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학자요, 뛰어난 문장으로 한문사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작품입니다.
모두가 잠든 고요한 밤에 깨어 있는 사람은 아주 작은 자연의 움직임까지도 놓치지 않고 느낄 수 있습니다. 어둠 속에서 귀는 더 밝아져서 보이지 않는 풍경까지도 들려오는 것들을 통해 그려볼 수 있습니다.
시인은 깊고 고요한 밤에 홀로 깨어 있습니다. 바람 소리도 없이 고요한 가운데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립니다. 소리가 가늘게 쫄쫄거리는 것을 보니, 바깥날은 춥고 시내는 얼어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 흐르는 소리를 들으면서 시냇가 바위에 수정처럼 맑게 얼어붙은 얼음과 그 사이로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을 떠올립니다. 그러던 차에 먼 데서 툭툭 하고 나뭇가지 꺾어지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소복소복 쌓인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나뭇가지가 한순간 부러지며 내는 소리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간밤에 몹시도 많은 눈이 내렸구나 싶습니다. 둘러친 휘장을 열어젖히니, 창밖이 환합니다. 새벽 찬 기운에 화롯불을 쑤석거려 보지만 어젯밤에 지핀 화롯불은 이미 재가 다 되어 불씨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습니다. 나뭇가지가 꺾일 정도로 눈이 왔으니, 해가 뜬 뒤에는 봉우리마다 설산으로 변해 있겠구나 생각합니다.
깊은 밤, 눈이 내리는 풍경은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면서 글을 쓰고 싶어지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법정 스님의 수필집 『무소유(無所有)』 가운데에도 눈이 내려 소나무 가지가 꺾인 경치를 보고 느낀 감상을 적은 대목이 있습니다.
그 겨울 가야산에는 눈이 많이 내렸었다. 한 주일 남짓 교통이 두절될 만큼 내려 쌓였었다. 밤이면 이 골짝 저 골짝에서 나무 넘어지는 소리가 요란했다. 아름드리 소나무가 눈에 꺾인 것이다. 그 고집스럽고 정정한 소나무들이 한 송이 두 송이 쌓이는 눈의 무게에 못 이겨 꺾이고 마는 것이다. 모진 비바람에도 끄덕 않던 나무들이 부드러운 것 앞에 꺾이는 묘리를 산에서는 역력히 볼 수 있었다.
택당 선생은 얼음장 밑으로 가늘게 흐르는 물, 눈 무게를 견디지 못해 꺾이는 나뭇가지, 화롯불 등 겨울의 정취를 전달하기 좋은 글감을 가지고 작품을 훌륭하게 완성하였습니다. 덕분에 소나무 가지가 꺾이는 소리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저 같은 서울 촌놈도 시를 통해 눈 내린 골짜기에서 얼음장 밑으로 흐르는 시냇물 소리를 들으며 정신을 씻을 수 있습니다. 청각을 통해 시각을 움직인 이 시를 통해 보더라도 택당 선생이 한문사대가 중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는 이유를 잘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