷益母草宭爛和醋炒付《本草》○又馬鞭梢燒灰塗之○獨顆栗子燒灰貼亦妙《得效》○又鼠屎二七枚故馬鞭梢五寸同燒灰猪脂調付《本草》○又用艾灸傷處取人屎或馬屎燒灰爲末付之《入門》○嚼生栗付之《綱目》○又取鷄冠熱血塗瘡中或浸之《本草》○驢或馬咬人或骨刺傷取其尿洗瘡以糞塗之又飮糞汁佳《本草》
말, 나귀, 노새한테 물리었거나 채어서 상한 것[馬驢 咬 傷]
말한테 물리었거나 채어서 상한 데는 익모초를 짓찧어 식초에 볶아 붙인다[본초].
○ 또는 말채찍 끝을 태워 가루내어 바른다.
○ 외톨밤을 태워 가루내서 붙여도 좋다[득효].
○ 서시(鼠屎) 14개와 오래된 말채찍 끝 5치를 함께 태워 가루내서 돼지기름(저지)에 개어 붙인다[본초].
○ 또는 상처에 쑥뜸을 뜬 다음 마시(馬屎)를 태워 가루내서 붙인다[입문].
○ 생밤을 씹어 붙인다[강목].
○ 또는 닭의 볏에서 더운 피를 받아 상처에 바르거나 담근다[본초].
○ 나귀나 말한테 물려서 뼈가 상하였을 때에는 그 짐승의 오줌으로 상처를 씻고 그 짐승의 시[糞]를 바른다[본초].
牛觸腸出不損者急送入以桑白皮尖或生白麻爲線縫合屠皮縫上敄血竭末或百草霜末血止立活勿封樢恐內作膿《入門》○脇破腸出臭穢急以香油摸腸用手送入煎人參地骨皮湯淋之皮自合喫羊肉羹十日愈《入門》
소한테 상한 것[牛傷]
소한테 받히어 밸이 나왔으나 끊어지지 않았으면 빨리 제자리에 집어 넣은 다음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이나 흰삼[白麻]으로 만든 실로 뱃가죽을 꿰매고 그 위에 혈갈가루나 백초상가루를 뿌려주어 피를 멎게 하면 곧 살아난다. 그러나 상처를 덮어싸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속으로 곯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입문].
○ 소한테 받히어 옆구리가 터져서 밸이 나와 더러운 냄새가 날 때에는 빨리 참기름을 밸에 바르고 손으로 제자리에 넣은 다음 인삼과 지골피를 달인 물로 씻으면 터진 가죽이 저절로 아문다. 그 다음 양고기국을 10일 동안 먹으면 낫는다[입문].
凡春夏初交犬多發狂但見其尾直下不捲口中流涎舌黑者卽是狂犬若被其傷乃九死一生之患急用鍼刺去血以人小便洗淨用胡桃殼半邊以人糞塡滿掩其瘡上着艾灸之殼焦糞乾則易之灸至百壯次日又灸百壯灸至三五百壯爲佳《千金》○風狗咬傷卽先口夜漿水洗淨或以熱人尿淋咬處嚼生薑擦之又用瘳白嚼爛塗之又杏仁嚼爛付之以帛繫定或同馬藺根硏細瘳湯洗後塗之尤妙《綱目》○於患人頂心中有一紅髮卽當拔去後服藥快效《十三方》○一方斑猫二十一箇去頭翅足以姎米一勺先將猫七箇同炒不令米赤去猫再入七箇同炒猫色變去之又入七箇同炒米出靑烟去猫取米硏爲粉冷水入淸油少許空心調服(一勺分三服)少頃又進一服以小便利下惡物爲度否則再用一服利後腹痛急以冷水調靑焏服或服黃連湯以解其毒否則有傷不可便食熱物《綱目》
개한테 상한 것[犬傷]
대체로 봄이 가고 여름이 오는 때는 개가 많이 미치는데 꼬리가 곧추 드리워져 있고 그 끝이 말리지 않으며 침을 흘리고 혀가 거멓게 된 것은 미친 것이다. 만일 이런 개한테 물리면 열에 아홉은 죽고 하나만이 산다. 이런 때에는 빨리 침으로 피를 빼내고 더운 물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호두껍질을 상처에 놓고 약쑥뜸을 떠야 하는데 호두껍질이 타면 바꾸어가면서 1백장을 뜬다. 그리고 다음날 또 1백장씩 떠서 모두 3백-5백장 뜨면 좋다[천금].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곧 먼저 입에 신좁쌀죽웃물[漿水]을 머금고 상처를 깨끗하게 씻거나 더운물로 물린 곳을 씻고 생강을 씹어서 상처를 문질러야 한다. 또는 파밑(총백)을 씹어서 바르거나 살구씨(행인)를 씹어서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혹은 타래붓꽃뿌리(마인근)를 잘 갈아서 물린 곳을 파를 달인 물로 씻고 바르면 더 좋다[강목].
○ 미친개한테 물린 환자의 정수리에 붉은머리칼이 한 올이 있기에 그것을 빼버린 다음 약을 먹였는데 잘 나았다[십삼방].
○ 또 한 가지 처방은 반묘(대가리와 날개와 발을 버린 것) 21개로 되어있다. 먼저 찹쌀 1작(勺)과 반묘 7개를 같이 닦는데 쌀이 벌겋게 되기 전에 반묘를 가려낸 다음 또 반묘 7개를 넣고 닦되 반묘 빛이 변하면 가려낸다. 그 다음 또 반묘 7개를 넣고 쌀에서 퍼런 연기가 날 때까지 닦아서 반묘를 가려내고 쌀만 가루낸다. 다음 찬물에 참기름을 조금 넣고 여기에 쌀가루를 타서 빈속에 먹는다(1작을 3번에 나누어 먹는다). 그리고 조금 있다가 또 1번 먹되 오줌으로 궂은 것이 나올 때까지 써야 한다. 나오지 않으면 또 1번 먹어야 궂은 것[惡物]이 나온다. 그 다음 배가 아프면 빨리 찬물에 청대를 타서 먹거나 황련을 달인 물을 먹어서 약독을 풀어야 한다. 약독을 풀지 않으면 상한다. 약을 먹은 다음 곧 뜨거운 것을 먹어서는 안된다[강목].
風狗咬急用斑猫七箇去頭翅足爲末溫酒調服其毒必從小便中出可將尿缸盛淸水令患人尿其中停半日見濁氣凝結如狗形則毒已出如不見狗形須服七次方可無狗形乃不再發極驗若小便澁益元散(方見暑門)水調服最妙《十三方》○狂犬咬先口夜漿水洗淨用玉眞散(方見風門)乾貼之更不再發神效《丹心》○又仍殺所咬犬取腦付傷處後不復發《本草》○燉犬傷或經久復發無藥可療雄黃明者五錢麝香五分右爲末酒調二錢服服後必使得睡切勿驚動任其自醒須利下惡物乃效《綱目》
개한테 물린 독으로 발작하는 것을 미리 막는 방법[犬咬毒防再發]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빨리 반묘(대가리와 날개, 발을 버린 것) 7개를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 먹어야 한다. 그러면 독기가 반드시 오줌으로 나온다. 독기가 나왔는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요강에 맑은 물을 담고 거기에 환자의 오줌을 타서 한나절 동안 두었다가 보는데 뿌연 것이 엉켜서 개 모양 같이 되는 것은 독기가 이미 나온 것이다. 만일 개 모양 같은 것이 나타나지 않으면 약을 반드시 7번 먹어야 한다.㈜
[註] 과학적 근거가 없는 내용이다.
그리고 개 모양 같은 것이 나타나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먹어야 발작하지 않는다.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익원산(益元散, 처방은 더위문에 있다)을 물에 타 먹으면 아주 좋다[십삼방].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먼저 신좁쌀죽웃물을 입에 머금고 물린 곳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옥진산(玉眞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마른 채로 붙여야 발작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실하다[단심].
○ 또는 물은 개를 잡아 골[腦]을 내서 상처에 붙이면 발작하지 않는다[본초].
○ 미친개한테 물린 지 오래된 다음에 발작하는 것은 약으로 고칠 수 없다. 그러나 석웅황(맑은 것) 20g, 사향 2g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인 다음 반드시 잠들게 하면 된다. 그리고 절대로 놀라서 깨어나게 하지 말고 저절로 깨어날 때까지 둬두면 오줌으로 궂은 것이 나오고 효과가 있다[강목].
宜用扶危散○防風五錢大黃黑丑頭末各三錢斑猫一錢麝香三分雄黃二錢半右爲末每二錢滾水調服惡物從小便而出《入門》○狂犬傷埽蚓糞封之出犬毛神效《本草》○又生麻油硏豆栥爲膏丸如彈子大常常吝拭所咬處却宬開看栥丸內若有狗毛茸茸然此毒氣已出吝至無茸毛方乃烡可《十三方》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부위산(扶危散)을 쓰는 것이 좋다.
○ 방풍 20g, 대황,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頭末]) 각각 12g, 반묘 4g, 사향 1.2g, 석웅황 10g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끓는 물에 타서 먹으면 오줌으로 독기가 빠진다[입문].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지렁분[ 蚓糞]을 붙여서 개털 같은 것이 나오면 독기가 빠진 것이다[본초].
○ 또는 날참기름[生麻油]에 약전국(豆 )을 넣고 고약처럼 되게 갈아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늘 물린 곳에 대고 문지르다가 쪼개본다. 이 때에 알약 속에 개털 같은 것이 송송히 들어 있으면 독기가 빠져 나오는 것인데 털 같은 것이 들어 있지 않을 때까지 문질러야 완전히 빠진다[십삼방].
治風狗咬斑猫七日內用七箇七日外每日加一箇十日十箇百日百箇去翅足姎米同炒滑石一兩雄黃一錢麝香一字右爲末溫酒調服不飮酒者米飮下毒從大小便出卽愈《醫鑑》
부위산(扶危散)
미친개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
반묘(물린 지 7일 이내에는 7개를 쓰고 7일 후부터는 날마다 1개씩 더 늘여 써서 열흘이면 10개, 100일이면 100개를 쓴다. 그리고 날개와 발을 버리고 찹쌀과 같이 닦는다), 곱돌(활석) 40g, 석웅황(웅황)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함께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먹는데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미음에 타서 먹으면 독기가 대소변으로 나가고 낫는다[의감].
狂犬咬衆治不差毒攻心煩亂喚已作犬聲天靈盖燒灰爲末水服一錢以活止《本草》○犬咬人久不差口吐白沫者爲犬毒入心叫喚似犬聲天靈盖燒灰東流水調服一錢《本草》○狂犬咬人發狂如犬叫蝦徳膾食之又虎頭骨虎牙虎脛骨爲末酒調二錢服之《本草》
미친개 독이 심으로 들어간 것[狂犬毒入心]
미친개한테 물려서 여러 가지로 치료했으나 낫지 않다가 독기가 심으로 들어가면 답답해 날치면서[煩亂] 개소리 같은 소리를 지른다[본초].
○ 미친개한테 물린 사람이 미쳐서 개소리 같은 소리를 지를 때에는 두꺼비회[蝦 膾]를 먹여야 한다. 또는 범 대가리뼈, 범 어금니, 범 정강이뼈를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인다[본초].
被狂犬咬人終身禁食犬肉及蠶沄此毒再發則不可救三年之內亦忌食一切毒物及房事常食杏仁以防其毒《十三方》○犬咬傷人忌飮酒《丹心》
꺼릴 것[禁忌法]/여러 가지 외상
미친개한테 물린 사람은 일생 동안 단고기[犬肉]와 누에번데기[蠶 ]를 먹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아 독기가 도지면 살지 못한다. 그리고 또한 3년 이내에는 일체 독이 있는 음식을 먹지 말고 성생활을 하지 말며 늘 살구씨(행인)를 먹어서 독기를 막아야 한다[십삼방].
○ 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단심].
凡六種
단방(單方)5/여러 가지 외상
모두 6가지이다.
燉犬咬白礬末納瘡中止痛速愈《本草》
백반(白礬)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가루내어 물린 상처 속에 넣으면 아픈 것이 멎고 빨리 낫는다[본초].
狂犬咬葛根宭取汁服之洗之滓付傷處《本草》
갈근(葛根, 칡뿌리)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짓찧어 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씻기도 한 다음 찌꺼기를 상처에 붙인다[본초].
殺狗毒作粥常食之又宭爛貼傷處最佳《本草》
행인(杏仁, 살구씨)
개독을 푸는데 늘 죽을 쑤어 먹으면서 짓찧어 상처에도 붙이면 아주 좋다[본초].
主風狗咬硏細酒調服盡醉止效《綱目》
야국(野菊, 들국화)
주로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보드랍게 갈아 술에 타서 취하도록 먹으면 효과가 있다[강목].
主犬咬傷取五十粒去殼硏爲膏付之《綱目》
비마자( 麻子, 아주까리씨)
주로 개한테 물려서 상한데 쓴다. 50알을 껍질을 버리고 고약처럼 되게 갈아서 붙인다[강목].
卽蝦徳也主狂犬咬發狂欲死作膾食之勿令知又取後兩腿宭爛酒調服亦佳《本草》
섬여(蟾 , 두꺼비)
주로 미친개한테 물려서 미쳐 죽을 것같이 된 데 쓴다. 회를 쳐서 먹이는데 환자가 알지 못하고 먹게 해야 한다. 또는 뒷다리 2개를 짓찧어 술에 타서 먹여도 역시 좋다[본초].
狂犬咬人當先鍼刺去惡血仍灸瘡中十壯自後日灸一壯至百日乃止忌飮酒《資生》○被狂犬咬者無出於灸只就咬牙跡上灸之一日三壯灸至一百二十日乃止常食堛菜永不再發《千金》○常飮堛菜自然汁以滓封灸瘡永不再發《資生》○燉犬傷毒不出發寒熱速以艾灸外丘穴三壯又灸所咬之處七壯立愈《銅人》
침뜸치료[鍼灸法]/여러 가지 외상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먼저 침을 놓아 궂은 피를 뺀 다음 곧 상처에 뜸 10장을 뜨고 그 다음부터 하루 1장씩 100날 동안 떠야 한다. 그리고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자생].
○ 미친개한테 물린 데는 뜸을 뜨는 것 보다 좋은 것이 없다. 뜸은 물린 자리에 하루 3장씩 120일 동안 떠야 한다. 그리고 늘 부추[ ]를 먹어야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천금].
○ 늘 생부추즙을 마시고 찌꺼기로 뜸자리를 싸매면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자생]
○ 미친개한테 상한 독기가 빠지지 않아 추웠다 열이 날 때에는 빨리 외구혈(外丘穴)에 약쑥뜸을 3장 뜨고 또 물린 자리에 7장 뜨면 곧 낫는다[동인].
人爲猫所傷取薄荷葉細嚼付之○又虎骨虎毛燒爲末塗之《雜方》
고양이한테 상한 것[猫傷]
고양이한테 상한 데는 박하잎을 잘 씹어서 붙인다.
○ 또는 범뼈나 범털을 태워 가루내서 바른다[잡방].
取猫毛燒灰入麝香少許津唾調付《入門》○又麝香塗之差《本草》
쥐한테 물린 것[鼠咬傷]
고양이털을 태워 가루내서 사향 조금과 섞어 침에 개어 붙인다[입문].
○ 또는 사향을 발라도 낫는다[본초].
여러 가지 벌레한테 상한 것[諸蟲傷]
中蛇咬毒昏困五靈脂五錢雄黃二錢半爲末酒調二錢灌之以滓付患處卽甦《綱目》○又五靈脂雄黃貝母白芷等分爲末熱酒調二錢服亦良《丹心》○治蛇毒無如雄黃若被諸蛇咬取雄黃細末貼瘡口立效《綱目》○又毟呮取汁和雄黃作餠子候乾爲末貼瘡口毒水流出腫痛卽消《綱目》○卒被蛇傷白礬火上熔汁滴咬處立差無白礬則速作艾炷灸五壯良《綱目》○毒蛇旹欲死雄黃乾薑等分爲末付傷處《本草》○中蛇毒眼黑口夝欲死蒼耳嫩葉一握搗取汁溫酒和灌之滓付瘡上《本草》○又白芷末麥門冬湯調服滓付傷處《綱目》○又細辛白芷各五錢雄黃二錢麝香少許爲末每二錢溫酒調服《綱目》○又貝母爲末酒調令病人盡量飮之少頃酒自傷處爲水流出却以滓付患處卽甦《綱目》○又白礬甘草等分爲末每二錢冷水調下《綱目》○毒蛇旹急以熱人尿洗出血次取口中唾塗之又以牙渚封傷處又取人屎厚付布嚸卽消《丹心》○急飮好醋二椀令毒氣不隨血走或淸油亦可《入門》○凡蛇毒取獨頭蒜或小蒜或苦呮或水蓼或豆葉或荏葉皆搗飮汁以滓付傷處《本草》○又絲瓜根洗淨搗硏生酒調吃一醉立已《海上》○又囱澇及脚骨燒灰飮服滓付之《本草》○又埽蚓或蝦徳搗付之《本草》○牛耳中垢猪耳中垢取付之猪齒燒灰付之《本草》○被蛇咬人忌食酸物梅子犯之必大痛《綱目》○蜈蚣制蛇毒爲末付《本草》○抗蛇法嗴羊角燒之蛇卽遠去又小袋盛雄黃帶之蛇遠避又養鵝抗蛇《本草》
뱀한테 물린 것[蛇咬傷]
뱀한테 물린 독기로 정신이 흐릿해진 데는 오령지 20g, 석웅황 10g을 쓰는데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이고 찌꺼기를 물린 자리에 붙여주면 곧 깨어난다[강목].
○ 또는 오령지, 석웅황, 패모, 구릿대(백지)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따끈한 술에 타서 먹여도 역시 좋다[단심].
○ 뱀독을 치료하는 데는 석웅황만한 것이 없다. 여러 가지 뱀한테 물렸을 때 석웅황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물린 자리에 붙이면 곧 낫는다[강목].
○ 또는 부루[ ]즙에 석웅황을 개서 떡을 만들어 말린 다음 가루내어 물린 자리에 붙이면 독물[毒水]이 나온다. 그러면 붓거나 아픈 것이 곧 없어진다[강목].
○ 갑자기 뱀한테 물리었을 때에는 백반을 불에 녹여서 그 즙을 물린 자리에 떨구면 곧 낫는다. 백반이 없을 때에는 빨리 뜸 봉을 만들어 뜸을 5장 떠도 좋다[강목].
○ 독사한테 물려서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석웅황과 건강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물린 자리에 붙인다[본초].
○ 뱀독을 받아서 눈이 거멓게 되고 이를 악물면서 죽을 것같이 된 데는 도꼬마리잎(창이엽)을 쓰는데 연한 것으로 1줌을 짓찧어 즙을 내서 데운 술에 타 먹이고 찌꺼기를 물린 자리에 붙여준다[본초].
○ 또는 구릿대(백지)가루를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서 먹이고 찌꺼기를 물린 자리에 붙여준다[강목].
○ 또는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각각 20g, 석웅황 8g, 사향 조금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인다[강목].
○ 또는 패모를 가루내어 술에 타서 양껏 마시고 조금 있으면 술이 물로 되어 물린 자리로 흘러 나온다. 이때에 즉시 찌꺼기를 물린 자리에 붙이면 곧 깨어난다[강목].
○ 또는 백반과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서 먹는다[강목].
○ 독사한테 물렸을 때에는 빨리 좋은 식초 2사발을 마셔서 독기가 피를 따라 돌지 못하게 해야 하는데 참기름을 마셔도 좋다[입문].
○ 여러 가지 뱀독에는 외통마늘이나 달래[小蒜]나 씀바귀[苦 ]나 물여뀌[水蓼]나 콩잎[豆葉] 또는 참깨잎[荏葉]을 쓰는데 다 짓찧어 즙을 내서 마시고 찌꺼기를 물린 자리에 붙인다[본초].
○ 또는 수세미오이뿌리(사과근)를 깨끗하게 씻은 다음 짓찧어 술에 타서 한번 취하게 마시면 곧 낫는다[해장].
○ 또는 황새의 주둥이와 다리뼈를 태워서 가루내어 물에 타 먹고 찌꺼기를 붙여도 된다[본초].
○ 또는 지렁이(구인)나 두꺼비(하마)를 짓찧어 붙인다[본초].
○ 뱀한테 물렸을 때에는 매화나무열매(매자)등 맛이 신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반드시 몹시 아프다[강목].
○ 왕지네(오공)는 뱀독을 치는데 가루내어 붙인다[본초].
○ 뱀을 쫓는 방법은 숫양의 뿔을 태우면 뱀이 곧 달아난다. 또는 작은 주머니에 석웅황을 넣고 차고 다니면 뱀이 멀리 간다. 거위를 기르면 뱀이 달아난다[본초].
蝎有雌雄雄旹痛在一處井泥付之雌者痛牽諸處取瓦屋溝下泥付之無雨時新水從屋上淋下取泥用《本草》○蝎旹痛不可忍冷水漬之卽不痛水微煖復痛卽易新水《本草》○蝎旹痛半夏生一字雄黃一字巴豆一箇右同硏付之《綱目》○又白礬半夏爲末醋調貼之痛止毒出《得效》○又驢耳中垢或猫屎塗之蜘蛛取汁付之又地上磨生薑塗之又薄荷細嚼付之又白礬熔汁滴傷處《本草》
전갈한테 쏘인 것[蝎 傷]
전갈은 암컷과 숫컷이 있다. 수컷한테 쏘이면 한 곳이 아픈데 이런 데는 웃물바닥의 진흙을 붙인다. 암컷한테 쏘이면 여러 곳이 당기며 아픈데 이런 때에는 기왓집처마에서 물이 떨어져 내리는 곳의 진흙을 붙인다.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새로 길어온 물을 지붕에 천천히 붓고 이때 떨어져 내리는 물에 젖은 흙을 쓴다[본초].
○ 전갈한테 쏘여서 참을 수 없이 아플 때에는 찬물에 담근다. 그러면 곧 아픔이 멎었다가 물이 약간 따뜻해지면 다시 아프다. 이때에는 곧 새물을 갈아야 한다[본초].
○ 전갈한테 쏘여서 아픈 데는 끼무릇(반하, 생것) 1g, 석웅황 1g, 파두 1알을 함께 갈아서 붙인다[강목].
○ 또한 백반과 끼무릇을 가루내어 식초에 개서 붙여도 아픔이 멎고 독기가 빠진다[득효].
○ 그리고 거미(지주)의 즙을 내어 붙이기도 한다. 또는 생강을 땅에 갈아서 바른다. 그리고 박하를 잘 씹어서 붙이기도 한다. 또는 백반을 녹여서 그 즙을 상처에 바른다[본초].
蜈蚣咬人傷痛取蜘蛛安咬處當自吸毒如死而痛未止更易生者如蜘蛛死卽投水中救活《綱目》○蛇含草婔付之又蝸牛取汁滴入咬處又烏鷄血及屎塗之○桑白皮汁或獨頭蒜硏塗之又人頭垢塗之不痛不痒○又淸油點燈取烟熏之又鹽湯漬之又黃蠟火上熔汁滴患處
《本草》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왕지네(오공)한테 물려서 아플 때에는 거미(지주)를 산 채로 물린 자리에 놓아둔다. 그러면 거미가 그 독을 빨아먹고 죽은 것처럼 된다. 그래도 계속 아프면 다시 산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 거미가 죽을 것같이 되면 곧 물에 놓아주어서 살린다[강목].
○ 사함초(蛇含草)를 비벼서 붙인다. 달팽이(와우)즙을 물린 곳에 떨구어놓는다. 또는 오계(烏 )의 피와 계시를 바른다.
○ 뽕나무뿌리껍질즙(상백피즙)이나 통마늘을 갈아서 붙인다.
○ 참기름에 불을 붙여 그 연기를 쏘인다. 또는 소금 끓인 물에 담가도 좋다. 불에 녹인 황랍을 물린 자리에 떨구어 놓는다[본초].
蜘蛛咬人腹大如孕一身生絲羊乳飮之未幾日而平《本草》○蜘蛛咬遍身成瘡取好酒飮令大醉須臾盤於肉中小如米自出《本草》○又靑瘳葉去尖納埽蚓一條緊捻頭勿通氣候化水點咬處卽差《本草》○蜘蛛咬人瘡中出絲屢有死者惟飮羊乳可制其毒《本草》○又藍汁一椀入雄黃麝香末各一錢和之細飮其汁拄點咬處有人被斑蜘蛛咬腫痛垂死得此方卽愈只服藍汁亦好《本草》○蜘蛛傷土蜂燒末油和付之又取土蜂嚭土醋調塗之穴土居赤黑色者是蜂也《本草》○又多取人尿灌瓮中坐浸其身防蛛毒入內《本草》○又烏鷄屎浸酒服又取冠血塗之《本草》○穧白或堛白搗付之又雄黃末付之又桑白皮汁塗之又蔓菁子硏油調付之又小喯汁飮之《本草》
거미한테 물린 것[蜘蛛咬傷]
거미한테 물리면 임신한 것처럼 배가 커지고 몸에서 실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런 때 양(羊)의 젖을 마시면 며칠이 지나지 않아서 편안해진다[본초].
○ 거미한테 물려서 온 몸이 헐 때에는 좋은 술을 취하도록 마시면 조금 있다가 쌀알만한 벌레가 살 속에서 저절로 나온다[본초].
○ 또는 푸른 파잎(청총엽)의 끝을 잘라버린 다음 거기에 지렁이(구인) 1마리를 넣고 끝을 잘 매어서 기운이 통하지 못하게 하여 두면 지렁이가 물로 되는데 이것을 물린 자리에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 거미한테 물린 자리에서 실 같은 것이 나오면 흔히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양의 젖을 먹어야 그 독을 없앨 수 있다[본초].
○ 또는 쪽즙[藍汁] 1사발에 석웅황과 사향을 각각 4g씩 가루내어 타서 조금씩 마시고 물린 자리에 바른다. 어떤 사람이 무늬가 있는 거미한테 물려서 부으면서 아파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 이 방법을 쓰고 곧 나았다. 쪽즙만 먹어도 좋다[본초].
○ 거미한테 물린 데는 땅벌[土蜂]을 태워 가루내어 기름에 개서 붙인다. 또한 땅벌집의 흙을 식초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 땅구멍 속에 있는 벌겋고 거먼 벌이 땅벌이다[본초].
○ 또는 오계시(烏 屎)를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또는 닭볏에서 피를 받아 바른다[본초].
○ 염교나 부추의 흰밑을 짓찧어 붙인다. 또는 석웅황가루를 붙이기도 한다. 또는 뽕나무뿌리껍질즙(상백피즙)을 바른다. 또는 순무씨(만정자)를 갈아서 기름에 개어 붙인다. 또는 조뱅이(소계)즙을 마신다[본초].
有人中此毒腹大夜聞埽蚓鳴於身有人敎用鹽水浸之而愈○有人跣立濕地中其毒先飮鹽湯一盃次以鹽湯浸其足卽愈《本草》○埽蚓咬其形如大風眉鬚皆落以石灰水浸身愈《本草》○埽蚓吹瘡鷄屎付之○嘧昩咬鴨屎付之又老茶葉細末油調付嘧昩卽埽蚓也《綱目》
지렁이한테 상한 것[ 蚓傷]
어떤 사람이 지렁이의 독에 상하여 배가 커지고 밤이 되면 몸에서 지렁이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났다. 이때에 어떤 사람이 소금 물에 담그라고 하기에 그대로 하였는데 나았다.
○ 어떤 사람이 발을 벗고 습지(濕地)에 서 있다가 지렁이의 독을 받았을 때 먼저 소금 물 1잔을 마신 다음 따뜻한 소금 물에 그 발을 담그었는데 곧 나았다고 한다[본초].
○ 지렁이한테 물리면 문둥병처럼 눈썹과 수염이 다 빠지는데 이때에는 석회수에 몸을 담그면 낫는다[본초].
○ 지렁이한테 물려서 생긴 헌데에는 계시( 屎)를 붙인다.
○ 지렁이한테 물린 데는 압시(鴨屎)를 붙인다. 또는 차잎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기름에 개서 붙이기도 한다[강목].
此盤又名八角盤隱於壁間以尿射人遍身生瘡如湯火傷烏鷄翎燒灰鷄子淸調塗之《綱目》○堁杹尿瘡如熱搼而大繞腰濖不可療盤如小蜈蚣色靑黑長足取扁豆葉婔付卽差《本草》○又鹽湯淋漬瘡上數日愈又犀角水磨塗之又鷄屎塗之又胡燕嚭中土猪脂苦酒和塗之又鷄腸草婔付之又胡粉和醋付之又嚼梨汁付之《本草》
그리마한테 상한 것[ 傷]
이 벌레를 팔각충(八角蟲)이라고 한다. 벽짬에 숨어서 오줌을 내쏘는데 그것이 묻으면 온 몸에 헌데가 생겨서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처럼 된다. 이때에는 오계(烏 )의 날개를 태워 가루내서 달걀 흰자위에 개어 바른다[강목].
○ 그리마의 오줌으로 생긴 헌데는 땀띠 같으나 약간 크고 허리에 돌아가면서 생기는데 잘 낫지 않는다. 벌레는 작은 왕지네 같고 빛이 검푸르며 발이 길다. 이런 데는 까치콩잎[扁豆葉]을 따서 비벼 붙이면 곧 낫는다[본초].
○ 또는 소금 끓인 물로 헌데를 씻으면 며칠 사이에 낫는다. 또는 서각(犀角)을 물에 갈아 바른다. 또는 계시( 屎)를 바른다. 또는 구제비둥지[胡燕巢]의 흙을 돼지기름(저지)과 식초에 개어 바른다. 또는 계장초( 腸草)를 비벼서 붙인다. 또는 호분(胡粉)을 식초에 개어 붙인다. 또는 배를 씹어서 즙을 내어 바른다[본초].
蜂旹人嚼靑蒿付之○又薄荷婔貼之○蜂房爲末猪脂和付○婔芋莖擦之卽愈○醋磨雄黃塗之又淸油擦之○人頭垢及鹽擦之又醬塗之又冬瓜葉婔付之《本草》
벌한테 쏘인 것[蜂 傷]
벌한테 쏘인 데는 제비쑥(청호)을 씹어 붙인다.
○ 또는 박하잎을 비벼서 붙인다.
○ 벌집(봉방)을 가루내어 돼지기름(저지)을 개서 붙인다.
○ 토란줄기[芋莖]를 비벼서 문질러도 곧 낫는다.
○ 식초에 석웅황(웅황)을 갈아 바른다. 또는 참기름으로 문지른다.
○ 소금으로 문지른다. 또는 장(醬)을 바른다. 동아잎(동과엽)을 비벼서 붙인다[본초].
屋上爛茅和醬汁硏付○麝香蜜調塗之○苧汁飮之又塗之苧近蠶種則蠶不生《本草》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누에한테 물렸을 때에는 지붕에서 썩은 새[爛茅]를 간장에 넣고 갈아붙인다.
○ 사향을 꿀에 개어 바른다.
○ 모시즙[苧汁]을 마시기도 하고 바르기도 한다. 모시에 누에알을 가까이 하면 누에가 까 나오지 못한다[본초].
人爲蝸牛盤所咬毒遍身者蓼子汁浸之卽差《本草》
달팽이한테 상한 것[蝸牛傷]
달팽이한테 상하여 그 독이 온몸에 퍼졌을 때에는 여뀌씨즙[蓼子汁]에 담그면 곧 낫는다[본초].
庵嗽咬人石灰醋和塗之○嘘葉燒灰以厹水和浸洗以滓付之《本草》
도루래한테 물린 것[ 傷]
도루래한테 물렸을 때에는 석회를 식초에 개어 바른다.
○ 떡갈나무잎[ 葉]을 태워 가루내어 쌀 씻은 물에 타서 물린 자리를 담그고 씻은 다음 찌꺼기를 붙인다[본초].
壁鏡咬毒人必死桑灰淋濃汁調白礬末塗之○又醋磨雄黃塗之《得效》
납거미한테 물린 것[壁鏡傷]
납거미한테 물리면 반드시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진한 뽕나무 잿물에 백반가루를 타서 바른다.
○ 또는 식초에 석웅황을 갈아서 바른다[득효].
夏月諸般傷損潰爛灪盤極盛臭不可近蛇退燒存性一兩蟬殼靑黛各五錢細辛二錢半右爲末每三錢黃酒調下日二名曰蟬花散又寒水石治夏月諸瘡臭爛○一人夏月收麥被岲礟倒又咬傷二三處至五七日膿潰臭惡灪蠅極盛藥不能救一道人見之傳以此方修合服之灪皆化水而出蠅亦不敢近旬日良愈《回春》
여름에 생긴 모든 헌데에 파리와 구더기가 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夏月諸瘡傷 蠅 法]
여름에 여러 가지로 상처가 생겼는데 진물면서 구더기가 몹시 성하여 냄새가 심히 날 때에는 뱀허물(사퇴, 약성이 남게 태운 것) 40g, 매미허물(선퇴) 청대 각각 20g, 족두리풀(세신) 10g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하루 2번 술에 타서 마신다. 이것을 선화산(蟬花散)이라고도 한다. 또는 한수석(寒水石)을 쓰기도 하는데 여름에 모든 헌데가 진물면서 냄새가 나는데 쓴다.
○ 어떤 사람이 여름에 보리를 거두어들이다가 노새한테 채어 넘어져 상하고 2-3곳이 물렸는데 5-7일이 지나서부터 곪아 터지면서 나쁜 냄새가 나고 구데기와 파리가 몹시 성하여 약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었다. 그런데 길 가던 어떤 사람이 보고 이 처방을 알려주기에 그대로 만들어 먹었다. 그런데 구더기는 다 물이 되어 나오고 파리도 가까이 오지 못하게 되었으며 10일 정도 지나서 다 나았다[회춘].
夏月有雜色毛盤極毒觸人生瘡痒痛骨肉皆爛栥一椀淸油半盞同搗厚付傷處經一宿取見栥中有盤毛埋土中棄之白芷湯洗後烏賊魚骨末付之卽愈《綱目》○又伏龍肝醋和作團於傷處琞轉其毛皆出在土上痛立止神效《綱目》○又蒲公英根莖白汁付之《綱目》○毒蛇尿草木着人似刺箚便腫痛肉爛若着手足指節墮落硏砒敼和膠淸塗之《本草》○蛇骨刺人毒腫痛燒死鼠爲末付之《本草》○諸盤毒傷靑黛雄黃等分爲末新汲水調下二錢又外塗之《本草》○人被天蛇毒似癩而非癩天蛇卽草間黃花蜘蛛也人被其旹因爲露水所濡乃成此疾遂煮秦皮汁一升飮之差《本草》○諸毒盤傷大紙撚濐香油燒火吹滅以烟熏之卽愈《綱目》○五毒盤毛旹赤痛不止馬齒竔婔付之《本草》○蛇蝎蜘蛛咬生鷄卵輕敲一小孔合咬處立差《本草》○諸盤咬麝香塗之又小喯或藍葉搗汁飮又付之《本草》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벌레한테 상한 것[雜色蟲傷]
여름에는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털벌레도 있는데 독이 몹시 세서 그것이 몸에 닿으면 헐고 가려우며 아프고 뼈와 살이 진문다. 이때에는 약전국 1사발을 참기름 반 잔에 넣고 짓찧어 상한 곳에 두껍게 붙이는데 하룻밤 지나서 떼어보면 약전국 가운데 털벌레가 있다. 그것을 땅 속에 묻어버리고 헌데를 구릿대(백지)를 달인 물로 씻어야 한다. 그 다음 오징어뼈(오적어골)를 가루내어 붙이면 곧 낫는다[강목].
○ 또는 복룡간(伏龍肝)을 식초에 개어 동그랗게 만들어 상처에 대고 굴리면 털 같은 것이 흙덩이에 다 붙어 나온다. 그러면 이픈 것이 곧 멎고 잘 낫는다[강목].
○ 또는 민들레(포공영)의 뿌리나 줄기에서 흰즙을 받아 바른다[강목].
○ 또는 독사의 오줌이 묻은 풀이나 나무에 닿으면 찌르고 긁어내는 것같으면서 붓고 아프며 살이 진문다. 그리고 그것이 손발에 닿으면 손발가락 마디가 떨어져 나가는 것같다. 이럴 때에는 신석(砒 )을 갈아서 갖풀에 개어 바른다[본초].
○ 뱀뼈에 찔리면 독이 나서 부으면서 아픈데 이런 때에는 쥐를 잡아서 태워 가루내어 바른다[본초].
○ 여러 가지 벌레독에 상한 데는 청대와 석웅황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새로 길어 온 물에 타 먹기도 하고 겉에 바르기도 한다[본초].
○ 천사독(天蛇毒)을 받으면 문둥병 같이 되나 문둥병은 아니다. 천사라는 것은 바로 풀 속에 있는 누렇고 꽃 같이 생긴 거미를 말한다. 이 벌레한테 쏘인 다음 이슬을 맞으면 문둥병 같이 된다. 이런 때에는 물푸레껍질[秦皮]을 달인 물을 1되 가량 마시면 낫는다[본초].
○ 여러 가지 독이 있는 벌레한테 상한 데는 종이 심지를 굵게 만들어서 참기름에 적신 다음 불을 붙여 태우다가 불어서 끄고 그 연기를 쏘이면 곧 낫는다[강목].
○ 5가지 독이 있는 벌레의 털에 쏘여 벌겋게 되고 아픈 데는 쇠비름(마치현)을 비벼서 붙인다[본초].
○ 뱀이나 전갈, 거미한테 물린 데는 생달걀을 쓰는데 구멍을 조금 내서 물린 자리에 붙이면 곧 낫는다[본초].
○ 여러 가지 벌레한테 물린 데는 사향을 바른다. 또는 조뱅이(소계)나 쪽잎(남엽)을 짓찧어 즙을 내서 마시기도 하고 붙이기도 한다[본초].
竹木刺入肉不出瞿麥濃煎取汁飮日三《本草》○又鹿角燒爲末水和塗立出《本草》○又乾羊屎燒灰和猪脂塗之不覺自出《本草》○又人頭垢塗之卽出又烏雄鷄生搗樢之亦出《本草》○又白梅肉嚼封之刺卽出又栗楔生嚼樢之亦出又庵嗽硏付之妙又檣毈生硏樢之亦妙又燞牄碎付之刺卽出又牛膝根宭爛塗之亦出又魚祢取付瘡上四邊肉爛刺卽出《本草》○魚骨在肉中不出嚼吳茱萸封之骨當爛出又取海獺皮煮汁服又魚狗烏燒爲末和飮頓服又象牙末厚塗自軟出《本草》○鐵棘竹木刺入肉不出鼠腦厚塗之卽出《本草》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참대가시[竹木]가 살에 찔려서 나오지 않는 데는 패랭이꽃(구맥)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하루에 3번 마신다[본초].
○ 또는 녹각을 태워 가루내어 물에 개서 발라도 가시가 곧 나온다[본초].
○ 또는 건양시(乾羊屎)를 태워 가루내어 돼지기름(저지)을 개서 바르면 저도 모르게 저절로 나온다[본초].
○ 오계(烏 , 수컷)를 생것으로 짓찧어 붙여도 나온다[본초].
○ 또는 백매(白梅)를 씹어서 붙여도 가시가 곧 나온다. 또는 밤을 생것으로 씹어서 붙여도 나온다. 또는 도루래를 짓찧어 붙여도 좋다. 또는 허리가 잘룩한 벌(얼옹)을 산 채로 잡아 짓찧어 붙이면 가시가 잘 나온다. 또는 굼벵이(제조)를 짓찧어서 붙여도 가시가 곧 나온다. 또는 쇠무릎을 짓찧어 붙여도 나온다. 또는 물고기부레를 상한 자리의 언저리, 살이 진문데 발라도 곧 나온다[본초].
○ 물고기뼈가 살 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에는 오수유를 씹어 붙이면 고기뼈가 연해져서 나온다. 또는 수달껍질을 끓여서 그 물을 먹는다. 또는 물총새를 태워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단번에 먹는다. 또는 상아를 가루내어 두껍게 발라도 저절로 연해져서 나온다[본초].
○ 또는 쇠부스러기, 참대가시, 나뭇가시가 살에 들어가 나오지 않을 때에는 쥐골[鼠腦]을 두껍게 바르면 곧 나온다[본초].
凡蛇紅蜈蚣毒盤咬傷於傷處灸五壯或七壯卽愈《丹心》○祴惡蛇旹卽貼蛇皮於旹處艾火灸其上引出毒氣卽止《本草》
뜸치료[灸法]/여러 가지 외상
뱀이나 왕지네, 독이 있는 벌레한테 물려서 상한 데는 물린 자리에 뜸을 5장이나 7장을 뜨면 곧 낫는다[단심].
○ 독사한테 물렸을 때에는 곧 뱀허물(사퇴)을 물린 자리에 붙인 다음 그 위에 약쑥뜸을 뜨면 독기가 빠지고 곧 낫는다[본초].
'건강 자료실 > 병리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의보감[잡병편] 구급* (0) | 2013.10.08 |
---|---|
[스크랩] [잡병편] 해독* (0) | 2013.10.08 |
[스크랩] 동의보감[잡병편] 제상-東醫寶鑑雜病篇卷之九*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제창2* (0) | 2013.10.08 |
[스크랩] [잡병편] 제창1-2*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