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道德經) 제31장 - 제40장 | 동양사상 |
老子 제31장 : 언무(偃武) 도를 아는 사람은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1. 무기는 모두 불길한 것으로 누구나 항상 싫어하는 것이니 도를 아는 사람은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군자가 자연에 따라 일할 때는 왼쪽을 귀히 여기고, 어쩔 수 없이 군사를 일으켜 전쟁을 할 때면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무기라는 것은 불길한 것이므로 군자가 사용하는 수단이 아니다. 군자가 어쩔 수 없이 무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욕심 없이 담담한 것을 제일로 삼고 승리를 거두어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승리를 아름답게 여기는 자는 사람 죽이는 짓을 즐기는 자이다. 무릇 살인을 즐기는 자는 천하의 뜻을 이룰 수 없다. 좋은 일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흉한 일에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직접 병사를 지휘하는 장군은 왼쪽에 자리하고 전군을 통솔하는 장군은 오른쪽에 자리한다. 이는 장례의 예에 따라 그렇게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을 죽이게 되기 때문에 슬픈 마음으로 전쟁에 임하고 승리를 하였다 하여도 장례식과 같이 예를 지켜나가는 것이다. 2. 무릇 아름다운 무기는 모두 상스럽지 못한 것이다. 만물은 무기를 싫어한다. 그러므로 자연의 도를 걷는 자는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군자가 자신을 다스려 자연에 따라 일에 임할 때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어쩔 수 없이 군사를 일으켜 전쟁을 할 때면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무기라는 것은 상스럽지 못한 것이므로 군자가 사용하는 수단이 아니다. 군자가 어쩔 수 없을 경우에나 무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안정된 것을 제일로 삼고 승전을 거두어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승전을 아름답게 여기는 자는 사람 죽이는 짓을 즐기는 자이다. 무릇 살인을 즐기는 자는 천하의 뜻을 이룩할 수가 없다. 좋은 일은 왼쪽을 숭상하고, 흉한 일은 오른쪽을 숭상한다. 전쟁터에서 직접 병사를 지휘하는 장군은 왼쪽에 자리를 하고, 전군을 통솔하는 장군은 오른쪽에 자리를 잡는다. 이는 초상이 났을 때 하는 예에 따라 그렇게 하는 것이다. 죽은 목숨이 너무 많아 애통해 그 죽음을 울먹이며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고 해도 상가에서 지켜지는 예를 따른다.
31. 1. Now arms, however beautiful, are instruments of evil omen, 2. The superior man ordinarily considers the left hand the most 3. On occasions of festivity to be on the left hand is the prized
老子 제32장 : 성덕(聖德) 도는 한결같고 이름을 초월한다
道常無名, 樸雖小, 天下莫能臣也,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賓.
1. 도는 한결 같고 이름이 없으며 이름을 초월한 것이다. 도는 손대지 않은 통나무처럼 그대로인 것이며 그것이 아무리 작다고 하더라도 천하도 감히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군왕이 만일 이러한 도를 따라 지킬 수 있다면 만물은 장차 저절로 보배가 될 것이고 천지가 서로 화합하여 단비를 내리고 백성들에게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자연히 평등하게 다스려질 것이다. 통나무가 잘리고 쪼개져 많은 기구들이 생기듯 이것저것 분별하는 이름을 가진 제도가 생겨나면 이름을 가진 것의 한계를 알게 된다. 변하는 이름에 붙들려 있지 말고 변함없는 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아야 한다. 그러면 위태로울 것이 없다. 도 있는 사람이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산골짜기의 개울이 시내가 되어 자연히 강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과 같다. 2. 도는 한결같고 이름이 없다. 도는 원목의 등걸처럼 그대로인 것이며 그것이 아무리 작다고 하더라도 천하도 감히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군왕이 만일 이러한 도를 따라 지킬 수 있다면 만물은 장차 저절로 보배가 될 것이므로 천지가 서로 합하여 단비를 내릴 것이요, 백성들에게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골고루 평등해질 것이다. 이것저것 분별하는 제도가 시작되어 이름이 붙게 된다. 이름이 있는 것은 남아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변하는 이름에 붙들려 있지 말고 무릇 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변함이 없는 도에 머물러 있을 줄 알라. 그러면 위태로울 것이 없다. 도의 작용에 천하가 있다는 것을 비유해 말하자면, 산골짜기의 개울이 시내가 되어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과 같다.
32. 1. The Tao, considered as unchanging, has no name. 2. Though in its primordial simplicity it may be small, the whole 3. Heaven and Earth (under its guidance) unite together and send down 4. As soon as it proceeds to action, it has a name. When it once has 5. The relation of the Tao to all the world is like that of the great 老子 제33장 : 변덕(辯德)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참으로 강한 사람이다
知人者智, 自知者明. 勝人者有力, 自勝者强.
1. 다른 사람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 스스로를 아는 사람은 밝은 사람이다.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 있는 사람이고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 넉넉함을 아는 사람은 부유한 사람이고 힘써 행하는 사람은 뜻이 있는 사람이다. 자기의 분수를 아는 사람은 그 지위를 오래 지속하고 죽어도 잊혀지지 않는 사람은 영원토록 사는 것이다. 2. 남을 알려고 하는 자는 겉만을 아는 자이고, 자기를 알려고 하는 자는 속을 아는 자이다. 남을 이기려는 자에게는 힘이 있고, 자기를 이겨내는 자는 강하다.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고, 자기를 이겨내는 힘을 행하는 자에게는 뜻이 있다. 안을 다스릴 바를 놓치지 않는 자는 영원하고, 죽어서도 잊혀지지 않는 자가 수명을 누리는 것이다.
33. 1. He who knows other men is discerning; he who knows himself is 2. He who does not fail in the requirements of his position, continues
老子 제34장 : 임성(任成)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지 않으므로 크게 된다
大道氾兮, 其可左右. 萬物恃之而生而不辭, 功成不名有.
1. 큰 도는 넉넉하여 한 곳에 못 박혀 있지 않아 좌우로 없는 곳 없이 자유자재 한다. 만물은 도에 의해 생겨나지만 한 마디 자랑도 하지 않고 만물을 이루어 낸 공이 있지만 그 공을 내 것으로 하지 않으며 만물을 길러 내면서 그 주인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항상 욕심이 없고 아무 것도 갖지 않으므로 작다고도 볼 수도 있으나 세상 만물이 그 품에 돌아와 안기어도 주인이라는 생각을 갖지 않으므로 크다고도 말할 수 있다. 도는 자신을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는 일이 없기에 그 큰 것이 참으로 큰 것이 되는 것이다. 2. 크나큰 도가 충만하구나. 좌우로 없는 곳 없이 그득하다. 만물은 도를 어머니로 삼아 태어나 도를 떠나지 않으며, 도는 만물을 이루어 낸 공이 있지만 공치사를 하지 않고, 도는 만물을 사랑하고 길러 주면서도 주인노릇을 하지 않는다. 도는 항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그래서 도는 작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만물이 도의 품으로 되돌아가지만 도는 주인노릇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도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도는 큰 일을 다 마치고도 스스로 크다고 자랑하지 않으므로 능히 그 큰 일을 이룩할 수 있다.
34. 1. All-pervading is the Great Tao! It may be found on the left 2. All things depend on it for their production, which it gives to 3. Hence the sage is able (in the same way) to accomplish his great 老子 제35장 : 인덕(仁德) 진리는 평범하다
執大象, 天下往, 往而不害, 安平太.
1. 도를 지켜 살아가면 세상 어디를 가도 방해하는 것이 없어 항상 마음이 편안하고 화평하고 태평하다. 즐거운 음악과 좋은 음식이 있는 곳에서는 지나가던 나그네도 걸음을 멈추지만 무위의 진리는 그것을 입밖에 내더라도 담담하여 세속적인 맛이 없다. 눈 여겨 바라보아도 볼 수가 없고 귀 기울여 들어보아도 들을 수가 없고 그것은 써도 끝이 없는 무한한 기능이 있다. 2. 큰 사랑을 행하는 도를 터득하면, 천하에 걸림없이 두루 왕래할 수 있다. 그러한 왕래는 방해받지 않으므로 편안하고 화평하고 태평하다. 큰 사랑의 도가 들려 주는 음악과 먹게 하는 음식은 지나는 길손의 발을 멈추게 한다. 그러나 도의 드러냄은 담담할 뿐 맛을 내지 않는다. 그래서 도의 큰 사랑을 아무리 보려고 해도 다 볼 수 없고, 도의 큰 사랑을 아무리 들으려고 해도 다 들을 수 없다. 그러나 도의 큰 사랑을 아무리 활용해도 다하여 소진될 수 없다.
35. 1. To him who holds in his hands the Great Image (of the invisible 2. Music and dainties will make the passing guest stop (for a time).
老子 제36장 : 미명(微明) 얻으려면 먼저 주어라
將欲흡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1. 장차 움츠리게 하려면 잠시 펴지게 해준다. 장차 약하게 하려면 잠시 강하게 해준다. 장차 없애버릴 생각이면 잠시 흥하게 해준다. 이것을 미명이라 한다. 모든 유약한 것은 모든 강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 물고기가 연못 밖으로 나오면 살 수 없듯이 국가를 다스리는 이기는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2. 무엇을 접고 싶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펴주어라. 무엇을 약하게 해주고 싶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강하게 해주어라. 무엇을 폐지해 버리고 싶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흥하게 해주어라. 무엇을 빼앗고 싶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주어라. 이렇게 하는 것을 도의 섭리라고 한다.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굳고 강한 것을 이긴다. 물고기는 연못을 튀어나와서 살 수 없고, 나라의 제도는 백성에게 과시할 수 없다.
36. 1. When one is about to take an inspiration, he is sure to make a 2. The soft overcomes the hard; and the weak the strong. 3. Fishes should not be taken from the deep; instruments for the
老子 제37장 : 위정(爲政) 자연에 맡기면 저절로 바르게 된다
道常無爲而無不爲.
1. 도는 항상 하는 것이 없지만 하지 않는 것도 없다. 만일 군주가 자연의 도를 따라 지켜 나가면, 만물은 저절로 생성하고 발전할 것이다. 저절로 생성하고 발전하게 만물에 맡기지 않고 인간들이 조작하려고 하면 나는 그러한 짓을 못하게 자연의 덕으로 진정시키리라. 자연의 덕은 욕심을 내지 않는다. 욕심을 부리지 않으니 고요하고, 욕심이 없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2. 도는 항상 하는 것이 없지만, 하지 않는 것도 없다.만일 군주가 자연의 도를 따라 지켜 주면, 만물은 저절로 생성하고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저절로 생성하고 발전하게 만물에 맡기지 않고 인간들이 조작하려고 하면 나는 그러한 짓을 못하게 자연의 덕으로 진정시키리라. 자연의 덕은 욕심을 내지 않는다. 욕심을 부리지 않으니 고요하고, 욕심이 없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37. 1. The Tao in its regular course does nothing (for the sake of 2. If princes and kings were able to maintain it, all things would of 3. If this transformation became to me an object of desire, I would Simplicity without a name
PART II. 老子 제38장 도가 사라지니 인위적인 도덕이 나타난다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최상의 덕은 덕을 의식하지 않으므로 덕이 있는 것이고 정도가 낮은 덕은 덕에 얽매이기 때문에 덕이 없다. 최상의 덕은 무위이며 자연스럽고 정도가 낮은 덕은 유위이며 부자연스럽다. 최상의 인은 유위이며 자연스럽고 최상의 의는 유위이며 부자연스럽다. 최상의 예는 유위이고 그 예에 반응이 없으면 팔을 걷어 붙이고라도 예로 이끈다. 무위자연의 도가 사라지면 무위자연의 덕이 나타나고 무위자연의 덕이 사라지면 인위적인 인의 도덕이 나타나게 되고 인위적인 인의 도덕이 사라지면 인위적인 의의 도덕이 나타나게 되고 인위적인 의의 도덕이 사라지면 인위적인 예의 도덕이 나타나게 된다. 예의 도덕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참다운 마음이 엷어진 것이며 세상이 어지럽게 되는 시초가 되는 것이다. 세상의 일을 미리 내어보는 지식이란 것은 도의 알맹이 없는 겉치레와 같은 것이며 세상을 어리석고 못나게 만드는 시초인 것이다. 그러므로 참다운 사람은 두터운 쪽에 머물러 있고 엷은 곳에 머무르지 않으며 알맹이 있는 곳에 머물고 겉치레 쪽에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예와 지를 버리고 도를 택하는 것이다.
38. 1. (Those who) possessed in highest degree the attributes (of the 2. (Those who) possessed in the highest degree those attributes did 3. (Those who) possessed the highest benevolence were (always seeking) 4. (Those who) possessed the highest (sense of) propriety were (always 5. Thus it was that when the Tao was lost, its attributes appeared; 6. Now propriety is the attenuated form of leal-heartedness and good 7. Thus it is that the Great man abides by what is solid, and eschews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태초에 하나를 받아 얻은 것이 있으니 하늘이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맑고 땅이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편안하며 신은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신령하고 골짜기는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가득 차며 만물이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생겨나고 임금은 그 하나를 받아 얻음으로 천하를 곧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게 만든 것이 곧 그 하나이다. 하늘이 맑지 못하다면 아마도 찢어질 것이고 땅이 편안하지 못하다면 아마도 꺼질 것이며 신이 영험하지 못하다면 아마도 신의 기능이 끝날 것이고 골짜기가 가득하지 못하다면 아마도 세상이 메마를 것이며 만물이 생겨나지 못한다면 아마 아무 것도 없을 것이고 만일 임금이 곧게 하지 못하고 높은 것만을 귀하게 여긴다면 아마도 그 나라는 파멸할 것이다. 그러므로 낮은 것을 귀하게 하여 근본으로 삼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밑바탕으로 한다. 그래서 임금은 스스로 외롭다 덕이 부족하다 선하지 못하다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칭송 받는 명예를 원하게 되면 도리어 명예는 없어지게 되나니 찬란하게 빛나는 옥같이 되기를 원하지 않고 대굴대굴 돌처럼 구르는 것이다.
39. 1. The things which from of old have got the One (the Tao) are-- Heaven which by it is bright and pure; All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One (Tao). 2. If heaven were not thus pure, it soon would rend; 3. Thus it is that dignity finds its (firm) root in its (previous) 老子 제40장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反者, 道之動, 弱者, 道之用.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이 도의 작용이다. 세상의 만물은 천지음양의 기운인 유에서 나오고 유는 형체가 없는 도인 무에서 나온다.
40. 1. The movement of the Tao 2. All things under heaven sprang from It as existing (and named);
|
출처:http://blog.paran.com/bharata/6026163
푸른글
'놀라운 공부 > 옛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道德經) 제11장 - 제20장 (0) | 2008.03.19 |
---|---|
[스크랩] 도덕경(道德經) 제21장 - 제30장 (0) | 2008.03.19 |
[스크랩] 도덕경(道德經) 제41장 - 제50장 (0) | 2008.03.19 |
[스크랩] 도덕경(道德經) 제51장 - 제60장 (0) | 2008.03.19 |
[스크랩] 수련을 가르치는 삼일신고 (0) | 2008.03.19 |